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604B1 -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604B1
KR100842604B1 KR1020070034703A KR20070034703A KR100842604B1 KR 100842604 B1 KR100842604 B1 KR 100842604B1 KR 1020070034703 A KR1020070034703 A KR 1020070034703A KR 20070034703 A KR20070034703 A KR 20070034703A KR 100842604 B1 KR100842604 B1 KR 100842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bar
mode
region
touch scree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균
김준서
윤지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4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604B1/ko
Priority to US12/099,391 priority patent/US805601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에 표시된 메뉴바(Menu Bar)가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될 경우, 변경된 메뉴바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보다 간단하고 역동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Figure R1020070034703
모드 전환, 메뉴 드래그, 메뉴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

Description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DE CONVERSION}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바의 위치에 대응되는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시키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시키기 위한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사진 촬영, MP3 재생 및 방송 수신 등의 여러 가지 복합적인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요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조된 복합 무선 단말기의 형태로 개발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는 표시창의 크기가 확대되고 많은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한편,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PUI:Physical User Interface)는 버튼, 스위치 및 손잡이와 같이 인간이 도구나 장비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도와주는 일련의 물리적 매개체이다. 즉, 어떤 기기나 제품에 있어 버튼의 배치나 손잡이 모양, 외형의 그립(Grip)감 등 인간이 만지고 조작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의 물리적 특성은 모두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영역에 포함된다.
이러한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버튼이나 키 입력 등에 한정이 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확대됨에 따라 그 사용이 복잡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모드를 전환함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드 전환을 위한 많은 키 입력이 요구되어, 이에 따른 시간도 많이 소요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터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만, 여러 기능의 모드 전환을 단순히 키 입력에 따라 변경시키는데에 그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모드 전환이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사용자가 좀 더 쉽게 모드 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좀 더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심미적인 면과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이 2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상기 2개 이상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메뉴바(Menu Bar)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뉴바가 표시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모드가 실행되는 상태에서 상기 메뉴바가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메뉴바가 드래그 앤드 드롭될 경우 상기 메뉴바가 위치하는 영역을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파악된 영역에 대응되는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전환된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각 모드(Mode)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2개 이상으로 구분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각 영역에 대한 좌표값의 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좌표값의 범위에 따라 2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상기 2개 이상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메뉴바(Menu Bar)를 표시하여 상기 메뉴바에 대한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입력을 받는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메뉴바가 드래그 앤드 드롭 될 경우 상기 메뉴바의 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좌표값이 포함되는 영역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영역에 대응되는 모드로 전환을 하여 상기 전환된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에 표시된 메뉴바(Menu Bar)가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될 경우, 변경된 메뉴바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보다 간단하고 역동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 다.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송수신부(100), 메모리(110), 터치 스크린(Touch Screen)(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송수신부(10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10)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 및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된 메뉴바(Menu Bar)의 위치에 대응되는 모드(Mode)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2개 이상으로 구분된 터치 스크린(120)의 각 영역에 대한 좌표값의 범위를 저장하고 있다.
터치 스크린(120)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을 말한다.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아 제어부(130)의 제어하에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Icon) 및 문자로 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120)은 2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2개 이상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메뉴바가 위치할 경우 대응되는 모드가 설정이 되어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120)에는 메뉴바의 위치에 대응되는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이 된다.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에 메뉴바에 대한 터치 입력 및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터치 입력이 있을 경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 상태 및 표시 데이터를 터치 스크린(120)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이 있을 경우,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에 따라 변경된 메뉴바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모드를 전환시킨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된 메뉴바가 드래그 앤드 드롭 될 경우, 메뉴바의 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좌표값이 포함되는 영역을 파악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파악된 영역에 대응되는 모드로 전환하여, 전환된 모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20)에는 각 모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콘을 나타내는 하나의 메뉴바(200)가 표시되어 있다. 메뉴바(200)는 터치 스크린(120)의 좌우폭과 동일한 너비를 가지며, 표시되는 위치에 따라 대응되는 모드가 달라진다. 따라서 메뉴바(200)는 터치 스크린(120) 내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며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메뉴바(200)는 터치 스크린(120)이 상단 영역과 하단 영역으로 구분되었을 경우,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최상단 및 최하단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표시가 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120)이 상단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단 영역으로 구분되었을 경우에 메뉴바(200)는 상단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단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최상단, 정중앙 및 최하단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120)에는 메뉴바(200)의 위치에 따라 동영상 모드, 전화 모드 및 인터넷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표시될 수 있다. 먼저, 도 2(a)는 동영상 모드일 경우 터치 스크린(12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동영상 모드에서 메뉴바(200)는 터치 스크린(120)의 최하단에 위치하며 '재생', '빨리 감기' 및 '뒤로 감기'등의 메뉴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 입력으로 메뉴바(200)가 터치 스크린(120)의 정중앙에 위치하게 되면, 제어부(13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화 모드로 전환을 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120)의 정중앙에 표시된 메뉴바(200)를 기준으로 상단에는 입력된 키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부(210)를 출력하고, 하단에는 3x4로 구성된 키 입력부(220)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30)는 메뉴바(200)의 메뉴 아이콘을 전화 모드에 대응되는 '통화 버튼' 및 '통화 종료 버튼'으로 변경을 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으로 메뉴바(200)가 터치 스크린(120)의 최상단에 표시될 경우 인터넷 모드로 전환을 한다. 인터넷 모드에서의 터치 스크린(120)을 보인 도 2(c)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20)은 제어부(130)의 제어하에 인터넷 표시창(230)과 키 입력부(240)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메뉴바(200)에 인터넷 메뉴 및 문자 메시지(SMS:Short Message Service) 메뉴의 아이콘을 표시하여, 표시된 두 개의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문자 메시지 아이콘이 선택될 경우 제어부(130)는 도 2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터치 스크린(120)에 키 입력부 및 문자 메시지 표시창을 표시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뉴바(200)를 이용하여 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터치 스크린(120)에 모드 전환에 관련된 사항들이 미리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바의 위치에 대응되는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300 단계에서 터치 스크린(120)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302 단계에서 복수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메뉴바가 위치할 경우 대응되는 모드를 설정한다. 터치 스크린(120)은 상단 영역과 하단 영역 또는 상단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단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구분되는 방법은 변경이 가능한 사항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터치 스크린(120)이 상단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단 영역으로 분할된 경우를 설명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상단 영역에 메뉴바가 위치할 경우 인터넷 모드를 대응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중간 영역에 메뉴바가 위치할 경우 전화 모드를 대응시키고, 하단 영역에 메뉴바가 위치할 경우에는 동영상 모드를 대응시킨다. 이와 같이 메뉴바가 위치하는 영역별로 각각의 대응되는 모드가 설정이 되면, 제어부(130)는 304 단계에서 각 영역별 메뉴바가 고정되는 위치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상단 영역에 메뉴바가 위치할 경우 그 메뉴바가 고정되는 위치를 최상단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하단 영역에 메뉴바가 위치할 경우 그 메뉴바가 고정되는 위치를 최하단으로 설정을 하고, 중간 영역에서는 그 위치를 정중앙으로 설정을 한다. 이처럼 각 영역별로 메뉴바의 고정되는 위치가 설정이 되면, 제어부(130)는 메뉴바를 그 메뉴바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되는 고정된 위치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모든 설정이 끝나면 306 단계로 진행하여 디폴트로 메뉴바를 설정된 위치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308 단계에서 표시된 위치에 대응되는 모드로 진입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디폴트로 메뉴바를 정중앙 위치에 표시하며, 표시된 정중앙 위치에 대응되는 전화 모드로 진입을 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120)에 드래그 앤드 드롭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메뉴바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모드 전환을 좀 더 쉽게 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시키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400 단계에서 전화 모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메뉴바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뉴바는 전화 모드일 경우 터치 스크린(120)의 정중앙에 표시되며 디폴트로 설정이 된다.
전화 모드에 있는 제어부(130)는 402 단계에서 메뉴바가 드래그 앤드 드롭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메뉴바가 드래그 앤드 드롭되었을 경우 404 단계로 진행하여 드래그 앤드 드롭된 메뉴바의 위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 는 406 단계에서 산출된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을 파악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드래그 앤드 드롭으로 변경된 메뉴바의 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산출하여, 산출된 좌표값이 터치 스크린(120)의 상단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단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지를 파악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408 단계로 진행하여 파악된 영역이 상단 영역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판단 결과 파악된 영역이 상단 영역일 경우에는 410 단계에서 메뉴바를 미리 설정된 위치인 최상단에 표시한다. 이때 메뉴바는 미리 설정된 위치인 최상단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듯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뉴바는 사용자가 정확하게 최상단까지 끌어올리지 않더라도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메뉴바를 고정된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터치 스크린(120)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뉴바를 가장 근접한 고정된 위치에 자동으로 표시함으로써 모드의 전환을 좀 더 분명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메뉴바가 고정되는 위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최상단, 정중앙 및 최하단으로 미리 설정이 된다. 이처럼 제어부(130)는 최상단의 위치에 메뉴바가 표시될 경우 412 단계로 진행하여 인터넷 모드로 전환을 한다.
한편, 408 단계에서 파악된 영역이 상단 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단이 될 경우 제어부(130)는 414 단계로 진행하여 파악된 영역이 하단 영역인지를 판단을 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파악된 영역이 하단 영역도 아닌 것으로 판단이 되면 중간 영역으로 간주하여 맨 처음 단계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파악된 영역 이 하단 영역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416 단계에서 메뉴바를 최하단에 표시하고, 418 단계로 진행하여 동영상 모드로 전환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모드의 전환은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경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터치 스크린(120)에 출력되는 방법에 관해서는 다음에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터치 스크린(120)에 출력이 될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방법은 메뉴바가 고정된 위치에 표시될 경우, 제어부(13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120)에 한번에 출력을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드래그 앤드 드롭으로 메뉴바가 움직이게 되면 메뉴바의 메뉴 아이콘 및 터치 스크린(120) 내의 모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제어부(130)는 메뉴바의 위치가 고정되기 전까지 현재 수행중인 모드를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하지 않은 채 백그라운드에서 그대로 실행하도록 한다. 이는 메뉴바가 드래그 앤드 드롭 될 경우 사용자가 어느 모드를 선택할지 예측할 수 없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메뉴바가 다른 영역의 고정된 위치에 표시가 될 경우에 비로소 전환된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120)에 한번에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이와는 달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바와 함께 움직이며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메뉴바가 드래그 앤드 드롭으로 움 직이게 되면 메뉴바의 상단 또는 하단 영역에 표시될 수 있을 만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동영상 모드에서 전화 모드로 전환할 경우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동영상 모드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메뉴바를 중간 영역으로 드래그 앤드 드롭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뉴바는 스크롤 바(Scroll Bar)에 비유될 수 있다. 따라서 메뉴바가 상단 방향으로 드래그 앤드 드롭 될 경우, 터치 스크린(120)에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바와 함께 스크롤 업(Scroll Up) 되어 나타나게 된다. 또한 메뉴바가 하단 방향으로 드래그 앤드 드롭 될 경우에 터치 스크린(120)에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스크롤 다운(Scroll Down) 되어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뉴바의 하단의 3x4로 구성된 키 입력부는 상단 방향으로 드래그 앤드 드롭되는 메뉴바에 따라 스크롤 업 되어 나타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바의 움직임에 종속적이다. 이처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종래와는 다른 방식으로 출력을 하는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좀 더 직관적이면서도 동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드가 전환될 경우 제어부(130)는 420 단계에서 전환된 모드에 대응되도록 메뉴바의 메뉴 아이콘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제어부(130)는 인터넷 모드에서는 '인터넷'과 '문자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아이콘을 메뉴바에 표시하고, 동영상 모드에서는 '재생', '되감기' 및 '빨리 감기' 등의 메뉴 아이콘을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전화 모드에서 '통화 버튼' 및 '통화 종료 버튼'에 대한 메뉴 아이콘을 메뉴바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드래그 앤드 드롭 방식을 이용하여 메뉴바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모드를 좀 더 간단하고 유연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뉴바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홀드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드래그 앤드 드롭에 관계없이 모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메뉴바의 위치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흐름도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500 단계에서 전화 모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메뉴바를 표시하고, 502 단계에서 메뉴바가 드래그 앤드 드롭되었는지를 판단한다.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뉴바는 디폴트 모드인 전화 모드에서 정중앙에 표시가 되지만, 메뉴바의 위치 및 그에 대응되는 모드는 변경이 가능한 사항이다.
제어부(130)는 메뉴바가 드래그 앤드 드롭된 것으로 판단이 될 경우 504 단계로 진행을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이전 단계로 되돌아간다. 메뉴바가 드래그 앤드 드롭되어 504 단게로 진행한 제어부(130)는 드래그 앤드 드롭에 대한 힘의 세기를 산출한다. 즉, 제어부(130)는 드래그 앤드 드롭으로 인해 터치 스크린(120)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506 단계에서 산출된 힘의 세기가 임계값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뉴바의 위치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임계값보다 큰 힘의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이 필요하다. 여기서 드래그 앤드 드롭에 대한 힘의 세기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의도되지 않은 터치로 인 하여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판단 결과 산출된 힘의 세기가 임계값보다 크다면 508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맨 처음으로 돌아간다.
508 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30)는 드래그 앤드 드롭된 방향에 있는 메뉴바가 고정되는 위치를 파악한다. 메뉴바가 고정되는 위치는 상중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고정되는 위치가 두 개로 파악이 될 경우 제어부(130)는 드래그 앤드 드롭된 메뉴바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하도록 한다. 가령 최하단에 있는 메뉴바에 임계값 이상의 힘을 갖는 드래그 앤드 드롭이 상단 영역을 향해 입력이 될 경우, 제어부(130)는 정중앙 및 최상단의 두 개의 고정된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30)는 현재 최하단인 메뉴바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정중앙의 위치를 메뉴바가 이동할 위치로 파악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510 단계에서 파악된 위치로 메뉴바를 이동시킨다. 이때 메뉴바는 슬라이딩(Sliding)되어 이동하게 된다. 또한 드래그 앤드 드롭된 힘의 세기에 따라 메뉴바가 이동되는 속도도 조절되어 질 수 있다. 즉, 드래그 앤드 드롭된 힘의 세기가 임계값보다 크면 클수록 메뉴바가 슬라이딩 되는 속도는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은 한번에 메뉴바를 고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전술한 과정은 한번의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으로 메뉴바를 원하는 위치에 자동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모드의 전환이 좀 더 손쉽고 빠르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메뉴바가 고정된 위치로 이동이 되면 512 단계에서 이동된 메뉴바의 위치에 대응되는 모드로 전환을 한다. 이때 터치 스크린(120)에는 모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나타나게 되는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터치 스크린(120)에 출력되는 방법은 전술한 도 4에서 설명한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어 제어부(130)는 514 단계에서 전환된 모드에 대응되도록 메뉴바의 메뉴 아이콘을 변경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정중앙 위치에 표시된 메뉴바의 위치에 대응되는 전화 모드로 전환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화 모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터치 스크린(120)에 표시가 되며, 메뉴바의 메뉴 아이콘도 전화 모드에 대응되는 것으로 변경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뉴바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좀 더 손쉽고 간단하게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좀 더 역동적이면서도 손쉬운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심미적인 면을 향상시키고 모드의 전환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준다.
본 발명은 드래그 앤드 드롭을 이용한 다이나믹하면서도 직관적인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모드 전환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18)

  1.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이 2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상기 2개 이상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메뉴바(Menu Bar)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뉴바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모드가 실행되는 상태에서 상기 메뉴바가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메뉴바가 드래그 앤드 드롭될 경우 상기 메뉴바가 위치하는 영역을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파악된 영역에 대응되는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전환된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악된 영역에 대응되는 모드는
    동영상 모드, 전화 모드 및 인터넷 모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바는
    상기 드래그 앤드 드롭에 의해 상기 터치 스크린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악된 영역에 대응되는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전환된 모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콘(Icon)을 상기 메뉴바에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영역들은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바는
    상기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최상단 및 최하단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영역들은
    상단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단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바는
    상기 상단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단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최상단, 정중앙 및 최하단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바는
    디폴트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정중앙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홀드(Hold) 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뉴바가 드래그 앤드 드롭이 되더라도 상기 메뉴바의 위치를 고정시켜 상기 전환된 모드를 그대로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11.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각 모드(Mode)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및 2개 이상으로 구분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각 영역에 대한 좌표값의 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좌표값의 범위에 따라 2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상기 2개 이상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메뉴 바(Menu Bar)를 표시하여 상기 메뉴바에 대한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입력을 받는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메뉴바가 드래그 앤드 드롭 될 경우 상기 메뉴바의 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좌표값이 포함되는 영역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영역에 대응되는 모드로 전환을 하여 상기 전환된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동영상 모드, 전화 모드 및 인터넷 모드 중의 어느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개 이상의 영역들이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일 경우, 상기 메뉴바를 상기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최상단 및 최하단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개 이상의 영역들이 상단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단 영역일 경우, 상기 메뉴바를 상기 상단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단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최상단, 정중 앙 및 최하단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악된 영역이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 중 어느 하나일 경우 상기 메뉴바를 상기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최상단 및 최하단 중 상기 파악된 영역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악된 영역이 상단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단 영역 중 어느 하나일 경우 상기 메뉴바를 상기 상단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단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최상단, 정중앙 및 최하단 중 상기 파악된 영역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앤드 드롭으로 인해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힘의 세기가 임계값보다 클 경우 상기 드래그 앤드 드롭 방향으로 상기 메뉴바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홀드(Hold) 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드래그 앤드 드롭이 되더라도 상기 메뉴바의 위치를 고정시켜 상기 전환된 모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070034703A 2007-04-09 2007-04-09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842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703A KR100842604B1 (ko) 2007-04-09 2007-04-09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US12/099,391 US8056016B2 (en) 2007-04-09 2008-04-08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hanging the mode of th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703A KR100842604B1 (ko) 2007-04-09 2007-04-09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604B1 true KR100842604B1 (ko) 2008-07-01

Family

ID=3982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703A KR100842604B1 (ko) 2007-04-09 2007-04-09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56016B2 (ko)
KR (1) KR100842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42044A1 (en) * 2018-09-30 2021-11-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navigation bar display method, system navigation bar control method,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6684B2 (en) 2008-05-23 2012-10-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avigating among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US8683362B2 (en) 2008-05-23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Card metaphor for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US7996045B1 (en) 2007-11-09 2011-08-09 Google Inc. Providing interactive alert information
EP2243326B1 (en) 2008-01-30 2018-10-24 Google LLC Notification of mobile device events
US8159469B2 (en) * 2008-05-06 2012-04-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ser interface for initiating activities in an electronic device
US20100159992A1 (en) * 2008-12-18 2010-06-24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liding display screen and screen-dividing member
KR101092592B1 (ko) * 2009-10-14 2011-12-1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의 터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319264B1 (ko) * 2010-01-22 2013-10-18 전자부품연구원 멀티 터치 압력에 기반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US10397639B1 (en) 2010-01-29 2019-08-27 Sitting Man, Llc Hot key systems and methods
EP2564303A4 (en) * 2010-04-26 2015-01-07 Blackberry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1893964A (zh) * 2010-07-21 2010-11-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远程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WO2013047023A1 (ja) * 2011-09-26 2015-03-26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722280B (zh) * 2012-05-21 2016-03-23 北京智谷技术服务有限公司 控制屏幕移动的方法、装置和终端
CN102929509A (zh) * 2012-10-19 2013-02-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控制应用界面移动的方法及系统
CN103019564B (zh) * 2012-12-14 2016-04-06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和终端操作方法
KR101960313B1 (ko) 2012-12-31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 및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US20140325389A1 (en) * 2013-04-26 2014-10-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bject sharing
CN104850373A (zh) * 2014-02-18 2015-08-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分屏处理方法和装置
JP6399834B2 (ja) * 2014-07-10 2018-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007050A1 (de) * 2014-10-08 2016-04-1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wend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r Anpassung einer Menüleiste auf einer Anwenderschnittstelle
CN104881203A (zh) * 2015-04-24 2015-09-02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在终端中的触控操作方法和装置
US20160342290A1 (en) * 2015-05-19 2016-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application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962A (ko) * 2004-12-06 2006-06-1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022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20070113025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962A (ko) * 2004-12-06 2006-06-1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42044A1 (en) * 2018-09-30 2021-11-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navigation bar display method, system navigation bar control method,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US11921987B2 (en) * 2018-09-30 2024-03-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navigation bar display method, system navigation bar control method,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56472A1 (en) 2008-10-16
US8056016B2 (en) 201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604B1 (ko)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53144B1 (ko) 슬라이드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슬라이드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RU2666236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блока отображения и терминал, его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US1038695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ration input method and operation input program
US91706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in mobile terminal
KR101545875B1 (ko)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
US20050223342A1 (en) Method of navigating in application views, electronic device,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2282257B1 (e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program
KR20080073868A (ko) 단말기 및 메뉴표시방법
KR20120040358A (ko)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00078295A (ko) 이종의 터치영역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7293820A (ja) 端末機及び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た端末機の制御方法
JP2008217640A (ja) ツリーメニューによる項目選択装置及び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7012698A1 (en) Method of controlling software function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016650B1 (ko)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조작 장치
JP2009205303A (ja) 入力方法および入力装置
EP2439614B1 (en) Frequency converter with text editor
US20110126100A1 (en) Method of providing gui for guiding start position of user operation and digital device using the same
JP5025450B2 (ja) 文字入力装置
KR101459447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항목 선택 방법 및 시스템
WO2005096132A1 (en) Method of navigating, electronic device, user interfa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0757457B1 (ko) 슬라이더 조절 화면 제어 방법
KR20110011845A (ko)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8228037B (zh) 智能终端及其界面控制方法、具有存储功能的装置
KR20080101995A (ko) 네비게이션 기능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