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381B1 -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 Google Patents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381B1
KR101040381B1 KR1020090005927A KR20090005927A KR101040381B1 KR 101040381 B1 KR101040381 B1 KR 101040381B1 KR 1020090005927 A KR1020090005927 A KR 1020090005927A KR 20090005927 A KR20090005927 A KR 20090005927A KR 101040381 B1 KR101040381 B1 KR 101040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removal
snow
separator
ro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613A (ko
Inventor
이병주
이광호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090005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38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분리대(C) 상측으로부터 도로의 바닥면에 위치되어 중앙분리대(C)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110); 제설재를 저장하는 저장부(120); 및 이동부(110)의 하부 양측에 저장부(120)의 제설재를 도로의 폭에 대응되도록 살포하는 살포부(130)를 포함하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가 제공된다.
눈, 제설, 도로, 제설재, 제설제, 살포, 모래, 염화칼슘, 분리대, 도로

Description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A snowplow and deicer spreading equipment capable of spreading snowplow and deicer using a central reservation on a road}
본 발명은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제설장치가 도로의 중앙분리대를 따라 주행하면서 중앙 분리대의 양측 도로에 제설재를 살포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이 내리거나 노면이 결빙되었을 때, 특히 교량이나 커브길이나 오르막길 등과 같은 도로상에 눈이 쌓이거나 노면이 결빙되면, 차량의 통행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하게 되어 신속한 제설작업 또는 해빙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도로상의 눈을 제거하거나 노면을 해빙시키기 위한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염화칼슘과 같은 제설재, 해빙재, 또는 모래와 같은 마찰재를 도로상에 살포하거나 스크레이퍼 등의 제설차를 이용하여 제설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상기 제설용 차량이 도로의 차량통행차 선을 점유 주행하는 상태에서 수작업 또는 자동으로 제설재나 해빙재를 살포하므로, 막대한 인력과 장비가 소요되고 작업성도 떨어지며 차량통행차선 점유로 인하여 다른 차량의 통행에 지장을 주어 교통 체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설용 차량은 도로의 차량통행차선을 주행하면서 제설재를 살포해야 되기 때문에, 폭설로 인하여 일반 차량들이 도로 상에 갇히게 되는 경우 상기 제설용 차량의 제설 작업이 지연되고, 폭설이 내리는 경우 노면에 눈이 급격히 쌓이게 되어 신속한 제설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교통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도로의 폭이 넓은 경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는 각 차선마다 골고루 제설작업이 진행되기 어렵다.
또한, 심야 또는 새벽 등의 시간에 제설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시야 확보 등의 문제로 인하여 신속한 제설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상기 상황이 작업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여 여러 가지 작업상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설장치가 도로 상의 중앙분리대를 따라 주행하여 차량통행차선의 점유폭을 최소화시키고 제설지역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설장치가 무인 주행하면서 제설작업이 진행되도록 하여 심야 또는 새벽 등의 시간에도 신속하고 안전한 제설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설장치가 중앙분리대를 따라 주행하면서 도로의 폭에 대응되도록 제설재의 분사각도와 분사량을 조절하여 도로의 폭이 넓어도 차선들에 대하여 용이한 제설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분리대(C) 상측으로부터 도로의 바닥면에 위치되어 중앙분리대(C)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110); 제설재를 저장하는 저장부(120); 및 이동부(110)의 하부 양측에 저장부(120)의 제설재를 도로의 폭에 대응되도록 살포하는 살포부(130)를 포함하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설장치는, 중앙분리대(C)의 곡선을 감지하여 이동부(110)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곡선감지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설장치가 도로 상의 중앙분리대를 따라 주행하여 차량통행차선의 점유폭을 최소화시키고 제설지역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설장치가 중앙분리대를 따라 자동으로 무인 주행하면서 제설작업을 수행하도록 불필요한 인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심야 또는 새벽 등의 시간에도 신속하고 안전한 제설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설장치가 중앙분리대를 따라 주행하면서 도로의 폭에 대응되도록 제설재의 분사각도와 분사량이 제어됨으로써, 도로의 폭이 넓어도 차선들에 대한 용이한 제설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설장치가 중앙분리대의 곡선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주행함으로써, 중앙분리대가 곡선으로 형성되더라도 연속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설장치가 도로의 바닥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제설재를 살포함으로써, 도로를 통행중인 차량에 의한 제설재의 살포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 가 가능한 제설장치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 시스템은, 도로의 중앙분리대(C)를 따라 주행하면서 제설재를 도로의 양측에 살포하는 제설장치(100), 도로상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제설장치(100)에 제설재와 연료 등을 공급하는 충전스테이션(200) 및 제설장치(100)와 무선 통신하여 제설장치(100)로부터 제설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설장치(100)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며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제설장치(100)에 제설재와 연료 등이 충전되도록 하는 중앙제어서버(300)를 포함한다.
제설장치(100)는 도로의 중앙분리대(C)를 따라 주행하면서 제설재를 살포하는 제설차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가 긴 고속도로 등과 같은 도로에서는 상기 도로를 일정거리를 가지는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구간들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충전스테이션(200)은 도로상의 교통정보 등을 제공하는 교통정보상황판(L) 등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설장치(100)가 충전스테이션(200)에 위치되는 경우 제설장치(100)의 상측으로부터 자동으로 제설재와 연료 등이 공중(空中) 충전되도록 제설재충전수단(210)과 연료충전수단(22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설재충전수단(210)과 연료충전수단(220)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제설재와 연료를 수용하는 수용탱크와 상기 수용탱크로부터 교통정보상황판(L)까지 연장되어 상기 수용탱크로부터 제설재와 연료를 제설장치(100)에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호스와 충전밸브, 상기 충전밸브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설재와 연료를 제설장치(100)에 충전하는 충전노즐 및 상기 충전밸브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충전호스에 제설재 또는 연료가 유입되도록 하는 충전펌프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제어서버(300)는 도로를 유지 관리하고 교통상황정보를 수집하여 교통정보상황판(L)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도로관리사무소나 휴게소 등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설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도 2의 제설장치의 제설재 살포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중앙분리대(C) 상측으로부터 도로의 바닥면에 위치되어 중앙분리대(C)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110), 이동부(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설재를 저장하는 저장부(120), 이동부(11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어 저장부(120)의 제설재를 도로의 폭에 대응되도록 살포하는 살포부(130), 이동부(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중앙분리대(C)의 곡선을 감지하여 이동부(110)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곡선감지부(140), 이동부(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동부(110)의 진행방향과 양측방향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교통상황과 날씨상황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150), 인공위성 (미도시)으로부터 GPS좌표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좌표를 연산하는 좌표수신부(160),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영상촬영정보,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부(120)의 제설재 저장량과 이동부(110)의 연료량 등과 같은 제반정보를 중앙제어서버(300)에 전달하고 중앙제어서버(300)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전달받는 무선통신부(170) 및 무선통신부(170)를 통해 전달되는 중앙제어서버(300)의 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이동부(110)는, 제설장치(100)가 중앙분리대(C)를 따라 주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분리대(C)의 상부 양측으로부터 도로의 바닥면까지 신장되는 복수개의 신장붐(113,114)들을 통하여 중앙분리대(C)가 신장붐들(113,114)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지지수단(111)과, 지지수단(111)의 일단에 구비되어 제설장치(100)가 도로의 바닥면을 주행하도록 하는 구동수단(115)을 포함한다.
지지수단(111)은, 베이스플레이트(P)의 하부에 구비되어 중앙분리대(C)의 폭에 대응되도록 좌우로 신장되는 제1 신장붐(113)과, 제1 신장붐(113)에 연결되어 중앙분리대(C)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제1 신장붐(113)에 대해 수직하게 신장되는 제2 신장붐(11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P)의 일측에는 연결고리(R)가 형성되어 별도의 리프트 수단을 통하여 제설장치(100)의 지지수단(111) 사이에 중앙분리대(C)가 위치되도록 제설장치(100)를 리프팅 설치하거나 제설작업 완료후 별도의 이동수단에 제설장치(100)를 리프팅 적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수단(111)은 베이스플레이트(P)의 하부에 중앙분리대(C)의 상측 에 접촉되어 구동수단(115)에 따른 이동부(110)의 구동시 중앙분리대(C) 상측면을 따라 바퀴부재가 자유 구동되도록 하는 하중지지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지지수단(111)은 베이스플레이트(P)의 전후방에 일정간격을 가지며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수단(115)은, 지지수단(111)의 제2 신장붐(114) 일단에 구비되는 구동바퀴(116), 구동바퀴(116)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구동바퀴(116)를 구동시키는 구동력발생기(117) 및 구동바퀴(116)의 주행방향을 제어하는 조향제어기(118)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수단(115)은 상기 구동력발생기(117)에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미도시)와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량을 감지하는 연료량감지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료탱크는 제어밸브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7은 도 2의 제설장치에 있어서 저장부에 충전스테이션에 의해 제설재가 충전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저장부(120)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P) 상부에 구비되어 제설재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로, 제설재를 저장하는 호퍼(121)와 호퍼(121)의 상단에 위치하여 제어신호에 따라 또는 수동작에 의해 호퍼(121)를 개폐시키는 호퍼덮개(122)로 구성되며, 상기 호퍼(121)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제설재가 호퍼(121)의 하방으로 잘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호퍼(121)의 내부에는 제설재의 저장량을 감지하는 제설재감지수단(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설재감지수단의 신호 발생시, 호퍼덮개(122)가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호퍼(121) 상단을 자동으로 개폐하여 충전스테이션(200)의 제설재충전수단(210)으로부터 제설재가 공중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퍼(121)에 저장되는 제설재는 염화칼슘, 해빙재 또는 모래 등을 포함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도 2의 제설장치에 있어서 차량통행차선이 폭에 따라 살포부에 의해 살포되는 제설재의 살포각도와 살포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살포부(130)는, 도 3 내지 도 6 및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20)의 호퍼(121) 하부로부터 이동부(110)의 하부 양측에 연장되는 분사호스(131), 분사호스(131)의 일단에 구비되어 분사호스(131)로부터 제공되는 제설재를 도로에 살포하는 분사노즐(132), 분사호스(131)와 호퍼(121)의 연결부위에 위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분사호스(131)를 개폐시키는 제어밸브(133) 및 분사노즐(132)을 통해 살포되는 제설재의 효과적인 분사를 위한 분사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펌프(134)를 포함한다.
분사호스(131)는 호퍼(121)가 위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P) 하부로부터 이동부(110)의 제2 신장붐(114)의 일단까지 연장되고, 분사노즐(132)은 구동바퀴(116)가 연결되는 제2 신장붐(114)의 일단부에 연장된 분사호스(131)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분사호스(131)는 이동부(110)의 제1 신장붐(113)과 제2 신장붐(114)의 신장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신장붐(113,114)들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노즐(132)은 제2 신장붐(114)의 일단에 고정되어 즉, 도로의 바닥면에 근접한 위치를 가짐으로써, 도로를 향하여 살포되는 제설재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에 의하여 간섭을 받지 않고 도로의 가장자리까지 골고루 살포되도록 하여 제설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펌프(134)에 의하여 분사노즐(132)을 통해 살포되는 제설재의 살포량과 살포거리의 조절을 통하여 중앙분리대(C)에 근접한 도로의 차량통행차선으로부터 도로의 가장자리의 차량통행차선까지 골고루 제설재가 살포되도록 하거나, 강설량과 이동부(110)의 이동속도에 대응되도록 제설재의 살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P)의 전후방에 구비되는 이동부(110)의 제2 신장붐(114)의 일단에 분사호스(131)와 분사노즐(132)이 각각 구비되어, 중앙분리대(C)의 양측방에 대하여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전장길이(약 5m)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제설재를 살포함으로써, 도로를 향하여 살포되는 제설재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에 의하여 간섭을 받지 않고 도로의 가장자리까지 골고루 살포되도록 하여 제설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베이스플레이트(P)의 전방에 위치된 제2 신장붐(114)에 구비된 분사노 즐(132)의 분사 방향에 차량통행차선을 주행 또는 주/정차중인 차량의 존재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P)의 후방에 위치된 제2 신장붐(114)에 구비된 분사노즐(132)을 통하여 상기 차량을 회피하면서 제설재가 살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110)의 제2 신장붐(114)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132)들은 각각의 살포 동작 제어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상기 분사호스(131)에는 제어펌프(134)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차량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수단(미도시)이 베이스플레이트(P)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분사노즐(132)과 분사호스(131)의 사이에는 각도조절수단(135)이 구비되어 차량통행차선의 폭에 따라 제설재의 살포 각도가 조절되며, 이 때, 상기 제설재가 살포되는 차량통행차선의 폭이 길어질수록 분사노즐(132)의 지면에 대한 각도가 작아지도록 함과 동시에 살포되는 제설재의 양이 증가되도록 제어펌프(134)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통행차선의 폭에 대한 정보는 미리 제어부(180)의 메모리에 입력되거나 중앙제어서버(300)로부터 입력되어 살포부(130)에 의해 제설재가 차량통행차선 즉, 도로의 폭에 대응되도록 살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도 2의 제설장치에 있어서 곡선감지부의 작용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곡선감지부(140)는, 도 3 내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분리대(C)의 곡선을 감지하기 위한 접촉식 센서수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P)의 전방부에 위치되어 중앙분리대(C)의 상측부를 향하여 신장되는 제1 신장붐(141), 제1 신장붐(141)에 연결되어 중앙분리대(C)의 상측부 폭에 대응되도록 좌우 신장하는 제2 신장붐(142), 제2 신장붐(142)의 양단에 연결되어 제1 신장붐(141)에 대해 수직하게 신장되어 중앙분리대(C)의 상측부를 그립(Grip)하고 이동부(110)의 구동에 따라 자유 구동되는 좌/우측 회전롤러(143,144), 좌/우측 회전롤러(143,144)가 구비되는 제2 신장붐(142)의 롤러연결축(142a)의 일단에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롤러연결축(142a)의 내외측으로 이격 가능하게 동작되는 이격축(145)을 통해 고정되며 좌/우측 회전롤러(143,144)가 중앙분리대(C)를 따라 자유 구동되다 중앙분리대(C)가 곡선으로 휘어지는 경우 이격축(145) 일단에 구비된 감지판(146)의 접촉유무를 통하여 중앙분리대(C)의 곡선을 감지하는 좌/우측 감지스위치(147,148) 및 좌/우측 감지스위치(147,148)의 작동시 이동부(110)의 조향제어기(118)로 하여금 구동바퀴(116)의 주행방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신호발생기(149)를 포함한다.
여기서, 감지신호발생기(149)는, 좌측 감지스위치(147)가 오프 동작될 경우 중앙분리대(C)가 우측으로 휘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조향제어기(118)로 하여금 구동바퀴(116)의 주행방향을 우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예를 들면, 15ㅀ 회전시키도록 하고, 이와 반대로 우측 감지스위치(148)가 오프 동작 될 경우 중앙분리대(C)가 좌측으로 휘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조향제어기(118)로 하여금 구동바퀴(116)의 주행방향을 좌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예를 들면, 15ㅀ 회전시키도록 하는 주행방향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곡선감지부(140)에 의하면, 중앙분리대(C)의 곡선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이동부(110)의 주행방향이 제어되게 함으로써, 중앙분리대(C)가 곡선으로 형성되더라도 연속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동부(110)의 신장붐(113,114)들이 중앙분리대(C)에 충돌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곡선감지부(140)는 베이스플레이트(P)의 전방부에 위치되어 중앙분리대(C)의 곡선을 감지하기 위한 비접촉식 센서수단으로써, 중앙분리대(C)의 상측 벽면에 초음파(또는 적외선)를 반사시키고 상기 반사된 초음파(또는 적외선)를 측정하여 중앙분리대(C)의 곡선 여부를 측정하는 초음파(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여도 좋다.
여기서, 곡선감지부(140) 대신에 제어부(180)는 후술된 좌표수신부(160)로부터 현재의 이동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분리대(C)의 곡선에 대응되도록 이동부(110)의 주행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설장치(100)는 이동부(110)의 제2 신장붐(114)의 전방부위에 적외선 또는 초음파 센서를 별도로 더 구비하여 제설작업을 위한 이동부(110)의 주행중 장애물 발견시 제어부(180)로 하여금 이동부(110)의 동작을 멈추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애물감지부(19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설장치(100)는 이동부(110)를 통하여 중앙분리대(C)를 따라 이동시 중앙분리대(C)의 높이가 가변될 경우 즉, 일정 높이를 유지하다가 그 일정 높이 보다 높아지는 경우를 별도의 센서수단(미도시)을 통하여 감지하고 이에 따라 이동부(110)의 지지수단(111)이 제어되어 안정적으로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촬영부(150)는, 베이스플레이트(P)의 전방 또는 양측에 위치되어 이동부(110)의 진행방향과 양측방향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교통상황과 날씨상황 등을 촬영 및 상기 촬영된 영상촬영정보를 저장하는 고체촬상소자(CCD)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와 촬영위치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등으로 구성된 카메라모듈(151)을 포함한다.
좌표수신부(160)는 베이스플레이트(P)의 일측에 위치되어 인공위성(미도시)으로부터 현재의 기준 위치데이터와 상기 기준 위치데이터를 토대로 이동부(110)의 주행에 따른 현재의 이동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위치정보모듈(161)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70)는 RF통신 등과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설될 도로의 영상촬영정보, 위치정보 및 제설재 저장량 또는 연료랑 등과 같은 제반정보를 중앙제어서버(300)에 전달하고 상기 중앙제어서버(300)로부터 원격 제어신호와 상기 제설될 도로의 차량통행차선의 폭 길이 정보 등을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171)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 방법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로의 중앙분리대(C) 상측에 제설장치(10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설장치(100)는 일정거리를 가지면서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획된 길이가 긴 고속도로 등의 구간들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배치되어 신속한 제설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설장치(100)의 배치는, 상기 구간들의 중앙분리대(C)가 제설장치(100)의 지지수단(111)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설장치(100)가 별도의 리프트 수단 등에 의해 리프팅된 상태에서 이동부(110)의 지지수단(111)의 제1 신장붐(113)과 제2 신장붐(114)이 중앙분리대(C)의 폭과 높이에 대응되도록 신장되어 도로의 바닥면에 제2 신장붐(114)의 일단에 구비되는 구동수단(115)의 구동바퀴(116)가 접촉되도록 한다.
이후, 중앙제어서버(300)로부터 상기 제설장치(100)의 무선통신부(170)에 제설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원격제어신호가 전달된다.
이후, 제설장치(100)의 제어부(180)에 의해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른 제설장치(100)의 제설동작이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제설장치(100)의 제설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80)에 의해 이동부(110)의 구동력발생기(117)가 제어되어 구동바퀴(116)가 제설장치(100)가 일정속도로 구동하게 된다.
이후, 또는 이와 동시에, 제어부(180)에 의해 살포부(130)의 제어밸브(133)와 제어펌프(134)가 제어되어 저장부(120)의 호퍼(121)로부터 분사호스(131)에 유입된 제설재가 분사노즐(132)에 의해 도로를 향하여 살포된다.
여기서, 살포부(130)의 분사호스(131)는 호퍼(121)로부터 이동부(110)의 제2 신장붐(114)의 일단까지 연장되고 분사노즐(132)은 구동바퀴(116)가 연결되는 제2 신장붐(114)의 일단부에 연장된 분사호스(131)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132)이 도로의 바닥면에 근접한 위치를 가지는 상태에서 제설재가 도로 상에 살 포되어 도로를 향하여 살포되는 제설재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에 의하여 간섭을 받지 않고 도로의 가장자리까지 골고루 살포된다.
또한, 제어펌프(134)와 각도조절수단(135)에 의하여 분사노즐(132)을 통해 살포되는 제설재의 살포량과 살포거리의 조절을 통하여 중앙분리대(C)에 근접한 도로의 차량통행차선으로부터 도로의 가장자리의 차량통행차선까지 골고루 제설재가 살포되도록 하거나, 강설량과 이동부(110)의 이동속도에 대응되도록 제설재의 살포량이 조절된다.
또한, 분사노즐(132)이 중앙분리대(C)의 양측방에 대하여 차량의 전장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제설재를 살포하여 상기 제설재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에 의하여 간섭을 받지 않고 도로의 가장자리까지 골고루 살포된다.
한편, 제어부(180)에 의해 저장부(120)의 호퍼(121)에 구비된 제설재감지수단(미도시)이 제어되어 상기 살포부(130)에 의한 제설재의 살포작업 동안 호퍼(121)에 저장된 제설재의 저장량이 지속적으로 감지되고, 이와 동시에 이동부(110)를 구동시키는 연료의 저장량도 해당 부재에 의해 감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또는 이와 동시에, 제어부(180)에 의해 곡선감지부(140)의 감지신호발생기(149)가 제어되어 중앙분리대(C)의 곡선이 감지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이동부(110)의 주행방향이 제어되어 중앙분리대(C)가 곡선으로 형성되더라도 제설장치(100)는 연속적으로 주행하게 된다.
여기서, 곡선감지부(140)는 이동부(110)의 구동에 따른 제설장치(100)의 주 행시 좌/우측 회전롤러(143,144)가 중앙분리대(C)의 상측부를 그립한 상태에서 자유 구동되다가 중앙분리대(C)가 곡선으로 휘어지는 경우 오프 동작되는 상기 회전롤러(143,144)들의 감지스위치(147,148)들의 동작시 상기 감지신호발생기(149)가 이동부(110)의 조향제어기(118)에 구동바퀴(116)의 주행방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후, 또는 이와 동시에, 제어부(180)에 의해 영상촬영부(150)의 카메라모듈(151)이 제어되어 제설장치(100)의 진행방향과 양측방향을 촬영하여 영상촬영정보를 생성하고, 좌표수신부(160)의 GPS위치정보모듈(161)은 제설장치(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제어부(180)에 의해 무선통신부(170)의 무선통신모듈(171)이 제어되어 상기 영상촬영정보, 위치정보 및 제설재의 저장량 또는 연료량 등과 같은 제반정보가 중앙제어서버(300)에 전달된다.
한편, 중앙제어서버(30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71)로부터 전달되는 제반정보를 토대로 제설작업에 대한 각종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제설재의 저장량 또는 연료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설장치(100)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충전스테이션(200)에 제설장치(100)가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충전스테이션(200)의 제설재충전수단(210) 또는 연료충전수단(220)에 의해 제설재 또는 연료가 충전되도록 한다.
또한, 중앙제어서버(300)는 상기 제설장치(100)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원격으로 제설작업의 현황 등과 같은 판단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설장치(100)가 도로 상의 중앙분리대(C)를 따라 주행하여 차량통행차선의 점유폭을 최소화시키고 제설지역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설장치(100)가 중앙분리대(C)를 따라 자동으로 무인 주행하면서 제설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인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심야 또는 새벽 등의 시간에도 신속하고 안전한 제설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설장치(100)가 중앙분리대(C)를 따라 주행하면서 도로의 양측 차선에 제설재를 살포하여 도로의 폭이 넓어도 차선들에 대하여 용이한 제설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설장치(100)가 중앙분리대(C)의 곡선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주행함으로써, 중앙분리대(C)가 곡선으로 형성되더라도 연속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설장치(100)가 도로의 바닥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제설재를 살포함으로써, 도로를 통행중인 차량에 의한 제설재의 살포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제설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도 2의 제설장치의 제설재 살포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도 2의 제설장치에 있어서 저장부에 충전스테이션에 의해 제설재가 충전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도 2의 제설장치에 있어서 차량통행차선이 폭에 따라 살포부에 의해 살포되는 제설재의 살포각도와 살포량을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도 2의 제설장치에 있어서 곡선감지부의 작용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Claims (15)

  1. 중앙분리대(C) 상측으로부터 도로의 바닥면에 위치되어 중앙분리대(C)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110);
    제설재를 저장하는 저장부(120); 및
    이동부(110)의 하부 양측에 저장부(120)의 제설재를 도로의 폭에 대응되도록 살포하는 살포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중앙분리대(C)의 곡선을 감지하여 이동부(110)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곡선감지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이동부(110)의 진행방향과 양측방향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촬영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촬영부(150);
    현재의 위치좌표를 연산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좌표수신부(160); 및
    상기 영상촬영정보,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부(120)의 제설재 저장량과 이동부(110)의 연료량을 포함하는 제반정보를 외부의 중앙제어서버(300)에 전달하고 중 앙제어서버(300)로부터 원격제어신호와 제설재가 살포될 도로의 폭 길이 정보를 전달받는 무선통신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이동부(110)는,
    중앙분리대(C)의 상부 양측으로부터 도로의 바닥면까지 신장되는 복수개의 신장붐(113,114)들을 통하여 중앙분리대(C)가 신장붐들(113,114)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지지수단(111)과,
    지지수단(111)의 일단에 구비되어 제설장치(100)가 도로의 바닥면을 주행하도록 하는 구동수단(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지지수단(111)은,
    베이스플레이트(P)의 하부에 구비되어 중앙분리대(C)의 폭에 대응되도록 좌우로 신장되는 제1 신장붐(113)과,
    제1 신장붐(113)에 연결되어 중앙분리대(C)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제1 신장붐(113)에 대해 수직하게 신장되는 제2 신장붐(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P)의 일측에는 연결고리(R)가 형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지지수단(111)은 베이스플레이트(P)의 전후방에 일정간격을 가지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구동수단(115)은,
    지지수단(111)의 제2 신장붐(114) 일단에 구비되는 구동바퀴(116),
    구동바퀴(116)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구동바퀴(116)를 구동시키는 구동력발생기(117) 및
    구동바퀴(116)의 주행방향을 제어하는 조향제어기(1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저장부(120)는,
    베이스플레이트(P)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설재를 저장하는 호퍼(121),
    호퍼(121)의 상단에 위치하여 제어신호에 따라 또는 수동작에 의해 호퍼(121)를 개폐시키는 호퍼덮개(122) 및
    호퍼(121)의 제설재 저장량을 감지하는 제설재감지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살포부(130)는,
    호퍼(121) 하부로부터 제2 신장붐(114)의 하부 양측에 연장되는 분사호스(131),
    분사호스(131)의 일단에 구비되어 분사호스(131)로부터 제공되는 제설재를 도로에 살포하는 분사노즐(132),
    분사호스(131)와 호퍼(121)의 연결부위에 위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분사호스(131)를 개폐시키는 제어밸브(133) 및
    분사노즐(132)을 통해 살포되는 제설재의 분사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펌프(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분사노즐(132)과 분사호스(131)의 사이에 도로의 폭에 따라 제설재의 살포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수단(13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곡선감지부(140)는, 중앙분리대(C)를 그립한 상태에서 중앙분리대(C)의 곡선을 감지하는 접촉식 센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곡선감지부(140)는, 중앙분리대(C)에 초음파 또는 적외선을 반사시켜 중앙분리대(C)의 곡선을 감지하는 비접촉식 센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저장부(120)는, 중앙제어서버(300)의 제어에 의해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제설재를 공중 충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살포부(130)의 분사노즐(132)은 중앙분리대(C)의 측방에 대하여 일정거리 이격 분사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KR1020090005927A 2009-01-23 2009-01-23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KR101040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927A KR101040381B1 (ko) 2009-01-23 2009-01-23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927A KR101040381B1 (ko) 2009-01-23 2009-01-23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613A KR20100086613A (ko) 2010-08-02
KR101040381B1 true KR101040381B1 (ko) 2011-06-10

Family

ID=4275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927A KR101040381B1 (ko) 2009-01-23 2009-01-23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688B1 (ko) 2016-10-24 2017-03-20 (주)에스알디코리아 무인 제설액 분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768B1 (ko) * 2011-01-26 2012-05-03 (주)즐거운미래 원격 제설 방재 시스템
KR101452784B1 (ko) * 2014-02-11 2014-10-22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이동식 작업차량을 이용한 실시간 현장 영상 중계 시스템 및 영상 중계 방법
KR101408112B1 (ko) * 2014-05-01 2014-07-03 (주)에스알디코리아 적설감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제설제 살포시스템
KR101540642B1 (ko) * 2014-11-19 2015-07-31 (주)씨앤에스아이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KR101516236B1 (ko) * 2015-01-21 2015-05-0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노면의 얼음 감지 시스템
KR102393406B1 (ko) * 2020-03-12 2022-05-11 비클시스템주식회사 제설제 살포 드론 보관소
KR102382824B1 (ko) * 2020-07-01 2022-04-05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차량의 제설제 살포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2246501B (zh) * 2020-10-13 2022-05-17 湖南中路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可重新塑型的公路围栏养护装置
KR102333543B1 (ko) * 2021-02-08 2021-12-01 권기혁 제빙, 제설, 폭염시 도로 노면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38298B1 (ko) * 2021-04-08 2022-09-02 대한민국 트레일러 탑재형 자동염수 살포장치
CN113756175B (zh) * 2021-08-22 2023-04-11 安徽省路桥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公路桥梁安全防撞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586714B1 (ko) * 2022-02-28 2023-10-1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살포제를 자동 공급하는 드론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 살포 시스템
CN115506284B (zh) * 2022-10-18 2023-10-20 黑龙江省北龙交通工程有限公司 一种道路护栏
KR102576925B1 (ko) * 2023-03-29 2023-09-11 주식회사 태경씨앤씨 가드레일 이동형 제설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드레일 이동형 제설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007Y1 (ko) 1999-11-15 2000-04-15 이두식 소형차량용 염화칼슘 모래 살포기
KR20010079007A (ko) * 2001-06-01 2001-08-22 김명우 건축물의 온라인상 수발주 중개서비스 시스템 개발장치 및역입찰 방법
KR200243497Y1 (ko) 2001-05-31 2001-10-29 (주)대진에스티씨 액상 제설제 살수 장치
KR20020043497A (ko) * 2002-05-04 2002-06-10 윤태근 전자제품용 리모콘 분실방지장치
KR20030057565A (ko) * 2000-11-30 2003-07-04 에릭슨 인크. 스프핑 방지 패스워드 보호 방법 및 장치
KR20040038526A (ko) * 2002-11-01 2004-05-08 박규종 알리벤돌의 제조방법
KR200357565Y1 (ko) 2004-05-12 2004-07-27 주식회사 자라다 노면 제설 시스템
KR200438526Y1 (ko) 2008-01-24 2008-02-26 거송건설 주식회사 제설장비를 갖는 도로방호시설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007Y1 (ko) 1999-11-15 2000-04-15 이두식 소형차량용 염화칼슘 모래 살포기
KR20030057565A (ko) * 2000-11-30 2003-07-04 에릭슨 인크. 스프핑 방지 패스워드 보호 방법 및 장치
KR200243497Y1 (ko) 2001-05-31 2001-10-29 (주)대진에스티씨 액상 제설제 살수 장치
KR20010079007A (ko) * 2001-06-01 2001-08-22 김명우 건축물의 온라인상 수발주 중개서비스 시스템 개발장치 및역입찰 방법
KR20020043497A (ko) * 2002-05-04 2002-06-10 윤태근 전자제품용 리모콘 분실방지장치
KR20040038526A (ko) * 2002-11-01 2004-05-08 박규종 알리벤돌의 제조방법
KR200357565Y1 (ko) 2004-05-12 2004-07-27 주식회사 자라다 노면 제설 시스템
KR200438526Y1 (ko) 2008-01-24 2008-02-26 거송건설 주식회사 제설장비를 갖는 도로방호시설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688B1 (ko) 2016-10-24 2017-03-20 (주)에스알디코리아 무인 제설액 분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613A (ko) 201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381B1 (ko)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KR101103139B1 (ko)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청소가 가능한 도로청소차량
CN103194991B (zh) 智能机器人道路清理系统及清理方法
CN107044103B (zh) 自动行走除雪设备
KR101660702B1 (ko) 지능형 무인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US20190323190A1 (en) Snow removal equipment
KR101365634B1 (ko) 눈이 내리거나 도로 결빙시 자동으로 살포재를 살포하는 무인 살포시스템
CN103696381A (zh) 一种路缘清扫控制方法、控制装置、控制系统及其清扫车
JP7191794B2 (ja) 自律除雪機
KR20190103519A (ko) 무인제설로봇
CN203213050U (zh) 道路智能清理装置
JP2007321527A (ja) 雪降ロボット
RU2654119C2 (ru) Снегоуб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подвижная снегоуборочная система
KR101822435B1 (ko) 눈이 내리거나 도로 결빙시 자동으로 살포재를 살포하는 무인 살포장치 및 방법
CN106760627A (zh) 一种智能机器人马路垃圾清扫车
CN212294476U (zh) 无人驾驶小型扫路车
KR101666410B1 (ko) 교량 결빙 방지장치 및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
CN107858981A (zh) 功能车辆作业装置控制方法及系统
CN211519481U (zh) 车辆
CN112647461A (zh) 移动清扫设备
CN108589599B (zh) 无人清扫系统
NL2029656B1 (en) Traffic barrier, method for using a barrier, and barrier module
KR102576925B1 (ko) 가드레일 이동형 제설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드레일 이동형 제설 시스템
NL2026833B1 (en) Traffic barrier, method for using a barrier, and barrier module
NL2026832B1 (en) Traffic barrier, method for using a barrier, and barrier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