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7559A - 회전체 지지장치, 이를 구비한 현상카트리지와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 조립방법 및 분해방법 - Google Patents

회전체 지지장치, 이를 구비한 현상카트리지와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 조립방법 및 분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7559A
KR20080087559A KR1020070029986A KR20070029986A KR20080087559A KR 20080087559 A KR20080087559 A KR 20080087559A KR 1020070029986 A KR1020070029986 A KR 1020070029986A KR 20070029986 A KR20070029986 A KR 20070029986A KR 20080087559 A KR20080087559 A KR 20080087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hotosensitive medium
support shaft
support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7141B1 (ko
Inventor
권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9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141B1/ko
Priority to US11/971,326 priority patent/US7899361B2/en
Priority to EP08150753.5A priority patent/EP1975734B1/en
Priority to CN200810080668.6A priority patent/CN101276193B/zh
Priority to RU2008107796/12A priority patent/RU2465644C2/ru
Priority to BRPI0800383-1A priority patent/BRPI0800383A2/pt
Publication of KR20080087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1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dr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광매체와 같은 회전체를 지지하는 회전체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체 지지장치는,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회전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회전체의 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지지축, 회전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며 지지축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제1축지지부재, 및 회전체의 타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는 제2축지지부재를 포함한다.
감광매체, 고정홈, 고정돌기, 지지축, 축지지부재, 축지지홈

Description

회전체 지지장치, 이를 구비한 현상카트리지와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 조립방법 및 분해방법{Rotation body supporting apparatus,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 developing cartrid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광매체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감광매체 지지장치의 지지축을 제1축지지부재의 고정돌기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감광매체 지지장치를 선 Ⅲ-Ⅲ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광매체 지지장치에서 한 개의 고정홈을 갖는 지지축과 한 개의 고정돌기를 갖는 제1축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광매체 지지장치에서 한 개의 고정돌기를 갖는 지지축과 한 개의 고정홈을 갖는 제1축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6은 감광매체에 지지축을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에 감광매체가 조립된 지지축을 조립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감광매체가 조립된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과 토너공급 프레임유닛을 조립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서브 조립된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과 토너공급 프레임유닛의 상측에 대전롤러유닛을 조립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서브 조립된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 토너공급 프레임유닛, 대전롤러유닛에 제1 및 제2측판으로 조립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6 내지 도 10의 과정을 통해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현상카트리지를 선 Ⅹ-Ⅹ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현상카트리지를 선 ⅩⅠ-ⅩⅠ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감광매체 지지장치 3,110; 감광매체
4; 감광드럼 5,111; 제1플렌지
6,112; 제2플렌지 10,120; 지지축
11,12,121,122; 고정홈 21,141; 제1축지지부재
22,122; 제2축지지부재 23,143; 제1축지지홈
24,144; 제2축지지홈 25,26; 고정돌기
100; 현상카트리지 130;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
131; 폐토너회수 프레임 132; 클리닝 블레이드
150; 토너공급 프레임유닛 151; 토너공급 프레임
152; 현상롤러 153; 토너공급롤러
161,162; 제1 및 제2결합부재 153,164; 제1 및 제2결합홈
170; 대전롤러유닛 171; 대전롤러 프레임
173; 대전롤러 181,182; 제1 및 제2측판
300; 화상형성장치 310; 본체 커버
320; 인쇄매체 공급유닛 340; 전사롤러
350; 정착유닛 380; 노광유닛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광매체를 지지하는 감광매체 지지장치, 이를 구비한 현상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 현상카트리지의 조립방법 및 분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소정의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를 구비한다. 감광매체는 화상형성장치에 고정된 지지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지지축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감광매체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감광매체가 지지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감광매체의 일단에는 감광매체와 일체로 지지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기어가 설치된다. 따라서, 감광매체가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되면, 감광매체의 기어가 본체에 설치된 구동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므로 감광매체가 지지축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감광매체가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지축은 감광매체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감광매체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지지축에 고정 링을 조립하여 지지축이 감광매체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세트 스크류를 사용하여 지지축을 지지부재에 고정함으로써 지지축이 감광매체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별개의 부품을 사용하여 지지축의 회전과 축 방향이동을 방지하는 것은 필요한 부품의 수가 많고 조립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별도의 부품 없이 감광매체를 지지하는 지지축의 축 방향이동 및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감광매체 지지장치, 이를 구비한 현상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 현상카트리지의 조립방법 및 분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회전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지지축; 상기 회전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축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제1축지지부재; 및 상기 회전체의 타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는 제2축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체 지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매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감광매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고정홈 또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지지축; 상기 감광매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축의 고정홈 또는 고정돌기에 삽입되는 고정돌기 또는 고정홈이 형성된 제1축지지부재; 및 상기 감광매체의 타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는 제2축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감광매체 지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감광매체 지지장치는 상기 지지축에 형성된 제2고정홈; 및 상기 제2고정홈에 삽입되는 제2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매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감광매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지지축; 상기 감광매체의 일부가 노출되는 감광매체 구멍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감광매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 기를 포함하는 제1축지지부재; 및 상기 감광매체의 타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상기 제1축지지부재와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제2축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카트리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감광매체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의 일단에 고정되며, 중심에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플렌지; 및 상기 감광드럼의 타단에 고정되며, 외주에 기어가 형성되고, 중심에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2플렌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렌지와 제2플렌지의 일 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축지지부재와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매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감광매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지지축; 상기 감광매체의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축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 상기 제1축지지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 상기 감광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토너공급 프레임유닛; 및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과 토너공급 프레임유닛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측판 및 제2측판;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카트리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토너공급 프레임유닛은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의 제1 및 제 2축지지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감광매체의 양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광매체의 상측으로,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과 토너공급 프레임유닛의 사이에 설치되는 대전롤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인쇄매체 공급유닛;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특징을 갖는 현상카트리지; 상기 감광매체와 접하며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인쇄매체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에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롤러; 및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배지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축의 고정홈이 감광매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축을 상기 감광매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지지축의 고정홈이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의 고정돌기에 삽입되도록 상기 감광매체가 조립된 상기 지지축을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에 조립하는 단계; 상기 감광매체를 중심으로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의 반대쪽에 토너공급 프레임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감광매체의 상측으로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과 상기 토너공급 프레임유닛의 사이에 대전롤러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 유닛과 토너공급 프레임유닛의 양측에 제1 및 제2측판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카트리지 조립방법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카트리지에서 제1 및 제2측판을 분리하는 단계; 대전롤러유닛을 분리하는 단계;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으로부터 토너공급 프레임유닛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의 고정돌기에 고정홈이 삽입되어 있는 지지축을 감광매체와 일체로 상기 고정돌기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감광매체로부터 상기 지지축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카트리지 분해방법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현상카트리지용 감광매체이며, 상기 감광매체는, 상기 감광매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감광매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설치된 제1축지지부재의 고정돌기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매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현상카트리지용 지지축이며, 상기 지지축은 감광매체의 중앙을 관통하여 양측으로 돌출되며, 양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설치된 제1 및 제2축지지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감광매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의 부분에 상기 제1축지지부재의 고정돌기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홈이 상기 제1축지지부재의 고정돌기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축은 상기 제1 및 제2축지지부재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감광매체가 회전 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현상카트리지용 프레임이며, 상기 현상카트리지는, 감광매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감광매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고정홈이 형성된 지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지축을 지지할 수 있는 제1 및 제2축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축지지부재는 상기 지지축의 고정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용 프레임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감광매체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상카트리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광매체 지지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광매체 지지장치(1)는 감광매체(3), 지지축(10), 제1 및 제2축지지부재(21,22)를 포함한다.
감광매체(3)는 지지축(10)에 대해 회전하며, 표면에는 소정의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광전도성층이 형성된 감광드럼(4)과 감광드럼(4)의 양 단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플렌지(5,6)를 포함한 다. 감광매체(4)의 상세한 구조는 도 13에 도시된 감광매체(110)와 유사하다.
제2플렌지(6)의 외주에는 기어(6a)가 형성되며, 이 기어(6a)는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구동기어(도 13의 303 참조)와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제1 및 제2플렌지(5.6)의 중앙에는 지지축(10)이 삽입되는 관통공(5c)이 형성된다. 관통공(5c)은 제1 및 제2플렌지(5,6)가 지지축(10)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플렌지(5,6)의 외부로 노출된 측면에는 돌출부(5b)가 형성된다. 돌출부(5b)를 형성하면, 감광매체(3)가 회전할 때 제1 및 제2플렌지(5,6)가 제1 및 제2축지지부재(21,22)와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플렌지(5,6)는 탄성결합, 접착 등 또는 이와 유사한 결합방법에 의하여 감광드럼(4)의 양단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플렌지(5,6)는 감광드럼(4)과 일체로 회전한다.
지지축(10)은 감광매체(3)의 축 방향의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지지축(10)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감광매체(3)보다 길이가 길다. 따라서, 지지축(10)을 감광매체(3)에 삽입하면 지지축(10)의 양단 부분이 감광매체(3)의 양측으로 돌출된다. 감광매체(3)의 일측으로 돌출된 지지축(10)의 부분에는 감광매체(3)의 측면, 즉 제1플렌지(5) 가까이에 고정홈(11)이 형성된다. 고정홈(11)은 감광매체(3)의 측면을 이루는 제1플렌지(5)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즉, 고정홈(11)은 지지축(10)의 중심축(10c)에 대해 직각으로 지지축(10)의 전 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11)은 대략 사각의 단면으로 지지축(10)의 반지름의 치수보다 적은 치수의 깊이(t)로 형성된다. 이때, 고정홈(11)의 깊이(t)는 고정홈(11)과 고정홈(11)에 삽 입된 고정돌기(25)에 의해 지지축(10)이 제1 및 제2축지지부재(21,22)에 대해 회전하거나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홈(11)의 아래에는 지지축(10)의 중심에 대해 고정홈(11)과 대칭되도록 제2고정홈(12)이 형성된다. 즉, 지지축(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0)에 직각 방향으로 상하로 평행하게 한 쌍의 고정홈(11,12)이 형성되어 있다. 제2고정홈(12)은 고정홈(11)과 동일한 치수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고정홈(11,12)이 상하로 2개가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11)은 한 개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축지지부재(21)에도 한 개의 고정돌기(25)만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감광매체(3)의 일측으로 돌출된 지지축(10) 부분에만 고정홈(11,12)을 한 쌍으로 형성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감광매체(3)의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축(10)의 양쪽 부분에 모두 고정홈(11,1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축지지부재(21,22)는 감광매체(3)의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축(10)을 지지하며, 지지축(10)이 감광매체(3)에 대해 회전하거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및 제2축지지부재(21,22)는 감광매체(3)의 설치방식에 따라 현상카트리지의 케이스 또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제1 및 제2축지지부재(21,22)가 현상카트리지(100)의 폐토너회수 프레임(130)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제1축지지부재(21)는 지지축(10)이 삽입될 수 있는 제1축지지홈(23)이 형성된다. 제1축지지홈(23)은 지지축(1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에는 지지축(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제1축지지홈(23)에는 지지축(10)의 고정홈(11)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지지축(10)에 한 쌍의 고정홈(11,1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축지지홈(23)에도 한 쌍의 고정돌기(25,26)가 형성된다. 즉, 제1축지지홈(23)의 상측에는 지지축(10)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홈(11)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5)가 형성되고, 제1축지지홈(23)의 하측에는 지지축(10)의 하측에 형성된 제2고정홈(12)에 삽입되는 제2고정돌기(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축(10)을 개방부(23a)를 통해 제1축지지홈(23)에 삽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돌기(25,26)가 한 쌍의 고정홈(11,12)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지지축(10)이 제1축지지부재(21)의 제1축지지홈(23)에 삽입되어 제1축지지홈(23)의 고정돌기(25,26)가 지지축(10)의 고정홈(11,12)에 삽입되면, 지지축(10)은 제1축지지부재(21)에 대해 회전하거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제2축지지부재(22)는 감광매체(3)의 타측으로 돌출된 지지축(10)을 지지할 수 있는 제2축지지홈(24)이 형성된다. 즉, 감광매체(3)의 타측으로 돌출된 지지축(10)은 원형 단면을 갖고 있으므로, 제2축지지홈(24)도 원형 단면의 지지축(10)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만일, 제2축지지부재(22)의 제2축지지홈(24)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축(10) 부분에 상기와 같은 고정홈(11,12)이 형성된 경우에는 제2축지지홈(24)에도 그에 대응되는 고정돌기(25,26)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감광매체 지지장치(1)를 조립할 경우에는 먼저, 감 광매체(3)를 지지축(10)에 삽입하여, 지지축(10)의 고정홈(11,12)이 감광매체(3)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 후, 지지축(10)의 고정홈(11)을 제1축지지홈(23)의 고정돌기(25)에 일치시킨 상태로 감광매체(3)가 조립된 지지축(10)을 제1 및 제2축지지부재(21,22)의 제1 및 제2축지지홈(23,24)에 삽입하면, 지지축(10)이 제1 및 제2축지지부재(21,22)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지지축(10)은 제1 및 제2축지지부재(21,22)에 대해 회전하거나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지지축(10)에 고정홈(11,12)이 형성되고, 제1축지지부재(21)의 제1축지지홈(23)에 고정돌기(25,26)가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고정홈(11,12)과 고정돌기(25,26)를 이와 반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0')에는 고정돌기(19)를 형성하고, 제1축지지부재(21)의 제1축지지홈(23')에는 고정홈(29)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축(10')에 형성된 고정돌기(19)와 제1축지지홈(23')에 형성되는 고정홈(29)은 상술한 실시예의 고정돌기(25) 및 고정홈(11)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감광매체의 회전을 지지하는 감광매체 지지장치(1)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감광매체 지지장치(1)는 감광체(3)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회전체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체 지지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체는 대전롤러, 현상롤러, 토너공급롤러, 전사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광매체 지지장치를 구비하는 현상카트리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00) 는 감광매체(110), 지지축(120),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130), 토너공급 프레임유닛(150), 대전롤러유닛(170), 제1측판(181), 및 제2측판(182)을 포함한다.
감광매체(110)는 지지축(120)에 대해 회전하며, 표면에 소정의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감광매체 지지장치(1)의 감광매체(3)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축(120)은 감광매체(110)가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1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서, 고정홈(121,122)이 형성된다. 고정홈(121,122)을 갖는 지지축(120)은 상술한 감광매체 지지장치(1)의 지지축(10)과 거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다.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130)은 감광매체(110)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여 수납하는 것으로서, 폐토너회수 프레임(131)과 클리닝 블레이드(132), 제1 및 제2축지지부재(141,142)를 포함한다.
폐토너회수 프레임(131)의 내측에는 감광매체(110)로부터 제거된 폐토너가 수거되는 폐토너 공간(131a)이 마련된다. 클리닝 블레이드(132)는 폐토너회수 프레임(131)의 전면에 설치되며 감광매체(110)로부터 폐토너를 분리한다. 제1 및 제2축지지부재(141,142)는 폐토너회수 프레임(131)의 양 측면에 지지축(1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축지지부재(141,142)는 지지축(120)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축지지홈(143,144)이 형성된다. 제1축지지홈(143)에는 지지축(120)의 고정홈(121,122)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45)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축지지홈(143,144)은 상술한 감광매체 지지장치(1)의 제1 및 제2축지지홈(23,24)과 유사하므로 상세 한 설명은 생략한다.
토너공급 프레임유닛(150)은 소정 량의 토너를 저장하며, 저장된 토너를 감광매체로 공급하여 감광매체(110)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현상하는 것으로서, 감광매체(110)를 사이에 두고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130)의 반대편에 설치된다. 토너공급 프레임유닛(150)은 토너공급 프레임(151), 현상롤러(152), 토너공급롤러(153), 토너규제 블레이드(154), 제1 및 제2결합부재(161,162)를 포함한다.
토너공급 프레임(151)의 내측에는 소정 량의 토너를 수용할 수 있는 토너 공간(151a)이 형성된다. 현상롤러(152)는 토너공급 프레임(151)의 앞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감광매체(110)로 토너를 공급한다. 토너공급롤러(153)는 현상롤러(15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현상롤러(152)로 토너를 공급한다. 토너규제 블레이드(154)는 현상롤러(152)의 상측에 현상롤러(152)와 접하도록 설치되며, 토너공급롤러(153)에 의해 현상롤러(152)로 이동된 토너를 박층화하며 대전시킨다. 토너 공간(151a)에는 저장된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기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결합부재(161,162)는 토너공급 프레임(151)의 양 측면에 지지축(1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결합부재(161,16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축지지부재(141,142)의 외측에서 지지축(120)을 지지한다. 제1 및 제2결합부재(161,162)에는 제1 및 제2결합홈(163,164)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결합홈(163,164)은 지지축(12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축(120)이 측 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입구(165,166)를 포함한다. 따라 서, 제1 및 제2결합홈(163,164)이 입구(165,166)를 통해 지지축(120)에 삽입되도록 하여 토너공급 프레임유닛(150)을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130)에 조립하면, 토너공급 프레임유닛(130)이 감광매체(110)에 대해 일정 거리에 위치하게 된다.
대전롤러유닛(170)은 감광매체(110)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73)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대전롤러(173)와 대전롤러 프레임(171)을 포함한다. 대전롤러(173)는 대전롤러 프레임(171)에 힌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대전롤러 프레임(171)에는 대전롤러(173)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대전롤러 클리닝부재와 감광매체(110)의 잔류전압을 제거하는 제전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대전롤러 프레임(171)에는 노광유닛(380, 도 14 참조)에서 주사된 레이저 빔이 통과하는 레이저 빔 구멍(172)이 형성되어 있다.
제1측판(181) 및 제2측판(182)은 감광매체(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한 토너공급 프레임유닛(150)과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130)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토너공급 프레임유닛(150)과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130)이 서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제1 및 제2측판(181,182)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20)의 양단이 삽입되는 지지축 구멍(181a)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측판(181,182)에는 현상롤러(152)의 축을 지지하는 현상롤러 축구멍, 토너공급롤러(153)의 축을 지지하는 토너공급롤러 축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현상카트리지(100)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토너공급 프레임(151)의 토너 공간(151a)에 저장된 토너는 토너공급롤 러(153)에 의해 현상롤러(152)로 이동한다. 현상롤러(152)가 회전하면, 현상롤러(152)로 이동된 토너는 토너규제 블레이드(154)의 아래를 통과하면서 박층화된다. 현상롤러(152)가 계속 회전하면, 박층화된 토너는 감광매체(110)와 마주 보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현상롤러(152)에 토너층을 형성하였던 토너는 감광매체(110)로 이동하게 된다. 감광매체(110)로 이동한 토너에 의해 정전잠상이 가시화상으로 현상된다. 감광매체(110)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전사롤러(340, 도 14 참조)에 의해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인쇄매체로 전사된 후 감광매체(110)에 잔류하는 폐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132)에 의해 제거되어 폐토너회수 프레임(131)의 폐토너 공간(131a)에 수거된다.
그 후, 폐토너가 제거된 감광매체(110)는 다시 대전롤러(173)에 의해 소정 전압으로 인가된 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00)는 도 8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20)의 고정홈(121,122)이 폐토너회수 프레임(130)의 제1축지지부재(141)의 고정돌기(145)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감광매체(110)가 지지축(120)을 중심으로 지지축(120)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에도, 지지축(120)은 폐토너회수 프레임(131)의 제1 및 제2축지지부재(141,142)에 대해 회전하거나,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00)를 조립하는 과정에 대하여 첨부된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지지축(120)을 감광매체(110)의 관통공(112b)에 삽입한다. 이때, 지지축(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121,122)이 형성된 쪽을 감광매체(110) 의 기어(112a)가 형성된 제2플렌지(112) 쪽으로 삽입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20)이 외주에 기어가 형성되지 않은 제1플렌지(11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감광매체(110)가 결합된 지지축(120)을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130)의 제1 및 제2축지지부재(141,142)의 제1 및 제2축지지홈(143,144)에 삽입한다. 이때, 지지축(120)의 고정홈(121,122)이 제1축지지부재(141)의 제1축지지홈(143)에 형성된 고정돌기(145)에 일치되도록 하여 지지축(120)을 제1 및 제2축지지홈(143,144)의 개방부를 통해 삽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20)이 제1 및 제2축지지홈(143,144)에 완전히 삽입되면, 지지축(120)에 형성된 고정홈(121,122)과 제1축지지홈(143)에 형성된 고정돌기(145)에 의해 지지축(120)이 회전하거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토너공급 프레임유닛(150)과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130)을 결합한다. 이때, 토너공급 프레임유닛(150)의 제1 및 제2결합부재(161,162)에 형성된 제1 및 제2결합홈(163,164)이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130)의 제1 및 제2축지지부재(141,142)의 외측에서 지지축(120)에 삽입되도록 한다(도 13 참조). 그러면, 토너공급 프레임유닛(150)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매체(110)에 대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공급 프레임유닛(150)과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130)의 사이로 감광매체(110)의 상측으로 대전롤러유닛(170)을 설치한다. 이때, 폐토너회수 프레임(130) 또는 토너공급 프레임(150)에는 대전롤러유 닛(17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판(181) 및 제2측판(182)을 토너공급 프레임유닛(150)과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130)의 좌우측에 조립하면 현상카트리지(100)의 조립이 완성된다. 제1 및 제2측판(181,182)을 조립할 경우에는 지지축(120)의 일단이 제1 및 제2측판(181,182)의 각각에 형성된 지지축 구멍(181a)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제1 및 제2측판(181,182)에 현상롤러(152) 및 토너공급롤러(153)의 축을 지지하는 축구멍이 형성된 경우에는 각각의 축구멍이 현상롤러(152) 및 토너공급롤러(153)의 축과 일치되도록 하여 조립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00)를 분해할 경우에는 상술한 현상카트리지의 조립방법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00)의 분해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현상카트리지(100)가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130), 토너공급 프레임유닛(150), 대전롤러유닛(170)으로 구성된 경우, 즉 현상카트리지(100)의 프레임이 폐토너회수 프레임(131), 토너공급 프레임(151), 대전롤러 프레임(171), 제1 및 제2측판(181,182)으로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로 현상카트리지는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지지축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축지지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의 내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의 하면에는 감광매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감광매체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현상카트리지는 프레임이 일 체로 된 것 외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0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300)는 본체 커버(310), 인쇄매체 공급유닛(320), 이송롤러유닛(330), 노광유닛(380), 현상카트리지(370), 정착유닛(350), 및 배지유닛(360)을 포함한다.
본체 커버(310)는 화상형성장치(300)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측에 인쇄매체 공급유닛(320), 이송롤러유닛(330), 현상카트리지(370), 전사롤러(340), 정착유닛(350), 및 배지유닛(360)이 설치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320)은 본체 커버(310)의 내측에 아래 쪽에 설치되며, 복수 매의 인쇄매체(P)를 적재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320)의 선단에는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여 공급하는 픽업롤러(321)가 설치된다.
이송롤러유닛(330)은 적어도 한 쌍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며, 인쇄매체 공급유닛(320)에서 픽업된 인쇄매체(P)를 전사롤러(340)와 감광매체(110) 사이로 이동시킨다.
노광유닛(380)은 현상카트리지(370)의 상측에 설치되며,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레이저 빔을 현상카트리지(370)의 감광매체(110)로 주사한다.
현상카트리지(370)는 노광유닛(380)에서 발광된 레이저 빔에 의해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는 것으로서, 착탈식으로 화상형성 장치의 본체 커버(310) 내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현상카트리지(370)가 화상형성장치(300)의 내측에 설치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매체(110)의 기어(112a)가 본체 커버(310)의 내측에 설치된 구동기어(303)와 맞물리게 된다. 현상카트리지(370)의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현상카트리지(10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사롤러(340)는 현상카트리지(370)의 하측에 현상카트리지(370)의 감광매체(110)와 접촉하며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감광매체(110)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 공급유닛(320)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P)로 전사한다.
정착유닛(350)은 전사롤러(340)의 하류에 설치되며, 가압롤러와 가열롤러를 포함한다. 정착유닛(350)은 가압롤러와 가열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P)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P)에 정착시킨다.
배지유닛(360)은 정착유닛(350)을 통과하며 토너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P)를 화상형성장치(300)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300)의 작용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쇄명령을 수신하면, 화상형성장치(300)는 현상카트리지(100)의 대전롤러(173, 도 12 참조)에 전압을 인가하여 감광매체(110)의 표면을 소정 전압으로 대전시킨다.
이후, 구동모터(미도시)를 동작시켜 구동기어(303, 도 13 참조)가 회전하도록 한다. 구동기어(303)가 회전하면, 구동기어(303)와 맞물린 감광매체(110)의 기 어(112a)가 회전하여 감광매체(110)가 회전한다. 감광매체(11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지지축(120)의 고정홈(121,122)에 제1축지지부재(141)의 고정돌기(145)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지지축(120)은 감광매체(110)를 따라 회전하거나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화상형성장치(300)는 노광유닛(380)을 동작시켜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레이저 빔을 주사한다. 노광유닛(380)에서 주사된 레이저 빔은 현상카트리지(370)의 대전롤러 프레임(170, 도 12 참조)에 형성된 레이저 빔 구멍(172)을 통해 감광매체(110)로 입사되어 대전롤러(173)에 의해 대전된 감광매체(110)에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구동기어(303)에 의해 감광매체(110)가 회전을 계속하면, 감광매체(110)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롤러(152)와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면, 현상롤러(152)에서 토너층을 형성하고 있던 토너가 감광매체(110)의 표면으로 이동하여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한다.
한편, 인쇄명령이 수신되면, 인쇄매체 공급유닛(320)은 저장된 인쇄매체(P)를 한 장 픽업하여 이송롤러유닛(330)으로 이송한다. 픽업된 인쇄매체(P)는 이송롤러유닛(330)에 의해 현상카트리지(100)의 감광매체(110)와 전사롤러(340) 사이로 진입한다.
인쇄매체(P)가 현상카트리지(100)의 감광매체(110)와 전사롤러(340) 사이로 진입하면, 회전하는 감광매체(110)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P)로 전사된다.
감광매체(110)가 회전을 계속하면,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P)로 전사된 후 감 광매체(110)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132)에 의해 제거된다. 감광매체(110)에서 제거된 폐토너는 폐토너회수 프레임(131)에 형성된 폐토너 공간(131a)에 저장된다.
감광매체(110)가 회전을 계속하여 폐토너가 제거된 부분이 대전롤러(173)와 마주하는 위치로 오면 대전롤러(173)에 의해 다시 소정 전압으로 대전된다.
소정의 전압으로 대전된 감광매체(11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며, 인쇄매체(P)에 토너 화상을 전사하게 된다.
현상카트리지(100)의 감광매체(110)로부터 토너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P)는 정착유닛(350)으로 이동된다. 인쇄매체(P)가 정착유닛(350)의 가압롤러와 가열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토너 화상이 인쇄매체(P)에 정착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P)는 배지유닛(36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3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광매체 지지장치, 현상카트리지,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감광매체를 지지하는 지지축에 형성된 고정홈에 제1축지지부재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지지축이 회전하거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축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감광매체 지지장치나 현상카트리지의 경우에는 지지축에 형 성된 고정홈과 축지지부재에 형성된 고정돌기만으로 지지축의 회전방지와 축 방향 이동방지라는 2가지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에 의한 감광매체 지지장치나 현상카트리지에 비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감광매체 지지장치나 현상카트리지의 경우에는 지지축의 고정홈을 축지지부재의 고정돌기에 일치시켜 삽입하는 것만으로 지지축을 축지지부재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따라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23)

  1.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회전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지지축;
    상기 회전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축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제1축지지부재; 및
    상기 회전체의 타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는 제2축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지지장치.
  2. 감광매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감광매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고정홈 또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지지축;
    상기 감광매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축의 고정홈 또는 고정돌기에 삽입되는 고정돌기 또는 고정홈이 형성된 제1축지지부재; 및
    상기 감광매체의 타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는 제2축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매체 지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에 상기 고정홈 또는 고정돌기의 아래에 형성된 제2고정홈 또는 제2고정돌기; 및
    상기 제2고정홈 또는 제2고정돌기에 삽입되는 제2고정돌기 또는 제2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매체 지지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축지지부재는 현상카트리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매체 지지장치.
  5. 감광매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감광매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지지축;
    상기 감광매체의 일부가 노출되는 감광매체 구멍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감광매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제1축지지부재; 및
    상기 감광매체의 타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제1축지지부재와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제2축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카트리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에 형성된 제2고정홈; 및
    상기 제2고정홈에 삽입되는 제2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카트리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매체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의 일단에 고정되며, 중심에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플렌지; 및
    상기 감광드럼의 타단에 고정되며, 외주에 기어가 형성되고, 중심에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2플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현상카트리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렌지와 제2플렌지의 일 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축지지부재와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카트리지.
  9. 감광매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감광매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지지축;
    상기 감광매체의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축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
    상기 제1축지지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
    상기 감광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토너공급 프레임유닛; 및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과 토너공급 프레임유닛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측판 및 제2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카트리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에 형성된 제2고정홈; 및
    상기 제2고정홈에 삽입되는 제2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카트리지.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매체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의 일단에 고정되며, 중심에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플렌지; 및
    상기 감광드럼의 타단에 고정되며, 외주에 기어가 형성되고, 중심에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2플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현상카트리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렌지와 제2플렌지의 일 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축지지부재와 접 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카트리지.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공급 프레임유닛은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의 제1 및 제2축지지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감광매체의 양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카트리지.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매체의 상측으로,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과 토너공급 프레임유닛의 사이에 설치되는 대전롤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카트리지.
  15.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인쇄매체 공급유닛;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청구항 5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카트리지;
    상기 감광매체와 접하며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인쇄매체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에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롤러; 및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를 배출하는 배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지지축의 고정홈이 감광매체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축을 상기 감광매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지지축의 고정홈이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의 고정돌기에 삽입되도록 상기 감광매체가 조립된 상기 지지축을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에 조립하는 단계;
    상기 감광매체를 중심으로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의 반대쪽에 토너공급 프레임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감광매체의 상측으로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과 상기 토너공급 프레임유닛의 사이에 대전롤러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 유닛과 토너공급 프레임유닛의 양측에 제1 및 제2측판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카트리지 조립방법.
  17. 현상카트리지에서 제1 및 제2측판을 분리하는 단계;
    대전롤러유닛을 분리하는 단계;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으로부터 토너공급 프레임유닛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폐토너회수 프레임유닛의 고정돌기에 고정홈이 삽입되어 있는 지지축을 감광매체와 일체로 상기 고정돌기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감광매체로부터 상기 지지축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현상카트리지 분해방법.
  18.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현상카트리지용 감광매체이며,
    상기 감광매체는, 상기 감광매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감광매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설치된 제1축지지부재의 고정돌기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매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제2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축지지부재는 상기 제2고정홈에 삽입되는 제2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매체.
  20.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현상카트리지용 지지축이며,
    상기 지지축은 감광매체의 중앙을 관통하여 양측으로 돌출되며, 양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설치된 제1 및 제2축지지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감광매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축의 부분에 상기 제1축지지부재의 고정돌기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홈이 상기 제1축지지부재의 고정돌기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축은 상기 제1 및 제2축지지부재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감광매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제2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축지지부재는 상기 제2고정홈에 삽입되는 제2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축.
  22.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현상카트리지용 프레임이며,
    상기 현상카트리지는, 감광매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감광매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고정홈이 형성된 지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지축을 지지할 수 있는 제1 및 제2축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축지지부재는 상기 지지축의 고정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용 프레임.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에 형성된 제2고정홈; 및
    상기 제2고정홈에 삽입되는 제2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용 프레임.
KR1020070029986A 2007-03-27 2007-03-27 회전체 지지장치, 이를 구비한 현상카트리지와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 조립방법 및 분해방법 KR100927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986A KR100927141B1 (ko) 2007-03-27 2007-03-27 회전체 지지장치, 이를 구비한 현상카트리지와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 조립방법 및 분해방법
US11/971,326 US7899361B2 (en) 2007-03-27 2008-01-09 Photosensitive medium supporting apparatus,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 developing cartridge
EP08150753.5A EP1975734B1 (en) 2007-03-27 2008-01-29 Photosensitive medium supporting apparatus,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 developing cartridge
CN200810080668.6A CN101276193B (zh) 2007-03-27 2008-02-28 感光介质支撑装置、显示盒、成像装置和显示盒装拆方法
RU2008107796/12A RU2465644C2 (ru) 2007-03-27 2008-02-28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точувствительного носителя, картридж проявл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которые содержат такое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 также способ сборки и разборки картриджа проявления
BRPI0800383-1A BRPI0800383A2 (pt) 2007-03-27 2008-02-29 aparelho de suporte de meio fotossensÍvel, cartucho de revelaÇço e aparelho de formaÇço de imagem tendo o mesmo e mÉtodo para montar e desmontar um cartucho de revelaÇç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986A KR100927141B1 (ko) 2007-03-27 2007-03-27 회전체 지지장치, 이를 구비한 현상카트리지와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 조립방법 및 분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559A true KR20080087559A (ko) 2008-10-01
KR100927141B1 KR100927141B1 (ko) 2009-11-18

Family

ID=3959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986A KR100927141B1 (ko) 2007-03-27 2007-03-27 회전체 지지장치, 이를 구비한 현상카트리지와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 조립방법 및 분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99361B2 (ko)
EP (1) EP1975734B1 (ko)
KR (1) KR100927141B1 (ko)
CN (1) CN101276193B (ko)
BR (1) BRPI0800383A2 (ko)
RU (1) RU2465644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148A (ko) * 2016-09-30 2019-05-1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토너 카트리지 및 토너 공급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1521B2 (en) * 2009-05-22 2012-02-21 Ricoh Production Print Solutions LLC Support structure for a photoconductive drum of a production printing system
JP5119279B2 (ja) * 2010-01-26 2013-01-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処理構造体、定着装置及び定着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8369740B2 (en) * 2010-04-02 2013-02-05 Wazana Brothers International, Inc Remanufactured toner cartridge with added cleaning roller for the primary charge roller, and methods
CN102540845A (zh) * 2012-02-01 2012-07-04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处理盒及其组装方法
JP6422290B2 (ja) * 2014-10-02 2018-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3264196B1 (en) 2015-02-27 2020-10-28 C/o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USD969207S1 (en) * 2020-12-10 2022-11-08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Developing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2706A (en) * 1990-10-23 1995-06-06 Kabushiki Kaisha Toshiba Photoconductor for xerography
US6249661B1 (en) * 1993-12-08 2001-06-19 Ricoh Company, Ltd. Device for supporting an image carrier included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320634A (ja) 1994-08-17 1996-12-03 Ricoh Co Ltd 像担持体支持装置
US5457520A (en) * 1994-07-14 1995-10-10 Xerox Corporation Dual snap fit bearing
KR100190515B1 (ko) 1995-03-22 1999-06-01 이토가 미찌야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JP3315560B2 (ja) * 1995-06-13 2002-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の取り付け方法
JP3350384B2 (ja) * 1997-01-16 2002-11-25 松下電送システム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DE19854991B4 (de) * 1997-12-04 2005-11-10 Ricoh Co., Ltd. Bilderzeugungsapparat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en desselben
US6301458B1 (en) * 2000-08-03 2001-10-0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6549738B2 (en) * 2000-08-30 2003-04-15 Oki Data Corporation Image form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hotoreceptor drum that rotates at a constant velocity and is stably grounded
EP1191409A3 (en) * 2000-09-26 2004-01-2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6490426B1 (en) * 2000-11-03 2002-12-03 Xerox Corporation Modular imaging member flange assembly
JP3684195B2 (ja) * 2001-12-28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4028299A (ja) * 2002-06-28 2004-01-29 Ricoh Co Ltd 回転体支持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148A (ko) * 2016-09-30 2019-05-1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토너 카트리지 및 토너 공급 기구
US10747144B2 (en) 2016-09-30 2020-08-18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cartridge and toner supplying mechanism
US11366409B2 (en) 2016-09-30 2022-06-21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cartridge and toner supplying mechanism
US11506993B2 (en) 2016-09-30 2022-11-22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cartridge and toner supply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65644C2 (ru) 2012-10-27
EP1975734B1 (en) 2018-04-18
CN101276193A (zh) 2008-10-01
EP1975734A3 (en) 2014-07-30
KR100927141B1 (ko) 2009-11-18
US20080240777A1 (en) 2008-10-02
US7899361B2 (en) 2011-03-01
EP1975734A2 (en) 2008-10-01
CN101276193B (zh) 2015-09-02
RU2008107796A (ru) 2009-09-10
BRPI0800383A2 (pt) 2008-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141B1 (ko) 회전체 지지장치, 이를 구비한 현상카트리지와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 조립방법 및 분해방법
US77832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12500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542700B2 (en) Image forming process module having a detachable waste developer storage tank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095035B2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upporting members, grooves, and supported developing roller
US7158735B2 (en) Process cartridge, mounting method of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and replacing method of the photosensitive drum
EP176291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 extractable frame for process cartridges
US9110440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process cartridge
EP1635230B1 (en) Process cartridge with means to reduce vibration of a gea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092859A (ja) 回転体支持部材、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4817010B2 (ja) 画像形成装置
JP465870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70115585A (ko)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형성 장치의 조립방법, 해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임시 고정부재
JP2007057643A (ja) 定着装置
JP3180653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駆動系ユニット装置
JPH09319173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095711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9109877A (ja) 画像形成装置
KR101280041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0412603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336823B1 (ko) 화상 형성 장치
JP3312820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608022B1 (ko) 정착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1201388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
JP200316743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