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548B1 - 가발의 골조구조 - Google Patents

가발의 골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548B1
KR101623548B1 KR1020140071755A KR20140071755A KR101623548B1 KR 101623548 B1 KR101623548 B1 KR 101623548B1 KR 1020140071755 A KR1020140071755 A KR 1020140071755A KR 20140071755 A KR20140071755 A KR 20140071755A KR 101623548 B1 KR101623548 B1 KR 101623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g
ring
hai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553A (ko
Inventor
김철규
Original Assignee
김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규 filed Critical 김철규
Priority to KR102014007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548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발의 골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단위골조부와; 상기 단위골조부가 길이방향으로 반복되게 구비된 골조띠; 및 상기 골조띠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폐곡선형태를 갖도록 연결되어 구비된 골조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발을 접착제나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모발 사이가 단절되는 것을 막아 자연스럽고 헤어스타일이 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발의 골조구조{Skeletal structure Wig}
본 발명은 가발의 골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위골조부가 길이방향으로 반복되게 구비된 골조띠를 폐곡선형태로 구비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가발 착용이 자연스러우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피를 덮는 내피에 머리카락을 인위적으로 심어 가발의 제조가 이루어지게 되고, 가발의 내피 안쪽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가발을 두피에 붙이거나 부분적으로 클립을 부착시켜 인접한 머리카락을 클립으로 물려 고정시키는 것으로 착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가발은 내피가 두피를 덮고 있어 통풍 및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땀으로 인한 냄새는 물론 가려움증과 두피의 짓무름 현상 등이 발생하게 되고, 접착제를 이용할 경우, 접착제의 유해성분으로 인하여 두피에 손상을 가져오는 원인이 있었다.
클립을 이용할 경우, 클립이 가발을 착용하고 있는 동안 지속적으로 머리카락을 당겨 탈모의 유발은 물론 통증에 의한 불쾌감을 초래하는 또 다른 원인이 있었다.
내피가 두피를 가리고 있어 머리를 감기 위해 손으로 머리를 긁으면 손가락이 두피에 직접 접촉되지 않게 됨으로써 시원하게 머리를 감거나 긁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내피의 손상을 가져와 가발의 수명이 단축되는 또 다른 원인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 10-1176837(2012.8.20)호의 내피가 없는 가발이 제안되어 접착제나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도 가발의 착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머리를 긁을 때 손가락이 직접 두피가 닿을 수 있고, 가발의 머리카락과 자신의 머리카락이 믹싱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머리카락을 골조사의 매듭으로 고정하는 과정에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원인으로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신체 특성이 상이한 여러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골조사에 별도의 탄성밴드가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착용에 어려움 즉, 탄성밴드에 의하여 모발 사이가 단절되어 전체적으로 머리가 부자연스럽고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가발을 접착제나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통풍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탄성밴드를 이용하지 않고 신체 특성이 상이한 여러 사용자의 머리에 용이하게 씌워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이를 통해 모발 사이가 단절되는 것을 막아 전체적으로 자연스럽고 헤어스타일을 연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위골조부(10)와; 상기 단위골조부(10)가 길이방향으로 반복되게 구비된 골조띠(20); 및 상기 골조띠(2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폐곡선형태를 갖도록 연결되어 구비된 골조링(1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골조부(10)는 상부의 어퍼골조라인부(11)와; 상기 어퍼골조라인부(11)의 타측 하단에서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게 구비된 미들골조라인부(12); 및 상기 미들골조라인부(12)의 하단에 구비된 로워골조라인부(13)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퍼골조라인부(11)와 미들골조라인부(12) 및 로워골조라인부(13)는 각각 라운드형 또는 삼각 경사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조링(100)은 탄성력을 갖는 동, 금, 은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조띠(20)는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연결구(14)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구(14)는 고리, 띠, 마그네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조띠(20)에 형성된 단위골조부(10)는 머리카락(H)이 붙임형태로 직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조링(100)은 내부에 보조가발(20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조링(100)은 내부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가운데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른 골조링(100')이 구비되어 2중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조링(100)(100')은 각각의 골조링(100)(100') 사이에 연결골조띠(30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조링(100)은 내부에 단위골조부(10)가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된 보조골조띠(400)가 일자형 또는 십자형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조링(100)은 마름모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조링(100)는 미끄럼방지구(500)가 구비되되, 상기 미끄럼방지구(500)는 실을 수회감은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골조링(100)은 미끄럼방지구(500)가 구비되되, 상기 미끄럼방지구(500)는 가죽으로 커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위골조부가 길이방향으로 반복되게 구비된 골조띠를 폐곡선형태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가발을 접착제나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가발의 착용이 자연스러우면서도 모발 사이가 단절되는 것을 막아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통풍성을 높여 불쾌감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성밴드를 이용하지 않고 신체 특성이 상이한 여러 사용자의 머리에 용이하게 씌워질 수 있도록 간단하게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단위골조부로 이루어지는 골조띠가 동, 금, 은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발을 착용하고 있는 동안에 두피 또는 피부와 트러블이 발생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의 골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의 골조구조에 머리카락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의 골조구조에 머리카락이 구비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의 다른 골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의 다른 골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의 다른 골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의 다른 골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발의 골조구조는 접착제나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가발 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가발 착용시 모발 사이가 단절되는 것을 막아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연출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가발의 골조구조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골조부(10), 골조띠(20) 및 상기 골조띠(20)가 링형태를 갖도록 일체로 연결되어진 골조링(100)으로 구비된다.
상기 단위골조부(10)는 머리카락(H)이 안정되게 지지되는 가운데 머리에 착용하였을때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소정 탄성력이 제공되어 압박감을 느끼지 않게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단위골조부(10)는 어퍼골조라인부(11), 미들골조라인부(12) 및 로워골조라인부(13)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어퍼골조라인부(11)는 단위골조부(10)의 상부측으로 위치되는 상부로 볼록한 라운드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어퍼골조라인부(11)의 타측 하단은 곧은 형태를 갖는 미들골조라인부(12)의 상단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하부를 향하여 거의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다.
상기 미들골조라인부(12)의 하부에는 하단에 하부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로워골조라인부(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단위골조부(10)는 전체적으로 뒤집어진 S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반복되게 배열될 경우, 물결모양이 반복되는 밴드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 단위골조부(10)를 이루는 어퍼골조라인부(11)와 미들골조라인부(12) 및 로워골조라인부(13)는 각각 라운드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라운드형태 이외에 삼각형의 경사면에 해당되는 삼각 경사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이러한 경우, 각각의 어퍼골조라인부(11), 미들골조라인부(12) 및 로워골조라인부(13)에 구비된 머리카락(H)이 착용 과정에서 유동으로 인하여 한곳으로 모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골조띠(20)는 단위골조부(10)가 길이방향으로 반복되게 구비된 것으로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연결구(14)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14)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맞물려 걸려질 수 있는 고리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형태 이외에 일측과 타측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띠를 이용하여 묶어질 수 있도록 하거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마그네트를 구비하여 마그네트의 척력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골조띠(20)의 단위골조부(1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카락(H)이 붙임형태로 직조된다.
상기 골조링(100)은 골조띠(2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폐곡선형태를 갖도록 연결되어 머리에 씌움과 동시에 착용될 수 있는 것으로 장기간 착용하는 과정에서 두피와 트러블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동, 금, 은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조링(100)은 동, 금, 은 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소정 탄성력이 제공되어 머리에 씌워진 상태에서 더 벌어져 늘어나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 줄어 들어 머리에 압박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골조링(100)는 별도의 미끄럼방지구(500)가 구비되어 머리카락/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방지구(500)는 실을 수회감은 것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골조링(100)에 구비된 미끄럼방지구(500)는 실 이외에 가죽으로 커버됨으로써, 머리카락(H)의 유동을 더 막을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경우, 골조링(100)의 소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연속된 단위골조부(10)를 갖는 골조띠(20)가 링형태로 연결되어 일체 형태의 골조링(100)으로 구비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링(100)을 가로지르는 형태를 갖는 별도의 보조가발(200)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보조가발(200)은 단위골조부(10)를 길이방향으로 반복된 골조띠(20)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연속된 단위골조부(10)를 갖는 골조띠(20)가 링형태로 연결되어 일체 형태의 골조링(100)으로 구비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링(100)을 가로외 세로방향으로 동시에 가로지르는 형태를 갖는 별도의 골조띠(20)가 내부에 교차되게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교차되는 각각의 골조띠(20)에는 머리카락(H)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연속된 단위골조부(10)를 갖는 골조띠(20)가 링형태로 연결되어 일체 형태의 골조링(100)으로 구비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링(100)의 내부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가운데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른 골조링(100')이 구비되어 2중으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머리카락(H)이 더 많이 있음으로써, 커버되어지는 부분을 넓게 유지할 수 있어 더 자연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연속된 단위골조부(10)를 갖는 골조띠(20)가 링형태로 연결되어 일체 형태의 골조링(100)으로 구비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링(100)의 내부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가운데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른 골조링(100')이 구비되어 2중으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머리카락(H)이 더 많이 있음으로써, 커버되어지는 부분을 넓게 유지할 수 있어 더 자연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골조링(100)(100')은 각각의 골조링(100)(100') 사이에 연결골조띠(300)가 더 구비되어 골조링(100)(10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머리에 착용된 상태에서 흘러내림이나 어느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더 막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연속된 단위골조부(10)를 갖는 골조띠(20)가 링형태로 연결되어 일체 형태의 골조링(100)으로 구비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링(100)은 내부에 단위골조부(10)가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된 보조골조띠(400)가 일자형 또는 십자형으로 구비되도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머리에 착용된 상태에서 흘러내림이나 어느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더 막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연속된 단위골조부(10)를 갖는 골조띠(20)가 링형태로 연결되어 일체 형태의 골조링(100)으로 구비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링(100)은 마름모의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10:단위골조부
11:어퍼골조라인부
12:미들골조라인부
13:로워골조라인부
20:골조띠
100:골조링

Claims (13)

  1. 단위골조부(10)와;
    상기 단위골조부(10)가 길이방향으로 반복되게 구비된 골조띠(20); 및
    상기 골조띠(2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폐곡선형태를 갖도록 연결되어 구비된 골조링(100)으로 구성된 가발의 골조구조에 있어서,
    상기 골조링(100)은 내부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가운데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른 골조링(100')이 구비되어 2중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골조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링(100)(100')은 각각의 골조링(100)(100') 사이에 연결골조띠(30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골조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링(100)은 내부에 단위골조부(10)가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된 보조골조띠(400)가 일자형 또는 십자형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골조구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40071755A 2014-06-12 2014-06-12 가발의 골조구조 KR101623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755A KR101623548B1 (ko) 2014-06-12 2014-06-12 가발의 골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755A KR101623548B1 (ko) 2014-06-12 2014-06-12 가발의 골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553A KR20150142553A (ko) 2015-12-22
KR101623548B1 true KR101623548B1 (ko) 2016-05-23

Family

ID=5508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755A KR101623548B1 (ko) 2014-06-12 2014-06-12 가발의 골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868B1 (ko) 2016-09-21 2017-03-13 성상규 탈모 부위의 모발 보충이 가능한 가발 보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294B1 (ko) * 2005-04-12 2006-09-27 김영휴 길이가 자라는 연장가발
KR101215583B1 (ko) * 2012-07-23 2012-12-26 이윤화 가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294B1 (ko) * 2005-04-12 2006-09-27 김영휴 길이가 자라는 연장가발
KR101215583B1 (ko) * 2012-07-23 2012-12-26 이윤화 가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553A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0385A1 (en) Wig Base
EP1665946B1 (en) Wearer's own hair utilizing type wig
JP2004353160A (ja) 脱付着が容易なヘアーピース
US20160113342A1 (en) Half head wig
US20100326455A1 (en) Detachable wig arrangement and method
KR200421715Y1 (ko) 골조사를 이용한 가발
US1504100A (en) Hair protector and conformer
CN107708462B (zh) 假发基底以及假发
KR20140132096A (ko) 이중 삽입 구조의 모발이 적용된 가발 및 제작방법
KR101623548B1 (ko) 가발의 골조구조
KR101166331B1 (ko) 가발을 구비한 헤어밴드
KR101097286B1 (ko) 머리띠형 부분가발
KR101625054B1 (ko) 롤링 포니테일 가발
KR200483367Y1 (ko) 부분 가발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발
KR101501238B1 (ko) 군사용 위장 마스크
US20150366282A1 (en) Hair extension and method
KR101625048B1 (ko) 앞머리용 부분 가발
KR101378986B1 (ko) 스킨컬러베이스를 이용한 누디스킨형 패션가발
KR101625044B1 (ko) 슬림형 통가발
US20170290384A1 (en) Hairpiece with pre-tweezed parting
KR101433328B1 (ko) 두상 성형 효과를 도모하도록 제공되는 가발 어셈블리 및 그 이용방법
KR20190002318U (ko) 포니테일 가발
JP5689555B1 (ja) 前頭周縁に迷彩機能を備えるカツラベース、およびカツラ
KR20190143641A (ko) 앞 트임을 포함하는 부분 가발
KR101355552B1 (ko) 가발 프레임 외부로 돌출되는 식모라인 보강구조를 갖는 가발 및 그 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