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883B1 - 연결구 - Google Patents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883B1
KR101039883B1 KR1020090051740A KR20090051740A KR101039883B1 KR 101039883 B1 KR101039883 B1 KR 101039883B1 KR 1020090051740 A KR1020090051740 A KR 1020090051740A KR 20090051740 A KR20090051740 A KR 20090051740A KR 101039883 B1 KR101039883 B1 KR 101039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elastic piece
elastic
engagement
s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0814A (ko
Inventor
마사오 구라미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90130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3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 F16B21/075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the socket having resilient parts on its inside and out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9/00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 F16B9/05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by way of an intermediate member
    • F16B9/056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by way of an intermediate member the intermediate member extending through the flat surface; the rod or tubular part extending through the flat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연결상태를 해치는 일이 없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이 연결을 가능한 한 연결구에 손상을 주지 않는 상태로 무리 없게 해제할 수 있게 한다.
(해결수단) 연결대상이 되는 일측 부재(F)에 형성된 부착구멍(Fa)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 부재(F)에 부착됨과 아울러, 내측에 연결대상이 되는 타측 부재(W)의 피수용부(Wa)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구(J)이다. 연결구(J)의 측부(3)의 일부가 상기 측부(3)에 형성한 슬릿(8a)에 의해서 탄성편(8)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탄성편(8)에 상기 피수용부(Wa)의 수용종료위치에서의 상기 탄성편(8)의 휨복원에 의해서 상기 피수용부(Wa)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Wc)에 끼워져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돌기부(8d)가 구비되어 있다. 걸어맞춤 돌기부(8d)의 정상부(8g)가 탄성편(8)의 내면(8h)과 이것에 대향하는 측부(3)의 내면(3a)과의 사이의 중간위치(x')를 넘어선 상기 대향하는 측부(3) 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연결구{CONNECTOR}
본 발명은 연결대상이 되는 일측 부재에 부착됨과 아울러 연결대상이 되는 타측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여 이것에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양 부재를 연결시키는 연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연결대상이 되는 일측 부재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삽입되어 부착됨과 아울러, 이 부착상태에 있어서 연결대상이 되는 타측 부재의 일부를 내측에 수용하여 이것에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양 부재를 연결시키는 연결구로서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것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서로 연결시킨 양 부재를 분리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도 적지 않다. 예를 들면, 이러한 종류의 연결구를 자동차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연결에 이용할 경우에는 일단 연결시킨 후에 다른 부재와의 배열 조정 등을 위하여 이 연결을 해제함과 동시에 다시 연결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 있는 데,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연결구에 있어서는 연결대상이 되는 타측 부재의 일부에 걸어맞춰지 는 탄성 걸어맞춤부가 자루형상으로 구성된 연결구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 걸어맞춤부를 휘게 하기 어렵고, 또 상기 타측 부재의 일부를 빼냈을 때에는 탄성 걸어맞춤부에 크랙 등의 손상을 일으키기 쉬웠다. 그래서, 상기 탄성 걸어맞춤부를 탄성변형시키기 쉽게, 예를 들면 탄성 걸어맞춤부의 두께가 얇게 되도록 구성하면, 이러한 연결의 해제는 쉬워지게 되지만, 단순하게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어렵게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공소 62-12897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평 8-210335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런한 종류의 연결구에 있어서 그 연결상태를 해치는 일이 없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이 연결을 가능한 한 연결구에 손상을 주지 않는 상태로 무리 없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연결구를, 연결대상이 되는 일측 부재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 부재에 부착됨과 아울러, 내측에 연결대상이 되는 타측 부재의 피수용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구로서, 상기 연결구의 측부의 일부가 상기 측부에 형성한 슬릿에 의해서 탄성편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탄성편에 상기 피수용부의 수용종료위치에서의 상기 탄성편의 휨복원에 의해서 상기 피수용부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에 끼워져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걸어맞춤 돌기부의 정상부가 탄성편의 내면과 이것에 대향하는 측부의 내면과의 사이의 중간위치를 넘어선 상기 대향하는 측부 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연결대상이 되는 일측 부재의 부착구멍에 연결구를 삽입하여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의 내측으로의 연결대상이 되는 타측 부재의 피수용부의 수용을 탄성편의 휨변형에 의해서 허용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구의 내측으로의 피수용부의 수용종료위치에서의 상기 탄성편의 휨복원에 의해서 상기 피수용부에 형성한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 돌기부를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일측 부재와 상기 타측 부재를 연결구를 통해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의 정상부는 상기 중간위치를 넘어선 상기 탄성편의 내면에 대향하는 측부 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피수용부의 피걸어맞춤부에 대한 걸어맞춤부분을 피수용부의 삽입방향을 따르는 가상의 삽입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서 일측 측부에서 타측 측부에 걸친 넓은 범위에서 확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걸어맞춤상태가 안정적으로 확보된다.
한편, 탄성편은 연결구의 측부의 일부에 의해서 구성되고, 이 탄성편은 그 기단부 측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제한 없이 휨변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구에 수용종료위치까지 삽입된 피수용부에 대해서 일정한 빼냄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킴에 의해서 걸어맞춤 돌기부에 연결구의 재이용에 영향을 주는 손상(즉, 연결구에 피수용부를 다시 수용하였을 때의 이 피수용부의 유지력의 저하를 초래할 정도의 크랙 등)을 일으키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탄성편을 휨변형시켜서 피걸어맞춤부에서 걸어맞춤 돌기부를 빼낼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연결구를 재이용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자동차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연결에 연결구를 이용한 경우에는 그 해제시에 각 부재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또 재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연결구에 의하면, 연결대상이 되는 타측 부재의 피수용부의 수용을 허락하고 휨복원에 의해서 상기 피수용부에 걸어맞춤 돌기부를 걸어맞추게 하는 탄성편을 연결구의 측부의 일부에 의해서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를 그 정상부가 상기 탄성편의 내면과 이것에 대향하는 측부의 내면과의 사이의 중간위치를 넘어선 상기 대향하는 측부 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걸어맞춤에 의한 연결상태를 해치는 일이 없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이 연결을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에 크랙 등과 같은 손상을 가능한 한 주지 않는 상태로 무리 없게 해제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구성된 연결구(J)를 이용하여 연결대상이 되는 일측 부재(F)와 타측 부재(W)를 서로 연결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 내지 도 12는 상기 연결구(J)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결구(J)는 연결대상이 되는 일측 부재(F)에 부착됨과 아울러 연결대상이 되는 타측 부재(W)의 일부를 수용하여 이것에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양 부재(F,W)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J)는 일측 부재(F)에 형성된 부착구멍(Fa)에 삽입되어 이 일측 부재(F)에 부착됨과 아울러, 그 내측에 타측 부재(W)의 피수용부(Wa)가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연결구(J)는 그 일단부(1')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이 개방된 일단부(1')를 에워싸도록 이 일단부(1')에 외측 턱부(2)를 구비한 각통(角筒)형상을 이루는 주체부(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피수용부(Wa)는 상기 주체부(1)의 개방된 일단부(1')에서 상기 주체부(1) 내로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연결대상이 되는 타측 부재(W)는 그 단면이 원형으로 된 금속제의 굵은 선재(와이어)(W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수용부(Wa)는 이 선재(Wb)의 일부를 성형시켜서 구성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선재(Wb)의 일부를, 일측 부재(F)를 구성하는 프레임(Fb)을 따르는 직선부(Wba)에서 이 직선부(Wb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꺾어 구부림과 아울러, 이 구부린 부분을 다시 꺾어 구부려서 갈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성형하고 있다. 이러한 갈고리 형상부(Wbb)는, 그 기단부(Wbc)에서 선단부(Wbd)까지는 2개의 선재(Wb)가 상기 직선부(Wba)의 연장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선단부(Wbd)는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상기 선재(Wb)를 원호형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형성하고 있다(도 1).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타측 부재(W)는 그 갈고리 형상부(Wbb)의 내측에 상기 일측 부재(F)를 구성하는 봉형상을 이루는 프레임(Fb)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일측 부재(F)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연결구(J)는 상기 일측 부재(F)의 프레임(Fb)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판형상의 브래킷(Fc)에 부착되며, 상기 갈고리 형상부(Wbb)를 수용하여 이 갈고리 형상부(Wbb)에 걸어맞춤으로써 양 부재(F,W)의 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 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갈고리 형상부(Wbb)의 선단부(Wbd) 측이 상기 피수용부(Wa)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도 1).
도시한 예에서는, 연결구(J)의 주체부(1)는 1쌍의 광폭 측부(3,3)와 1쌍의 협폭 측부(4,4)를 구비하고 있으며, 편평한 각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1쌍의 협폭 측부(4,4)의 내면(4a)은 각각 상기 선재(Wb)의 외형과 같은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1쌍의 광폭 측부(3,3)의 내면(3a) 간의 치수는 상기 선재(Wb)의 외경보다도 넓게 되어 있으나, 후술하는 안내부(10)에 의해서 피수용부(Wa)가 상기 1쌍의 광폭 측부(3,3)의 내면(3a) 간의 중간위치(x')에 선재(Wb)의 중심선(x)이 거의 위치하도록 하면서 연결구(J)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도 2).
도시한 예에서는, 연결구(J)는 상기 브래킷(Fc)에 형성된 부착구멍(Fa), 즉 연결구(J)의 주체부(1)의 외곽형상과 같은 구멍형상을 구비한 부착구멍(Fa)에 상기 주체부(1)의 타단부(1")부터 삽입하되 상기 외측 턱부(2)가 걸리는 위치까지 삽입함으로써, 상기 브래킷(Fc)에 원터치로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1쌍의 광폭 측부(3,3)에는 각각, 이 광폭 측부(3)에 관통상태로 형성된 슬릿(5a)에 의해서 탄성 걸어맞춤편(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5a)은 주체부(1)의 타단부(1") 측이 탄성 걸어맞춤편(5)의 기단부가 되도록 광폭 측부(3)에 있어서의 주체부(1)의 일단부(1') 측에 형성된 대략 '∩'형상의 분할홈으로 되어 있다. 탄성 걸어맞춤편(5)의 외측에는 돌출부(5b)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탄성 걸어맞춤편(5)의 돌출부(5b)의 정상부 간의 간격은 부착구멍(Fa)의 단변(短邊) 측의 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으며, 부착구멍(Fa)으로의 연결구(J) 의 삽입은 이 부착구멍(Fa)의 가장자리부에 돌출부(5b)를 접촉시킴에 의한 탄성 걸어맞춤편(5)의 내측으로의 휨변형에 의해서 허용된다. 연결구(J)가 부착구멍(Fa)에 삽입되되, 상기 돌출부(5b)의 정상부가 부착구멍(Fa)을 빠져나가는 삽입종료위치까지 삽입되면, 탄성 걸어맞춤편(5)의 돌출편(5b)과 외측 턱부(2)와의 사이에 브래킷(Fc)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브래킷(Fc)에 대한 연결구(J)의 부착이 이루어진다(도 2).
도시한 예에서는, 주체부(1)의 광폭 측부(3) 측에는, 상기 외측 턱부(2)에 일단이 일체로 연접됨과 아울러, 타단이 측방으로 돌출되되 이 측방으로 향하여 갈수록 상기 돌출부(5b) 측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탄성돌기(6)를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브래킷(Fc)에 연결구(J)가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주체부(1)의 축방향에서의 요동을 상기 탄성돌기(6)에 의해서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2). 상기 탄성돌기(6)는 주체부(1)의 1쌍의 광폭 측부(3,3) 측에 각각, 이 광폭 측부(3)의 중앙측에 간격을 두고서 2개소에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1쌍의 광폭 측부(3,3) 중 어느 하나{후술하는 타측의 광폭 측부(3)}에 있어서는 2개의 탄성돌기(6,6) 사이에, 주체부(1)의 일단부(1')에 기단부가 일체로 연접되고 이 일단부(1')에서 상측으로 세워진 후에 외측으로 꺾여서 돌출되는 돌출단부(7a)를 구비한 기립(起立)편(7)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J)의 측부(3)의 일부{도시한 예에서는 1쌍의 광폭 측부(3,3) 중 일측의 광폭 측부(3)의 일부}가 상기 측부(3){일측의 광폭 측부(3)}에 형성한 슬릿(8a)에 의해서 탄성편(8)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탄성편(8)에 상기 피수 용부(Wa)의 수용종료위치에서의 상기 탄성편(8)의 휨복원에 의해서 상기 피수용부(Wa)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Wc)에 끼워져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돌기부(8d)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8d)의 정상부(8g)는 상기 탄성편(8)의 내면(8h)과 이것에 대향하는 측부(3){도시한 예에서는 1쌍의 광폭 측부(3,3) 중 타측의 광폭 측부(3)}의 내면(3a)과의 사이의 중간위치(x')를 넘어선 상기 대향하는 측부(3){타측의 광폭 측부(3)} 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1쌍의 광폭 측부(3,3) 중 일측의 광폭 측부(3)에, 주체부(1)의 일단부(1') 근방에서부터 주체부(1)의 축방향의 치수의 약 3분의 2가 되는 위치까지의 사이에 이 주체부(1)의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됨과 아울러 광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1쌍의 세로방향 분할홈(8b,8b)과, 이 1쌍의 세로방향 분할홈(8b,8b)에 있어서의 주체부(1)의 타단부(1") 측의 홈단부 사이에 걸쳐서 주체부(1)의 타단부(1") 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된 만곡형상 분할홈(8c)에 의해서, 외측 턱부(2) 측을 기단부로 하고 주체부(1)의 타단부(1") 측을 자유단(8i)으로 하는 판형상의 탄성편(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편(8)의 내면(8h) 측에 있어서의 그 자유단(8i) 측에, 상기 내면(8h)에서 상기 타측의 광폭 측부(3) 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8d)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결대상이 되는 일측 부재(F)의 부착구멍(Fa)에 연결구(J)를 삽입하여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J)의 내측으로의 연결대상이 되는 타측 부재(W)의 피수용부(Wa)의 수용을 탄성편(8)의 휨변형에 의해서 허용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구(J)의 내측으로의 피수용부(Wa)의 수용종 료위치에서의 상기 탄성편(8)의 휨복원에 의해서 상기 피수용부(Wa)에 형성한 피걸어맞춤부(Wc)에 걸어맞춤 돌기부(8d)를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일측 부재(F)와 상기 타측 부재(W)를 연결구(J)를 통해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한 예에서는, 걸어맞춤 돌기부(8d)에 있어서의 주체부(1)의 일단부(1') 측으로 향하는 측에는 이 걸어맞춤 돌기부(8d)의 정상부(8g)로 향하여 감에 따라서 점차로 주체부(1)의 타단부(1") 측에 가까워지는 경사면(8j)가 형성되어 있으며(도 11), 피수용부(Wa)로서의 상기 갈고리 형상부(Wbb)의 선단부(Wbd) 측을 주체부(1)의 일단부(1') 측에서 삽입하면, 이 선단부(Wbd)의 만곡부(Wbe)가 상기 경사면(8j)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탄성편(8)이 외측으로 부드럽게 휨변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갈고리 형상부(Wbb)에 있어서의 만곡부(Wbe)의 내측에 걸어맞춤 돌기부(8d)가 끼워지는 걸어맞춤위치까지 피수용부(Wa)가 연결구(J)에 삽입되면, 탄성편(8)이 휨복원됨으로써 상기 갈고리 형상부(Wbb)의 선단부(Wbd) 측의 내측에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8d)가 끼워져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갈고리 형상부(Wbb)의 선단부(Wbd) 측의 내측이 상기 피걸어맞춤부(Wc)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8d)의 정상부(8g)는 상기 중간위치(x')를 넘어선 상기 탄성편(8)의 내면(8h)에 대향하는 측부(3){타측의 광폭 측부(3)} 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피수용부(Wa)의 피걸어맞춤부(Wc)에 대한 걸어맞춤부분을 피수용부(Wa)의 삽입방향을 따르는 가상의 삽입 중심선{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선재(Wb)의 중심선(x)}을 사이에 두고서 일측 측부{일측의 광폭 측부(3)}에서 타측 측부{타측의 광폭 측 부(3)}에 걸친 넓은 범위에서 확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걸어맞춤상태가 안정적으로 확보된다.
한편, 탄성편(8)은 연결구(J)의 측부(3){일측의 광폭 측부(3)}의 일부에 의해서 구성되고, 이 탄성편(8)은 그 기단부 측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제한 없이 휨변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구(J)에 수용종료위치까지 삽입된 피수용부(Wa)에 대해서 일정한 빼냄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킴에 의해서 걸어맞춤 돌기부(8d)에 연결구(J)의 재이용에 영향을 주는 손상{즉, 연결구(J)에 피수용부(Wa)를 다시 수용하였을 때의 이 피수용부(Wa)의 유지력의 저하를 초래할 정도의 크랙 등}을 일으키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탄성편(8)을 휨변형시켜서 피걸어맞춤부(Wc)에서 걸어맞춤 돌기부(8d)를 빼낼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연결구(J)를 재이용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자동차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연결에 연결구(J)를 이용한 경우에는 그 해제시에 각 부재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또 재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8d)에 있어서의 상기 피수용부(Wa)의 피걸어맞춤부(Wc)에 대한 걸어맞춤개소, 즉 걸어맞춤 돌기부(8d)에 있어서의 주체부(1)의 타단부(1") 측으로 향하는 측이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8d)의 정상부(8g) 측을 정점으로 한 가상의 원뿔의 원뿔면을 따르는 곡면(8f)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8d)에 있어서의 상기 피수용부(Wa)의 피걸어맞춤부(Wc)에 대한 걸어맞춤개소가 경사면(8e)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결구(J)에 수용종료위치까지 삽 입된 피수용부(Wa)를 상기한 바와 같이 빼낼 때에, 상기 경사면(8e)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탄성편(8)을 외측으로 쉽게 휨변형시킬 수 있으며, 또 걸어맞춤 돌기부(8d)의 걸어맞춤개소를 일층 손상시키기 어렵게 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피걸어맞춤부(Wc)가 상기 만곡부(Wbe)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걸어맞춤개소도 이 만곡부(Wbe)의 만곡을 따르는 곡면으로 되어 있어, 상기한 기능이 더 높아지도록 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주체부(1)의 타측의 광폭 측부(3)에는, 상기 탄성 걸어맞춤편(5)의 기단부와 주체부(1)의 타단부(1")와의 사이에 있어서, 걸어맞춤 돌기부(8d)가 외부로 노출되는 사각형의 창구멍(9)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구(J)에 수용종료위치까지 삽입된 피수용부(Wa)의 빼냄을 상기 창구멍(9)을 통해서 걸어맞춤 돌기부(8d)의 정상부(8g)를 압압하여 탄성편(8)을 휨변형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창구멍(9)에 의해서 주체부(1)의 내측에 걸어맞춤 돌기부(8d)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결구(J)에는 상기 피수용부(Wa)의 그 수용방향을 따르는 양 측부를 끼움지지형태로 안내하는 1쌍의 안내부(10,10)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탄성편(8)을 상기 1쌍의 안내부(10,10) 사이에 구비시키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주체부(1)의 일측의 광폭 측부(3)에 있어서는 탄성편(8)을 사이에 둔 양측에 일단부(1')에서 타단부(1")까지에 걸쳐서 리브형상 돌기부(10a)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주체부(1)의 타측의 광폭 측부(3)에 있어서는 창구 멍(9)을 사이에 둔 양측에 일단부(1')에서 타단부(1")까지에 걸쳐서 리브형상 돌기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의 광폭 측부(3)의 리브형상 돌기부(10a)와 상기 타측의 광폭 측부(3)의 리브형상 돌기부(10a)의 사이가 상기 피수용부(Wa)의 갈고리 형상부(Wbb)의 선단부(Wbd) 측을 구성하는 선재(Wb)의 외경과 거의 같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수용부(Wa)가 상기 1쌍의 광폭 측부(3,3)의 내면 간의 중간위치(x')에 선재(Wb)의 중심선(x)이 거의 위치하도록 연결구(J)의 내측에 삽입되어 끼움지지됨으로써 연결구(J)에 요동 적게 수용되며, 따라서 피걸어맞춤부(Wc)에 대한 걸어맞춤 돌기부(8d)의 걸어맞춤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편(8)에는 이 탄성편(8)에 형성한 슬릿(5a)에 의해서, 연결대상이 되는 일측 부재(F)에 형성된 부착구멍(Fa)에 대한 삽입종료위치에서의 휨복원에 의해서 상기 부착구멍(Fa)의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지는 탄성 걸어맞춤편(5)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한 예에서는, 주체부(1)에 있어서의 탄성편(8)의 형성측이 되는 상기 일측의 광폭 측부(3)에 구비되는 탄성 걸어맞춤편(5)은, 상기 슬릿(5a)에 의해서 탄성편(8)의 자유단(8i) 측이 기단부가 되고 또한 탄성편(8)의 기단부 측이 자유단이 되도록 상기 탄성편(8)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탄성편(8)의 형성측에, 탄성편(8)의 외측으로의 휨변형을 저해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일측 부재(F)에 연결구(J)를 부착하기 위한 탄성 걸어맞 춤편(5)을 구비시키고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연결구(J)에 있어서의 상기 휨변형을 일으키는 개소에 대한 탄성변형특성의 부여는, 상기 연결구(J)를 플라스틱재료로 구성함에 의해서 용이하게 확보시킬 수 있다.
도 1은 연결구(J)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연결구(J)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연결구(J)의 평면도
도 4는 연결구(J)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연결구(J)를 이것의 반대측에서 본 연결구(J)의 사시도
도 6은 연결구(J)의 정면도
도 7은 연결구(J)의 배면도
도 8은 연결구(J)의 평면도
도 9는 연결구(J)의 저면도
도 10은 연결구(J)의 우측면도
도 11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12는 도 6의 B-B선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J - 연결구 F - 일측 부재
Fa - 부착구멍 W - 타측 부재
Wa - 피수용부 Wc - 피걸어맞춤부
3 - 측부(광폭 측부) 3a - 내면
8 - 탄성편 8a - 슬릿
8d - 걸어맞춤 돌기부 8g - 정상부
8h - 내면 x' - 중간위치

Claims (5)

  1. 연결대상이 되는 일측 부재(F)에 형성된 부착구멍(Fa)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 부재(F)에 부착됨과 아울러, 내측에 연결대상이 되는 타측 부재(W)의 피수용부(Wa)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구(J)로서,
    상기 연결구(J)의 측부(3)의 일부가 상기 측부(3)에 형성한 슬릿(8a)에 의해서 탄성편(8)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탄성편(8)에 상기 피수용부(Wa)의 수용종료위치에서의 상기 탄성편(8)의 휨복원에 의해서 상기 피수용부(Wa)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Wc)에 끼워져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돌기부(8d)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걸어맞춤 돌기부(8d)의 정상부(8g)가 탄성편(8)의 내면(8h)과 이것에 대향하는 측부(3)의 내면(3a)과의 사이의 중간위치(x')를 넘어선 상기 대향하는 측부(3) 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8d)에 있어서의 상기 피수용부(Wa)의 피걸어맞춤부(Wc)에 대한 걸어맞춤개소가 경사면(8e)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8d)에 있어서의 상기 피수용부(Wa)의 피걸어맞춤부(Wc)에 대한 걸어맞춤개소가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8d)의 정상부(8g) 측을 정점으로 한 가상의 원뿔의 원뿔면을 따르는 곡면(8f)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8)에는 상기 탄성편(8)에 형성한 슬릿(5a)에 의해서, 연결대상이 되는 일측 부재(F)에 형성된 부착구멍(Fa)에 대한 삽입종료위치에서의 휨복원에 의해서 상기 부착구멍(Fa)의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지는 탄성 걸어맞춤편(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수용부(Wa)의 그 수용방향을 따르는 양 측부를 끼움지지형태로 안내하는 1쌍의 안내부(10,10)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탄성편(8)을 상기 1쌍의 안내부(10,10) 사이에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KR1020090051740A 2008-06-16 2009-06-11 연결구 KR101039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56372A JP5091775B2 (ja) 2008-06-16 2008-06-16 連結具
JPJP-P-2008-156372 2008-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814A KR20090130814A (ko) 2009-12-24
KR101039883B1 true KR101039883B1 (ko) 2011-06-09

Family

ID=4143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740A KR101039883B1 (ko) 2008-06-16 2009-06-11 연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91775B2 (ko)
KR (1) KR101039883B1 (ko)
WO (1) WO2009154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0797B2 (en) 2015-04-20 2020-09-22 Piolax, Inc. Part fixture
DE102017200175B4 (de) 2017-01-09 2021-08-2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Rastcli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3109A (ja) 1996-08-29 1998-03-17 Nifco Inc 係止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保持具
JP2001254713A (ja) 2000-03-09 2001-09-21 Nifco Inc 物品の保持具
JP2002039132A (ja) 2000-07-19 2002-02-06 Nifco Inc 物品保持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3413U (ja) * 1981-10-26 1983-04-28 株式会社ニフコ 物品の保持具
JP3686444B2 (ja) * 1995-02-07 2005-08-24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シート留め具
JPH1054411A (ja) * 1996-06-03 1998-02-24 Daiwa Kasei Kogyo Kk クリップ
JP4222653B2 (ja) * 1998-02-09 2009-02-12 株式会社ニフコ 物品取付具
JP2002021823A (ja) * 2000-07-04 2002-01-23 Nifco Inc 板材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3109A (ja) 1996-08-29 1998-03-17 Nifco Inc 係止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保持具
JP2001254713A (ja) 2000-03-09 2001-09-21 Nifco Inc 物品の保持具
JP2002039132A (ja) 2000-07-19 2002-02-06 Nifco Inc 物品保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4181A1 (ja) 2009-12-23
KR20090130814A (ko) 2009-12-24
JP5091775B2 (ja) 2012-12-05
JP2009299822A (ja)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1417B2 (en) Buckle
EP1630426B1 (en) Double clip fastener device with retaining plate
US20080098554A1 (en) Wiper blade assembly
KR100666456B1 (ko) 클립
JP2009534611A (ja) 固定装置
WO2011007526A1 (ja) バンドクリップ
US20160278488A1 (en) Buckle
CN104806605B (zh) 固定夹
KR200362772Y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KR10098878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039883B1 (ko) 연결구
CN112664523B (zh) 快速释放固定装置的保持夹、快速释放固定装置以及带有该快速释放固定装置的组件连接
JP6335137B2 (ja) レール取付構造
CN113163904B (zh) 带扣用的插头及带扣
JPWO2017199842A1 (ja) クリップ
KR100452395B1 (ko) 연결구조
KR20110032881A (ko) 커넥터 어셈블리
US8737797B2 (en) Device for receiving a subassembly assigned to an optical fibre cable and for fastening the same to a mounting
CN211749837U (zh) 组织夹
KR100814934B1 (ko) 랜스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용 하우징
KR100448317B1 (ko) 버클
JP4790687B2 (ja) 樹脂製クリップ
JP7134363B2 (ja) サンバイザホルダ
CN218031788U (zh) 一种锯齿形可调管夹
KR20240039632A (ko) 파스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