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263B1 -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 - Google Patents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263B1
KR101557263B1 KR1020150048965A KR20150048965A KR101557263B1 KR 101557263 B1 KR101557263 B1 KR 101557263B1 KR 1020150048965 A KR1020150048965 A KR 1020150048965A KR 20150048965 A KR20150048965 A KR 20150048965A KR 101557263 B1 KR101557263 B1 KR 101557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base sheet
cap
bind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월
Original Assignee
김찬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월 filed Critical 김찬월
Priority to KR1020150048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66Planting hair on bases for w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피의 탈모된 부위로의 탈착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두피로의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REMOVABLE HAIRPIECE HAVING AIR STRATUM}
본 발명은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피의 탈모된 부위로의 탈착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두피로의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의 일부가 탈모된 사람들은 그 탈모된 부위를 가리기 위하여 각종 가발을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가발은 그 형태와 착용방법 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착용방법은 망사형으로 이루어지는 가발의 프레임과 자모를 체결핀이나, 체결클립 등으로 결속하는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2328호에는 벨크로 부착가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가발은 결속부위가 두껍고 들뜸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가발 착용의 부자연스러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542328호(2006.01.1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피의 탈모된 부위로의 탈착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두피로의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모발이 식모되며, 두피에 안착되는 캡; 상기 캡을 두피의 탈모된 부위의 자모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탈착 가낭한 가발로서, 상기 캡은, 상기 모발이 식모되는 망체; 상기 망체의 하부면 전방부에 구비되어 그 망체의 전방부를 두피에 고정하는 안착패드; 상기 망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그 망체와의 사이로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모발이 식모되면서 가르마가 형성되는 보조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망체 및 상기 보조망체는, 각각 다수의 중공을 가지되, 상기 보조망체에 형성되는 중공은, 상기 망체에 형성되는 중공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속부는, 상기 캡의 양측을 자모에 결속하는 한 쌍의 제1결속수단; 및 상기 캡의 후방부를 자모에 결속하는 한 쌍의 제2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2결속수단은, 각각 클립 또는 벨크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크로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캡에 연결되는 베이스시트; 및 상기 베이스시트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돌기는, 각각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시트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바;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바의 하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한 쌍의 지지바는, 상기 베이스시트의 양측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사이 폭이 넓어지면서 '∧'와 같은 형태를 이루고, 상기 베이스시트의 양단부 방향을 중심으로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면서 일단부 또는 타단부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피의 탈모된 부위로의 탈착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두피로의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숨쉬는 공기층을 갖는 가발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숨쉬는 공기층을 갖는 가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숨쉬는 공기층을 갖는 가발에서 캡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숨쉬는 공기층을 갖는 가발에서 벨크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숨쉬는 공기층을 갖는 가발(이하 "가발"이라 한다)(1)은 다수의 모발(100)이 식모되며, 두피(미도시)에 안착되는 캡(10), 상기 캡(10)을 두피의 탈모된 부위의 자모(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20)를 포함하되, 상기 캡(10)은 모발(100)이 식모되는 망체(11), 상기 망체(11)의 하부면 전방부에 구비되어 그 망체(11)의 전방부를 두피에 고정하는 안착패드(12), 상기 망체(11)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그 망체(11)와의 사이로 공기층(14)을 형성하며, 상기 모발(100)이 식모되면서 가르마(110)가 형성되는 보조망체(13)를 포함한다.
상기 망체(11)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나, 모서리가 라운딩된 형태의 육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망체(13)가 구비되는 부분을 제외한 전면에 걸쳐 상기 모발(100)이 식모된다.
상기 보조망체(13)는 양단부가 상기 망체(11)의 전면부로부터 후방부로 연장 형성되는 형태를 이루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발(100)이 식모되면서 상기 가르마(110)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망체(13)는 둘레가 재봉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망체(11)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보조망체(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 둘레에 접착제 등에 의해 연결되는 접착밴드(15)가 구비되며, 그 접착밴드(15)가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망체(11)에 접착되면서 그 망체(11)에 고정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접착밴드(15)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체(11) 및 상기 보조망체(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발(100)이 식모될 수 있도록 다수의 중공(11a,13a)을 가지며, 상기 보조망체(13)는 상기 망체(11)에 형성되는 중공(11a)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중공(13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가르마(110)를 통해 상기 망체(1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대방이 가발을 착용하고 있음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공기층(14)에 공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그 가르마(110)를 통한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착패드(12)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며,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망체(11)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안착패드(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망체(11)의 전방 둘레를 따라 배치되면서 그 망체(11)의 전방부를 보강하는 한편, 상기 가발(1)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두피를 이루는 이마에 안착된다.
상기 캡(10)은 상기 안착패드(12)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망체(11)의 하부면 후방부 둘레를 보강하는 마감띠(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띠(16)는 상기 망체(11)와 같이 다수의 구멍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봉 등에 의해 상기 망체(11)에 연결된다.
상기 캡(10)은 전방부가 상기 안착패드(12)에 의해 두피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결속부(20)는 그 캡(10)의 양측 및 후방부를 자모에 안정적으로 결속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속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10)의 양측 하부면에 구비되어 그 캡(10)의 양측을 자모에 결속하는 한 쌍의 제1결속수단(21) 및 상기 캡(10)의 하부면 후방부에 구비되어 그 캡(10)의 후방부를 자모에 결속하는 한 쌍의 제2결속수단(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2결속수단(21,22)은 각각 클립(23) 또는 벨크로(24)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립(2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모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되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결속수단(21)은 상기 클립(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결속수단(22)은 벨크로(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벨크로(24)는 상기 캡(10)에 연결되는 베이스시트(25) 및 상기 베이스시트(25)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26)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시트(25)는 양단부를 갖는 직사각 형태를 이루며, 직물로 이루어져 재봉 등에 의해 상기 캡(1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돌기(26)는 상기 베이스시트(25)의 양단부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돌기(26) 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면서 그 베이스시트(25)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반복 배치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다수의 돌기(26)는 각각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시트(25)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바(27)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바(27)의 하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바(28)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바(2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시트(25)의 양측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사이 폭이 넓어지면서 '∧'와 같은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지지바(2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시트(25)의 양단부 방향을 중심으로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면서 상,하단부가 동일선상 위치되는 수직상태로부터 상기 베이스시트(25)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다수의 돌기(26)는 상기 베이스시트(25)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방향으로 경사를 이룬다.
즉, 상기 제2결속수단(22)이 상기 벨크로(24)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다수의 돌기(26)는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전방에 위치되면서 후방으로 경사를 이룬다.
이는, 자모와의 결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결속된 상태로부터 쉽게 결속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가발(1)은 두피의 탈모된 부위로의 탈착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가발 10 : 캡
11 : 망체 12 : 안착패드
13 : 보조망체 14 : 공기층
15 : 접착밴드 16 : 마김띠
20 : 결속부 21 : 제1결속수단
22 : 제2결속수단 23 : 클립
24 : 벨크로 25 : 베이스시트
26 : 돌기 27 : 지지바
28 : 걸림바 100 : 모발
110 : 가르마 200 : 자모

Claims (5)

  1. 다수의 모발이 식모되며, 두피에 안착되는 캡; 및
    상기 캡을 두피의 탈모된 부위의 자모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탈착 가능한 가발로서,
    상기 캡은,
    상기 모발이 식모되는 망체;
    상기 망체의 하부면 전방부에 구비되어 그 망체의 전방부를 두피에 고정하는 안착패드;
    양단부가 상기 망체의 전면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망체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그 망체와의 사이로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모발이 식모되면서 가르마가 형성되는 보조망체;
    상기 보조망체의 하부면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망체에 연결되는 접착밴드; 및
    상기 안착패드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망체의 하부면 후방부 둘레를 보강하는 마감띠를 포함하되,
    상기 망체는,
    상기 보조망체가 구비되는 부분을 제외한 전면에 걸쳐 모발이 식모되며,
    상기 망체 및 상기 보조망체는,
    각각 다수의 중공을 가지되,
    상기 보조망체에 형성되는 중공은,
    상기 망체에 형성되는 중공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면서 그 망체가 외부로 노출되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가르마를 통한 상기 공기층으로의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캡의 양측을 자모에 결속하는 한 쌍의 제1결속수단; 및
    상기 캡의 후방부를 자모에 결속하는 한 쌍의 제2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결속수단은,
    각각 클립 또는 벨크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크로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캡에 연결되는 베이스시트; 및
    상기 베이스시트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돌기는,
    각각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시트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바;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바의 하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바는,
    상기 베이스시트의 양측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사이 폭이 넓어지면서 '∧'와 같은 형태를 이루고,
    상기 베이스시트의 양단부 방향을 중심으로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면서 일단부 또는 타단부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
KR1020150048965A 2015-04-07 2015-04-07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 KR101557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965A KR101557263B1 (ko) 2015-04-07 2015-04-07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965A KR101557263B1 (ko) 2015-04-07 2015-04-07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263B1 true KR101557263B1 (ko) 2015-10-02

Family

ID=5434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965A KR101557263B1 (ko) 2015-04-07 2015-04-07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2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616B1 (ko) * 2016-04-18 2016-08-10 김찬월 항암환자 및 탈모자용 두상맞춤형 가발
KR20190083183A (ko) * 2018-01-03 2019-07-11 양재일 가발의 모발 쓰러짐 방지장치
KR102332678B1 (ko) * 2021-06-16 2021-12-01 주정숙 견고하고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는 부분가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437A (ko) * 2000-05-02 2001-11-14 김찬월 가모전용 부분가발
KR200365099Y1 (ko) * 2004-07-30 2004-10-15 이윤화 가발
KR20110039917A (ko) * 2009-10-12 2011-04-20 장만우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가발 및 그 가발 장착 방법
KR101396543B1 (ko) * 2013-07-16 2014-05-20 장지혁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가발
KR20140132096A (ko) * 2013-05-07 2014-11-17 (주)하이모 이중 삽입 구조의 모발이 적용된 가발 및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437A (ko) * 2000-05-02 2001-11-14 김찬월 가모전용 부분가발
KR200365099Y1 (ko) * 2004-07-30 2004-10-15 이윤화 가발
KR20110039917A (ko) * 2009-10-12 2011-04-20 장만우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가발 및 그 가발 장착 방법
KR20140132096A (ko) * 2013-05-07 2014-11-17 (주)하이모 이중 삽입 구조의 모발이 적용된 가발 및 제작방법
KR101396543B1 (ko) * 2013-07-16 2014-05-20 장지혁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가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616B1 (ko) * 2016-04-18 2016-08-10 김찬월 항암환자 및 탈모자용 두상맞춤형 가발
KR20190083183A (ko) * 2018-01-03 2019-07-11 양재일 가발의 모발 쓰러짐 방지장치
KR102010583B1 (ko) * 2018-01-03 2019-08-13 양재일 가발의 모발 쓰러짐 방지장치
KR102332678B1 (ko) * 2021-06-16 2021-12-01 주정숙 견고하고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는 부분가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0385A1 (en) Wig Base
AU2005203331B2 (en) Seamless self adhesive hair extension system
US20070157941A1 (en) Detachable hair bang
KR101557263B1 (ko) 숨쉬는 공기층을 구비한 탈착 가능한 가발
US5337763A (en) Multi-use hair piece
US20130098380A1 (en) Hairpiece for creating a hair part
US20100326455A1 (en) Detachable wig arrangement and method
US20160113342A1 (en) Half head wig
KR20100088250A (ko) 전후좌우 신축가능한 가발
US20070131236A1 (en) Hairpiece
US7537014B1 (en) Open self-part for wigs
JP5715781B2 (ja) かつら及び補助装飾具
US20110209719A1 (en) Hairpiece
JP6231146B2 (ja) かつら
KR101378989B1 (ko) 방사형으로 결합된 체결부재를 이용한 앞머리용 패션가발 제조 방법
JP2008101320A (ja) 自毛活用型かつら
KR102064943B1 (ko) 탈부착이 용이한 가발 보조부재
JP2005325508A (ja) 自毛活用型かつら
KR101128096B1 (ko) 독립구조의 식모라인을 갖는 반 가발
KR101252565B1 (ko) 단위레이스부 및 쿨-존을 형성하여 통기성 구조를 개선시킨 가발
KR200476556Y1 (ko) 탈, 부착이 용이한 벨크로 테이프형 가발
KR20120019922A (ko) 남성용 가발
US1589614A (en) Cap
KR101433328B1 (ko) 두상 성형 효과를 도모하도록 제공되는 가발 어셈블리 및 그 이용방법
ES2526642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fijación amovible de un postizo de cabello flexible en el pelo restante de una perso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