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061B1 - 도로 표지판 - Google Patents

도로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061B1
KR101037061B1 KR1020100077939A KR20100077939A KR101037061B1 KR 101037061 B1 KR101037061 B1 KR 101037061B1 KR 1020100077939 A KR1020100077939 A KR 1020100077939A KR 20100077939 A KR20100077939 A KR 20100077939A KR 101037061 B1 KR101037061 B1 KR 101037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connecting rod
band
coupl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환
정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표지
Priority to KR102010007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지판을 연결봉에 용접하지 않고 리벳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조립하여 구조적으로 필요한 강도와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표지판의 전면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표지판의 시인성 및 판독성을 높일 수 있으며, 표지판의 부분적인 파손이나 훼손시에 파손부위만 리벳을 교체하여 수리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비를 줄이며, 용접시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발생을 줄여 환경 및 안전에 유익한 도로 표지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로 표지판은,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측부에 수평 방향으로 장착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전면에 도로정보를 표시하는 표지판과; 상기 표지판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표지판 및 상기 고정프레임을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와; 일단이 상기 결합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반대방향으로 외경이 점점 커지게 형성되며, 상기 표지판에 삽입된 타단이 상기 표지판의 전면과 수평을 이루는 돌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표지판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결합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표지판의 전면 방향으로 내경이 점점 커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 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은 최대 내경이 상기 돌출부의 최대 외경과 같거나 크고, 깊이가 상기 돌출부의 높이와 같거나 크다.

Description

도로 표지판 { A ROAD GUIDANCE SIGNPOST }
본 발명은 도로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립식 표지판을 용접하지 않고 다양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된 도로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방도, 국도, 고속도로 등 모든 도로에는 운전자들에게 진행방향을 인지시키도록 하는 도로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에 도로 표지판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10)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결봉(12)이 장착되며, 상기 연결봉(12)에 표지판(60)이 고정 장착된다.
즉, 상기 표지판(60)은 상,하로 구분된 두 개의 판이 일정길이를 갖는 지지대(14)에 용접으로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14)는 밴드(16)로 상기 연결봉(12)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하로 구분되어 용접(W)으로 고정 연결된 상기 표지판(60)은 상기 지지대(14)가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배면에 대하여 용접되어 고정 설치된다.
그러나 국내의 '도로표지 제작,설치 및 관리지침'에 의하면 상기 표지판(60)의 면은 평면을 이루고 굴곡이 없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제작이 완료된 각종 표지판은 평면을 이뤄야 하며 제작 시 절단, 굴곡, 용접 등의 작업으로 인해 굴곡, 휨, 균열 등이 일체 없어야 한다고 표기돼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로 표지판은 상기 표지판(60)과 지지대(14)를 용접함으로써 상기 표지판(60)의 전면부의 열변형으로 인해 평탄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KS규정에 명시된 강압기와 진공압착기의 사용이 불가능해 반사지를 상기 표지판(60)에 부착하여도 균일한 반사율을 제공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상기 표지판(60)의 전면에 표시된 표지문안의 판독성을 높이기 어렵다.
또한, 상기 표지판(60)의 평탄도가 좋지 않을 경우 작은 결로현상에도 난반사가 심하여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지판을 연결봉에 용접하지 않고 리벳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조립하여 구조적으로 필요한 강도와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표지판의 전면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표지판의 시인성 및 판독성을 높일 수 있으며, 표지판의 부분적인 파손이나 훼손시에 파손부위만 리벳을 교체하여 수리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비를 줄이며, 용접시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발생을 줄여 환경 및 안전에 유익한 도로 표지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로 표지판은,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측부에 수평 방향으로 장착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전면에 도로정보를 표시하는 표지판과; 상기 표지판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표지판 및 상기 고정프레임을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와; 일단이 상기 결합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반대방향으로 외경이 점점 커지게 형성되며, 상기 표지판에 삽입된 타단이 상기 표지판의 전면과 수평을 이루는 돌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표지판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결합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표지판의 전면 방향으로 내경이 점점 커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 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은 최대 내경이 상기 돌출부의 최대 외경과 같거나 크고, 깊이가 상기 돌출부의 높이와 같거나 크다.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연결봉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밴드;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봉은, 상기 지주의 측부에 수평하게 장착된 제1연결봉과; 상기 제1연결봉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지주의 측부에 수평하게 장착된 제2연결봉;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밴드는, 상기 제1연결봉과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제1결합밴드와; 상기 제2연결봉과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제2결합밴드와; 상기 제2결합밴드와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제2결합밴드와 멀어지게 이격시키는 각도조절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밴드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봉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제1밴드와; 일단이 상기 제1연결봉의 외주면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게 형성되어 상기 제1밴드에 볼트로 나사결합되고, 타단이 볼트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는 제2밴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결합밴드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봉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제3밴드와; 일단이 상기 제2연결봉의 외주면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게 형성되어 상기 제3밴드에 볼트로 나사결합되고, 타단이 볼트에 의해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고정 장착되는 제4밴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단이 상기 제2연결봉에 결합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제1연결봉에 결합 고정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수평 방향으로 장착된 제2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표지판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표지판에 고정 장착된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와 이격되게 상기 결합밴드 방향으로 배치되어 볼트에 의해 상기 제2밴드 및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고정 장착된 제2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 및 상기 제2장착부를 연결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장착부는 상기 표지판 방향의 일면이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표지판 방향의 일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로 표지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표지판을 상기 연결봉에 용접하지 않고 리벳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조립함으로써, 상기 표지판의 전면의 평탄도를 향상시켜 상기 표지판의 전면에 반사지를 부착할 때 강압기 또는 진공압착기를 사용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절약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며, 볼트와 같이 회전시키지 않고 삽입 및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어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표지판의 부분적인 파손이나 훼손시에 파손부위만 상기 체결부재를 교체하여 수리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비를 줄이며, 용접시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발생을 줄여 환경 및 안전에 유익하다.
상기 삽입홈은 최대 내경이 상기 돌출부의 최대 외경과 같거나 크고, 깊이가 상기 돌출부의 높이와 같거나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상기 표지판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표지판의 전면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4밴드의 타단에 상기 볼트로 고정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제2장착부에 상기 볼트로 고정 장착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상기 각도조절부재를 상기 제2장착부와 상기 제4밴드 사이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어 상기 표지판의 기울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결합밴드와 상기 제2결합밴드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어 부품의 호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장착부에는 상기 표지판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2장착부에는 상기 제2밴드 및 상기 각도조절부재가 고정 장착됨으로써, 상기 표지판을 고정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제2밴드 및 상기 각도조절부재를 고정하는 상기 볼트가 서로 겹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장착부는 상기 표지판 방향의 일면이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표지판 방향의 일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 장착되는 상기 표지판이 일정한 평탄도를 유지하도록 지지하여 상기 표지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도로 표지판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판의 일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판의 일방향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판의 타방향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판의 일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판의 일방향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판의 타방향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판은 지주(100), 연결봉(200), 고정프레임(300), 표지판(400), 체결부재(500) 및 결합밴드(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10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로변의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연결봉(20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100)의 측부에 수평 방향으로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봉(200)은 제1연결봉(210)과 제2연결봉(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봉(21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100)의 측부에 상기 지주(10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장착된다.
상기 제2연결봉(22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봉(21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봉(220)은 상기 지주(100)의 측부에 상기 지주(10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2연결봉(220)은 상기 제1연결봉(21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300)은 바둑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봉(210)의 전면과 상기 제2연결봉(220)의 전면에 고정 장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프레임(300)은 제1프레임(310)과 제2프레임(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프레임(310)은 사각형 형상으로 상하 길게 형성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봉(20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310)의 상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500)에 의해 상기 제2연결봉(220)의 후면에 결합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체결부재(500)에 의해 상기 제1연결봉(210)의 후면에 결합 고정된다.
좀더 자세하게 상기 제1프레임(3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착부(311), 제2장착부(312) 및 지지부(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장착부(311)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표지판(400)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재(500)에 의해 상기 표지판(400)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2장착부(312)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장착부(311)와 이격되게 상기 결합밴드(600) 방향으로 배치되고, 볼트(T)에 의해 상기 결합밴드(600)에 고정 장착된다.
즉 상기 제2장착부(3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밴드(610)의 제2밴드(612) 및 각도조절부재(630)에 상기 볼트(T)로 고정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장착부(312)는 상기 제1장착부(311)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313)는 상기 제1장착부(311)에서 상기 제2장착부(31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장착부(312)와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313)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이루어져 좌우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장착부(311) 및 상기 제2장착부(312)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장착부(311) 및 상기 제2장착부(312)를 서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장착부(311)에는 상기 표지판(400)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2장착부(312)에는 상기 제2밴드(612) 및 상기 각도조절부재(630)가 고정 장착됨으로써, 상기 표지판(400)을 고정하는 체결부재(500)와 상기 제2밴드(612) 및 상기 각도조절부재(630)를 고정하는 상기 볼트(T)가 서로 겹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장착부(311)는 상기 표지판(400) 방향의 일면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320)의 상기 표지판(400) 방향의 일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프레임(320)은 사각형의 막대 형상으로 상기 제1프레임(31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단이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프레임(310)에 수평 방향으로 장착된다.
즉 상기 제2프레임(320)은 상기 연결봉(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20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프레임(310)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320)은 상기 제1프레임(310)의 상단에 장착된 상단프레임(321)과, 상기 제1프레임(310)의 측부 중심부에 각각 장착된 중심프레임(322) 및 상기 제1프레임(310)의 하단에 장착된 하단프레임(32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2프레임(320)의 두께는 상기 제1프레임(310)의 두께와 동일하며, 일면 즉 전면이 상기 제1프레임(310)의 일면, 전면과 일치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장착부(311)는 상기 표지판(400) 방향의 일면이 상기 제2프레임(320)의 상기 표지판(400) 방향의 일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310) 및 상기 제2프레임(320)에 장착되는 상기 표지판(400)이 일정한 평탄도를 유지하도록 지지하여 상기 표지판(4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상기 표지판(400)은 상기 고정프레임(300)에 장착되어 전면에 도로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지판(400)은 사각형 형상인 2개의 금속판을 상하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프레임(300)의 전면에 상기 채결부재에 의해 고정 결합 된다.
또한 상기 표지판(400)의 전면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도로 정보가 도시되며, 그 위에 반사지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표지판(400)에는 관통공(410)과 삽입홈(42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410)은 원형 형상이며,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체결부재(500)의 결합부(510)가 관통 삽입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410)의 내경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510)의 외경과 거의 같다.
이러한 상기 관통공(410)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프레임(300)과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420)은 상기 관통공(410)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표지판(400)의 전면 방향으로 내경이 점점 커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체결부재(500)의 돌출부(520)가 삽입 배치된다.
즉 상기 삽입홈(420)은 내경이 상기 표지판(400)의 전면 방향으로 점점 커지게 경사지게 형성된 접시머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4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대 내경이 상기 체결부재(500)의 돌출부(520)의 최대 외경과 같고, 깊이가 상기 돌출부(520)의 높이와 같다.
물론 상기 삽입홈(420)은 내경이 상기 체결부재(500)의 돌출부(520)의 최대 외경보다 크고 깊이가 상기 돌출부(52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재(500)는 중공의 원통형 형상인 리벳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지판(400) 및 상기 고정프레임(300)을 관통하여 상기 표지판(400)을 상기 고정프레임(300)에 결합시킨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재(50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510) 및 돌출부(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510)는 중공의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510)는 일단이 상기 표지판(400) 및 상기 고정프레임(300)을 관통하여 고정 결합 된다.
즉 상기 결합부(510)는 일단이 상기 표지판(400)의 관통공(410) 및 상기 고정프레임(300)의 제1장착부(311)를 관통하여 상기 제1장착부(311)의 후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510)는 초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름이 상기 관통공(410)의 지름과 같은 원통형 형상이었다가, 일단이 상기 제1장착부(311)를 관통하여 상기 제1장착부(311)의 후면에 배치된 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구에 의해 일단의 외경이 상기 관통공(410)의 내경보다 커지게 압착되어 결합 고정된다.
상기 돌출부(520)는 중공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결합부(510)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510)의 반대 방향으로 점점 커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부(520)는 외주면이 상기 표지판(400)의 전면 방향으로 점점 커지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520)는 상기 표지판(400)에 삽입된 타단이 상기 표지판(400)의 전면과 수평을 이룬다.
즉 상기 돌출부(520)의 타단은 상기 표지판(400)의 삽입홈(420)에 삽입 배치된 끝단이 상기 표지판(400)의 전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520)는 최대 외경이 상기 삽입홈(420)의 최대 외경과 거의 같고, 높이가 상기 삽입홈(420)의 최대 깊이와 거의 같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홈(420)은 최대 내경이 상기 돌출부(520)의 최대 외경과 같거나 크고, 깊이가 상기 돌출부(520)의 높이와 같거나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출부(520)가 상기 표지판(400)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표지판(400)의 전면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결합밴드(600)는 상기 제1연결봉(210) 및 상기 제2연결봉(220)을 감싸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300)과 상기 연결봉(200)을 상호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밴드(6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밴드(610), 제2결합밴드(620) 및 각도조절부재(6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밴드(610)는 상기 제1연결봉(210)과 상기 고정프레임(300)을 상호 연결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밴드(610)는 제1밴드(611) 및 제2밴드(6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밴드(611)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봉(210)의 외주면의 일부분, 즉 상기 제1연결봉(210)의 후방을 감싸게 장착된다.
상기 제2밴드(612)는 일단이 상기 제1연결봉(210)의 외주면의 나머지부분, 즉 상기 제1연결봉(210)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1밴드(611)에 상기 볼트(T)로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2밴드(612)의 일단은 상기 제1밴드(611)와 상기 제1연결봉(21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밴드(612)의 타단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300)의 제2장착부(312)의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볼트(T)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300)의 제2장착부(312)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2결합밴드(620)는 상기 제1결합밴드(6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연결봉(220)과 상기 고정프레임(300)을 상호 연결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2결합밴드(600)는 제3밴드(621) 및 제4밴드(6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밴드(621)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봉(210)의 외주면의 일부분, 즉 상기 제2연결봉(220)의 후방을 감싸게 장착된다.
상기 제4밴드(622)는 일단이 상기 제2연결봉(220)의 외주면의 나머지부분, 즉 상기 제2연결봉(220)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1밴드(611)에 상기 볼트(T)로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2밴드(612)의 일단은 상기 제1밴드(611)와 상기 제2연결봉(22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밴드(612)의 타단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부재(630)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볼트(T)에 의해 상기 각도조절부재(630)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63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밴드(620)와 상기 고정프레임(30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300)을 상기 제2결합밴드(620)와 멀어지게 이격시킨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각도조절부재(6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631), 제2연결부(632) 및 제3연결부(6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부(631)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프레임(300)의 제2장착부(312)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제2장착부(312)에 상기 볼트(T)로 결합 고정된다.
상기 제2연결부(632)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밴드(622)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제4밴드(622)에 상기 볼트(T)로 결합 고정된다.
상기 제3연결부(633)는 상기 제1연결부(631)에서 상기 제2연결부(632)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632)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재(630)는 일단이 상기 제4밴드(622)의 타단에 상기 볼트(T)로 고정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300)의 제2장착부(312)에 상기 볼트(T)로 고정 장착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상기 각도조절부재(630)를 상기 제2장착부(312)와 상기 제4밴드(622) 사이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어 상기 표지판(400)의 기울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결합밴드(610)와 상기 제2결합밴드(620)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어 부품의 호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도로 표지판(400) 조립 과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로 상기 표지판(400)에 상기 관통공(410)을 뚫고, 상기 관통공(410)의 내주면에 상기 삽입홈(420)을 형성한다.
이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500)를 상기 관통공(410)에 삽입하여 상기 결합부(510)의 일단이 상기 제1장착부(311)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체결부재(500)에는 일단이 상기 체결부재(50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510)의 일단에 돌출되게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결합부(510)의 내부에 삽입된 고정핀이 구비된다.
이 후 에어 건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핀의 타단을 상기 체결부재(500)의 타단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고정핀의 일단이 상기 결합부(510)의 일단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부(510)의 일단이 팽창하여 상기 제1장착부(311)에 고정 결합된다.
이와 같이 위 과정을 통해 상기 표지판(400)을 상기 연결봉(200)에 용접하지 않고 리벳 등의 체결부재(500)를 이용하여 조립함으로써, 상기 표지판(400)의 전면의 평탄도를 향상시켜 상기 표지판(400)의 전면에 반사지를 부착할 때 강압기 또는 진공압착기를 사용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절약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며, 볼트(T)와 같이 회전시키지 않고 삽입 및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어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표지판(400)의 부분적인 파손이나 훼손시에 파손부위만 상기 체결부재(500)를 교체하여 수리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비를 줄이며, 용접시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발생을 줄여 환경 및 안전에 유익하다.
본 발명인 도로 표지판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지주, 200 : 연결봉, 300 : 고정프레임, 310 : 제1프레임, 311 : 제1장착부, 312 : 제2장착부, 313 : 지지부, 320 : 제2프레임, 321 : 상단프레임, 322 : 중심프레임, 323 : 하단프레임, 400 : 표지판, 410 : 관통공, 420 : 삽입홈, 500 : 체결부재, 510 : 결합부, 520 : 돌출부, 600 : 결합밴드, 610 : 제1결합밴드, 611 : 제1밴드. 612 : 제2밴드, 620 : 제2결합밴드, 621 : 제3밴드, 622 : 제4밴드, 630 : 각도조절부재, 631 : 제1연결부, 632 : 제2연결부, 633 : 제3연결부,

Claims (3)

  1.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측부에 수평 방향으로 장착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전면에 도로정보를 표시하는 표지판과;
    상기 표지판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표지판 및 상기 고정프레임을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와;
    일단이 상기 결합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반대방향으로 외경이 점점 커지게 형성되며, 상기 표지판에 삽입된 타단이 상기 표지판의 전면과 수평을 이루는 돌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표지판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결합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표지판의 전면 방향으로 내경이 점점 커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 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은 최대 내경이 상기 돌출부의 최대 외경과 같거나 크고, 깊이가 상기 돌출부의 높이와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연결봉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밴드;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봉은,
    상기 지주의 측부에 수평하게 장착된 제1연결봉과;
    상기 제1연결봉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지주의 측부에 수평하게 장착된 제2연결봉;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밴드는,
    상기 제1연결봉과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제1결합밴드와;
    상기 제2연결봉과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제2결합밴드와;
    상기 제2결합밴드와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제2결합밴드와 멀어지게 이격시키는 각도조절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밴드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봉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제1밴드와;
    일단이 상기 제1연결봉의 외주면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게 형성되어 상기 제1밴드에 볼트로 나사결합되고, 타단이 볼트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는 제2밴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결합밴드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봉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제3밴드와;
    일단이 상기 제2연결봉의 외주면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게 형성되어 상기 제3밴드에 볼트로 나사결합되고, 타단이 볼트에 의해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고정 장착되는 제4밴드; 를 포함하여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단이 상기 제2연결봉에 결합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제1연결봉에 결합 고정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수평 방향으로 장착된 제2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표지판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표지판에 고정 장착된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와 이격되게 상기 결합밴드 방향으로 배치되어 볼트에 의해 상기 제2밴드 및 상기 각도조절부재에 고정 장착된 제2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 및 상기 제2장착부를 연결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장착부는 상기 표지판 방향의 일면이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표지판 방향의 일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
KR1020100077939A 2010-08-12 2010-08-12 도로 표지판 KR101037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939A KR101037061B1 (ko) 2010-08-12 2010-08-12 도로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939A KR101037061B1 (ko) 2010-08-12 2010-08-12 도로 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7061B1 true KR101037061B1 (ko) 2011-05-26

Family

ID=4436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939A KR101037061B1 (ko) 2010-08-12 2010-08-12 도로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0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088B1 (ko) 2013-01-08 2013-06-19 이정철 현수식 도로안내표지판
KR101502616B1 (ko) * 2014-03-18 2015-03-17 투인산업 주식회사 발광표지판
KR101805554B1 (ko) * 2017-04-21 2018-01-10 주식회사 태백 도로표지판 체결구조
KR101909674B1 (ko) 2017-12-11 2018-10-18 윤종희 무용접 조립식 도로 안내 표지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82817B1 (ko) * 2019-07-22 2020-02-28 주식회사 엔케이피 현수식 도로표지판
KR102114037B1 (ko) * 2019-09-19 2020-06-17 박노준 도로표지판 설치용 현수식 지주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948B1 (ko) 2004-03-22 2006-06-08 우신건업 주식회사 도로 안내 표지판의 조립구조
KR100811208B1 (ko) 2004-06-18 2008-03-11 우신건업 주식회사 도로 안내 표지판의 찬넬조립구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948B1 (ko) 2004-03-22 2006-06-08 우신건업 주식회사 도로 안내 표지판의 조립구조
KR100811208B1 (ko) 2004-06-18 2008-03-11 우신건업 주식회사 도로 안내 표지판의 찬넬조립구조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088B1 (ko) 2013-01-08 2013-06-19 이정철 현수식 도로안내표지판
KR101502616B1 (ko) * 2014-03-18 2015-03-17 투인산업 주식회사 발광표지판
KR101805554B1 (ko) * 2017-04-21 2018-01-10 주식회사 태백 도로표지판 체결구조
KR101909674B1 (ko) 2017-12-11 2018-10-18 윤종희 무용접 조립식 도로 안내 표지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82817B1 (ko) * 2019-07-22 2020-02-28 주식회사 엔케이피 현수식 도로표지판
KR102114037B1 (ko) * 2019-09-19 2020-06-17 박노준 도로표지판 설치용 현수식 지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061B1 (ko) 도로 표지판
JP568024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構造、太陽電池装置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方法
US20090230266A1 (en) Universally Mountable Bollard Bracket
KR101805554B1 (ko) 도로표지판 체결구조
WO2014010026A1 (ja) 太陽電池パネル用架台
KR101050527B1 (ko) 도로표지판의 조립구조
KR101909674B1 (ko) 무용접 조립식 도로 안내 표지판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390571Y1 (ko) 안전 펜스
CN205428400U (zh) 一种弧形led屏
CN211498578U (zh) 一种y型交通标志结构
KR101714376B1 (ko) 보강패널을 갖는 경량형 표지판
JP4675090B2 (ja) 胴縁一体型フェンス用パネルおよび胴縁一体型フェンス
KR101389689B1 (ko) 도로표지판의 지지부재
JP3706273B2 (ja) 支柱と被着体との組立構造
CN214167180U (zh) 一种设有限位装置的免预埋抱箍式塔吊附墙节点结构
CN212336522U (zh) 一种装饰板、装饰板配合件以及组合式立柱
CN215164906U (zh) 一种高速公路景观门架
KR200293168Y1 (ko) 도로표지판
CN213095140U (zh) 一种大棚中种植床的连接结构
CN215407788U (zh) 一种通信工程施工用警示设备
CN213709110U (zh) 一种锤头结构及共振破碎机
CN218644045U (zh) 在钢板桩安装护栏的结构
CN218540492U (zh) 一种智能交通路标
CN220057756U (zh) 公路用波形梁护栏连接件
JP2004068471A (ja) 道路標識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