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900B1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900B1
KR101043900B1 KR1020030085367A KR20030085367A KR101043900B1 KR 101043900 B1 KR101043900 B1 KR 101043900B1 KR 1020030085367 A KR1020030085367 A KR 1020030085367A KR 20030085367 A KR20030085367 A KR 20030085367A KR 101043900 B1 KR101043900 B1 KR 101043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fitting
fishing rod
trunk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8821A (ko
Inventor
하라다타카후미
타니가와쇼타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048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제조시에 있어서 엄격한 치수 관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수납 조작을 매끄럽게 행할 수 있으며, 간선측(竿先側) 장대와 장대 기단측 장대를 수납 상태에서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게다가, 장기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장대 기단측 장대(1), 당해 장대 기단측 장대(1)에 뽑을 수 있게 삽입된 간선측 장대(2), 서로 감합(嵌合)하는 것으로 간선측 장대(2)를 장대 기단측 장대(1) 내에 수납한 수납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는 웅감합부(3)와 자감합부(4)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3, 4) 중 적어도 한쪽은, 다른 편의 감합부에 대응하여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는 가동부(可動部)(41)를 구비하고 있다.
Figure R1020030085367
원대, 원상대, 뒷마개, 캡, 고무좌, 슬릿

Description

낚싯대{FISHING RO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싯대의 뒷마개 및 원상 뒷마개 근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뒷마개와 원상 뒷마개가 감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싯대의 뒷마개 및 원상 뒷마개 근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뒷마개와 원상 뒷마개가 떨어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와 관련되는 뒷마개 및 원상 뒷마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되는 낚싯대의 장대 기단측의 소정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대 (장대 기단측 장대) 2: 원상대 (간선측 장대)
3: 뒷마개 (웅감합부) 4: 원상 뒷마개 (자감합부)
5, 65: 압박 부재 10, 20: 암나사부
30: 뒷마개 본체 31: 캡
32: 수나사부 33: 나합부
34: 감합 돌부 35: 연결부
40, 60: 외벽부 41, 61: 가동부
41a, 61a: 소경부 41b, 61b: 대경부
42, 62: 연결부 43, 63: 고무좌
44, 64: 수나사부 45: 슬릿
본 발명은 낚싯대, 특히 간선측(竿先側) 장대를 장대 기단측 장대 내에 수납한 수납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는 뽑이식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장대를 뽑을 수 있게 수납된 뽑이 장대가 알려져 있다. 이 뽑이 장대는 서로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장대로 구성되고, 장대 기단측 장대만큼 그 직경이 커서, 간선측 장대를 그 장대 기단측 장대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가장 장대 기단측 장대 (이른바 원대)에, 그것보다 간선측 장대를 순차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컴팩트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원대에 잇따르는 간선측 장대, 즉, 원대로부터 세어 2번째에 위치하는 장대는 일반적으로 원상대로 부른다.
한편, 낚시를 할 때에는, 수납되어 있는 각 장대를 원대의 간선측 단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뽑아 사용하지만, 이 때, 각 장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 내주면이 그 것에 잇따르는 장대 기단측 장대의 간선측 단부의 외주면에 감합(嵌合)하는 것에 의하여, 각 장대가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원대로부터 초릿대까지 일직선으로 연결된 상태로 뽑이 장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뽑이 장대에는, 상황에 따라 사용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낚싯대도 존재한다. 이것은, 이른바 신축 기구를 채용한 신축식의 뽑이 장대로, 예를 들면, 원대에 원상대를 삽입한 상태, 일반적으로는 원상대의 대략 전체 길이를 원대 내에 삽입하는 것으로부터 수납 상태로 불리는 이 상태에 있어서, 원상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원대의 장대 기단측 단부와 감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마찰 저항에 의해 그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원상대를 원대로부터 완전히 뽑은 상태 (이것은 신장 상태로 일컫는다)로 고정하는 것 외에, 수납 상태에서도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시꾼은 이들 두가지의 고정 상태를 적당히 분간하여 사용함에 따라 장대의 사용 길이를 상황에 맞게 변경하면서 낚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8-266194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신축식의 낚싯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 상태에서 원대와 원상대가 양자의 마찰 저항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시 적정한 감합 상태를 얻기 위한 엄격한 치수 관리가 요구된다. 구체적으로는, 원대와 원상대를 리머(reamer)를 이용하여 직접 대고 맞추는 것에 의하여 치수 를 조정하지만, 이 조정 작업의 번잡함에 의해 제조 비용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리머 등의 사용에 의해 감합면이 거칠어지기 쉽기 때문에, 매끄러운 감합 상태로 되기 어렵다. 게다가, 양자의 치수 정밀도에 기인한 마찰 저항에 의하여 감합력을 얻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기 사용에 의해 마모가 생길 경우에는 치수 정밀도가 악화되는 결과, 감합 상태 (감합력)가 변화하기 쉽다는 문제도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에 감안하여, 제조시에 있어서 엄격한 치수 관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수납 조작을 매끄럽게 할 수 있으며, 간선측 장대와 장대 기단측 장대를 수납 상태에서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게다가 장기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장대 기단측 장대(1), 당해 장대 기단측 장대(1)에 뽑을 수 있도록 삽입된 간선측 장대(2), 서로 감합하는 것으로 간선측 장대(2)를 장대 기단측 장대(1) 내에 수납한 수납 상태에서 고정 가능한 웅감합부(3)와 자감합부(4)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3, 4) 중 적어도 한쪽은 다른쪽의 감합부에 대응하여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는 가동부(可動部)(41)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낚싯대에 의하면, 웅감합부(3)와 자감합부(4)가 감합하는 것으로써 장대 기단측 장대(1)와 간선측 장대(2)를 수납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웅감합부(3) 및 자감합부(4)에 다소의 치수 오차가 있어도, 한쪽의 감합부에 설치 된 가동부(41)가 다른쪽의 감합부에 맞추어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양 감합부(3, 4)를 확실하고 매끄럽게 감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자감합부(4)를 웅감합부(3)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으로 가동부(41)를 적극적으로 탄성 변형시켜, 당해 가동부(41)의 탄성력에 의해 다른쪽의 감합부에 직경 방향으로부터 고정력이 생기게 하여 양 감합부(3, 4)를 감합 상태로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양자의 치수 정밀도에만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직경 방향의 탄성 변형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에 의하여 마모되어도 감합 상태는 변화되기 어렵고, 안정된 감합력이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가동부(41)는 직경 방향으로 가요성(可撓性)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낚싯대에 따르면, 간선측 장대(2)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장대 기단측 장대(1) 내에 수납하면 가동부(41)가 직경 방향으로 휘게 되어 있다. 즉, 자감합부(4)가 웅감합부(3)보다 작은 경우, 가동부(41)가 웅감합부(3)의 이동에 수반되어 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일 없이,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상기 가동부(41)가 환상(環狀)으로 배치된 축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가요편(可撓片)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낚싯대에 의하면, 양 감합부(3, 4)가 감합 상태로 되었을 때, 직경 방향으로 휜 복수의 가동부(41)의 탄성력이 다른쪽의 감합부의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작용하기 때문에, 양 감합부(3, 4)를 안정된 상태로 감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낚싯대는, 양 감합부(3, 4)의 고정력이 커지는 방향으로 가동부(41)를 압박하는 압박 부재(6)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낚싯대에 의하면, 양 감합부(3, 4)의 고정력이 더 커지기 때문에, 장대 기단측 장대(1)와 간선측 장대(2)를 수납 상태에서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가동부(41)와 동심에 배치되어 양 감합부(3, 4)의 고정력이 커지는 방향으로 각 가동부(41)를 압박하는 환상의 압박 부재 (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렇게 하면, 장대 기단측 장대(1)와 간선측 장대(2)를 수납 상태에서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예에서의 낚싯대 장대 기단측의 소정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은 원대(1)에 원상대(2)가 최대한 삽입된 이른바 수납 상태이며, 도 2는 수납 상태로부터 원상대(2)를 간선측으로 소정량만 뽑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상대(2)는 원대(1)에 뽑을 수 있게 삽입되어 있고, 원대(1)에 대해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원상대(2)가 간선측 장대에, 원대(1)가 장대 기단측 장대에 해당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원상대(2)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장대가 순차적으로 뽑을 수 있게 삽입되어 있다. 이들 장대를 원상대(2)로부터 뽑았을 때, 일반적으로 가장 간선측에 위치하는 것을 초릿대, 당해 초릿대와 원상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중대라 칭한다.
상기 원대(1) 및 원상대(2)는 간선측을 향하여 소경화하는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 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대(1)보다 원상대(2)를 소경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원대(1)의 내부에 원상대(2)가 넣어져 있다. 또한, 원대(1)의 간선측 단부의 내주면은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외주면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대(1)의 간선측 단부로부터 원상대(2)가 최대한 뽑힌 이른바 신장 상태에 있어서, 간선측 단부의 내주면이 원상대(2)의 간선측 단부의 외주면과 감합하는 것으로써, 원대(1)와 원상대(2)가 신장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러한 원대(1) 및 원상대(2)는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 등의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含浸)시킨 프리프레그(prepreg)를 이용하여 성형되고, 경화시킬 수 있도록 소성(燒成)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싯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감합하는 것으로 원대(1)와 원상대(2)를 수납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는 뒷마개(웅감합부)(3)와 원상 뒷마개(자감합부)(4)가 설치되어 있다. 뒷마개(3)는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과 함께, 원상 뒷마개(4)는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장착되어 있어, 원상대(2)를 원대(1)로 수납하면 원상 뒷마개(4)와 뒷마개(3)가 서로 감합하여 (원상 뒷마개(4)로 뒷마개(3)가 감입(嵌入)하여) 원대(1)와 원상대(2)가 수납 상태에서 고정된다. (도 1 참조)
상기 뒷마개(3)는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 (10)로 탈착 가능하게 나합(螺合)되어, 해당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개구( 開口)를 폐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뒷마개(3)는 상기 암나사부(10)로 나착(螺着)된 뒷마개 본체(30)와, 고무나 금속, 또는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당해 뒷마개 본체(30)에 설치된 캡(31)을 구비하여, 원대(1)에 장착했을 때 캡(31)이 장대 기단측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하는 것에 의해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보호되어 있다.
뒷마개 본체(30)는 원반 형상의 베이스(35)와, 당해 베이스(35)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간선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설치된 나합(螺合)부(33)와, 당해 나합부(33)의 안쪽에서 베이스(35)로부터 간선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설치된 감합 돌기(3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나합부(3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外周面)에는 상기 암나사부(10)와 나사로 감합하는 수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감합 돌부(突部)(34)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나합부(33)와 동심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뒷마개(3)를 원대(1)에 장착했을 때 감합 돌부(34)의 축선과 원대(1)의 축선이 같은 축으로 된다. 또한, 감합 돌부(34)는 그 직경이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내경(內徑)의 거의 1/2로 치수가 설정되어 있고, 그 선단부 (간선측 단부)의 외주면이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상 뒷마개(4)는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20)에 나착되어 있고, 상기 뒷마개(3)와 감합하는 것으로, 뒷마개(3)의 형상에 맞추어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상 뒷마개(4)는 대략 원통 형상의 외벽부(40)와, 당해 외벽부(40)의 안쪽에 배치된 복수의 가동부(41)와, 외벽부(40)와 가동부 (41) 각각의 간선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외벽(40)은 그 외경(外徑)이 원상대(2)의 간선측 단부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간선측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수나사부(44)가 상기 암나사부(20)와 나합하는 것에 의하여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동부(41)는 외벽부(40)의 안쪽에 소정의 환상 간극(間隙)을 통하여 외벽부(40)와 동심이 되도록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가동부 (4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요편에 형성되어 가동부(41)에 의해 상기 감합 돌부(34)가 삽입될 수 있는 원기둥 형상의 삽입 공간(46)이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가동부(41)는 원통 형상의 통체(筒體)를 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슬릿(45)에 의해 둘레 방향을 분단하는 것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편에 형성되고, 그 직경 방향 단면이 부채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슬릿(45)은 직경 방향에 같은 간격을 두고 4곳에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가동부(41)는 합계 4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부(41)의 둘레 방향 길이는 슬릿(45)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부(41)와 감합 돌부(34)와는 축 방향 길이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고, 그 길이는 감합 돌부(34)의 외경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가동부(41)는 연결부(42)를 지점으로 하여 직경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삽입 공간(46)에 감합 돌부(34)가 삽입되면, 직경 방향으로 탄 성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가동부(41)에 의해 형성된 삽입 공간(46)의 직경 (이하, 가동부(41)의 내경이라 칭한다) 중, 적어도 선단부 (장대 기단측 단부)의 직경은 감합 돌부(34)의 외경보다 약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원상 뒷마개(4)의 삽입 공간(46)에 감합 돌부(34)를 삽입하는 것으로 가동부(41)가 직경 바깥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부(41)는 해당 가동부(41)의 내경이 감합 돌부(34)의 외경보다 약간 소경으로 형성된 소경(小徑)부(41a)와, 감합 돌부(34)의 외경보다 약간 대경으로 형성된 대경(大徑)부(41b)로 구성되고, 소경부(41a)는 대경부(41b)의 장대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가동부(41)의 선단부가 소경부(41a)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부(41)는 소경부(41a)가 감합 돌부(34)와 감합하는 것으로 직경 방향으로 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소경부(41a)의 축 방향의 길이는 대경부(41b)의 것보다 짧게 치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감합 돌부(34)의 외경을 12.5mm로 형성한 경우, 가동부(41)의 소경부(41a)의 내경을 12.3mm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가동부(41)의 선단부 내경이 감합 돌부(34)의 외경의 98.4%정도의 길이로 치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부(41)의 선단부는 외벽부(40)의 것보다 약간 장대 기단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원상대(2)를 원대(1) 내에 삽입했을 때, 가동부(41)의 선단부가 뒷마개(3)에 설치된 환상의 쿠션 고무(36)에 맞닿아 접하는 것으로, 원상대(2)의 수납 상태에서 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뒷마개 본체(30)와 원상 뒷마개(4)의 재질에 대해서 언급하면, 양자는 일반적으로는 합성 수지 (특히 접동성(접촉하여 미끄러져 움직이는 성질,摺動性)이 좋은 합성 수지)로 구성된다. 합성 수지로서는 ABS나 PB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된다.
상세하게는, 뒷마개 본체(30)에는 PC/ABS계 폴리머 알로이(polymer alloy)나, 유리 함유의 PBT 등이 사용된다. 유리 함유 PBT의 유리 함유율은 20% 내지 30%가 바람직하고, 특히, 유리 섬유를 30% 함유한 것이나, 글래스 비드(glass beads)를 20% 함유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상 뒷마개(4)에는 뒷마개 본체(30)로 사용되는 상기의 것 외에, 예를 들면, PC도 사용된다.
또한, 뒷마개 본체(30)와 원상 뒷마개(4) 각각의 재질의 조합은 임의로, 양자를 같은 종류의 것으로 하거나 다른 종류로 하거나 한다. 예를 들면, 뒷마개 본체(30)와 원상 뒷마개(4)의 쌍방에, PC/ABS계 폴리마 알로이 (예를 들면, 테이진카세이(帝人化成) 주식회사제의 상품명 마루티론)를 사용하거나, 쌍방에 같이 유리 섬유를 30% 함유한 PBT를 사용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뒷마개 본체(30)나 원상 뒷마개(4)에 도금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Ni-Ni-Cr도금이 바람직하다. 또한, 뒷마개 본체(30)에 도금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감합 돌기(34)에만 도금을 실시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원상 뒷마개(4)에는 압박 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당해 압박 부재 (5)는 환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경이 가동부(41)의 선단부 (소경부(41a))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치수 설정되어 있는 것과 함께, 축 방향 길이가 소경부(41a)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소경부(41a) 외주에 외부가 감합하여 장착되어 있다. 즉, 압박 부재(5)에 의하여 가동부(41)가 직경 안쪽 방향으로 압박되어, 소경부(41a)의 내경이 감합 돌부(34)의 외경보다 더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박 부재(5)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소경부(41a)의 내경이 11.8mm로 치수 설정된다. 즉, 압박 부재(5)에 의해 소경부(41a)의 내경이 감합 돌부(34)의 외경의 94.4%정도의 길이로 치수가 설정된다.
이러한 압박 부재(5)는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박 부재(5)는 원상 뒷마개(4)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원상 뒷마개(4)의 간선측에는 대략 원반 형상의 고무좌(43)가 설치되어 있다. 당해 고무좌(43)는 그 외경이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바깥 고무좌(43)에 의해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대나 초릿대를 원대(1) 내에 수납했을 때, 그들 장대 기단측 단부가 맞닿아 접하는 것으로 쿠션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이상과 같이 형성되어, 완전히 뽑은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하면, 뒷마개(3)의 감합 돌부(34)가 원상 뒷마개(4)의 가동부(4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 뒷마개(3)와 원상 뒷마개(4)가 감합하여 원대(1)와 원상대(2)가 수납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 때, 가동부(41)가 직경 방향으 로 탄성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감합 돌부(34)의 외경 치수와 가동부(41)의 내경 (삽입 공간(46)의 외경) 치수에 다소 불균형이 있어도 뒷마개(3)와 원상 뒷마개(4)를 감합시켜, 원대(1)와 원상대(2)를 수납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부(41)의 소경부(41a)의 내경을 감합 돌부(34)의 외경보다 적극적으로 소경으로 하는 것으로, 감합 상태에서는 가동부(41)가 직경 바깥쪽으로 휘어 당해 가동부(41)의 탄성력에 의해 뒷마개(3)와 원상 뒷마개(4)의 고정력이 생기기 때문에, 원대(1)와 원상대(2)를 수납 상태에서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직경 방향의 탄성 변형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감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수납 조작도 매끄럽게 할 수 있고, 게다가, 장기 사용에 의해 만일 마모되었다고 해도 양자의 감합 상태는 변화하기 어렵고, 따라서, 장기간 안정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가동부(41)는 합성 수지로부터 이루어지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편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감합 돌부(34)를 감입할 때, 가동부(41)가 감합 돌부(34)와의 마찰에 의해 축 방향으로 휘는 일 없이, 직경 방향으로만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뒷마개(3)를 원상 뒷마개(4)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가동부(41)를 소경부(41a)와 대경부(41b)로 형성함과 함께, 축 방향에서 소경부(41a)를 대경부(41b)보다 짧게 치수를 설정하는 것으로써, 감합 돌부(34)와 가동부(41)와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하여, 삽입시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원상 뒷마개(4)에는 가동부(41)를 직경 안쪽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뒷마개(3)와 원상 뒷마개(4)와의 고정력을 더 증 가시킬 수 있다. 즉, 뒷마개(3)와 원상 뒷마개(4)가 감합 상태시에, 압박 부재(5)에 의해 가동부(41)의 직경 안쪽 방향으로의 탄성력이 더 커지기 때문에, 원대(1)와 원상대(2)를 수납 상태에서 확실히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당해 압박 부재(5)를 원상 뒷마개(4)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면, 장시간 사용하여 압박 부재(5)가 시간의 변화 등에 의해 상태가 나빠질 경우, 당해 압박 부재(5)를 새로운 것과 교환하는 것으로 뒷마개(3)와 원상 뒷마개(4)와의 고정력을 회복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 계수가 다른 각종 압박 부재(5)를 준비해 두면, 고정력을 조절하여 낚시꾼의 기호에 따라 바람직한 강도의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뒷마개(3) 및 원상 뒷마개(4)는 원대(1) 및 원상대(2)에 각각 나착하고 있기 때문에, 감합 돌부(34) 및 가동부(41)가 마모했을 때, 뒷마개(3) 및 원상 뒷마개(4)를 교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원대(1)와 원상대(2) 각각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설치된 뒷마개(3)와 원상 뒷마개(4)가 감합하기 때문에, 수축 상태는 즉 원상대(2)가 원대(1)에 최대한 삽입되었을 때이다. 따라서, 장대 사용 길이를 원대(1)의 대략 전체 길이 분 변경할 수 있어 신축 기구의 효율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도 5를 참작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에서 도 1에 도시하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2 실시예는 원상 뒷마개(4)의 구조가 상기 도 1에 도시하는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원상 뒷마개(4)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의 외벽부 (60)와 외벽부(60)의 안쪽에 소정의 환상 간극을 통하여 환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가동부(61)를 구비하고, 가동부(61)에 의하여 감합 돌부(34)가 삽입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삽입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벽부(60)와 가동부(61)는 각각의 간선측 단부에서 연결부(62)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가동부(61)는 장대 기단측 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벽부(60)의 간선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형성된 암나사부(20)와 나사로 감합하는 수나사부(64)가 형성되어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나착되어 있다.
가동부(61)는 그 내경 (삽입 공간의 직경)이 감합 돌부(34)의 외경보다 약간 소경으로 형성된 소경부(61a)와 감합 돌부(34)의 외경보다 약간 대경으로 형성된 대경부(61b)로 구성되고, 소경부(61a)는 대경부(61b)의 장대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가동부(61)의 기단부 (장대 기단측 단부)가 소경부(61a)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부(61)는 소경부(61a)가 감합 돌부(34)와 감합하는 것으로 직경 방향으로 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소경부(61a)의 축 방향의 길이는 대경부(61b)의 것보다 짧게 치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상 뒷마개(4)의 간선측 단부에는, 대략 원반 형상의 고무좌(63)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고무좌(63)에는 장대 기단측을 향하여 대략 환상의 압박 부재(65)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고무좌(63)와 압박 부재(65)는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압박 부재(65)의 내경은 가동부(61)의 선단부 (대경부(61b))의 외경보다 약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가동부(61)를 직경 안쪽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무좌(63) 및 압박 부재(65)는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다.
본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낚싯대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감합 돌부 (34)가 가동부(61)에 의해 형성된 삽입 공간에 삽입되면 가동부(61)가 직경 바깥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뒷마개(3)와 원상 뒷마개(4)를 용이하게 감합시켜, 원대(1)와 원상대(2)를 수납 상태에서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압박 부재(65)와 고무좌(63)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부품수를 삭감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싯대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더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부(41, 61)는 원상 뒷마개(4)에 설치되어 있지만, 뒷마개(3)에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감합 돌부(34)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을 설치하는 것에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요편 (가동부)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그렇게 하면, 감합 돌부(34)가 직경 안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므로 치수에 다소의 불균형이 있어도, 뒷마개(3)와 원상 뒷마개(4)를 용이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즉, 뒷마개(3)와 원상 뒷마개(4) 중의 한쪽이,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압박 부재(5, 65)는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가동부(41, 61)의 탄성력으로 뒷마개(3)와 원상 뒷마개(4)와의 고정력이 충분히 발생하고, 원대(1)와 원상대(2)가 수납 상태로 고정 가능한 경우는 압박 부재(5, 65)는 없어도 무방하다.
가동부(41)는 4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가동부(41)가 직경 방향으로 가요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탄성 변형 가능하다면)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본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뒷마개(3)와 원상 뒷마개(4)가 감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을 설치함과 함께,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외주면과 원대(1)의 장대 기단측 단부의 외주면이 감합하는 구조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원상대(2)의 장대 기단측 단부가 직경 안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하여, 원대(1)와 원상대(2)를 수납 상태에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웅감합부와 자감합부를 확실히 감합시켜, 간선측 장대와 장대 기단측 장대를 수납 상태에서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조시에 엄격한 치수 관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양자의 치수 정밀도에만 의지하는 종래의 구성과는 달리, 직경 방향의 탄성 변형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사용에 의해 마모가 생겨도 감합 상태가 변화하기 어렵고, 장기간 안정된 성능이 확보되기 쉽다.

Claims (5)

  1. 장대 기단측 장대(1)와, 당해 장대 기단측 장대(1)에 뽑을 수 있게 삽입된 간선측(竿先側) 장대(2)와, 서로 감합(嵌合)하는 것으로 간선측 장대(2)를 장대 기단측 장대(1) 내에 수납한 수납 상태에서 고정 가능한 웅감합부(3)와 자감합부(4)를 구비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3, 4) 중 적어도 한쪽은, 다른쪽의 감합부에 대응하여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可動部)(41)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41)는 환상(環狀)으로 배치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요편(可撓片)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41)는 직경 방향에 가요성(可撓性)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 감합부(3, 4)의 감합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력이 크게 되는 방향으로 가동부(41)를 압박하는 압박 부재(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동부(41)와 동심에 배치되고, 양 감합부(3, 4)의 고정력이 크게 되는 방향으로 각 가동부(41)를 압박하는 환상의 압박 부재(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KR1020030085367A 2002-12-04 2003-11-28 낚싯대 KR101043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52654 2002-12-04
JP2002352654A JP4070589B2 (ja) 2002-12-04 2002-12-04 釣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821A KR20040048821A (ko) 2004-06-10
KR101043900B1 true KR101043900B1 (ko) 2011-06-29

Family

ID=3275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367A KR101043900B1 (ko) 2002-12-04 2003-11-28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70589B2 (ko)
KR (1) KR101043900B1 (ko)
CN (1) CN100421556C (ko)
TW (1) TW2004183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5306B2 (ja) * 2019-11-15 2023-08-14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660U (ko) * 1990-03-27 1991-12-13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7372B2 (ja) * 1999-03-19 2008-12-17 株式会社シマノ 竿体の嵌合構造
JP2001028973A (ja) * 1999-07-22 2001-02-06 Shimano Inc 竿体の嵌合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660U (ko) * 1990-03-27 1991-12-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821A (ko) 2004-06-10
JP4070589B2 (ja) 2008-04-02
CN100421556C (zh) 2008-10-01
CN1504083A (zh) 2004-06-16
TWI293019B (ko) 2008-02-01
JP2004180601A (ja) 2004-07-02
TW200418368A (en) 200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20213A (ja) 釣り竿
KR101043900B1 (ko) 낚싯대
US20060116606A1 (en) Skin punch instrument
US20210162797A1 (en) Writing instru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riting instrument
US20070020024A1 (en) Lipstick-like pen
JP2003159119A (ja) 棒状化粧材繰出容器
KR101606942B1 (ko) 필기구의 클립부착구조
KR200492957Y1 (ko) 화장용 펜슬
JP5933203B2 (ja) 筆記具用軸筒
US6923593B2 (en) Locking member and device
JP4598737B2 (ja) 筆記具
EP3587138A1 (en) Shaft cylinder assembly, writing utensil, and container
JP3895591B2 (ja) 釣竿
JP2020082638A (ja) 出没式多芯筆記具
CN211364059U (zh) 笔具
JP3148770U (ja) カッター用ソケット
KR100414897B1 (ko) 샤프펜슬
CN215321640U (zh) 一种速配笔
JP4391186B2 (ja) 筆記具
JP2000085294A (ja) 筆記具等のクリップ取付構造
JP2009248425A (ja) 可動式クリップ付きの筆記具
KR200438098Y1 (ko) 조립이 용이한 필기구
JP2000247092A (ja)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2023183800A (ja) 棒状部材の繰出容器
JP2023170992A (ja) 竿装着具及びリール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