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515B1 -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515B1
KR100190515B1 KR1019960003881A KR19960003881A KR100190515B1 KR 100190515 B1 KR100190515 B1 KR 100190515B1 KR 1019960003881 A KR1019960003881 A KR 1019960003881A KR 19960003881 A KR19960003881 A KR 19960003881A KR 100190515 B1 KR100190515 B1 KR 100190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haft
image carrier
handle
waste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173A (ko
Inventor
호소카와 히로시
사이토 히로시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12758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320634A/ja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960035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details of the the intermediate support, e.g. chemical com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에서, 광전도성 요소 또는 화상 담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는 요소가 그 축과 함께, 즉 그 축을 밀어 제거하거나 끼움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장치는 광전도성 요소를 용이하게 교체하도륵 한다. 광전도성 요소와 축이 서로 독립하여 조작되도륵 하지 않기 때문에 운전이 용이하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담체 지지장치의 제 1실시예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요부구성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제 7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 3도는 제 1 및 제 7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 4도 내지 제 6도는 제 1 및 제 7실시예에서 광전도성 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제 7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요부구성도
제 8도는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7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 9도 내지 제 11도는 제 2 및 제 7실시예에서 광전도성 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과정
을 도시한 설명도
제 12도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요부구성도
제 13도는 제 8실시예의 사시도
제 14도 내지 제 16도는 제 8실시예에서 광전도성 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제 17도는 제 8실시예에서 광전도성 요소가 반대방향에서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상태도
제 18도는 제 8실시예에서 폐토너 탱크가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드럼 2,3 : 핸들
5 : 구동 기어 6 : 축 지지부재
7 : 축 8 : 잠금부재
10 : 픽업 로울러 11 : 카세트
12 : 대전기 13 : 광기입 유니트
14 : 현상유니트 15 : 전사로울러
16 : 정착유니트 17 : 등록로울러
18 : 폐토너 탱크 19 : 방전브러쉬
20 : 새토너 탱크 21,21 : 아암
본 발명은 복사기, 레이저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또는 이와 유사한 전기사진기의 화상 형성장치에 포함된 광전도성 요소 또는 화상 담체를 지지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전도성 요소, 예를 들면 축에 의하여 회전가능한 드럼을 장착하도록 제시된 다양한 화상형성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드럼을 교환하기 위하여, 운전자는 축을 해체하고, 장치와 드럼의 측벽으로부터 그 축을 밖으로 빼내며, 그리고 나서 장치의 몸체로부터 상기 드럼을 제거한다. 최근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드럼이 토너보충부 및 폐토너수집부와 함께 조립체(a unit)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립체 구성이하 하더라도, 운전자는 상기 드럼을 지지하는 축을 밖으로 빼내며, 그리그 나서 장치 몸체로부터 전체의 조립체를 게거하는 것이다. 특히, 운전자는 한 손으로 드럼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축을 장치 몸체와 드럼으로부터 밖으로 빼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복잡하고 시간을 많이 필요로 하며 숙달을 필요로 한다. 새로운 드럼이 장치 몸체에 장착될때, 운전자의 손은 광전도성 드럼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드럼의 한정된 부분이 손에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드럼을 장착하고 탈착하는 것은 다루기 힘든 조치를 요구한다.
나아가, 상술한 조립체 구성에서, 현상로울러가 그 조립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동안에 드럼의 축은 장치 몸체에 지지되어진다. 이는 상기 드럼과 현상로울러 사이의 간격이 고정되어지는 문제를 초래한다. 상기 드럼과 현상 로울러가 축방향에서 서로 균일하게 접촉하지 못하거나 예를 들면 그들 외경측에서의 불규칙성에 인하여 서로에 평행하게 있지 못할때, 그 결과에 의한 화상이 불규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럼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동안에, 운전하기에 용이하고 능률적이며 따라서 운전속도를 향상시키고 광전도성 드럼의 교체를 용이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창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된 화상담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는 화상담체의 대향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내부에 형성된 관통구멍(through bore)을 각각 가지는 한쌍의 플렌지를 가진다. 축은 상기 한쌍의 플렌지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연장한다. 한쌍의 잠금부재가 상기 축의 대향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각각은 서로 대면하는 평활부(flat portion)와 서로 대면하는 만곡부(curved portion)를 가지며, 이러한 잠금부재는 상기 축 중심선의 대향측에서 평행한 평면에서 떨어져 나간 원주표면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잠금부재는 축의 중심선에 수직한 단면에 타원형을 가진다. 한쌍의 축 지지부재 각각이 상기 잠금부재의 하나의 아치형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는 원형 구멍과, 상기 원형 구멍으로 연결되고 결과적으로 잠금부재의 평활부를 통과하도록 된 개방부(an opening)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부재는 그 위치에서 축을 잠글 수 있도록 각각 축 지지부재의 원형구멍에 수용된다.
역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된 화상담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는 화상담체의 대향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내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각각 가지는 한쌍의 플렌지를 가진다. 축은 상기 플렌지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연장한다. 한쌍의 노치부(notched portion)가 상기 축의 대향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각각은 서로 대면하는 평활부와 서로 대면하는 만곡부를 가지며, 이러한 노치부는 상기 축 중심선의 대향측에서 평행한 평면에서 떨어져 나간 원주표면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잠금부재는 축의 중심선에 수직한 단면에 타원형을 가진다. 한쌍의 축 지지부재 각각이 상기 잠금부재의 하나의 아치형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는 원형 구멍과, 상기 원형 구멍으로 연결되고 결과적으로 잠금부재의 평활부를 통과하도록 된 개방부를 포함한다. 한쌍의 고정부재(affixing member)가 상기 한쌍의 축 지지부재를 각각 고정한다. 상기 노치부는 그와 관련된 축 지지부재를 매개로 하여 고정부재에 각각 고정된다.
제 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담체 지지장치의 제 1실시예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요부가 도시된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장치는 광전도성 층(layer)을 갖춘 드럼(1)의 형상으로 된 광전도성 요소를 가진다. 현상 유니트(14)는 축 지지부재(6)를 가진다. 상기 드럼(1)은 상기 지지부재(6)에 의하여 지지된 축(7)에 의하여 장착된다. 픽업(pidk-up) 로울러(1O)가 카세트(casset)(11)에 하나씌 채워진 용지 또는 그와 유사한 매체(P)를 이송시킨다. 대전기(12)가 상기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광기입(optical writing) 유니트(13)가 그것을 화상화하여 감광함으로서 드럼(1)의 대전 표면에 잠상(a latent image)을 정전기적으로 형성한다. 새토너(a fresh toner) 탱크(20)가 내부에 새로운 토너를 저장하고 호퍼(14a)에 제거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공급 로울러(14b)가 상기 현상 유니트(14)에 장착된다. 역시 현상 로울러(14c)가 상기 현상 유니트(14)에 장착된다. 상기 공금 로울러(14b)에 의하여 이송된 새토너가 현상 로울러(14c)의 표면에 얇은 층으로 부착된다. 중간 로울러(14d)가 로울러(14C)로부터 드럼(1)으로 토너를 전달하도륵 현상로울러(14c)와 드럼(1)에 접촉하여 유지된다.
상기 로울러(14b), (14c) 및 (14d)는 호퍼(14a)의 대향 측벽에 장착된(arejournalled ) 축(14b1), (14c1) 및 (14d1)에 의하여 각각 지지된다. 로울러(14b-14d)와 마찬가지로, 드럼(1)의 축이 호퍼(14a)에 의하여 지지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로울러(14d)와 드럼(1)은 서로에 대하여 정밀성을 유지하여 위치된다.
전사로울러(15)가 토너 화상을 드럼(1)에서 카세트(11)로부터 이송된 용지(P)에 전사한다. 정착 유니트(16)가 토너 화상을 용지(P)상에 정착시킨다. 등록로울러(17)쌍이 미리 설정된 타이밍(timming)에 전사로울러(15)측으로 용지(P)를 구동한다. 폐토너 탱크(18)는 화상 전사후에 드럼(1) 상에 잔유하는 토너를 긁어 제거하고 수집하기 위한 브러쉬(brush) 로울러(18a)를 가진다. 역시 방전브러쉬(19)는 드럼(1)을 초기화하기 위하여, 화상 전사후에 드럼(1)상에 잔유하는 전하를 방산시킨다. 또한 제 1도에는 제 1아암(arm))(21)과 제 2아암(22)이 도시된다.
상기 제 1아암(21)은 폐토너 탱크(18)에 일단부가 장착된다. 상기 제 1아암(21)의 타단부는 일반적인 U자형으로 구성되고, 축(7)의 미리 결정된 위치, 예를 들면 드럼(1)의 일단부면과 축 지지부재(6) 사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2아암(22)은 새토너 탱크(20)에 일단부가 장착되고, 일반적인 U자형 타단부에 축(7)이 결합된다. 상기 탱크(18)(20)는 상기 2개의 아암(21)(2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방전로울러(23)쌍은 용지(P)를 정착 유니트(16)로부터 나와 트레이(tray)(24)상으로 오도록 구동한다. 탄성압착기(25)는 덮개(cover plate)(26)의 하부측에 장착된다. 상기 덮개(26)가 닫혀질때, 상기 압착기(25)는 폐토너 탱크(18)의 상부면상에 놓이고 그것을 하부측으로 가압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1아암(21)은 축(7)을 하부측으로 밀게 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상기 축(7)은 별도의 동작없이 지지부재(6)내에 견고하게 수용된다.
상기 드럼(1)을 교체하기 위하여는, 2개의 아암(21)(2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폐토너 탱크(18)와 새토너 탱크(20)가 동시에 상부측으로 밀려 나온다. 특히, 상기 탱크(20)가 호퍼(14a)로부터 방출되는 동안에 아암(21)(22)이 축(7)으로부터 방출된다. 동시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탱크(18)는 지지부재로부터 방출된다. 결과적으로, 드럼(1)의 상부 공간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1)은 화살표(A)로 표시한 방향으로 밀려 나온다.
제 2도와 제 3도는 드럼(1)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 1플렌지(2a)는 드럼(1)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고 그 원주표면에 기어 이(gear teeth)(39)를 형성한다. 제 2플렌지(2b)는 드럼(1)의 타측 단부에 장착되고 그 원주표면에 기어 이(gear teeth)(39)를 형성한다. 상기 플렌지(2a)(2b)는 그 중앙에 관통구멍 또는 미끄럼부(4a)(4b)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축(7)은 상기 구멍(4a)(4b)을 통하여 연장되고, 따라서 상기 플렌지(2a)(2b)와 드럼(1)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한다. 상기 플렌지(2a)(2b)는 압축끼움, 탄성결합, 접착 또는 그와 유사한 기술에 의하여 드럼(1)에 고정된다.
도정성 부재(2c)가 드럼(1)의 내벽과 축(7)을 접지하도륵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플렌지(2a)에 끼워진다. 잠금부재(8)가 축(7)의 축 단부에 형성된다. 각각의 잠금부재(8)는 상기 축(7)의 중심선의 대향 단부측에서 서로 평행한 면을 가지도록 절단된다. 따라서, 각각의 잠금부재(8)는 서로 대향하는 평활부(8a)와 서로 대향하는 아치형 부분(8b)를 가지며, 이들은 축(7)의 원주에서 연속적이다. 상기 아치형 부분(8b)은 상기 평활부(8a)로부터 90편향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잠금부재(8)는 축(7)의 중심선에 수직한 평면에서 보여지는 타원형 부분을 가진다. 핸들(handle)(3)이 상기 축(7)의 양단부에 갖추어지며, 상기 각각은 축(7)에 끼워지는 부분(3a)과 상기 부분(3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 그립부(grip portion)(3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분(3a)은 도시하지 않은 멈춤스크류(stop screw), 분할핀(split pin), 접착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에 의하여 축(7)에 고정된다.
전술한 축 지지부재(6)는 쌍으로 갖추어진다. 한쌍의 지지부재(6)는 상기 잠금부재(8)의 하나를 각각 지지하고, 상기 호퍼(14a)로부터 돌출한다. 각각의 지지부재(6)는 그와 관련되는 잠금부재(8)의 평활부(8a)가 그를 통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6a)와, 상기 개방부(6a)로 연결시키며 상기 아치형 부분(8b)을 수용할 수 있는 원형 구멍(6b)을 가진다. 안내 표면(6c)이 상기 개방부(6a)와 구멍(6b)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6)는 필요하다면 드럼 유니트, 화상 전사 유니트, 정착 유니트, 또는 장치 몸체에 장착되어도 좋다.
상기 드럼(1)이 위치되고 상기 배치에 의하여 지지되어진 후에, 회전력이 미도시된 구동원으로부터 구동 기어(5)에 전달된다(제 3도 참조). 따라서, 상기 회전력은 구동기어(5)로부터 플렌지(2a)의 기어 이(39)로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드럼(1)은 기어 이(39)를 매개로 회전된다. 이때에, 상기 축(7)은 잠금위치에 유지되고, 따라서 상기 플렌지(2a)(2b)는 축(7)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 4도 내지 제 6도는 어떻게 각각의 잠금부재(8)가 그와 관련된 지지부재(6)로 끼워지고 그 위치에서 잠기는지를 설명한다. 첫째로, 제 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잠금부재(8)는 평활부(8a)가 지지부재(6)의 안내도면(6c)에 평행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나서, 제 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잠금부재(8)는 하부 아치형 부분(8b)이 구멍(6b)의 벽에 접촉할 때까지 개방부(6a)를 경유하여 원형 구멍(6b)으로 끼워진다. 이때에, 상기 평활부(8a)는 안내도면(6c)에 의하여 안내되어진다. 연속하여, 제 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향한 아치형 부분(8b)이 구멍(6b)의 벽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핸들(3)이 90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축(7)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6)에 잠기도륵 된다.
상기 상태에서, 아치형 부분(8a)과 구멍(6b)의 벽과의 사이에 약간의 공극(clearance) 또는 틈(play)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축(7)이 제 1아암(21)을 통하여 상기 폐토너 탱크(18)의 하중에 의하여 하부측으로 밀려지기 때문에, 상기 아치형 부분(8b)과 구멍(6b)의 벽은 서로 견고하게 접촉한다. 이는 드럼(1)이 틈에 구애되지 않게 하고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저해하지 않도록 한다. 게다가, 상기 덮개(26)가 압착기(25)에 의하여 폐토너 탱크(18)를 하부측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상기 탱크(18)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드럼(1)의 틈은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핸들(3) 각각의 90° 회전은 단지 예시이며, 상기 축(7)이 잠금 위치에 있을 수 있는 어떠한 각이어도 좋다. 상기 핸들(3)이 90° 회전된 후에, 그들은 스프링, 겹판 스프링, 마찰체(friction boby) 또는 기계 또는 전기적인 잠금기구에 의하여 잠겨진다.
제 7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도시한다. 제 7도에 있어서, 제 1도에 도시한 구성요소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로 한다.
제 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드럼(1)은 축 지지부재(34)에 의하여 지지된 축(30)에 장착된다. 상기 지지부재(34)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호퍼(14a)의 미리 선택된 위치에 고정된다. 필요하다면, 상기 지지부재(34)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드럼 유니트, 화상 전사 유니트, 정착 유니트, 또는 장치 몸체에 고정되어도 좋다.
제 8도는 제 2실시예와 제 3 내지 제 7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 1 및 제 2플렌지(2a)(2b)는 드럼(1)의 대향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이들 각각은 그에 형성된 기어 이(39)를 가진다. 상기 축(30)은 플렌지(2a)(2b)의 각각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4a)(4b)을 통하여 연장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의 벽 또는 미끄럼부(4a)(4b)가 축(30)에 미끄럼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플렌지(2a)(2b)는 압축끼움, 탄성결합, 접착 또는 그와 유사한 기술에 의하여 드럼(1)에 고정된다. 도전성 부재(33)가 드럼(1)의 내부 둘레와 축(30)을 접지하도륵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플렌지(2a)에 끼워진다. 따라서, 드럼(1)이 광기입 유니트(13)에 의하여 화상을 감광할때, 드럼(1)의 표면상에 부착된 전하가 접지에 의하여 방출된다.
상기 축(30)은 그 대향 단부에 노치부(31)를 가진다. 각각의 노치부(31)는 축(30)중심선의 대향측에서 평행한 평면에서 그 축(30)을 절삭하여 떨어져 나가도록 하여 형성된 평행한 평면부(31-a)와, 서로 대면하는 아치형 부분(31-b)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상기 축(30)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연속적이다. 상기 아치형 부분(31-b)은 상기 평활부(31-a)로부터 90°편향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노치부(31)는 축(30)의 중심선에 수직한 평면에서 보여지는 타원형 부분을 가진다. 한 쌍의 축 지지부재(34)가 상기 축(30)의 노치부(31)의 하나를 지지한다. 드럼(1)과 중간로울러(14d)가 예를 들면 지그(jig)의 사용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량의 범위내에서 서로에 미리 설정된 틈 또는 물림에 의하여 공간을 가지도록 위치되어진 후에, 지지부재(34)가 스크류(35)에 의하여 정체부재(37)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드럼(1)과 로울러(14d)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을때, 상기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로울러(14d)의 외경이 한 로트(lott)로부터 다른 로트에로 변화할지라도 그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각각의 부재의 미세한 요철조차도 흡수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1)과 로울러(14d)가 정밀성을 유지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특히, 탄성체인 로울러(14d)가 정밀한 외경을 가지도록 갖추는 것이 쉽지 않으면; 상기 고정방법이 채택되지 않아야 하고, 드럼(1)에 대한 로울러(14d)의 위치가 부정확하여지며, 따라서 화상 품질을 저하시킬 것이다. 상기 축 지지부재(34)는 노치부(31)의 평활부(31-a)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하는 개방부(34-a)와, 상기 개방부(34-a)에 연결된 원형구멍(34-b)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드럼(1)이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위치되고 지지된 후에, 회전력이 미도시된 구동원으로부터 미도시된 구동 기어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력은 구동 기어로부터 플렌지(2a)의 기어 이(39)에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드럼(1)은 기어 이(39)에 의하여 회전된다. 이때, 상기 축(30)은 잠금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플렌지(2a)(2b)는 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역시, 중간 로울러(14d)는 플렌지(2b)의 기어 이(39)와 그 로울러(14d)에 형성된 기어 이(38) 및 그 이(39)의 맞물림에 의하여 회전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렌지(2a)(2b)의 하나 또는 모두가 전도성 재질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장치 몸체를 통하여 접지로 연결된 상기 드럼(1)과 축(30)이 접지로 확실하게 연결된다. 이는 노출시 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접지로 전하를 방출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서는, 미도시된 전도성 부재가 상기 드럼(1)과 축(30)을 접지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플렌지(2a)(2 b)의 하나 또는 모두에 고정된다. 역시, 이는 노출시 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접지로 전하를 방출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서는,(제 8도에 도시된)접지판(36)이 지지부재(34)에 고정되고 장치 몸체를 통하여 접지로 연결되는 동안에, 축 지지부재(34)가 금속으로 구성된다. 상기 축(30)이 지지판(34)에 의하여 지지되어질때, 상기 축(30)과 드럼(1)은 장치 몸체를 통하여 접지로 확실하게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드럼(1)과 축(30)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34)가 전도성일때, 상기 드럼(1)이 장치 몸체를 통하여 접지에 연결된다. 이는 상기 축(30)이 지지부재(34)에 장착될때 접지작용을 자동으로 완전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서는, 핸들(2)이 축(30)의 양단부에 그 아치형 부분(31-b)의 외측으로 갖추어진다. 제 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핸들(32) 각각은 축(30)에 고정된 부분(32-a)과, 손으로 잡게될 그립부(32-b)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분(32-a)은 D형 단면을 가지는 관통구멍(32-c)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축(30)의 단부는 역시 D자 형상으로 절개되고 상기 구멍(32-c)에 압축끼움된다. 이러한 압축끼움은 원한다면 멈춤스크류, 분할핀 또는 접착으로 대체하여도 좋다. 상기 핸들(32)은 운전자가 드럼(1)을 만지지 않고 그 드럼(1)을 장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작업자가 그를 문질러 더럽히지 않도록 하여 상기 드럼(1)을 오염 및 긁힘으로부터 방지한다.
제 9도 내지 제 11도는 상기 노치부(31)의 각각이 관련된 지지부재(34)에 끼워지고 그 위치에서 잠겨지는 방법을 보인다. 우선, 제 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노치부(31)는 그 평활부(31-a)가 지지부재(34)에 포함된 안내 평면(34-c)에 안내되도록 평행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제 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노치부(31)는 그 하부측 아치형 부분(31-b)이 구멍(34-b)의 벽에 접촉할때까지 상기 개방부(34-a)를 통하여 원형 구멍(34-b)으로 끼워진다. 이때, 상기 평활부(31-a)는 안내 표면(34-c)에 의하여 안내되어진다. 계속하여, 제 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향된 아치형 부분(31-b)이 구멍(34-b)의 벽에 접촉하도륵 상기 핸들(32)01 90℃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축(30)은 지지부재(34)에 위치되어 잠겨진다.
상기한 상태에서, 아치형 부분(31-b)과 구멍(34-b)의 벽과의 사이에 약간의 공극 또는 틈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축(30)이 제 1아암(21)을 통하여 상기 폐토너탱크(18)의 하중에 의하여 하부측으로 밀려지기 때문에, 상기 아치형 부분(31-b)과 구멍(34-b)의 벽은 서로 견고하게 접촉한다. 이는 드럼(1)이 틈에 구애되지 않게 하고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저해하지 않도록 한다. 게다가, 상기 덮개(26)가 압착기(25)에 의하여 폐토너 탱크(18)를 하부측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역시 상기탱크(18)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드럼(1)의 틈은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핸들(32) 각각의 90℃ 회전은 단지 예시이며, 상기 축(30)이 잠금 위치에 있을 수 있는 어떠한 각이어도 좋다. 상기 핸들(32)이 90℃ 회전된 후에, 그들은 스프링, 겹판 스프링, 마찰체 또는 기계 또는 전기적인 잠금기구에 의하여 잠겨진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도시한다. 기술되어질 실시예에서, 상기한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로 한다.
제 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드럼(1)은 축 지지부재(44)에 의하여 지지된 축(40)에 장착된다. 상기 지지부재(44)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호퍼(14a)의 미리 선택된 위치에 고정된다. 필요하다면, 상기 지지부재(44)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드럼 유니트, 화상 전사 유니트, 정착 유니트, 또는 장치 몸체에 고정되어도 좋다.
폐토너 탱크(50)가 드럼(1)에 대하여 상부측에 거의 근접한 상태로 배치된다. 소제 블레이드(50a), 또는 소제수단이 화상전사후에 드럼(1)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긁어 제거하도륵 상기 탱크(50)상에 장착된다. 한쌍의 물림부재(50b)가 좌우방향에서 탱크(50)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각각은 토치를 가진다. 상기 물림부재(50b)의 노치들은 각각 축(40)의 대향 단부에 형성된 미도시된, 탱크지지부재와 결합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탱크(50)는 드럼(1)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되고 미리 설정된 운전 위치에 유지한다.
상기 폐토너 탱크(50)와 새토너 탱크(20)는 스크류(20a)(20b)에 의하여 서로에 고정된다. 상기 드럼(1)을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탱크(50)가 지렛대로서 작용하는 탱크(20)에 의하여 들려져, 상기 드럼(1)의 상부측 공간이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1)은 축(40)이 축 지지부재(44)로부터 방출될 때까지 화살표(A)로 나타낸 방향으로 들려진다.
제 13도는 상부 화상담체 지지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 1 및 제 2플렌지(2a)(2 b)는 각각 드럼(1)의 우측 및 좌측 단부에 장착되고, 각각은 그에 형성된 기어 이(39)를 가진다. 축(40)이 상기 플렌지(2a)(2b)의 각각의 중앙으로 형성된 관통구멍 또는 미끄럼부(4a)(4b)을 통하여 연장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상기 구멍(4a)(4b)의 벽은 상기 축(4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상기 플렌지(2a)(2b)는 드럼(1)에 압축끼움, 전기적인 연결, 접착 또는 이와 유사한 기술에 의하여 고정된다. 전도성 부재(43)는 드럼(1)의 내주면과 축(30)을 접지하도륵 연결하기 위하여 플렌지(2a)에 고정된다. 따라서, 드럼(1)이 광기입 유니트(13)에 의하여 화상으로 감광될때, 드럼(1)의 표면에 부착된 전하가 접지로 방출된다.
상기 축(40)은 그의 대향 단부에 노치부(41)를 가진다. 각각의 노치부(41)는 축(40) 중심선의 양측에서의 평행면에서 그 축(40)을 제거함으로서 형성된 평행 평활부(41-a)와, 축(40)의 외주면에 연속하는 아치형 부분(41-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치형 부분(41-b)은 평활부(41-a)로부터 90℃ 편향되어 서로 대면한다. 따라서, 각각의 노치부(41)는 축(40)의 중심선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에서 보았을때 타원형인 부분을 가진다. 한쌍의 축 지지부재(44) 각각은 상기 축(40)의 노치부(41)의 하나를 지지한다. 설명된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44)는 상기 호퍼(14a)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
상기 축 지지부재(44)는 각각 노치부(41)의 평활부(41-a)가 통과하도륵 하는 개방부(44-a)와, 상기 개방부(44-a)에 연결된 원형 구멍(44-b)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노치부(41)는 개방부(44-a)를 통하여 구멍(44-b)으로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축(40)은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여, 아치형 부분(41-b)이 구멍(44-b)의 벽에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축(40)에 의하여 지지된 드럼(1)이 정확하게 위치된다.
상기 드럼(1)이 상기한 배치로 위치되고 지지되어진 후에, 회전력이 미도시된 구동원으로부터 미도시된 구동 기어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력은 구동 기어로부터 플렌지(2a)의 기어 이(39)로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기어 이(39)를 통하여 회전된다. 이때에, 상기 축(40)은 잠금위치에 있어, 플렌지(2a)(2b)가 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핸들(42)은 축(40)의 양단부에 그 아치형 부분(41-b)의 외측으로 갖추어진다. 상기 핸들(42) 각각은 축(40)에 고정된 부분(42-a)과, 손으로 잡게될 그립부(42-b)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분(42-a)은 D 형 단면을 가지는 관통구멍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축(40)의 단부는 D자 형상으로 절개된 부분(45)을 가지며, 상기 부분(45)은 부분(42-a)의 D자형 구멍에 압축끼움된다. 이러한 압축끼움은 원한다면 멈춤스크류, 분할핀 또는 접착으로 대체하여도 좋다. 후술하듯이, 상기 축(40)의 D형 절개 단부(45)가 폐토너 탱크가 결합하는 폐토너 탱크지지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상기 핸들(42)은 운전자가 드럼(1)을 만지지 않고 그 드럼(1)을 장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도륵 한다. 이는 작업자가 그를 문질러 더럽히지 않도록 하여 상기 드럼(1)을 오염 및 긁힘으로부터 방지한다.
각각의 핸들(42)은 각각의 축 지지부재(44)가 잠금부재(44-e)를 더 포함하면 톱니멈춤쇠(paw1)(42-c)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핸들(42)이 대략 90℃ 회전할때,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지만 톱니멈춤쇠(42-c)의 끝(tip)이 잠금부재(44-e)에 포함된 노치내로 물린다. 잠금부재(44-e)의 노치에 근접하는 돌기는 상기 톱니멈춤쇠(42-c)가 그 오목부에 결합하기 전에 그 톱니멈춤쇠(42-c)를 탄력적으로 구부러지도록 한다. 이는 조작에 대하여 적정한 정도의 저항을 제공한다. 상기 톱니멈춤쇠(42-c)가 내부에 저장된 에너지에 기인하여 오목부내로 결합되는 순간에, 운전자는 그 결합 또는 째깍소리(clicking)를 느낄수 있다.
상기 톱니멈춤쇠(42-c)와 잠금부재(44-e)는 그들이 핸들(42)과 지지부재(44)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부품들의 수를 증가시키지는 않는다.
오른쪽과 왼쪽의 전형적인, 즉 문자 R와 L인 기호 S1과 S2는 좌, 우 핸들(42)의 부분(42-b)상에 양각으로 각각 형성된다. 기호 S1과 S2는 운전자가 드럼(1)의 회전을 직감에 의하여 인식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그것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우기, 문자 R와 L이 양각으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손으로 그 핸들을 집을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좌측 핸들(42)의 부분(42-a)은 드럼(1)의 중심선에 수직한 방향에서, (제 13도에 도시된 우측 방향인)후방측에서보다 (제 13도에 도시된 좌측 방향인)전방측에서 더 크게 된 폭을 가지도록 하여, 간섭부(interference)(42-e)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좌측 축 지지부재(44)는 구멍(44-b)의 후방측에서 돌기(44-d)의 형상으로 된 간섭부를 가진다. 상기 드럼(1)이 좌우 방향에서 바른 방향으로 장착되는 한, 상기 간섭부(42-e)와 돌기(44-d)는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간섭부(42-e)외 돌기(44-d)가 반대방향으로 장착된다면 서로 결합한다. 이는 드럼(1)이 바르지 않은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간섭부(42-e)와 돌기(44-d)는 그들이 핸들(42)과 지지부재(44)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부품들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상기 축(40)이 지지부재에 의하여 유지되어진 후에, 축(40) 상부에 배치된 폐토너탱크(50)는 낮추어지고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3도에 도시된, 우측 결합부재(50-b)와 탱크(50)내에 포함된 미도시된, 좌측 결합부재는 핸들(421)에 인접하는 축(40)의 우측과 좌측 D형 절개된 단부(45)에 각각 결합한다. 상기 축(40)은 지지부재(44)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았을 수 있고, 즉 상기 드럼(1)이 탱크(50)가 축(40)방향으로 낮추어질때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측 및 좌측 핸들(42)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축(40)의 중심선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간섭부 또는 사영부(projection)(42)를 가지도록 제공된다.
제 14 내지 제 16도는 노치부(41)의 각각이 그와 관련된 지지부재(44)로 끼워지고 그 위치에서 잠기어지는 방법을 보인다. 비록 후술하는 사항이 지지장치의 우측 부분에 집중할지라도, 역시 좌측부분에도 등일하게 적용된다.
우선, 제 14도에서, 상기 노치부(41)는 평활부(41-a)가 지지부재(44)에 포함된 안내표면(44-c)에 평행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제 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노치부(41)는 하부측 아치형 부분(41-b)이 구멍(44-b)의 가장자리에 결합될 때까지 상기 개방부(44-a)를 통하여 원형 구멍(44-b)내로 끼워진다. 계속하여, 제 1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대측 아치형 부분(41-b)이 구멍(44-b)의 벽에 접촉하도록 핸들(42)가 90℃ 회전된다. 이경우에, 톱니멈춤쇠(42-c)는 핸들(42)이 더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잠금부재(44-e)의 오목부내에 물린다.
상기한 과정에 의하여, 축(40)은 지지부채(44)에 의하여 위치된다. 아치형 부분(41-b)과 구멍(44-b)의 벽과의 사이에 약간의 공극 또는 틈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축(40)이 폐토너 탱크(50)의 하중에 의하여 하부측으로 밀려지기 때문에, 상기 아치형 부분(41-b)과 구멍(44-b)의 벽은 서로 견고하게 접촉한다. 이는 드럼(1)이 틈에 구애되지 않게 하고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저해하지 않도록 한다. 게다가, 상기 덮개(26)가 압착기(25)에 의하여 폐토너 탱크(50)를 하부측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역시 상기 탱크(50)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드럼(1)의 틈은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핸들(42) 각각의 90℃ 회전은 단지 예시이며, 상기 축(40)이 잠금 위치에 있을 수 있는 어떠한 각이어도 좋다.
제17도는 운전자가 우연하게 좌, 우방향에서 반대회전방향으로 드럼(1)을 장착할려고 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제17도에서,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좌측 핸들(42)과, 역시 제 13도에 되한 바와같은 우측 지지부재(44)가 보인다. 이러한 상태에서, 좌측 핸들(42)과 우측 지지부재(44)의 간섭부(42-e)와 돌기(44-d)는 각각 서로 결합하고, 운전자가 드럼(1)을 반대방향으로 장착하는 것을 성공적으로 방지한다. 물론, 상기 우측 핸들(42)과 좌측 지지부재(44)는 간섭부(42-e)와 돌기(44-d)를 각각 가지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나아가, 보다 확실하게 드럼(1)의 역방향 회전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좌, 우측 핸들(42) 모두와 좌, 우측 지지부재(44) 모두에 간섭부(42-e)와 돌기(44-d)를 각각 가지도록 하여도 좋다.
운전자가 무심코 상기 폐토너 탱크(50)를 불완전한 위치에 있는 드럼(1)으로 낮추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 1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비록 후술하는 사항이 지지장치의 우측 부분에 집중할지라도, 역시 좌측부분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축(40)이 드럼(1)에 위치되도륵 지지부재(44)를 수용한 후에, 폐토너 탱크(50)는 전술한 바와같이, 미리 설정된 위치로 낯추어 진다. 이 경우에, 탱크(50)의 결합부재(50-b)는 핸들(42)에 근접하는 축(40)의 D형 절개 단부(45)와 결합한다.
제 18도는 축(40)이 완전한 위치에서 지지부재(44)에 의하여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 1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간섭부(42-d)와 축(40)의 ''D형 절개 단부(45) 사이의 거리는 전후방향에서 d2이다. 다른 한편, 제 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축(40)이 지지부재(44)에 완전하게 잠기지 않았을때, 간섭부(42-d)와 축(40)의 D형 절개 단부 사이의 거리는 d1이다.
노치에 관하여 탱크(50)의 결합부(50b)의 전방부 또는 사영은 전후 방향에서 폭 D를 가진다. 본 실시예는 d1Dd2의 관계로 설정한다. 따라서, 축(40)이 지지부재(44)에 완전하게 잠기면, 상기 결합부재(50-b)는 축(40)의 D형 절개 단부(45)에 결합할 수 있다;그렇지 않으면, 사영 또는 간섭부(42-d)가 결합부재(50-b)와 결합하고 그것이 축(40)의 단부(45)와 결합하는 것을 방해한다. 이는 드럼(1)과 탱크(50)의 불완전한 결합을 미연에 방지한다.
나아가, 제 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축(40)이 정확한 위치에 잠기면, 핸들(42)에 포함된 라운드된(rounded) 가장자리가 상부측으로 향한다. 따라서, 탱크(50)는 드럼(1)이 장착된 후에 낮추어지고, 탱크(50)의 결합부(50-b)는 핸들(42)에 의하여 걸리지 않고 축(40)의 D형 절개 단부(45)에 원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는 탱크(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하기에 열거하는 바와같이 전례없는 다양한 잇점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화상담체 지지장치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1) 교체의 겅우에, 광전도성 요소가 그 축과 함께, 즉 그 축을 밀어 제거하거나 끼움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나아가, 광전도성 요소와 축이 서로 독립하여 조작되지 않도록 하여 운전이 간단하다.
(2) 광전도성 요소를 지지하는 축이 축 지지부재를 통하여 정체부재에 잠겨짐으로서, 상기 요소와 현상용 중간 로울러가 서로에 대하여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상기 중간 로울러의 외경이 하나의 로트로부터 다른 로트로 다르게 될지라도, 그 상대적인 위치는 그러한 흩으러짐(scattering)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독립된 부재의 미소한 돌출부조차도 흡수하여,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보장하고, 따라서 안정적인 화상품질을 얻을 수 있다.
(3) 플렌지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광전도성 요소는 그 플렌지, 축 및 장치 몸체를 통하여 확실하게 접지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노출의 경우에, 광전도성 요소에 부착된 전하가 접지로 확실하게 방출될 수 있다. 이는 역시 안정적인 화상 품질을 보증한다.
(4) 전도성 부재가 상기 광전도성 요소와 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플렌지의 하나에 고정된다.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광전도성 요소를 축과 장치 몸체를 통하여 접지로 확실하게 연결한다. 따라서, 노출의 경우에 광전도성 요소에 부착된 전하는 접지로 확실하게 방출될 수 있다. 이는 역시 안정적인 화상 품질을 보증한다.
(5) 상기 축 지지부재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광전도성 요소를 장치 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는 광전도성 요소를 접지로 확실하게 연결하고 따라서 노출의 경우에 요소의 표면 전하를 접지로 확실하게 방출한다. 이는 역시 안정적인 화상 품질을 보증한다.
(6) 상기 축 지지부재는 전도성 수지(resin)으로 이루어지고 광전도성 요소를 장치 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따라서 광전도성 요소를 접지로 확실하게 연결한다. 나아가, 상기 지지부재는 녹과 부식에 저항한다. 게다가, 상기 지지부재는 그들이 성형에 의하여 생산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지지장치의 비용과 무게를 감소시킨다.
(7) 교환의 경우에, 운전자는 광전도성 요소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나아가, 광전도성 요소는 그것의 미리 설정된 장착위치로 쉽게 안내할 수 있다. 게다가, 운전자의 손은 오염되지 않는다.
(8) 핸들의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톱니멈춤쇠가 축 지지부재에 포함된 잠금부재내에 결합하며, 따라서 그 축이 광전도성 요소가 회전할때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광전도성 요소는 확실하게 위치되고 잠겨진다.
(9) 기호가 광전도성 요소의 좌우 방향을 지시하도륵 핸들상에 제공된다. 상기 기호는 운전자가 광전도성 요소를 요구되는 방향으로 실패없이 장착하도록한다.
(10) 운전자가 그들 회전시키기 위하여 핸들을 쥘때, 상기 기호는 운전자의 손이 미끄러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용이하고 확실한 교환을 보증한다.
(11) 핸들의 적어도 하나와 축 지지부재의 적어도 하나가 간섭부를 가지도록 각각 형성된다. 광전도성 요소가 좌우방향에서 방향이 반대일때, 상기 간섭부는 각각에 결합하고 그것이 반대방향으로 장착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12) 사영, 또는 간섭부가 역시 핸들상에 제공된다. 광전도성 요소가 적정 위치에 완전하게 잠기어지지 않을때, 상기 사영은 폐토너 탱크가 그것의 미리 설정된 위치 보다 낮추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광전도성 요소와 폐토너 탱크가 부적절하게 장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13) 상기 폐토너 탱크가 낮추어질때, 핸들에 포함된 라운드된 가장자리가 상부측으로 향한다. 따라서, 상기 탱크에 포함된 결합부재가 상기 라운드된 가장자리에 의하여 안내되어짐으로서 축으로 원할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의 공개후 이에 의하여 당업계의 숙련된 기술자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Claims (24)

  1. 화상담체의 대향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내부에 관통구멍을 각각 가지는 한쌍의 플렌지;
    상기 한쌍의 플렌지의 관퉁구멍을 통하여 연장하는 축;
    상기 축의 대향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각각은 서로 대면하는 평활부와 서로 대면하는 만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 중심선의 마주하는 측에서 평행한 평면으로 절개되어 제거된 외주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축의 중심선에 수직한 단면에서 타원형을 각각 가지도록 된 한쌍의 잠금부재;
    상기 한쌍의 잠금부재 하나의 아치형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배경을 가지는 원형구멍과, 상기 원형 구멍과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잠금부재의 평활부를 통과시키는 개방부를 각각 갖춘 한쌍의 축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잠금부재는 축을 적소(in posion)에 고정시키도륵 한쌍의 축 지지부재의 원형 구멍에 각각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렌지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렌지의 하나에 고정되고 축과 화상담체의 내벽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성 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축 지지부채는 금속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축 지지부재는 전도성 수지(resin)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손으로 쥘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축의 대향 단부에 만곡부의 외측으로 각각 위치된 한쌍의 핸들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의 적어도 하나는 톱니멈춤쇠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과 관련된 상기 축 지지부재의 하나는 멈춤작용을 위한 잠금부를 가짐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그에 관련된 한쌍의 잠금부재 하나의 만곡부가 상기 원형 구멍의 벽에 접촉하는 위치로 회전할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톱니멈춤쇠에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의 적어도 하나는 좌우 방향에서의 방향을 가르키기 위한 기호를 갖춘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는 양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의 적어도 하나는 제 1간섭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과 관련된 상기 한쌍의 축 지지부재의 하나는 화상담체가 좌우 방향에 대한 바른 방향으로 장착될때 상기 제 1간섭부와 간섭하지 않고, 화상담체가 좌우 방향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장착될때 간섭하는 제 1돌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한쌍의 핸들에 각각 근접하는 한쌍의 탱크 지지부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화상담체의 표면을 소제하기 위한 소제수단을 포함하는 폐토너 탱크가 화상담체 상부측에 위치되며, 상기 폐토너 탱크는 대향 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결합부가 화상담체에 근접함 축에 형성된 한쌍의 탱크 지지부에 결합하는 위치나, 또는 화상담체 상부측 위치 및 상기 미리 선택된 위치로부터 떨어지도륵 선택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한쌍의 핸들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핸들이 미리 결정된 각 위치로 회전할때 상기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유지하는 폐토너 탱크와 간섭하지 않지만, 상기 핸들이 미리 설정된 각 위치로 회전하지 않을때 상기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유지된 상기 폐토너 탱크와 간섭하는 제 2사영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한쌍의 핸들에 각각 균접하는 한쌍의 탱크지지부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화상담체의 표면을 소제하기 위함 소제수단을 포함하는 폐토너 탱크가 화상담체 상부측에 위치되며, 상기 폐토너 탱크는 대향 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결합부가 화상담체에 근접한 축에 형성된 한쌍의 탱크 지지부에 결합하는 위치나, 또는 화상담체 상부측 위치 및 상기 미리 선택된 위치로부티 떨어지도록 선택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한쌍의 핸들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핸들이 미리 결정된 각 위치로 회전할때 상기 미리 걸정된 위치에서 유지하는 폐토너 탱크와 간섭하지 않지만, 상기 핸들이 미리 설정된 각 위치로 회전하지 않을때 상기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유지된 상기 폐토너 탱크와 간섭하는 제 2사영부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하나의 핸들이 상기 미리 선택된 각 위치에 위치할때 상부측으로 향하는 라운드된 가장자리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13. 화상담체의 대향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내부에 관퉁구멍을 각각 가지는 한쌍의 플렌지:
    상기 한쌍의 플렌지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연장하는 축;
    상기 축의 대향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각각은 서로 대면하는 핑활부와 서로 대면하는 만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 중심선의 마주하는 측에서 평행한 평면으로 절개되어 제거된 외주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축의 중심선에 수직한 단면에서 타원형을 각각 가지도록 된 한쌍의 노치부;
    상기 한쌍의 노치부 하나의 아치형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는 원형 구멍과, 상기 원형 구멍과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노치부의 핑활부를 통과시키는 개방부를 각각 갖춘 한쌍의 축 지지부재;
    상기 한쌍의 축 지지부재를 각각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노치부는 상기 축 지지부재를 통하여 한쌍의 고정부재에 각각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렌지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플렌지의 하나에 고정되고 축과 화상담체의 내벽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성 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축 지지부재는 금슥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축 지지부재는 전도성 수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손으로 쥘 수 있도륵 하기 위하여 상기 축의 대향 단부에 만곡부의 외측으로 각각 위치된 한쌍의 핸들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의 적어도 하나는 톱니멈춤쇠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과 관련된 상기 축 지지부재의 하나는 멈춤작용을 위함 잠금부를 가짐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그에 관련된 한쌍의 잠금부재 하나의 만곡부가 상기 원형 구멍의 벽에 접촉하는 위치로 회전할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톱니멈춤쇠에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창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의 적어도 하나는 좌우 방향에서의 방향을 가르키기 위한 기호를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는 양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의 적어도 하나는 제 1간섭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과 관련된 상기 한쌍의 축 지지부재의 하나는 화상담체가 좌우 방향에 대한 바른 방향으로 장착될때 상기 제 1간섭부와 간섭하지 않고, 화상담체가 좌우 방향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장착될때 간섭하는 제 1돌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한쌍의 핸들에 각각 근접하는 한쌍의 탱크 지지부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화상담체의 표면을 소제하기 위한 소제수단을 포함하는 폐토너 탱크가 화상담체 상부측에 위치되며, 상기 폐토너 탱크는 대향 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결합부가 화상담체에 근접한 축에 형성된 한쌍의 탱크 지지부에 결합하는 위치나, 또는 화상담체 상부측 위치 및 상기 미리 선택된 위치로부티 떨어지도록 선택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한쌍의 핸들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핸들이 미리 걸정된 각 위치로 회전할때 상기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유지하는 폐토너 탱크와 간섭하지 않지만, 상기 핸들이 미리 설정된 각 위치로 회전하지 않을때 상기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유지된 상기 폐토너 탱크와 간섭하는 제 2사영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한쌍의 핸들에 각각 근접하는 한쌍의 탱크지지부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화상담체의 표면을 소제하기 위함 소제수단을 포함하는 폐토너 탱크가 화상담체 상부측에 위치되며, 상기 폐토너 탱크는 대향 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결합부가 화상담체에 근접한 축에 형성된 한쌍의 탱크 지지부에 결합하는 위치나, 또는 화상담체 상부측 위치 및 상기 미리 선택된 위치로부티 떨어지도륵 선택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한쌍의 핸들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핸들이 미리 걸정된 각 위치로 회전할때 상기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유지하는 폐토너 탱크와 간섭하지 않지만, 상기 핸들이 미리 설정된 각 위치로 회전하지 않을때 상기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유지된 상기 폐토너 탱크와 간섭하는 제 2사영부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하나의 핸들이 상기 미리 선택된 각 위치에 위치할때 상부측으로 향하는 라운드된 가장 자리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KR1019960003881A 1995-03-22 1996-02-16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KR100190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87653 1995-03-22
JP8765395 1995-03-22
JP7-127588 1995-04-28
JP7127588A JPH08320634A (ja) 1994-08-17 1995-04-28 像担持体支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173A KR960035173A (ko) 1996-10-24
KR100190515B1 true KR100190515B1 (ko) 1999-06-01

Family

ID=2642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881A KR100190515B1 (ko) 1995-03-22 1996-02-16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05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141B1 (ko) 2007-03-27 2009-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체 지지장치, 이를 구비한 현상카트리지와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카트리지 조립방법 및 분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173A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9661B1 (en) Device for supporting an image carrier included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3542588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一端サイドカバーの取付け方法、他端サイドカバーの取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581328A (en) Process cartridge having connectable first and second frames and a recording apparatus using such a process cartridge
US6128452A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articular arrangement of electrical contacts
JP326816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064843A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90584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US5937242A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0251823B1 (en) Waste toner collecting system
JP332375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4888620A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127194B2 (en)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mechanism therefo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900009114B1 (ko) 상 형성기
KR920001973B1 (ko) 정전 사진장치
JPH08320634A (ja) 像担持体支持装置
JP2962938B2 (ja) 感光体ドラム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画像形成装置
KR100190515B1 (ko)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화상담체지지장치
US20200401080A1 (en) Attachment, set of mountable and dismountable units,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mounting method
JP2898332B2 (ja) 電子写真装置
JPH11167333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S5843742B2 (ja) 静電複写装置
JPH0356471B2 (ko)
JPH0968913A (ja) シャッタ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295581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9926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