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2376A - 플랫홈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플랫홈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2376A
KR20120132376A KR1020120054946A KR20120054946A KR20120132376A KR 20120132376 A KR20120132376 A KR 20120132376A KR 1020120054946 A KR1020120054946 A KR 1020120054946A KR 20120054946 A KR20120054946 A KR 20120054946A KR 20120132376 A KR20120132376 A KR 20120132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door frame
electric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가와모토
하레타로 히다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헤비 인더스트리스 트랜스포테이션 이큅먼트 엔지니어링 & 서비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헤비 인더스트리스 트랜스포테이션 이큅먼트 엔지니어링 & 서비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헤비 인더스트리스 트랜스포테이션 이큅먼트 엔지니어링 & 서비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20054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2376A/ko
Publication of KR20120132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03Cavity wall closers; Fastening door or window frames in cavit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6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horizont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안전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강도와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플랫홈 도어장치를 제공한다. 플랫홈 도어장치(1)는 플랫홈(32)에 설치된 문틀부(3)와, 문틀부(3)에 대하여 출입하는 도어부(2)를 구비하고, 문틀부(3) 및 도어부(2)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서로 직교하는 문틀 횡틀재(13, 14)와 문틀 종틀재(15, 16) 또는 서로 직교하는 도어횡틀재(4, 5) 및 도어종틀재(6, 7)가 볼트(33, 34)를 이용한 체결수단 및 볼트(33, 34)를 이용한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력을 보충하는 접착재 등을 이용한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화된 틀재를 가진다.

Description

플랫홈 도어장치{Platform screen door device}
본 발명은 플랫홈에 설치되는 플랫홈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객의 추락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랫홈에 설치되는 플랫홈 도어장치는 문틀부와 도어부로 이루어지고, 문틀부와 도어부를 구성하는 부재가 강재인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각 부재는 각각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특허문헌 1에서는, 도어 몸체의 프레임재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중공 형상의 압출재에 의해 구성되고, 문틀 몸체가, 케이싱과, 케이싱에 지지되는 베이스에, 도어 몸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도어 몸체를 안내하는 리니어 레일이 지지되는 홈도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특개 2009-234373호 공보
종래에 플랫홈 도어장치의 문틀부와 도어부를 구성하는 부재는 강재이고, 용접 전합된다. 이것으로부터 중량이 비교적 무겁고, 용접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작, 조립, 탈부착의 공수가 많았다. 또한, 장치 전체가 무겁게 되기 때문에 플랫홈에 문틀부를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 기초에 사용되는 볼트의 강도를 강하게 할 필요가 있었다.
더우기, 기설치된 플랫홈에 따라서는, 플랫홈 도어장치의 중량에 견딜 수 있도록 보강공사가 필요하게 되어, 플랫홈 도어장치의 설치에 많은 비용이 드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도어부가 문틀부에 대하여 출입하는 구성에 있어서, 도어부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랫홈 도어장치는 플랫홈상의 승객과 화물 등에 의한 적재하중과, 열차의 주행에 의한 풍압, 진동 등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장치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강도와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플랫홈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랫홈 도어장치는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플랫홈 도어장치는, 플랫홈에 설치된 문틀부와, 문틀부에 대하여 출입하는 도어부를 구비하고, 문틀부 및 도어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서로 직교하는 2개의 봉상부재가 제1 체결수단 및 제1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력을 보강하는 제1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화된 틀재를 가진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문틀부 및 도어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틀재를 가지고 있고, 틀재는 서로 직교하는 2개의 봉상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2개의 봉상부재가 제1 체결수단 및 제1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력을 보강하는 제1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문틀부 및 도어부에 있어서 느슷해짐, 위치 어긋남이 발생되기 어려운 구조가 실현된다.
예를 들면, 서로 직교하는 2개의 봉상부재가, 제1의 체결수단만에 의해 일체화되는 경우에서는, 도어부의 이동과 풍압 등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등을 원인으로하여 느슨해짐과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쉽다. 이 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력을 보충하는 제1 고정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제1 체결수단에 있어서 느슨해짐과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서도 서로 직교하는 2개의 봉상부재는 양자가 일체화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으로는 예를 들면, 볼트, 리벳트 등에 의해, 다른 2개의 부재를 끼워서 결합하는 수단이다. 또한, 고정수단은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과는 다른 결합방법을 실현하는 것으로, 체결수단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전기 플랫홈 도어장치는, 틀재의 내측 전주를 따라서 설치되는 보강재를 가지며, 틀재와 보강재는, 제2의 체결수단 및 제2의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력을 보충하는 제2의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화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전기 보강재를 가지는 구성에 의하면, 보강재가 틀재의 내측 전주를 따라서 설치되기 때문에 틀재의 강성을 높여줄 수가 있다. 또한, 틀재와 보강재가 제2의 체결수단 및 제2의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력을 보충하는 제2의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화되기 때문에 문틀부와 도어부에 있어서, 느슨해짐과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가 실현된다. 교
상기 발명에 있어서, 제1의 고정수단 또는 제2의 고정수단은, 접착수단 또는 마찰교반 접합수단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수단 또는 마찰교반 접합(FSW) 수단에 의해, 틀재에 있어서 2개의 봉상부재의 고정, 또는 틀재와 보강재의 고정이 행해지기 때문에, 느슨해짐을 발생시키지 않고, 문틀부와 도어부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접착에 의하면, 부재끼리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제작과 탈부착이 신속하게 행해진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전기 플랫홈 도어장치는 면재를 더 구비하고, 면재는 접착수단 또는 마찰교반 접합수단인 제3의 고정수단에 의해, 틀재 또는 보강재에 고정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전기 면재를 구비하는 구성에 의하면, 면재가 틀재 또는 보강재에 고정되기 때문에 틀재의 강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접착수단 또는 마찰교반 접합(FSW) 수단에 의해, 면재와 틀재의 고정, 또는 면재와 보강재의 고정이 행해지기 때문에, 느슨해짐을 발생시키지 않고, 문틀부와 도어부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접착수단에 의하면, 부재끼리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고, 제작과 탈부착이 신속하게 행해진다.
전기 면재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전기 면재가 합성수지제이고, 제3의 고정수단이 접착수단인 구성이어도 좋다.
전기 합성수지제의 면재를 구비하는 구성에 의하면, 면재가 접착수단에 의해 틀재 또는 보강재에 고정되기 때문에, 틀재의 강성을 높여 줄 수가 있다. 또한, 면재에 합성수지제의 부재가 이용되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합성수지로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한 경우는, 경량화에 더하여, 내충격성 등의 높은 강도를 얻을 수도 있다.
전기 합성수지제의 면재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합성수지제의 면재는 투명해도 좋다.
틀재 또는 보강재에 고정되는 면재가 투명하기 때문에,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종래의 플랫홈 도어장치에 있어서 유리재와 같이, 투과효과를 얻을 수가 있고, 플랫홈에 있어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전기 보강재를 가지는 구성에 있어서, 보강재는 2 이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보강재를 2 이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보강재를 틀재의 내측 전주를 따라서 부착하는 경우에, 보강재를 분할한 상태로 반입할 수가 있다. 하나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사용하기가 쉽기 때문에 보강재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강도와 내구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플랫홈 도어장치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플랫홈 도어장치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플랫홈 도어장치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플랫홈 도어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플랫홈 도어장치의 도어횡틀재, 보강재 및 도어면재의 접합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플랫홈 도어장치의 도어횡틀재, 보강재 및 도어면재의 접합부분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플랫홈 도어장치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플랫홈 도어장치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플랫홈 도어장치(1)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플랫홈(32)의 내측으로부터 본 플랫홈 도어장치(1)의 설치상황을 보여주고 있고, 플랫홈 도어장치(1)가 폐쇄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은, 도 2의 C-C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고, 플랫홈 도어장치(1)중 도 4에서 보여준 도어부(2)의 도어면재(12) 및 문틀부(3)의 문틀면재(26)를 떼어낸 상태를 보여준다. 또한, 도 1 및 도 2는 도어부(2)가 문틀부(3)로부터 나와서 플랫홈 도어장치(1)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도 3은 도어부(2)가 문틀부(3)에 수용되어 플랫홈 도어장치(1)가 열려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4에 보여주는 플랫홈 도어장치(1)는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플랫홈(32)상에서 도어부(2)가 양측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되어도 좋고, 1대의 플랫홈 도어장치(1)에 의해 한편으로만 개폐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플랫홈 도어장치(1)는 요고식 홈도어(도어높이가 전동차 높이의 절반정도의플랫홈 도어장치)로서, 플랫홈(32)상의 설치면으로부터 천판(18)의 상단까지 약 1.3m~1.4m의 높이를 가진다. 플랫홈 도어장치(1)는 도어부(2)와 문틀부(3)로 이루어지고, 도어부(2)는 문틀부(3)에 대하여 출입된다.
우선, 도어부(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어 횡틀재(4, 5)와 도어 종틀재(6, 7)는 경금속제 또는 경합금제,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봉상 부재로서, 예를 들면 압출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도어횡틀재(4, 5)와 도어종틀재(6, 7)에 의해 틀재가 구성된다.
도어 횡틀재(4, 5)와 도어 종틀재(6, 7)는 서로 직교하고, 볼트(33)와 접착재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화된 틀재가 구성된다. 볼트(33)는 예를 들면 도 1에서 기호로 보여주는 방향으로 틀재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양 부재가 서로 체결된다. 또한, 도 1에서는, 볼트(33)의 기호는, 도어 횡틀재(4, 5)와 도어 종틀재(6, 7)의 표면에 기록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볼트(33)는 도어 횡틀재(4, 5)와 도어 종틀재(6, 7)의 단면 중심 부근에 삽입된다. 접착재는 도 1에 보여주는 예에서는, 도어 횡틀재(4, 5), 도어 종틀재(7)의 끝면과, 도어 횡틀재(4, 5), 도어 종틀재(6)의 측면이 접촉하여 결합되는 부분에 도포되어, 양 부재가 서로 접합된다.
상기 틀재에서는, 도어횡틀재(4, 5)와 도어종틀재(6, 7)가 볼트(33)에 의한 결합 및 볼트(33)에 의한 결합력을 보충하는 접착재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문틀부(3)와 도어부(2)에 있어서 느슨해짐과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가 실현된다.
예를 들면, 서로 직교하는 도어횡틀재(4, 5)와 도어종틀재(6, 7)가 볼트(33)에 의한 결합만에 의해 일체화되는 경우에서는, 도어부(2)의 이동과 풍압 등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볼트(33)가 느슨해지기도 하고, 볼트(33)를 수납하는 구멍이 넓어지기도 하는 원인에 의해, 부재간의 느슨해짐과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접착재를 이용함으로써 볼트(33)에 의한 결합력을 보충할 수가 있고, 볼트(33)의 느슨해짐과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도, 도어횡틀재(4, 5)와 도어종틀재(6, 7)는 양자가 일체화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횡틀재(4, 5)와 도어종틀재(6, 7)의 결합에 있어서, 볼트(33) 대신에 리벳트 등에 의한 다른 체결수단을 적용하여도 좋다. 체결수단은 다른 2개의 부재를 결합하는 수단이다. 또한, 체결수단과 병용하여 적용되는 접착재 대신에 마찰교반접합(FSW) 등에 의한 다른 고정수단을 적용하여도 좋다. 고정수단은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과는 다른 결합방법을 실현하는 것으로, 결합수단을 포함하지 않는다. 접착재와 마찰교반접합이라고 하는 고정수단에 의하면, 비뚤어짐을 발생시키지 않고, 문틀부(3)와 도어부(2)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접착재를 사용 것으로, 부재 끼리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고, 제작과 탈부착이 신속하게 행해질 수 있다.
레일(8)은 도어횡틀재(4)의 상단을 따라서 설치되고, 레일(9)은 도어횡틀재(4)의 하단을 따라서 설치된다. 레일(8, 9)은 롤러(19)와 접촉하여, 도어부(2)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보강재(10)는 도어 횡틀재(4, 5)와, 도어종틀재(6, 7)로 이루어지는 틀재의 내측 전주를 따라서 설치된다. 보강재(10)에 의하여, 틀재의 강성이 확보된다. 도어횡틀재(4, 5)와 도어 종틀재(6, 7)가 귀퉁이 부분에서 결합되는 것만으로는 강성이 작고, 문틀부(3)에 대한 도어부(2)의 움직임이 불안정하게 되는 바, 틀재의 강성이 확보됨으로써 도어부(2)가 안정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보강재(10)는 도 1과 도 3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한개의 틀재내에 2 이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도 1과 도 3의 예에서는, 보강재(10)가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로서, 보강재(10)는 각각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보강재(10)를 배치한 때의 형상이 ㅁ자 형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도어면재(12)를 보강재(10)에 접착재로 접합하는 때의 접착면적을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틀재의 내측부분이 적은 부재수로 구성되면서, 개구부의 형상이 단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도어면재(12)를 투명부재로 한 때의 도어부(2)의 내부의 모양새를 좋게 하기도 하고, 플랫홈상의 외관을 좋게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부재수가 적기 때문에, 도어부(2)를 신속 또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10)는 각각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L자형이고, 4개의 부재를 조합하여 배치한 때의 형상이 ㅁ자 형상이 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어면재(12)는 4각형상이고, 합성수지제,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제이다. 도어면재(12)는 접착재에 의해 보강재(10)에 고정된다. 또한, 도어면재(12)는 틀재에 고정되어도 좋다. 도어면재(12)를 투명부재로 함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종래의 플랫홈 도어장치에 있어서 유리재와 같이, 투명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도어면재(12)가 도어부(2)의 틀재와 보강재(10)에 고정됨으로써 도어부(2)의 강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도어면재(12)는 경금속제 또는 경합금제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라도 좋다.
다음에, 문틀부(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문틀 횡틀재(13, 14)와 문틀 종틀재(15, 16)는 경금속제 또는 경합금제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봉상 부재이고, 예를 들면 압출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문틀 횡틀재(13, 14)와 문틀 종틀재(15, 16)는 서로 직교하고, 상술한 도어 횡틀재(4, 5)와 도어 종틀재(6, 7)와 마찬가지로 볼트(34)와 접착재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화된 틀재가 구성된다. 그리고, 2개의 틀재를 연결틀재(37)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상자형의 구조가 얻어진다. 문틀 종틀재(15, 16)의 하단은 조정기(35)와 각부(38)가 설치되고, 플랫홈(32)상에 설치된다.
문틀 횡틀재(13, 14)와 문틀 종틀재(15, 16)의 내측 전주에는 도어횡틀재(4, 5)와 도어 종틀재(6, 7)와 마찬가지로 보강재(10)가 설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문틀부(3)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고, 문틀면재(26)를 보강재(10)에 접착재로 접합할 때의 접착면적을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보강부재(17)는 문틀 종틀재(15, 16) 각각의 중간부에서, 문틀 종틀재(15, 16)와 접속된다. 천판(18)은 문틀 횡틀재(13)의 상단을 따라서 설치된다.
롤러(19)는 예를 들면, 문틀 횡틀재(13, 14) 각각에 2개씩 설치된다. 도어부(2)는 도어부(2)에 대하여 상하에 위치하는 롤러(19)에 의해 지지된다. 도어부(2)는 상술한대로 경량화가 도모되면서 강성이 높여지기 때문에 롤러(19)에 의한 지지에 의해, 도어부(2)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다. 종래의 플랫홈 도어장치에서는 슬라이드 구성으로서, 리니어 가이드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리니어 가이드를 사용하는데에는 도어부와 문틀부의 정밀도를 높일 필요가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부(2)의 경량화가 도모되기 때문에, 리니어 가이드를 사용하기 위한 정밀도를 도어부(2) 및 문틀부(3)에서 확보하는 일 없이, 도어부(2)를 롤러(19)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기부(20)는 도어 종틀재(7)에 고정된 부재이고, 벨트(23)에 부착된다. 이 것에 의해, 벨트(23)가 이동함으로써 기부(20)가 벨트(23)의 움직임에 맞추어 이동하며, 도어부(2) 전체도 이동한다.
모터(21)는 벨트(23)를 구동하는 구동원이다. 모터(21)는 풀리(22)와 접속된다. 또한, 모터(21)가 설치되는 측과 반대측에는 풀리(24)가 설치된다. 그리고, 벨트(23)는 풀리(22)와 풀리(24)를 양단부로 하여 회전한다.
제어부(25)는 도어부(2)의 이동과 정지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25)는 이동과 정지 등의 동작명령을 받아서, 모터(21)로 구동신호를 보낸다. 이 것에 의해, 제어부(25)에 의해 도어부(2)의 이동이 제어된다.
문틀면재(26)는 사각형이고, 합성수지제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제이다. 문틀면재(26)가 문틀부(3)의 틀재에 고정됨으로써 문틀부(3)의 강성을 높일 수가 있다.
도어부(2)는 문틀부93)에 설치된 개구부(36)로부터 출입된다. 개구부(36)는 문틀 종틀재(15)와 연결틀재(37)로 구성되는 틀부분 내부에 형성된다.
도어부(2) 및 문틀부(3)의 어느쪽에도 경량 부재가 사용되기 때문에 플랫홈 도어장치(1)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제작과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 외에, 탈부착 장소인 플랫홈(32)의 보강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경량화에 의해, 도 7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플랫홈 도어장치(1)의 하면에 나사결합에 의한 조정기(35)를 사용할 수가 있고, 탈부착시에 있어서 용이하게 높이 조정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정기(35)에 의한 조정후, 문틀 종틀재(15, 16)의 측면에 각부(38)를 설치하고, 각부(38)를 관통시키면서 앵커볼트(도시되지 않음)를 플랫홈(32)에 체결한다. 경량화에 의해, 탈부착 기초로서 사용하는 앵커볼트의 강도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하여, 플랫홈 도어장치(1)의 도어 횡틀재(5)와 도어면재(12)의 접합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어부(2)의 양면에 도어면재(12)를 설치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고, 도 6은 도어부(2)의 한쪽면에만 도어면재(12)를 설치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A-A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어 횡틀재(5)는 압출부재이고, 너트용 홈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용 홈에 너트(29)가 삽입되고, 볼트(27)와 와셔(28)를 사용하여 보강재(10)가 도어 횡틀재(5)에 대하여 고정된다. 여기에서, 보강재(10)는 도 5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가지는 부재 또는 도 6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L자 형상을 가지는 부재이다. 또한, 보강재(10)를 도어 횡틀재(5)에 고정하는 경우, 도 5와 도 6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접착재(31)를 사용한다. 또한, 도어면재(12)는 보강재(10)에 대하여 접착재(30)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도어횡틀재(5)와 도어면재(12)의 접합부분에 의하면, 종래의 플랫홈 도어장치에 있어서 용접구조와 다르게, 압출 부재의 도어횡틀재(5)와 합성수지제의 도어면재(12), 볼트(27)와 접착재(30, 31)를 사용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도어부(2)를 조립할 수가 있다. 또한, 도어 횡틀재(5)와 보강재(10)가 볼트(27)와 너트(29)에 의한 결합 및 볼트(27)와 너트(29)에 의한 결합력을 보충하는 접착재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문틀부(3)와 도어부(2)에 있어서 느슨해짐과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가 실현된다.
또한, 체결수단과 고정수단으로서, 다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상술한 도어 횡틀재(4, 5)와 도어 종틀재(6, 7)에 있어서의 경합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보강재(10)와 도어 횡틀재(5)의 관계는 다른 도어 횡틀재(4)와 도어 종틀재(6, 7)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10)와 도어 횡틀재(5)의 관계, 보강재(10)와 도어면재(12)의 관계는, 문틀부(3) 3측의 틀재와 문틀면재(26)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플랫홈 도어장치(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9의 D-D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어부(2)의 도어면재(12) 및 문틀부(3)의 문틀면재(26)를 떼어낸 상태를 보여준다.
플랫홈 도어장치(11)는 도어부(2)와, 문틀부(40)와, 비상용 도어부(41)로 이루어진다. 도어부(2)는 후술하는 구동기구를 빼고,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문틀부(40)는 상술한 문틀부(3)와 비교하여 문틀 횡틀재(13, 14)의 길이가 짧고, 그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 비상용 도어부(41)가 설치된다. 문틀부(40)에는 개구부(37)가 설치되어 도어부(2)가 통과 가능하다. 개구부(37)는 문틀 종틀재(16)와 연결부재(37)로 구성되는 틀부분 내부에 형성된다.
도어부(2)는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구동기구에 의해 이동한다. 도어부(2)의 하부에는 랙(39)이 이동방향을 따라서 설치되고, 랙(39)은 모터(21)측에 설치된 피니언(도시되지 않음)과 기어결합된다. 모터(21)가 구동됨으로써 도어부(2)가 문틀부(40)에 대하여 출입한다. 또한, 도어부(2)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벨트 기구로 구동하도록 해도 좋다.
비상용 도어부(41)의 도어부분은, 힌지부(42)를 중심으로 하여 플랫홈(32)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개방상태로 된다(도 9의 2점쇄선). 비상용 도어부(41)는 인터록 기구에 의해, 통상시에는 폐쇄상태로 록킹되어 개방상태가 되지 않도록 되고, 비상시에는 폐쇄상태의 록킹이 풀려서 개방상태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것에 의해, 긴급시와 고장시 등의 비상시에 있어서, 승객은 열차측으로부터 플랫홈(32)측으로 피난할 수가 있다. 비상용 도어부(41)의 도어부분은, 도 8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지주부(43), 천판(49)에 둘러싸여 있고, 예를 들면 비상용도어 횡틀재(44, 45), 비상용도어 종틀재(46, 47), 보강횡재(48), 보강재(10) 및 비상용 도어면재(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도어횡틀재(4, 5) 및 도어 종틀재(6, 7)가 접착재를 사용하면서 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도어부(2)가 형성된다. 또한,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재의 문틀 횡틀재(13, 14) 및 문틀 종틀재(15, 16)가 접착재를 사용하면서 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문틀부(3)가 형성된다.
그리고, 알루미늄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틀재, 합성수지제의 면재가 사용됨으로써, 플랫홈 도어장치(1,11) 전체의 중량을 경량화할 수가 있다. 그 결과, 플랫홈 도어장치(1, 11)의 조립, 탈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알루미늄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틀재를 채용함으로써 플랫홈 도어장치(1)의 부식방지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분해하기 쉬워서, 일단 공장에서 조립한 플랫홈 도어장치(1)를 분해하여 설치장소까지 운반하거나, 파손시에 보수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경량화가 도모되어 있기 때문에, 플랫홈 도어장치(1, 11)를 설치하기 위한 플랫홈 보강공사가 불필요 또는 저감시킬 수가 있고, 문틀부(3, 40)의 탈부착 기초의 볼트 강도를 저감시킬 수가 있다.
도어부(2), 문틀부(3, 40)에서는, 보강재(10) 및 도어면재(12), 문틀부면재(26)에 의해 틀재가 보강된다. 틀재의 보강에 사용되는 부재는, 부재수가 적고, 또한 볼트와 접착재를 사용한 접합에 의한 것 때문에 시공성과 모양새가 좋다. 또한, 도어부(2)와 문틀부(3, 40)의 강도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강도와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플랫홈(32)상의 승객과 화물 등에 의한 적재하중과 열차의 주행에 의한 풍압, 진동 등에 견딜수 있게 되고, 도어부(2)의 문틀부(3, 40)에 대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
1. 11 : 플랫홈 도어장치
2 : 도어부
3, 40 : 문틀부
4, 5 : 도어횡틀재 (봉상 부재)
6, 7 : 도어종틀재 (봉상 부재)
8, 9 : 레일
10 : 보강재
12 : 도어면재 (면재)
13, 14 : 문틀 횡틀재 (봉상 부재)
15, 16 : 문틀 종틀재 (봉상 부재)
17, 18 : 보강횡재
18, 49 : 천판
19 : 롤러
20 : 기부
21 ; 모터
22, 24 : 풀리
23 : 벨트
25 : 제어부
26 : 문틀면재 (면재)
27 : 볼트 (체결수단)
28 : 와셔
29 : 너트
30, 31 : 접착재 (고정수단, 접착수단)
32 : 를랫홈
33, 34 : 볼트 (체결수단)
35 : 조정기
36, 51 : 개구부
37 : 연결틀재
38 : 각부
39 : 랙
41 : 비상용 도어부
42 : 힌지부
43 : 지주부
44, 45 : 비상용도어 횡틀재
46, 47 : 비상용도어 종틀재
50 : 비상용도어 면재

Claims (11)

  1. 문틀부와,
    전기 문틀부에 대하여 출입하는 도어부를 구비하고,
    전기 문틀부 및 도어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서로 직교하는 2개의 봉상부재가 제1 체결수단 및 전기 제1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력을 보강하는 제1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화된 틀재를 가지는 플랫홈 도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틀재의 내측 전주를 따라서 설치되는 보강재를 가지며,
    전기 틀재와 보강재는, 제2의 체결수단 및 제2의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력을 보충하는 제2의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화되는 플랫홈 도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 제1의 고정수단은, 접착수단 또는 마찰교반 접합수단인 플랫홈 도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전기 제2의 고정수단은, 접착수단 또는 마찰교반 접합수단인 플랫홈 도어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면재를 더 구비하고,
    전기 면재는 접착수단 또는 마찰교반 접합수단인 제3의 고정수단에 의해, 전기 틀재에 고정되는 플랫홈 도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면재를 더 구비하고,
    전기 면재는 접착수단 또는 마찰교반 접합수단인 제3의 고정수단에 의해, 전기 보강재에 고정되는 플랫홈 도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전기 면재가 합성수지제이고, 접착수단인 제3의 고정수단에 의해 전기 틀재에 고정되는 플랫홈 도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전기 면재가 합성수지제이고, 접착수단인 제3의 고정수단에 의해 전기 보강재에 고정되는 플랫홈 도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전기 면재는 투명인 플랫홈 도어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전기 면재는 투명인 플랫홈 도어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전기 보강재는 2 이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플랫홈 도어장치.
KR1020120054946A 2011-05-26 2012-05-23 플랫홈 도어장치 KR20120132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946A KR20120132376A (ko) 2011-05-26 2012-05-23 플랫홈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17838 2011-05-26
KR1020120054946A KR20120132376A (ko) 2011-05-26 2012-05-23 플랫홈 도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376A true KR20120132376A (ko) 2012-12-05

Family

ID=4751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946A KR20120132376A (ko) 2011-05-26 2012-05-23 플랫홈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23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2235A1 (fr) * 2015-07-03 2017-01-04 Faiveley Transport Tours Vantail de porte paliere de quai comportant une vitre et procedes de pose et de depose depuis le quai de la vitre associes
JP2018150006A (ja) * 2017-03-15 2018-09-27 三菱電機株式会社 可動ホーム柵
JP2022083891A (ja) * 2020-11-25 2022-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2235A1 (fr) * 2015-07-03 2017-01-04 Faiveley Transport Tours Vantail de porte paliere de quai comportant une vitre et procedes de pose et de depose depuis le quai de la vitre associes
US9903151B2 (en) 2015-07-03 2018-02-27 Faiveley Transport Tours Platform landing door casement comprising a glass pane and associated methods for fitting and removing the glass pane from the platform
JP2018150006A (ja) * 2017-03-15 2018-09-27 三菱電機株式会社 可動ホーム柵
JP2022083891A (ja) * 2020-11-25 2022-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6946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20130066735A (ko) 차량의 차체 구조
KR101919175B1 (ko) 철도 차량 차체와 그 제조 방법
US9758998B2 (en) Motor vehicle door with hinge reinforcement
JP5325536B2 (ja) ホームドア装置
KR20150120336A (ko) 윈도우 리프트 시스템을 위한 장착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도어를 위한 플라스틱 강성 패널
CN100579809C (zh) 汽车用的遮光装置
US11719030B2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vehicle sliding door
KR20120132376A (ko) 플랫홈 도어장치
CN106516945B (zh) 电梯支撑结构
US20150322706A1 (en) Window regulator
TW201741159A (zh) 鋼索式窗調整器
HU222134B1 (hu) Sínen futó jármű szálerősítésű anyagból készített fejmodullal
JP2013256290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装置
KR101051394B1 (ko) 플랫폼 도어 장치
JP2013226873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装置
KR101263564B1 (ko) Psd 조립체 모듈용 보강프레임
JP2012218448A (ja) 扉装置
EP4052987B1 (en) Floor structure of a rail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floor structure
US20030005640A1 (en) Motor vehicle door drive mechanism, with corresponding door, carriage and vehicle
CN109138677A (zh) 一种汽车滑移门导轨加强结构
EP1808401B1 (en) Doorway device for elevator
CN101014525A (zh) 电梯轿厢和用于安装电梯轿厢的方法
KR101031336B1 (ko) 비틀림 강성 보강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용 수직프레임
CN110406358B (zh) 导轨组件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