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825B1 -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825B1
KR101047825B1 KR1020090022977A KR20090022977A KR101047825B1 KR 101047825 B1 KR101047825 B1 KR 101047825B1 KR 1020090022977 A KR1020090022977 A KR 1020090022977A KR 20090022977 A KR20090022977 A KR 20090022977A KR 101047825 B1 KR101047825 B1 KR 101047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hamber
passage
swash plat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921A (ko
Inventor
츠바사 미츠이
신이치 사토
마나부 스기우라
게이시 나카가키
아키오 사이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90124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5/00Multi-stage pumps
    • F04B25/04Multi-stage pump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Abstract

(과제)
회전축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압축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의 제공에 있다.
(해결 수단)
실린더 보어 (35) 내의 프론트측에 구획된 프론트측 압축실 (35a) 과, 프론트 하우징 (13) 의 내주측에 형성된 축봉 장치 (30) 의 수용실 (13a) 을 연통하고, 수용실 (13a) 로부터 프론트측 압축실 (35a) 에 냉매를 흡입하는 도입 통로에 로터리 밸브 (42) 를 구비한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10) 로서, 도입 통로는, 실린더 블록 (11) 에 형성되고 프론트 하우징측 단면 (11c) 을 통과하여 수용실 (13a) 과 축구멍 (11a) 을 연통하는 노치 (40) 와, 실린더 블록 (11) 에 형성되고 축구멍 (11a) 과 프론트측 압축실 (35a) 을 연통하는 흡입 통로 (41) 와, 회전축 (29) 의 외주에 형성되고 회전축 (29) 의 회전에 수반하여 노치 (40) 와 흡입 통로 (41) 를 순차 연통시키는 홈형상 통로 (39)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DOUDLE-HEADED PISTON TYPE SWASH PLATE COMPRESSO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차량 공조 장치 등에 사용되는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 문헌 1 에서 개시된 종래 기술에서는, 프론트측 압축실 (28a) 에 대해 냉매를 흡입하는 구조로서 로터리 밸브 (49) 에 의한 흡입 구조가 채용되고, 리어측 압축실 (29a) 에 대해 냉매를 흡입하는 구조로서 흡입 밸브 (46a) 에 의한 흡입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프론트 하우징 (13) 과 회전축 (22) 사이에는 립 시일형상의 축봉 장치 (23) 가 개재되어 있다. 축봉 장치 (23) 는 프론트 하우징 (13) 에 형성된 수용실 (13c) 내에 수용되어 있다. 로터리 밸브 (49) 에 의한 흡입 구조는, 회전축 (22) 의 외주면에 홈형상의 공급 통로 (47) 가 형성되고, 공급 통로 (47) 의 일단은, 축봉 장치 (23) 가 수용되는 수용실 (13c) 에 개구되고, 공급 통로 (47) 의 타단은, 프론트측 실린더 블록 (11) 에 형성되고, 압축실 (28a) 에 연통된 흡입 통로 (48) 와 개구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회전축 (22) 의 회전에 수반하여, 흡입 통로 (48) 는 공급 통로 (47) 에 간헐적으로 연통되고, 수용실 (13c) 내의 냉매 가스는 공급 통로 (47) 및 흡입 통로 (48) 를 통해 압축실 (28a) 에 흡입된다.
따라서, 로터리 밸브 (49) 의 공급 통로 (47) 는 홈형상 통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멍형상 통로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회전축 (22) 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 수용실 (13c) 경유로 냉매를 로터리 밸브 (49) 에 공급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축봉 장치 (23) 를 냉매에 의해 냉각시킬 수 있다고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38925호 (13 페이지∼15 페이지, 도 6)
그러나,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서는, 홈형상의 공급 통로 (47) 가 밸브 플레이트 (40) 의 전방에 있는 수용실 (13c) 과, 밸브 플레이트 (40) 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 통로 (48) 를 연통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홈형상의 공급 통로 (47) 의 축방향 길이를 크게 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공급 통로 (47) 의 축방향 길이를 크게 형성시킬수록 회전축 (22) 의 강도는 저하된다. 또, 공급 통로 (47) 가 밸브 플레이트 (40)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길이분만큼 축봉 장치 (23) 를 전방으로 이동하여 배치할 수 밖에 없어 압축기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축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압축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의 제공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은,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고, 복수의 실린더 보어를 갖는 실린더 블록과, 그 복수의 실린더 보어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 장착된 양두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블록 내에 형성된 회전축 수용 구멍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과, 그 회전축과 함께 상기 실린더 블록 내에 형성된 사판실의 실내에서 회전하고, 상기 실린더 보어 내에서 상기 양두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키는 사판을 구비하고, 상기 프론 트 하우징과 상기 회전축 사이에 형성된 축봉 장치와, 상기 실린더 보어 내의 프론트측에 구획된 압축실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내주측에 형성된 흡입실과, 상기 흡입실로부터 상기 압축실에 냉매를 흡입하는 도입 통로와, 상기 도입 통로에 형성된 로터리 밸브를 구비한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로서, 상기 도입 통로는, 상기 실린더 블록에 형성되고 프론트 하우징측 단면을 통과하여 상기 흡입실과 상기 회전축 수용 구멍을 연통하는 연통로와, 상기 회전축 수용 구멍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하는 흡입 통로와,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연통로와 상기 흡입 통로를 순차 연통시키는 홈형상 통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 블록에는, 흡입실과 회전축 수용 구멍을 연통하는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통로를 통해 프론트 하우징의 내주측에 형성된 흡입실로부터 흡입 냉매를 회전축의 외주에 형성된 홈형상 통로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홈형상 통로를 종래 기술과 같이 흡입실측에 크게 연장시킬 필요가 없어 홈형상 통로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프론트 하우징과 회전축 사이에 형성된 축봉 장치의 배치 위치를 실린더 블록에 가깝게 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압축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는, 상기 회전축 수용 구멍의 상기 프론트 하우징측 개구부의 에지부에 형성된 노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에지부에 노치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구멍 형성의 경우와 비교하여 연통로의 개구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어 냉매나 윤활유를 보다 많이 도입할 수 있다. 또, 구멍 형성의 경우와 비교하여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 에 기재된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와 상기 흡입 통로는, 각각의 상기 회전축 수용 구멍의 내주측에 개구되는 개구부의 원주 방향의 배치 각도가 서로 상이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통로와 상기 흡입 통로는, 회전축 수용 구멍의 내주측에 개구되는 각 개구부의 배치를 전개도에서 본 경우에는, 각 개구부는 비스듬하게 어긋나 배치되어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연통로의 개구부와 흡입 통로의 개구부의 간격을 소정값 이상으로 하고, 또한 축방향의 거리를 작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져 시일을 위해 필요한 거리를 확보하면서 홈형상 통로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에 기재된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수용 구멍의 둘레면 상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로와 상기 흡입 통로의 개구부는, 각각 상기 둘레면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흡입 통로의 개구부는, 상기 연통로의 개구부에 대해 상기 각도 간격의 절반만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시일을 위해 필요한 거리를 확보하면서 홈형상 통로의 축방향 길이를 최대한으로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는, 상기 회전축 수용 구멍의 상기 프론트 하우징측 개구부의 에지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연통로는 에지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통로의 개구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다. 또, 노치나 구멍 가공과 비교하여, 절삭 가공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실은, 상기 축봉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수용실에 흡입된 냉매에 의해 축봉 장치를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압축기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실은, 상기 사판실을 통해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흡입구로부터 윤활유를 함유한 냉매가 사판실에 도입되므로, 사판실 내에 있어서의 슬라이딩부의 윤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 블록에 흡입실과 회전축 수용 구멍을 연통하는 연통로를 형성함으로써, 회전축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압축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이하, 간단히 「압축기」 라고 표기한다) 는, 차재 공조 장치의 냉동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압축기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 (10) 의 전체 하우징은, 접합된 1 쌍의 실린더 블록 (11, 12) 과, 프론트측 실린더 블록 (11) 에 접합된 프론트 하우징 (13) 과, 리어측 실린더 블록 (12) 에 접합된 리어 하우징 (14) 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 있어서, 좌측을 압축기 (10) 의 프론트측 (전측) 으로 하고, 우측을 압축기 (10) 의 리어측 (후측) 으로 한다.
실린더 블록 (11, 12), 프론트 하우징 (13) 및 리어 하우징 (14) 은, 복수개의 볼트 (15) 에 의해 함께 고정되어 있다. 각 볼트 (15) 는, 실린더 블록 (11, 12), 프론트 하우징 (13) 및 리어 하우징 (14) 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 통과 구멍 (16) 에 삽입 통과되며, 선단에 형성된 나사부 (17) 가 리어 하우징 (14) 에 나사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각 볼트 통과 구멍 (16) 은, 볼트 (15) 의 직경보 다 큰 직경으로 되어 있으며, 볼트 (15) 를 삽입 통과시킨 경우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 (13) 에 토출실 (18) 이 형성되고, 리어 하우징 (14) 에 토출실 (19) 과 흡입실 (20)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프론트측 실린더 블록 (11) 의 외주면에는, 당해 실린더 블록 (11) 의 내주면에 관통하는 흡입 구멍 (21) 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 구멍 (21) 에는, 압축기 (10) 의 외부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외부 냉매 회로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 (13) 과 실린더 블록 (11) 사이에는, 밸브 플레이트 (22), 토출용 밸브 형성 플레이트 (23) 및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 (24) 가 개재되어 있다. 밸브 플레이트 (22) 에는, 토출실 (18) 과 대응하는 위치에 토출 포트 (22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토출용 밸브 형성 플레이트 (23) 에는, 토출 포트 (22a) 와 대응하는 위치에 토출 밸브 (23a) 가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 (24) 에는, 토출 밸브 (23a) 의 개도의 규제를 실시하는 리테이너 (24a)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리어 하우징 (14) 과 리어측 실린더 블록 (12) 사이에는, 밸브 플레이트 (25), 토출용 밸브 형성 플레이트 (26),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 (27) 및 흡입용 밸브 형성 플레이트 (28) 가 개재되어 있다. 밸브 플레이트 (25) 에는, 토출실 (19) 에 대응하는 위치에 토출 포트 (25a) 가 형성되고, 흡입실 (20) 과 대응하는 위치에 흡입 포트 (25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토출용 밸브 형성 플레이트 (26) 에는, 토출 포트 (25a) 와 대응하는 위치에 토출 밸브 (26a) 가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 (27) 에는, 토출 밸브 (26a) 의 개도의 규제를 실시하는 리테이너 (27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흡입용 밸브 형성 플레이트 (28) 에는, 흡입 포트 (25b) 와 대응하는 위치에 흡입 밸브 (28a) 가 형성되어 있다. 리어측 실린더 블록 (12) 은, 흡입 밸브 (28a) 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노치 (12c) 를 갖고 있다. 노치 (12c) 의 벽면은, 흡입 밸브 (28a) 의 개도를 규제하는 리테이너로서 기능한다.
실린더 블록 (11, 12) 에는 회전축 (29) 이 배치되고, 회전축 (29) 은, 실린더 블록 (11, 12) 에 관통 형성된 회전축 수용 구멍으로서의 축구멍 (11a, 12a) 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 (29) 은, 축구멍 (11a, 12a) 을 통해 실린더 블록 (11, 12)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 (13) 과 회전축 (29) 사이에는 립 시일형상의 축봉 장치 (30) 가 개재되어 있다. 축봉 장치 (30) 는, 프론트 하우징 (13) 에 형성된 수용실 (13a)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수용실 (13a) 은 프론트 하우징 (13) 의 내주측에 형성된 흡입실에 상당한다.
회전축 (29) 에는, 그 회전축 (29) 과 일체 회전하는 사판 (31) 이 고정되어 있다. 사판 (31) 은, 실린더 블록 (11, 12) 사이에 구획 형성된 사판실 (32)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측 실린더 블록 (11) 의 단면과 사판 (31) 의 원환형상 기부 (31a)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 (33) 이 개재되어 있다. 리어측 실린더 블록 (12) 의 단면과 사판 (31) 의 기부 (31a)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 (34) 이 개재되어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 (33, 34) 은, 사판 (31) 의 원환형상 기부 (31a) 를 사이에 두고 사판 (31) 의 회전축 (29) 의 중심축선 L 을 따른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프론트측 실린더 블록 (11) 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 (35) (본 실시형태에서는 5 개. 도 1 에서는 1 개의 실린더 보어 (35) 만 도시함) 가 회전축 (29) 의 주위에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리어측 실린더 블록 (12) 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 (36) (본 실시형태에서는 5 개. 도 1 에서는 1 개의 실린더 보어 (36) 만 도시함) 가 회전축 (29) 의 주위에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후로 쌍이 되는 실린더 보어 (35, 36) 에는 양두형의 양두 피스톤 (37) 이 왕복 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회전축 (29) 과 일체 회전하는 사판 (31) 의 회전 운동은, 사판 (31) 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1 쌍의 슈 (38) 를 통해 양두 피스톤 (37) 에 전해지고, 양두 피스톤 (37) 이 사판 (31) 의 회전에 연동하여 실린더 보어 (35, 36) 내를 전후로 왕복 운동한다. 그리고, 실린더 보어 (35, 36) 내에는, 양두 피스톤 (37) 에 의해 5 개의 프론트측 압축실 (35a) 과 5 개의 리어측 압축실 (36a) 이 구획된다 (10 기통).
실린더 블록 (11, 12) 에 있어서, 회전축 (29) 이 삽입 통과된 축구멍 (11a, 12a) 을 형성하는 내주면에는, 시일 둘레면 (11b, 12b) 이 형성되어 있다. 시일 둘레면 (11b, 12b) 의 직경은, 축구멍 (11a, 12a) 의 다른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고, 회전축 (29) 은 시일 둘레면 (11b, 12b) 을 통해 실린더 블록 (11, 12) 에 의해 직접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사판실 (32) 에는 흡입 구멍 (21) 이 개구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 (29) 에는, 도입 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홈형상 통로 (39) 가 형성되어 있다. 홈형상 통로 (39) 는, 중실축이 된 회전축 (29) 의 외주면에 홈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된다. 홈형상 통로 (39) 는, 밸브 플레이트 (22) 의 배치 위치보다 후방에, 축방향의 길이 거리 m1 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 (11) 에 있어서의 축구멍 (11a) 의 프론트 하우징측 개구부의 에지부에는 복수의 노치 (40) 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 (40) 는, 수용실 (13a) 과 축구멍 (11a) 을 연통하는 연통로에 상당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 (40) 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5 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서는, 1 개의 노치 (40) 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 (40) 의 프론트 하우징측 단면 (11c) 측의 개구부 (40a) 와 대향하는 밸브 플레이트 (22), 밸브 형성 플레이트 (23) 및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 (24) 에는, 각각 구멍 (22b, 23b, 24b) 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 (22b, 23b, 24b) 을 통해 수용실 (13a) 과 각 노치 (40) 의 개구부 (40a) 는 항상 연통되어 있다.
또, 노치 (40) 의 축구멍 (11a) 측의 개구부 (40b) 는, 시일 둘레면 (11b) 상에 있고, 홈형상 통로 (39) 의 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회전축 (29) 의 회전에 수반하여, 노치 (40) 의 개구부 (40b) 는, 홈형상 통로 (39) 에 간헐적으로 연통되도록 되어 있고, 이 노치 (40) 를 통해 수용실 (13a) 로부터 흡입 냉매를 홈형상 통로 (39) 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론트측 실린더 블록 (11) 에는, 복수의 흡입 통로 (41) 가 실린더 보어 (35) 와 축구멍 (11a) 을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흡입 통로 (41) 의 입구측의 개구부 (41a) 는, 시일 둘레면 (11b) 상에 있고, 홈형상 통로 (39) 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또, 흡입 통로 (41) 의 출구측 개구부 (41b) 는, 실린더 보어 (35) 내의 프론트측 압축실 (35a) 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 통로 (41) 는, 입구측 개구부 (41a) 가 출구측 개구부 (41b) 보다 리어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통로 (41) 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5 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서는, 1 개의 흡입 통로 (41) 만을 도시하고 있다.
회전축 (29) 의 회전에 수반하여,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는, 홈형상 통로 (39) 에 간헐적으로 연통하게 되어 있고, 홈형상 통로 (39) 에 도입된 흡입 냉매를 흡입 통로 (41) 를 통해 프론트측 압축실 (35a) 에 유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측 축구멍 (11a) 내에 배치되고, 또한 시일 둘레면 (11b) 에 의해 포위되는 회전축 (29) 부분은, 수용실 (13a) 로부터 노치 (40) 를 통해 프론트측 압축실 (35a) 에 냉매를 도입하므로, 노치 (40) 와 흡입 통로 (41) 를 순차 연통시키는 홈형상 통로 (39) 를 갖는 로터리 밸브 (42) 로 되어 있다. 또한, 노치 (40) 와 흡입 통로 (41) 와 홈형상 통로 (39) 에 의해 도입 통로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홈형상 통로 (39), 노치 (40) 및 흡입 통로 (41) 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는, 축구멍 (11a) 에 개구되는 노치 (40) 의 개구부 (40b) 와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의 위치 관계를 전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 에 있어서, 상하 방향이 축방향에 해당되고 상측이 리어측, 하측이 프론트측이며, 또, 좌우 방향이 원주 방향에 해당된다.
실린더 블록 (11) 에 형성되어 있는 5 개의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와 5 개의 노치 (40) 의 개구부 (40b) 는, 원주 방향으로 각각 등간격 (동일한 각도 간격) 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원주 방향의 배치 각도는 각각 상이하도록 서로 원주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는, 노치 (40) 의 개구부 (40b) 에 대해 각도 간격의 절반만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와 노치 (40) 의 개구부 (40b) 의 축방향의 거리를 g1 로 하고, 가장 근접하는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와 노치 (40) 의 개구부 (40b) 사이의 직선 거리를 g2 로 하고, 시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단 거리를 g0 으로 하면, g1<g2 이고, 또한 g2>g0 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와 노치 (40) 의 개구부 (40b) 는, 원주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시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축방향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5 에 있어서, 홈형상 통로 (39) 의 개구를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홈형상 통로 (39) 의 개구의 크기를, 축방향의 길이 거리를 m1 로 하고, 원주 방향의 길이 거리를 n1 로 한다. 이 홈형상 통로 (39) 의 개구는, 회전축 (29) 의 회전에 수반하여 원주 방향으로 이동한다.
길이 거리 m1 은,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의 전체와 겹치고, 노치 (40) 의 개구부 (40b) 의 일부와 겹치는 길이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이 길이 거리 m1 은,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와 노치 (40) 의 개구부 (40b) 의 축방향의 거리 g1 이 작을수록 짧게 설정할 수 있다.
또, 길이 거리 n1 은, 항상 최저 1 개의 노치 (40) 의 개구부 (40b) 와 홈형상 통로 (39) 의 개구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치 (40) 의 개구부 (40b) 를 통해 수용실 (13a) 과 홈형상 통로 (39) 는 항상 연통된 상태에 있다.
또한, 이 겹친 부분의 개구 면적 S1 (도 5 에 해칭으로 나타냄) 에 의해, 홈형상 통로 (39) 와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가 연통하여 프론트측 압축실 (35a) 에 냉매가 흡입될 때, 프론트측 압축실 (35a) 에 대한 냉매의 흡입량이 정해진다. 이 개구 면적 S1 을 크게 취할수록 프론트측 압축실 (35a) 에 흡입되는 냉매의 흡입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개구 면적 S1 은, 노치 (40) 의 각 개구부 (40b) 의 개구 면적이 클수록 크게 취해진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하우징 (13) 및 프론트측 실린더 블록 (11) 에는, 그것들을 관통하여 연통 통로 (43) 가 형성되어 있다. 연통 통로 (43) 는 도중에 밸브 플레이트 (22), 밸브 형성 플레이트 (23) 및 리테이너 형 성 플레이트 (24) 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연통 통로 (43) 는, 실린더 블록 (11) 의 하측에 위치하고, 서로 이웃하는 2 개의 실린더 보어 (35) 사이를 통과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참조).
연통 통로 (43) 의 입구 (43a) 는 사판실 (32) 에 개구되어 있고, 연통 통로 (43) 의 출구 (43b) 는 수용실 (13a) 에 개구되어 있다. 즉, 연통 통로 (43) 에 의해 수용실 (13a) 과 사판실 (32) 은 연통되어 있다. 또, 리어 하우징 (14) 에는, 흡입실 (20) 과 볼트 통과 구멍 (16) 을 연통하는 연통로 (44)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압축기 (10) 는, 프론트측 실린더 블록 (11) 의 실린더 보어 (35) 에 구획되는 프론트측 압축실 (35a) 과 리어측 실린더 블록 (12) 의 실린더 보어 (36) 에 구획되는 리어측 압축실 (36a) 에 대한 냉매의 흡입 구조로서 상이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프론트측 압축실 (35a) 에 대해서는, 수용실 (13a) 과 프론트측 압축실 (35a) 사이에 개재되고, 노치 (40) 와 흡입 통로 (41) 를 순차 연통시키는 홈형상 통로 (39) 를 갖는 로터리 밸브 (42) 에서 흡입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한편, 리어측 압축실 (36a) 에 대해서는, 흡입실 (20) 과 리어측 압축실 (36a) 사이에 개재되고, 흡입실 (20) 과 리어측 압축실 (36a) 의 차압에 의해 개폐되는 흡입 밸브 (28a) 에서 흡입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갖는 압축기 (10) 에 대해 작용을 설명한다.
압축기 (10) 에 있어서, 외부 냉매 회로의 냉매는, 흡입 구멍 (21) 을 통해 사판실 (32) 내에 흡입되고, 그 후에 연통 통로 (43) 를 통해 축봉 장치 (30) 의 흡입실에 상당하는 수용실 (13a) 에 도달한다.
그런데, 수용실 (13a) 과 각 노치 (40) 는, 밸브 플레이트 (22), 밸브 형성 플레이트 (23) 및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 (24) 에 각각 형성된 구멍 (22b, 23b, 24b) 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또, 홈형상 통로 (39) 는 항상 최저 1 개의 노치 (40) 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수용실 (13a) 과 홈형상 통로 (39) 는 항상 연통된 상태에 있다.
프론트측 실린더 보어 (35) 가 흡입 행정 상태 (즉, 양두 피스톤 (37) 이 도 1 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행되는 행정) 에 있을 때에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형상 통로 (39) 와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중 하나가 연통되고, 수용실 (13a) 내의 냉매는, 로터리 밸브 (42) 의 작용에 의해 홈형상 통로 (39) 및 흡입 통로 (41) 를 통해 하나의 프론트측 압축실 (35a) 에 흡입된다. 흡입 공정의 종료시에는, 홈형상 통로 (39) 는 개구부 (41a) 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완전하게 어긋나 흡입 통로 (41) 로부터 프론트측 압축실 (35a) 에 대한 냉매의 흡입이 정지된다.
한편, 실린더 보어 (35) 가 토출 행정 상태 (즉, 양두 피스톤 (37) 이 도 1 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행되는 행정) 에 있을 때에는, 프론트측 압축실 (35a) 내에 흡입된 냉매는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된 후, 토출 포트 (22a) 로부터 토출 밸브 (23a) 를 밀어 내어 토출실 (18) 에 토출된다. 그리고, 토출실 (18) 에 토출된 냉매는, 도시되지 않은 통로를 통해 토출 구멍으로부터 외부 냉매 회로에 유출된 다.
로터리 밸브 (42) 의 작용에 의해, 홈형상 통로 (39) 와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가 순차 연통되어 프론트측의 5 개의 실린더 보어 (35) 에 있어서 프론트측 압축실 (35a) 에 대한 냉매의 흡입, 압축, 토출의 각 행정이 순차 실시된다.
또, 리어측 실린더 보어 (36) 가 흡입 행정 상태 (즉, 양두 피스톤 (37) 이 도 1 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행되는 행정) 에 있을 때에는, 흡입실 (20) 로부터 흡입 포트 (25b), 흡입 밸브 (28a) 를 경유하여 리어측 압축실 (36a) 에 냉매가 흡입된다. 즉, 외부 냉매 회로의 냉매는, 흡입 구멍 (21) 을 통해 사판실 (32) 내에 흡입되고, 그 후에 볼트 통과 구멍 (16) 및 연통로 (44) 를 통해 흡입실 (20) 에 도달한다. 그리고, 흡입실 (20) 내의 냉매는, 당해 흡입실 (20) 과 리어측 압축실 (36a) 사이에 발생하는 차압 (압력차) 에 의해, 흡입 포트 (25b) 로부터 흡입 밸브 (28a) 를 밀어 내어 리어측 압축실 (36a) 에 흡입된다.
한편, 실린더 보어 (36) 가 토출 행정 상태 (즉, 양두 피스톤 (37) 이 도 1 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행되는 행정) 에 있을 때에는, 리어측 압축실 (36a) 내의 압축된 냉매가 토출 포트 (25a) 로부터 토출 밸브 (26a) 를 밀어 내어 토출실 (19) 에 토출된다. 그리고, 토출실 (19) 에 토출된 냉매는, 도시되지 않은 통로를 통해 토출 구멍으로부터 외부 냉매 회로에 유출된다.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 (10) 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1) 실린더 블록 (11) 에는, 프론트 하우징측 단면 (11c) 을 통과하여 수용 실 (13a) 과 축구멍 (11a) 을 연통하는 노치 (40)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 (40) 를 통해 프론트 하우징 (13) 의 내주측에 형성된 축봉 장치 (30) 의 수용실 (13a) 로부터 흡입 냉매를 회전축 (29) 의 외주에 형성된 홈형상 통로 (39) 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홈형상 통로 (39) 를 종래 기술과 같이 수용실 (13a) 측에 크게 연장시킬 필요가 없어 홈형상 통로 (39) 의 축방향 길이 m1 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회전축 (29) 에 개재되어 장착되는 축봉 장치 (30) 의 배치 위치를 밸브 형성 플레이트 (23) 에 접근시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회전축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압축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프론트 하우징측 단면 (11c) 을 통과하여 수용실 (13a) 과 축구멍 (11a) 을 연통하는 연통로가, 축구멍 (11a) 의 프론트 하우징측 개구부의 에지부에 형성된 복수의 노치 (40) 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통로를 구멍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연통로의 개구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프론트측 압축실 (35a) 에 냉매나 윤활유를 보다 많이 도입할 수 있다. 또, 구멍 형성의 경우와 비교하여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3) 축구멍 (11a) 에 개구되는 노치 (40) 의 개구부 (40b) 와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의 위치 관계를 전개도에서 보면, 각각 인접하는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사이에 각 노치 (40) 의 개구부 (40b) 가 위치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각도 간격의 절반만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고,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와 노치 (40) 의 개구부 (40b) 의 축방향의 거리 g1 과, 가장 근접하는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와 노치 (40) 의 개구부 (40b) 사이의 직선 거리 g2 사이에는 g1<g2 이고, 또한 g2>g0 의 관계가 있다 (단, g0 은 시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단 거리임). 따라서, 직선 거리 g2 가 최단 거리 g0 이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시일성을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축방향의 거리 g1 은 직선 거리 g2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노치 (40) 의 개구부 (40b) 와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를 축방향으로 접근하여 배치할 수 있고, 홈형상 통로 (39) 의 축방향 길이 m1 을 가장 짧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4) 수용실 (13a) 및 흡입실 (20) 은, 사판실 (32) 을 통해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 구멍 (21) 과 연통되어 있으므로, 흡입 구멍 (21) 으로부터 윤활유를 함유한 냉매가 사판실 (32) 에 도입되고, 사판실 (32) 내에 있어서의 슬라이딩부의 윤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사판실 (32) 로부터의 냉매를 축봉 장치 (30) 의 수용실 (13a) 경유로 로터리 밸브 (42) 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음으로써, 축봉 장치 (30) 를 냉매에 의해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축봉 장치 (30) 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 (50) 에 대해 도 6∼도 8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압축기 (50)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치 (40) 의 형상을 변경한 것이며, 그 밖의 구성은 공통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설명에서 사용한 부호를 일부 공통적 으로 사용하고,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변경된 곳만 설명한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 (11) 에 있어서의 축구멍 (11a) 의 프론트 하우징측 개구부의 에지부에는, 테이퍼형상 연통로 (51) 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형상 연통로 (51) 는, 프론트 하우징측 단면 (11c) 을 통과하여 수용실 (13a) 과 축구멍 (11a) 을 연통하는 연통로에 상당한다. 테이퍼형상 연통로 (51) 는, 원주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 (29) 에 형성되어 있는 홈형상 통로 (52) 와는 항상 연통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홈형상 통로 (52), 테이퍼형상 연통로 (51) 및 흡입 통로 (41) 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은, 축구멍 (11a) 에 개구되는 테이퍼형상 연통로 (51) 와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의 위치 관계를 전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 에 있어서, 상하 방향이 축방향에 해당되고 상측이 리어측, 하측이 프론트측이고, 또, 좌우 방향이 원주 방향에 해당된다.
도 8 의 전개도 상에서는, 테이퍼형상 연통로 (51) 는 좌우 방향으로 띠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와 테이퍼형상 연통로 (51) 의 축방향의 거리를 g3 으로 하고, 시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단 거리를 g0 으로 하면, g3>g0 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와 테이퍼형상 연통로 (51) 는, 제 1 실시형태와는 달리, 비스듬하게 어긋나게 하여 형 성할 수 없기 때문에, 축방향의 거리 g3 이 최단 거리 g0 이상으로 되어 있다.
도 8 에 있어서, 홈형상 통로 (52) 의 개구를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홈형상 통로 (52) 의 개구의 크기를 축방향의 길이 거리를 m2 로 하고, 원주 방향의 길이 거리를 n2 로 한다. 이 홈형상 통로 (52) 의 개구는 회전축 (29) 의 회전에 수반하여 원주 방향으로 이동한다.
길이 거리 m2 는,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의 전체와 겹치고, 테이퍼형상 연통로 (51) 의 일부와 겹치는 길이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길이 거리 m2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길이 거리 m1 보다 길게 되어 있다.
테이퍼형상 연통로 (51) 는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홈형상 통로 (52) 와 테이퍼형상 연통로 (51) 는, 회전축 (29) 의 회전 각도와 상관 없이 항상 겹친 상태에 있고, 테이퍼형상 연통로 (51) 를 통해 수용실 (13a) 과 홈형상 통로 (52) 는 항상 연통된 상태에 있다.
또한, 이 겹친 부분의 개구 면적 S2 (도 8 에 해칭으로 나타낸다) 에 의해, 홈형상 통로 (39) 와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가 연통되어 프론트측 압축실 (35a) 에 냉매가 흡입될 때, 프론트측 압축실 (35a) 에 대한 냉매의 흡입량이 정해진다. 이 개구 면적 S2 를 크게 취할수록 프론트측 압축실 (35a) 에 흡입되는 냉매의 흡입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1), (4) 및 (5) 와 동일한 효과에 추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6) 프론트 하우징측 단면 (11c) 을 통과하여 수용실 (13a) 과 축구멍 (11a) 을 연통하는 연통로가, 에지부에 형성된 테이퍼형상 연통로 (51) 로 되어 있으므로, 연통로의 개구 면적을 더욱 크게 취할 수 있다. 또, 노치나 구멍 가공과 비교하여, 절삭 가공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더욱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 1, 제 2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g1≤0, 즉 개구부 (41a) 와 개구부 (40b) 가 축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홈형상 통로 (39) 의 축방향 길이 m1 을 더욱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하우징측 단면 (11c) 을 통과하여 수용실 (13a) 과 축구멍 (11a) 을 연통하는 연통로를 복수의 노치 (40) 로 하여 설명했지만, 노치 (40) 대신에 연통 구멍으로 해도 된다.
○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흡입 통로 (41) 의 개구부 (41a) 는, 노치 (40) 의 개구부 (40b) 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각도 간격의 절반만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어긋나게 하는 각도 간격은 절반이 아니어도 된다.
○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하우징측 단면 (11c) 을 통과하여 수용실 (13a) 과 축구멍 (11a) 을 연통하는 연통로를 테이퍼형상 연통로 (51) 로 설명했지만, 테이퍼형상 연통로 (51) 대신에 스폿 페이싱 홀로 해도 된다.
○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사판실 (32) 경유로 수용실 (13a) 및 흡입실 (20) 에 흡입 구멍 (21) 으로부터 냉매를 흡입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흡입 구멍 (21) 으로부터 수용실 (13a), 또는 흡입실 (20) 까지의 통로를 프론트 하우징 (13), 또는 리어 하우징 (14) 내에 형성해도 된다.
○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편측 5 기통, 양측에서 10 기통의 압축기로 설명했지만, 기통수를 변경해도 된다.
○ 리어측 압축실 (36a) 에 대한 냉매의 흡입 구조로서 흡입 밸브 (28a) 에서 흡입하는 구조 대신에 로터리 밸브를 사용해도 된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로터리 밸브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 과는 원주 방향 단면이 상이하다).
도 3 은 도 1 에 있어서의 A-A 선측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있어서의 B-B 선측 단면도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축구멍에 개구되는 노치와 흡입 통로 및 홈형상 통로의 원주 방향 및 축방향의 위치 관계를 전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의 도 3 에 상당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8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도 5 에 상당하는 전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11 : 실린더 블록
11a : 축구멍 11c : 프론트 하우징측 단면
13 : 프론트 하우징 13a : 수용실
14 : 리어 하우징 29 : 회전축
30 : 축봉 장치 31 : 사판
32 : 사판실 35 : 실린더 보어
35a : 프론트측 압축실 37 : 양두 피스톤
39 : 홈형상 통로 40 : 노치
40b : 개구부 41 : 흡입 통로
41a : 개구부 42 : 로터리 밸브
43 : 연통 통로
m1 : 홈형상 통로의 축방향의 길이
n1 : 홈형상 통로의 원주 방향의 길이
g1 : 흡입 통로와 노치의 축방향의 거리
g2 : 흡입 통로와 노치의 직선 거리
g0 : 시일성 확보를 위한 최단 거리

Claims (7)

  1.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고, 복수의 실린더 보어를 갖는 실린더 블록과, 그 복수의 실린더 보어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 장착된 양두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블록 내에 형성된 회전축 수용 구멍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과, 그 회전축과 함께 상기 실린더 블록 내에 형성된 사판실의 실내에서 회전하고, 상기 실린더 보어 내에서 상기 양두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키는 사판을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회전축 사이에 형성된 축봉 장치와, 상기 실린더 보어 내의 프론트측에 구획된 압축실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내주측에 형성된 흡입실과, 상기 흡입실로부터 상기 압축실에 냉매를 흡입하는 도입 통로와, 상기 도입 통로에 형성된 로터리 밸브를 구비한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로서,
    상기 도입 통로는, 상기 실린더 블록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실과 상기 회전축 수용 구멍을 연통하는 연통로와, 상기 회전축 수용 구멍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하는 흡입 통로와,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연통로와 상기 흡입 통로를 순차 연통시키는 홈형상 통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연통로는, 상기 회전축 수용 구멍의 상기 프론트 하우징측 개구부의 에지부에 형성된 노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와 상기 흡입 통로는, 각각의 상기 회전축 수용 구멍의 내주측에 개구되는 개구부의 원주 방향의 배치 각도가 서로 상이하게 원주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수용 구멍의 둘레면 상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로와 상기 흡입 통로의 개구부는, 각각 상기 둘레면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흡입 통로의 개구부는, 상기 연통로의 개구부에 대해 상기 각도 간격의 절반만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는, 상기 회전축 수용 구멍의 상기 프론트 하우징측 개구부의 에지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6.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실은, 상기 축봉 장치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7.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실은, 상기 사판실을 통해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KR1020090022977A 2008-05-29 2009-03-18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KR101047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1072 2008-05-29
JP2008141072A JP5045555B2 (ja) 2008-05-29 2008-05-29 両頭ピストン型斜板式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921A KR20090124921A (ko) 2009-12-03
KR101047825B1 true KR101047825B1 (ko) 2011-07-08

Family

ID=41380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977A KR101047825B1 (ko) 2008-05-29 2009-03-18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97229B2 (ko)
JP (1) JP5045555B2 (ko)
KR (1) KR101047825B1 (ko)
CN (1) CN1015921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8588B2 (ja) * 2011-03-31 2013-06-2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両頭ピストン型斜板式圧縮機
US20130343922A1 (en) * 2011-03-31 2013-12-26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Swash-plate-type compressor
KR20160119815A (ko) * 2014-02-07 2016-10-14 토르벡 인코포레이티드 축방향 피스톤 디바이스
WO2015199207A1 (ja) * 2014-06-27 2015-12-30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可変容量斜板式圧縮機
DE102017203928A1 (de) * 2017-03-09 2018-09-13 Mahle International Gmbh Axialkolbenmaschine
JP6977651B2 (ja) * 2018-03-30 2021-12-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式圧縮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265A (ko) * 2003-03-18 2004-09-24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KR20070014001A (ko) * 2005-07-27 2007-01-31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KR20080025188A (ko) * 2005-10-17 2008-03-19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KR20080029077A (ko) * 2006-09-28 2008-04-03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258B2 (ja) * 1985-10-04 1995-06-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可変容量圧縮機
US5429482A (en) * 1991-09-11 1995-07-04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Reciprocatory piston type compressor
US5267839A (en) * 1991-09-11 1993-12-07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Reciprocatory piston type compressor with a rotary valve
US5765996A (en) * 1994-04-08 1998-06-16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Vibration preventing structure i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0167631B1 (ko) * 1994-11-25 1999-03-20 이소가이 찌세이 사판식 압축기
JP4016556B2 (ja) * 1999-12-17 2007-12-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JP4096703B2 (ja) * 2001-11-21 2008-06-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冷媒吸入構造
JP3890966B2 (ja) * 2001-12-06 2007-03-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固定容量型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JP2003247486A (ja) * 2001-12-21 2003-09-05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JP2004239067A (ja) * 2003-02-03 2004-08-26 Honda Motor Co Ltd 回転流体機械
US7367783B2 (en) * 2003-03-07 2008-05-06 Honda Motor Co., Ltd. Rotating fluid machine
JP4062265B2 (ja) * 2004-02-24 2008-03-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圧縮機
JP2006291751A (ja) * 2005-04-06 2006-10-26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08075460A (ja) * 2006-09-19 2008-04-03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
JP4730317B2 (ja) * 2007-02-02 2011-07-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JP2008286109A (ja) * 2007-05-17 2008-11-27 Toyota Industries Corp 固定容量型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冷媒吸入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265A (ko) * 2003-03-18 2004-09-24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KR20070014001A (ko) * 2005-07-27 2007-01-31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KR20080025188A (ko) * 2005-10-17 2008-03-19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KR20080029077A (ko) * 2006-09-28 2008-04-03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97369A1 (en) 2009-12-03
US8197229B2 (en) 2012-06-12
JP5045555B2 (ja) 2012-10-10
KR20090124921A (ko) 2009-12-03
CN101592141B (zh) 2012-03-07
JP2009287465A (ja) 2009-12-10
CN101592141A (zh)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825B1 (ko) 양두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US8899943B2 (en) Double-headed piston type swash plate compressor
US9127660B2 (en) Piston compressor
US7811066B2 (en) Double-headed piston type compressor
US6862975B2 (en) Apparatus for lubricating piston type compressor
JP3855949B2 (ja)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KR100594334B1 (ko)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구조
WO2003095834A1 (fr) Compresseur alternatif
US20070177991A1 (en) Oil separation structure in compressor
JP2003247486A (ja)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KR20100004046A (ko)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흡입 구조
US8419382B2 (en) Piston compressor
KR101534601B1 (ko)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
US20130343922A1 (en) Swash-plate-type compressor
US6050783A (en) Reciprocating compressor in which a blowby gas can be returned into a suction chamber with a lubricating oil within a crank chamber kept at a sufficient level
JP2007002853A (ja) 固定容量型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KR100279155B1 (ko) 왕복 피스톤형의 냉매 압축기
JP3666170B2 (ja) 斜板型圧縮機
JP3114384B2 (ja)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冷媒ガス吸入構造
KR101059063B1 (ko) 압축기의 오일분리구조
KR101599548B1 (ko) 압축기
JPH06159240A (ja)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冷媒ガス吸入構造
JP2009167804A (ja)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