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098A - 차량의 하물(荷物)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하물(荷物)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098A
KR20120020098A KR1020117020403A KR20117020403A KR20120020098A KR 20120020098 A KR20120020098 A KR 20120020098A KR 1020117020403 A KR1020117020403 A KR 1020117020403A KR 20117020403 A KR20117020403 A KR 20117020403A KR 20120020098 A KR20120020098 A KR 20120020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locking
vehicle
posture
shaf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지 타케무라
히데오 친제이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0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07Attachment points
    • B60P7/0815Attachment rails or trell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는, 한 쌍의 가이드편에 걸리도록 하여 배설할 수 있는 접촉부를 가지는 대좌부와, 대좌부에 설치되어, 하물을 유지하기 위한 결합부와 대좌부에서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 샤프트체와, 폭 치수는 한 쌍의 가이드편 사이의 슬릿의 폭 치수보다 작고 길이 치수는 슬릿의 폭 치수보다 큰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어 샤프트체의 일단부에 지지된 잠금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물 유지 장치는, 샤프트체의 타단부에 지지된 잠금부를 대좌부 측으로 끌어당기는 잠금 자세와, 잠금부를 대좌부로부터 이간가능한 상태로 하는 잠금 해제 자세의 사이에 자세 변경할 수 있는 잠금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하물(荷物) 유지 장치{Cargo Retainer Device For Vehicle}
이 발명은, 차량 플로어 등에서 하물을 유지하기 위한 하물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하물 유지 장치로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은, 가이드 레일로 이동할 수 있어 임의의 위치로 고정가능한 결합 부재를 설치하고, 결합 부재에 착탈가능으로 네트(net) 부재 등의 측변부(側邊部)를 설치하여 하물을 유지하는 하물 유지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결합 부재는, 가이드 레일 윗벽을 끼운 한 쌍의 와셔(washer) 부재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와셔 부재에 나합(螺合)하는 나사 부재를 느슨하게 하는 것으로 결합 부재가 이동할 수 있게 되어, 나사 부재를 조이는 것으로 결합 부재는 잠금(lock) 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5-67393호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하물 유지 장치에서는, 일방의 와셔 부재를 가이드 레일 내에 배설하여 둘 필요가 있어, 결합 부재를 가이드 레일에 대해서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이 곤란했다.
특히, 최근에는, 3열 시트차 등의 다목적 차량이 인기가 있어, 각종 장면에 따른 차량 플로어의 사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2 번째 및 3 번째의 시트를, 레일에 따라서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3열 시트차에 있어서, 시트의 전후 위치에 따라서, 짐칸에 하물을 유지하고, 혹은, 시트 사이에 하물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싶어하는 요청이 있다. 이것에 응하기 위해서는, 하물 유지 장치를 가이드 레일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거기서, 본 발명은, 하물 유지 장치를 가이드 레일에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는, 슬릿을 통해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편을 가지는 가이드 레일에 설치가능한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에 있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편에 걸치도록 하여 배설 가능한 접촉부를 가지는 대좌부(臺座部)와 상기 대좌부에 설치되어, 하물을 유지하기 위한 결합부와, 일단부를 상기 접촉부측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타단부를 상기 접촉부와는 반대측으로 돌출시키도록, 상기 대좌부에서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샤프트체와, 폭 치수는 상기 슬릿의 폭 치수보다 작고 길이는 상기 슬릿의 폭 치수보다 큰 장척(長尺)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체의 일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대좌부에 대해서 접근이격이동(接近離隔移動) 가능으로 배설된 잠금부와, 상기 샤프트체의 타단부에 자세 변경가능으로 지지시켜, 상기 잠금부를 상기 대좌부 측으로 끌어다기는 잠금 자세와, 상기 잠금부를 상기 대좌부로부터 이간(離間) 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잠금 해제 자세의 사이에 자세 변경 가능한 잠금 레버(locking lever)를 구비하는 것이다.
제2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는, 제1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에 있어, 상기 잠금부를, 상기 대좌부로부터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이간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제3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는, 제1 또는 제2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에 있어, 상기 대좌부에, 상기 슬릿 내로 이동가능으로 배설되는 다리부(脚片)이 설치된 것이다.
제4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는, 제3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에 있어, 상기 다리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 중 상기 슬릿에 대향하여 형성된 위치 결정 오목부에 결합가능한 위치 결정 연설부(延設部)가 형성된 것이다.
제5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는, 제1 ~ 제4의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에 있어, 상기 샤프트체의 일단부에는 상기 잠금부가 회전불능으로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체의 타단부는 상기 대좌부에 회전가능으로 지지되며, 상기 잠금 레버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샤프트체를 통해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샤프트체의 축 주위로 회전되는 것이다
제6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는, 제1 ~ 제5의 어느 하나의 태양에 관계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에 있어, 상기 대좌부에, 상기 결합부를 자세변경가능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부가 돌설되고, 상기 잠금 레버는, 상기 잠금 자세로 상기 한 쌍의 베어링부 사이에 배설되는 것이다.
제7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는, 제1 ~ 제6의 어느 하나의 태양에 관계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에 있어, 상기 대좌부에, 상기 결합부를 자세변경가능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부가 돌설되고, 상기 한 쌍의 베어링부와 상기 결합부가 상기 베어링부에 지지된 양단부와의 각각의 사이에, 링 부재가 개재되는 것이다.
제8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는, 제1 ~ 제7의 어느 하나의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에 있어, 상기 대좌부에, 상기 잠금 레버가 기립 자세로 자세 변경할 때에, 상기 잠금 레버를 받는 레버수용부가 설치된 것이다.
제9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는, 제1 ~ 제8의 어느 하나의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에 있어, 상기 대좌부에, 상기 잠금 레버의 자세를 나타내는 잠금 상태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제10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는, 제1 ~ 제9의 어느 하나의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에 있어, 상기 대좌부는, 아연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11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는, 제1 ~ 제10의 어느 하나의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에 있어, 상기 잠금 레버의 자세 변경에 의해, 상기 샤프트체는, 개재 탄성 부재를 통해서, 상기 잠금부를 상기 대좌부 측으로 끌어당기는 것이다.
제12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는, 제11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에 있어, 상기 개재 탄성체는, 직렬로 배설된 복수의 접시 스프링을 가지는 것이다.
제1의 태양에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에 의하면, 잠금부의 폭 치수는 상기 슬릿의 폭 치수보다 작고 길이는 상기 슬릿의 폭 치수보다 크기 위해서, 잠금부를, 한 쌍의 가이드편 사이의 슬릿에 용이하게 끼우고 뺄 수 있다. 또한, 잠금부를, 슬릿을 통해서 가이드 레일 내에 배설한 상태로, 잠금부를 잠금 해제 자세로부터 잠금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 잠금부가 대좌부 측으로 끌어당겨져, 대좌의 접촉부와 잠금부의 사이에 한 쌍의 가이드편이 끼워 넣어져, 하물 유지 장치를 가이드 레일에 대해서 일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것과 반대로 하면, 하물 유지 장치를 가이드 레일로부터 뗄 수 있다. 따라서, 하물 유지 장치를 가이드 레일에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제2의 태양에 의하면, 잠금 레버가 잠금 해제 자세에 있는 상태로, 이간 탄성 부재에 의해, 잠금부가 보다 확실히 대좌부로부터 이간된 위치로 밀어붙여지고, 대좌부와 잠금부의 사이에 큰 틈새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대좌부와 잠금부의 사이에, 한 쌍의 가이드편을 용이하게 배설할 수 있어, 하물 유지 장치의 설치 작업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다.
제3의 태양에 의하면, 슬릿의 연재(延在) 방향에 대해서 대좌부의 자세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제4의 태양에 의하면, 하물 유지 장치를 가이드 레일의 연재 방향에 대해서 확실히 일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제5의 태양에 의하면, 대좌부를 슬릿의 연재 방향에 대해서 일정 자세를 한 상태로, 잠금 레버를 회전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잠금부가 상기 슬릿에 끼우고 뺄 수 있는 상태와 상기 잠금부를 한 쌍의 가이드편에 접촉시키는 상태에 변환이 생길 수 있다.
제6의 태양에 의하면, 잠금 레버는, 잠금 자세로 한 쌍의 베어링부 사이에 배설 시키기 위해, 부주의한 잠금 해제가 억제된다.
제7의 태양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베어링부와 상기 결합부가 상기 베어링부에 지지되는 양단부 각각의 사이에, 링 부재가 개재하기 위해, 결합부를 자세 변경하는 조작력의 안정화, 결합부의 흔들거림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제8의 태양에 의하면, 잠금 레버가 기립 자세 변경 후, 더 대좌부 측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잠금 레버와 대좌부의 사이로의 끼워 넣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9의 태양에 의하면, 잠금 상태 표시부에 의해서, 잠금 레버의 자세에 대하여 하물 유지 장치의 잠금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제10의 태양에 의하면, 대좌부가 다른 부재에 강한 충격을 받은 것 같은 경우에는, 대좌부측이 파손하는 것으로, 해당 다른 부재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제11의 태양에 의하면, 샤프트체는, 개재 탄성 부재를 통해서 잠금부를 대좌부 측으로 끌어당기기 위해, 한 쌍의 가이드편의 두께가 고르지 않아도, 유지력을 확보하기 쉽다.
제12의 태양에 의하면, 탄성체의 굴곡량을 가능한 한 크게 하면서, 비교적 공간을 절약하면서 비교적 큰 밀어붙이는 힘을 얻을 수 있다.
[도 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전술의 하물 유지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전술의 하물 유지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전술의 하물 유지 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 전술의 하물 유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도 3의 VI-VI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개재 탄성 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8] 하물 유지 장치를 가이드 레일에 설치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9] 하물 유지 장치를 가이드 레일에 설치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0] 하물 유지 장치를 가이드 레일에 설치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11] 하물 유지 장치를 가이드 레일에 설치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2] 하물 유지 장치를 가이드 레일에 설치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일부 파단 저면도이다.
[도 13] 하물 유지 장치를 가이드 레일에 설치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14] 하물 유지 장치를 가이드 레일에 설치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5] 하물 유지 장치를 가이드 레일에 설치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일부 파단 저면도이다.
[도 16] 하물 유지 장치를 가이드 레일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17] 하물 유지 장치를 가이드 레일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8] 시트의 가이드 부재와 하물 유지 장치가 충돌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하물 유지 장치(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하물 유지 장치(2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하물 유지 장치(2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하물 유지 장치(20)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5는 하물 유지 장치(2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VI-VI선에 있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 하물 유지 장치(20)는, 차량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착탈 가능으로 설치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하물 유지 장치(20)가 가이드 레일(10)의 연재 방향 일정 위치에 설치 고정된 상태로, 하물을 고정하기 위한 넷, 로프(신축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혹은, 그러한 단부에 설치된 훅(hook) 등이 당해 하물 유지 장치(20)에 걸리도록 하여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10)은, 차량의 소정 위치에 부설된 레일이며, 여기에서는, 가이드 레일(10)이, 차 실내 플로어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부설되고, 시트를 전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인 예로 설명한다. 이 가이드 레일(10)은, 상측에 슬릿(11)을 통해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편(12)을 가지는 대략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가이드편(12)의 슬릿(11)측 단연부(端緣部)는, 가이드 레일(10) 내부로 향해서 잦혀져 있고, 따라서, 가이드편(12)의 단연부는 가이드편(12) 자체를 형성하는 판재의 두께보다 두껍게 되어있다. 잠금부(50)는, 후술하는 잠금 상태로, 가이드 레일(10)의 단연부에 접촉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당해 가이드 레일(10)의 두께는, 상기 단연부의 두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시트의 가이드 부재는, 당해 슬릿(11)을 통해서 가이드 레일(10)내에 배설되고, 당해 가이드 레일(10)을 따라서 이동가능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10) 중, 상기 슬릿(11)에 대향하는 저부(14)에는, 간격을 가진 복수의 위치 결정 오목부(14h)가 슬릿(11)의 연재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도 8참조).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위치결정 규제편(規制片)이 당해 복수의 위치 결정 오목부(14h) 중 하나에 끼워 넣어지는 것으로, 가이드 부재, 즉, 시트의 위치결정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하물 유지 장치(20)는, 대좌부(21), 결합부(30), 샤프트체(40), 잠금부(50), 및 잠금 레버(6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물을 고정하기 위한 네트(net), 로프(rope), 혹은, 훅(hook) 등이, 대좌부(21)에 설치된 결합부(30)에, 걸리도록 하여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잠금부(50)가, 대좌부(21)에 대해서 샤프트체(40)를 통해서 접근이격 이동가능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잠금부(50)를 가이드 레일(10) 내에 배설한 상태로, 잠금 레버(60)에 대한 조작에 의해서 잠금부(50)를 대좌부(21)에 접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대좌부(21)와 잠금부(50)의 사이에 한 쌍의 가이드편(12)이 끼워 넣어져, 본 하물 유지 장치(20)가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각부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대좌부(21)는, 한 쌍의 가이드편(12)에 걸치도록 하여 배설할 수 있는 접촉부(23)를 가지는 대좌 본체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대좌 본체부(22)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단축 방향의 치수는 슬릿(11)의 폭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좌 본체부(22)의 양 장변측 부분의 일주면(一主面)측이, 한 쌍의 가이드편(12)에 접하도록 접촉할 수 있는 상기 접촉부(23)로 되어 있다.
또한, 대좌 본체부(22)의 일주면측(한 쌍의 가이드편(12)에 접하는 측)에는, 슬릿(11) 내에 이동가능으로 배설되는 다리부(a leg piece, 脚片;24)가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좌 본체부(22)의 일주면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그 장축방향을 따라서 늘어나는 판 형상의 다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24)의 두께(대좌부(21)의 단축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슬릿(11)의 폭보다 작고(여기에서는 슬릿(11) 내에서의 다리부(24)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조금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24)의 장방향 양단부에는, 그 장방향 중간부보다 크게 돌출하는 돌출다리부(24A, 24B)에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다리부(24A, 24B)의 돌출 치수는, 상기 접촉부(23)가 한 쌍의 가이드편(12)에 접촉한 상태로, 저부(14)의 직전에 이르는 정도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방의 다리부(24A)의 선단부에는, 상기 접촉부(23)가 한 쌍의 가이드편(12)에 접촉한 상태로, 저부(14)를 넘도록 연장하여 당해 저부(14)에 형성된 위치 결정 오목부(14h) 내에 배설할 수 있는 위치 결정 연설부(24Ap)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24)를 슬릿(11) 내에 배설하도록 하고, 대좌 본체부(22)의 접촉부(23)를 한 쌍의 가이드편(12)의 밖으로 향한 면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는 것으로, 대좌 본체부(22)의 장축 방향을 슬릿(11)의 연재 방향을 따라서 배설한 일정 자세로, 대좌부(21)가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일방의 다리부(24A)의 위치 결정 연설부(24Ap)를, 저부(14)에 형성된 위치결정 오목부(14h)내에 끼워넣도록 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대좌부(21)가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그 연재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상기 다리부(24)의 장방향 중간부의 돌출치수는, 슬릿(11)을 끼운 한 쌍의 가이드편(12)의 두께 치수보다 작게되어 있어, 이 부분에서, 후술하듯이, 대좌부(21)와 잠금부(50)에 의한 한 쌍의 가이드편의 끼워넣기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돌출다리부(24A, 24B)에는, 대좌 본체부(22)의 장축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연출부(24Aq, 24Bq)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하물 유지 장치(20)가, 시트의 가이드 부재에 접근했을 경우에, 대좌 본체부(22)가 가이드 부재의 수지 부분 등의 비교적 약한 부분에 접촉하기 전에, 연출부(24Aq, 24Bq)가 가이드 부재의 금속 부분 등의 비교적 강도가 있는 부분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대좌부(21)는, 바람직하게는, 아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대좌부(21)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다이캐스트(die casting) 또는 절삭 가공 등이다. 대좌부(21)를 아연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에 의한 이점(merit)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결합부(30)는, 하물을 고정하기 위한 넷, 로프, 혹은, 그러한 단부에 설치된 훅 등을 결합 고정하는 것으로, 하물을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며, 여기에서는, 금속봉을 대략 ∪자 형상으로 형성한 부재로 되어 있다. 이 결합부(30)는, 다음의 구성에 의해서, 대좌 본체부(22)에 설치되어 있다.
즉, 대좌 본체부(22) 중 다리부(24)의 반대측 면의 일단부에, 대좌 본체부(22)의 단축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열어 한 쌍의 베어링부(26)가 돌설되어 있다. 한 쌍의 베어링부(26)는, 대좌 본체부(22)에 돌설된 베어링 중계부(27)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또한, 베어링 중계부(27)는, 베어링부(26)보다 돌출 치수가 작고, 후술하는 잠금 레버(60)의 단부가 당해 베어링 중계부(27)로 또한 한 쌍의 베어링부(26) 사이에 배설가능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베어링부(26) 및 베어링 중계부(27)를, 대좌 본체부(22)의 단축 방향을 따라서 관통하도록 하여 관통구멍(27h)이 형성되어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한 쌍의 베어링부(26)의 밖으로 향한 면에 있어 관통구멍(27h)의 양단 개구의 주위에, 고리형상 홈(27h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리형상 홈(27ha)에, 고무, 연질 수지 등으로 형성된 링 부재로서의 0 링(34)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30)의 양단부에 축지구멍(30h)이 형성되어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또한, 상기 고리형상 홈(27ha) 내에 0 링(34)을 배설함과 아울러, 결합부(30)의 양단부의 축지구멍(30h) 및 관통구멍(27h)을 동일 직선상에 배설한 상태로, 일단부에 두부(頭部;32)를 가지는 핀 부재(33)를, 축지구멍(30h) 및 관통구멍(27h)에 삽입통과한다. 또한, 관통구멍(27h) 및 축지구멍(30h)으로부터 돌출하는, 핀 부재(33)의 타단부를 압괴 등을 하는 것으로, 핀 부재(33)가 관통 정지되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결합부(30)의 양단부가, 핀 부재(33)를 통해서 한 쌍의 베어링부(26)에 회전가능으로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결합부(30)가 대좌 본체부(22)에 대해서 자세 변경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한 쌍의 베어링부(26)와 결합부(30)의 양단부 각각의 사이에, 0 링(34)이 압축형상으로 개재하고 있다.
이 0 링(34)이 베어링부(26)와 결합부(30)의 양단부 각각의 사이에 압축형상으로 개재하는 것으로, 베어링부(26)와 결합부(30)의 직접적인 접촉이 억제되고, 결합부(30)를 자세 변경할 때의 조작력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베어링부(26)에 대한 결합부(30)의 흔들림 억제를 도모되고 있다.
이 결합부(30)의 회전축과 후술하는 잠금 레버(60)의 회전축은 따로따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부(30)에 하물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결합하여 결합부(30)가 자세 변경한 경우에도, 잠금 레버(60) 자체는 회전하기 어렵고, 실수로 잠금 해제되기 어렵도록 되어 있다.
무엇보다, 결합부는, 대좌부에 대해서 일정 위치 및 자세로 고정되고 있어도 좋다. 또한, 결합부는 대략 J자 형상의 훅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샤프트체(40)는, 긴 봉 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 일단부에 침 모양의 잠금부 고정부(42)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부에 잠금 레버(60)를 자세 변경가능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샤프트체(40) 중 적어도 잠금부(50)가 삽입통과 유지되는 일단측의 부분의 단면 형상이, 비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샤프트체(40)는, 환봉(丸棒)의 양측부를 평면 모양으로 절제한 형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샤프트체(40)는, 다음과 같이 대좌부(21)에 대해서 이동가능으로 지지 되어있다. 즉, 대좌 본체부(22)의 타원에 있어 장축방향의 대략 중간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돌출다리부(24A, 24B)의 대략 중앙부에, 대좌 본체부(22)를 관통하도록하여 관통구멍(22h)이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일단부를 접촉부(23)측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타단부를 상기 접촉부(23)와는 반대측으로 돌출시키도록 하고, 샤프트체(40)가 대좌 본체부(22)의 관통구멍(22h)에 상기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고, 회전가능으로 지지되어 있다.
잠금부(50)는,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폭 치수는 슬릿(11)의 폭 치수보다 작고, 또한, 그 길이는 슬릿(11)의 폭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잠금부(50)는, 2매의 판 부재를 거듭하여 합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한 장의 판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판재일 필요는 없고, 봉 형상 부재여도 좋다. 또한, 잠금부(50)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샤프트체(40)의 비원형 단면 형상 부분을 삽입통과할 수 있는 잠금부 삽통구멍(50h)이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대좌 본체부(22)와 잠금부 고정부(4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샤프트체(40)의 비원형 단면 형상 부분이 잠금부 삽통구멍(50h) 내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잠금부(50)가, 대좌부(21)에 대해서 접근이격이동가능으로, 또한, 샤프트체(40)에 대해서 상대 회전불능으로, 당해 샤프트체(40)의 일단부에 지지 되어있다.
또한, 상기 대좌 본체부(22)와 잠금부(50)의 사이에, 압축 개재하도록 하여, 이간 탄성 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70)이 샤프트체(40)에 바깥으로 감겨 있다. 이 코일 스프링(70)에 의해, 잠금부(50)가 대좌 본체부(22)로부터 이간 방향에 밀어붙여지고 있다. 또한 이간 탄성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 외, 접시스프링, 고무 등 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잠금부(50)와 잠금부 고정부(42)의 사이에, 개재 탄성 부재(72)가 개재 배치되어 있다. 이 개재 탄성 부재(72)에 의한 탄성력은, 상기 코일 스프링(70)의 탄성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샤프트체(40)를 대좌 본체부(22)의 윗쪽으로 끌면, 코일 스프링(70)을 압축 변형시키면서, 샤프트체(40)의 잠금부 고정부(42)가 개재 탄성 부재(72)를 통해서 잠금부(50)를 대좌 본체부(22) 측으로 압입되도록 되어있다.
여기에서는, 개재 탄성 부재(72)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접시 스프링(72a)이 샤프트체(40)에 바깥으로 감기면서 직렬로 배설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후술하듯이, 잠금 레버(60)의 자세 변경에 의해서, 샤프트체(40)가 접촉부(23)와는 반대 측으로 끌려가면, 당해 샤프트체(40)는, 개재 탄성 부재(72)를 통해서 잠금부(50)를 대좌 본체부(22)로 가까이 끌어당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재 탄성 부재(72)로서 직렬 배치된 복수의 접시 스프링(72a)을 이용하는 것으로, 당해 개재 탄성 부재(72)의 탄성 변형량을 가능한 한 크게 하면서, 가이드 레일(10) 내에 있어서의 비교적 제약된 스페이스 내에서 비교적 큰 밀어붙이는 힘을 확보할 수 있다.
무엇보다, 개재 탄성 부재(72)로서,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접시 스프링, 한 장의 접시 스프링, 코일 스프링, 고무 등의 부재여도 좋다.
도 1 ~ 도 6으로 돌아와서, 샤프트체(40)의 타단부에는, 잠금 레버(60)가 자세 변경가능으로 지지 되어있다. 또한, 잠금 레버(60)를, 잠금 자세(도 1 ~ 도 4 참조)와 잠금 해제 자세(도 8, 도 9 참조)의 사이에 자세 변경하는 것으로, 샤프트체(4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대좌 본체부(22)에 대한 잠금부(50)의 접근이격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잠금 레버(60)는, 샤프트체(40)의 타단부에 핀(68)(도 5 참조)을 통해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캠부(62)와 당해 캠부(62)로부터 연장하는 조작부(66)를 가지고 있다.
캠부(62)는, 둥글게 된 코너부(65)를 통해서 연속하는 잠금면(63)과 잠금 해제면(64)을 가지고 있다. 잠금면(63)과 잠금 해제면(64)은 대략 직교하는 위치 관계에 있고, 또한, 캠부(62)의 회전축과 상기 잠금면(63)의 거리는, 캠부(62)의 회전축과 잠금 해제면(64)의 거리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너부(65)가 대좌 본체부(22)에 접촉하는 소정 자세를 경계 자세로서, 잠금면(63)을 대좌 본체부(22)에 접촉시킨 자세와, 잠금 해제면(64)을 대좌 본체부(22)에 접촉시킨 자세의 사이에서, 자세 변경되도록 되어있다. 특히, 잠금면(63)이 대좌 본체부(22)에 접촉한 상태와 잠금 해제면(64)이 대좌 본체부(22)에 접촉한 상태로, 양 상태를 일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66)는, 상기 잠금 해제면(64)과는 반대 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66)를 대좌 본체부(22)에 대해서 입설(立設)하도록 자세 변경하는 것으로, 잠금 해제면(64)이 대좌 본체부(22)에 접촉하고, 샤프트체(40)의 타단부가 대좌 본체부(22)에 압입된다. 이것에 의해, 샤프트체(40)의 일단부의 잠금부 고정부(42)가 대좌 본체부(22)로부터 이간 방향으로 이동하고, 잠금부 고정부(42)가 대좌 본체부(22)로부터 이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상태로부터, 코너부(65)가 대좌 본체부(22)에 접촉하는 상태를 경유하여, 조작부(66)를 넘어뜨려 대좌 본체부(22)에 대해서 눕게하도록 자세 변경하면, 잠금면(63)이 대좌 본체부(22)에 접촉하고, 샤프트체(40)의 타단부가 대좌 본체부(22)로부터 끌려간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샤프트체(40)의 일단부의 잠금부 고정부(42)가 대좌 본체부(2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잠금부 고정부(42)가 대좌 본체부(22)측으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도 16 및 도 17 참조).
이와 같이 하고, 잠금 레버(60)는, 잠금부(50)를 대좌 본체부(22)로 가까이 끌어당기는 잠금 자세(대좌 본체부(22)에 대해서 누운 자세)와 잠금부(50)를 대좌 본체부(22)로부터 이간가능한 상태로 하는 잠금 해제 자세(대좌 본체부(22)에 대해서 기립한 자세)와의 사이에 자세변경가능으로 되어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잠금 레버(60)가 잠금 자세가 된 상태로, 당해 조작부(66)를 양측으로부터 끼워두는 위치에, 상기 한 쌍의 베어링부(26)가 배설되어있다. 이것에 의해, 잠금 레버(60)가 잠금 자세로 자세 변경되면, 상기 조작부(66)가 한 쌍의 베어링부(26) 사이에 배설되게 되어있다.
또한, 상기 잠금 레버(60)는, 상기 샤프트체(40)의 타단부에, 당해 샤프트체(40)의 축방향에서는 회전불능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잠금 레버(60)를 샤프트체(40)의 축 주위로 회전 조작하면, 그 회전에 따라서, 샤프트체(40)를 통해서 잠금부(50)가 샤프트체(40)의 축 주위에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대좌 본체부(22)에는, 잠금 레버(60)가 누운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로 자세 변경할 때, 즉, 상기 잠금 자세로부터 잠금 해제 자세로 자세 변경할 때에, 당해 잠금 레버(60)를 받는 레버수용부(a lever recieving part; 28)가 입설 되어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샤프트체(40)를 사이에 두고, 잠금 자세(누운 자세)로 두어 조작부(66)가 연장하는 측과는 반대 측에, 레버수용부(28)가 입설되어 있다. 레버수용부(28) 중 샤프트체(40) 측의 부분은, 대좌 본체부(22)의 윗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연재하는 평면(28a)에 형성되어 있어(도 2, 도 13 참조), 잠금 자세로부터 잠금 해제 자세로 자세 변경된 잠금 레버(60)가, 당해 평면(28a)에 의해 수용하여 멈추고, 그 상태를 넘어 더욱 대좌 본체부(22) 측으로 넘어지도록 자세 변경하는 것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잠금 레버(60)가 기립 자세로 변경 후, 더욱 대좌 본체부(22) 측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잠금 레버(60)와 대좌 본체부(22)의 사이에 어떠한 부재 등의 끼워넣기를 억제하고 있다.
또한, 레버수용부(28) 중 샤프트체(40)의 반대측의 부분은, 만곡요면(灣曲凹面;28b)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잠금 레버(60)를 잠금 자세로부터 잠금 해제 자세로 자세 변경할 때에, 하나의 손가잠금(예를 들면 엄지)을 만곡요면(28b)에 접촉시키면서, 다른 손가잠금(예를 들면 인지)으로 잠금 레버(60)를 밀어올리도록 조작하는 것으로, 잠금 레버(60)의 자세 변경 조작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대좌 본체부(22)에는, 잠금 레버(60)의 자세를 나타내는 잠금 상태 표시부(29a, 29b)가 설치되어 있다(도 1, 도 3, 도 5 참조). 여기에는, 대좌 본체부(22) 중 접촉부(23)와는 반대측의 면에 있어 한 쌍의 베어링부(26)의 외측 부분에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CLOSE”의 문자를 각인 등의 요철형상으로 형성한 잠금 상태 표시부(29a)가 붙어 있다. 또한, 대좌 본체부(22) 중 접촉부(23)와는 반대측의 면에 있어 샤프트체(40)의 양측 부분에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OPEN”의 문자를 요철 형상으로 형성한 잠금 상태 표시부(29b)가 붙어 있다.
또한, 본 하물 유지 장치(20)의 이용자가, 잠금 상태 표시부(29a, 29b)를 보는 것으로, 하물 유지 장치(20)의 잠금 상태 및 착탈 작업을 실시할 때의 잠금 레버(60)의 조작 방향을 파악할 수 있게 되어있다.
또한, 잠금 상태 표시부(29a, 29b)를 붙이는 구성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 중 어느쪽이든 한쪽만을 표시해도 좋고, 또한, 다른 문자 또는 기호 등으로 표시해도 좋으며, 또한, 인쇄 등으로 표시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물 유지 장치(20)를, 가이드 레일(10)에 설치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레버(60)를 잠금 해제 자세(기립 자세)로 한 상태로, 잠금 레버(60)를 샤프트체(40)의 축 주위로 회전시키고, 대좌 본체부(22)의 장축 방향과 잠금부(50)의 긴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도 10 ~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24) 및 잠금부(50)를, 슬릿(11)을 다니며 가이드 레일(10) 내에 배설함과 아울러, 대좌 본체부(22)의 접촉부(23)을 한 쌍의 가이드편(12)의 외면에 접촉시킨다. 이 때, 일방의 다리부(24A)의 위치 결정 연설부(24Ap)를, 저부(14)에 형성된 위치 결정 오목부(14h) 내에 끼워 넣도록하여 결합한다.
이 후,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레버(60)를 샤프트체(40)의 축 주위로 회전시키고, 대좌 본체부(22)의 장축 방향과 잠금부(50)의 긴 방향이 대략 직교하는 위치 관계가 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잠금부(50)가 한 쌍의 가이드편(12)의 양쪽에 대해서 그 내면 측으로부터 접촉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위치 결정 연설부(24Ap)가 위치 결정 오목부(14h)에 끼워 넣어져서 저부(14)에 간섭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대좌 본체부(22)는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기울어진 자세가 되어 있어, 이 상태에서는, 잠금부(50)의 적어도 일부가 슬릿(11) 내에 배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위치 결정 연설부(24Ap)가 위치 결정 오목부(14h)에 끼워 넣어져 있지 않은 정상적이지 않은 상태에서는, 잠금부(50)가 한 쌍의 가이드편(12)에 간섭하는 것으로, 상기 잠금부(50)의 회전이 규제되어, 잠글 수 없게 되어있다.
이 때, 잠금부(50)는, 코일 스프링(70)에 의해서 대좌 본체부(22)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밀어 붙여져 있으므로, 접촉부(23)와 잠금부(50)의 사이에는, 한 쌍의 가이드편(12)을 배설가능한 충분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잠금부(50)를 회전시킬 때에, 잠금부(50)는 한 쌍의 가이드편(12)에 간섭하기 어렵다.
다음에,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레버(60)를 조작하고, 잠금 레버(60)를 잠금 해제 자세(기립 자세)로부터 잠금 자세(누운 자세)로 넘어뜨리듯이 자세 변경한다. 또한, 이때, 잠금부(50)의 긴 방향이 슬릿(11)의 연재 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자세라면, 잠금 레버(60)의 조작부(66)는, 한 쌍의 베어링부(26) 사이에 받아 들여진다. 그러면, 샤프트체(40)의 타단부가 대좌 본체부(22)로부터 끌려간 상태가 되어, 샤프트체(40)의 일단부의 잠금부 고정부(42)가 대좌 본체부(2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잠금부 고정부(42)가 개재 탄성 부재(72)를 통해서 잠금부(50)를 대좌 본체부(22) 측에 압입한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23)와 잠금부(50)의 사이로, 한 쌍의 가이드편(12)이 끼워진다. 이때, 잠금부 고정부(42)가 개재 탄성 부재(72)를 통해서 잠금부(50)를 대좌 본체부(22) 측으로 압입하므로, 한 쌍의 가이드편(12)의 두께 치수가 고르지 않았다고 해도, 그 고르지 않음에 따른 개재 탄성 부재(72)가 탄성 변형하는 것으로, 가급적으로 일정한 끼워 넣는 힘으로, 한 쌍의 가이드편(12)을 끼워넣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고, 본 하물 유지 장치(20)가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그 연재 방향 일정 위치에서 고정된다.
또한, 상기와 반대로 하면, 하물 유지 장치(20)를 가이드 레일(1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하물 유지 장치(20)에 의하면, 잠금부(50)의 폭 치수는 슬릿(11)의 폭 치수보다 작고, 잠금부(50)의 길이는 슬릿(11)의 폭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잠금부(50)를 슬릿(11)에 용이하게 끼우고 뺄 수 있다. 또한, 잠금부(50)를, 슬릿(11)을 통해서 가이드 레일(10) 내에 배설한 상태로, 잠금부(50)를 잠금 해제 자세로부터 잠금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것으로, 잠금부(50)가 대좌 본체부(22)측으로 가까이 끌어 당겨지고, 접촉부(23)와 잠금부(50)의 사이에 한 쌍의 가이드편(12)이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하물 유지 장치(20)를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일정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것과 반대로 하면, 하물 유지 장치(20)를 가이드 레일(10)로 부터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하물 유지 장치(20)를 가이드 레일(10)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레버(60)가 잠금 해제 자세로 있는 상태로, 코일 스프링(70)에 의해 잠금부(50)가 보다 확실히 대좌 본체부(22)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밀어붙여져, 접촉부(23)와 잠금부(50)의 사이에 가능한 한 큰 틈새가 형성되도록 되어있다. 이 때문에, 접촉부(23)와 잠금부(50)의 사이에, 한 쌍의 가이드편(12)을 용이하게 배설할 수 있어 하물 유지 장치(20)의 설치 작업을 보다 원활히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대좌 본체부(22)에 다리부(2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11)의 연재 방향에 대해서 대좌부(21)의 자세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10)에 대한 결합부(30)의 자세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방의 다리부(24A)의 위치 결정 연설부(24Ap)를, 저부(14)에 형성된 위치 결정 오목부(14h) 내에 끼워 넣도록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대좌부(21)가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그 연재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기 위하여, 하물 유지 장치(20)를 가이드 레일(10)의 연재 방향에 대해서 보다 확실히 일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레버(60)를, 샤프트체(40)의 축 주위로 회전 조작하는 것으로, 샤프트체(40)를 통해서 잠금부(50)가 샤프트체(40)의 축 주위로 회전하기 위해서, 대좌부(21)를 슬릿(11)의 연재방향에 대해서 일정 자세로 한 상태로, 잠금부(50)가 슬릿(11)을 끼우고 떼어낼 수 있는 상태로 잠금부(50)를 한 쌍의 가이드편(12)의 내면 측으로 접촉시킬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 하물 유지 장치(20)의 착탈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레버(60)가 정상적으로 잠금 자세로 자세 변경되면, 그 조작부(66)는 한 쌍의 베어링부(26) 사이에 배설된다. 이 때문에, 조작부(66)는 한 쌍의 베어링부(26) 사이에서 보호되어, 다른 부재 등이 조작부(66)에 걸리기 어려운 상태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하물 유지 장치(20)의 부주의한 잠금 해제가 억제된다.
또한, 샤프트체(40)는, 개재 탄성 부재(72)를 통해서 잠금부(50)를 대좌 본체부(22)에 끼워 넣고 있기 때문에, 한 쌍의 가이드편(12)의 두께가 고르지 않아도, 당해 고르지 않음을 개재 탄성 부재(72)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흡수하는 것으로, 고정을 위한 유지력을 확보하기 쉽다.
또한, 개재 탄성 부재(72)는, 직렬로 배설된 접시 스프링을 복수 가지는 구성으로 있기 위해, 개재 탄성 부재(72)의 굴곡량을 가능한 한 크게 하면서, 비교적 단위 스페이스에서 또한 비교적 큰 밀어붙이는 힘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대좌부(21)가 아연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좌부(21)가 다른 부재에 강한 충격으로 맞은 것 같은 경우에는, 비교적 저가인 대좌부(21)가 파손하는 것으로, 다른 부재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물 유지 장치(20)를 가이드 레일(10)의 일정 위치에 고정한 상태로, 시트(100)를 전후 이동시켰다고 한다. 시트(100)는, 통상, 가이드 부재(110)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10)에 대하여 이동가능으로 지지 되어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10)는, 철 등으로 형성된 본체부(112)와 수지 부분(114)을 가지고 있다. 본체부(112)는, 가이드 레일(10)에 대해서 시트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며, 수지 부분(114)은,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10)의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수지 클리너 등이 있다.
또한, 시트(100)가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110)가 하물 유지 장치(20)에 강한 충격으로 맞아 버릴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다리부(24)의 연장부(24Aq)(또는 24Bq)가 가이드 부재(110)의 본체부(112)에 접촉하는 것으로, 상기 수지 부분(114)의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보다 강한 충격으로 접촉한 것 같은 경우에는, 가이드 부재(110)측의 본체부(112)가 아니고, 아연으로 형성된 대좌부(21)가 파손하는 것으로, 가이드 부재(1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좌부(21) 측이 파손하는 것으로, 거기에 맞은 다른 부재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잠금부(50)가 대좌부(21)에 대해서 샤프트체(40)의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 필요는 없다. 잠금부를, 슬릿을 통해서 가이드 레일 내에 배설 후, 대좌부를 포함한 하물 유지 장치 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잠금부가 한 쌍의 가이드편의 내면 측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다리부(24) 등을 생략하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잠금 레버(60)는 기립 자세로 잠금 해제 자세가 되어, 누운 자세로 잠금 자세가 되게 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잠금 레버의 기복 상태와 잠금 및 잠금 해제 자세와의 관계가 역이어도 좋다.
또한, 잠금 레버(60)의 자세 변경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도 상기 실시 형태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부재를 잠금 레버에 걸리게 하는 것으로, 잠금 레버를 잠금 자세로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이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는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 있고, 예시이며, 이 발명이 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 예가, 이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 없이 상정되어 얻는 것이라고 해석된다.

Claims (12)

  1. 슬릿을 통해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편을 가지는 가이드 레일에 설치할 수 있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에 있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편에 걸치도록 하여 배설할 수 있는 접촉부를 가지는 대좌부(臺座部), 및
    상기 대좌부에 설치되어, 하물을 유지하기 위한 결합부, 및
    일단부를 상기 접촉부측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타단부를 상기 접촉부와는 반대측으로 돌출시키도록, 상기 대좌부에서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으로 지지된 샤프트체,
    폭 치수는 상기 슬릿의 폭 치수보다 작고 길이는 상기 슬릿의 폭 치수보다 큰 장척(長尺)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체의 일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대좌부에 대해서 접근이격이동(接近離隔移動)가능으로 배설된 잠금부,
    상기 샤프트체의 타단부에 자세 변경가능으로 지지되고, 상기 잠금부를 상기 대좌부 측으로 끌어당기는 잠금 자세와, 상기 잠금부를 상기 대좌부로부터 이간(離間)가능한 상태로 하는 잠금 해제 자세의 사이에 자세 변경가능한 잠금 레버(locking lever)를 구비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를, 상기 대좌부로부터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이간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부에, 상기 슬릿 내로 이동가능으로 배설되는 다리부(脚片)가 설치된,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 중 상기 슬릿에 대향하여 형성된 위치 결정 오목부에 결합할 수 있는 위치 결정 연설부(延設部)가 형성된,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체의 일단부에는 상기 잠금부가 회전불능으로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체의 타단부는 상기 대좌부에 회전가능으로 지지되며,
    상기 잠금 레버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샤프트체를 통해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샤프트체의 축 주위로 회전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부에, 상기 결합부를 자세 변경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부가 돌설되고,
    상기 잠금 레버는, 상기 잠금 자세로 상기 한 쌍의 베어링부 사이에 배설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부에, 상기 결합부를 자세 변경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부가 돌설되고,
    상기 한 쌍의 베어링부와 상기 결합부가 상기 베어링부에 지지된 양단부 각각의 사이에, 링 부재가 개재되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부에, 상기 잠금 레버가 기립 자세로 자세 변경할 때에, 상기 잠금 레버를 수용하는 레버수용부가 설치된,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부에, 상기 잠금 레버의 자세를 나타내는 잠금 상태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부는, 아연으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레버의 자세 변경에 의해, 상기 샤프트체는, 개재 탄성 부재를 통해서, 상기 잠금부를 상기 대좌부 측으로 끌어당기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 탄성체는, 직렬로 배설된 복수의 접시 스프링을 가지는, 차량의 하물 유지 장치.
KR1020117020403A 2009-04-30 2010-03-12 차량의 하물(荷物) 유지 장치 KR201200200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0616A JP5095673B2 (ja) 2009-04-30 2009-04-30 車両の荷物保持装置
JPJP-P-2009-110616 2009-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098A true KR20120020098A (ko) 2012-03-07

Family

ID=4303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403A KR20120020098A (ko) 2009-04-30 2010-03-12 차량의 하물(荷物)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315731A1 (ko)
EP (1) EP2426009B1 (ko)
JP (1) JP5095673B2 (ko)
KR (1) KR20120020098A (ko)
CN (1) CN102414046A (ko)
WO (1) WO20101258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1303A (ja) * 2011-06-29 2013-01-17 Nifco Inc 掛止具
FR3019115B1 (fr) * 2014-03-27 2016-04-15 A Raymond Et Cie Dispositif d'accrochage a un rail
DE102014109311B4 (de) * 2014-07-03 2019-07-04 Lenz, Kämper GmbH & Co. KG Verzurröse zur verschiebbaren und arretierbaren Anordnung an einer Laderaumschien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9204386B4 (de) * 2019-03-28 2021-02-04 Kipp Gmbh & Co Kg Befestigungssystem mit einer Lastschiene und einem Lastschlitten, insbesondere für einen Pick-Up-Truck
US11235829B2 (en) * 2020-02-28 2022-02-01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Locking device for an anchor for connecting an accessory to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5637A (en) * 1970-09-02 1971-09-20 Ancra Corp Anchor fitting for securing loads to a retainer track
US4047689A (en) * 1976-07-19 1977-09-13 Uop Inc. Load distributing track fitting
US4850769A (en) * 1987-06-08 1989-07-25 James E. Irvin Tie-down device
JP3413514B2 (ja) * 1998-08-07 2003-06-0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自動車ハンガーレール用ランナー
JP4149579B2 (ja) * 1998-09-30 2008-09-10 マツダ株式会社 フック構造
JP4212259B2 (ja) * 2001-05-09 2009-01-2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車両用掛止装置
DE10149186B4 (de) * 2001-10-05 2005-02-1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Lastöse mit einer schienenförmigen Halterung für d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es
CN100355602C (zh) * 2003-04-16 2007-12-19 斯伯特拉克有限责任公司 包括顶部装载式固定夹具组件和锁紧构件的固定机构
DE10324648B4 (de) * 2003-05-30 2008-01-10 Airbus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Zurrvorrichtungen für ein Frachtladesystem eines Transportmittels, insbesondere eines Flugzeuges
DE10324650B4 (de) * 2003-05-30 2005-04-28 Airbus Gmbh Zurrvorrichtung für ein Frachtladesystem eines Transportmittels, insbesondere eines Flugzeuges
JP2005067393A (ja) 2003-08-25 2005-03-17 Kasai Kogyo Co Ltd 車両の荷物保持装置
US7637705B2 (en) * 2004-02-27 2009-12-29 Valeda Company Track fitting with visual indicia of engagement
US7401995B2 (en) * 2005-03-31 2008-07-22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Channel connector
JP4717528B2 (ja) * 2005-06-23 2011-07-06 株式会社伊原工業 固縛部材連結固定装置
DE202006010599U1 (de) * 2005-07-14 2006-10-05 Ymos Gmbh Verzurrvorrichtung
DE102005061493B4 (de) * 2005-12-22 2010-09-09 Kipp Gmbh & Co. Kg Cargo & Safety Systems Gepäckhalteeinrichtung
DE102007018254A1 (de) * 2007-04-13 2008-10-16 Bos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festigen von Ladegut in einem Transportmittel
US7874774B2 (en) * 2007-09-20 2011-01-25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cargo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95673B2 (ja) 2012-12-12
CN102414046A (zh) 2012-04-11
EP2426009B1 (en) 2013-05-08
JP2010260385A (ja) 2010-11-18
EP2426009A4 (en) 2012-05-23
US20110315731A1 (en) 2011-12-29
EP2426009A1 (en) 2012-03-07
WO2010125863A1 (ja)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0098A (ko) 차량의 하물(荷物) 유지 장치
US8936227B2 (en) Seat slide apparatus for vehicle
CN101923884B (zh) 硬盘抽取装置及使用其的电子装置
US7967311B2 (en) Multi position step
US7918001B2 (en) Multi-pivot latch assemblies
US20080073396A1 (en) Storage box assembly for motorcycle
US9447618B2 (en) Container lock
US7219943B2 (en) Remote control unit storage device
JP5020321B2 (ja) リモコン保持装置
US20120275877A1 (en) Latch arrangement for cargo restraint
US20060230794A1 (en) Locking device for vehicular tool cabinet
JP5875397B2 (ja) 車両用ドアミラーへのアンテナの取付構造
JP4356112B2 (ja) 車両用荷受装置
JP6031185B2 (ja) 乗り物用座席
CN105324051A (zh) 带扣及具备该带扣的座椅安全带装置
KR100599493B1 (ko) 루프캐리어의 루프랙과 크로스바의 록킹장치
JP4740680B2 (ja)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8095151A (ja) スライドレール支持構造
EP2036765A2 (en) A retaining arrangement
KR100340762B1 (ko) 자동차용 탈착식 시트
JP4872848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405466B1 (ko) 차량용 폴딩시트의 록킹장치
JP2012224253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のタングプレート固定構造
KR20140092612A (ko) 차량용 시트의 힌지 체결 장치
JP3695588B2 (ja) 蓋の跳ね上げ防止用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