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488B1 - 점성 재료의 주출용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점성 재료의 주출용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488B1
KR101052488B1 KR1020097001970A KR20097001970A KR101052488B1 KR 101052488 B1 KR101052488 B1 KR 101052488B1 KR 1020097001970 A KR1020097001970 A KR 1020097001970A KR 20097001970 A KR20097001970 A KR 20097001970A KR 101052488 B1 KR101052488 B1 KR 101052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syringe body
dispenser
rin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813A (ko
Inventor
히데토 구니시
야스지로 오하라
가츠히토 구와하라
도루 도마
사토시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쿠라레 메디카루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라레 메디카루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쿠라레 메디카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6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6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or mixing capping or filling materials, e.g. amalgam presses
    • A61C5/62Applicators, e.g. syringes or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76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a piston as pressure exerting means, or of the co-operating con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런저의 조작 부하가 안정하고, 가압 조작을 정지한 후에 디스펜서의 내용물이 누설되지 않는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충전하는 공간을 가지며 그 선단에 주출 노즐을 장착한 주사기 본체(1)와, 이에 인가된 압력에 의해 주사기 본체(1) 내에서 슬라이드(slide) 되어 상기 충전 공간(m) 내의 내용물을 주출 노즐의 선단으로부터 주출하는 플런저(2)와, 이 플런저의 선단부에 형성된 환형 홈(2c)에 설치되어 주사기 본체(1)의 내벽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는 O링(3)을 구비한 디스펜서를 제공하며, 상기 환형 홈(2c)은, 그 전역에 걸쳐 평면인 바닥벽을 갖는 구획 오목부로서 형성되고; 복수의 돌출부 또는 홈(4)이 상기 환형 홈(2c)의 측벽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므로, 상기 O링(3)의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2)가 밀어 넣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내용물의 역흡인(back suction)을 유도한다.
Figure R1020097001970
주사기 본체, 플런저, O링, 환형 홈, 플랜지, 돌출부

Description

점성 재료의 주출용 디스펜서{VISCOUS MATERIAL POURING DISPENSER}
본 발명은 치과 진료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충전제 및/또는 다른 점성 재료를 주출하는데 적합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노즐의 선단으로부터 내용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충전제나 접착제와 같이 높은 점성을 갖는 페이스트 재료가 치과 진료 등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플런저(plunger)를 가압함으로써 작은 지름의 노즐로부터 내용물을 주출하는데 주사기 형식의 디스펜서가 통상 사용된다.
이 종류의 디스펜서에서는, 디스펜서 내에 충전된 내용물을 여러 횟수로 분할하여 주출하도록 플런저가 조작되는 것이 통상적이며(즉, 모든 내용물이 단일 조작에 의해 주출되는 것은 아님), 내용물의 주출을 정지하기 위해서 플런저의 조작을 중단한다. 그러나, 플런저의 조작을 중단한 후에도, 상기 플런저에 인가된 압력이 내용물의 충전 공간 내에 잔압으로서 잔존하게 되므로, 노즐의 선단으로부터 내용물이 누설되어 내용물의 적정량을 주출하는 것이 곤란해지며, 고가의 내용물을 낭비 없이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상기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O링(O-ring)을 배치하기 위한 홈(groove)의 홈 바닥부가, 용기 본체(1)의 후단을 향하여 점차적 또는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갖게 하고, 노즐 측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후방)로부터 노즐 측(전방)으로 O링의 무부하 상태하에서의 횡단면의 지름의 0.5배의 길이만큼 온 위치에서의 홈 바닥부와 용기 본체 내면의 간격은, 무부하 상태하의 O링의 횡단면의 지름보다 0.85배 이상으로 설정되는 치과용 점성 재료용 용기 본체의 압출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공개특허 제2001-57987호 공보 참조). 상기 구조에서는, O링에 적합한 저항을 부여함으로써, 플런저의 가압 조작시에 O링의 비틀림이 야기되고, 내용물의 주출을 정지한 후에 O링의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가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내용물의 흘러내림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압출 구조에서는, 용기 본체의 크기가 작고, O링에 비틀림을 야기시키기 위해서 구성요소에 대한 높은 정밀도의 수치 설정도가 요구되므로, 품질 관리가 어렵게 되고 효율적인 제조를 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플런저를 용기 본체에 설정하는 동안, 홈에 배치된 O링이 O링과 용기 본체 간의 저항에 의해 상기 홈에서의 노즐 측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으므로, 플런저를 가압하는 동안에는, O링의 비틀림이 야기되어 내용물의 노즐의 선단으로부터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의 주출 정지시에, 플런저를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그에 수반하는 흡인 효과(역흡인:back suction)를 확실하게 유도하여 내용물의 흘러내림이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신규의 디스펜서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용물을 충전하는 동안에 포획된 잔존 공기를 확실하게 배출하여, 내용물에 기포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의 충전 공간을 가지며 그 선단에 주출 노즐을 장착한 주사기 본체와, 이에 인가된 압력에 의해 주사기 본체 내에서 슬라이드(slide) 되어 상기 충전 공간 내의 내용물을 주출 노즐의 선단으로부터 주출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에 형성된 환형 홈에 설치되고 상기 주사기 본체의 내벽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는 O링을 구비하는 점성 재료의 주출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며, 상기 환형 홈은 그 전역에 걸쳐 평면인 바닥벽을 갖는 구획 오목부로서 형성되고; 복수의 돌출부 또는 홈이 상기 환형 홈의 측벽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O링의 측부가 상기 측벽과 접촉하고, 상기 플런저를 가압함에 따라 탄성 변위된 후에 압축 변형되는 한편, 플런저를 가압하기 위해 인가된 부하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O링을 복원시켜서 플런저를 그 가압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서 내용물의 역흡인을 유도한다.
상기 주사기 본체에는 그 외주벽에 다각형의 플랜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사기 본체의 전방 내벽에는, O링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리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사기 본체의 내벽면과 리브 사이의 접속부에는, 상기 리브의 높이보다 낮은 돌출 높이를 갖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런저의 선단이 접촉하는 상기 주사기 본체의 내벽면 및 상기 플런저의 선단면 중 어느 하나에는, 주사기 본체의 내벽과 플런저의 선단 사이에 극간을 형성하는 돌출부 또는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는 그 선단이 닫힌 중공(中空) 원통 형상이며, 적어도 대향 위치에서의 주벽에 개구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런저를 가압하여 충전 공간 내의 내용물을 주출하는 경우, O링은 플런저의 홈의 측벽에 형성된 돌출부와 접촉한 후, 홈에 들어가면서 탄성 변위한다(O링은 측벽의 인접 영역에서 물결 형상으로 변위됨). 그 상태로부터 플런저가 계속 더 가압되는 경우, O링은 압축 변형되어 홈의 측벽과 물결 형상으로 변형된 O링 사이의 극간을 충전하게 된다. 플런저의 가압을 정지하여 이에 인가된 부하를 해제하는 경우, O링은 주사기 본체 내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하기 때문에, 탄성 변위 및 압축 변형의 양에 따라, 플런저가 가압시 들어가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충전 공간이 감압되어, 주출 노즐 내의 내용물이 상기 충전 공간 내로 끌어 들여지는 역흡인이 유도된다.
O링은 홈의 깊이 등에 관계없이, 돌출부 상호간의 극간 또는 홈으로 들어가서, 그 전체 둘레에 걸쳐 물결 형상으로 탄성 변위 및 압축 변형된다. 그러므로, 역흡인이 확실하게 유도되어, 노즐의 선단으로부터의 내용물의 흘러내림을 방지한다.
주사기 본체의 외주벽에 다각형의 플랜지가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펜서를 내려놓았을 때에 구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주사기 본체의 전방의 내벽에, O링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하는 공기 배출용 리브를 하나 이상 형성한다. 또한, 플런저의 선단이 접촉하는 주사기 본체의 내벽면과 플런저 선단면 중 어느 하나에, 주사기 본체의 내벽과 플런저의 선단의 사이에 극간을 형성한 돌출부 또는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내용물을 충전하는 동안, 디스펜서 내에 잔존하는 공기를 리브에 의해 형성된 극간을 통하여 확실하게 배출하여 내용물 내에 기포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리브와 주사기 본체의 내벽 사이의 접속부에 리브의 높이보다 낮은 돌출 높이를 갖는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성형 공정에서 성형품을 형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 성형품의 밀봉면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플런저는 그 선단이 닫힌 중공 원통 형상이며, 적어도 대향하는 위치에서의 주벽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O링이 배치된 홈에서의 수축(shrinkage)을 방지하여 형상의 안정화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개구부를 통하여 캐비티 측으로부터 코어를 잡아둘 수 있으므로, 코어의 편중이 없도록 하여 플런저의 불균일한 두께 또는 결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출용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무부하 상태하에서 도 1에 나타낸 디스펜서의 요부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디스펜서의 요부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부하 상태하에서 도 1에 나타낸 디스펜서의 요부의 단면도.
도 5의 (a)는 O링의 변위 및 변형의 한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의 (b)는 O링의 변위 및 변형의 한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의 (c)는 O링의 변위 및 변형의 한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출용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디스펜서의 요부(단차부)의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나타낸 디스펜서의 요부의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나타낸 디스펜서의 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사기 본체 1a : 주출 노즐
2 : 플런저 2a : 원추형 디스크
2b : 가압 디스크 2c : 환형 홈
3 : O링 4 : 돌출부
5 : 플랜지 6 : 리브
7 : 개구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점성 재료의 충전용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그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그 선단 및 후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주사기 본체를 지시한다. 이 주사기 본체(1)는 그 내측에 내용물의 충전 공간(m)을 가지며, 상기 충전 공간의 선단부에는 주출 노즐(1a)이 장착된다.
참조번호 2는 주사기 본체(1) 내에서 슬라이드 되어 충전 공간(m) 내의 내용물을 주출 노즐(1a)의 선단으로부터 주출하는 플런저를 지시한다. 플런저(2)에는 그 선단부에 원추형 디스크(2a)와 가압 디스크(2b)가 설치되고, 이들 디스크 사이에는 폭치수가 D인 환형 홈(2c)이, 그 전역에 걸쳐 평면인 바닥벽을 갖는 구획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원추형 디스크(2a)는 주사기 본체(1) 내의 모든 내용물을 주출한 후에 남게 되는 내용물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주사기 본체(1)의 내면 형상에 대략 합치하는 형상을 가지며, 큰 지름의 디스크부(2a1)와 작은 지름의 가느다란 디스크부(2a2)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참조번호 3은 플런저(2)의 홈(2c)에 배치된 O링(O링이 설정되는 경우, 폭 D를 갖는 홈(2c)에 극간이 있어도 됨)을 지시한다. 이 O링(3)은 주사기 본체(1)의 내벽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고, 플런저(2)와 주사기 본체(1) 사이의 충전 공간(m)을 밀봉한다. 설명된 상기 실시예에서, 플런저(2)가 주사기 본체(1) 내에 설정되는 경우, O링(3)은 주사기 본체(1)의 내벽과의 접촉에 의해 타원형으로 변형된 형상을 갖는다. O링(3)의 재료로서는, 실리콘 고무, 합성 고무, 부틸 고무, 불소 고무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내용물에 대한 저항의 관점에 비추어 볼 때, 실리콘 고무로 O링(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번호 4는 도 3의 외관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2)의 가압 디 스크(2b)의 측벽에 90°간격으로 설치된 돌출부(또는 홈)를 지시한다. 이 돌출부(4)는, 플런저(2)를 밀어 넣는 조작 동안, O링(3)의 측부와의 접촉에 의해 측벽의 인접 영역에서 물결 형상으로 탄성 변위된 후, 상기 홈의 측벽과 물결 형상으로 변형된 O링(3) 사이의 극간을 충전하도록 압축 변형된다. 상기 플런저(2)를 가압하는 부하의 해제에 따른 O링(3)의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2)를 밀어 넣기 방향(A)과는 반대 방향(A')으로 슬라이드 시켜서, 역흡인을 유도한다(도 1 참조).
또한, 참조번호 5는 플런저(2)를 밀어 넣을 때에 손가락이 놓이는 플랜지를 지시한다.
플런저(2)를 밀어 넣기 전, 즉 무부하 상태하에서, O링(3)은 도 2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플런저(2)를 가압함으로써 내용물의 주출을 개시하는 경우, O링(3)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4)와 접촉하여 탄성 변위된 후, 돌출부(4) 상호간의 극간으로 부분적으로 들어가서, 물결 형상으로 변위된다. 상기 변형 상태를 도 5의 (a), (b) 및 (c)에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내용물을 주출하는 동안, O링(3)은 처음에는 물결 형상을 갖는 탄성 변위된 상태에 있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홈의 측벽과 이전 단계에서 물결 형상으로 변형된 O링(3) 사이의 극간이 충전된 상태인 도 5의 (c)에 나타낸 압축 변형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 후, 플런저(2)의 밀어 넣기를 정지하여 이에 인가되는 부하를 해제하는 경우, 탄성 변위된 O링(3)은 주사기 본체(1) 내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이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2)는 밀어 넣기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고, 이에 의해 주사기 본체(1) 내에 부압(負壓)이 발생하여, 주출 노즐(1a) 내의 내용물이 충전 공간(m) 내로 인입된다.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O링(3)을 탄성 변위시키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돌출부(4)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돌출부(4)를 대신하여 종리브(longitudinal ribs) 또는 홈을 설치하여 상기 O링을 탄성 변위시킬 수 있다.
디스펜서를 배치할 때, 디스펜서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랜지(5)가 다각형으로 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성 재료의 충전용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도 9는 상기 디스펜서의 요부의 확대도이다.
이 실시예는, 주사기 본체(1)의 전방 내벽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리브(6)를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한 구조를 설명한다(도 8 참조). 플런저(2)가 주출 노즐(1a) 측에 위치된 상태(즉, 플런저(2)가 주사기 본체(1) 내로 완전히 밀어 넣어진 상태)에서, 리브(6)는 O링(3)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주사기 본체(1)의 개방 측에서의 리브(6)는 단차부(t)를 거쳐서 주사기 본체(1)의 내벽에 접속되도록 배치된다(도 7 참조).
내용물을 충전 공간(m) 내에 충전할 경우, 플런저(2)는 주사기 본체(1)의 최전방부에 위치하고, O링(3)은 상기 리브(6)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된 상태로 배치된다. 내용물을 주사기 본체(1) 내에 충전하는데 주출 노즐(1a)이 사용되는 경우, 주사기 본체(1) 내의 공기가 내용물의 충전시에 완전하게 배출될 수 없고 기포가 되어서 내용물에 혼입될 수 있고, 이 기포로 인해 내용물의 정확한 양을 주출하 기가 곤란해진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상태하에서 상기 충전이 개시되는 경우에는, O링(3)과 주사기 본체(1)의 내벽이 상호 접촉에 의해 밀봉되는 일반적인 상태를 리브(6)가 해제하므로, 리브(6) 상호간의 극간을 통하여 주사기 본체(1) 내의 공기가 배출되어, 내용물에의 기포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문제점이 해소되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기 본체(1)의 내벽면과 리브(6) 사이의 접속부에는 리브(6)의 높이보다 낮은 돌출 높이를 갖는 단차부(t)가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형 공정에서 주사기 본체(1)가 형(mold)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상기 단차부(t)는 주사기 본체(1)의 밀봉면에서의 스크래치의 발생을 방지한다.
플런저(2)는 그 선단이 닫힌 중공 원통 형상이고, 적어도 대향 위치에서의 주벽(peripheral wall)에 개구부(7)가 설치될 수 있다. 밀봉부의 형상의 불안정으로 인해 주사기 본체(1)의 후방으로부터 내용물이 누설될 수 있다. 그러나, 플런저(2)를 중공 원통 형상으로 함으로써, 성형시 또는 O링(3)을 배치한 환형 홈(2c) 등의 밀봉부에 수축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한 밀봉이 가능해진다.
또한, 개구부(7)는 플런저(2)의 성형시에 캐비티에 배치된(또는 일체로 형성된) 타점 핀(striking pin)을 코어에 인접시켜서 캐비티 측으로부터 코어를 잡아두는데 사용될 수 있어, 사출 성형시의 압력으로 인한 코어의 편중이 방지되므로, 성형되는 플런저(2)의 불균일한 두께나 결함이 배제된다. 또한, 개구부(7)는 내용물을 충전하는 동안에 포획된 잔존 공기의 배기로로서 기능한다.
O링(3)의 플런저(2)에의 배치 및 그 동작은 상기 도 1∼도 5와 동일하다.
주사기 본체(1)나 플런저(2)의 재료로서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계 또는 폴리스티렌계와 같이, 상이한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가 채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재료로서는 폴리프로펜(PP)이나 폴리에틸렌(PE)이, 폴리에스테르계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가, 폴리에테르계 재료로서는 폴리옥시메틸렌(POM)이, 폴리스티렌계 수지로서는 AS나 ABS를 대표적인 예로서 들 수 있다. 이들 재료 중 어느 하나가 용도나 충전될 내용물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주출 노즐(1a)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선단을 갖는 주출 노즐(1a)도 사용될 수 있다(도 6 참조).
본 발명은 플런저의 조작 부하가 안정하고, 디스펜서의 내용물이 누설되지 않는 주출용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용물의 충전시에 디스펜서 내에 포획된 잔존 공기를 확실하게 배출하여 내용물에 기포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양호한 밀봉성을 갖추어 내용물의 누설을 방지하는 주출용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Claims (6)

  1. 내용물의 충전 공간(m)을 가지며 선단에 주출 노즐(1a)을 장착한 주사기 본체(1)와, 인가된 압력에 의해 상기 주사기 본체(1) 내에서 슬라이드(slide) 되어 상기 충전 공간(m) 내의 내용물을 상기 주출 노즐(1a)의 선단으로부터 주출하는 플런저(plunger)(2)와, 상기 플런저(2)의 선단부에 형성된 환형 홈(2c)에 설치되고 상기 주사기 본체(1)의 내벽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는 O링(O-ring)(3)을 구비하는 점성 재료의 주출용 디스펜서로서,
    상기 환형 홈(2c)은 그 전역에 걸쳐 평면인 바닥벽을 갖는 구획 오목부로서 형성되고; 복수의 돌출부(4) 또는 홈이 상기 환형 홈(2c)의 측벽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O링(3)의 측부가 상기 환형 홈(2c)의 측벽과 접촉하고, 가압에 따라 탄성 변위된 후에 압축 변형되는 한편, 상기 플런저(2)를 가압하기 위해 인가된 부하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O링(3)을 복원시켜서 상기 플런저(2)를 그 가압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상기 내용물의 역흡인(back suction)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재료의 주출용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본체(1)는 그 외벽에 다각형의 플랜지(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재료의 주출용 디스펜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본체(1)의 전방 내벽은, 상기 O링(3)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리브(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재료의 주출용 디스펜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본체(1)의 내벽면과 상기 리브(6) 사이의 접속부에는, 상기 리브(6)의 높이보다 낮은 돌출 높이를 갖는 단차부(t)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재료의 주출용 디스펜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의 선단이 접촉하는 상기 주사기 본체(1)의 내벽면 및 상기 플런저(2)의 선단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주사기 본체(1)의 내벽과 상기 플런저(2)의 선단 사이에 극간을 형성하는 돌출부(4) 또는 리브(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재료의 주출용 디스펜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는 그 선단이 닫힌 중공(中空) 원통 형상이며, 적어도 대향 위치에서의 주벽(peripheral wall)에 개구부(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재료의 주출용 디스펜서.
KR1020097001970A 2006-07-13 2007-06-25 점성 재료의 주출용 디스펜서 KR101052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92775 2006-07-13
JP2006192775A JP5133529B2 (ja) 2006-07-13 2006-07-13 粘性材料の注出用ディスペンサー
PCT/JP2007/062725 WO2008007536A1 (en) 2006-07-13 2007-06-25 Viscous material pouring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813A KR20090046813A (ko) 2009-05-11
KR101052488B1 true KR101052488B1 (ko) 2011-07-29

Family

ID=3892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970A KR101052488B1 (ko) 2006-07-13 2007-06-25 점성 재료의 주출용 디스펜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74656B2 (ko)
EP (1) EP2050509B1 (ko)
JP (1) JP5133529B2 (ko)
KR (1) KR101052488B1 (ko)
CN (1) CN101516526B (ko)
AU (1) AU2007273739B2 (ko)
CA (1) CA2657589C (ko)
WO (1) WO20080075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4182B2 (en) 2013-05-01 2021-03-02 N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water systems with high voltage discharge and ozo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3529B2 (ja) * 2006-07-13 2013-01-30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粘性材料の注出用ディスペンサー
JP5362277B2 (ja) * 2008-07-15 2013-12-11 株式会社ジーシー シリンジ型容器
JP5242469B2 (ja) * 2009-03-19 2013-07-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粘性材料の注出用ディスペンサー
KR101066602B1 (ko) * 2009-06-29 2011-09-22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액정 사출용 시린지 및 이를 이용한 액정 사출 장치와 액정 사출 방법
JP5465936B2 (ja) 2009-07-01 2014-04-09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吐出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07169B1 (ko) * 2009-08-26 2012-01-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수지 유체 디스펜싱 장치
JP5285009B2 (ja) * 2010-03-12 2013-09-11 エムテックスマツムラ株式会社 シーラガンにおける液だれ防止装置
WO2011132714A1 (ja) * 2010-04-22 2011-10-27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吐出器具及び吐出器具の充填材料の充填方法
GB201009644D0 (en) * 2010-06-09 2010-07-21 Astek Innovations Ltd Improved dental nozzle
US8616879B2 (en) * 2011-03-22 2013-12-31 Centrix, Inc. Capsule and delivery tip with transition portion for dispensing viscous reactive dental materials
CN102178987A (zh) * 2011-05-25 2011-09-14 杨桑 一种持续负压冲洗器
CN102353620B (zh) * 2011-06-21 2013-09-25 吉林大学 测定高温润湿性装置及方法
FR2982780B1 (fr) * 2011-11-18 2014-12-05 Buyer Ind De Pistolet a pate culinaire
WO2013081297A1 (ko) * 2011-11-28 2013-06-06 주식회사 허머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시스템
KR101358887B1 (ko) 2011-11-28 2014-02-06 주식회사 허머 공기 주입식 치과 기공용 왁스 디스펜서
ITRE20120020A1 (it) * 2012-03-14 2013-09-15 Cgm Spa Siringa per l'iniezione di materiale granulare solido
CN104703559B (zh) * 2012-05-25 2018-03-30 3M创新有限公司 用于分配牙科材料的施涂尖端和系统
US9775685B2 (en) 2012-09-28 2017-10-03 Gc Corporation Dental syringe
MY177760A (en) * 2012-10-01 2020-09-23 Musashi Eng Inc Plunger for dispenser, dispenser, and method for dispensing liquid material
JP6280927B2 (ja) * 2012-12-04 2018-02-14 スルザー ミックスパック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分配装置
US20140263403A1 (en) * 2013-03-15 2014-09-18 Nordson Corporation Liquid Dispensing Syringe
CN103705311A (zh) * 2014-01-21 2014-04-09 宋玮 一种牙科填补器
CN105287026B (zh) * 2015-11-26 2018-02-27 北京冠美口腔医院管理有限公司 一种凡士林提取器及其提取方法
ITUA20162072A1 (it) 2016-06-30 2017-12-30 Platinum Corp Srl Dropper a volume controllato
US20180207675A1 (en) * 2016-10-29 2018-07-26 Nh Real Estate Holdings Ltd. Selective metered dose dispensing device
KR101801024B1 (ko) * 2017-07-11 2017-11-24 ㈜세일글로발 치과용 실린지
DE102017130944A1 (de) * 2017-12-21 2019-06-27 Kulzer Gmbh Nachlauffreie Spritze, insbesondere zur Verabreichung dentaler pastöser Zusammensetzungen
US11933401B2 (en) * 2020-10-09 2024-03-19 Enplas Corporation Plunger, instrument, and mol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987A (ja) 1999-08-20 2001-03-06 Gc Corp 歯科用粘性材料用容器の押出し部構造
JP2006158983A (ja) 2006-02-24 2006-06-22 Nipro Corp プランジャ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6068A (en) * 1975-01-03 1976-08-24 Origo, Inc. Drug dispenser for use with intravenous feeding pump
US4373535A (en) * 1981-08-17 1983-02-15 Martell Michael D Venting, self-stopping, aspirating syringe
DK148467C (da) * 1983-02-21 1985-12-16 Radiometer As Blodproevetagningsudstyr
US4852772A (en) * 1987-12-07 1989-08-01 Genesis Industries, Incorporated Dispenser for viscous fluids
US4923096A (en) * 1989-01-09 1990-05-08 Mark L. Anderson Dripless automatic syringe for dispensing fluids
JP3091516B2 (ja) * 1991-05-23 2000-09-25 アール ジョン.ジェー.ディスコ.ジェー 歯科用シリンジ、およびそれとともに用いるカプセル
US5314416A (en) * 1992-06-22 1994-05-24 Sherwood Medical Company Low friction syring assembly
DE19934841C1 (de) * 1999-07-24 2001-03-01 Vetter & Co Apotheker Verfahren zur Beschichtung von Primärpackmittel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4133071B2 (ja) * 2001-08-20 2008-08-13 大成化工株式会社 後垂れ防止注入器、並びに、該注入器用プランジャ及びシール体
WO2003033363A1 (en) * 2001-10-16 2003-04-24 Medical Instill Technologies, Inc. Dispenser with sealed chamber and one-way valve for providing metered amounts of substances
CN2536887Y (zh) * 2002-05-13 2003-02-19 武占龙 一种自动黄油枪
CN2633316Y (zh) * 2003-07-29 2004-08-18 上海米沙瓦医科工业有限公司 无菌双联混药器
CN2726738Y (zh) * 2004-06-11 2005-09-21 铁宝成 复用型植筋胶注射器
JP4630079B2 (ja) * 2005-01-28 2011-02-09 株式会社トクヤマ ペースト注出器
JP5133529B2 (ja) * 2006-07-13 2013-01-30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粘性材料の注出用ディスペンサ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987A (ja) 1999-08-20 2001-03-06 Gc Corp 歯科用粘性材料用容器の押出し部構造
JP2006158983A (ja) 2006-02-24 2006-06-22 Nipro Corp プランジャ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4182B2 (en) 2013-05-01 2021-03-02 N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water systems with high voltage discharge and oz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74656B2 (en) 2013-07-02
WO2008007536A1 (en) 2008-01-17
US20090289084A1 (en) 2009-11-26
CA2657589A1 (en) 2008-01-17
EP2050509B1 (en) 2016-05-04
AU2007273739A1 (en) 2008-01-17
CA2657589C (en) 2012-09-25
EP2050509A4 (en) 2012-04-04
CN101516526B (zh) 2011-09-21
CN101516526A (zh) 2009-08-26
AU2007273739B2 (en) 2010-06-17
JP2008018351A (ja) 2008-01-31
EP2050509A1 (en) 2009-04-22
JP5133529B2 (ja) 2013-01-30
KR20090046813A (ko)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488B1 (ko) 점성 재료의 주출용 디스펜서
US9598223B2 (en) Plunger for pneumatic dispenser
JP5752115B2 (ja) 吐出器具及び吐出器具の充填材料の充填方法
EP2083892B1 (en) Piston, and handheld dispenser including a piston
US10479587B2 (en) Cartridge for viscous-material dispenser
US9469061B2 (en) One-piece ventable piston for a dispensing apparatus, a dispensing apparatus with sam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6830484B2 (ja) ディスペンサー
US10143535B2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liquid
KR20130025905A (ko) 카트리지식 디스펜서
US7128246B2 (en) Slotted plunger
EP2889016A1 (en) Dental syringe
JP5111801B2 (ja) 粘性材料の注出用ディスペンサー
CN104968443A (zh) 分配设备
JP5362277B2 (ja) シリンジ型容器
JP6334975B2 (ja) 注出器及び注出器へのペースト材の充填方法
CN110371496B (zh) 具有用于分配粘性材料的剂量分配器的系统
EP2434980B1 (en) Dispensing device for a dental substance
US20010047155A1 (en) One-way receptacle for dental filling material
JP2002362650A (ja) 吐出ガン用カートリッジ装填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