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054B1 - 롤링 포니테일 가발 - Google Patents

롤링 포니테일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054B1
KR101625054B1 KR1020140101030A KR20140101030A KR101625054B1 KR 101625054 B1 KR101625054 B1 KR 101625054B1 KR 1020140101030 A KR1020140101030 A KR 1020140101030A KR 20140101030 A KR20140101030 A KR 20140101030A KR 101625054 B1 KR101625054 B1 KR 101625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g
velcro
hair
main body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7825A (ko
Inventor
김지영
김지윤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주)핑크에이지
김지영
김지윤
김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핑크에이지, 김지영, 김지윤, 김지원 filed Critical (주)핑크에이지
Priority to KR1020140101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0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7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 A41G5/0013Fasten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롤링 포니테일 가발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롤링 포니테일 가발은: 모발; 복수개의 모발이 식재되고, 머리에 감기며 머리에 고정되는 가발본체부; 및 가발본체부를 머리에 감긴 상태로 머리에 고정시키는 본체고정부를 포함하고, 본체고정부는, 가발본체부에 구비되며, 올가미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암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암벨크로; 및 가발본체부에 가발본체부가 감기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며, 암벨크로에 부착되어 가발본체부의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수벨크로를 포함하고, 수벨크로는, 암벨크로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필름밴드부와, 필름밴드부의 일측면에 갈고리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결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롤링 포니테일 가발{ROLLING PONY TAIL WIG}
본 발명은 롤링 포니테일 가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적으로 제조되어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는 롤링 포니테일 가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발은 전체가발, 부분가발 또는 대머리용가발 등으로 구분되며, 보통 사용자의 머리 형태로 된 외부로 볼록한 곡면을 갖는 가발 캡과 이 가발 캡에 부착된 다수의 모발로 구성된다.
가발 캡은 보통 나일론사와 폴리에스테르사 등에 의해 형성되거나, 폴리우레탄과 폴리에스테르사 등에 의해 형성된 망(網) 또는 망상체, 또는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인공피부로 형성된다.
가발의 모발로는 천연모발, 인공모발 또는 이들을 합성한 모발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131307호(2006년 12월 20일 공개, 발명의 명칭 : 기능성 가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착용감이 우수하면서도 자연스러운 헤어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롤링 포니테일 가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링 포니테일 가발은: 모발; 복수개의 상기 모발이 식재되고, 머리에 감기며 머리에 고정되는 가발본체부; 및 상기 가발본체부를 머리에 감긴 상태로 머리에 고정시키는 본체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고정부는, 상기 가발본체부에 구비되며, 올가미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암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암벨크로; 및 상기 가발본체부에 상기 가발본체부가 감기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며, 상기 암벨크로에 부착되어 상기 가발본체부의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수벨크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벨크로는, 상기 암벨크로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필름밴드부와, 상기 필름밴드부의 일측면에 갈고리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벨크로는, 단위면적당 상기 암결합부재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상기 수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밴드부는, 합성수지필름 재질로 1㎜ 미만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벨크로는, 상기 필름밴드부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필름밴드부의 강성을 강화시키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결합부는, 상기 수벨크로를 상기 가발본체부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신축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벨크로의 단부에 복수개의 상기 모발이 식재되어 형성되고, 머리에 감긴 가발본체부 또는 본체고정부의 외측을 감아 커버하는 롤링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롤링 포니테일 가발에 따르면, 가볍고 얇은 필름밴드부와, 모발과의 부착력을 감소시킨 수결합부재, 및 필름밴드부의 강성을 강화시키는 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벨크로를 구비함으로써, 모발이 수벨크로에 부착되어 엉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발이 결합되는 부분의 무게 및 두께가 감소되어 가발 착용 여부 식별이 쉽지 않도록 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머리와 가발 간의 경계 부분이 실제 착용자의 머리를 자연스럽게 묶은 부분처럼 보이도록 표현함으로써, 착용자의 머리와 가발 간의 경계선이 은폐된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어 착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 포니테일 가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 포니테일 가발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발본체부와 모발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고정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고정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 포니테일 가발의 착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롤링 포니테일 가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 포니테일 가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 포니테일 가발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발본체부와 모발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고정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고정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 포니테일 가발(100)은 모발(110)과, 가발본체부(120) 및 본체고정부(150)를 포함한다.
모발(110)은 롤링 포니테일 가발(100)의 외형을 이루며, 용도나 기호에 따라 다양한 길이와 색상을 갖는 머리카락을 표현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모발(110)은 실제 사람의 머리카락인 천연모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는 인조모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천연모와 인조모가 혼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발본체부(120)는 롤링 포니테일 가발(100)을 머리에 착용하기 위한 틀을 형성하며, 가발본체부(120)에는 복수개의 모발(110)이 식재되어 롤링 포니테일 가발(100)의 외형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가발본체부(120)는 고정틀부(121)와, 모발고정부(123) 및 결합망부(125)를 포함한다.
고정틀부(121)는 가발본체부(120)의 외형 틀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틀부(121)는, 상부에 직선구간이 형성되고 이 직선구간의 하부에 곡선형상이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반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모발고정부(123)는 고정틀부(121)와 결합되어 모발(110)을 고정한다. 이러한 모발고정부(123)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모발(110)은 모발고정부(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복수개가 결합되어 가발본체부(120)에 식재된다.
또한 모발고정부(123)는 폭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모발(110)이 상하방향으로 층을 이루며 가발본체부(120)에 식재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모발(110)이 모발고정부(123)에 결합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모발(110)은 결합부(111)와, 제1모발부(113) 및 제2모발부(115)를 포함한다. 모발(110)은 "∧" 형상을 이루도록 중심 부분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모발(110)은, 절곡된 중심 부분인 결합부(111)를 중심으로 제1모발부(113)와 제2모발부(115)가 연장되어 "∧"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결합부(111)가 모발고정부(123)에 결합됨에 따라 모발고정부(123)에 고정된다.
즉 한 가닥의 모발(110)이 "∧"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된 상태로 모발고정부(123)에 결합됨으로써, 한 가닥의 모발(110)로 두 가닥의 모발(110)이 가발본체부(120)에 식재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모발고정부(123)에는 끼움공(부호생략)이 모발고정부(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모발(110)은 이 끼움공에 끼워져 모발고정부(123)에 결합되고, 재봉 등의 방법에 의해 모발고정부(123)에의 고정이 마무리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모발(110)은 가발본체부(120)의 일측면을 덮도록 가발본체부(120)에 식재된다.
이때 제1모발부(113)와 제2모발부(115)는, 서로 다른 끼움공에 끼워져 서로 중첩되지 않게 모발고정부(123)에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모발(110)과 모발고정부(123) 간의 결합 구조에 따르면, 한 가닥의 모발(110)로 두 가닥의 모발(110)이 가발본체부(120)에 식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발(110)을 식재하는데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절반 정도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발(1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여분을 마련하기 위해 모발(110)의 길이를 연장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모발(110) 소요량을 줄여 제조비용 및 가발 전체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모발(110)을 결합시키는 부분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가발 전체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머리에 착용되는 부분의 두께가 감소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결합망부(125)는 모발고정부(123)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모발고정부(123)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모발(110)에 의해 덮여진 가발본체부(120) 일측면의 반대면인 가발본체부(120)의 타측면에서 복수개의 모발고정부(123) 전체를 덮는 형태로 구비되되, 통풍성이 우수한 그물망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결합망부(125)는 고정틀부(121)와 접촉되는 외측 부분이 재봉 등의 방법으로 고정틀부(121)에 결합되고, 모발고정부(123) 전체를 덮는 내측 부분이 역시 재봉 등의 방법으로 복수개의 모발고정부(123)와 각각 결합됨으로써, 모발고정부(123)들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모발고정부(123)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체고정부(150)는 가발본체부(120)를 머리에 머리에 감긴 상태로 고정시킨다. 즉 본체고정부(150)는, 착용자의 머리를 감고 있는 가발본체부(120)를 내측으로 조이며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구비된다. 이러한 본체고정부(150)는 암벨크로(160)와, 수벨크로(170) 및 신축연결부(180)를 포함한다.
암벨크로(160)는 가발본체부(120)에 구비되며, 가발본체부(120)에 결합되는 결합밴드부(161)와, 결합밴드부(161)에 올가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암결합부재(163)를 포함한다.
암벨크로(160)는 가발본체부(120)가 머리에 감겨 고정될 때 외측으로 노출되는 가발본체부(120)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가발본체부(120) 상측의 직선구간에 부착된다. 이러한 암벨크로(160)는 가발본체부(120)가 감기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가발본체부(120) 상측의 직선구간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수벨크로(170)는 암벨크로(160)와 함께 가발본체부(120) 구비되되, 암벨크로(160)의 단부에서 암벨크로(160)의 길이방향, 즉 가발본체부(120)가 감기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수벨크로(170)는 암벨크로(160)에 부착되어 가발본체부(120)의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도 1,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수벨크로(170)는 필름밴드부(171)와 수결합부재(173)를 포함한다.
필름밴드부(171)는 암벨크로(160), 좀 더 구체적으로는 결합밴드부(161)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름밴드부(171)는 경량의 합성수지필름으로 형성되며, 1㎜ 미만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필름밴드부(171)가 경량 및 박형의 특성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가발본체부(120) 및 본체고정부(150)를 머리에 감아 고정시키는 부분의 무게 및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착용자의 모발과 가발의 모발(110)의 경계부를 자연스럽게 은폐하기가 용이해지고, 착용자의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수결합부재(173)는 필름밴드부(171)의 일측면에 갈고리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상된다. 수벨크로(170)에는 복수개의 수결합부재(173)가 형성되며, 수벨크로(170)는 복수개의 수결합부재(173)와 암결합부재(163) 간의 걸림 결합에 의해 암벨크로(16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례로서, 수결합부재(173)는 필름밴드부(171) 성형시 필름밴드부(171)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벨크로(170)는 단위면적당 암결합부재(163)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수결합부재(173)를 포함한다. 즉 수벨크로(170)에는 수결합부재(173)가 암벨크로(160)의 암결합부재(163)보다 듬성듬성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수벨크로(170)가 수결합부재(173)의 배치 밀도를 낮춘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모발(110)이 수벨크로(170)에 부착되어 엉키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고, 모발(110)이 수벨크로(170)에 부착되더라도 손으로 살짝 문질러 밀어내는 것만으로 쉽게 떼어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수벨크로(170)는 보강부(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175)는 얇은 섬유 형태로 구비되어 필름밴드부(171)의 타측면에 결합됨으로써 필름밴드부(171)의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신축연결부(180)는 수벨크로(170)를 가발본체부(120)에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신축연결부(180)는 가발본체부(120)와 수벨크로(170)를 직접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수벨크로(170)를 암벨크로(160)에 연결하여 가발본체부(120)에 수벨크로(170)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신축연결부(180)는 길이 변화 가능한 신축 재질로 형성되어 수벨크로(170)를 가발본체부(120)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처럼 수벨크로(170)가 신축연결부(180)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본체고정부(150)는 더욱 강한 가압력으로 가발본체부(120)를 내측으로 조여 머리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롤링 포니테일 가발(100)은 롤링커버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링커버부(190)는 수벨크로(170)의 단부에 복수개의 모발(110)이 식재되어 형성된다. 롤링커버부(190)는 머리에 감긴 가발본체부(120) 및 가발본체부(120)의 외측에 감긴 본체고정부(150)의 외측을 감아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롤링커버부(190)는, 착용자의 모발과 결합되는 결합 부분에서 가발본체부(120) 및 본체고정부(150)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하면서, 은폐된 부분이 실제 착용자의 머리를 자연스럽게 묶은 부분처럼 보이도록 표현함으로써, 착용자의 머리와 가발 간의 경계선이 자연스럽게 은폐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 포니테일 가발의 착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반가발(3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롤링 포니테일 가발(100)은, 착용자의 머리 뒷부분의 모발을 묶은 상태에서, 가발본체부(120)를 본체고정부(150)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묶인 모발에 고정시킴으로써 착용되며, 머리에 착용된 가발본체부(120)에 복수개의 모발(100)이 식재되어 용도, 기호에 따른 머리 형상을 표현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롤링 포니테일 가발(100)은 착용자의 정수리 부근에서 묶인 상태로 아래로 늘어진 머리카락을 표현하도록 구비되는 포니테일 가발 형태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머리카락을 표현하도록 구비되는 모발(110)은 "∧"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된 상태로 가발본체부(120)에 결합되어 한 가닥의 모발(110)로 두 가닥의 모발(110)이 가발본체부(120)에 식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모발(110)이 가발본체부(120)에 식재되어 제조되는 본 실시예의 롤링 포니테일 가발(100)은, 제조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 및 비용이 감소됨은 물론, 가발 전체의 무게 및 가발의 머리에 착용되는 부분의 두께가 감소되어 향상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가발본체부(120)의 고정은 본체고정부(150)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본체고정부(150)는 암벨크로(160)와 수벨크로(17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되며, 가발본체부(120)와 함께 착용자의 묶인 모발에 감긴 암벨크로(160)에 수벨크로(170)가 부착됨으로써 본체고정부(150)에 의한 가발본체부(12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본체고정부(150)에 구비되는 수벨크로(170)는, 가볍고 얇은 필름밴드부(171)와, 모발(110)과의 부착력을 감소시킨 수결합부재(173), 및 필름밴드부(171)의 강성을 강화시키는 보강부(1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모발(110)이 수벨크로(170)에 부착되어 엉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은폐성 및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강도 또한 향상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체고정부(150)는, 수벨크로(170)를 신축연결부(180)로 신축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가발본체부(120) 및 암벨크로(160)를 더욱 강한 힘으로 감아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롤링 포니테일 가발(100)의 착용은, 상기와 같이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된 가발본체부(120) 및 본체고정부(150)의 외측에 롤링커버부(190)를 감아 커버함으로써 마무리된다.
이와 같은 롤링커버부(190)에 의해, 본 실시예의 롤링 포니테일 가발(100)는, 착용자의 머리와 가발 간의 경계 부분이 실제 착용자의 머리를 자연스럽게 묶은 부분처럼 보이도록 표현함으로써, 착용자의 머리와 가발 간의 경계선을 자연스럽게 은폐하여 착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롤링 포니테일 가발 110 : 모발
111 : 결합부 113 : 제1모발부
115 : 제2모발부 120 : 가발본체부
121 : 고정틀부 123 : 모발고정부
125 : 결합망부 150 : 본체고정부
160 : 암벨크로 161 : 결합밴드부
163 : 암결합부재 170 : 수벨크로
171 : 필름밴드부 173 : 수결합부재
175 : 보강부 180 : 신축연결부
190 : 롤링커버부

Claims (6)

  1. 모발;
    복수개의 상기 모발이 식재되고, 머리에 감기며 머리에 고정되는 가발본체부; 및
    상기 가발본체부를 머리에 감긴 상태로 머리에 고정시키는 본체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고정부는,
    상기 가발본체부에 구비되며, 올가미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암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암벨크로; 및
    상기 가발본체부에 구비되되, 상기 암벨크로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가발본체부가 감기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며, 상기 암벨크로에 부착되어 상기 가발본체부의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수벨크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벨크로는, 상기 암벨크로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필름밴드부와, 상기 필름밴드부의 일측면에 갈고리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밴드부는, 합성수지필름 재질로 1㎜ 미만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필름밴드부의 타측면에는, 섬유 재질의 보강부가 결합되어 상기 필름밴드부의 강성을 강화시키고,
    상기 수벨크로는, 상기 머리에 감기는 상기 가발본체부의 외측에 감기면서 상기 가발본체부를 머리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본체고정부는, 상기 수벨크로와 상기 가발본체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벨크로를 상기 가발본체부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하는 신축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연결부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수벨크로가 상기 가발본체부의 외측에 감기는 회수와 상기 암벨크로에 부착되는 위치가 변화되어 상기 수벨크로가 상기 가발본체부를 머리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포니테일 가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벨크로는, 단위면적당 상기 암결합부재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상기 수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포니테일 가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벨크로의 단부에 복수개의 상기 모발이 식재되어 형성되고, 머리에 감긴 가발본체부 또는 본체고정부의 외측을 감아 커버하는 롤링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포니테일 가발.
KR1020140101030A 2014-08-06 2014-08-06 롤링 포니테일 가발 KR101625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030A KR101625054B1 (ko) 2014-08-06 2014-08-06 롤링 포니테일 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030A KR101625054B1 (ko) 2014-08-06 2014-08-06 롤링 포니테일 가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825A KR20160017825A (ko) 2016-02-17
KR101625054B1 true KR101625054B1 (ko) 2016-06-02

Family

ID=5545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030A KR101625054B1 (ko) 2014-08-06 2014-08-06 롤링 포니테일 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2393A1 (en) * 2018-11-13 2020-05-22 Shake-N-Go Fashion, Inc. Hair extension apparatus
US10993493B2 (en) 2018-11-13 2021-05-04 Shake-N-Go Fashion, Inc. Hair extension apparatus
KR200493745Y1 (ko) * 2019-06-05 2021-05-28 이정미 포니테일 부분가발
WO2024086944A1 (en) * 2022-10-26 2024-05-02 Taylor Tamarra Artificial hair pie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589B1 (ko) * 1993-07-06 2001-12-28 로버트 후이젠 후크-루프형파스너의후크부분또는루프부분의제조방법
JP2012224973A (ja) * 2011-04-05 2012-11-15 Rumi Kondo 下丹田用サポーター
JP2014040691A (ja) 2012-08-21 2014-03-06 Nobue Takano 付け毛及び付け毛取付け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312B1 (ko) * 2011-06-27 2018-03-06 박근식 부분 가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589B1 (ko) * 1993-07-06 2001-12-28 로버트 후이젠 후크-루프형파스너의후크부분또는루프부분의제조방법
JP2012224973A (ja) * 2011-04-05 2012-11-15 Rumi Kondo 下丹田用サポーター
JP2014040691A (ja) 2012-08-21 2014-03-06 Nobue Takano 付け毛及び付け毛取付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825A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74905A1 (en) Hairpiece having a headband
US9173467B2 (en) Headband with 360-degree glitter pattern
US20070221240A1 (en) Multi-user adjustable hair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s
KR101625054B1 (ko) 롤링 포니테일 가발
US20100326455A1 (en) Detachable wig arrangement and method
US20150034112A1 (en) Shera - The Interchangeable Wig
US20180007988A1 (en) Wig apparatus including open parting are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130213422A1 (en) Volume-enhanced wig
US20160081411A1 (en) Wig and method of wig manufacture
US20140238430A1 (en) Cosmetic hairpiece
KR101821386B1 (ko) 격자 고정 구조를 갖는 가발
KR101625048B1 (ko) 앞머리용 부분 가발
WO2018224494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ne piece hair extensions
US10327493B2 (en) Wig head wrap
JP5715781B2 (ja) かつら及び補助装飾具
KR200439264Y1 (ko) 가변식 가발
KR101852872B1 (ko) 가발 및 그 제작방법
KR200490151Y1 (ko) 포니테일 가발
JP2554502B2 (ja) かつら
KR101625044B1 (ko) 슬림형 통가발
JP6949351B2 (ja) 頭部着用具
KR200485740Y1 (ko) 고정수단을 갖는 가발
US20170303615A1 (en) Satin Hair Edge Protector
JPH084881Y2 (ja) 装飾具
KR200467979Y1 (ko) 부분 가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