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986B1 - 스킨컬러베이스를 이용한 누디스킨형 패션가발 - Google Patents

스킨컬러베이스를 이용한 누디스킨형 패션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986B1
KR101378986B1 KR1020120112866A KR20120112866A KR101378986B1 KR 101378986 B1 KR101378986 B1 KR 101378986B1 KR 1020120112866 A KR1020120112866 A KR 1020120112866A KR 20120112866 A KR20120112866 A KR 20120112866A KR 101378986 B1 KR101378986 B1 KR 101378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skin color
color base
wi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김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영 filed Critical 김지영
Priority to KR1020120112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41G3/0016Fastening thereof by adjusting or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66Planting hair on bases for w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르마나 올림머리 연출시 자연미를 높일 수 있는 스킨컬러베이스를 이용한 누디스킨형 패션가발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디스킨형 패션가발은 다수의 모발; 및 상기 다수의 모발이 식재되는 헤어캡;을 포함하고, 상기 헤어캡은 착용시 이마 부위와 접촉하는 부분이 스킨컬러베이스로 형성되며, 상기 스킨컬러베이스는 실크로 형성되며, 아래쪽 테두리 부분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킨컬러베이스를 이용한 누디스킨형 패션가발 {NUDIE SKIN TYPE FASHION WIG USING SKIN COLOR BASE}
본 발명은 패션가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발 착용자가 올림머리를 연출할 수 있는 패션가발에 관한 것이다.
가발은 머리부위의 탈모, 흉터, 화상 등의 콤플렉스를 은폐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패션을 중시하는 경향에 따라 은폐 목적이 아닌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거나 두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미용 목적의 패션가발이 등장하였다.
패션가발은 그 형태에 따라 전체가발, 반가발, 부분가발, 헤어 피스, 붙임 두상 가발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패션가발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패션성이 우수할 것, 가발을 착용한 것이 표시나지 않을 것, 두상에 착탈이 용이할 것 등이다.
가발은 통상 직물 형태의 헤어캡에 모발이 식재되는 형태로 제작된다. 그러나, 이 경우 가발 착용자가 올림머리 연출시 피부색과 다른 헤어캡이 노출되므로 가발을 착용한 것이 표시나게 되므로, 원하는 헤어 스타일을 연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31307호(2006.12.20.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망 형태의 헤어캡을 갖는 기능성 가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올림머리 연출이 가능하며, 자연스로운 헤어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패션가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디스킨형 패션가발은 다수의 모발; 및 상기 다수의 모발이 식재되는 헤어캡;을 포함하고, 상기 헤어캡은 착용시 머리의 헤어 라인 아래의 이마 부위와 접촉하는 부분이 스킨컬러베이스로 형성되며, 상기 스킨컬러베이스는 실크로 형성되며, 아래쪽 테두리 부분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굴곡부는 고주파 조사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디스킨형 패션가발은 다수의 모발; 및 상기 다수의 모발이 식재되는 헤어캡;을 포함하고, 상기 헤어캡은 착용시 헤어라인 아래의 이마 부위와 접촉하는 하부 스킨컬러베이스와, 상기 하부 스킨컬러베이스에 결합되며, 착용시 헤어라인부터 정수리 부위까지 접촉하는 상부 스킨컬러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스킨컬러베이스는 실크로 형성되며, 아래쪽 테두리 부분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굴곡부는 고주파 조사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스킨컬러베이스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누디스킨형 패션가발은 착용시 헤어라인 아래의 이마 부위와 접촉하는 헤어캡 부분이 스킨컬러베이스로 형성됨에 따라, 올림머리 연출시 타인에게 노출되는 헤어캡 부분이 피부색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누디스킨형 패션가발은 가발 착용후 올림머리를 연출하더라도 가발을 착용한 것이 표시나지 않으며, 따라서 올림머리 연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의 헤어캡을 헤어라인부터 정수리 부위까지도 스킨컬러베이스로 형성할 경우, 다양한 가르마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디스킨형 패션가발은 스킨컬러베이스를 실크로 형성하고 아울러 고주파 조사에 의해 아래쪽 테두리 부분에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헤어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디스킨형 패션가발의 측면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디스킨형 패션가발의 정면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스킨컬러베이스에 모발이 식재된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디스킨형 패션가발의 정면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킨컬러베이스를 이용한 누디스킨형 패션가발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디스킨형 패션가발의 측면 내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디스킨형 패션가발의 정면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누디스킨형 패션가발(도 1의 100, 도 2의 100A)는 다수의 모발(110) 및 다수의 모발(110)이 식재되는 헤어캡(12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발(100)은 식모라인(145), 고정부재(150) 및 밴드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전체적인 형상을 보면, 다수의 모발(110)이 헤어캡(120)에 식재되어 있고, 헤어캡(120)의 양 측면 및 후면의 하부에 고정부재(150)가 결합되어 있고, 두 개의 고정부재(150) 사이에서 헤어캡(120)의 측면 가장자리에 밴드부재(160)가 삽입되어 있다.
모발(110)은 가발(100)에서 다양한 길이 및 색상의 머리카락을 형성한다.
이러한 모발(110)은 실제로 사람의 머리카락인 천연모가 될 수 있으며, 또한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인조모가 될 수 있다. 이들 천연모와 인조모는 혼용될 수도 있다.
헤어캡(120)은 다수의 모발(110)이 식재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헤어캡은 사용자의 두상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발(100)은 전체가발(통가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헤어캡(120)은 스킨컬러베이스(skin color base; 130) 및 메인 직물 베이스(14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킨컬러베이스(130)는 사용자의 피부 또는 두피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처리된 망형태의 베이스로 정의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스킨컬러베이스(130)는 착용시 헤어라인 아래의 이마 부위에 접촉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발 착용자가 가발 착용후 올림머리 연출시, 타인에게 노출되는 헤어캡 부분이 피부색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발을 착용한 것이 표시나지 않는다.
이러한 스킨컬러베이스(13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실크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스킨컬러베이스를 실크로 형성할 경우, 피부색과 동일한 색으로 염색이 용이하고, 또한 가발 착용시 부드러운 착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스킨컬러베이스를 실크로 형성할 경우, 자연스러운 헤어라인 연출이 가능하다. 자연스러운 헤어라인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헤어캡의 아래쪽 테두리 부분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굴곡부는 가발 착용후 헤어라인이 되며, 이를 위하여, 굴곡부는 볼록부와 볼록부의 양측에 오목부를 포함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굴곡부는 재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 경우 굴곡부가 다소 거칠게 형성되어 자연스러운 헤어라인을 연출하기 어렵다. 또한, 스킨컬러베이스를 인조스킨으로 형성하고, 인조스킨을 2중으로 접어서 굴곡부를 형성한 예도 있으나, 이 경우 올림머리 연출시 이중으로 접힌 부분이 표시나는 것을 피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많은 연구를 거듭한 결과, 스킨컬러베이스를 실크로 형성하고, 고주파 조사에 의하여 굴곡부를 형성하였다. 스킨컬러베이스의 아래쪽 테두리 부분에서 고주파 조사가 많이 되는 부분의 경우 오목하게 되고, 반대로 고주파 조사가 적은 부분 또는 고주파 조사가 되지 않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볼록하게 되어, 원하는 형태의 굴곡부를 자연스럽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실크의 경우 고주파 조사에 의하여 자연스러운 굴곡부가 형성되었으나,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경우 실크에 비하여 자연스럽지 못하였는바, 스킨컬러베이스는 실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스킨컬러베이스를 실크로 형성하고, 고주파 조사에 의하여 굴곡부를 형성한 결과, 전술한 방법들에 의해 형성된 굴곡부보다 보다 자연스러운 굴곡부를 형성할 수 있었다.
도 3은 도 1의 스킨컬러베이스에 모발이 식재된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발(110)은 두피로부터 성장된 것처럼 보일 수 있도록 스킨컬러베이스(130)에 모발(110)을 삽입시켜 통과시키는 V자형 식모를 이용하여 식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V자형 식모는 V자형으로 접은 모발(110)을 낚시바늘 등의 식모 도구를 이용해서 스킨컬러베이스(130)의 일면 측으로부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 측으로 관통시키고, 약 1~2mm 정도의 매듭을 만들어 침족부(針足部; 115)를 형성한 후 모발(110)의 일단을 다시 일면 측으로 뽑아내어 스킨컬러베이스(130)에 모발(110)을 V자형으로 결합한다.
메인 직물 베이스(140)는 스킨컬러베이스(130)와 결합되어 헤어캡(120)에서 스킨컬러베이스(130)를 제외한 두상의 나머지부위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직물 베이스(140)는 천 베이스나 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통풍성을 고려하여 극세망 재질의 망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인 직물 베이스(140)에는 모발(110)이 두피로부터 성장된 것처럼 보일 수 있도록 스킨컬러베이스(13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모발(110)이 V자형 식모를 이용하여 식재될 수 있다.
한편, 풍성한 모발을 연출할 수 있도록, 후두부 및 측두부에 대응하는 메인 직물 베이스(140)에는 박음질이나 뜨개질 등의 재봉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모발(110)이 식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인 직물 베이스(140)에는 다수의 모발(110)이 식재되어 있는 다수의 식모라인(145)이 재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서는 메인 직물 베이스(140)의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재봉되어 있는 다수의 식모라인(145)을 도시하였고, 메인 직물 베이스(140)의 후면에 반원 형상으로 재봉되어 있는 다수의 식모라인(145)을 도시하였으나, 식모라인(145)의 수, 형상 및 위치는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출하고자 하는 모발의 형태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고정부재(150)는 측두부 및 후두부의 아래쪽 부분에 대응하여 메인 직물 베이스(140)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50)는 헤어캡(120)을 기준으로 하면, 헤어캡(120)의 양 측면과 후면의 아래쪽 부분에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50)는 후술할 밴드부재(160)를 부착시키는 기능과 동시에 미끄러짐에 의한 가발(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재(150)는 부직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50)는 메인 직물 베이스(140)에 재봉하는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50)는 헤어캡 양 측면의 아래쪽 부분으로부터 정수리 부위까지 연장되어 가발(100)의 이탈 방지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밴드부재(160)는 두 개의 고정부재(150) 사이에서 일단이 메인 직물 베이스(140)의 양측 가장자리에 삽입되고,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이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밴드부재(160)는 가발(100) 착용시 착용자의 두상 크기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인장될 수 있다. 밴드부재(160)는 고정부재(150)에 밴드부재(160) 타단의 부착면적을 조절하여 착용자의 두상 크기에 알맞게 가발(100)의 내주면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벨크로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밴드부재(160)의 부착면적은 가발(100) 착용 전, 미리 착용자의 두상 크기에 맞게 밴드부재(160)를 조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밴드부재(160)는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소재의 밴드로 형성될 수 있다. 밴드부재(160)의 부착면적 조절을 통해 착용자의 두상에 가발(100)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어 가발(100)이 두상에서 탈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디스킨형 패션가발(100)은 착용시 헤어라인 아래의 이마 부위에 접촉하는 헤어캡 부분을 고주파 조사에 의해 형성된 굴곡부를 포함하는 실크 재질의 스킨컬러베이스로 형성함으로써 올림머리 연출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디스킨형 패션가발의 정면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디스킨형 패션가발(100B)의 스킨컬러베이스(130)는 상부 스킨컬러베이스(131), 하부 스킨컬러베이스(133) 및 이들을 결합시키는 접착부(135)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 스킨컬러베이스(133)는 가발 착용시 헤어라인 아래의 이마 부위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고주파 조사를 통하여 자연스러운 굴곡부를 형성할 수 있는 실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스킨컬러베이스(131)는 착용시 헤어라인으로부터 정수리 부위까지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부 스킨컬러베이스(131)도 하부 스킨컬러베이스(133)와 마찬가지로 실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실크의 경우 고가이다. 상부 스킨컬러베이스(131)의 경우 하부 스킬컬러베이스(133)과 달리 별도의 굴곡부가 요구되지 않는 점, 그리고 가발 제조 비용 절감 등을 고려할 때, 상부 스킨컬러베이스(131)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부 스킨컬러베이스(131)와 하부 스킨컬러베이스(133)는 접착제로 형성되는 접착부(13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로는 라텍스계, 실리콘계, 에폭시계 혹은 폴리우레탄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스킨컬러베이스(133)과 함께 상부 스킨컬러베이스(131)를 포함하는 경우, 가르마 연출시 노출되는 헤어캡 부분의 색상을 두피의 색상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가발 착용후 올림머리 연출뿐만 아니라 가르마 연출까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 누디스킨형 패션가발 110 : 모발
115 : 침족부 120 : 헤어캡
130 : 스킨컬러베이스 131 : 상부 스킨컬러베이스
133 : 하부 스킨컬러베이스 135 : 접착부
140 : 메인 직물 베이스 145 : 식모라인
150 : 고정부재 160 : 밴드부재

Claims (6)

  1. 다수의 모발; 및
    상기 다수의 모발이 식재되는 헤어캡;을 포함하고,
    상기 헤어캡은 착용시 이마 부위와 접촉하는 부분이 스킨컬러베이스로 형성되며,
    상기 스킨컬러베이스는 실크로 형성되며, 아래쪽 테두리 부분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굴곡부는 고주파 조사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디스킨형 패션가발.
  2. 삭제
  3. 다수의 모발; 및
    상기 다수의 모발이 식재되는 헤어캡;을 포함하고,
    상기 헤어캡은
    착용시 이마 부위와 접촉하는 하부 스킨컬러베이스와,
    상기 하부 스킨컬러베이스에 결합되며, 착용시 상기 이마 부위 위쪽부터 정수리 부위까지 접촉하는 상부 스킨컬러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스킨컬러베이스는 실크로 형성되며, 아래쪽 테두리 부분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굴곡부는 고주파 조사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디스킨형 패션가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킨컬러베이스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디스킨형 패션가발.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디스킨형 패션가발은
    상기 헤어캡의 양 측면과 후면의 아래쪽 부분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서 상기 헤어캡의 측면 가장자리에 삽입되는 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디스킨형 패션가발.
KR1020120112866A 2012-10-11 2012-10-11 스킨컬러베이스를 이용한 누디스킨형 패션가발 KR101378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866A KR101378986B1 (ko) 2012-10-11 2012-10-11 스킨컬러베이스를 이용한 누디스킨형 패션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866A KR101378986B1 (ko) 2012-10-11 2012-10-11 스킨컬러베이스를 이용한 누디스킨형 패션가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986B1 true KR101378986B1 (ko) 2014-03-27

Family

ID=5064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866A KR101378986B1 (ko) 2012-10-11 2012-10-11 스킨컬러베이스를 이용한 누디스킨형 패션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9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864B1 (ko) * 2018-01-17 2018-03-14 강정희 자연감을 향상시킨 가발
KR20200132311A (ko) * 2019-05-16 2020-11-25 (주)피에이인터네셔널 가발용 헤어 캡 및 이를 구비한 가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140B1 (ko) 2007-05-03 2008-07-07 김영휴 가르마 부위를 구비하고 볼륨감을 높인 앞머리용 가발
KR101139418B1 (ko) 2011-08-12 2012-05-07 고승연 이중 망체 구조를 가진 가모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140B1 (ko) 2007-05-03 2008-07-07 김영휴 가르마 부위를 구비하고 볼륨감을 높인 앞머리용 가발
KR101139418B1 (ko) 2011-08-12 2012-05-07 고승연 이중 망체 구조를 가진 가모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864B1 (ko) * 2018-01-17 2018-03-14 강정희 자연감을 향상시킨 가발
KR20200132311A (ko) * 2019-05-16 2020-11-25 (주)피에이인터네셔널 가발용 헤어 캡 및 이를 구비한 가발
KR102331216B1 (ko) 2019-05-16 2021-11-26 (주)피에이인터네셔널 가발용 헤어 캡 및 이를 구비한 가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8708B1 (ko) 착용자의 자모 활용형 가발 및 그 제조방법
US5337763A (en) Multi-use hair piece
US20060191057A1 (en) Hat/beret with opening for wearer's hair or synthetic hair
US3645279A (en) Wig construction employing a base of elastic and inelastic strips
US20160113342A1 (en) Half head wig
KR20100088250A (ko) 전후좌우 신축가능한 가발
CN110430772B (zh) 包括可变定位的分离区域的假发装置
US20180007988A1 (en) Wig apparatus including open parting are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156691B1 (ko) 볼륨-업 기능을 갖는 가발 및 가발의 볼륨-업 방법
KR101252658B1 (ko) 붙임머리 가발의 제조와 시술방법 및 그 가발
KR101166331B1 (ko) 가발을 구비한 헤어밴드
KR101378986B1 (ko) 스킨컬러베이스를 이용한 누디스킨형 패션가발
US7537014B1 (en) Open self-part for wigs
KR101097286B1 (ko) 머리띠형 부분가발
JP5715781B2 (ja) かつら及び補助装飾具
KR101378989B1 (ko) 방사형으로 결합된 체결부재를 이용한 앞머리용 패션가발 제조 방법
KR101852872B1 (ko) 가발 및 그 제작방법
KR200472594Y1 (ko) 착탈이 용이한 정수리 커버용 가발
KR20130001419A (ko) 부분 가발
KR200260781Y1 (ko) 모자
KR101625044B1 (ko) 슬림형 통가발
US10820647B2 (en) Wearable hairpiece for partial head covering
KR101252565B1 (ko) 단위레이스부 및 쿨-존을 형성하여 통기성 구조를 개선시킨 가발
US20150359281A1 (en) Weave Apparatus
KR101410091B1 (ko) 가발의 모발 식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