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715Y1 -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 Google Patents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715Y1
KR200421715Y1 KR2020060011032U KR20060011032U KR200421715Y1 KR 200421715 Y1 KR200421715 Y1 KR 200421715Y1 KR 2020060011032 U KR2020060011032 U KR 2020060011032U KR 20060011032 U KR20060011032 U KR 20060011032U KR 200421715 Y1 KR200421715 Y1 KR 200421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g
bone
detachable
hea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병환
Original Assignee
위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병환 filed Critical 위병환
Priority to KR2020060011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7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715Y1/ko
Priority to JP2009507580A priority patent/JP2009534554A/ja
Priority to EP07746089A priority patent/EP2019599A1/en
Priority to US12/298,604 priority patent/US20090133710A1/en
Priority to PCT/KR2007/001927 priority patent/WO2007123330A1/en
Priority to CNA2007800148986A priority patent/CN101431909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골조사 착탈수단은, 탄력을 가지며 머리에 착탈되는 착탈밴드(31)(40)(70)와, 상기 착탈밴드(31)(40)(70)와 골조사(10)(90)에 연결되는 보조밴드(33)(80)로 이루어지고, 상기 착탈밴드(40)의 양단이 접혀서 고리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접힌 부분에 튜브(60)가 끼워진다.
따라서, 본 고안 가발을 쓰면 착탈밴드가 머리 둘레에 밀착되면서 착용되므로 머리에 개해지는 압박이 분산되어 불편함이 감소되고, 착탈밴드를 늘려서 머리에 씌우면 가발이 머리에 간단히 착용되므로 가발을 쓰거나 벗기가 매우 편리하며, 가발을 착용한 후 고리부에 인접한 머리카락을 끼운 후 그 고리부의 단부를 잡아 당기면 가발의 전방부가 머리에 밀착되므로 바람이나 심한 운동에도 가발이 들뜨지 않게 된다.
골조사, 제1골조사, 제2골조사, 매듭부, 머리카락, 착탈수단, 착탈밴드, 보조밴드, 고리부, 튜브

Description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Wig used hairnet}
도 1은 본 고안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을 보인 개략적 저면 사시도
도 2는 도2의 저면도
도 3은 착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확대도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90 : 골조사 11 : 제1골조사
12 : 제2골조사 13 : 매듭부
20 : 머리카락 30 : 착탈수단
31,40,70 : 착탈밴드 33,80 : 보조밴드
41 : 고리부 60 : 튜브
본 고안은 가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발에 의해 머리에 가해지는 압박을 분산시키고, 가발의 착탈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착용된 가발이 들뜨지 않는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에 관한 것이다.
가발은 머리에 착용되어 신체의 컴플랙스를 가리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며,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표현하는데 널리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가발은 망형태의 골조사에 머리카락을 묶어서 이루어진 것과, 머리모양의 커버에 머리카락을 심어서 이루어진 것이 있다.
그런데 커버로 이루어진 가발은, 커버가 머리에 씌워질 시 통풍이 되지 않아 커버와 머리 부분 사이의 면접부위에 땀이 차는 문제가 발생되고, 발생된 땀은 간지러움을 유발하며 피부병과 비듬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통풍효과가 탁월한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이 널리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은, 머리카락과 이 머리카락이 심겨지는 망형태의 골조사와 이 골조사를 머리에 지지시키기 위한 클립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은, 클립이 머리의 국부에 지지되므로 특정 부위에 압박이 집중되었고, 이에 따라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며, 가발을 쓰거나 벗을 때마다 클립을 체결하거나 풀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잡하였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발에 의해 머리에 가해지는 압박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발의 착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된 가발이 들뜨지 않도록 한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은, 다수의 머리카락들이 묶인 망 형태의 골조사와 상기 골조사를 머리에 고정시키는 착탈수단으로 이루어진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에 있어서, 착탈수단은, 탄력을 가지며 머리에 착탈되는 착탈밴드와, 상기 착탈밴드와 골조사에 연결되는 보조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의 다른 특징은, 상기 착탈밴드는, 그 양단이 상기 골조사의 두 부분에 고정된다.
본 고안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착탈밴드는,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착탈밴드의 양단이 접혀서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힌 부분에 튜브가 끼워진다.
본 고안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착탈밴드의 고리부의 직경을 조일 수 있도록, 상기 착탈밴드의 접힌 단부가 상기 튜브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고안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골조사는, 폐곡선 형태의 제1골조사와, 상기 제1골조사 내에 일방향으로만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고정되 고 다수의 매듭부가 형성된 제2골조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 가발을 쓰면 착탈밴드가 머리 둘레에 밀착되면서 착용되므로 머리에 개해지는 압박이 분산되어 불편함이 감소되고, 착탈밴드를 늘려서 머리에 씌우면 가발이 머리에 간단히 착용되므로 가발을 쓰거나 벗기가 매우 편리하며, 가발을 착용한 후 고리부에 인접한 머리카락을 끼운 후 그 고리부의 단부를 잡아 당기면 가발의 전방부가 머리에 밀착되므로 바람이나 심한 운동에도 가발이 들뜨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을 보인 개략적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2의 저면도이며, 도 3은 착용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써, 이는, 다수의 머리카락(20)들이 묶인 망 형태의 골조사(10)와, 이 골조사(10)를 머리에 고정시키는 착탈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골조사(10)는, 폐곡선 형태의 제1골조사(11)와, 제1골조사(11) 내에 일방향으로만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고정되고 다수의 매듭부(13)가 형성된 제2골조사(1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골조사(10)의 매듭부(13)에는 머리카락(20)이 묶이게 되며, 이에 따라 머리카락(20)이 제2골조사(12)를 따라 좌우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망형태의 골조사(10)는, 비교적 넓은 다수의 공기통로들을 가지므로 골조사(10)가 머리에 씌워질 시 머리에서 발생된 땀이 골조사(10) 사이의 공기통로들을 통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된다. 또한 이러한 골조사(10) 중 제2골조사(12)에 묶인 머리카락(20)은 좌우로 유동되지 않으므로 골조사가 격자모양을 갖도록 짤 필요가 없다.
착탈수단(30)은, 탄력을 가지며 머리에 착탈되는 착탈밴드(31)와, 이 착탈밴드(31)와 제1골조사(11)에 연결되는 보조밴드(33)로 이루어진다.
착탈밴드(31)는, 탄력을 가지며 따라서 머리에 씌우기 위해 당기면 늘어나고 머리에 씌워진 후에는 머리 둘레에 밀착된다. 이러한 착탈밴드(31)는 그 양단이 골조사(10) 중 제1골조사(11)에 각각 묶여서 고정된다.
보조밴드(33)는, 탄력을 가지며, 착탈밴드(31)의 두 부분과 이에 대응되는 제1골조사(11)의 두 부위에 묶이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은, 착탈밴드(31)를 늘려서 머리에 씌우면 가발이 간단히 착용된다. 이와 같이 착용되면 착탈밴드(31)가 머리 둘레에 밀착되며, 보조밴드(33)는 골조사(10)를 착탈밴드(31)에 탄력적으로 지지하여서 골조사(10) 및 이에 묶인 머리카락(20)들을 머리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을 쓰면, 착탈밴드(31)가 머리 둘레에 밀착되면서 착용되므로 머리에 개해지는 압박이 분산되어 불편함이 감소된다. 또한 착탈밴드(31)를 늘려서 머리에 씌우면 가발이 머리에 간단히 착용되므로 가발을 쓰거나 벗기가 매우 편리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확대도들로써, 이는, 가발의 전방부가 들뜨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착탈밴드(40)의 양단에 고리부(41)가 형성되고, 이 고리부(41)의 직경을 조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착탈밴드(40)의 양단이 접혀서 고리부(41)가 형성되고, 접힌 부분에 튜브(60)가 끼워지며, 착탈밴드(40)의 고리부(41)의 직경을 조일 수 있도록 착탈밴드(40)의 접힌 단부(42)가 튜브(6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가발을 머리에 착용한 후 고리부(41)에 인접한 머리의 머리카락(50)을 끼운 후, 그 고리부(41) 단부, 즉 착탈밴드(40)의 단부(42)를 잡아 당기면 머리의 머리카락(50)이 당겨지면서 착탈밴드(40)의 양단부가 머리에 말착된다.
그러므로 착탈밴드(40)의 양단부가 머리에 밀착지지되므로 가발의 전방부가 들뜨지 않게 되며, 바람이나 심한 운동에도 머리에 견고히 밀착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저면도로써, 이는, 착탈밴드(70)가,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며, 착탈밴드(70)의 네 부분과 이에 대응되는 골조사(90)의 네 부분에 보조밴드(80)가 묶인다.
이러한 본 고안 가발을 머리에 씌울시 폐곡선 형태의 착탈밴드(70)가 머리 둘레 전체에 밀착지지되므로 착용된 상태가 비교적 안정적이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 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본 고안 가발을 쓰면 착탈밴드가 머리 둘레에 밀착되면서 착용되므로 머리에 개해지는 압박이 분산되어 불편함이 감소되고, 착탈밴드를 늘려서 머리에 씌우면 가발이 머리에 간단히 착용되므로 가발을 쓰거나 벗기가 매우 편리하며, 가발을 착용한 후 고리부에 인접한 머리카락을 끼운 후 그 고리부의 단부를 잡아 당기면 가발의 전방부가 머리에 밀착되므로 바람이나 심한 운동에도 가발이 들뜨지 않게 된다.

Claims (6)

  1. 다수의 머리카락들이 묶인 망 형태의 골조사와 상기 골조사를 머리에 고정시키는 착탈수단으로 이루어진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에 있어서,
    착탈수단은,
    탄력을 가지며 머리에 착탈되는 착탈밴드(31)(40)(70)와,
    상기 착탈밴드(31)(40)(70)와 골조사(10)(90)에 연결되는 보조밴드(33)(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밴드(31)는,
    그 양단이 상기 골조사(10)의 두 부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밴드(70)는,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밴드(40)의 양단이 접혀서 고리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접힌 부분에 튜브(60)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밴드(40)의 고리부(41)의 직경을 조일 수 있도록, 상기 착탈밴드(40)의 접힌 단부(42)가 상기 튜브(6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사(10)는,
    폐곡선 형태의 제1골조사(11)와, 상기 제1골조사(11) 내에 일방향으로만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고정되고 다수의 매듭부(13)가 형성된 제2골조사(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KR2020060011032U 2006-04-25 2006-04-25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KR200421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032U KR200421715Y1 (ko) 2006-04-25 2006-04-25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JP2009507580A JP2009534554A (ja) 2006-04-25 2007-04-20 骨組糸を利用したかつら
EP07746089A EP2019599A1 (en) 2006-04-25 2007-04-20 Wig using hairnet
US12/298,604 US20090133710A1 (en) 2006-04-25 2007-04-20 Wig using hairnet
PCT/KR2007/001927 WO2007123330A1 (en) 2006-04-25 2007-04-20 Wig using hairnet
CNA2007800148986A CN101431909A (zh) 2006-04-25 2007-04-20 使用发网的假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032U KR200421715Y1 (ko) 2006-04-25 2006-04-25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715Y1 true KR200421715Y1 (ko) 2006-07-18

Family

ID=3862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032U KR200421715Y1 (ko) 2006-04-25 2006-04-25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133710A1 (ko)
EP (1) EP2019599A1 (ko)
JP (1) JP2009534554A (ko)
KR (1) KR200421715Y1 (ko)
CN (1) CN101431909A (ko)
WO (1) WO200712333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837B1 (ko) 2008-11-03 2012-08-24 위병환 내피가 없는 가발
KR101203758B1 (ko) 2009-10-16 2012-11-21 (주)하이모 골조사 원사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 및 상기 가발 제조방법 의해 제조된 가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5612A1 (en) * 2011-07-25 2013-01-31 Erica Hunter SwigCap
US8925559B2 (en) * 2012-07-20 2015-01-06 Ecoco, Inc. Wig
KR101559873B1 (ko) * 2013-11-01 2015-10-13 주식회사 씨크릿우먼 다층구조의 식모라인을 구비하는 헤어웨어
US20150128979A1 (en) * 2013-11-08 2015-05-14 Annie International, Inc. Wig cap
US8991406B1 (en) * 2013-11-14 2015-03-31 Shelah D. Salter Combination wig and carrying pouch
JP5873204B1 (ja) * 2015-05-01 2016-03-01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ベース及びかつら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6971A (en) * 1993-06-11 1995-04-18 Taylor Topper, Inc. Hair replacement device and method of construction
JPH10317221A (ja) * 1997-05-12 1998-12-02 Yasuo Nakajima かつら
US6105584A (en) * 1998-07-13 2000-08-22 Williams; Raymond Size adjustable hair-enhancing cap
JP2002275720A (ja) * 2001-03-19 2002-09-25 Funny:Kk 洋かつら
KR200251902Y1 (ko) * 2001-07-14 2001-11-17 최연희 가발
JP2003306821A (ja) * 2002-04-18 2003-10-31 Katsufumi Ito かつらベース及びかつ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837B1 (ko) 2008-11-03 2012-08-24 위병환 내피가 없는 가발
KR101203758B1 (ko) 2009-10-16 2012-11-21 (주)하이모 골조사 원사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 및 상기 가발 제조방법 의해 제조된 가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34554A (ja) 2009-09-24
CN101431909A (zh) 2009-05-13
EP2019599A1 (en) 2009-02-04
US20090133710A1 (en) 2009-05-28
WO2007123330A1 (en)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1715Y1 (ko)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US20060174905A1 (en) Hairpiece having a headband
US20090235945A1 (en) Hairpiece Having Detachable Hair Accessory
EP0517940A1 (en) Wig
US20140238430A1 (en) Cosmetic hairpiece
CN107708462B (zh) 假发基底以及假发
US7537014B1 (en) Open self-part for wigs
KR101097286B1 (ko) 머리띠형 부분가발
KR100889632B1 (ko) 탈부착 고리를 갖는 헤어밴드형 부분가발
KR100753436B1 (ko) 긴머리 가발
JP4883584B2 (ja) 自毛活用型かつら
JP2006204897A (ja) ヘア・ドレッシングを実習するための装置
US20040211439A1 (en) Pigtails headband
KR200202355Y1 (ko) 가모전용 부분가발
WO2008065779A1 (fr) Outil de fixation pour chapeau
KR20070000471U (ko) 가변식 가발
KR20050018844A (ko) 착탈식 국부가발의 부착방법
KR101128096B1 (ko) 독립구조의 식모라인을 갖는 반 가발
KR102064943B1 (ko) 탈부착이 용이한 가발 보조부재
JP3164891U (ja) 着脱式ウィッグ
KR200260815Y1 (ko) 벨크로(Velcro)부착 가발
KR101623548B1 (ko) 가발의 골조구조
KR950009463B1 (ko) 가발
KR101489207B1 (ko) 두상의 골격형태를 바꾸도록 기능하는 가발 어셈블리 및 그 이용방법
KR101591174B1 (ko) 줄을 이용한 가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