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641B1 -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조립방법 - Google Patents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641B1
KR101042641B1 KR1020070071837A KR20070071837A KR101042641B1 KR 101042641 B1 KR101042641 B1 KR 101042641B1 KR 1020070071837 A KR1020070071837 A KR 1020070071837A KR 20070071837 A KR20070071837 A KR 20070071837A KR 101042641 B1 KR101042641 B1 KR 101042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eveloper
sealing member
rotating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687A (ko
Inventor
노주환
천용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1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641B1/ko
Priority to US12/015,664 priority patent/US7751745B2/en
Priority to EP08153199.8A priority patent/EP2019343B8/en
Priority to RU2008118380/28A priority patent/RU2472198C2/ru
Priority to JP2008123697A priority patent/JP5001216B2/ja
Priority to CN200810097035.6A priority patent/CN101349883B/zh
Publication of KR20090008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lateral sealing at both sides of the donor member with respect to the developer carrying dir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89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agitation or stir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16Agitator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기의 자동조립이 용이한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는, 일 측벽에 축구멍이 형성된 현상제 수용용기와, 현상제 수용용기의 양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 길이가 짧으며, 일단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회전축, 및 현상제 수용용기의 축구멍에 의해 회전 지지되며, 회전축의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연결축을 구비한 구동부재를 포함한다.
교반기, 회전축, 연결축, 결합돌기, 실링부재

Description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 조립방법{Develop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Assembling method for a develop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현상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현상장치는 소정량의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 저장부를 구비한다. 현상제 저장부에는 저장된 현상제가 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제를 섞어주는 교반기가 설치된다. 교반기는 현상장치의 현상제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교반기는 현상장치의 감광매체와 현상롤러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유닛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1)의 교반기(2)의 회전축(3)과 구동부재(5)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구동부재(5)로는 기어가 사용되며, 기어(5)는 동력전달유닛(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기어(5)는 교반기(2)의 회전축(3)에 결합되어 있다. 회전축(3)은 현상제 수용용기(7)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기어(5)가 회전하면 회전축(3)도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3)이 회전하면, 회전축(3)에 결합된 교반부재(4)에 의해 현상제가 교반된다.
이때, 현상제 수용용기(7)의 일 측벽(8)에는 교반기(2)의 회전축(3)이 관통하는 축구멍(8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현상제 수용용기(7)에 교반기(2)를 조립하고자 할 경우에는 교반기(2)의 회전축(3)을 현상제 수용용기(7)의 바닥면(9)에 대해 경사를 지게 하여 회전축(3)의 선단을 현상제 수용용기(7)의 일 측벽(8)에 형성된 축구멍(8a)에 삽입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교반기(2)의 회전축(3)을 경사지게 하여 조립하는 경우에는 로봇 등과 같은 자동화 기계를 사용하여 현상장치(1)의 조립을 자동화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사용되는 로봇 등과 같은 자동화 기계는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만 직선운동을 하도록 설계/제작된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교반기(2)의 회전축(3)과 구동부재(5)의 연결구조를 갖는 현상장치(1)는 현상제 수용용기(7)에 저장된 현상제가 축구멍(8a)과 회전축(3) 사이의 틈새로 누설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교반기의 회전축과 구동부재의 조립을 자동화 기계로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된 현상제가 회전축과 축구멍 사이로 누설되지 않는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일 측벽에 축구멍이 형성된 현상제 수용용기;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양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 길이가 짧으며, 일단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회전축; 및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축구멍에 의해 회전 지지되며, 상기 회전축의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연결축을 구비한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는,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일 측벽에 상기 축구멍 주위로 형성된 실링부재자리; 및 상기 실링부재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재의 연결축의 외주면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는 U자 형상 또는 종(鍾)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결합구멍은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에 상기 복수 개의 결합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의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홈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격벽 중 한 개는 다른 격벽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에 저장된 현상제를 섞는 교반부재가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제 수용용기;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양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 길이가 짧으며, 일단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회전축;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일 측벽에 설치되며, 축지지구멍이 형성된 축지지부재; 및 상기 축지지부재의 축지지구멍에 의해 회전 지지되며, 상기 회전축의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연결축을 구비한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축지지부재는 상기 축지지구멍과 동축 상으로 형성된 실링부재 고정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 고정홈에는 상기 구동부재의 연결축의 외주면을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매체 공급유닛; 감광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구비한 현상장치;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상기 인쇄매체 공급유닛에서 공급된 인쇄매체로 전 사하는 전사롤러; 및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제 수용용기의 실링부재자리에 실링부재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양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 길이가 짧은 회전축을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에 삽입하여 상기 회전축이 상기 실링부재자리와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일 측벽의 외측에서 구동부재의 연결축을 상기 실링부재를 통해 상기 회전축의 결합구멍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상장치 조립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의 현상제 수용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으로서,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양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는 구동부재의 연결축이 삽입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교반부재가 설치된 현상장치의 회전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의 현상제 수용용기에 설치되는 현상장치의 실링부재로서,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은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일 측벽에 형성된 실링부재자리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자리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실링부재의 타단에는 구동부재의 연결축의 외 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실링구멍이 형성된 현상장치의 실링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의 조립방법에 의하면, 회전축을 현상제 수용용기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을 유지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로봇 등과 같은 자동화 기계를 사용하여 현상장치를 자동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의 조립방법에 의하면, 실링부재가 구동부재의 연결축의 외주면을 실링하고 있으므로 현상장치에 저장된 현상제가 회전축과 축구멍 사이로 누설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10)는 현상제 수용용기(20), 교반기(30), 감광매체(11), 현상롤러(12), 현상제 공급롤러(13), 대전롤러(14), 폐현상제 제거부재(15)를 포함한다.
현상제 수용용기(20)는 교반기(30), 감광매체(11), 현상롤러(12), 현상제 공급롤러(13), 대전롤러(14), 폐현상제 제거부재(15)를 지지하며, 일측에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 저장부(20a)가 마련되고, 감광매체(11)를 중심으로 그 반대쪽에는 감광매체(11)에서 제거된 폐현상제를 저장하는 폐현상제 저장부(20b)가 마련된다.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상부는 커버(29)로 덮여 있다.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일 측벽의 외측에는 현상롤러(12), 현상제 공급롤러(13), 및 교반기(30)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미도시)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동력전달유닛이 감광매체(11)의 축에 설치된 감광매체 기어(미도시)와, 현상롤러(12)의 축과 현상제 공급롤러(13)의 축에 각각 설치된 현상롤러 기어(미도시)와 현상제 공급롤러 기어(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동력전달유닛은 감광매체 기어와 현상롤러 기어 및 현상제 공급롤러 기어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장치(10)가 화상형성장치(100, 도 10 참조)의 본체(110)에 장착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110)에 설치된 구동기어(미도시)로부터 감광매체 기어가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감광매체 기어가 회전하면, 동력전달유닛을 통해 현상롤러(12), 현상제 공급롤러(13)도 회전하게 된다.
교반기(30)는 현상제 수용용기(20)의 현상제 저장부(20a)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현상제 수용용기(20)에 저장된 현상제가 굳는 것을 방지한다. 교반기(30)는 동력전달유닛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회전축(40), 구동부재(50), 및 교반부재(70)를 포함한다.
회전축(40)은 현상제 수용용기(20)의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축(40)의 양단은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양 측벽(21,2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회전축(40)의 길이(L)는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양 측벽(21,22) 사이의 거리(W)보다 짧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양 측벽(21,22) 사이의 거리(W)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벽(21,22)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따라서, 회전축(40)은 현상제 수용용기(20)의 바닥면(23)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면서 수직으로 직선 이동시켜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상측에서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안쪽에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로 직선운동만 할 수 있는 로봇 등과 같은 자동화 기계(미도시)에 의해서도 회전축(40)을 현상제 수용용기(20)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다.
회전축(40)의 일단(이하, 제1단부라 한다)에는 구동부재(50)가 결합되는 결합구멍(42)이 형성되고, 회전축(40)의 타단(이하, 제2단부라 한다)에는 지지돌기(44)가 형성된다. 회전축(40)의 제1 및 제2단부 가까이에는 각각 회전축(40)의 외주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설된 제1 및 제2날개(45,46)가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멍(42)이 형성된 회전축 부분(41)은 회전축(40)의 다른 부분에 비해 직경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축(40)의 결합구멍(42)의 내주면에는 회전축(40)의 축방향으로 복수 개의 결합돌기(4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90도 간격으로 4개의 결합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결합구멍(42)에 형성할 수 있는 결합돌기(43)의 개수는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돌기(43)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정할 수 있다.
교반기(30)의 회전축(40)의 결합구멍(42)과 마주하는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일 측벽(21)(이하, 제1측벽이라 한다)에는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이 삽입되는 축구멍(24)이 형성된다. 따라서, 축구멍(24)은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을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축구멍(24)과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 사이에 연결축(52)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설치할 수 있다.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제1측벽(21)의 축구멍(24)의 둘레에는 실링부재(60)가 설치되는 실링부재자리(2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재자리(25)는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제1측벽(2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축구멍(24)은 실링부재자리(25)의 바닥에 실링부재자리(25)와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실링부재자리(25)는 현상제 수용용기(20)를 성형할 때,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제1측벽(21)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재(60)는 현상제 수용용기(20)에 저장된 현상제가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과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제1측벽(21)에 형성된 축구멍(24) 사이의 틈새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U자 형상 내지는 종(鍾)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링부재(60)의 일단(61)의 외경은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제1측벽(21)에 형성된 실링부재자리(25)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실링부재(60)의 타단에는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실링구멍(62)이 형성된다. 또한, 실링부재(60)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성형된다. 따라서, 실링부재(60)가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에 삽입되면, 실링부재(60)의 실링구멍(62)이 연결축(52)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현상제 수용용기(20)의 현상제 저장부(20a)에 저장된 현상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의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실링부재(60)의 가압력에 의해 실링부재(60)와 연결축(52)의 외주면이 밀착하게 되어 실링부재(60)가 연결축(52)의 외주면을 실링하게 된다. 또한, 실링부재(60)의 일단(61)은 실링부재자리(25)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므로, 실링부재(60)가 실링부재자리(25)에 삽입되면 실링부재(60)가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제1측벽(21)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이 회전하여도 실링부재(60)는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실링부재(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구멍(62)이 회전축(40)을 마주하도록 실링부재자리(25)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40)의 지지돌기(4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용기(20)의 반대 측벽(이하, 제2측벽이라 한다)에 형성된 지지구멍(26)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회전축(40)의 제2단부에 지지돌기(44)를 형성하고, 제2측벽(22)에 지지구멍(26)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회전축(40)을 현상제 수용용기(20)의 바닥면(23)에 수평한 상태로 수직으로 직선 이동하기 위해서는 회전축(40)의 길이(L)가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제1측벽(21)과 제2측벽(22) 사이의 거리(W)보다 작아야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축(40)의 제2단부에 지지구멍을 형성하고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제2측벽(22)에 회전축(40)의 지지구멍에 삽입되는 지지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회전축(40)을 현상제 수용용기(20)의 바닥면(23)에 수평한 상태로 수직으로 직선 이동하기 위해서는 회전축(40)의 길이가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제1측벽(21)과 지지돌기의 선단 사이의 거리보다 작아야 한다.
구동부재(50)는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제1측벽(21)에 형성된 축구멍(24)에 의해 회전 지지되며, 동력전달유닛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부재(50)는 기어부(51)와 연결축(52)을 포함한다. 기어부(51)는 현상 제 수용용기(20)의 제1측벽(21)의 외측면에 설치된 동력전달유닛(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연결축(52)은 기어부(51)와 일체로 형성되어, 기어부(51)와 일체로 회전한다. 연결축(52)은 기어부(51)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회전축(40)의 결합구멍(42)과 결합되어 회전축(40)이 구동부재(5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연결축(52)은 3개의 부분, 즉 회전지지부(52a), 결합부(52b), 선단부(52c)로 이루어진다. 회전지지부(52a)는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제1측벽(21)에 형성된 축구멍(24)에 삽입되며 축구멍(24)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연결축(52)의 회전지지부(52a)의 외주면은 실링부재(60)의 실링구멍(62)과 접촉하여 현상제가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축(52)의 결합부(52b)는 회전지지부(52a)와 선단부(52c)의 사이에 위치하며, 연결축(52)의 축방향으로 복수 개의 결합홈(53)이 형성된다. 이 복수 개의 결합홈(53)은 회전축(40)의 결합구멍(42)에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43)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선단부(52c)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축(52)이 회전축(40)의 결합구멍(42)에 삽입되면 연결축(52)의 복수 개의 결합홈(53)이 결합구멍(42)의 결합돌기(43)가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구동부재(50)가 회전하면, 서로 맞물린 복수 개의 결합홈(53)과 결합돌기(43)에 의해 회전축(40)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을 회전축(40)의 결합구멍(42)에 삽입할 때 연결축(52)의 복수 개의 결합홈(53)이 결합구멍(42)의 결합돌기(43)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결합홈(53)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격벽(54) 중 한 개의 격벽(54a)을 다른 격벽(54)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연결축(52)의 선단부(52c)는 연결축(52)과 회전축(40)의 결합구멍(42)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축(40)의 결합구멍(42)에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43)의 상단에 의해 형성되는 가사의 원(43a)의 직경(d)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교반부재(70)는 회전축(40)에 설치되어, 회전축(40)과 일체로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축(40)이 결합구멍(42)에 결합된 구동부재(50)에 의해 회전하면, 교반부재(70)도 일체로 회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교반부재(70)를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고, 스크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교반부재(70)를 사용할 수 있다.
감광매체(11)는 현상제 수용용기(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감광매체(11)의 일부분은 현상제 수용용기(20)의 바닥면(23)에 형성된 감광매체 구멍(11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감광매체(11)에는 노광유닛(170, 도 10 참조)에서 방출된 레이저 빔에 의해 소정의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롤러(12)는 감광매체(1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현상제를 감광매체(11)로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 화상으로 현상한다. 현상제 공급롤러(13)는 현상롤러(1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현상제 저장부(20a)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롤러(12)로 공급한다. 현상롤러(12)의 상측으로는 현상롤러(12)로 이동된 현상제를 박층화하는 규제부재(16)가 설치된다. 대전롤러(14)는 감광매체(11)의 상측에 설치되어 감광매 체(11)의 표면을 소정 전압으로 대전시킨다. 폐현상제 제거부재(15)는 가시 화상이 인쇄매체로 전사된 후 감광매체(11)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를 제거하여 폐현상제 저장부(20b)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감광매체(11), 현상롤러(12), 현상제 공급롤러(13), 규제부재(16), 대전롤러(14), 폐현상제 제거부재(15)는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10)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현상장치(10)가 화상형성장치(100, 도 10 참조)의 본체(110, 도 10 참조)에 장착되면, 감광매체(11)의 감광매체 기어(미도시)가 본체(110)에 설치된 구동기어(미도시)와 치합된다. 인쇄가 시작되면, 구동기어가 회전하므로 감광매체 기어도 회전하게 된다. 감광매체 기어와 함께 감광매체(11)가 회전하면, 동력전달유닛(미도시)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부재(50)가 회전하게 된다. 구동부재(50)가 회전하면, 구동부재(50)에 결합된 회전축(40)이 구동부재(5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하, 구동부재(50)에 의해 회전축(40)이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동부재(50)의 기어부(51)가 동력전달유닛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으면, 기어부(51)는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축구멍(24)에 의해 지지되는 연결축(5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연결축(52)의 복수 개의 결합홈(53)이 회전축(40)의 결합구멍(42)의 복수 개의 결합돌기(43)와 맞물려 있으므로, 연결축(52)이 회전하면 회전축(40)도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40)이 회전하면, 회전축(40)에 결합된 교반부재(70)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현상제 수용용기(20)의 현상제 저장부(20a)에 저장된 현상제가 교반부재(70)에 의해 교반된다.
이때,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은 실링부재자리(25)에 설치된 실링부재(60)에 의해 실링되어 있으므로 현상제가 연결축(52)과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축구멍(24) 사이로 누설되지 않는다.
교반부재(70)에 의해 교반되는 현상제는 현상제 공급롤러(13), 현상롤러(12)를 통해 감광매체(11)로 공급된다. 그러면, 감광매체(11)에 형성된 정전잠상이 가시 화상으로 현상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현상장치(10')는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제1측벽(21)에 현상제 수용용기(20)와 별개로 형성된 축지지부재(80)를 설치하여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을 회전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 외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0)와 동일하다.
축지지부재(80)는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을 회전 지지하는 축지지구멍(81)이 형성되고, 축지지부재(80)의 내측에는 축지지구멍(81)과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실링부재 고정홈(82)이 형성된다. 실링부재 고정홈(82)에는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의 외주면을 실링하는 실링부재(60)가 설치된다. 축지지구멍(81)과 실링부재 고정홈(82)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0)의 축구멍(24)과 실링부재자리(25)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10)의 조립방법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실링부재자리(25)에 실링부재(60)를 조립한다. 그 후, 실링부재(60)가 조립된 현상제 수용용기(20)를 조립대(90) 위에 놓는다. 다음으로, 회전축(40)을 현상제 수용용기(20)에 삽입하여 회전축(40)의 결합구멍(42)이 실링부재(60)를 마주하도록 한다. 이때, 회전축(40)의 중심축(40c)이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축구멍(24)의 중심축(24c)과 일치하도록 회전축(40)을 위치시킨다. 즉, 회전축(40)의 중심축(40c)이 축구멍(24), 실링부재자리(25), 및 실링부재(60)의 중심축(24c,25c)과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경우, 현상제 수용용기(20)의 바닥면(23)에 회전축 지지부재(91)를 설치하여 회전축(40)을 지지하면, 회전축(40)과 축구멍(24)의 중심축(40c,24c)을 쉽게 일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0)에서는 회전축(40)의 길이(L)가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양 측벽(21,22) 사이의 거리(W)보다 짧으므로 회전축(40)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용기(20)의 바닥면(23)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면서 수직방향(화살표 A)으로 현상제 수용용기(20)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직선운동만을 할 수 있는 로봇과 같은 자동화 기계를 사용하여 회전축(40)을 현상제 수용용기(20)에 조립할 수 있다.
회전축(40)과 축구멍(24)의 중심축(40c,24c)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회전축(40)을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제2측벽(22) 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회전축(40)의 제2단부에 형성된 지지돌기(44)가 제2측벽(22)의 지지구멍(26)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의 중심 축(50c)이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축구멍(24)의 중심축(24c)과 일치하도록 구동부재(50)를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제1측벽(21)의 외측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9의 화살표 B와 같이 구동부재(50)를 현상제 수용용기(20) 쪽으로 밀면,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이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축구멍(24)과 실링부재(60)의 실링구멍(62)을 통과하여 회전축(40)의 결합구멍(42)에 삽입되어, 구동부재(50)와 회전축(40)이 결합된다(도 3 참조). 이때,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의 선단부(52c)는 결합구멍(42)의 복수 개의 결합돌기(43)의 상단에 의해 형성되는 원(43a)의 직경(d)보다 작고, 연결축(52)의 결합홈(53)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격벽(54) 중 한 개(54a)가 다른 격벽(54)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동부재(50)를 회전축(40)을 향해 밀면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의 복수 개의 결합홈(53)이 회전축(40)의 결합구멍(42)의 복수 개의 결합돌기(43)에 정확하게 삽입된다.
이후,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상측에 커버(29)를 덮으면 현상장치(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 조립방법에 의하면, 회전축(40)을 현상제 수용용기(20)의 바닥면(23)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로봇 등의 자동화 기계를 사용하여 현상장치(10)를 자동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0)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112에서 실링부재(60)는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실링부재자리(25)에 조립된다. 단계 S114에서,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양 측벽 (21,22)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회전축(40)이 현상제 수용용기(20)의 바닥면(23)에 대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현상제 수용용기(20)에 삽입된다. 단계 S116에서, 회전축(40)은 실링부재자리(25)와 동축 상에 위치된다. 단계 S118에서, 구동부재(50)의 연결축(52)은 현상제 수용용기(20)의 일 측벽(21,22)의 외부로부터 실링부재(60)를 통해 회전축(40)의 결합구멍(42)에 삽입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0)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0)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100)는 본체(110), 인쇄매체 공급유닛(120), 이송롤러유닛(130), 노광유닛(170), 현상장치(10), 전사롤러(140), 정착유닛(150), 및 배지유닛(16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측에 인쇄매체 공급유닛(120), 이송롤러유닛(130), 현상장치(10), 전사롤러(140), 정착유닛(150), 및 배지유닛(160)이 설치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120)은 본체(110)의 내측에 가장 아래에 설치되며, 복수 매의 인쇄매체(P)를 적재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120)의 선단에는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여 공급하는 픽업롤러(121)가 설치된다.
이송롤러유닛(130)은 적어도 한 쌍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며, 인쇄매체 공급유닛(120)에서 픽업된 인쇄매체(P)를 전사롤러(140)와 감광매체(11) 사이로 이동시킨다.
노광유닛(170)은 현상장치(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레이저 빔을 현상장치(10)의 감광매체(11)로 주사한다.
현상장치(10)는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착탈식으로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110) 내측에 설치된다. 현상장치(10)가 화상형성장치(100)의 내측에 설치되면, 감광매체(11)의 기어가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맞물리게 되어 감광매체(11)가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현상장치(10)의 구성과 작용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10)와 유사하므로 상 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사롤러(140)는 현상장치(10)의 하측에 현상장치(10)의 감광매체(11)와 마주보며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감광매체(11)에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 공급유닛(120)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P)로 전사한다.
정착유닛(150)은 전사롤러(140)의 하류에 설치되며, 가압롤러와 가열롤러를 포함한다. 정착유닛(150)은 가압롤러와 가열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P)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화상을 인쇄매체(P)에 정착시킨다.
배지유닛(160)은 정착유닛(150)을 통과하며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P)를 화상형성장치(300)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의 작용에 대해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쇄명령을 수신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현상장치(10)의 대전롤러(14)에 전압을 인가하여 감광매체(11)의 표면을 소정 전압으로 대전시킨다.
이후, 화상형성장치(100)는 구동모터(미도시)를 동작시켜 구동기어(미도시)가 회전하도록 한다. 구동기어가 회전하면, 구동기어와 맞물린 감광매체(11)의 기어(미도시)가 회전하여 감광매체(11)가 회전한다. 감광매체(11)가 회전하면, 동력전달유닛(미도시)에 의해 현상롤러(12), 현상제 공급롤러(13), 교반기(30)가 회전하여 현상제를 감광매체(11)로 공급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노광유닛(170)을 동작시켜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레이저 빔을 주사한다. 노광유닛(170)에서 주사된 레이저 빔은 현상장치(10)의 감광매체(11)에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감광매체(11)가 회전을 계속하면, 감광매체(11)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롤러(12)와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면, 현상롤러(12)에서 현상제층을 형성하고 있던 현상제가 감광매체(11)로 이동하여 정전잠상을 가시 화상으로 현상한다.
한편, 인쇄명령이 수신되면, 인쇄매체 공급유닛(120)은 저장된 인쇄매체(P)를 한 장 픽업하여 이송롤러유닛(130)으로 이송한다. 픽업된 인쇄매체(P)는 이송롤러유닛(130)에 의해 현상장치(10)의 감광매체(11)와 전사롤러(140) 사이로 진입한다.
인쇄매체(P)가 현상장치(10)의 감광매체(11)와 전사롤러(140) 사이로 진입하면, 감광매체(11)에 형성된 가시 화상이 인쇄매체(P)로 전사된다.
감광매체(11)가 회전을 계속하면, 현상제로 형성된 가시 화상이 인쇄매체(P)로 전사된 후 감광매체(11)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현상제는 폐현상제 제거부재(15, 도 2 참조)에 의해 제거된다. 감광매체(11)에서 제거된 폐현상제는 폐현상제 저장부(20b, 도 2 참조)에 저장된다.
감광매체(11)가 회전을 계속하여 폐현상제가 제거된 부분이 대전롤러(14)와 마주하는 위치로 오면 대전롤러(14)에 의해 다시 소정 전압으로 대전된다.
소정의 전압으로 대전된 감광매체(11)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며, 인쇄매체(P)에 가시 화상을 전사하게 된다.
현상장치(10)의 감광매체(11)로부터 가시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P)는 정착유닛(150)으로 이동된다. 인쇄매체(P)가 정착유닛(150)의 가압롤러와 가열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가시 화상이 인쇄매체(P)에 정착된다.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P)는 배지유닛(16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를 선 Ⅲ-Ⅲ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현상장치의 회전축과 교반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회전축의 결합구멍을 나타낸 확대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3의 현상장치의 구동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의 회전축을 현상제 수용용기에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현상제 수용용기에 조립된 회전축에 구동부재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장치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현상장치 11; 감광매체
12; 현상롤러 13; 현상제 공급롤러
20; 현상제 수용용기 21,22; 측벽
24; 축구멍 25; 실링부재자리
29; 커버 30; 교반기
40; 회전축 42; 결합구멍
43; 결합돌기 44; 지지돌기
50; 구동부재 51; 기어부
52; 연결축 53; 결합홈
60; 실링부재 62; 실링구멍
70; 교반부재 80; 축지지부재
100; 화상형성장치 110; 본체
120; 인쇄매체 공급유닛 140; 전사롤러
150; 정착유닛 160; 배지유닛

Claims (22)

  1. 일 측벽에 축구멍이 형성된 현상제 수용용기;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양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 길이가 짧으며, 일단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회전축; 및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축구멍에 의해 회전 지지되며, 상기 회전축의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에 설치된 기어부를 구비한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일 측벽에 상기 축구멍 주위로 형성된 실링부재자리; 및
    상기 실링부재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재의 연결축의 외주면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U자 형상 또는 종(鍾)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결합구멍은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에 상기 복수 개의 결합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의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홈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격벽 중 한 개는 다른 격벽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에 저장된 현상제를 섞는 교반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8. 현상제 수용용기;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양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 길이가 짧으며, 일단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회전축;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일 측벽에 설치되며, 축지지구멍이 형성된 축지지부재; 및
    상기 축지지부재의 축지지구멍에 의해 회전 지지되며, 상기 회전축의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에 설치된 기어부를 구비한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부재는 상기 축지지구멍과 동축 상으로 형성된 실링부재 고정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재 고정홈에는 상기 구동부재의 연결축의 외주면을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U자 형상 또는 종(鍾)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11. 인쇄매체 공급유닛;
    감광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청구항 1항 내지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장치;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상기 인쇄매체 공급유닛에서 공급된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전사롤러; 및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현상제 수용용기의 실링부재자리에 실링부재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양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 길이가 짧은 회전축을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에 삽입하여 상기 회전축이 상기 실링부재자리와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일 측벽의 외측에서 구동부재의 연결축을 상기 실링부재를 통해 상기 회전축의 결합구멍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조립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조립방법.
  14.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의 현상제 수용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으로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양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는 구동부재의 연결축이 삽입되는 결합구멍이 형 성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교반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의 회전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결합구멍의 내주면에는 축방향으로 복수 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재의 연결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현상장치의 회전축.
  16.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의 현상제 수용용기에 설치되는 현상장치의 실링부재로서,
    상기 실링부재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은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일 측벽에 형성된 실링부재자리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자리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실링부재의 타단에는 구동부재의 연결축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실링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의 실링부재.
  17. 바닥면을 갖는 현상제 수용용기;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직선 이동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는 실링부재자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을 둘러싸는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구멍 부분을 실링하여 현상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일단은 상기 실링부재자리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실링부재의 타단은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현상제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면을 갖는 실링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용기의 안치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재의 연결축을 회전지지하는 축지지구멍과 실링부재 고정홈을 갖는 축지지부재; 및
    상기 축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재의 연결축의 외주면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고정홈의 중심축은 상기 축지지구멍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장치.
KR1020070071837A 2007-07-18 2007-07-18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조립방법 KR101042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837A KR101042641B1 (ko) 2007-07-18 2007-07-18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조립방법
US12/015,664 US7751745B2 (en) 2007-07-18 2008-01-17 Develop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assembling method of a developing apparatus
EP08153199.8A EP2019343B8 (en) 2007-07-18 2008-03-25 Develop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assembling method of a developing apparatus
RU2008118380/28A RU2472198C2 (ru) 2007-07-18 2008-05-08 Проя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оснащенное им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проявля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JP2008123697A JP5001216B2 (ja) 2007-07-18 2008-05-09 画像形成装置の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の回転軸、現像装置の密封部材、及び現像装置の組立方法
CN200810097035.6A CN101349883B (zh) 2007-07-18 2008-05-12 显影装置及其成像装置、显影装置的组装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837A KR101042641B1 (ko) 2007-07-18 2007-07-18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687A KR20090008687A (ko) 2009-01-22
KR101042641B1 true KR101042641B1 (ko) 2011-06-20

Family

ID=3988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837A KR101042641B1 (ko) 2007-07-18 2007-07-18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조립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51745B2 (ko)
EP (1) EP2019343B8 (ko)
JP (1) JP5001216B2 (ko)
KR (1) KR101042641B1 (ko)
CN (1) CN101349883B (ko)
RU (1) RU247219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9968B2 (ja) * 2012-07-18 201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46031B2 (ja) * 2014-03-13 2017-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583149B2 (ja) * 2016-06-08 2019-10-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
CN110035207B (zh) * 2019-03-29 2020-06-12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成像系统的耐压密封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339U (ko) * 1995-05-30 199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의 교반기 장치
KR960038324U (ko) * 1995-05-27 199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니트의 감광드럼 조립장치
JP2004053950A (ja) * 2002-07-19 2004-02-19 Ricoh Co Ltd 現像装置
KR20070097994A (ko) * 2006-03-30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카트리지의 폐토너수거부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5944B1 (ko) * 1969-06-04 1973-08-02
SU553581A1 (ru) * 1975-07-02 1977-04-05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Электрограф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жидкостного электрографического многоцветного про влени
JPH0745083Y2 (ja) * 1988-05-31 1995-10-11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のトナー補給用間欠駆動機構
US5134441A (en) * 1989-05-30 1992-07-2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including the device
JP3361405B2 (ja) 1995-04-03 2003-01-0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H0962098A (ja) * 1995-08-22 1997-03-07 Bando Chem Ind Ltd 軸受のトナーシール機構
JPH09197822A (ja) * 1996-01-18 1997-07-31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352328B2 (ja) 1996-06-17 2002-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68710B2 (ja) * 1999-01-28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385415B1 (en) * 2000-05-18 2002-05-07 Nexpress Solutions Llc Development station for a reproduction apparatus
JP2003005498A (ja) * 2001-06-19 2003-01-08 Canon Inc 撹拌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381601B1 (ko) * 2001-09-26 200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커플링장치와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인쇄기
JP3903965B2 (ja) * 2002-07-12 2007-04-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49186B2 (ja) * 2004-12-07 2011-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US7277658B2 (en) * 2005-07-27 2007-10-02 Lexmark International, Inc. Sealing member for image form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324U (ko) * 1995-05-27 199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니트의 감광드럼 조립장치
KR960038339U (ko) * 1995-05-30 199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의 교반기 장치
JP2004053950A (ja) * 2002-07-19 2004-02-19 Ricoh Co Ltd 現像装置
KR20070097994A (ko) * 2006-03-30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카트리지의 폐토너수거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8118380A (ru) 2009-11-20
JP5001216B2 (ja) 2012-08-15
CN101349883B (zh) 2014-05-14
EP2019343B1 (en) 2017-10-11
CN101349883A (zh) 2009-01-21
JP2009025796A (ja) 2009-02-05
EP2019343B8 (en) 2017-11-15
RU2472198C2 (ru) 2013-01-10
US7751745B2 (en) 2010-07-06
KR20090008687A (ko) 2009-01-22
US20090022512A1 (en) 2009-01-22
EP2019343A1 (en) 200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4968A (en) Developing unit and drive transmission attachment
US20080175627A1 (en) Image-forming device capable of positioning developing unit and developer cartridge precisely
KR101042641B1 (ko)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조립방법
US10509342B2 (en) Powd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chanical device
US10627743B2 (en) Powd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606188B2 (en) Powd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9804319B (zh) 显影盒以及具有该显影盒的显影装置和成像装置
JP2016051051A (ja) 現像剤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11427246A (zh) 具有定位特征的墨粉匣
KR20080087559A (ko) 회전체 지지장치, 이를 구비한 현상카트리지와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 조립방법 및 분해방법
JP2002244419A (ja) 現像カートリッジ
KR101579738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5710961A (en) Agitator of developing device
JP2011123453A (ja) 端部蓋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像保持体、画像形成組立体並びに画像形成装置
US8879955B2 (en) Drum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rum unit
JP5310522B2 (ja) 端部蓋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像保持体、画像形成組立体並びに画像形成装置
KR20110070202A (ko)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2006106045A (ja) 現像剤収納容器
WO2017033599A1 (ja)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766490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311629B2 (ja) 現像装置
JP4926103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6243466A (ja) 現像装置
JP2007093700A (ja) 現像剤補給容器
JP2023008026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805

Effective date: 201103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