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041Y1 - 중공스위치 - Google Patents

중공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041Y1
KR200428041Y1 KR2020060019549U KR20060019549U KR200428041Y1 KR 200428041 Y1 KR200428041 Y1 KR 200428041Y1 KR 2020060019549 U KR2020060019549 U KR 2020060019549U KR 20060019549 U KR20060019549 U KR 20060019549U KR 200428041 Y1 KR200428041 Y1 KR 2004280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light transmitting
hollow
ligh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규
Original Assignee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9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0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0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0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1Thumb wheel switches
    • H01H19/003Thumb wheel switches having a pushbutton actu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25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1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with index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Abstract

본 고안은 중공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중공스위치에서 회전노브(40)의 지시부(41)를 지시램프(11)로 광전달부재(40)로 연결하여 이 광전달부재(40)로 지시램프(11)의 빛이 전달되어 외부로 투과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지시램프(11)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광전달부재(40)를 통하여 지시부로 전달되어 외부로 투과되는 양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작업자는 지시부(41)를 통해 투과되는 빛이 양이 증대됨으로써 회전노브(40) 조작 시 지시부(41)가 지시하는 작동상태를 확실히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중공스위치의 오조작이 방지되고 조작 편의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광전달부재(40)는 광원인 지시램프(11)와 지시부(41)의 위치에 관계 없이 지시부로 투과되는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중공스위치의 설계 자유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중공스위치{Rotary Switch}
도 1 은 종래의 중공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중공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중공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4c는 본 고안의 광전달부재의 결합수단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링형회전부재 20 : 스위치하우징
30 : 접점수단 31 : 가변저항브러쉬
32 : 램프브러쉬 33 : 링형인쇄회로기판
40 : 회전노브 41 : 지시부
42 : 광전달부재 50 : 중공부재
60 : 결합수단 61 : 결합돌기
62 : 체결부 63 : 체결돌기
64 : 걸림턱 65 : 걸림돌기
본 고안은 중공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중공스위치에서 스위치의 위치를 더욱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공조패널의 전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공조장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들이 부착되는 공조패널부가 구비되고, 이 공조패널부에는 공조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의장마크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 문자와 표식들로 이루어지는 의장마크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아크릴 소재 등으로 제조되어 수면에서 발생하는 빛이 통과되도록 하고, 이 의장마크가 표시된 공조패널부의 후면에는 빛을 발생하는 조명장치가 내장되어 야간 시 이 조명장치를 작동시켜 의장마크의 표시를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공조패널부에 장착되어 공조장치를 조절하는 스위치로는 통상 중공스위치가 사용되며, 이 중공스위치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결합구멍(13a)이 뚫린 링형상으로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지시램프(11)가 구비되는 링형회전부재(10)와, 이 링형회전부재(1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중공구멍(21a)이 뚫린 스위치하우징(20)과, 이 스위치하우징(20)에 구비되며 상기 지시램프(11)로 전기전원을 공급하고, 링형회전부재(10)의 회전에 따라 접점되어 접점된 위치에 따라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접점수단(30)과,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지시부(41)가 구비되며, 상기 링형회전부재(10)에 결합하는 회전노브(40)와, 상기 스위치하우징(20)의 중공구멍(21a)에 장착되는 중공부재(5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하우징(20)은 접점수단(30)으로 인가된 전기신호를 통해 이 스위치로 작동되는 장치를 제어하도록 회로가 형성된 베이스인쇄회로기판(1)에 장착된다.
즉, 자동차의 각 공조장치를 조절하는 중공형 스위치에서 상기 회전노브(40)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동시키면 지시부(41)가 표시되는 기능에 맞는 상태로 접점수단(30)이 접점되어 공조장치가 작동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중공스위치는 회전노브의 지시부와 이 지시부로 빛을 투과시켜 식별을 용이하도록 하는 지시램프 사이의 간격이 멀어 지시램프에서 발광되어 지시부로 투과되는 빛이 양이 많지 않아 지시부의 확인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중공스위치로 조작되는 공조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용이하지 못해 공조장치의 오작동을 유발하고, 탑승자에게 최적의 승차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고 불쾌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또한 중공스위치의 설계시 광원, 즉 지시램프와 지시부를 다른 각도와 다른 위치로 위치시킬 수 없어 설계 시 자유도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지시램프에서 발광된 빛을 회전노브의 지시부로 안내하여 투과시킴으로써 이 지시부로 투과되어 발광하는 빛의 양을 증대시켜 외부에서 중공스위치로 작동되는 장치의 상태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고, 오조작을 방지하는 중공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광원과 지시램프의 위치와 각도를 서로 다르게 배열하여 설계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증대시키는 중공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 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중앙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링형상으로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지시램프가 구비되는 링형회전부재와, 상기 링형회전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중공구멍이 뚫린 스위치하우징과,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지시램프로 전기전원을 공급하고, 링형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접점되어 접점된 위치에 따라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접점수단과,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지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링형회전부재에 결합하는 회전노브와, 상기 스위치하우징의 중공구멍에 장착되는 중공부재를 포함한 중공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노부의 지시부는 광전달부재로 상기 지시램프에 연결되며, 상기 광전달부재는 일단에 상기 지시부의 단부로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지시램프로 결합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상기 지시램프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광전달부재를 통하여 지시부로 전달되어 외부로 투과되는 양이 증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인 중공스위치의 분해사시도로서, 회전노브와 링형회전부재가 결합된 스위치케이싱, 링형회전부재의 중앙으로 결합하는 푸쉬스위치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인 중공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회전노브의 내부 에 지시부와, 지시램프가 광전달부재로 연결된 것과, 스위치하우징 내에 구비되는접점수단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4a 내지 도4c는 본 고안의 광전달부재의 결합수단을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결합수단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중공스위치는 링형회전부재(10)와, 스위치하우징(20)과, 접점수단(30)과, 회전노브(40)로 이루어진다.
스위치하우징(20)은 몸체 중앙에 중공구멍(21a)이 뚫려 형성된 원형상의 회전가이드돌기(21)가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고, 이 회전가이드돌기(21)의 외측 둘레로 소정두께의 원판부(2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 원판부(22)에 원형결합홈(23)이 소정 깊이로 파여져 형성된다.
이 스위치하우징(20)에 결합되는 링형회전부재(10)는 몸체가 상기 원형결합홈(23)에 결합되어 안착되는 원형회전판(12)으로 형성되며, 이 원형회전판(12)의 전면으로 상기 회전가이드돌기(21)에 결합되도록 결합구멍(13)이 관통되어 뚫린 회전결합돌기(13)가 돌출된다.
이 링형회전부재(10)에는 함께 회전하고, 회전 중에 접점수단(30)에 의해 지속적으로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지시램프(11)가 구비된다.
이 지시램프(11)는 링형회전부재(10)의 원형회전판(12) 상에 일체로 형성된 램프소켓부(12a)에 결합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램프장착패널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링형회전부재(10)와 함께 회전되면서 발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이 지시램프(11)는 통상 저전압과 소전력으로 발광이 가능한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이 외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하는 어떠한 램프도 사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링형회전부재(10)가 스위치하우징(20)에 결합된 후 이 스위치하우징(20)에는 링형회전부재(10)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커버판(24)이 결합되어 링형회전부재(10)가 작동 중 스위치하우징(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하우징(20)에는 링형회전부재(10)가 회전하면서 접점되고, 그 회전되는 위치에 따라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접점수단(30)이 구비되며, 이 접점수단(30)은 상기 지시램프(11)에 전기전원을 공급하는 역할도 한다.
이 접점수단(30)은 링형회전부재(10)의 원형회전판(12) 뒷면에 장착되는 가변저항브러쉬(31)와, 원형회전판(12) 뒷면으로 돌출되며, 램프소켓부(12a)와 연계되어 지시램프(11)에 전기전원을 공급하는 램프브러시와, 상기 스위치하우징(20)의 원형결합홈(23)에 결합하며, 일면에 상기 가변저항브러쉬(31)가 접촉되어 단계별 저항값의 선택조절이 가능하도록 인쇄회로가 형성되고, 상기 램프브러쉬(32)가 접촉되어 전기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레일이 인쇄된 링형인쇄회로기판(33)과, 이 링형인쇄회로기판(33)의 인쇄회로와 전원레일에 연계되며, 스위치하우징(20) 외부로 돌출되어 인쇄회로와 전원레일에 전기신호를 인가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단자(34)로 구성된다.
즉, 상기 링형회전부재(10)를 회전시키면 가변저항브러쉬(31)가 링형인쇄회 로기판(33)에 인쇄된 인쇄회로에 접점된 상태로 이 인쇄회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그 위치에 따라 단계별 저항값이 선택되고 그 선택된 단계별 저항값이 연결단자(34)를 통해 인가되어 각 단계별 기능에 맞는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램프브러쉬(32)는 링형회전부재(10)를 회전시킬 경우 항상 전원레일 상에 접점된 상태로 유지되어 지시램프(11)에 지속적으로 전기전원을 공급하여 발광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종래의 공지된 기술이며, 이외 링형회전부재(10)의 회전에 따른 단계별 저항값을 변화시켜 작동을 제어하는 어떠한 것도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또, 상기 스위치하우징(20)의 중앙 중공구멍(21a)에 장착되는 중공부재(50)로는 푸쉬버튼으로 접점되는 푸쉬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푸쉬버튼는 종래의 공지된 기술로 버튼가이더와 일체 혹은 분리되어 구성되어 이 버튼가이더가 베이스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태그스위치를 태그하여 소정의 턴온, 오프작동을 하는 것이며 이는 종래의 공지된 구성임을 밝혀둔다..
상기 중공부재(50)로 회전노브(40)의 지시부(41)가 지시하는 장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마크가 인쇄된 표시캡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외 중공구멍(21a)을 커버하는 어떠한 것도 장착, 결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재(50)의 내부에는 푸쉬스위치부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시켜주거나 표시캡의 마크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표시램프(52)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링형회전부재(1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회전노브(40)가 결합된다.
이 회전노브(40)에는 중공구멍(21a)에 결합되는 표시캡의 마크를 지시하거나, 공조패널 상에 표시된 공조장치의 작동상태를 지시하는 지시부(41)가 결합된다.
이 지시부(41)는 아크릴과 같이 빛이 투과하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지시램프(11)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과되어 야간에 사용자가 지시부(41)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노브(40)의 내부에 일단은 지시부(41)로 결합되고, 타단은 지시램프(11)로 결합되며 지시램프(11)에서 발광한 빛을 지시부(41) 측으로 전달하는 광전달부재(42)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광전달부재(42)는 튜브형상의 광전달튜브(42a)를 사용할 수도 있고, 하나의 통체로 형성된 봉이나 막대형상의 광전달바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 양 단이 지시부(41)와 지시램프(11)로 결합하여 지시램프(11)에서 발광한 빛을 안내하는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함을 밝혀두고 이는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된다.
본 고안에서는 광전달부재(42)를 광전달튜브(42a)로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이 광전달튜브(42a)의 단부는 지시램프(11)에 결합되도록 연장하여 그 단부 내측으로 지시램프(11)를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 광전달부재(42)는 결합수단(60)으로 지시부(41)로 결합하며, 이 결합수단(60)은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시부(41)에 광전달부재(42)가 억지 끼워 결합하는 결합홈(61a)이 형성된 결합돌기(61)로 형성하여 이 결합홈(61)에 광전달부재(42)의 단부를 억지끼움으로 결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또 결합수단(60)은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전달부재(42)의 단부 외주면에 연속된 나사산으로 형성된 체결부(62)와, 상기 지시부(41)에 돌출되며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는 체결홈(63a)이 형성된 체결돌기(63)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이 체결부(62)를 체결돌기(63)의 체결홈(63a)으로 체결하여 광전달부재(42)를 지시부(41)에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결합수단(60)은 도 4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전달부재(42)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는 걸림턱(64)과, 지시부(41)의 단부에 돌출되어 광전달부재(42)의 단부가 결합되는 끼움홈(65b)이 형성되며, 이 끼움홈(65b)의 내주면에 상기 걸림턱(64)이 끼워 결합되는 걸림홈(65a)이 파여진 걸림돌기(65)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광전달부재(42)의 단부를 결합돌기(61)에 결합하면 걸림돌기(65)가 걸림홈(65a)에 끼워져 고정되어 광전달부재(42)를 지시부(41)에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이 외 상기 결합수단(60)은 광전달부재(42)를 지시부(41) 또는 지시램프(11)로 결합시켜 연결하는 어떠한 것도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지시부(41)와 지시램프(11)가 광전달부재(42)로 연결되어 이 지시램프(11)에서 발광한 빛이 광전달부재(42) 내로 조사되어 광전달부재(42)를 통해 지시부(41)로 전달되어 대부분 외부로 투과되므로 지시부(41)를 통해 외부로 투과되는 빛의 양이 증대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시부(41)를 통해 외부로 투과되는 빛의 양이 증대되므 로, 지시부(41)의 위치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더욱 확실히 지시부(41)의 위치를 인지한 상태로 회전노브(40)를 조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시부(41)는 광전달부재(42)를 통해 지시램프(11)로 연결되어 빛을 전달받으므로, 광원인 지시램프(11)와 서로 다른 각도와 위치를 가져도 빛이 일정 량 이상으로 외부로 투과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지시램프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광전달부재를 통하여 지시부로 전달되어 외부로 투과되는 양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작업자는 지시부를 통해 투과되는 빛이 양이 증대됨으로써 회전노브 조작 시 지시부가 지시하는 작동상태를 확실히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중공스위치의 오조작이 방지되고 조작 편의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광전달부재는 광원인 지시램프와 지시부의 위치에 관계 없이 지시부로 투과되는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중공스위치의 설계 자유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중앙에 결합구멍(13)이 형성된 링형상으로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지시램프(11)가 구비되는 링형회전부재(10)와, 이 링형회전부재(1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중공구멍(21a)이 뚫린 스위치하우징(20)과, 이 스위치하우징(20)에 구비되며 상기 지시램프(11)로 전기전원을 공급하고, 링형회전부재(10)의 회전에 따라 접점되어 접점된 위치에 따라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접점수단(30)과,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지시부(41)가 구비되며, 상기 링형회전부재(10)에 결합하는 회전노브(40)와, 상기 스위치하우징(20)의 중공구멍(21a)에 장착되는 중공부재(50)를 포함한 중공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노부(40)의 지시부(41)는 광전달부재(42)로 상기 지시램프(11)에 연결되며, 상기 광전달부재(42)는 일단에 상기 지시부(41)의 단부로 결합하는 결합수단(60)이 구비되고, 타단이 지시램프(11)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60)은 지시부(41)에 광전달부재(42)가 억지 끼워 결합하는 결합홈(61a)이 형성된 결합돌기(61)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스위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60)은 광전달부재(42)의 단부 외주면에 연속된 나사산으로 형성된 체결부(62)와, 상기 지시부(41)에 돌출되며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는 체결홈(63a)이 형성된 체결돌기(6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스위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60)은 광전달부재(42)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되는 걸림턱(64)과, 지시부(41)의 단부에 돌출되어 광전달부재(42)의 단부가 결합되는 끼움홈(65b)이 형성되며, 이 끼움홈(65b)의 내주면에 상기 걸림턱(64)이 끼워 결합되는 걸림홈(65a)이 파여진 걸림돌기(6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스위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부재(42)는 튜브형상의 광전달튜브(42a)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스위치.
KR2020060019549U 2006-07-20 2006-07-20 중공스위치 KR2004280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549U KR200428041Y1 (ko) 2006-07-20 2006-07-20 중공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549U KR200428041Y1 (ko) 2006-07-20 2006-07-20 중공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041Y1 true KR200428041Y1 (ko) 2006-10-04

Family

ID=41776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549U KR200428041Y1 (ko) 2006-07-20 2006-07-20 중공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0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496B1 (ko) * 2009-12-14 2011-07-04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노브 스위치
KR101054751B1 (ko) 2010-05-20 2011-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496B1 (ko) * 2009-12-14 2011-07-04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노브 스위치
KR101054751B1 (ko) 2010-05-20 2011-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공조장치 컨트롤용 이중 다이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8726B1 (en) Opera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8371708B2 (en) Electric power tool
US7163455B2 (en) Operat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413227B2 (ja) ロータリースイッチ
US7833166B2 (en) Breath alcohol-measuring device with an illuminated mouthpiece
CN201320752Y (zh) 电动工具
KR200428041Y1 (ko) 중공스위치
KR20050030232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조작장치 및 이것의 조립방법
US20130175147A1 (en) Operating device
KR200428040Y1 (ko) 중공스위치
KR100691765B1 (ko)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
JP4982804B2 (ja) レーザポインタ
JP5341017B2 (ja) Led照明装置
KR101360382B1 (ko) 차량용 스위치장치
US10393366B2 (en) Torque wrench provided with illumination structure and indicated graduations
KR10164518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JP4263572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操作装置
JP4537284B2 (ja) ダイヤルスイッチ
KR100787112B1 (ko) 패널용 중공 스위치
EP1547729A2 (en) Power Tool
KR100609957B1 (ko) 배터리 잠금 노브 조명 기구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
KR200264124Y1 (ko) 가변저항기의 발광 손잡이
US20150375380A1 (en) Torque wrench with a reflection-type viewing window illumination structure
KR20100042730A (ko) 중공 스위치
TW201501984A (zh) 具照明的主開關鎖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