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837B1 - 내피가 없는 가발 - Google Patents

내피가 없는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837B1
KR101176837B1 KR1020080108388A KR20080108388A KR101176837B1 KR 101176837 B1 KR101176837 B1 KR 101176837B1 KR 1020080108388 A KR1020080108388 A KR 1020080108388A KR 20080108388 A KR20080108388 A KR 20080108388A KR 101176837 B1 KR101176837 B1 KR 101176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elastic band
hair
wig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9285A (ko
Inventor
위병환
Original Assignee
위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병환 filed Critical 위병환
Priority to KR1020080108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83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9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75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41G3/0016Fastening thereof by adjusting or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피없이 가발의 제조가 가능하고, 접착제나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도 가발의 착용이 이루어지며, 머리를 긁을 때 손가락이 직접 두피가 닿을 수 있고, 가발의 머리카락과 자신의 머리카락이 믹싱될 수 있도록 한 내피가 없는 가발에 관한 것이다.
이의 구성은, 머리카락(100)을 골조사(1)의 매듭(2)으로 한 올씩 골조사(1)에 다수 고정하여 심고, 머리카락(100)이 심어진 다수의 골조사(1)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골조사(1)의 각 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골조사(1)에 탄성밴드(3)를 연결하여 탄성밴드(3)에 의해 서로 연결된 골조사(1)를 착용자의 머리에 착탈가능하게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골조사, 매듭, 머리카락, 고리, 탄성밴드, 고리몸체, 구형돌부

Description

내피가 없는 가발{Wig without inside skin}
본 발명은 가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피없이 가발의 제조가 가능하고, 접착제나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도 가발의 착용이 이루어지며, 머리를 긁을 때 손가락이 직접 두피가 닿을 수 있고, 가발의 머리카락과 자신의 머리카락이 믹싱될 수 있도록 한 내피가 없는 가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발은, 두피를 덮는 내피가 있고 내피에 머리카락을 심어 가발의 제조가 이루어지며, 내피의 안쪽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가발을 두피에 붙이거나 부분적으로 클립을 부착시켜 인접한 자신의 머리카락을 클립으로 물어 고정함으로써 가발의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가발은, 내피가 두피를 덮고 있기 때문에 통풍 및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땀으로 인한 냄새는 물론 가려움증과 두피의 살갗이 헐어서 문드러지는 짓무름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가발 부착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로 인하여 두피의 손상을 가져오고, 클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클립이 가발을 착용하고 있는 동안 지속적으로 자신의 머리카락을 당겨 압박함으로써 2차 탈모의 유발은 물 론 통증에 의한 착용의 불쾌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가려움증 또는 머리를 감기 위해 손으로 머리를 긁게 되면, 내피가 두피를 가리고 있어 손가락이 두피에 직접 접촉되지 않게 됨으로써 시원하게 머리를 감거나 긁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내피의 손상을 가져와 가발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내피없이 가발의 제조가 가능하고, 접착제나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도 가발의 착용이 이루어지며, 머리를 긁을 때 손가락이 직접 두피가 닿을 수 있고, 가발의 머리카락과 자신의 머리카락이 믹싱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머리카락을 골조사의 매듭으로 한 올씩 골조사에 다수 고정하여 심고, 머리카락이 심어진 다수의 골조사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골조사의 각 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골조사에 탄성밴드를 연결하여 탄성밴드에 의해 서로 연결된 골조사를 착용자의 머리에 착탈가능하게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탄성밴드는 골조사와 탄성밴드의 사이에 연결되는 보조탄성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탄성밴드와 탄성밴드는 일체로 실리콘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탄성밴드 및 보조탄성밴드는 연결고리에 의해 골조사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조사는 가로방향의 골조사와 세로방향의 골조사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듭은 골조사의 일측을 고정하고, 꼬아서 그 끝단에 고리가 형성되게 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골조사의 타측인 자유단을 잡고 상기 고리의 내부로 집어 넣는 제2 단계와; 상기 고리로 집어 넣어진 골조사를 타측으로 빼내어 코를 형성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골조사의 코에 머리카락을 집어넣는 제4 단계와; 상기 골조사의 자유단부를 잡아당겨 상기 코의 머리카락을 견고하게 묶을 수 있게 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는 1번 내지 3번 골조사를 꼬아 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코에 집어 넣어진 머리카락을 1번 내지 3번 감은 후 코에 묶일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연결고리는 양단부에 구형돌부를 갖는 "S"자형의 고리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밴드 및 보조탄성밴드는 고리몸체의 구형돌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환형의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탄성밴드 및 보조탄성밴드와 동일한 재질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복수개로 함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피없이 골조사에 직접 머리카락을 심어 가발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통풍 및 건조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탄성밴드를 이용하여 접착제나 클립의 사용없이 가발의 착용이 이루어져 기존에 내피로 인한 각종 피부질환과 접착제 및 클립으로 인한 두피의 손상 및 2차 탈모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를 긁을 때 손가락이 직접 두피가 닿게 되므로 샤워시 보다 시원하게 머리를 감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발의 머리카락과 자신의 머리카락이 믹싱됨으로써 보다 자연스럽게 머리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발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머리카락(100)이 심어진 골조사(1)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골조사(1)의 각 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거나 도면과 같이 가로 및 세로방향 모두에 걸쳐 간격을 두고 골조사(1)의 각 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즉, 가로방향의 골조사(11)와 세로방향의 골조사(12)를 모두 포함하는 가발을 제조하게 되는데, 이때 머리카락(100)은 가로방향의 골조사(11)와 세로방향의 골조사(12)가 서로 만나 겹치는 부분에 식모되지 않고 각각의 골조사, 즉 가로방향 의 골조사(11) 및 세로방향의 골조사(12)에 직접 한 올씩 다수 식모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한 골조사 간의 상호 간섭없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을 넓혀 손가락을 자유롭게 넣고 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골조사(1) 간의 연결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골조사(1) 중에 최전방 또는 최후방에 배치되는 골조사(1)의 길이를 길게 하여 다수의 골조사(1)가 배치된 방향으로 양단부를 보내어 서로 묶거나 열융착함으로써 이루어지고, 머리카락(100)은 골조사(1)의 매듭(2)에 의해 골조사(1)에 한 올씩 다수 고정되어 심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사(1)의 일측을 고정하고 꼬아서 그 끝단에 고리(21)가 형성되게 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골조사(1)의 타측인 자유단(22)을 잡고 상기 고리(21)의 내부로 집어 넣는 제2 단계와, 상기 고리(21)로 집어 넣어진 골조사(1)를 타측으로 빼내어 코(23)를 형성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골조사(1)의 코(23)에 머리카락(100)을 집어넣는 제4 단계와, 상기 골조사(1)의 자유단부()를 잡아당겨 상기 코고리(21)가 머리카락(100)을 견고하게 묶을 수 있게 하는 제5 단계를 거쳐 머리카락(100)을 골조사(1)의 매듭(2)으로 골조사(1)에 한 올씩 묶어서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단계는, 심어질 머리카락(100)의 지름과 유사하거나 더 작은 지름을 갖는 길이가 긴 골조사(1)를 준비한 후, 이 준비된 골조사(1)의 일측은 고정시키고 타측은 자유단(22)으로 하여 적당한 부위를 꼬아주게 된다. 이렇게 하면 골조사(1)의 상부로 고리(21)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 단계는, 제1 단계에 의해서 고리(21)가 형성된 상태에서, 코바늘로 자유단(22)을 잡고 상기 고리(21)의 내부로 넣어 주게 되는데, 이때 자유단(22)을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21)의 상부에서 하부로 집어 넣거나 아니면 고리(21)의 하부에서 상부로 빼주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3 단계는, 고리(21)로 자유단(22)을 집어 넣게 되면 골조사(1)의 자유단(22)도 겹쳐져 상기 고리(21)의 외부로 빠져나온 골조사(1) 역시 고리 형태의 코(23)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4 단계는, 제3 단계에 의해 형성된 코(23)에 머리카락(100)을 집어 넣어게 되는데, 이때 상기 머리카락(100)은 한 번 접어 하나의 머리카락(100)이 가발에서는 2가닥의 머리카락(100)이 되게 하거나 코(23)에 집어 넣어진 머리카락(100)을 1바퀴 돌려 꼬을 수도 있다.
상기 제5 단계는, 코(23)에 끼워진 머리카락(100)을 골조사(1)에 묶어 고정하는 단계로서, 자유단(22)을 잡고 당기게 되면 꼬여진 골조사(1)가 조여져 매듭(2)이 형성됨으로써 머리카락(100)을 골조사(1)에 묶어 고정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골조사(1)에 묶인 머리카락(100)은 골조사(1)의 매듭(2)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이므로 머리카락(100)을 머리카락(100)의 매듭으로 골조사(1)에 묶어 고정할 때 머리카락(100)이 골조사(1)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계에서, 골조사(1)를 1번 내지 3번 꼬아 고리(21)를 형성할 수 있고, 이렇게 여러번 골조사(1)를 꼬아 고리(21)를 형성하게 되면 보다 견고하게 머리카락(100)을 골조사(1)에 묶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 단계에서, 코(23)에 집어 넣어진 머리카락(100)을 1번 내지 3번 감아 코(23)에 묶이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횟수의 증가는 보다 확실하게 머리카락(100)을 골조사(1)에 묶어 고정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머리카락(100)은 인모 또는 인조 머리카락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다수의 골조사(1)를 착용자의 머리에 착탈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골조사(1)에 탄성밴드(3)의 양단이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탄성밴드(3)와 골조사(1)의 사이에 보조탄성밴드(4)가 연결되고, 상기 탄성밴드(3)와 보조탄성밴드(4)는 모두 실리콘 재질로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밴드(3) 및 보조탄성밴드(4)는 도 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고리(6)에 의해 골조사(1)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고리(6)는 은과 같이 인체에 무해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S"자형의 고리몸체(61)로 형성되고, 고리몸체(61)의 양단부측에는 고리몸체(61)에 끼워진 골조사(1) 또는 탄성밴드(3) 및 보조탄성밴드(4)의 단부측에 형성된 환형의 고정구(5)가 고리몸체(61)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고정하는 구형돌부(6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환형의 고정구(5)는 탄성밴드(3) 및 보조탄성밴드(4)를 성형할 때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며, 길이 조절을 위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사(1)에 연결된 탄성밴드(3)를 늘려서 머리에 씌우는 것만으로도 가발의 착용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같이 착용하게 되면 탄성밴드(3)가 골조사(1)를 머리의 둘레에 밀착시키게 되고, 보조탄성밴드(4)는 골조사(1)를 탄성밴드(3)에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골조사(1) 및, 골조사(1)에 한 올씩 심어진 다수의 머리카락(100)을 머리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발을 머리에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왔던 접착제나 클립이 불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기존에 접착제나 클립을 사용함에 따른 두피 손상 및 2차 탈모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발에 손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머리카락이 한 올씩 심어진 골조사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 및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과 같이 가발의 밑에서 위로 손을 넣으면 손가락이 가발을 뚫고 나오게 된다.
즉, 샤워할 때 머리를 감거나 가려움증으로 머리를 긁을 때 손가락이 직접 두피에 닿기 때문에 자연모 상태에서 머리를 감거나 긁는 것과 같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발의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골조사에 머리카락을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발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발에 손을 삽입하여 손가락이 가발을 관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골조사
11:가로방향의 골조사 12:세로방향의 골조사
2:매듭
21:고리 22:자유단
23:코 24:코고리
3:탄성밴드 4:보조탄성밴드
5:고정구
6:연결고리
61:고리몸체 62:구형돌부

Claims (9)

  1. 머리카락(100)을 골조사(1)의 매듭(2)으로 한 올씩 골조사(1)에 다수 고정하여 심고, 머리카락(100)이 심어진 다수의 골조사(1)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골조사(1)의 각 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골조사(1)에 탄성밴드(3)를 연결하여 탄성밴드(3)에 의해 서로 연결된 골조사(1)를 착용자의 머리에 착탈가능하게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탄성밴드(3)는 골조사(1)와 탄성밴드(3)의 사이에 연결되는 보조탄성밴드(4)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탄성밴드(4)와 탄성밴드(3)는 일체로 실리콘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탄성밴드(3) 및 보조탄성밴드(4)는 연결고리(6)에 의해 골조사(1)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가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사(1)는 가로방향의 골조사(11)와 세로방향의 골조사(12)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듭(2)은 골조사(1)의 일측을 고정하고, 꼬아서 그 끝단에 고리(21)가 형성되게 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골조사(1)의 타측인 자유단(22)을 잡고 상기 고리(21)의 내부로 집어 넣는 제2 단계와;
    상기 고리(21)로 집어 넣어진 골조사(1)를 타측으로 빼내어 코(23)를 형성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골조사(1)의 코(23)에 머리카락(100)을 집어넣는 제4 단계와;
    상기 골조사(1)의 자유단(22)을 잡아당겨 상기 코(23)의 머리카락(100)을 견고하게 묶을 수 있게 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가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1번 내지 3번 골조사(1)를 꼬아 고리(2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코(23)에 집어 넣어진 머리카락(100)을 1번 내지 3번 감은 후 코(23)에 묶일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6)는 양단부에 구형돌부(62)를 갖는 "S"자형의 고리몸체(61)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밴드(3) 및 보조탄성밴드(4)는 고리몸체(61)의 구형돌부(6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환형의 고정구(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5)는 탄성밴드(3) 및 보조탄성밴드(4)와 동일한 재질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복수개로 함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발.
KR1020080108388A 2008-11-03 2008-11-03 내피가 없는 가발 KR101176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388A KR101176837B1 (ko) 2008-11-03 2008-11-03 내피가 없는 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388A KR101176837B1 (ko) 2008-11-03 2008-11-03 내피가 없는 가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285A KR20100049285A (ko) 2010-05-12
KR101176837B1 true KR101176837B1 (ko) 2012-08-24

Family

ID=4227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388A KR101176837B1 (ko) 2008-11-03 2008-11-03 내피가 없는 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915A (ko) 2020-06-04 2021-12-13 손원호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208Y1 (ko) 2005-03-22 2005-06-20 윤재천 가발용 망
JP2006183214A (ja) 2004-12-28 2006-07-13 Aderans Co Ltd かつ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21715Y1 (ko) 2006-04-25 2006-07-18 위병환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3214A (ja) 2004-12-28 2006-07-13 Aderans Co Ltd かつ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87208Y1 (ko) 2005-03-22 2005-06-20 윤재천 가발용 망
KR200421715Y1 (ko) 2006-04-25 2006-07-18 위병환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285A (ko) 201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8024B1 (en) Jeanie hair band extension system
KR100598708B1 (ko) 착용자의 자모 활용형 가발 및 그 제조방법
KR200487901Y1 (ko) 개선된 붙임 머리
US20210007559A1 (en) Multipurpose wearable hair care towel and methods for wearing and using the same
US20140230836A1 (en) Cap for brushing hair into a wrap style
JP2009534554A (ja) 骨組糸を利用したかつら
KR101176837B1 (ko) 내피가 없는 가발
KR101625048B1 (ko) 앞머리용 부분 가발
KR101128095B1 (ko) 가벼운 구조에 통기성을 개선시킨 구성의 가발
JP3894440B2 (ja) カツラの取付方法
RU2720970C1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накладных волос в месте облысения
KR101445155B1 (ko) 붙임머리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붙임머리 시술방법
KR200485740Y1 (ko) 고정수단을 갖는 가발
KR101371238B1 (ko) 밴드형 가발
KR101625044B1 (ko) 슬림형 통가발
KR20130006667U (ko) 가림판부가 일체로 형성된 퍼머액 흐름방지용 헤어밴드
KR100272114B1 (ko) 가발(假髮)의결속방법
KR200391771Y1 (ko) 미용가운용 체결구
CN215020436U (zh) 一种改良式医用弹力绷带头套
CZ33297U1 (cs) Sestava k prodloužení a/nebo zahuštění vlasů vlasovým pásem
KR200487950Y1 (ko) 십자형 걸림부가 구비된 붙임머리
KR200373116Y1 (ko) 붙임머리용 링
RU129775U1 (ru) Накладка для волос
KR101226521B1 (ko) 가발 고정장치 및 방법
US20210153583A1 (en) Hair Extens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