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642B1 -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642B1
KR101540642B1 KR1020140161840A KR20140161840A KR101540642B1 KR 101540642 B1 KR101540642 B1 KR 101540642B1 KR 1020140161840 A KR1020140161840 A KR 1020140161840A KR 20140161840 A KR20140161840 A KR 20140161840A KR 101540642 B1 KR101540642 B1 KR 101540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er
slave
module
storage tank
contro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광
조범석
이현태
윤태수
황기현
Original Assignee
(주)씨앤에스아이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에스아이,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씨앤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140161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642B1/ko
Priority to PCT/KR2015/009903 priority patent/WO201608064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2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e.g. grit or salt 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5Permanently-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e.g. for spreading grit, for spraying de-icing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4Fixed devices, e.g. permanently- installed flus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습 설빙 취약도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눈의 양과 기상조건을 판단하고 원격으로 개별 또는 전체의 슬레이브 분사장치 제어블록의 수를 제어하여 취약구간 도로의 눈을 제거하는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Intelligent remote spraying system of deicing solution}
본 발명은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습 설빙구간 도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눈의 양과 기상조건을 판단하고 원격으로 개별 또는 전체의 액상 분사장치 제어블록을 제어하여 도로의 눈을 제거하는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에 발생하는 상습 설빙구간의 도로는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거나 심하게는 교통사고를 유발하여 국민의 재산과 생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상습 설빙구간의 도로는 북향의 고갯길, 대형빌딩 옆 북쪽 도로 및 터널입구 등 다양한 곳에서 형성되고 근처에 모래, 고체 제설제 또는 액상 제설제가 구비되어 있어 인력에 의해 필요시 살포되거나 이동용 차량 제설장비가 현장에 투입되어 제설을 한다. 그러나 갑작스런 폭설 또는 강우 후 기온 급강하와 같은 예기치 못한 기상상황은 인력 및 차량 투입에 한계가 있어 제설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최근의 상습 설빙구간 제설방법은 도로에 액상 제설 장치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원격 제어는 이동통신망 또는 원격터미널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설치된 카메라의 영상 또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관리자가 직접 확인을 하고 제설장비를 구동하는 방식의 기술이다.
특허문헌 1은 원격터미널디바이스와 데이터통신부를 포함하여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액상 제설제를 원격 살포를 하는 것이며, 액상 제설제가 저장탱크에 직접 설치된 파이프를 통하여 노즐이 있는 분사기를 통해 살포되는 것으로 관리자가 능동적으로 다수의 장소에서 관리할 수가 없고 개별적으로 액상 제설제 저장탱크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1361739호(2013. 02. 05.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습 설빙구간의 도로에 일측에 설치되어 눈의 양과 기상조건을 판단하고 원격으로 개별 또는 전체의 액상 분사장치 제어블록을 제어하여 도로의 눈과 얼음을 제거하는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해결하려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은, 슬레이브 저장탱크에 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노즐이 설치된 두 개의 파이프가 각도를 줄 수 있는 암 밴드 조인트로 연결된 액체 분사기, 설빙 취약도로의 일측 또는 중앙 분리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전면의 하부에는 상기 액체 분사기에 연결되고, 후면의 상부에는 마스터 저장탱크에 파이프로 연결된 슬림 통 형상의 복수의 슬레이브 저장탱크, 파이프 및 밸브를 통해 복수의 슬레이브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액상 제설제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통 형상의 마스터 저장탱크,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저장탱크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분사장치 제어블록의 외부장치컨트롤러에 제어되는 전원공급기, 태양전지판, 축전지 및 펌프로 구성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액상 제설제를 펌핑하는 외부장치, 슬레이브 저장탱크의 상단코너에 탈부착하게 설치되고 슬레이브 무선모듈을 포함하여 마스터 분사장치 제어블록과 상호 무선 통신하고 외부장치컨트롤러를 제어하는 슬레이브 분사장치 제어블록, 마스터 무선모듈 및 데이터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마스터 저장탱크의 상단코너에 탈부착하게 설치되어, 마스터 무선모듈 및 데이터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슬레이브 분사장치 제어블록과 상호 무선 통신하고, 외부장치컨트롤러를 제어하며, 통합관리서버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상호 데이터 통신하는 마스터 분사장치 제어블록, 소정의 높이로 타워 형상의 상부에 설치되고, 기상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통합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마스터 분사장치 제어블록과 상호 무선 통신하는 통합 센서모듈 및 상기 마스터 분사장치 제어블록의 데이터 통신모듈로부터 제어 상태정보 및 통합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적설상태를 판단하고 제설조치를 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스터 분사장치 제어블록은, 마스터 무선모듈, 중앙처리장치, 릴레이모듈, 솔라 컨트롤러 및 외부장치컨트롤러를 포함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이고, 슬레이브 분사장치 제어블록은, 슬레이브 무선모듈, 중앙처리장치, 릴레이모듈, 솔라 컨트롤러, 외부장치컨트롤러 및 데이터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이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저장탱크의 상단코너에 안테나가 노출되게 형성된 제어블록 설치부에 탈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스터 무선모듈 및 슬레이브 무선모듈은, 주파수 대역을 채널화하여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의 설치위치에 따라 채널대역을 달리하고, 적설 상황에 따라 개별 또는 브로드캐스트로 상호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모듈은, 유선 통신모듈 및 이동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통합관리서버에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호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스터 무선모듈은 데이터 통신모듈과 직렬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 센서모듈은 슬레이브 무선모듈, 적설센서, 기상센서, 진동센서, 영상장치 및 위치센서를 포함하고, 센서에서 습득된 통합정보 데이터를 마스터 무선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스터 저장탱크의 용량은 복수로 설치되는 슬레이브 저장탱크의 용량의 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장치는 외부전원 공급부, 태양전지판, 축전지, 펌프 및 경광등을 포함하고 외부장치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스터 저장탱크 또는 슬레이브 저장탱크의 액상 제설제 공급 및 수위는 외부장치컨트롤러를 통해 밸브 컨트롤러, 펌프 컨트롤러 및 수위센서의 데이터가 상호 연동되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설빙 취약도로의 기상정보, 위치정보, 영상정보 및 시스템 작동여부를 지도와 함께 표시하고, 폭설 시 영상정보 및 적설센서를 이용하여 적설 양을 판단하여 슬레이브 분사장치 제어블록의 가동 수를 조절하고, 진동센서에서 차량 진동이 검출되면 제설제 살포 시스템을 동작을 중단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제설제 살포 시스템을 가동하며, 실시간으로 도로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로 관리자의 휴대기기 접속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습 빙설 취약도로에 설치되어 운용하는 것으로 마스터 저장탱크에서 복수의 슬레이브 저장탱크로 액상 제설제를 공급하고, 상호 무선으로 제어하여 도로 상황에 따라 제설제의 양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가의 제어회로 및 센서의 블록화를 통하여 탈부착이 가능하게 제작하여 겨울철이 지나면 제어블록들을 회수하여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여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의 유지보수비를 절약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기기로 기상상황 및 시스템의 작동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세한 계통도.
도 3은 휴대기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동작 순서도.
도 4는 적설시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은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구성은 마스터 저장탱크(10), 슬레이브 저장탱크(20), 마스터 분사장치 제어블록(11), 슬레이브 분사장치 제어블록(21), 외부장치(12, 22), 액체 분사기 (23), 통합 센서모듈(30) 및 통합관리서버(40)를 포함하며, 적설상황 및 도로상황을 파악하고 가동할 슬레이브 탱크의 수를 판단하여 제설제의 살포 양을 조절하는 시스템이다.
마스터 저장탱크(10)는 설빙 취약도로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슬레이브 저장탱크(20)의 수를 고려하여 용량의 크기가 결정되고 액상 제설제를 저장한다. 슬레이브 저장탱크와 파이브(28) 및 밸브(25)로 연결되고 외부창치의 펌프를 가동하여 액상 제설제를 슬레이브 저장탱크로 공급한다. 공기 흡입구(14, 24), 제설제 주입구(16), 배수구, 용량 게이지가 구비되고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제조 시 상단 코너에 소정의 커버가 있는 공간과 안테나 설치구가 있는 제어블록 설치부가 마련되어 마스터 분사장치 제어블록을 탈부착할 수 있게 되어있다. 탱크의 형태는 원통형, 직사각형 또는 상황에 맞게 제작되어 사용한다.
액상 제설제는 염수, 염화칼슘용액 또는 비염화물계인 친환경제설제가 쓰인다. 친환경제설제는 자동차의 부식과 도로의 퇴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염화물계에 비해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다.
슬레이브 저장탱크(20)는 취약도로의 일측 또는 중앙분리대에 설치되며 슬림 통으로 제조된다. 후면의 상부에는 마스터 저장탱크와 파이브(28) 및 밸브(25)로 연결되고 도로 방향인 전면의 하부에 파이프와 밸브가 설치되고 이 파이프에 2개의 파이프에 복수의 노즐이 설치되고 서로 각도를 줄 수 있게 암 밴드 조인트로 연결된 액체 분사기가 지상에서 이격되어 설치된다. 조인트는 티 자형을 가진 플렉시블한 관으로 제조될 수 있다. 조인트의 각각의 끝단에 접합부재를 이용하여 노즐이 설치된 파이프를 연결한다. 노즐이 설치된 파이프는 하부에 복수 개의 고정 못이 용접되어 있어 지상에 이격을 두어 고정할 수 있다. 슬레이브 저장탱크는 외부장치의 소형 펌프를 가동하여 액상 제설제를 살포한다. 마스터 저장탱크와 같이 제어블록 설치부가 마련되어 슬레이브 분사장치 제어블록을 탈부착할 수 있게 되어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세한 계통도를 나타낸다. 마스터 분사장치 제어블록은 마스터 무선모듈, 데이터 통신모듈, 중앙처리장치(MPU), 릴레이모듈, 솔라 컨트롤러 및 외부장치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어블록 설치부에 탈부착할 수 있다.
마스터 무선모듈 및 슬레이브 무선모듈은 채널화를 하여 혼신을 방지하고 개별적으로 또는 브로드캐스트하여 통신한다. 채널은 외부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일정한 패턴에 따라 선택되며, 경우에 따라 보안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마스터 무선모듈의 채널은 424.700 MHz를 0번 채널로 시작해서 425.95 MHz를 20번 채널로 선택하여 사용한다. 채널선택은 슬레이브 및 마스터 무선모듈간에 동일한 채널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하며 주변에서 사용하는 주파수와 혼신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무선모듈은 채널 스위치 설정을 통하여 마스터 무선모듈과 슬레이브 무선모듈로 선택되어 사용된다.
마스터 무선모듈과 슬레이브 무선모듈의 통신거리는 통상 1 km이나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해 100-200 m 거리에서 구축하여 사용하나 운용에 따라 거리를 달리할 수 있다. 무선모듈은 하드웨어적인 채널값(ID)을 설정하여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또한 슬레이브와 마스터 무선모듈간 통신 ID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딥(dip) 스위치를 이용하여 마스터 무선모듈은 채널 0번을 슬레이브 무선모듈은 0 ~ 15번 채널을 이용하여 ID값을 설정한다. 마스터 및 슬레이브 무선모듈은 12V의 충전식 건전지를 사용하며 태양광 충전 방식 또는 DC 전원공급기를 병용한다.
슬레이브 무선모듈은 RS485로 수신된 데이터 중 자신의 ID에 해당하는 제어 데이터로 릴레이모듈을 제어하며 이 모듈의 전원 출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마스터 무선모듈은 슬레이브 무선모듈과 400MHz RF 대역 주파수로 데이터 통신을 하나 400MHz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주파수 대역은 125kHz, 13.56MHz, 424.7~424.95MHz, 447.2625~447.9875MHz, 860~960MHz, 2.45GHz 또는 5.0 GHz대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는 외부장치컨트롤러를 통해 외부장치를 제어하고 입출력을 담당하다. 릴레이모듈은 펌프 및 경광등의 전원출력 단자와 수위센서 회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릴레이로 구성된다.
솔라 컨트롤러는 외부장치의 태양전지판에서 나오는 전원을 충전하고 안정화하여 무선모듈, 릴레이모듈 및 데이터 통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한다.
외부장치컨트롤러는 중앙처리장치의 통제를 받아 외부장치인 태양전지판, 축전지, 펌프 및 경광등 등을 제어하고 동작시킨다.
데이터 통신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합관리서버와 상호 데이터통신하며 유선랜모듈 및 이동통신모듈로 구성된다. 이동통신모듈은 3G, 4G 또는 5G기술이며 기술발달에 따라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슬레이브 분사장치 제어블록은 슬레이브 무선모듈, 중앙처리장치(MPU), 릴레이모듈, 솔라 컨트롤러 및 외부장치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슬레이브 저장탱크의 제어블록 설치부에 탈부착할 수 있다.
액상 제절제 살포 시스템은 사계절중 동절기에만 사용하여 나머지 계절에는 관리가 잘 안 되는 측면이 있어 마스터 분사장치 제어블록 및 슬레이브 분사장치 제어블록을 탈 부착할 수 있게 제작되었다.
외부장치는 각각의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분사장치 제어블록에 연결되어 제어되며, 태양전지판, 축전지, 전원공급부, 펌프 및 경광등으로 구성된다. 태양전지판의 전원으로 충전되는 축전지를 사용하여 이동통신모듈, 마스터 및 슬레이브 무선모듈 및 릴레이모듈에 전원을 공급한다. 펌프의 전원은 전원공급부를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한다. 마스터 분사장치의 펌프는 슬레이브 분사장치의 펌프보다 용량이 큰 것을 사용한다. 펌프의 제어는 저장탱크에 설치된 수위센서 및 각각의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파이프에 설치된 밸브와 연동되어 액상 제설제의 저장 상태를 알려준다.
슬레이브 저장탱크 전면에 설치된 액체 분사기(23)는 펌프 및 밸브가 연동되어 수압을 조절하여 제어되며 시스템 설치 시 도로의 폭을 고려하여 조정한다. 액체분사기에는 설치장소의 연간 기상상황을 고려하여 동파방지 열선이 설치된다.
통합 센서모듈은 슬레이브 무선모듈, 적설센서, 기상센서, 진동센서, 영상장치 및 위치센서 등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고, 통상 1개가 운용되나 도로 상황을 고려하여 복수 개가 운용될 수 있다. 각 센서들의 데이터는 직렬통신으로 슬레이브 무선모듈로 전송되고 슬레이브 무선모듈과 마스터 무선모듈은 서로 400MHz RF신호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마스터 모듈은 데이터를 RS485를 이용한 직렬 데이터 통신으로 데이터 통신모듈로 전송하고, 데이터 통신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통합관리서버로 보낸다.
RS485는 직렬통신 방식으로 기존의 RS232가 단일모드 방식을 이용하는데 비하여 미분적(differential)모드 및 반 이중통신방식을 사용하여 도달거리가 약 1.2 km에 달하고 속도 또한 초당 10Mb로 향상된 직렬 데이터 통신방식이다. RS485는 2개의 선으로 송신 및 수신을 모두 하는 방식이며 1:N 통신에 유리하다.
영상장치는 액상 제절제 살포 시스템의 관찰이 용이한 곳에 설치하여 운용하며, 폭설 시 통합관리서버로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한다. 적설상태는 영상 데이터와 적설센서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판단하며 이 값에 따라 액상 제설제의 살포 양을 정하고 작동할 슬레이브 저장탱크 수를 결정한다. 도로 관리자는 통합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도로 상황을 영상을 통해 파악하고 대처한다.
통합관리서버는 데이터 통신모듈이 장착되어 있으며 마스터 분사장치 제어블록의 데이터 통신모듈로부터 통합 데이터를 3G, 4G 또는 5G 등과 같은 이동통신 또는 유선통신으로 전송받아 분석하고 판단하여 복수 개의 윈도우에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윈도우는 바 형태로 겹쳐서 구성되며 살포 시스템 상태표시 창, 살포 시스템 위치 및 영상표시 창 등으로 구성된다.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은 한 장소에 한 개의 마스터 저장탱크와 그 제어 시스템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저장탱크가 설치되어 운용된다. 서로 다른 N개의 장소에 N개의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이 운용되고 도 또는 시 단위에 한 개의 통합관리서버로 통합 운용된다.
신호등 상태표시 창은 실시간으로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색상으로 지도와 같이 표현하고 클릭하면 위치와 주소가 나오게 한다.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의 위치 및 영상표시 창은 실시간으로 시스템이 설치된 장소의 GIS기반 위치와 영상을 동시에 복수 개를 표시하고, 시간을 두고 위치를 바꾸어 가며 표시한다.
통합관리서버는 휴대기기 또는 PC 등과 같은 정보기기들의 실시간 접속을 허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도로 관리자가 휴대기기를 통합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지능형 원격 액상 살포 시스템을 구동하는 순서도를 나타낸다. 휴대기기는 도로관리 앱이 설치되어 있고 앱을 통하여 영상 송수신 및 제어명령을 통합관리서버에 전달한다. 영상 송수신 및 제어명령은 이동통신 또는 유선 랜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모듈로 전달되며 RS485장치로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하여 마스터 무선모듈로 전송된다. 마스터 무선모듈은 릴레이모듈에 전원을 인가하여 펌프, 경광들을 동작하고 슬레이브 무선모듈에 400MHz RF 통신으로 제어명령을 전달한다. 슬레이브 무선모듈은 릴레이모듈에 전원을 인가하고 릴레이 모듈은 펌프, 경광등 등을 작동시킨다. 마스터 무선모듈은 솔라컨트롤러, 태양전지판, 축전지에 전원공급을 하고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충전전력을 공급받는다.
도 4는 적설 시 적설을 인지하고 영상 및 적설센서들의 데이터를 판단하여 선제적으로 정해진 과정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여 제설하는 것을 나타내는 동작 순서도이다. 제설상황에 대한 신뢰도는 적설센서의 데이터, 적설영상 및 지역 온도를 분석하여 향상시켰으며, 슬레이브 탱크의 가동 수 및 살포시간 등은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가동하며 추후 통합관리서버나 휴대기기를 이용하여 수정될 수 있다.
적설센서의 데이터는 적설 판단을 하는데 주 데이터로 사용하고, 영상 및 온도 데이터는 보조 데이터로 사용한다. 장비가동의 최종판단은 적설, 영상 및 온도 데이터를 가지고 액상 제설제의 용량을 미리 정해진 가이드라인에 따라 또는 관리자가 결정한다.
10 : 마스터 저장탱크 11 : 마스터 분사장치 제어블록
12, 22 : 외부장치 14, 24 : 공기 흡입구
16 : 제설제 주입구 17, 27 : 무선모듈 안테나
18, 48 : 이동통신모듈 안테나 20 : 슬레이브 저장탱크
21 : 슬레이브 분사장치 제어블록 23 : 액체 분사기
25 : 밸브 28 : 파이프
30 : 통합 센서모듈 40 : 통합관리서버

Claims (10)

  1. 슬레이브 저장탱크에 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노즐이 설치된 두 개의 파이프가 각도를 줄 수 있는 암 밴드 조인트로 연결된 액체 분사기;
    설빙 취약도로의 일측 또는 중앙 분리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전면의 하부에는 상기 액체 분사기에 연결되고, 후면의 상부에는 마스터 저장탱크에 파이프로 연결된 슬림 통 형상의 복수의 슬레이브 저장탱크;
    파이프 및 밸브를 통해 복수의 슬레이브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액상 제설제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통 형상의 마스터 저장탱크;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저장탱크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분사장치 제어블록의 외부장치컨트롤러에 제어되는 전원공급기, 태양전지판, 축전지 및 펌프로 구성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액상 제설제를 펌핑하는 외부장치;
    슬레이브 저장탱크의 상단코너에 탈부착하게 설치되고 슬레이브 무선모듈을 포함하여 마스터 분사장치 제어블록과 상호 무선 통신하고 외부장치컨트롤러를 제어하는 슬레이브 분사장치 제어블록;
    마스터 무선모듈 및 데이터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마스터 저장탱크의 상단코너에 탈부착하게 설치되고, 슬레이브 분사장치 제어블록과 400MHz 대역을 사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하고, 외부장치컨트롤러를 제어하며, 통합관리서버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상호 데이터 통신하는 마스터 분사장치 제어블록;
    소정의 높이로 타워 형상의 상부에 설치되고, 기상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통합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 마스터 분사장치 제어블록과 상호 무선 통신하는 통합 센서모듈; 및
    상기 마스터 분사장치 제어블록의 데이터 통신모듈로부터 제어 상태정보 및 통합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적설상태를 판단하고 제설조치를 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424.7 ~ 425.95MHz 대역을 채널화하여, 상기 마스터 무선모듈은 0번 채널로 설정하고, 상기 슬레이브 무선모듈은 각각의 ID로 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마스터 무선모듈은 상기 각각의 슬레이브 무선모듈과 채널 ID별로 상호 통신하거나 브로드캐스트로 통신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설빙 취약도로의 기상정보, 채널 ID, 위치정보, 영상정보 및 시스템 작동여부를 GIS 기반으로 지도와 함께 표시하고, 폭설 시 영상정보 및 적설센서를 이용하여 적설 양을 판단하여 슬레이브 분사장치 제어블록의 가동 수를 조절하고, 진동센서에서 차량 진동이 검출되면 제설제 살포 시스템을 동작을 중단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제설제 살포 시스템을 가동하며, 실시간으로 도로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로 관리자의 휴대기기 접속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마스터 분사장치 제어블록은,
    마스터 무선모듈, 중앙처리장치, 릴레이모듈, 솔라 컨트롤러 및 외부장치컨트롤러를 포함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이고,
    슬레이브 분사장치 제어블록은,
    슬레이브 무선모듈, 중앙처리장치, 릴레이모듈, 솔라 컨트롤러, 외부장치컨트롤러 및 데이터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이며,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저장탱크의 상단코너에 안테나가 노출되게 형성된 제어블록 설치부에 탈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모듈은 유선 통신모듈 및 이동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통합관리서버에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호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마스터 무선모듈은 데이터 통신모듈과 직렬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센서모듈은 슬레이브 무선모듈, 적설센서, 기상센서, 진동센서, 영상장치 및 위치센서를 포함하고, 센서에서 습득된 통합정보 데이터를 마스터 무선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마스터 저장탱크의 용량은 복수로 설치되는 슬레이브 저장탱크의 용량의 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외부전원 공급부, 태양전지판, 축전지, 펌프 및 경광등을 포함하고 외부장치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마스터 저장탱크 또는 슬레이브 저장탱크의 액상 제설제 공급 및 수위는 외부장치컨트롤러를 통해 밸브 컨트롤러, 펌프 컨트롤러 및 수위센서의 데이터가 상호 연동되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10. 삭제
KR1020140161840A 2014-11-19 2014-11-19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KR101540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840A KR101540642B1 (ko) 2014-11-19 2014-11-19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PCT/KR2015/009903 WO2016080649A1 (ko) 2014-11-19 2015-09-22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840A KR101540642B1 (ko) 2014-11-19 2014-11-19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642B1 true KR101540642B1 (ko) 2015-07-31

Family

ID=5387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840A KR101540642B1 (ko) 2014-11-19 2014-11-19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0642B1 (ko)
WO (1) WO201608064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702B1 (ko) 2016-07-19 2016-09-28 (주)에스알디코리아 지능형 무인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KR101884213B1 (ko) * 2017-04-25 2018-08-30 주식회사 세진기술개발 태양에너지와 지관 파이프를 이용한 개량형 염수분사 장치
KR102034027B1 (ko) * 2019-04-26 2019-10-18 (주)씨앤에스아이 블랙아이스 제거기능을 갖는 도로용 자동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9231B1 (ko) * 2022-08-02 2023-01-18 (주) 제이진 Ai 영상분석 자동 원격 살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3677B2 (en) * 2016-09-20 2019-01-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ce and snow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CN113957843A (zh) * 2021-11-08 2022-01-21 湖南省交通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能网联移动式喷淋抗冰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768B1 (ko) * 2011-01-26 2012-05-03 (주)즐거운미래 원격 제설 방재 시스템
KR20120066178A (ko) * 2010-12-14 2012-06-22 주식회사 티앤에스 노면 결빙방지장치
KR101185772B1 (ko) * 2010-03-30 2012-10-02 종 화 이 도로제설 취약구간에 있어서의 액체 살포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방법
KR20140091192A (ko) * 2013-01-10 2014-07-21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교통정보 기반의 도로 제설용 융설액 자동 살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381B1 (ko) * 2009-01-23 2011-06-10 한국도로공사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제설재 살포가 가능한 제설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772B1 (ko) * 2010-03-30 2012-10-02 종 화 이 도로제설 취약구간에 있어서의 액체 살포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방법
KR20120066178A (ko) * 2010-12-14 2012-06-22 주식회사 티앤에스 노면 결빙방지장치
KR101140768B1 (ko) * 2011-01-26 2012-05-03 (주)즐거운미래 원격 제설 방재 시스템
KR20140091192A (ko) * 2013-01-10 2014-07-21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교통정보 기반의 도로 제설용 융설액 자동 살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702B1 (ko) 2016-07-19 2016-09-28 (주)에스알디코리아 지능형 무인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KR101884213B1 (ko) * 2017-04-25 2018-08-30 주식회사 세진기술개발 태양에너지와 지관 파이프를 이용한 개량형 염수분사 장치
KR102034027B1 (ko) * 2019-04-26 2019-10-18 (주)씨앤에스아이 블랙아이스 제거기능을 갖는 도로용 자동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9231B1 (ko) * 2022-08-02 2023-01-18 (주) 제이진 Ai 영상분석 자동 원격 살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0649A1 (ko)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642B1 (ko) 지능형 원격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KR101961416B1 (ko) IoT기반 저전력 도로 물분사 시스템
KR101185772B1 (ko) 도로제설 취약구간에 있어서의 액체 살포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방법
KR101660702B1 (ko) 지능형 무인 액상 제설제 살포 시스템
KR101244928B1 (ko) 광역화 다차선 도로의 액체 살포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069229B1 (ko)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형 자동살포시스템
KR102199732B1 (ko) 레이더 감지에 의한 제설제 자동 살포로 블랙아이스 제거 및 제설 기능을 수행하는 제설제 살포 시스템
KR101365634B1 (ko) 눈이 내리거나 도로 결빙시 자동으로 살포재를 살포하는 무인 살포시스템
KR101970107B1 (ko) 온라인 통합관리형 제설액 살포 시스템
KR102254840B1 (ko) 온라인 통합 관리형 클린로드 및 제설 시스템
KR102144505B1 (ko) 동절기 안전 신호시스템이 적용된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형 자동살포시스템
CN109235332A (zh) 一种无人驾驶多功能道路清扫车
KR101339199B1 (ko) 액상 살포장치의 실시간 펌프제어 및 영상 제공 시스템
KR100839024B1 (ko) 원격제어 결빙방지 시스템 및 그의 작동방법
US7588195B2 (en) Deicing apparatus
KR102073513B1 (ko) 설치가 간편한 다기능 차선분리대용 살수시스템
KR102029069B1 (ko) 드론을 이용한 교량의 결빙 방지시스템
KR102182029B1 (ko) 이동형 원격 액상분사 시스템
US20060204647A1 (en) De-icing system for driveways, walkways, sidewalks and other surfaces
CN208792220U (zh) 路面养护车
KR101822435B1 (ko) 눈이 내리거나 도로 결빙시 자동으로 살포재를 살포하는 무인 살포장치 및 방법
KR100641728B1 (ko) 제설제 살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설 시스템
KR101335661B1 (ko) 근접 펌프 구동형 액상 살포장치
KR20220130449A (ko) 제설제 살포차량과 연계된 자동 염수 분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29243A (ko) 제설 장치 자동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