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751B1 -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751B1
KR101054751B1 KR1020100047222A KR20100047222A KR101054751B1 KR 101054751 B1 KR101054751 B1 KR 101054751B1 KR 1020100047222 A KR1020100047222 A KR 1020100047222A KR 20100047222 A KR20100047222 A KR 20100047222A KR 101054751 B1 KR101054751 B1 KR 101054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gear
input
du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엽
김승욱
김명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라공조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라공조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7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장치 컨트롤을 위한 여러가지 조작노브중 두 가지 이상을 일축상에 이중 다이얼 구조로 통합시켜 기계식 장착 구조로 개선시킨 새로운 구조의 자동차의 공조장치 콘트롤용 이중 다이얼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공조장치 조작을 위한 컨트롤패널에 여러가지 작동노브중 두 가지 이상을 일축상에 이중 다이얼 구조를 장착하되, 기어 및 케이블 작동 방식의 기계식 구조로 장착함으로써, 기존의 전기식 컨트롤패널에 비하여 그 제작 및 설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일축상에 두 가지 이상의 노브를 조합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Dual dial device for controlling HVAC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장치 컨트롤을 위한 여러가지 조작노브중 두 가지 이상을 일축상에 이중 다이얼 구조로 통합시켜 기계식 장착 구조로 개선시킨 새로운 구조의 자동차의 공조장치 콘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HVAC: Heating, Ventilating, Air Conditioning system)는 실내 온도 및 습도 조절, 그리고 내외기 공기의 선택 조작 등을 통하여 실내공기의 상태를 탑승객이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의 작동을 위하여,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하기 위한 내외기 선택노브와, 실내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조절 노브와, 풍량이 배출되는 타입을 선택하는 풍량모드 선택노브와, 풍량의 단수를 조절하기 위한 블로워 단수조절용 노브 등이 조합된 컨트롤패널이 센터 페시아 패널에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기계식 컨트롤패널의 구조를 첨부한 도 10을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의 (a)도면에 도시된 기계식 컨트롤패널은 슬라이드 타입의 히터 컨트롤 조립체이고, 도 10의 (b)도면에 도시된 기계식 컨트롤패널은 로터리 타입의 컨트롤 조립체로서, 내외기 선택노브와, 온도조절 노브와, 풍량모드 선택노브와, 블로워 단수조절용 노브 등이 독립된 소정 위치에 슬라이드 또는 다이얼 구조로 장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또는 다이얼 작동 방식인 풍량모드 선택노브 및 온도조절노브를 조작하면, 그 뒤쪽에 연결된 케이블에 의하여 HVAC 캠이 구동하여 풍량 및 온도가 조절된다.
또한, 내외기 선택노브를 직선방향으로 이동 조절시킴에 따라, 그 뒤에 연결된 케이블에 의하여 HVAC 캠이 구동하여 내기 또는 외기모드가 선택된다.
이렇게 종래의 기계식 컨트롤패널에는 내외기 선택노브와, 온도조절 노브와, 풍량모드 선택노브와, 블로워 단수조절용 노브 등이 별도의 독립된 위치에 떨어져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 노브들을 선택 조작할 때의 조작 편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컨트롤패널에서 각 노브간의 거리가 떨어진 상태이므로, 하나의 노브를 선택 조작한 후, 다른 노브를 선택 조작할 때, 순간적으로 운전자가 전방을 미주시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온도조절노브와 풍량모드 선택노브가 일축상에 이중 다이얼 구조로 장착되거나, 풍량 단수조절용 노브와 풍량모드 선택노브가 일축상에 이중 다이얼 구조로 장착된 전기식 컨트롤패널이 제안되었는 바, 전기식 컨트롤패널은 각 노브들을 전기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PCB, 전자소자 등이 내장됨에 따라 그 제작 및 설치 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공조장치 조작을 위한 컨트롤패널에 여러가지 작동노브중 두 가지 이상을 일축상에 이중 다이얼 구조를 장착하되, 기어 및 케이블 작동 방식의 기계식 구조로 장착함으로써, 기존의 전기식 컨트롤패널에 비하여 그 제작 및 설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일축상에 두 가지 이상의 노브를 조합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다이얼과, 제1다이얼의 후부에 일체로 조립되는 입력축과, 입력축의 후단부에 수직을 이루며 조립되는 입력레버와, 입력레버의 외끝단에 당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입력케이블을 포함하는 제1다이얼 조립체와; 제1다이얼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제2다이얼과, 일측단부에 핀샤프트가 형성된 구조로서 제2다이얼의 후부와 조립되는 다이얼홀더와, 다이얼홀더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기어와, 제1기어의 치가 내접되는 내접기어가 형성된 제2기어와, 제2기어에 당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입력케이블을 포함하는 제2다이얼 조립체와; 제1 및 제2다이얼을 비롯하여 제1 및 제2다이얼이 지시하는 모드 심볼이 각인된 제1 및 제2모드심볼판이 조립되는 프론트 하우징과, 제1 및 제2입력케이블을 거치시키면서 프론트 하우징의 후부에 마감 조립되는 리어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컨트롤패널과; 상기 컨트롤패널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제1 및 제2다이얼, 제1 및 제2모드심볼판을 비추어주는 조명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다이얼조립체의 제1기어의 축에는 메인렌즈의 슬롯을 통과한 다이얼홀더의 핀샤프트가 연결되는 연결단이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다이얼의 외주부에는 제1모드심볼판의 모드심볼을 지지하는 막대형의 제1인디케이더가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제2다이얼의 내경부에는 링 형상의 인디케이터가 동시 회전 가능하게 더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다이얼조립체의 입력레버의 외끝단에는 제1입력케이블이 당김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블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다이얼조립체의 제2기어의 외주부 소정 위치에는 제2입력케이블이 당김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블고정단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조명수단은, 제2다이얼 조립체의 다이얼홀더가 끼워지는 보스부가 중앙에 형성되고, 보스부의 주변에 다이얼홀더의 핀샤프트가 관통되는 슬롯이 형성되며, 일측 소정 위치에 벌브가 장착되는 벌브체결구가 형성된 메인렌즈를 프론트 하우징의 이면에 장착시켜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수단은 중공 구조인 제2다이얼 및 다이얼홀더의 내부를 관통하며 배치되되, 전단부는 제1모드심볼판의 배면에 체결되는 동시에 후단부는 메인렌즈의 전면에 체결되는 가이드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렌즈의 테두리 부위에는 제1모드심볼판에 빛을 전달하는 빛전달리브가 일체로 더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렌즈의 앞단부에는 제1모드심볼판에 빛을 전달하는 빛전달리브가 일체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외기 선택을 위한 내외기 선택 다이얼과, 풍량모드 조절을 위한 풍량모드 선택 다이얼 등 두 가지 이상의 작동 노브를 일축상에 선택 조작 가능하게 장착하되, 기어샤프트 및 내접기어, 그리고 케이블을 이용한 기계식 방식으로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외기 선택 다이얼과 풍량모드 선택 다이얼이 일축상에 통합 장착됨에 따라, 그 거리가 짧아서 사용자가 내외기 선택 다이얼을 조작한 다음, 즉시 풍량모드 선택 다이얼을 조작할 수 있고, 또한 순간적인 운전자의 전방 미주시 상황이 발생되지 않아 안전 운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전기식 이중 다이얼 구조는 다수개의 액츄에이터, PCB, 각종 전자소자 등 많은 전기 및 전자부품이 소요되어 그 제작 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지만,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이중 다이얼 구조는 기어샤프트, 내접기어, 케이블 등을 이용한 기계식 구조로 채택됨에 따라 그 제작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의 제1다이얼조립체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의 제2다이얼조립체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의 메인렌즈와 제2다이얼조립체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의 조명수단중 가이드렌즈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기계식 공조장치 컨트롤패널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공조장치 조작을 위한 이중 다이얼 구조를 기어 및 케이블 작동 방식의 기계식 구조로 새롭게 개선하여, 기존의 전기식 이중 다이얼에 비하여 그 제작 및 설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기능을 이중 다이얼에 통합시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다이얼(102)을 포함하는 제1다이얼조립체(100)와, 제2다이얼(202)을 포함하는 제2다이얼조립체(200)와, 제1 및 제2다이얼조립체100,200)의 각 구성들을 조립시키기 위한 하우징 기능의 컨트롤패널(300)과, 컨트롤패턴(300)내에 별도로 조립되어 제1 및 제2다이얼조립체(100,200)에 조명을 비추어주는 조명수단(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패널(300)의 프론트 하우징(306)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전면패널인 센터 페시아(center facia) 패널에 외관을 이루며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 프론트 하우징(306)의 전면에 제1다이얼조립체(100)의 제1다이얼(102) 및 제1모드심볼판(302)이 장착되고, 또한 제2다이얼조립체(200)의 제2다이얼(202) 및 제2모드심볼판(304)이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다이얼조립체(100)의 제1다이얼(102)은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하기 위한 내외기 선택노브로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1다이얼(102)의 외주부에 내기 및 외기모드 심볼이 각인된 제1모드심볼판(302)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다이얼(102)의 외주부에서 그 안쪽방향으로 제1모드심볼판(302)의 모드심볼을 지지하는 막대형의 제1인디케이더(110)가 일체로 장착되어, 제1다이얼(102)의 각회전시 제1인디케이터(110)가 제1모드심볼판(302)의 내기 또는 외기모드 심볼을 지시하게 된다.
상기 제2다이얼조립체(200)의 제2다이얼(202)은 풍량이 배출되는 타입을 선택하는 풍량모드 선택노브로서 중공형 구조로 제작되어 제1모드심볼판(302)의 외주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제2다이얼(202)의 외주부에는 풍량 배출 타입의 심볼들이 각인된 제2모드심볼판(304)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다이얼(202)의 내경부에는 링 형상의 제2인디케이터(220)가 동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제2다이얼(202)의 회전시 제2인디케이터(220)가 제2모드심볼판(304)의 풍량 배출 타입중 하나를 지시하게 된다.
상기 제1다이얼조립체(100)의 제1다이얼(102)과 연동하는 구동수단으로서, 도 5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제1다이얼(102)의 후부에는 제1다이얼(102)과 동시 회전하는 입력축(104)이 일체로 연결되고, 이 입력축(104)의 후단부에는 입력레버(106)가 수직을 이루며 조립되며, 이 입력레버(106)의 외끝단에는 제1입력케이블(108)이 당김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다이얼조립체(100)의 입력레버(106)의 외끝단에는 별도의 케이블홀더(112)가 일체로 장착되는 바, 이 케이블홀더(112)에 제1입력케이블(108)이 당김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다이얼조립체(200)의 제2다이얼(202)과 연동하는 구동수단으로서, 도 6 및 도 7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제2다이얼(202)의 후부에 동시 회전 가능하게 다이얼홀더(204)가 결합되고, 이 다이얼홀더(204)는 제1다이얼조립체(100)의 입력축(104)에 공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평기어 형태의 제1기어(208)와 연결되며, 이 제1기어(208)의 치에는 제2기어(210)의 내접기어(212)가 맞물리게 되며, 또한 제2기어(210)에는 제2입력케이블(214)이 당김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다이얼홀더(204)의 이면에서 소정 위치에는 핀샤프트(20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기어(208)의 치가 형성된 위치에서 그 앞쪽 외경부에는 연결단(216)이 돌출 형성되는 바, 상기 핀샤프트(206)의 후단을 연결단(216)에 일체로 연결시킴에 따라, 상기 다이얼홀더(204)와 제1기어(208)가 동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2다이얼조립체(200)의 제2기어(210)의 외주부 소정 위치에는 제2입력케이블(214)이 당김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블고정단(218)이 후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패널(300)의 프론트 하우징(306)의 후부에는 제1 및 제2입력케이블(108,214)을 거치시키는 기능을 하고, 동시에 입력축(104)의 후단끝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리어하우징(308)이 조립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및 제2다이얼조립체(100,200)의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내기 또는 외기모드중 하나를 선택하고자, 제1다이얼조립체(100)의 제1다이얼(102)을 각회전시키면, 제1다이얼(102)의 후부에 일체로 된 입력축(104)이 각회전을 하게 되고, 연이어 입력레버(106)가 각회전을 하게 되어, 입력레버(106)에 케이블홀더(112)를 매개로 고정되어 있던 제1입력케이블(108)이 당겨지거나 밀리게 된다.
예를 들어, 내기모드 선택시 제1입력케이블(108)이 당겨지고, 외기모드 선택시 제1입력케이블이 원위치로 밀리게 됨으로써, 제1입력케이블(108)과 연동하는 HVAC 캠(미도시됨)이 구동하여 내기 또는 외기모드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반면, 사용자가 풍량 배출 타입을 선택하고자, 제2다이얼조립체(200)의 제2다이얼(202)을 각회전시키면, 제2다이얼(202)의 후부에 조립된 다이얼홀더(204)가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되어, 다이얼홀더(204)의 이면에 형성된 핀샤프트(206)가 제1기어(208)를 각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기어(208)와 내접하고 있던 제2기어(210)가 각회전 움직임을 가지게 되고, 제2기어(210)의 케이블고정단(218)에 고정되어 있던 제2입력케이블(214)이 당겨지거나 밀리게 되며, 이에 제2입력케이블(214)과 연동하는 HVAC 캠(미도시됨)이 구동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풍량 배출 타입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컨트롤패널(300)내의 소정 위치에는 제1 및 제2다이얼(102,202)을 비롯하여, 제1 및 제2모드심볼판(302,304)을 비추어주는 조명수단(40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조명수단(400)은 제1모드심볼판(302)의 내기 또는 외기모드 심볼, 제2모드심볼판(304)의 풍량 배출 타입의 심볼 등을 비추어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메인렌즈(410)와 가이드렌즈(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첨부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렌즈(410)는 링 형상인 제2다이얼 조립체(200)의 다이얼홀더(204)가 외경부에 끼워지는 보스부(402)가 중앙에 형성되고, 그 테두리 부위에는 아치형의 빛전달리브(404)가 일체로 형성되며, 특히 보스부(402)의 주변에는 다이얼홀더(204)의 핀샤프트(206)가 관통되는 슬롯(404)이 형성되고, 일측 소정 위치에는 벌브(408)가 장착되는 벌브체결구(406)가 형성된 직사각체의 투명 프레임으로 구비된다.
첨부한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렌즈(420)는 중공형의 원통형 투명체이면서 앞단부에 빛전달을 위한 막대 형상의 빛전달리브(41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서, 제2다이얼(202) 및 다이얼홀더(204)의 내부를 관통하며 배치되어, 그 전단부는 제1모드심볼판(302)의 배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후단부는 메인렌즈(410)의 보스부(402)의 내경부에 삽입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렌즈(410)의 벌브체결구(406)에 체결된 벌브(408)에서 빛을 발산하게 되면, 메인렌즈(410)의 빛전달리브(404)를 통해 전달된 빛이 제2모드심볼판(304)을 비추어 제2모드심볼판(304)의 풍량 배출 타입의 심볼을 비추어주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렌즈(410)를 통해 전달된 빛이 가이드렌즈(420)로 전달되면, 가이드렌즈(420)의 빛전달리브(412)를 통해 제1모드심볼판(302)을 비추어는 동시에 제1모드심볼판(302)의 내기 또는 외기모드 심볼을 비추어주게 된다.
100 : 제1다이얼 조립체 102 : 제1다이얼
104 : 입력축 106 : 입력레버
108 : 제1입력케이블 110 : 제1인디케이더
112 : 케이블홀더 200 : 제2다이얼 조립체
202 : 제2다이얼 204 : 다이얼홀더
206 : 핀샤프트 208 : 제1기어
210 : 제2기어 212 : 내접기어
214 : 제2입력케이블 216 : 연결단
218 : 케이블고정단 220 : 제2인디케이터
300 : 컨트롤패턴 302 : 제1모드심볼판
304 : 제2모드심볼판 306 : 프론트 하우징
308 : 리어하우징 400 : 조명수단
402 : 보스부 404 : 슬롯
405 : 아치형 빛전달리브 406 : 벌브체결구
408 : 벌브 410 : 메인렌즈
412 : 막대형 빛전달리브 420 : 가이드렌즈

Claims (9)

  1. 제1다이얼(102)과, 제1다이얼(102)의 후부에 일체로 조립되는 입력축(104)과, 입력축(104)의 후단부에 수직을 이루며 조립되는 입력레버(106)와, 입력레버(106)의 외끝단에 당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입력케이블(108)을 포함하는 제1다이얼 조립체(100)와;
    상기 제1다이얼(102)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제2다이얼(202)과, 일측단부에 핀샤프트(206)가 형성된 구조로서 제2다이얼(202)의 후부와 조립되는 다이얼홀더(204)와, 다이얼홀더(204)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기어(208)와, 제1기어(208)의 치가 내접되는 내접기어(212)가 형성된 제2기어(210)와, 제2기어(210)에 당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입력케이블(214)을 포함하는 제2다이얼 조립체(200)와;
    상기 제1 및 제2다이얼(102,202)을 비롯하여 제1 및 제2다이얼(102,202)이 지시하는 모드 심볼이 각인된 제1 및 제2모드심볼판(302,304)이 조립되는 프론트 하우징(306)과, 제1 및 제2입력케이블(108,214)을 거치시키면서 프론트 하우징(306)의 후부에 마감 조립되는 리어하우징(308)으로 이루어진 컨트롤패널(300)과;
    상기 컨트롤패널(300)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제1 및 제2다이얼(102,202), 제1 및 제2모드심볼판(302,304)을 비추어주는 조명수단(40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다이얼조립체(200)의 제1기어(208)의 축에는 메인렌즈(410)의 슬롯(404)을 통과한 다이얼홀더(204)의 핀샤프트(206)가 연결되는 연결단(216)이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다이얼(102)의 외주부에는 제1모드심볼판(302)의 모드심볼을 지지하는 막대형의 제1인디케이더(110)가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제2다이얼(202)의 내경부에는 링 형상의 제2인디케이터(220)가 동시 회전 가능하게 더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다이얼조립체(100)의 입력레버(106)의 외끝단에는 제1입력케이블(108)이 당김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블홀더(112)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다이얼조립체(200)의 제2기어(210)의 외주부 소정 위치에는 제2입력케이블(214)이 당김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블고정단(218)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400)은:
    제2다이얼 조립체(200)의 다이얼홀더(204)가 끼워지는 보스부(402)가 중앙에 형성되고, 보스부(402)의 주변에 다이얼홀더(204)의 핀샤프트(206)가 관통되는 슬롯(404)이 형성되며, 일측 소정 위치에 벌브(408)가 장착되는 벌브체결구(406)가 형성된 메인렌즈(410)를 프론트 하우징(306)의 이면에 장착시켜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400)은:
    중공 구조인 제2다이얼(202) 및 다이얼홀더(204)의 내부를 관통하며 배치되는 중공 구조의 투명체로서, 전단부는 제1모드심볼판(302)의 배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후단부는 메인렌즈(410)의 전면에 체결되는 가이드렌즈(4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인렌즈(410)의 테두리 부위에는 제1모드심볼판(302)에 빛을 전달하는 빛전달리브(404)가 일체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렌즈(420)의 전단부에는 제1모드심볼판(302)에 빛을 전달하는 빛전달리브(412)가 일체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KR1020100047222A 2010-05-20 2010-05-20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KR101054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222A KR101054751B1 (ko) 2010-05-20 2010-05-20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222A KR101054751B1 (ko) 2010-05-20 2010-05-20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751B1 true KR101054751B1 (ko) 2011-08-08

Family

ID=4493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222A KR101054751B1 (ko) 2010-05-20 2010-05-20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420B1 (ko) 2011-09-22 2013-04-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입력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261B1 (ko) 2003-11-14 2005-09-15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
KR200428041Y1 (ko) 2006-07-20 2006-10-04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중공스위치
JP2007035303A (ja) 2005-07-22 2007-02-08 Visteon Japan Ltd ダイヤルスイッチ
KR20080009400A (ko) * 2006-07-24 2008-01-29 한라공조주식회사 공조장치의 모드 스위치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261B1 (ko) 2003-11-14 2005-09-15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
JP2007035303A (ja) 2005-07-22 2007-02-08 Visteon Japan Ltd ダイヤルスイッチ
KR200428041Y1 (ko) 2006-07-20 2006-10-04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중공스위치
KR20080009400A (ko) * 2006-07-24 2008-01-29 한라공조주식회사 공조장치의 모드 스위치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420B1 (ko) 2011-09-22 2013-04-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입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959B1 (ko) 다이얼식 스위치 기구
JP5451758B2 (ja) 自動車制御パネルにおける制御機能のための制御機器およびその制御パネル
CN104669987B (zh) 通风装置
KR101534867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통합 제어 장치
US7163455B2 (en) Operat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7811160B2 (en) Operating device of vehicle air conditioner
JP2005096580A (ja) 車両用空調装置の操作装置
JP2020104842A (ja) 自動車用エアベント照明装置
KR101054751B1 (ko)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JP4884328B2 (ja) 車両用空調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4087245B2 (ja) 車両空調用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2009113545A (ja) 車両の空調用操作装置
JP5013273B2 (ja) ダイヤル式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2008120208A (ja) 空調用操作装置
JP2009126471A (ja) 車両の空調用操作装置
JP4560767B2 (ja) 照明付の操作ノブ装置
KR100877827B1 (ko) 복합 스위치
KR100727867B1 (ko) 조작다이얼의 구조
KR200275394Y1 (ko) 차량 공조장치의 냉,온풍세기조절기의 전원접속구조
JP2000311552A (ja) 操作ユニット
KR20170091301A (ko) 노브 인디케이터용 조명 장치
CN113335023A (zh) 一种汽车空调面板旋钮结构
JP5218936B2 (ja) ダイヤル式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2017076258A (ja) ダイヤル式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2009262656A (ja) ダイヤル式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