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025B1 -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가발 및 그 가발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가발 및 그 가발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025B1
KR101032025B1 KR1020090096970A KR20090096970A KR101032025B1 KR 101032025 B1 KR101032025 B1 KR 101032025B1 KR 1020090096970 A KR1020090096970 A KR 1020090096970A KR 20090096970 A KR20090096970 A KR 20090096970A KR 101032025 B1 KR101032025 B1 KR 101032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g
wearer
head
velcro tape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917A (ko
Inventor
장만우
Original Assignee
장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04636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3202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장만우 filed Critical 장만우
Priority to KR1020090096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025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자의 자모를 활용해 두부에 장착될 수 있는 가발에 관한 것으로, 의모가 부착된 가발 캡에 장착자의 자모와 걸림 체결될 수 있는 벨크로 테이프를 제공해 장착자의 두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가발이 제공된다.
가발, 가발 캡, 가발 장착 방법, 의모, 자모, 벨크로 테이프

Description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가발 및 그 가발 장착 방법 {WIG HAVING BELCRO TAPE AND BON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모와 체결되는 벨크로 테이프를 부착수단으로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장착자의 두부에 장착될 수 있는 가발 및 그 가발의 장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발은 머리 숱이 부족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스타일, 패션을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장착자의 두부에 가발이 장착될 수 있는 기술은 여러 형태로 개발되어 왔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가발 장착에 관련된 기술에 있어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가발 캡의 테두리에 부착된 양면 테이프의 접착력을 이용해 가발을 두피에 부착하고, 이를 통해 장착자의 두부에 가발이 장착하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장착자의 두피가 직접적으로 접착제와 닿게 되므로 장착자의 피부가 이로 인해 손상되거나 각종 피부 질환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발 캡에 복수개의 구멍 또는 망눈을 형성하고, 그 구멍 또는 망눈으로부터 자모를 인출하여 가발 캡에 부착된 의모와 혼합하는 형식의 가발 기술(자모 인출형 가발 기술)도 존재한다.
이러한 자모 인출형 가발 기술은 두부에 장착을 위한 접착제 사용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피부 질환 등의 문제점은 극복하였으나, 장착자가 가발 위치 세팅 이후 자모를 인출하고 의모와 자연스럽게 섞일 수 있는 브러싱 작업 등을 추가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장착자가 선호하는 머리 모양으로 형성된 가발을 장착한 상태에서 두부에 문지르는 것만으로 손쉽게 장착자의 두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가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자의 장기간 사용에도 피부 손상 또는 질환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두부에 견고하게 부착시킴과 동시에 손쉽게 착탈이 가능한 가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가발에 있어서, 의모가 부착되어 있는 가발 캡 및 상기 가발 캡의 내측에 부착 형성되며, 상기 장착자의 복수개의 자모와 걸림 체결되는 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하는 가발의 제공을 통해 달성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발 캡은, 상기 의모가 부착되는 의모 장착부 및 상기 의모 장착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상기 가장자리부를 따라 부착 형성되는 가발의 제공을 통해서도 달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재봉을 통해 상기 가발 캡에 하나 이상 부착 형성되는 가발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상기 가발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돌기가 상기 복수개의 자모와 걸림 체결되는 형태의 가발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장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가발에 있어서, 의모가 부착되어 있는 가발 캡 및 상기 가발 캡의 내측에 부착 형성되는 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두부에 탑재된 상기 가발을 상기 두부와 문지르는 경우 상기 장착자의 자모와 상기 벨크로 테이프가 걸림 체결되어 상기 가발이 상기 장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가발의 제공을 통해 본 발명의 목적 달성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 상기 가발 캡은, 상기 의모가 부착되는 의모 장착부 및 상기 의모 장착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상기 가장자리부를 따라 부착 형성되는 가발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상기 가발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돌기가 상기 자모와 걸림 체결되어 상기 가발이 상기 장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가발도 고려 가능하다.
또한 가발을 두부의 정확한 위치에 올려놓게 되는 가발 탑재 단계 및 두부에 탑재된 상기 가발을 두부와 문지르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문지르는 단계의 제공 시, 가발 내측에 부착 형성된 벨크로 테이프가 가발 장착자의 복수개의 자모와 걸림 체결되어 가발이 두부에 장착되는 것인 가발 장착 방법의 제공을 통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장착자는, 자모와 걸림 체결될 수 있는 벨크로 테이프를 부착수단으로 사용해, 선호하는 형태로 가공된 가발 모양의 변형 없이 손쉽게 두부에 가발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착제가 사용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에도 피부 손상 또는 피부 질환 발생의 염려가 없으며, 벨크로 테이프가 자모와 직접 체결되는 것을 통해 장착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가발이 임의로 착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 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발(100) 및 가발(100)이 포함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도 5 를 참조하여 가발(100)이 장착자의 자모(10)와 체결되는 단계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발(100)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으로, 도 1 은 사시도이며, 도 2 는 저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발(100)은 가발(100) 장착자가 선호하는 머리 형태로 미리 성형되어 제공된다. 따라서 장착자가 두부에 가발(100)을 장착하는 것만으로 바로 가발(100)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추가적인 브러싱 등의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장착자는 신속하게 가발(100)을 장착해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가발(100)의 모양 형성 등을 위해 추가적인 손질이나 시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두부에 가발(100)을 탑재하여 손쉽고 빠르게 장착할 수 있게 되는 바, 장착자가 선호하는 머리 형태를 보다 오래 유지하면서 가발(10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발(100)은 가발 캡(110) 및 벨크로 테이프(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발 캡(110)은 가발(100) 장착자의 두부가 수용될 수 있는 환형으로 형성된 가발(100)의 몸체부를 지칭한다. 가발 캡(110)은 드라이어 등의 열에 영향을 쉽게 받지 않는 폴리아미드계 합성 섬유,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강성과 탄성을 동시에 구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벨크로 테이프(150)는, 가발 캡(110)의 내측에 부착 형성되는, 체 결 부재(보다 자세하게는 도 3 참조)를 지칭한다. 벨크로 테이프(150)는 갈고리 모양을 가지는 복수개의 돌기(151)가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보다 자세하게는 도 3 참조), 찍찍이로 호칭되기도 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발 캡(110)은 의모(111), 미세 공동(112), 의모 장착부(113) 및 가장자리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의모(111)는 가발 캡(11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인공 모발을 지칭하는 것으로, 인모(人毛) 또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의모(111)는 가발(100) 장착자의 자모(10)와 시각적으로 구별되지 않으며, 가발(100) 장착자의 모량이 전체적으로 풍부하게 보일 수 있도록 제공되는 인공 모발이다. 이를 위해 의모(111)는 직경 0.05 내지 0.2mm 정도의 인공 모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발 캡(110)에 결착, 봉착 등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반면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자모(10)는 가발(100) 장착자 자신이 본래 가지고 있는 모발을 지칭한다.
또한 가발 캡(110)은 장착자의 두부로 공기 순환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복수개의 미세 공동(112)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 공동(112)은 가발 캡(110)에 형성된 작은 공동을 지칭한다.
도 2 의 부분 확대도(점선으로 표시된 원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공동(112)은 두부에 장착된 가발(100)의 내부로 원활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미세 공동(112)을 통해 가발(100) 장착자 체내의 열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으며, 외부의 공기가 장착자의 두부로 원활히 공급될 수 있다.
의모 장착부(113)는 결착 등의 방법으로 의모(111)가 외측에 부착되며, 내측은 장착자의 두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발 캡(110)의 베이스부를 지칭한다. 의모 장착부(113)는 내측에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가장자리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자리부(115)는 의모 장착부(113) 내측에서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이하 후술할 벨크로 테이프(150)가 재봉 등의 방법으로 부착 형성될 수 있는 부분을 지칭한다. 이를 위해 가장자리부(115)는 의모 장착부(113)과 다른 소재, 즉 고무 등 의모 장착부(115)보다 신축성이 좋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벨크로 테이프(150)가 반복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도 제공될 수 있다. 다만, 가장자리부(115)는 반드시 의모 장착부(113)와 구분되어 가발 캡(110)에 추가적으로 포함된 부재일 필요는 없으며, 가발 캡(110)을 형성하는 의모 장착부(113) 내측 부분 중 벨크로 테이프(150)가 부착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가장자리부(115)는 벨크로 테이프(150)가 부착되기 위해 필수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벨크로 테이프(150)가 의모 장착부(113)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발(100)은 벨크로 테이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벨크로 테이프(150)는 가발 캡(110)의 내측에 부착 형성되는 체결 부재로, 가발(100) 내측으로 돌출되어 자모(10)와 걸림 체결될 수 있는 복수개의 돌기(151)를 일면에 포함한다.
벨크로 테이프(150)는 가발 캡(110) 내측에 형성된 가장자리부(115)에 부착 형성될 수 있다. 벨크로 테이프(150)는 가발 캡(110) 내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환형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나, 장착자의 자모(10)와 대응하여 걸림 체결될 수 있는 일부의 위치에만 부착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 테이프(15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가발 캡(110)에 하나 이상 부착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 가능하다. 또한 벨크로 테이프(150)는 원형, 다각형, 타원형이나 장착자의 두상을 따라 장착자의 자모와 맞춤형 체결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어 가발 캡(11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벨크로 테이프(150)는, 가발 캡(110)의 내측에 부착 형성되기 위해, 자모(10)와 걸림 체결되는 일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타면에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가 사용되어 가발 캡(110)에 부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벨크로 테이프(150)는 자모(10)와 걸림 체결되는 까칠한 부분(복수개의 돌기(151)가 돌출 형성되어 손으로 접촉 시 까칠까칠한 느낌을 받게 되는 부분을 지칭함)을 가지는 일면과 달리 타면에는 특별한 돌기(151) 등의 형성 없이 재봉이나 바느질을 통해 가발 캡(110)에 부착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벨크로 테이프(150)는 일면과 타면 모두 까칠한 부분을 가지도록 형성(즉, 일면과 타면 모두에 복수개의 돌기(151)가 형성)되고 이와 결합 대응될 수 있는 가발 캡(110)의 내측 부분에는 돌기(151)와 걸림 체결될 수 있는 복수개의 돌기 수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할 경우 가발 캡(110)에 벨크로 테이프(150)를 보다 쉽고 용이하게 착탈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벨크로 테이프(150)는 타면이 고무 밴드 등 신축성이 강한 소재로 형성되어 장착자의 두상에 따라 보다 신축적으로 대응될 수 있는 길이로 늘려 자모(10) 와 걸림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벨크로 테이프(150)는 자모(10)와 걸림 체결될 수 있도록 가발 캡(110)의 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노출된 복수개의 돌기(151)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을 참조하여 벨크로 테이프(150)의 일면, 즉 가발(10)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151)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은 벨크로 테이프(150)의 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151)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51)는 가발(100) 내측 방향으로 노출된 일단부가 안쪽으로 굽어진 고리를 지칭하는 것으로, 가발(100) 장착자가 가발(100)을 착용할 두부 위치에 탑재한 후, 가발(100)을 두부와 문지르는 경우 장착자의 자모(10)와 걸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도 3 에서는 복수개의 돌기(151)가 질서 정연하게 위치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것은 일 실시예이며, 벨크로 테이프(150)의 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151)가 무질서하게 형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a 및 도 4b 를 참조하여 장착자의 자모(10)와 돌기(151)가 걸림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 는 벨크로 테이프(150)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151)와 자모(10)가 걸림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으로, 도 4a 는 걸림 체결 전 상태를, 도 4b 는 자모(10)가 돌기(151)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 및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돌기(151)가 가발(100)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 두부에 탑재된 가발(100)을 장착자가 좌우로 문지르는 경우(보다 자세하게는 도 5 참조) 돌기(151)의 안쪽으로 굽어진 일단부로 복수개의 자모(10)가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즉,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자모(10)는 가발(100)을 두부에 문지르는 행위를 통해 복수개의 돌기(151)에 걸리게 된다. 다만,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며, 보다 다양한 체결 상태, 즉 복수개의 자모(10)가 복수개의 돌기(151)와 보다 무질서하게 체결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돌기(151)와 자모(10)간의 체결을 통해 벨크로 테이프(150)가 장착자의 자모(10)와 걸림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해 가발(100)은 장착자의 두부에 탑재되어 장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발(100)은 자모(10)와 돌기(151)가 걸림 체결되어 장착 상태가 유지되는 바, 가발(100) 장착자는 다른 추가적인 동작 없이 돌기(151)를 통해 자모(10)와 걸림 체결되어 있는 벨크로 테이프(150) 또는 가발(100)을 외측으로 당기는 동작만으로도 손쉽게 가발(100)의 장착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 를 참조해 본 발명에 따른 가발(100)과 장착자의 자모(10)가 착탈 가능하도록 걸림 체결되는 방식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는 장착자의 두부에 탑재된 가발(100)이 두부에 장착되도록, 가발(100)을 두부에 문지르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가발(100) 내부 모습에 대해서는 이미 전술한 바 가발(100) 구조 자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가발(100)을 두부에 탑재하고, 장착하여 사용하며, 장착된 가발(100)을 장착 해제하는 것에 대한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가발(100) 장착을 원하는 경우 우선 두부의 정확한 위치에 가발(100)을 탑재, 즉 올려놓게 된다(가발 탑재 단계). 이후 두부에 탑재된 가발(100)을 두부에 장착(두부에 가발(100)을 고정하여 가발(10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발(100)을 두부와 문지르는 단계가 필요하다(문지르는 단계). 문지르는 단계의 제공 시, 가발(100) 내측 방향으로 노출된 일단부가 안쪽으로 굽어진 돌기(151)는 장착자의 자모(10)와 걸림 체결되게 된다. 즉, 도 4 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두부에 탑재된 가발(100)을 문지르게 되는 경우, 가발(100) 내측 방향으로 노출된 복수개의 돌기(151)의 굽어진 일단부에 복수개의 자모(10)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돌기(151)에 걸린 복수개의 자모(10)와 체결된 가발(100)은 장착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임의적으로 두부에서 쉽게 탈락되어 분리되지 않게 된다. 반면, 가발(100)의 장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장착자는 자모(10)와 걸림 체결된 벨크로 테이프(150) 부분을 외측으로 가볍게 당기는 것으로 벨크로 테이프(150)와 자모(10)의 걸림 체결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벨크로 테이프(150)를 부착 수단으로 구비한 본 발명은 가발(100) 장착자가 가발(100)을 두부에 탑재한 후, 가발(100)을 가볍게 좌우로 두부와 문지르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임의 탈락, 분리가 되지 않도록 자모(10)에 가발(100)을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 시, 가발(100) 장착자는 벨크로 테이프(150)가 부착 형성된 가발(100) 부분을 외측으로 가볍게 당기는 것만으로도 자모(10)로부터 가발(100)을 분리해 가발(100) 장착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가발(100) 장착자는 미리 형성된 가발(100)의 머리 형태가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두부에 가발(100)을 탑재하여 손쉽고 빠르게 장착할 수 있게 되는 바, 장착자가 선호하는 머리 형태를 보다 오래 유지하면서 가발(10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발(100) 사용자는 가발(100)의 잦은 장착과 장착 해제 및 자모(10)와의 체결 및 체결 해제 과정을 통해 손상될 수 있는 가발(100)의 외형에 대한 수선, 유지, 보수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벨크로 테이프(150)는 손쉽게 교체 가능한 바, 장기간의 사용 등으로 인해 가발(100)이 자모(10)와 걸림 체결되는 상태가 나빠지게 될 경우 벨크로 테이프(150)만의 교체를 통해 가발(100)의 장기간 사용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자모 인출형 가발이 가발(100) 장착자가 두부에 가발(100)을 탑재하고 위치 셋팅을 한 이후에도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한 반면, 본 발명에 의할 경우에는 두부에 가발(100)을 탑재한 후 가발(100)을 가볍게 두부에 문지르는 것(문지르는 단계)만으로 가발(100) 장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다시 말해 자모 인출형 가발은 위치 셋팅 이후에도 가발(100)에 형성된 관통구 등을 통해 자모(10)를 인출하고, 인출된 자모(10)를 의모(111)와 자연스럽게 섞이도록 브러싱 작업 등을 추가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반면,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문지르는 단계 이후에는 별도의 후속 과정이 필요 없도록 함으로써 가발(100) 장착에 따른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벨크로 테이프(150)는 장기간 사용에도 녹이 슬지 않으며, 무게도 가볍기 때문에, 장착자가 가발(100)을 장기간 사용하거나 오랜 시간을 장착하고 있는 경우에도 고장 등의 염려가 적고, 장착자가 가발(100)의 무게감을 느끼게 되는 등 의 불편함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발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으로, 도 1 은 가발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가발의 저면도이다.
도 3 은 벨크로 테이프의 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 는 벨크로 테이프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와 자모가 걸림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으로, 도 4a 는 걸림 체결 전 상태를, 도 4b 는 자모가 돌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장착자의 두부에 탑재된 가발이 두부에 장착되도록 두부에 문지르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Claims (8)

  1. 장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가발에 있어서,
    의모가 부착되며, 내측에 복수개의 돌기 수용부가 구비된 가발 캡 및
    상기 가발 캡의 내측에 부착 형성되되,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 수용부 및 상기 장착자의 복수개의 자모와 걸림 체결되도록 일면과 타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한 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하는 가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발 캡은,
    상기 의모가 부착되는 의모 장착부 및
    상기 의모 장착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상기 가장자리부를 따라 부착 형성되는 것인 가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재봉을 통해 상기 가발 캡에 하나 이상 부착 형성되는 것인 가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96970A 2009-10-12 2009-10-12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가발 및 그 가발 장착 방법 KR101032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970A KR101032025B1 (ko) 2009-10-12 2009-10-12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가발 및 그 가발 장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970A KR101032025B1 (ko) 2009-10-12 2009-10-12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가발 및 그 가발 장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917A KR20110039917A (ko) 2011-04-20
KR101032025B1 true KR101032025B1 (ko) 2011-05-02

Family

ID=4404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970A KR101032025B1 (ko) 2009-10-12 2009-10-12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가발 및 그 가발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263B1 (ko) * 2015-04-07 2015-10-02 김찬월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111A (ja) 1996-09-19 1998-04-14 Tokyo Gihatsu Seikei:Kk かつら
KR20050043835A (ko) * 2005-04-14 2005-05-11 장용석 가발
KR100633239B1 (ko) 2006-07-14 2006-10-11 장용석 탈부착과 통풍이 원활한 가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111A (ja) 1996-09-19 1998-04-14 Tokyo Gihatsu Seikei:Kk かつら
KR20050043835A (ko) * 2005-04-14 2005-05-11 장용석 가발
KR100633239B1 (ko) 2006-07-14 2006-10-11 장용석 탈부착과 통풍이 원활한 가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917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738B1 (ko) 끈 조절고리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US7526813B2 (en) Goggles
CA2666123C (en) Head model for hairdressing and beauty training
KR20090084856A (ko)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US20100132094A1 (en) Removable liner system for headgear
KR101032025B1 (ko)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가발 및 그 가발 장착 방법
KR101396543B1 (ko)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가발
CA2984605A1 (en) Wig base and wig
KR200472872Y1 (ko) 마스크가 부착된 차양모자
JP2002282040A (ja) 付け爪
KR100542328B1 (ko) 벨크로 부착가발
JP2009258627A (ja) 吊具
TW201720337A (zh) 假髮底網
KR101215583B1 (ko) 가발
JP3112416U (ja) 顔面遮光布付き帽子及び顔面遮光布
JP5080821B2 (ja) かつらベース及びかつら
KR200476556Y1 (ko) 탈, 부착이 용이한 벨크로 테이프형 가발
JP5483745B2 (ja) スイミングゴーグル
JP4548648B2 (ja) 毛髪付き帽子
KR20180002797U (ko) 애완동물용 보호칼라
JP6890915B1 (ja) 猫用装着具
KR200202362Y1 (ko)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
JPH0726332Y2 (ja) 止着部材を付設したかつら
JP2006333855A (ja) リードを引きずらないお散歩胴輪カバー
KR101176837B1 (ko) 내피가 없는 가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1116

Effective date: 201307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31011

Effective date: 2013103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819

Effective date: 20140116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3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supreme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