KR101357127B1 - 양면팬 - Google Patents
양면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7127B1 KR101357127B1 KR1020120035483A KR20120035483A KR101357127B1 KR 101357127 B1 KR101357127 B1 KR 101357127B1 KR 1020120035483 A KR1020120035483 A KR 1020120035483A KR 20120035483 A KR20120035483 A KR 20120035483A KR 101357127 B1 KR101357127 B1 KR 1013571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base
- hinge
- double
- extension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47J37/103—Broiling- or heating-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선이나 고기 등의 구이, 누룽지, 와플, 토스트 등을 요리하기 위한 양면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힌지부가 상측 용기와 하측 용기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측 용기와 하측 용기의 후측벽의 면적을 확보하여 세워 보관 가능한 양면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선이나 고기 등의 구이, 누룽지, 와플, 토스트 등을 요리하기 위한 양면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힌지부가 상측 용기와 하측 용기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측 용기와 하측 용기의 후측벽의 면적을 확보하여 세워 보관 가능한 양면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양면팬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554100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양면팬은 일방에 구비된 힌지(h)를 중심으로 일측 용기(A)와 타측 용기(B)가 절첩 가능하게 조립되어 각각 일측 손잡이(10) 및 타측 손잡이(20)를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힌지(h)는 도 1와 같이 일측 용기(A)의 후단에서 외측(바깥)으로 돌출한 일측 힌지와 타측 용기(B)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타측 힌지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런데, 양면팬은 통상적으로 상하 두께에 비해 넓이가 상대적으로 상당히 넓어서, 일측 용기(A) 또는 타측 용기(B)를 그냥 바닥에 놓아 보관하면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그래서 손잡이 쪽에 못 또는 걸이구에 걸어 보관하기도 하지만, 주방에서 못 또는 걸이구에 걸어 보관하기도 만만치 않을 뿐만 아니라, 양면팬의 무게로 인해 떨어질 우려가 매우 크다.
따라서 세워서 보관하면 가장 좋은데, 종래에는 힌지(h)가 후단측에서 외측으로 돌출했기 때문에 그냥 세워서 보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힌지부가 제1용기와 제2용기의 내측에 둠으로써 용기의 후단측의 충분히 면적을 자연스럽게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세워 보관할 수 있는 양면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양면팬은,
상측 용기; 하측 용기; 상기 상측 용기 및 상기 하측 용기의 후측 내면에 설치되는 힌지부; 상기 상측 용기의 전측과 상기 하측 용기의 전측에 설치되는 상측 손잡이와 하측 손잡이로 구성되되,
상기 힌지부는 상기 상측 용기와 상기 하측 용기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힌지부가 상측 용기와 하측 용기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측 용기와 하측 용기의 후측벽이 바닥에 세워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양면팬은,
상기 상측 용기는 상측 베이스와, 상기 상측 베이스의 둘레에서 아래로 연장 돌출되는 상측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 용기는 하측 베이스와, 상기 하측 베이스의 둘레에서 위로 연장 돌출되는 하측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 베이스의 후단 및 상기 하측 베이스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측 연장베이스 및 하측 연장베이스가 더 형성되되,
상기 힌지부는 상기 상측 연장베이스 및 하측 연장베이스에 배치되어 있다.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힌지부가 상하측 용기의 내측에 용이하게 선회 가능하게 배치 설치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양면팬은,
상기 힌지부는 상기 상측 연장베이스의 하면에 배치되는 상측 힌지편과, 상기 하측 연장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는 하측 힌지편과, 상기 상측 힌지편과 상기 하측 힌지편을 연결하는 힌지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상측 힌지편 또는 하측 힌지편은 하측 용기 또는 상측 용기에 대해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턱의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양면팬은,
상기 상측 연장베이스의 끝면에는 위로 돌출한 상측돌출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용기의 상면 전측에는 상기 상측돌출플랜지와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상측돌출띠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연장베이스의 끝면에는 아래로 돌출한 하측돌출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용기의 하면 전측에는 상기 하측돌출플랜지와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하측돌출띠가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상측돌출플랜지와 하측돌출플랜지로 인해 세울 때 바닥과 닿는 면적을 더 넓히면서도, 상측돌출띠와 하측돌출띠와 함께 가스레인지 삼발이에 올려질 때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밸런스 기능도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힌지부가 상측 용기와 하측 용기의 내측에 배치 설치됨으로써, 상측 용기와 하측 용기의 후측벽이 바닥에 세워질 수 있는 면이 확보되어, 안정적으로 세워서 보관 가능하다.
상측 힌지편 또는 하측 힌지편이 하측 용기 또는 상측 용기가 열릴 때 최대 열림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턱의 기능도 한다.
상측돌출플랜지와 하측돌출플랜지로 인해 세울 때 바닥과 닿는 면적을 더 넓히면서도, 상측돌출띠와 하측돌출띠와 함께 가스레인지 삼발이에 올려질 때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밸런스 기능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양면팬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기 전후의 양면팬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양면팬을 세운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6-6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도 2의 7-7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로서, 삼발이에 올려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양면팬의 손잡이를 분리한 전면 및 배면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8의 결합 단면도로서, 접근 및 해제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기 전후의 양면팬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양면팬을 세운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6-6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도 2의 7-7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로서, 삼발이에 올려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양면팬의 손잡이를 분리한 전면 및 배면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8의 결합 단면도로서, 접근 및 해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측(상면)과 하측(하면)의 위치는 도면의 위치로 설명하는 것일 뿐 상측(상면)과 하측(하면)의 위치가 뒤집힐 때는 반대의 위치로 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기 전후의 양면팬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양면팬을 세운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6-6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7-7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로서, 삼발이에 올려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양면팬의 손잡이를 분리한 전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8의 결합 단면도로서, 접근 및 해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면팬은 양면 용기(100)와, 양면 용기(100)의 전측에 설치되는 손잡이(300)와, 양면 용기(100)의 후측의 내측(안쪽)에 배치 설치되는 힌지부(500)로 구성되어 있다.
양면용기(100)는 상측 용기(110)와 하측 용기(130)로 나뉜다.
상측 용기(110)는 상측 베이스(111)와, 상측 베이스(111)의 둘레에서 아래로 연장 돌출하는 상측 측벽(1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측벽(113)은 전후 및 좌우의 측벽(113a)(113b)(113c)(113d)으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하측 용기(130)에도 하측 베이스(131)와, 하측 베이스(131)의 둘레에서 위로 연장 돌출하는 하측 측벽(13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측 측벽(133)도 전후 및 좌우의 측벽(133a)(133b)(133c)(133d)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베이스(111)의 후측과 하측 베이스(131)의 후측에는 후방으로 더 연장되는 상측 연장베이스(111a)와 하측 연장베이스(131a)가 더 형성되어 있다.
즉, 상측 연장베이스(111a), 상측 후측벽(113b), 하측 연장베이스(131a) 및 하측 후측벽(133b)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쪽으로 움푹 들어간 ⊃자 형상의 함몰홈(115)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측 연장베이스(111a)와 하측 연장베이스(131a)는 자연스럽게 상측 용기(110)와 하측 용기(130) 내측에 배치되는 레이아웃을 이룬다.
한편, 상측 후측벽(113b) 또는 하측 후측벽(133b)에는 용기(100)의 내부 압력이나 수증기 등을 조절하게 하는 조절부(2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부(200)는 홈 또는 구멍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부(500)는 한 개 또는 두 개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양쪽 두 개가 설치되는 것이 안정적이므로 두 개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힌지부(500) 각각은 상측 연장베이스(111a)와 하측 연장베이스(131a)에 설치거나, 상측 후측벽(113b)와 하측 후측벽(133b)에 설치되거나, 아니면 2군데 다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부(500)가 2군데 다 걸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힌지부(500)는 상측 베이스(111a)의 하면에 설치된 상측 힌지편(510)과, 하측 베이스(131a)의 상면에 설치된 하측 힌지편(530)과, 상측 힌지편(510)과 하측 힌지편(530)을 연결하는 힌지핀(5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측 힌지편(510)(530)의 끝면(512)(532)은 상하측 연장베이스(111a)(131a)의 끝면(112)(132)과 같은 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세울 때 접촉면적을 넓히고, 특히 도 3과 같이 하나의 용기에 대해 다른 용기가 더 이상의 열림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한다.
또한, 상측 연장베이스(111a)의 끝면(112)에는 위로 돌출한 상측돌출플랜지(121a)가 형성되고, 상측 용기(110) 또는 상측 베이스(111)의 상면 전측에는 상측돌출플랜지(121a)와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상측돌출띠(123a)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측 연장베이스(131)의 끝면(132)에는 아래로 돌출한 하측돌출플랜지(121b)가 형성되고, 하측 용기(130) 또는 하측 베이스(131)의 하면 전측에는 하측돌출플랜지(121b)와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하측돌출띠(123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상측 돌출플랜지(121a)와 하측 돌출플랜지(121b)는 세웠을 때 더 넓은 면적으로 바닥과 접촉되게 한다.
또한, 상측돌출띠(123a)와 하측돌출띠(123b)는 상측 돌출플랜지(121a)와 하측 돌출플랜지(121b)의 높이와 같게 하여, 도 7과 같이 가스레인지 삼발이에 놓았을 때 밸런스의 기능을 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300)는 서로 마주보는 상측 손잡이(310)와 하측 손잡이(330), 상측 손잡이(310)와 하측 손잡이(330)를 접근 또는 퇴거하는 접근퇴거부재(350)를 포함한다.
상측 손잡이(310)는 하면이 평면인 단면 반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측 손잡이(310)의 후단 반원주면에는 벽(313)과 바닥(315)으로 단이 진 상계단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315)은 위에서 아래(즉 상경사면의 최하 위치)로 내려올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다.
또한, 상측 손잡이(310)의 후단 끝면은 위에서 아래로 (-)기울기로 경사진 상경사면(317)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손잡이(330)는 상측 손잡이(310)와 마찬가지로 상면이 평면인 단면 반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측 손잡이(330)에는 상경사면(317)과 마주하는 하경사면(33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손잡이(310)가 위에서 아래로 눌려지면, 상경사면(317)이 후술된 록커(370)를 뒤로 밀어내면서 자연스럽게 하경사면(337)과 접하면서 다시 록커(370)가 앞으로 나와 자동 록킹된다.
하측 손잡이(330)의 후단 반원주면에는 벽(333)과 바닥(335)으로 단이 진 하계단부(3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335)은 아래에서 위(즉 하경사면의 최상 위치)로 올라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다.
따라서, 상측 손잡이(310)와 하측 손잡이(330)가 서로 접근한 경우, 도 10a와 같이 상계단부(311)와 하계단부(331)가 폭이 같은 하나의 원주 바닥(315)(335)을 형성한다.
또한, 바닥(335)의 끝단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부(339)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339)에는 탄성부재(351)를 탑재한 캡(353)이 끼워져 고정된다.
캡(353)은 내통(355)과 외통(357)으로 이루어지고, 내통(355)과 외통(357) 사이에 탄성부재(351)가 수용되는 수용홈(359)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351)로는 코일스프링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탄성부재(351)는 캡(353)에 대해서 후술된 록커(370)에 탄성을 가하여, 록커(370)에 외력이 없는 경우 록킹되는 위치(상하 손잡이가 서로 접근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태)로 향하게 힘을 가한다.
내통(355)의 상하에는 걸림공(361)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돌기부(339)에는 걸림공(361)이 걸리는 걸림턱(363)이 형성되어, 캡(353)이 돌기부(339)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캡(353)의 내통(355)의 전후에는 절취한 노치(36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365)는 내통(355)이 돌기부(339)에 삽입될 때 약간 탄성에 의해 벌어지게 하고, 걸림턱(363)에 걸림공(361)이 걸리는 경우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이탈을 더욱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최후단에서 시작할 때 외통(357)은 내통(355)보다 길이 L만큼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 짧은 거리는 후술된 록커(370)의 해제 슬라이딩 거리와 거의 유사하다.
또한, 외통(357)에도 노치(367) 형성되어, 록커(370)의 원통슬라이더(371)가 슬라이딩할 때 접촉시 어느 정도 외통(357)이 탄성 변형을 허용하여, 원활한 슬라이딩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록커(370)은 원통슬라이더(371)와, 원통슬라이더(371)의 내주면에서 돌출한 가동시트(373)로 구성하여 있다.
즉 가동시트(373)는 탄성부재(351)의 일측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가동시트(373)는 내통(355)에 걸리지 않고 외통(357)에 걸리는 정도로 돌출되어 있다.
원통슬라이더(371)의 내주면은 외통(357)의 외주면과 바닥(315)(335)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된다.
가동시트(373)는 수용홈(359)의 바닥을 이루는 고정시트와 함께 탄성부재(351)의 전후 자리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록커(370)가 도 10a와 같이 원통슬라이더(371)가 계단부(311)(331)의 벽(313)(333)에 걸려있으면, 상측 손잡이(310)와 하측 손잡이(330)는 서로 접근한 상태에서 결합되게 된다.
이 도 10a의 상태에서 도 10b와 같이 원통슬라이더(371)를 실선방향으로 뒤로 당기면 계단부(311)(331)에서 벗어나 상측 손잡이(310)가 탄성에 의해 위로 올라와 접근을 해제한다.
이 해제된 상태에서 원통슬라이더(371)를 놓으면, 도 10a와 같이 원통슬라이더(371)가 벽(333)에 결려 멈추게 된다.
따라서, 접근퇴거부재(350)는 돌기부(339)에 삽입 고정된 캡(353)과 캡(353)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록커(370), 캡(353)과 록커(370) 사이에 개재되어 록커(370)의 복원을 행하는 탄성부재(351)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록커(370)는 캡(353)의 외통(357)의 선단과 벽(313 또는 333) 사이의 거리만큼 길이방향의 슬라이딩 거리로 제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용기 110 : 상측 용기
111 : 상측 베이스 111a : 상측 연장베이스
112,132 : 끝면 113 : 상측 측벽
113a~113d : 전후좌우 측벽 115 : 함몰홈
121a : 상측돌출플랜지 123a : 상측돌출띠
121b : 하측돌출플랜지 123b : 하측돌출띠
130 : 하측 용기 131 : 하측 베이스
131a : 하측 연장베이스 133 : 하측 측벽
133a~133d : 전후좌우 측벽 200 : 조절부
300 : 손잡이 310 : 상측 손잡이
311 : 상계단부 313 : 벽
315 : 바닥 317 : 상경사면
330 : 하측 손잡이 331 : 하계단부
333 : 벽 335 : 바닥
337 : 하경사면 339 : 돌기부
350 : 접근퇴거부재 351 : 탄성부재
353 : 캡 355 : 내통
357 : 외통 359 : 수용홈
361 : 걸림공 363 : 걸림턱
365,367 : 노치 370 : 록커
371 : 원통슬라이더 373 : 가동시트
500 : 힌지부 510 : 상측 힌지편
512 : 끝면 530 : 하측 힌지편
532 : 끝면 550 : 힌지핀
111 : 상측 베이스 111a : 상측 연장베이스
112,132 : 끝면 113 : 상측 측벽
113a~113d : 전후좌우 측벽 115 : 함몰홈
121a : 상측돌출플랜지 123a : 상측돌출띠
121b : 하측돌출플랜지 123b : 하측돌출띠
130 : 하측 용기 131 : 하측 베이스
131a : 하측 연장베이스 133 : 하측 측벽
133a~133d : 전후좌우 측벽 200 : 조절부
300 : 손잡이 310 : 상측 손잡이
311 : 상계단부 313 : 벽
315 : 바닥 317 : 상경사면
330 : 하측 손잡이 331 : 하계단부
333 : 벽 335 : 바닥
337 : 하경사면 339 : 돌기부
350 : 접근퇴거부재 351 : 탄성부재
353 : 캡 355 : 내통
357 : 외통 359 : 수용홈
361 : 걸림공 363 : 걸림턱
365,367 : 노치 370 : 록커
371 : 원통슬라이더 373 : 가동시트
500 : 힌지부 510 : 상측 힌지편
512 : 끝면 530 : 하측 힌지편
532 : 끝면 550 : 힌지핀
Claims (4)
- 상측 용기;
하측 용기;
상기 상측 용기 및 상기 하측 용기의 후측 내면에 설치되는 힌지부;
상기 상측 용기의 전측과 상기 하측 용기의 전측에 설치되는 상측 손잡이와 하측 손잡이로 구성되되,
상기 힌지부는 상기 상측 용기와 상기 하측 용기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용기는 상측 베이스와, 상기 상측 베이스의 둘레에서 아래로 연장 돌출되는 상측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 용기는 하측 베이스와, 상기 하측 베이스의 둘레에서 위로 연장 돌출되는 하측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 베이스의 후단 및 상기 하측 베이스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측 연장베이스 및 하측 연장베이스가 더 형성되되,
상기 힌지부는 상기 상측 연장베이스 및 하측 연장베이스에 배치되는 양면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상측 연장베이스의 하면에 배치되는 상측 힌지편과, 상기 하측 연장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는 하측 힌지편과, 상기 상측 힌지편과 상기 하측 힌지편을 연결하는 힌지핀으로 구성되는 양면팬.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측 연장베이스의 끝면에는 위로 돌출한 상측돌출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용기의 상면 전측에는 상기 상측돌출플랜지와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상측돌출띠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연장베이스의 끝면에는 아래로 돌출한 하측돌출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용기의 하면 전측에는 상기 하측돌출플랜지와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하측돌출띠가 형성되는 양면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5483A KR101357127B1 (ko) | 2012-04-05 | 2012-04-05 | 양면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5483A KR101357127B1 (ko) | 2012-04-05 | 2012-04-05 | 양면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3138A KR20130113138A (ko) | 2013-10-15 |
KR101357127B1 true KR101357127B1 (ko) | 2014-02-04 |
Family
ID=4963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5483A KR101357127B1 (ko) | 2012-04-05 | 2012-04-05 | 양면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712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7490B1 (ko) | 2014-04-01 | 2014-09-25 | 주식회사 두리몽 | 틀이 구비된 양면 팬 |
KR101686502B1 (ko) * | 2016-07-07 | 2016-12-14 | 나정찬 | 에어밴트가 형성된 현미 누룽지 제조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7397A (ko) * | 2003-04-07 | 2004-10-14 | 변상흠 | 다용도 양면조리팬 |
KR20100008441U (ko) * | 2009-02-17 | 2010-08-26 | 비전아트주식회사 | 착탈형 패킹유닛을 갖춘 양면팬 |
KR20100011799U (ko) * | 2009-05-27 | 2010-12-07 | 비전아트주식회사 | 손잡이 잠금장치를 갖춘 접철식 양면팬 |
-
2012
- 2012-04-05 KR KR1020120035483A patent/KR1013571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7397A (ko) * | 2003-04-07 | 2004-10-14 | 변상흠 | 다용도 양면조리팬 |
KR20100008441U (ko) * | 2009-02-17 | 2010-08-26 | 비전아트주식회사 | 착탈형 패킹유닛을 갖춘 양면팬 |
KR20100011799U (ko) * | 2009-05-27 | 2010-12-07 | 비전아트주식회사 | 손잡이 잠금장치를 갖춘 접철식 양면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7490B1 (ko) | 2014-04-01 | 2014-09-25 | 주식회사 두리몽 | 틀이 구비된 양면 팬 |
KR101686502B1 (ko) * | 2016-07-07 | 2016-12-14 | 나정찬 | 에어밴트가 형성된 현미 누룽지 제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3138A (ko) | 2013-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33465B2 (en) | Tool box | |
RU2643632C2 (ru) | Контейнер | |
US6298775B1 (en) | Pan with a foldable handle | |
JP6694052B2 (ja) | 脱着可能なハンドル | |
US9179795B1 (en) | Cooking pan system having foldable handle | |
US20090095754A1 (en) | Stackable cover for container | |
US20050184079A1 (en) | Handle for cookware | |
KR102393089B1 (ko) |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 |
KR101357127B1 (ko) | 양면팬 | |
US20100089379A1 (en) | Grill | |
US6694964B2 (en) | Barbecue grill assembly with a foldable side rack | |
KR200470472Y1 (ko) | 접이식 캠핑용 그릴 테이블 | |
US7004063B1 (en) | Barbeque grill assembly with a foldable side rack | |
JP5774234B2 (ja) | 調理器具用ハンドル | |
USD854379S1 (en) | Garlic tray | |
KR102141250B1 (ko) | 접이용 뚜껑 손잡이 | |
TWI619460B (zh) | 固定廚具可拆卸裝置 | |
KR101540700B1 (ko) | 조리 기구 및 그 손잡이 장치 | |
KR20150029234A (ko) | 조리용기용 손잡이 | |
KR101113980B1 (ko) | 서류 고정용 클립 | |
KR200334318Y1 (ko) | 걸림수단이 장착된 양면 후라이팬 | |
CN211722864U (zh) | 煎烤机 | |
JP6886709B2 (ja) | 収納容器のロック構造 | |
CN213551291U (zh) | 烹饪器具 | |
JP2019093918A (ja) | トレイの保持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