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394B1 - 플랫폼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플랫폼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394B1
KR101051394B1 KR1020080135477A KR20080135477A KR101051394B1 KR 101051394 B1 KR101051394 B1 KR 101051394B1 KR 1020080135477 A KR1020080135477 A KR 1020080135477A KR 20080135477 A KR20080135477 A KR 20080135477A KR 101051394 B1 KR101051394 B1 KR 101051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horizontal
rear end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624A (ko
Inventor
히로마사 츠츠미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도어 바디(14)는 복수의 프레임재(58)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프레임체는 복수의 프레임재(58)를 서로 체결한 구성이다. 프레임재(58)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중공상의 압출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두껍닫이체(12)는 케이싱(32)과, 이 케이싱(32)에 지지되는 기대(28)를 구비한다. 도어 바디(14)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20)와, 도어 바디(14)를 안내하는 리니어 레일은 기대(28)에 지지되어 있다. 이 플랫폼 도어 장치에 의하면 도어 바디의 제작 작업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80135477
플랫폼 도어 장치

Description

플랫폼 도어 장치{PLATFORM DOOR DEVICE}
본 발명은 플랫폼에 설치되어서 사용되는 플랫폼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 특허공개 2004-11482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껍닫이와 도어 바디(door body)를 갖고, 도어 바디가 두껍닫이에 대하여 진퇴 이동함으로써 승강 통로를 개폐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플랫폼 도어 장치에서는, 도어 바디는 프레임체 형상으로 조립된 프레임재에 투명판을 끼워 넣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프레임재를 프레임체 형상으로 조립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재끼리를 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종래와 같이, 프레임재를 용접해서 프레임체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즉, 프레임재를 용접하면 변형이 생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프레임체를 제작하는 작업은 변형을 수정하면서 작업하게 된다. 프레임재는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갖기 때문에 변형 수정의 작업에는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그 조정 작업은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한 플랫폼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바디의 제작 작업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플랫폼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르는 플랫폼 도어 장치에 의하면, 플랫폼 도어 장치는 플랫폼 상에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는 두껍닫이체와, 이 두껍닫이체에 진퇴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도어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바디는 복수의 프레임재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재를 서로 체결한 구성이고, 상기 프레임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두껍닫이체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지지되는 기대를 구비하고; 상기 기대에 상기 도어 바디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도어 바디를 안내하는 리니어 레일이 지지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랫폼 도어 장치(10)는 1쌍의 두껍닫이체(l2,12)와, 각 두껍닫이체(12)에 각각 진퇴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도어 바디(14)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플랫폼 도어 장치(10)는 플랫폼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열됨으로써 플랫폼을 내측과 외측(궤도측)으로 구획한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도어 바디(14)가 두껍닫이체(12)로부터 진출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승강 통로(18)는 폐쇄되고, 반면에 도어 바디(14)가 두껍닫이체(12) 내로 후퇴함으로써 두껍닫이체(12) 사이의 승강 통로(18)가 개방된다.
두껍닫이체(12)는 플랫폼 상에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고, 도어 바 디(14)를 수납할 수 있게 정면에서 볼 때에 직사각형상의 상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 두껍닫이체(12,12)는 도어 바디(14,14)가 진출하는 개구부(도시 생략)가 마주보는 자세로 서로 이간해서 설치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랫폼 도어 장치(10)가 소위 쌍미닫이식의 가동 펜스로서 구성되어 있다. 단, 플랫폼 도어 장치로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외미닫이식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의 두껍닫이체(12)를 나타내는 것이다. 우측의 두껍닫이체(12)도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좌측의 두껍닫이체(12) 및 도어 바디(14)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껍닫이체(12)에는 도어 바디(14)를 개폐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기능하는 모터(20)와, 이 모터(20)의 구동력을 받아서 주행하는 주행체로서의 무단 벨트(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24는 트림 시일(trim seal)이다.
모터(20)는 기대(28)에 고정되어 있다. 이 기대(28)는, 도어 바디(14)의 이동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도록 두껍닫이체(12) 내에 설치되는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대(28)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고,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4∼도 6 참조).
기대(28)는 도 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끝부가 각각 브래킷(30)을 통해서 두껍닫이체(12)의 케이싱(32)에 체결되어 있다. 두껍닫이체(12)의 케이싱(32)은 박육의 패널을 상자형으로 조립한 케이싱 본체(34)와, 이 케이싱 본체(34)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 보강 부재(3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강 부재(35)는 강 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대(28)를 체결하기 위한 브래킷(30)은 볼트·너트에 의해 이 보강 부재(35)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 본체(34)에 있어서의 궤도 측면을 구성하는 패널(37) 및 그 반대 측면을 구성하는 패널(38)에는,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보강부(4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체 보강부(40)는 박육의 패널을 절곡 가공한 것이다. 본체 보강부(40)를 측면 패널(37,38)에 고정함으로써 패널(37,38)의 강성이 향상된다.
기대(28)의 승강 통로(18)측의 끝부에 모터(20)가 고정되는 한편, 기대(28)에 있어서의 승강 통로(18)와는 반대측의 끝부에는 종동 풀리(43)를 지지하는 지지대(44)가 고정되어 있다. 모터(20) 및 지지대(44)는 기대(28)의 상면에 적재된 후에 기대(28)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무단 벨트(22)는 모터(20)의 구동축에 고정된 구동 풀리(46)와 상기 종동 풀리(43)에 걸처져 있다. 구동 풀리(46)는 모터(20)의 상방에서 연직 축둘레로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무단 벨트(22)에는 도어 바디(14)에 연결되는 도어 행거(48)가 결합되어 있다.
기대(28)에는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니어 레일(50)이 지지되어 있다. 즉, 리니어 레일(50)을 지지하는 부재와 모터(20)를 지지하는 부재가 1개의 부재[기대(28)]에 의해 공용되어 있다. 리니어 레일(50)은 도어 바디(14)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리니어 레일(50)은 도어 바디(14)의 이동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서 기대(28)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리니어 레일(50)에는 슬라이더(5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52)는 도어 바디(14)에 설치되 는 것이고, 슬라이더(52)가 리니어 레일(50)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도어 바디(14)는 개폐 동작한다.
상기 도어 행거(48) 및 상기 슬라이더(52)는 도어 바디(14)에 설치된 연결 부재(55)에 결합되어 있다. 즉, 도어 바디(14)는 복수의 프레임재(58)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체(60)와, 이 프레임체(60)에 결합되는 연결 부재(55)와, 외장 패널(62)을 갖고 있다. 그리고, 도어 행거(48)와 슬라이더(52)가 이 연결 부재(55)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껍닫이체(12)에는 보조 센서(64) 및 비상 정지 버튼(65)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어 바디(14)의 프레임체(60)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다.
프레임체(60)는 도 2, 도 3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 선단측 종프레임(67), 문 후단측 종프레임(68), 상부 횡프레임(71), 하부 횡프레임(72),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을 갖고 있다. 이들 프레임(67,68,71∼74)은 모두 프레임재(5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은 도어 바디(14)의 문 선단에 설치되고,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은 도어 바디(14)의 문 후단에 설치되며, 상부 횡프레임(71)은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의 상단부 및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하부 횡프레임(72)은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의 하단부 및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들 횡프레임(71∼74)과 종프레임(67,68)의 결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볼트·너트에 의한 체결이다.
이들 문 선단측 종프레임(67), 문 후단측 종프레임(68), 상부 횡프레임(71), 및 하부 횡프레임(72)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체(60)의 직사각형상 부분에는 궤도측 및 그 반대측으로부터 덮도록 상기 외장 패널(6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에는 문 선단 고무(76)가 부착되어 있다.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은 상부 횡프레임(71) 및 하부 횡프레임(7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 횡프레임(73,74)은 상부 횡프레임(71)과 하부 횡프레임(72) 사이의 중간 높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부 횡프레임(71) 및 하부 횡프레임(72)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 2 횡프레임(74)은 제 1 횡프레임(73)보다 하방에 배치되고, 이들 제 1 횡프레임(73)과 제 2 횡프레임(74)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은 그 문 선단측의 끝부가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의 중간 위치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다. 즉,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은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에 의해 분단되는 일 없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서 연속된 상태로 설치되고,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의 중간부에는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의 문 선단측의 끝부가 접촉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이들 횡프레임(73,74)과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의 결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볼트·너트에 의한 체결이다.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의 문 후단측의 끝부는 문 후단측 종프레임(68)보다 두껍닫이체(12)의 안을 향하는 방향(승강 통로(1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은 그 중간 위치에서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의 중간 위치에 결합되어 있다. 즉,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은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에 의해 분단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의 중간 위치에 결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은 1개의 프레임재(58)를 상측부(68a), 중간부(68b)와 하측부(68c)로 분할한 것이고, 이 상측부(68a)의 하단부가 제 1 횡프레임(73)의 상면에 결합되며, 중간부(68b)의 상단부가 제 1 횡프레임(73)의 하면에 결합됨과 아울러 중간부(68b)의 하단부가 제 2 횡프레임(74)의 상면에 결합되고, 하측부(68c)의 상단부가 제 2 횡프레임(74)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다. 이들 횡프레임(73,74)과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의 결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볼트·너트에 의한 체결이다.
상부 횡프레임(71)과 하부 횡프레임(72)과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에는 각각 같은 단면 형상의 프레임재(58)가 사용되고, 또한 제 1 횡프레임(73)과 제 2 횡프레임(74)과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에는 각각 같은 단면 형상의 프레임재(58)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프레임재(58)는 모두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중공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체(60)의 경량화라고 하는 관점에서는 모든 프레임재(58)가 중공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어도 1개의 프레임재(58)가 중공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단면적이 큰 제 1 횡프레임(73)과 제 2 횡프레임(74)과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이 중공 부재의 프레임재(58)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프레임재(58)에 볼트 체결용의 부착홈(58a)이 형성되어 있다(도 4∼도 6, 도 8 참조). 이 부착홈(58a)은 프레임재(58)의 압출 성형시에 형성되는 것이며, 프레임재(58)의 길이 방향(즉 압출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부착홈(58a)은 볼트의 두부를 감합할 수 있다. 즉, 부착홈(58a)은 안측의 폭이 넓어진 단면 형상을 갖고 있어서 프레임재(58)의 끝부로부터 볼트의 두부를 삽입할 수 있고, 또한 부착홈(58a)을 따라 볼트의 두부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볼트의 두부를 부착홈(58a) 내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볼트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그 위치에서 상대측의 프레임재(58)와 볼트 체결을 함으로써 프레임재(58)끼리를 체결하거나, 프레임재(58)를 연결 부재(55)에 체결할 수 있다.
프레임재(58)는 단면 직사각형상의 각이 진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부착홈(58a)은 대향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재(58)는 부착홈(58a)이 도어 바디(14)의 면 내에 위치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즉, 볼트가 도어 바디(14)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예를 들면 프레임체(6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프레임체(60)의 폭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레임재(58)끼리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한쪽의 프레임재(58)의 끝부를 다른쪽의 프레임재(58)의 측면에 접촉시키고, 그 접촉 개소에 L자형의 브래킷(80)을 붙여서 이 브래킷(80)과 프레임재(58)를 볼트·너트로 체결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연결 부재(55)는 도어 행거(48)와 슬라이더(52)를 도어 바디(14)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연결 부재(55)는 제 1 횡프레임(73)과 제 2 횡프레임(74)과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에 의하여 형성되는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55)는 본체부(82)와, 이 본체부(82)에 체결되는 부착부(8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82)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매의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된 부재이고, 대략 직사각형 평판상의 기부(82a), 이 기부(82a)의 상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측부(82b), 기부(82a)의 한쪽의 측단부로부터 상측부(82b)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측부(82c), 및 기부(82a)의 하단부로부터 상측부(82b)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측부(82d)를 갖고 있다. 본체부(82)는 직사각형상의 평판재에 대하여 인접하는 2개의 모서리부를 제거하고, 3방향으로 돌출하는 부위를 절곡함으로써 상측부(82b), 측부(82c) 및 하측부(82d)를 형성한 것이다. 이 때문에, 기부(82a)의 2개소의 모서리부가 원호상으로 움푹 패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측부(82b) 및 하측부(82d)는 도어 바디(14)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배치로 되어 있다. 상측부(82b)는 연결 부재(55)와 제 1 횡프레임(73)을 체결하기 위한 부위이고, 하측부(82d)는 연결 부재(55)와 제 2 횡프레임(74)을 체결하기 위한 부위이다. 또한, 본체부(82)의 측부(82c)는 연결 부재(55)를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에 체결하기 위한 부위이다. 상측부(82b), 하측부(82d) 및 측부(82c)에는 프레임재(58)의 부착홈(58a)에 부착된 볼트를 삽통시키기 위한 볼트 삽통 구멍(82e)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부(82a)에는 부착부(83)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삽통시키는 볼트 삽통 구멍(82f)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횡프레임(73)의 부착홈(58a) 및 제 2 횡프레임(74)의 부착홈(58a)은 연결 부재(55)를 체결하는 볼트,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을 체결하는 볼트, 및 문 선 단측 종프레임(67)을 체결하는 볼트를 모두 감합할 수 있다. 즉, 부착홈(58a)은 프레임재(58)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홈(58a)의 임의의 위치에 몇 개라도 볼트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프레임(73,74,67,68)끼리의 체결 및 프레임(73,74,68)과 연결 부재(55)의 체결에는 같은 지름의 볼트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그 밖의 프레임(71,72)의 부착홈도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부착부(83)는 볼트에 의해 본체부(82)의 기부(82a)에 체결되는 부재이고,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을 나타낸다. 이 부착부(83)에는 상기 도어 행거(48)와 상기 슬라이더(52)가 고정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52)도 제 1 횡프레임(73)과 제 2 횡프레임(74)과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도어 바디(14)는 이 부분에서 두껍닫이체(12)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무단 벨트(22)를 구동하는 모터(20)와, 도어 바디(14)를 견인하는 슬라이더(52)가 각각 기대(28)에 고정됨으로써 모터(20)의 설치 높이와 슬라이더(52)의 설치 높이가 근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무단 벨트(22)에 연결된 도어 행거(48)와 슬라이더(52)를 공통의 부재(연결 부재(55))에 결합시킬 수 있다.
두껍닫이체(12)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85)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 바디(14)는 이 가이드 롤러(85)에 의해서도 자세가 유지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플랫폼 도어 장치(10)에서는 프레임재(58)끼리를 체결함으로써 도어 바디(14)의 프레임체(60)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체(60)의 제작시에 변형 수정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도어 바디(14)의 제작 작업에 가해지는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프레임재(58)의 체결 개소 를 미리 설정해 둘 수 있으므로 프레임재(58)끼리의 체결 공정을 공장 내에서 행할 수 있고, 또한 그 작업을 자동화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재(58)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철제 프레임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에 비해서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어 바디(14)의 반송 작업이나 두껍닫이체(12)로의 조립 작업에 필요한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바디(14)가 경량화됨으로써 두껍닫이체(12)에 의한 도어 바디(14)의 지지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20)와 리니어 레일(50)이 케이싱(32)에 지지된 기대(28)에 지지되어 있어서 기대(28)가 도어 바디(14)의 하중을 받고 있다. 그러나, 도어 바디(14)의 프레임체(60)가 알루미늄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로 되어 있어서 경량화가 꾀해져 있기 때문에, 기대(28)를 두껍닫이체(12)의 케이싱(32)에 지지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두껍닫이체(12) 내에 기대(28)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재(58)가 중공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중실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에 비해서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어 바디(14)의 반송 작업이나 두껍닫이체(12)로의 조립 작업에 필요로 하는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바디(14)가 경량화됨으로써 두껍닫이체(12)에 의한 도어 바디(14)의 지지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프레임재(58)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의해 구 성되어 있으므로 프레임재(58)가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프레임재(58) 자체의 제작이 번잡해질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횡프레임(73)과 제 2 횡프레임(74)과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에 각각 같은 단면 형상의 프레임재(58)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제 1 횡프레임(73), 제 2 횡프레임(74) 및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을 1개의 프레임재(58)로부터 잘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이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에 의해 분단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의 중간 위치에서 체결되어 있다. 또한,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이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에 의해 분단되는 일 없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서 연속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의 문 선단측 끝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문 선단측 종프레임(67), 문 후단측 종프레임(68),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이 같은 면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들 프레임(67,68,73,74)을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 바디(14)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프레임재(58)끼리를 체결하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횡프레임(71)과 하부 횡프레임(72)과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에 각각 같은 단면 형상의 프레임재(58)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부 횡프레임(71), 하부 횡프레임(72) 및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을 1개의 프레임재(58)로부터 잘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부재(55)에 도어 행거(48)와 슬라이더(52)가 접속되어 있다. 즉, 도어 행거(48)에 연결되는 부재[연결 부재(55)]와 슬라이더(52)에 연결하는 부재[연결 부재(55)]가 공용되어 있으므로 부품점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부재(55)가 제 1 횡프레임(73)과 제 2 횡프레임(74)이 문 후단측 종프레임(68)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어 바디(14)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연결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 개량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 바디(14)의 개폐 구동을 벨트 구동 방식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랙 앤 피니언 방식으로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문 선단측 종프레임(67)이 1개의 연속된 프레임재(58)에 의해 구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 대신에 문 선단측 종프레임(67)도 문 후단측 종프레임(68)과 마찬가지로 상측부, 중간부 및 하측부로 분단된 상태에서 제 1 횡프레임(73) 및 제 2 횡프레임(74)이 체결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실시형태의 개요]
이상의 실시형태를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1)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재끼리를 체결함으로써 도어 바디의 프레임체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체의 제작시에 변형 수정의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 다. 이 때문에, 도어 바디의 제작 작업에 가해지는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프레임재의 체결 개소를 미리 설정해 둘 수 있으므로 프레임재끼리의 체결 공정을 공장 내에서 행할 수 있고, 또한 그 작업을 자동화할 수도 있다.
(2) 상기 프레임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형태의 프레임체에서는 철제 프레임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에 비해서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어 바디의 반송 작업이나 두껍닫이체로의 조립 작업에 필요한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바디가 경량화됨으로써 두껍닫이체에 의한 도어 바디의 지지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3) 상기 두껍닫이체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지지되는 기대를 구비하고, 상기 기대에 상기 도어 바디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도어 바디를 안내하는 리니어 레일이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기대가 모터와 리니어 레일을 지지하고 있어서 도어 바디의 하중을 기대에서도 받게 된다. 그러나, 도어 바디의 프레임체가 알루미늄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로 되어 있어서 경량화가 꾀하여져 있기 때문에, 기대를 두껍닫이체의 케이싱에 지지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두껍닫이체 내에 기대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4) 상기 복수의 프레임재 중 적어도 1개의 프레임재는 중공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형태의 프레임체에서는, 중실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에 비해서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어 바디의 반송 작업이나 두껍닫이체로의 조립 작업에 필요한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바디가 경량화됨으로써 두껍닫이체에 의한 도어 바디의 지지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프레임재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레임재가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프레임재 자체의 제작이 번잡해질 일은 없다.
(5) 상기 프레임체는 문 선단측 종프레임, 문 후단측 종프레임과,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 및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의 중간 부위에 체결되어서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횡프레임과, 이 제 1 횡프레임보다 하방이며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 및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에 체결되어서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횡프레임을 갖고 있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상기 제 2 횡프레임은 모두 상기 프레임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1 횡프레임과 상기 제 2 횡프레임과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은 각각 같은 단면 형상의 프레임재가 사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제 1 횡프레임, 제 2 횡프레임 및 문 후단측 종프레임을 1개의 프레임재로부터 잘라낼 수 있게 된다.
(6)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은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상기 제 2 횡프레임에 의해 분단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상기 제 2 횡프레임의 중간 부위에서 체결되고,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은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상기 제 2 횡프레임에 의해 분단되는 일 없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서 연속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제 2 횡프레임의 문 선단측 끝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문 후단측 종프레임, 문 선단측 종프레임, 제 1 횡프레임 및 제 2 횡프레임이 같은 면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들 프레임을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바디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프레임재끼리를 체결하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7) 상기 프레임체는 상부 횡프레임과 하부 횡프레임을 갖고 있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상기 상부 횡프레임 및 상기 하부 횡프레임은 각각 상기 프레임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상부 횡프레임과 상기 하부 횡프레임과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은 각각 같은 단면 형상의 프레임재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부 횡프레임, 하부 횡프레임 및 문 선단측 종프레임을 1개의 프레임재로부터 잘라낼 수 있게 된다.
(8)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제 1 횡프레임과 상기 제 2 횡프레임과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 부재에는 도어 행거와, 리니어 레일에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가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도어 행거에 연결되는 부재와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부재가 공용되어 있으므로 부품점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9)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횡프레임과 상기 제 2 횡프레임과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도어 바디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연결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어 바디의 제작 작업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플랫폼 도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랫폼 도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랫폼 도어 장치의 좌측의 두껍닫이체 및 도어 바디를 나타내고 있고, 두껍닫이체 내의 주요부를 실선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를 부분적으로 확대해서 두껍닫이체 및 도어 바디의 하부에 있어서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VI-Vl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를 부분적으로 확대해서 두껍닫이체 및 도어 바디의 상부에 있어서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플랫폼 도어 장치의 좌측의 두껍닫이체 및 도어 바디의 내부를 위로부터 본 상태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연결 부재의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플랫폼 상에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는 두껍닫이체와, 이 두껍닫이체에 진퇴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도어 바디를 구비한 플랫폼 도어 장치로서:
    상기 도어 바디는 복수의 프레임재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체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재를 서로 체결한 구성이고,
    상기 프레임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두껍닫이체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지지되는 기대를 구비하고;
    상기 기대에 상기 도어 바디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도어 바디를 안내하는 리니어 레일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재 중 1개 이상의 프레임재는 중공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문 선단측 종프레임과, 문 후단측 종프레임과,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 및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의 중간 부위에 체결되어서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횡프레임과, 이 제 1 횡프레임보다 하방이며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 및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에 체결되어서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횡프레임을 갖고;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상기 제 2 횡프레임은 모두 상기 프레임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 1 횡프레임과 상기 제 2 횡프레임과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에는 각각 같은 단면 형상의 프레임재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은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상기 제 2 횡프레임에 의해 분단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상기 제 2 횡프레임의 중간 부위에 체결되고;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은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상기 제 2 횡프레임에 의해 분단되는 일 없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서 연속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횡프레임 및 제 2 횡프레임의 문 선단측 끝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체결되 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상부 횡프레임과 하부 횡프레임을 갖고;
    상기 상부 횡프레임 및 상기 하부 횡프레임은 각각 상기 프레임재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상부 횡프레임과 상기 하부 횡프레임과 상기 문 선단측 종프레임에는 각각 같은 단면 형상의 프레임재가 사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횡프레임과 상기 제 2 횡프레임과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에는 도어 행거와 리니어 레일에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횡프레임과 상기 제 2 횡프레임과 상기 문 후단측 종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도어 장치.
KR1020080135477A 2008-03-26 2008-12-29 플랫폼 도어 장치 KR101051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81654A JP5107766B2 (ja) 2008-03-26 2008-03-26 ホームドア装置
JPJP-P-2008-081654 2008-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624A KR20090102624A (ko) 2009-09-30
KR101051394B1 true KR101051394B1 (ko) 2011-07-22

Family

ID=4119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477A KR101051394B1 (ko) 2008-03-26 2008-12-29 플랫폼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07766B2 (ko)
KR (1) KR101051394B1 (ko)
CN (1) CN101544234B (ko)
HK (1) HK11322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6668A (ja) * 2011-02-14 2012-09-06 Kayaba System Machinery Kk ドア装置
JP5496946B2 (ja) * 2011-05-26 2014-05-21 三菱重工交通機器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5876812B2 (ja) * 2012-11-05 2016-03-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可動柵
JP6262806B2 (ja) * 2016-06-22 2018-01-1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4579A (ja) 1998-05-22 1999-12-07 Nabco Ltd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
KR200338182Y1 (ko) * 2003-10-06 2004-01-16 주식회사 성신테크 자동도어 시스템의 도어 구조
KR20090061439A (ko) * 2007-12-11 2009-06-16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강성이 향상된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4115B2 (ja) * 1995-09-22 2006-03-08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鉄道車両の製作方法
JPH11268640A (ja) * 1998-03-23 1999-10-05 Kinki Sharyo Co Ltd 鉄道車両の製造方法と鉄道車両
JP3038215B1 (ja) * 1999-08-30 2000-05-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内装パネル取付構造
JP2002308089A (ja) * 2001-04-18 2002-10-23 Hitachi Ltd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
JP2003095091A (ja) * 2001-09-27 2003-04-03 Kinki Sharyo Co Ltd 鉄道車両の車体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113603A (ja) * 2001-10-03 2003-04-18 Mitsubishi Heavy Ind Ltd 敷設構造体
JP4276926B2 (ja) * 2003-11-07 2009-06-1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4599140B2 (ja) * 2004-02-17 2010-12-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可動柵と可動柵の開閉方法
JP2006082652A (ja) * 2004-09-15 2006-03-30 Kinki Sharyo Co Ltd 鉄道車両の車体組立て方法とそれを用いた鉄道車両の車体
JP4837491B2 (ja) * 2006-08-23 2011-12-1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非常解錠装置及び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4579A (ja) 1998-05-22 1999-12-07 Nabco Ltd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
KR200338182Y1 (ko) * 2003-10-06 2004-01-16 주식회사 성신테크 자동도어 시스템의 도어 구조
KR20090061439A (ko) * 2007-12-11 2009-06-16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강성이 향상된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624A (ko) 2009-09-30
CN101544234A (zh) 2009-09-30
JP2009234373A (ja) 2009-10-15
HK1132235A1 (en) 2010-02-19
CN101544234B (zh) 2011-12-14
JP5107766B2 (ja)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5536B2 (ja) ホームドア装置
US8424962B2 (en) Sunroof device
US5398453A (en) Vehicle door fram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051394B1 (ko) 플랫폼 도어 장치
CN104470742B (zh) 车辆的车门框架构造
KR20160061184A (ko) 자동차용 도어구조
US4593494A (en) Construction of door glass guide in motor vehicle door
US7438353B2 (en) Guide tube-fixing structure for sunroof device
CN112092916B (zh) 车辆的上部车身构造
JP6030526B2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装置
KR100520594B1 (ko) 차량용 도어
CN112092913B (zh) 上部车身构造
JP6030330B2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装置
JP5544001B2 (ja) ホームドア装置
US11427259B2 (en) Vehicle pilla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vehicle pillar
CN110315939B (zh) 前门
JP2005335412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
DE10219637B4 (de) Dachöffnungssystem, Dachmodul sowie Kraftfahrzeug mit verbesserter Seitenaufprallstabilität
KR20120132376A (ko) 플랫홈 도어장치
JP4954747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4120405B2 (ja) 車両用ドア
EP1403114A1 (en) Vehicle sunroof structure
CN112429092B (zh) 车辆的侧部车身构造
JP3833851B2 (ja) ドアガラス昇降装置
EP4023472B1 (en) Sunroof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