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863B1 - 수평/지자기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수평/지자기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863B1
KR101030863B1 KR1020030067998A KR20030067998A KR101030863B1 KR 101030863 B1 KR101030863 B1 KR 101030863B1 KR 1020030067998 A KR1020030067998 A KR 1020030067998A KR 20030067998 A KR20030067998 A KR 20030067998A KR 101030863 B1 KR101030863 B1 KR 101030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erminal
predetermined
horizont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1743A (ko
Inventor
최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7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863B1/ko
Publication of KR2005003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센서와 지자기 센서가 방향키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직접 방향키를 누르지 않고도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수평/지자기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의 기울어짐 정도에 대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수평 센서와, 지자기 데이터를 이용한 단말기의 수평 방향에 대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지자기 센서와, 상기 수평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한 소정의 신호를 받고, 그 소정의 신호들과 각각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방향키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뎀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방향키를 누르지 않고, 단말기의 움직임만으로 방향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평/지자기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D TILT SENSOR AND GEOMAGNETIC SENSOR}
도1은 본 발명 수평/지자기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키입력부 20:디스플레이부
30:이동 통신 모뎀부 40:수평 센서
50:지자기 센서
본 발명은 수평/지자기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평 센서와 지자기 센서가 방향키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직접 방향키를 누르지 않고도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수평/지자기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음성 및 데이터 통신 그리고 음악 및 게임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동작은 키패드 상에 구비된 다수의 버튼 및 사이드 버튼에 의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 표시창에 메뉴를 표시하기 위해서 키패드 상에 구비된 메뉴 기능 버튼을 입력하여 표시하고, 그 표시된 메뉴의 하부 항목중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이동하고, 선택 기능키로 선택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통해 음악을 듣는 중에 볼륨을 높이거나 낮추기 위해서는 상하 방향키 또는 사이드 버튼(키)을 입력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렇듯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키패드 상에 구비된 다수의 버튼들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단말기를 동작시켰다.
상기와 같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키버튼에 직접 입력을 줘야만 동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상하키 기능을 수행하는 수평 센서와 방향 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지자기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고, 움직임 또는 단말기의 위치를 변경하여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방향키를 누르지 않고, 단말기의 움직임만으로 방향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수평/지자기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기울어짐 정도에 대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수평 센서와, 지자기 데이터를 이용한 단말기의 수평 방향에 대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지자기 센서와, 상기 수평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한 소정의 신호를 받고, 그 소정의 신호들과 각각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방향키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뎀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센서는 상하 방향키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고, 단말기의 상부가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면 상 방향키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며 단말기의 상부가 윗쪽으로 기울어지면 하 방향키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수평/지자기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하좌우의 동작을 수행하는 방향키에 대한 동작을 수평센서와 지자기 센서로 구현한 것이다. 즉, 수평센서는 좌우 또는 상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지자기 센서는 지자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에 반응하는 방향 전환에 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1은 본 발명 수평/지자기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입력된 소정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와, 사용자의 외부 입력에 의해 키신호를 생성하는 키입력 부(10)와, 단말기의 기울어진 방향(상하 또는 좌우) 또는 기울어진 정도에 해당하는 소정의 신호(예를 들어, 전압)를 생성하는 수평 센서(40)와, 지자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수평 방향에 대한 소정의 신호(예를 들어, 전압)를 출력하는 지자기 센서(50)와, 상기 키입력부(10) 또는 수평 센서(40) 그리고 지자기 센서(50)에서 출력한 소정의 신호를 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20)로 상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동 통신 모뎀부(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이동 통신 모뎀부(30)는 상기 수평 센서(40) 또는 지자기 센서(50)에서 출력하는 소정의 신호들과 각각 기 기준값(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를 통한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이동 통신 모뎀부(30)는 상기 비교를 통한 값의 차이가 소정 범위 이상일 때만 상기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수평 센서(40)와 지자기 센서(50)는 단말기가 사용자의 입력을 받지 않을 상태, 즉, 평상시에는 동작을 하지 않고, 메뉴 버튼 또는 음악 등과 같은 소정의 기능이 수행될 때만 동작하도록 한다.
그럼,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수평 센서(40)가 상하키로 동작하는 경우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키패드에 구비된 소정의 버튼, 예를 들어, 메뉴 버튼을 입력하면, 도2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그 선택한 메뉴에 대한 하부 항목들이 표시된다.
상기 표시된 항목을 이동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방향키를 입력하여 다른 항목으로 이동하였지만, 본 발명은 단말기의 상부 또는 하부를 위 또는 아래로 기울여서 커서를 이동시킨다.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하면, 키입력부(10)를 통한 사용자의 외부 입력에 메뉴가 표시되면, 수평 센서(40)와 지자기 센서(50)에서 소정의 신호가 이동 통신 모뎀부(30)로 출력된다. 상기 메뉴가 표시된 후 단말기의 수평방향이 변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기 상부를 아래쪽으로 소정 각도이상 기울이면(①), 수평 센서(40)에서 그 기울어진 정도에 대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고, 이동 통신 모뎀부(30)에서 그 값 즉, 수평 센서(40)에서 출력한 소정의 신호를 기준 값과 비교하여 그 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을 벗어나면 방향키 중 상키 입력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여 메뉴에 표시된 커서를 상부 항목으로 이동(①)시킨다. 물론, 단말기의 수평방향이 변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기 하부를 아래쪽으로 소정 각도이상 기울이면(②)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메뉴에 표시된 커서를 하부 항목으로 이동(②)시킨다.
또한, 커서를 다른 항목으로 빠르게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과정, 즉, 단말기를 상부 또는 하부로 기울였다가 수평상태를 유지했다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종래 상하 방향키의 연속 입력을 통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기울임을 소정 시간 이상 유지하면, 이동 통신 모뎀부(30)에서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단위로 커서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킨다. 즉, 단말기의 기울임을 소정 시간 이상 유지하면, 종래 방향키가 계속 눌러진 상태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동영상이나 MP3에서 상하 방향키를 이용한 기능, 예를 들어, 볼륨 조절을 할 때에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지자기 센서(50)는 지자기 데이터와 단말기의 기준 방향 데이터의 차이값으로 방향을 알 수 있고, 이 기능은 3D 게임 중에 캐릭터의 방향 전환, 즉, 캐릭터를 전, 후, 좌, 우 바꿀 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게임 중에 단말기를 들고, 몸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하는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캐릭터가 회전하게 되어, 사용자의 몸동작을 이용하여 게임을 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은 종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야 동작하는 방향키에 대한 동작을 사용자의 몸동작 또는 단말기의 위치 변경만으로도 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평 센서(40) 및 지자기 센서(50)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고, 그 UI를 통해 상기 센서(40, 50)의 동작 유무를 설정하게 하여 무분별한 동작을 사전에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키 기능을 수행하는 수평 센서와 방향 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지자기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고, 움직임 또는 단말기의 위치를 변경하여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방향키를 누르지 않고, 단말기의 움직임만으로 방향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단말기의 기울어짐 정도에 대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수평 센서와;
    지자기 데이터를 이용한 단말기의 수평 방향에 대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지자기 센서와;
    상기 수평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에서 출력한 소정의 신호를 받고, 그 소정의 신호들과 각각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소정의 신호들과 각각의 기준값 사이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커서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동 통신 모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통신 모뎀부는 단말기의 기울임을 소정 시간이상 유지하면 기설정된 소정 시간 단위로 상기 커서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센서는
    상하 방향키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고, 단말기의 상부가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면 상 방향키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며 단말기의 상부가 위쪽으로 기울어지면 하 방향키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30067998A 2003-09-30 2003-09-30 수평/지자기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030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998A KR101030863B1 (ko) 2003-09-30 2003-09-30 수평/지자기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998A KR101030863B1 (ko) 2003-09-30 2003-09-30 수평/지자기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743A KR20050031743A (ko) 2005-04-06
KR101030863B1 true KR101030863B1 (ko) 2011-04-22

Family

ID=37236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998A KR101030863B1 (ko) 2003-09-30 2003-09-30 수평/지자기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8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020B1 (ko) * 2005-10-17 200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에이전트 등장 결정 방법 및 에이전트 표시기능을 갖는 단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509Y1 (ko) * 2001-12-14 2002-02-28 가이아 텔레콤(주) 기울기에 따라 액정화면이 변하는 휴대기기
JP2002207567A (ja) * 2001-01-10 2002-07-26 Sony Corp 情報処理端末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7567A (ja) * 2001-01-10 2002-07-26 Sony Corp 情報処理端末および方法
KR200266509Y1 (ko) * 2001-12-14 2002-02-28 가이아 텔레콤(주) 기울기에 따라 액정화면이 변하는 휴대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743A (ko)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604B1 (ko)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955253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40169674A1 (en)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KR10045118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입력장치 및 방법
JPH08237338A (ja) セルラー電話機用ローラーバーメニューアクセス装置及び方法
JP2002268622A (ja) 携帯端末装置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KR100741794B1 (ko) 키패드 편집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70029527A (ko) 다양한 유형들을 편리하게 입력하기 위한 휴대용 디지털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80211769A1 (en) Input Device For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030863B1 (ko) 수평/지자기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80049696A (ko)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게임 방법
JP3520827B2 (ja) 携帯端末の文字入力方式及び文字入力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000921B1 (ko)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위한 제어방법
KR20070071917A (ko) 휴대 단말기 파지 패턴의 적응적 학습 장치 및 방법
KR100757457B1 (ko) 슬라이더 조절 화면 제어 방법
KR101396709B1 (ko) 문자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40026549A (ko) 방위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방향 이동 방법
JP4930136B2 (ja) 携帯端末装置のメニュー表示方法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100664165B1 (ko) 휴대단말기의 조이스틱 운용장치 및 방법
KR100470553B1 (ko) 방위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방향이동방법
JP5163302B2 (ja) キー入力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携帯端末装置
KR20050005684A (ko) 사용빈도에 따른 메뉴 동적 구성 방법
KR20090095440A (ko) 회전식 푸쉬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아이템 전환 및 선택방법
KR20050096692A (ko) 임의의 방향 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핸드헬드기기
JP2007133648A (ja) 操作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