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362Y1 -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 - Google Patents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362Y1
KR200202362Y1 KR2020000012910U KR20000012910U KR200202362Y1 KR 200202362 Y1 KR200202362 Y1 KR 200202362Y1 KR 2020000012910 U KR2020000012910 U KR 2020000012910U KR 20000012910 U KR20000012910 U KR 20000012910U KR 200202362 Y1 KR200202362 Y1 KR 200202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g
magnet
fixture
head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미숙
Original Assignee
권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미숙 filed Critical 권미숙
Priority to KR2020000012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3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에 관한 것으로, 가발몸체(10)의 내면에 다수의 고정구(12)가 형성되고, 이들 고정구(12)에 대응되게 머리의 두피에 마그네트(14)를 부착케 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직접 가발을 편리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 { A wig having attach means }
본 고안은 머리에 착용하는 부분가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발내부에 자석을 내장시켜 머리에 가발을 간편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는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에 관한 것이다.
헤어스타일은 사람의 외모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가발을 통하여 탈모된 머리부분을 감추거나 머리의 특정부위에 덧씌워서 외모의 변화를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 가발은 머리전체에 착용하는 전체가발과 머리의 일부분을 덮거나 장식하는 부분가발로 구분되어 있다. 여기서, 전체가발은 고정구 없이도 착용할 수 있으나, 부분가발은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히 부착하도록 별도의 고정구를 필요로 한다.
기존에는, 부분가발을 머리에 착용할 경우, 핀이나 클립 등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가발을 머리카락에 고정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거울을 보고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고정구가 가발과 머리카락 사이에서 미끄러지므로 조금만 지나면 형태가 흩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와 같이 고정구를 이용하여 가발을 착용할 때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체에 무해한 밴드나 본딩재를 통하여 가발을 직접 머리의 두피에 부착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가발을 머리에 직접 부착하는 방법은, 착용된 가발을 처음 상태로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밴드나 본딩재를 이용하여 가발을 두피에 한번 부착하면 떼어내기 어려우므로 가발을 착용한 상태로 머리를 감게되므로 불편하였다. 즉 가발을 머리에 착용한 상태로는 머리를 개운하게 감을 수 없을 뿐아니라 이물질이 가발에 끼이게 되어 이를 손질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착용한 가발을 떼어낼 때 손상됨으로써 가발을 수선하지 않고는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기존의 가발이 지닌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가발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처음 착용한 형태가 변화되지 않으며, 가발을 편리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는 한편, 벗을 때 가발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서 장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가발몸체와, 상기 가발몸체에 다수개 부착된 스틸재질의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들에 대응되도록 두피에 부착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있다.
상기 마그네트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구에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들은 마그네트에 부착되는 별도의 마그네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고정구와 마그네트는 가능한한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에 의하면, 가발몸체에 형성된 고정구와 두피에 부착된 마그네트가 서로 끼워져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가발을 씌울 경우 고정구와 마그네트가 서로 마주보도록 가발몸체를 머리에 가까이 접근시키면 저절로 부착된다. 반면 가발을 벗길 때 고정구가 부착된 가발몸체의 부위를 하나씩 잡고 당기면 가발을 쉽게 벗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발의 부착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발몸체 12 : 고정구
12a : 요홈 14 : 마그네트
14a : 돌출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발의 부착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발몸체(10)에 다수개의 고정구(12)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구(12)는 스틸재질로 되어 가발몸체(10)의 내부에 본딩재를 통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가발몸체(10)를 머리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구(12)를 고정하는 마그네트(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14)는 상기 고정구(12)에 대응하도록 두피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12)와 마그네트(14)는 가발몸체(10)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사용되는 개수를 달리 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14)를 두피에 부착할 때 피부에 전혀 무해한 본딩재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구(12)는 중앙에 요홈(1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그네트(14)는 상기 고정구(12)의 요홈(12a)에 끼워지는 돌출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구(12)는 요홈(12a)이 아니라 관통구멍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고정구(12)에 형성되는 요홈(12a)이나 관통구멍은 마그네트(14)의 돌출부(14a)에 쉽게 겹합되고 분리되어야 하며, 요홈(12a)은 돌출부(14a)가 결합된 상태에서 최초한의 유동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고정구(12)와 마그네트(14)는 가능한한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구(12)의 요홈(12a)과 마그네트(14)의 돌출부(14a)를 두는 이유는, 고정구(12)와 마그네트(14)가 부착된 상태에서 외부에 힘이 가해져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고정구(12)를 별도로 마그네트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그네트가 서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별도의 결합부를 두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 구성에 의하면, 가발몸체(10)에 고정구(12)를 부착하고, 이 고정구(12)에 대응하게 머리의 두피에 마그네트(14)를 부착하여, 가발을 착용할 때 고정구(12)와 마그네트(14)가 마주보도록 가발몸체(10)를 머리에 가까이 접근시키면 저절로 씌워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부착수단을 구비한 가발에 의하면, 부착수단으로써 고정구와 자석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직접 가발을 벗고 재착용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가발은 기존과 달리, 가발을 벗을 때 가발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여 가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가발몸체(10);
    상기 가발몸체(10)에 다수개 부착된 스틸재질의 고정구(12); 및
    상기 고정구(12)들에 대응하도록 두피에 부착하는 마그네트(14); 를 포함한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14)에는 돌출부(14a)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14a)가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구(12)에 요홈(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2)들은 마그네트(14)에 부착되는 별도의 마그네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
KR2020000012910U 2000-05-06 2000-05-06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 KR200202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910U KR200202362Y1 (ko) 2000-05-06 2000-05-06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910U KR200202362Y1 (ko) 2000-05-06 2000-05-06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362Y1 true KR200202362Y1 (ko) 2000-11-15

Family

ID=19655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910U KR200202362Y1 (ko) 2000-05-06 2000-05-06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36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511A (ko) * 2001-08-30 2003-03-06 장충국 가발부착방법 및 그 부착구조
KR200460726Y1 (ko) 2010-08-24 2012-06-04 (주)뷰티웍스 볼륨와이어를 갖는 부분가발용 베이스망
KR200485143Y1 (ko) * 2017-03-24 2017-12-01 유경원 자석 부착형 가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511A (ko) * 2001-08-30 2003-03-06 장충국 가발부착방법 및 그 부착구조
KR200460726Y1 (ko) 2010-08-24 2012-06-04 (주)뷰티웍스 볼륨와이어를 갖는 부분가발용 베이스망
KR200485143Y1 (ko) * 2017-03-24 2017-12-01 유경원 자석 부착형 가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2890A (ko) 의모고정구 및 그 사용방법
KR200202362Y1 (ko) 부착수단이 구비된 가발
KR100889632B1 (ko) 탈부착 고리를 갖는 헤어밴드형 부분가발
KR200437655Y1 (ko) 붙임머리
KR0152992B1 (ko) 고정 장착식의 개폐형 가발
KR200260815Y1 (ko) 벨크로(Velcro)부착 가발
KR100509409B1 (ko) 가발의 착탈장치
KR200153897Y1 (ko) 가발용 캡
KR100332370B1 (ko) 가발부착장치 및 가발부착방법
KR20080006463U (ko) 머리핀을 이용한 부분가발
KR200345991Y1 (ko) 퍼머용 머리띠
KR200183572Y1 (ko) 목욕용 헤어밴드
KR200193812Y1 (ko) 앞머리 가발
USD474576S1 (en) Ponytail visor
KR100520977B1 (ko) 부분 탈부착이 용이한 가발 및 부분 모발체
KR200240202Y1 (ko) 머리치장용 머리카락
KR200260663Y1 (ko) 탈부착이 용이한 부분가발
KR200317042Y1 (ko) 바람모자
KR200202760Y1 (ko)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
KR200257528Y1 (ko) 머리핀이 부가된 모자
JP2007125115A (ja) カチューシャ及び毛髪ユニット付カチューシャ
KR100229525B1 (ko) 착탈가능한 스트립이 구비된 가발용 캡
JP3083084U (ja) ネックレス型帽子留め
KR200233953Y1 (ko) 탄성력이 보강된 머리띠
JPH0833512A (ja) 爪指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