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875B1 -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875B1
KR101545875B1 KR1020090006197A KR20090006197A KR101545875B1 KR 101545875 B1 KR101545875 B1 KR 101545875B1 KR 1020090006197 A KR1020090006197 A KR 1020090006197A KR 20090006197 A KR20090006197 A KR 20090006197A KR 101545875 B1 KR101545875 B1 KR 101545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area
touch
regi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788A (ko
Inventor
이봉원
홍노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875B1/ko
Priority to US12/690,279 priority patent/US8516394B2/en
Priority to EP10151224.2A priority patent/EP2211261B1/en
Priority to CN201010105493.7A priority patent/CN101789250B/zh
Publication of KR20100086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46Volum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195Modulation effects, i.e. smooth non-discontinuous variations over a time interval, e.g. within a note, melody or musical transition, of any sound parameter, e.g. amplitude, pitch, spectral response, playback spe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10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 G10H2220/106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using icons, e.g. selecting, moving or linking icons, on-screen symbols, screen regions or segments representing musical elements or paramet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음원 조정을 위하여 보조 실행 영역과 실행 영역을 마련하고, 실행 영역에서 선택한 음원 조정 기능 선택에 따라, 보조 실행 영역에서 음원 조정 목록을 출력하고, 특정 음원 조정 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음원 조정 크기 값을 조절할 수 있는 색인들을 상기 보조 실행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실행 영역과 보조 실행 영역을 기반으로 음원 조정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휴대 단말, 출력 영역, 실행 영역, 보조 실행 영역, 멀티미디어 아이템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OF MULTIMEDIA ITEM}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의 표시수단에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아이템 특성 예를 들어 음원 조정을 변경할 수 있는 보조 실행 영역을 출력하고, 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특성 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휴대 단말에서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보다 다양한 사용자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및 그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휴대 단말에서 멀티미디어 아이템 예를 들면, 음악 컨텐츠 재생 시, 휴대 단말에서는 표시수단을 통해 음악 컨텐츠에 해당하는 음원 정보 및 이미지 정보 등에 대응하는 오브젝트(object)를 제공한다. 아울러, 휴대 단말에서는 상기 오브젝트 외에 재생 진행 바(progress bar) 또는 그래픽 이퀄라이저(graphic equalizer) 등의 오브젝트를 통해 음악 컨텐츠가 재생 중임을 표현하고 있다. 또 한, 종래 휴대 단말에서는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음원 조정 예를 들면 음장 효과 등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변경을 위한 화면을 활성화하고, 해당 화면에서 상기 음원 조정 변경을 위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작업 수행에 있어서, 종래 휴대 단말은 각 화면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 사용자는 전체 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화면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지, 현재 자신이 작업하고 있는 화면과 연관된 다른 화면이 어떠한 것이 있는지 등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작업 도중 상술한 인지 능력 즉, 이전 화면이 어떠한 것이 있는지 잊어버리거나 기억하지 못할 경우에는 각 화면을 검색하면서 어떠한 화면이 존재하는지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에 있어 조작에 필요한 정보들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해당 정보를 선택 및 활성화함으로써 음원 조정을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는,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음원 조정을 위한 정보가 표시되는 보조 실행 영역과, 상기 보조 실행 영역에 출력되는 정보를 지시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실행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수단;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및 상기 음원 조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실행 영역은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음원 조정을 위한 기능 수행 시 상기 음원 조정 목록 및 상기 음원 조정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음원 조정 항목의 크기 값에 대응하는 색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보조 정보 표시 영역; 및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음원 조정 목록 중 어느 하나의 항목 선택하기 위한 입력신호 및 상기 선택된 음원 조정 항목의 크기 값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보조 휠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방법은,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에 따른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관련 정보 및 재생 정보를 표시 수단의 보조 실행 영역에 출력하는 과정; 터치 휠 영역 과 확인 키 맵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수단에 출력되는 실행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음원 조정 기능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음원 조정 기능 선택에 따라 상기 음원 조정을 위한 목록을 상기 보조 실행 영역에 출력하는 과정; 상기 실행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 실행 영역에 출력된 상기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목록 선택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특성 예를 들면 음원 조정 작업 시 별도의 화면 전환 없이 빠르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러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을 위한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은 표시 수단에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특성 예를 들면 음원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하거나, 출력된 정보 영역에 위치한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는 영역들을 마련한다. 상기 영역들은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선택하고,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특성 변환을 위한 메뉴 선택 및 선택된 메뉴의 설정 값을 변환하기 위하여 제1 영역에 해당하는 실행 영역과, 제1 영역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특성을 변환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거나, 멀티미디어 아이템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제2 영역에 해당하는 보조 실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 수단에 출력되는 영역들은 멀티미디어 아이템 선택 등을 위하여 표시 수단의 일측에 출력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으로 발생하는 입력 신호 또는 휴대 단말에 마련된 기타 입력 수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특성을 변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영역과 구분될 수 있는 영역에 출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으로 표시 수단의 우측 가장자리에 출력되었다면, 제2 영역은 표시 수단의 중앙 또는 좌측에 치우쳐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은 표시 수단의 일정 영역에 제1 영역이 출력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아이템 선택에 따라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제거 시,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은 제2 영역이 제거되더라도 출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실행 영역과 보조 실행 영역으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영역들은 상술한 명칭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출력 영역(300)과 실행 영역(400)이 위치하는 표시 수단(100)과, 입력 수단(200) 및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K)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입력 수단(200)에서 발생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메뉴 화면을 출력하고, 출력된 메뉴 화면 중에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선택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수단(100)의 일정 영역을 출력 영역(300)으로 설정하고, 해당 출력 영역(300)에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은 상기 표시 수단(100)의 다른 영역을 실행 영역(4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실행 영역(400)은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터치 휠 영역(403) 및 확인 키 맵 영역(4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은 메뉴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아이템 리스트를 출력하는 출력 영역(300)과 실행 영역(400)을 포함하도록 표시 수단(100)이 변경되면, 터치 센서를 리셋하여 출력 영역(300)의 터치 센서는 비활성화하며, 실행 영역(400)의 터치 센서는 해당 영역 즉, 터치 휠 영역(403)과 확인 키 맵 영역(401)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시 수단(100)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 수단(100)은 표시 패널과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저장부에 저장된 다양한 컨텐츠 재생에 따른 화면이나 휴대 단말의 기능 활성화에 따른 이미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전체 영역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 며, 표시 패널에 출력된 일정 이미지들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 터치에 대한 효과를 제공하도록 부분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센서는 휴대 단말의 제어부 제어에 따라 표시 패널 전체에서 활성화되거나, 일정 영역은 활성화되고 타 영역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터치 센서는 출력 영역(300)에서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며, 실행 영역(400)에서는 해당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영역 즉, 터치 휠 영역(403)과 확인 키 맵 영역(401)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실행 영역(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휠 영역(403)과 확인 키 맵 영역(401)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휠 영역(403)은 도시된 바와 같은 반원형 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 휠 영역(403)은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 휠 영역(403)의 특정 지점을 터치 다운하고, 터치 다운 상태를 유지하면서 표시 수단(100)의 표면을 이동하는 드래그 동작을 수행할 경우, 실행 영역(400)은 드래그 동작의 방향을 감지하고, 이를 휴대 단말의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방향 감지에 따라 출력 영역(300)에 출력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지정하는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인 키 맵 영역(401)은 출력 영역(300)에 출력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중 상기 하이라이트가 지시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 신호를 터치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가 출력 영역(300)의 "List1"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확인 키 맵 영역(401)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확인 키 맵(401)은 "List1"을 선택함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영역(300)은 상기 실행 영역(400)을 제외한 표시 수단(100)의 나머지 영역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 영역(300)은 제어부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메뉴를 출력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출력 영역(300)은 4개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즉 "List1, List2, List3, List4"을 나타내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수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또는 더 적은 수의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출력할 수 있다. 많은 수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출력 시, 출력 영역(300)은 표시 수단(100)의 전체 공간을 고려하여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 아이템 색인 정보 예를 들면 텍스트의 크기나 이미지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출력 영역(300)은 기 설정된 개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리스트를 출력하고 추가적인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스크롤바를 출력할 수 있다. 스크롤바가 출력 중인 경우, 사용자는 실행 영역(400)의 터치 휠(403)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킴으로서, 별도의 스크롤바 운용을 위한 터치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상기 입력 수단(200)은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수단(200)은 표시 수단(100)의 터치 휠 영역(403) 및 확인 키 맵 영역(401)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것에 비하여 하드웨어로 구현되어 변경이나 이동이 없다. 즉, 상기 입력 수단(200)은 고정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입력 수단(200)은 휠 패드 영역(203)과 확인 키 영역(201)을 포함한다. 상기 휠 패드 영역(203)은 사용자의 터치 다운 동작이 유지되면서 이동하는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는 영역이다. 즉, 휠 패드 영역(203)은 터치 휠 영역(403) 기능과 유사하게 일정 지점을 터치 다운한 이후 반원형 띠 내에서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터치 이벤트를 일정 방향을 가지는 드래그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확인 키 영역(201)은 상기 확인 키 맵 영역(401)과 동일한 기능을 지원하는 영역으로서, 터치 시 기 설정된 키 입력 신호 예를 들면, 확인 키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수단(200)과 상기 실행 영역(400)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서로 구별되어 있지만, 외관으로는 소프트웨어의 일정 영역과 하드웨어의 일정 영역이 서로 맞닿아 있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수단(200)과 실행 영역(400)은 동작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실행 영역(400)의 휠 패드(203)와 상기 터치 휠(403)은 서로 연결되어 환형 띠 형태의 휠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행 영역(400)의 확인 키 맵 영역(401)과 상기 입력 수단(200)의 확인 키 영역(201)은 두 곳 중 적어도 한 곳에서 발생하는 터치에 대응하여 동일한 입력 신호 예를 들면 "확인"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 사용자가 휠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실행 영역(400)과 입력 수단(200) 영역의 경계점에서도 휠 입력 신호를 끊어짐 없이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터치 휠(403)에서부터 발생하는 터치 신호와 휠 패드(203)에서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동일한 동작을 위한 입력 신호로서 인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유사 하게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확인 키 맵 영역(401)과 확인 키 영역(201)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하나의 확인 키 입력 신호로서 인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력 영역(300)에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 아이템 중 어느 하나가 지시된 상태에서 실행 영역(400) 및 입력 수단(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확인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지시된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조작을 보다 직관적이며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에 따른 표시 수단(100)의 일예를 나타낸 화면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 수단(100)은 보조 실행 영역(500) 및 실행 영역(400)과, 버튼 조작부(550) 및 출력 영역(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보조 실행 영역(500)의 특정 영역과, 버튼 조작부(550) 및 실행 영역(400)은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각각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실행 영역(500)의 특정 영역과, 버튼 조작부(550) 및 실행 영역(400)은 입력 수단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은 상기 보조 실행 영역(500)의 특정 영역과, 버튼 조작부(550) 및 실행 영역(400)에 배치된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조작부(550)는 사용자의 설정이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표시 수단(100)에서 제거되거나, 옵션으로 제공된 후, 설정에 따라 표시 수단(10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실행 영역(500)은 도 1에서 출력 영역(300)에 출력된 멀티미디어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는 경우,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List1"이 활성화되는 경우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List1"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은 멀티미디어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와 재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은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면, 음악 컨텐츠인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곡명 "Hip Hop Star", 가수명 "Bounce" 등의 정보와, 전체 곡 길이 정보 "03:05" 및 현재까지 재생된 시간 정보 "01:35"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재생 정보는 상기 보조 실행 영역(500)이 원형으로 보여지는 경우 원형의 중앙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진행 바(501)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진행 바(501)의 최초 상태는 일정 굵기를 가질 수 있고,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에 따라 진행 포인트가 일정 방향 예를 들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진행 포인트를 중심으로 진행된 영역이 진행되지 않은 영역보다 보다 굵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버튼 조작부(550)는 다수개의 버튼 예를 들면 제1 버튼(551), 제2 버튼(553), 제3 버튼(555) 및 제4 버튼(557)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조작부(550)는 휴대 단말의 지원 여부에 따라 더 많은 수 또는 더 적은 수의 버튼을 출력 영역(3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조작부(550)에 포함되는 각 버튼들은 현재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 제어와 관련하여 특정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버튼들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버튼(551)은 현재 활성화 중인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 종료를 지시할 수 있는 버튼이다. 휴대 단말 사용자는 상기 제1 버튼(551)을 터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 제어부는 현재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을 종료시키고, 이전 화면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아이템 리스트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기 설정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버튼(553)은 녹음 또는 녹화를 지시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이다. 휴대 단말 사용자는 제2 버튼(553)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기반으로 특정 작업을 수행한 이후, 작업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3 버튼(555)은 멀티미디어 아이템에 관하여 DJ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버튼이다. 휴대 단말 사용자는 제3 버튼(555)을 활성화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아이템에 대해 DJ 기능을 이용하여 재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4 버튼(557)은 예약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버튼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은 제4 버튼(557)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메뉴를 통하여 상기 제4 버튼(557)의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4 버튼(557)이 활성화되는 경우, 설정된 특정 기능이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제1 버튼 내지 제4 버튼(557)은 재생 종료, 녹음, DJ 기능, 예약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버튼들은 다른 기능들 예를 들면, 음원 추가 기능, 음원 제거 기능 등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들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출력 영역(300)은 상기 보조 실행 영역(500)과 버튼 조작부(550) 및 실 행 영역(400)을 제외한 영역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의도에 따라 특정 색으로 배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보조 실행 영역(500)과 버튼 조작부(550) 및 실행 영역(400)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출력 영역(300)은 상기 보조 실행 영역(500)과 버튼 조작부(550) 및 실행 영역(400)에 할당된 색과 대비되는 색 또는 상기 구성들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영역(300)은 기타 정보 예를 들면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아이템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나 이미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영역(300)은 상기 실행 영역(400)의 터치 휠 영역(403)을 키 맵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 휠 영역(403) 중 부분 영역에 대한 기능 설명에 해당하는 텍스트나 이미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출력 영역(300)은 터치 휠 영역(403) 중 제1 터치 휠 영역(403a)을 설명하는 "Samples(301)"을 출력하며, 제2 터치 휠 영역(403b)을 설명하는 볼륨 조절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303)을 출력하며, 제3 터치 휠 영역(403c)을 설명하는 "Filter(305)"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실행 영역(400)에서 상기 터치 휠 영역(403)을 보다 많은 수의 부분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출력 영역(300)은 구분된 각 부분 영역의 기능 설명을 위한 텍스트나 이미지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실행 영역(400)은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어 입력 수단으로 동작할 수 있는 터치 휠 영역(403)과 확인 키 맵 영역(401)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휠 영역(40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분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터치 휠 영역(403)에 별도의 텍스트 정보나 이 미지 정보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상기 출력 영역(3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텍스트 정보나 이미지 정보를 출력 영역(3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터치 이벤트가 완료되면 상기 출력 영역(300)에서 상기 텍스트 정보나 이미지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 아이템과 관련된 정보 및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보조 실행 영역(500)에 출력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음원 조작을 위한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실행 영역(400)을 새롭게 정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을 위한 실행 영역(400)에 따른 보조 실행 영역(500)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 수단(100)은 도 2에서 제1 터치 휠 영역(403a)에서 제1 터치(T1)가 발생하고, 해당 제1 터치(T1)가 일정 방향 예를 들면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그에 따라 보조 실행 영역(500)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가 변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서 휴대 단말 사용자는 제1 터치 휠 영역(403a)을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 휠 영역(403a)이 터치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출력 영역에 출력되어 있던 "Samples(301)"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즉, "Samples(301)"의 색은 주변 다른 출력 영역(300)의 정보들 예를 들면 아이콘(303)이나 Filter(305)의 색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터치 휠 영역(403a)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다른 터치 휠 영역 즉, 제2 터치 휠 영역(403b) 및 제3 터치 휠 영역(403c)의 구분이 사라지고, 하나의 휠 영역으로 동작한다. 즉, 사용자가 "Samples(301)" 기능을 가지는 제1 터치 휠 영역(403a)을 터치하면, 다른 터치 휠 영역은 제1 터치 휠 영역(403a)의 확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은 제1 터치 휠 영역(403a)을 터치한 이후, 제2 터치 휠 영역(403b) 및 제3 터치 휠 영역(403c) 이었던 부분을 지나면서 제1 터치 휠 영역(403a)과 관련된 드래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터치 휠 영역(403a)이 터치되면, 휴대 단말은 제1 터치 휠 영역(403a)에 매핑되어 있는 기능 예를 들면 DJ 기능의 음장 효과를 선택할 수 있는 리스트를 보조 실행 영역(5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보조 실행 영역(500)은 제1 터치 휠 영역(403a) 활성화에 따라 다양한 샘플들 예를 들면 "2 reverb", "3 Flanger", "4 Delay" 등을 포함하는 음원 조정 목록을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reverb", "Flanger", "Delay" 을 포함하는 음원 조정 목록은 제1 터치 휠 영역(403a) 활성화에 따라 휴대 단말이 제공할 수 있는 음원 조정 효과 샘플들이다. 상기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에 출력 중인 음원 조정 목록은 실행 영역(400)에서 발생하는 드래그 신호에 따라 각 항목들이 자리바꿈을 할 수 있다. 즉, 제1 터치 휠 영역(403a)에서 터치가 발생한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 방향으로 제1 터치(T1)가 이동하는 경우, 휴대 단말은 아래 방향의 드래그 신호가 발생했음을 인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음원 조정 항목들의 자리바꿈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은 보조 실행 영역(500)은 보조 휠 영역(510)을 출력하고, 보조 휠 영역(510)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음원 조정 목록에 포함된 음원 조정 항목들의 자리바꿈을 수행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전체 10개의 음원 조정 항목을 가지는 목록이 존재하고,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에 3개의 음원 조정 항목들이 출력 가능한 경우, 휴대 단말은 발생된 드래그 신호에 따라 일정 순서를 가지는 전체 음원 조정 목록의 각 항목들이 자리바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은 지시되고 있는 항목을 다른 항목과 구분되도록 하기 위하여, 지시되고 있는 항목을 다른 항목들에 비하여 굵은 글씨 및 큰 크기의 폰트로 작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3 Flanger"는 현재 보조 실행 영역에서 지시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휴대 단말은 제1 터치(T1)에 따른 드래그 신호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각 음원 조정 목록들을 자리바꿈을 하면서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에 출력하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은 상기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3 Flanger"를 직접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3 Flanger"에 대응하는 위치의 터치 센서를 초기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실행 영역(500)에서 "3 Flanger"가 선택되는 경우, 이에 대한 조절 즉, 음원 조정 항목의 크기 값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 실행 영역(500)은 상기 "Flanger"를 조절할 수 있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음원 조정 기능 수행을 위한 보조 실행 영역(500)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 사용자가 제1 터치 휠 영역(403a)을 이용하여 샘플 리스트 중 "Flanger"를 지시하고, 해당 Flanger 기능을 현재 멀티미디어 아이템에 적용하기 위하여 확인 키 맵 영역(401)을 터치하여 "Flanger" 기능을 선택한 경우, 휴대 단말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 수단(100)을 가질 수 있다. 즉, 휴대 단말의 표시 수단(100)은 도 3에서 선택된 "Flanger"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 휠 영역(510)과,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을 가지는 보조 실행 영역(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휠 영역(510)은 상기 "Flanger" 기능을 조절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활성화된 영역으로서,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인식하고, 이동에 다른 드래그 신호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의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 사용자는 보조 휠 영역(510)의 특정 지점을 터치 즉, 제2 터치(T2)를 수행하고,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래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보조 휠 영역(510)은 상기 제2 터치(T2) 및 회전에 따른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드래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휴대 단말 제어부는 상기 보조 휠 영역(510)이 전달하는 드래그 신호에 따라 상기 "Flanger" 기능의 조절 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Flanger"의 기능이 크기로 정의되고, 전체 10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 휴대 단말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동작에 따라 10의 크기 중 특정 값을 지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은 상기 "Flanger" 기능의 특정 값이 지시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면을 참조하면,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은 현재 "09"의 크기가 지시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은 상기 보조 휠 영역(510)에서 발생하는 드래그 신호의 방향에 따라 현재 보다 큰 값 또는 작은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특정 값이 지시된 이후, 예를 들면 "09"값이 지시된 이후, 휴대 단말 사용자가 실행 영역(400)의 확인 키 맵 영역(401)을 터치하여 해당 값을 선택하거나, 휴대 단말에 마련된 다른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지시된 크기가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에 출력되고 있는 크기 값에 대응하는 색인들이 각각 터치가 가능한 정보로 표시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은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에서 "09" 색인이 위치하는 영역의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 사용자는 보조 휠 영역(510)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음원 조정 값을 나타내는 색인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할 수 있고, 지시된 색인을 터치 또는 실행 영역을 이용함으로써, 음원 조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실행 영역(400)은 보조 휠 영역(510)이 생성됨으로써, 제1 터치 휠 영역(403a), 제2 터치 휠 영역(403b) 및 제3 터치 휠 영역(403c)의 영역 구분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출력 영역(300)에서 실행 영역(400)의 각 부분 영역들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정보들은 현재 선택된 영역이 없기 때문에 모두 동일한 색 또는 밝기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실행 영역(400)의 확인 키 맵 영역(401)은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보조 실행 영역(500)에서 음원 조정 값 선택을 위한 확인 키 신호 생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음원 조정 기능 수행을 위한 보조 실행 영역(500)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 사용자가 도 3에서 제1 터치 휠 영역(403a) 선택에 따라 활성화된 음원 조정 목록 중 "Flanger"를 지시하고, 실행 영역(400)의 확인 키 맵 영역(401) 또는 직접 터치를 통하여 "Flanger" 기능을 선택한 경우, 휴대 단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조 실행 영역(500)을 포함하는 표시 수단(100)을 가질 수 있다. 즉, 휴대 단말의 보조 실행 영역(500)은 도 3에서 선택된 "Flanger" 기능의 크기 값을 나타내는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은 상기 "Flanger" 기능의 크기 값에 대응하는 색인들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에 출력되는 색인들은 각각 터치가 가능한 정보 즉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 사용자는 보조 휠 영역(510)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음원 조정 값을 나타내는 색인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할 수 있고, 지시된 색인을 터치함으로써, 음원 조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실행 영역(400)은 상기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에 상기 "Flanger" 기능의 크기에 대응하는 색인 값들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터치 휠 영역(403)과,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에 지시되고 있는 색인 값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확인 키 맵 영역(40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터치 휠 영역(403)은 부분 영역의 구분 없이 터치에 따른 휠 기능만을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영역(300)에 출력 중인 "Samples(301)", 아이콘(303) 및 "Filter(305)" 등의 색이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색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3과 비교하면, 제1 터치 휠 영역(403a)이 선택됨에 따라 "Samples(301)"의 색이 다른 정보들과 다른 색 또는 다른 밝기로 표시되었던 것과 같이, 도 5에서 상기 정보들은 모두 동일한 색으로 표시되되, 비활성화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색이나 밝기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휠 영역(403)에서 특정 지점을 터치하는 동작에 따른 터치 발생 즉, 제3 터치(T3)가 발생하고, 상기 제3 터치(T3)가 일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면, 휴대 단말은 상기 드래그 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 정보 표시 영역(520)에 출력 중인 색인 값들을 자리바꿈하여 해당 드래그 신호에 따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색인 값 예를 들면 "09"가 지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확인 키 맵 영역(401)이 선택되거나 직접 터치되면, 휴대 단말은 상기 "Flanger" 기능의 크기 값을 "09"로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화면 인터페이스는 표시 수단(100)에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음원 조정을 위한 다양한 기능 지원 및 특정 기능의 크기 값 조절을 위하여 별도의 화면 전환 과정 없이 동일 화면 상에서 음원 조정을 위한 메뉴 선택과 기능 크기 값 선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특성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샘플 리스트는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특성 목록 예를 들면 음원 조정 목록이 될 수 있으며, 샘 플의 크기는 특성 목록 중 특정 항목 예를 들면 음원 조정 항목의 크기 값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특성 조정 방법은 먼저, 전원 공급에 따른 부팅이 완료된 이후, S101 단계에서 휴대 단말이 기 설정된 화면 예를 들면 메뉴 화면 등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은 S103 단계에서 멀티미디어 아이템 특성 조정을 위한 DJ 기능 요청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은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중에 DJ 기능을 요청할 수 있는 터치 휠 영역을 포함하는 실행 영역을 출력하고, 상기 터치 휠 영역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DJ 기능 요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은 버튼 조작부를 출력하고, 상기 버트 조작부 중 상기 DJ 기능 요청을 위한 버튼이 활성화되면, 해당 DJ 기능 요청을 위한 입력 신호 생성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은 S103 단계에서 DJ 기능 요청이 없는 경우, S105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103 단계에서 DJ 기능 요청을 위한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 휴대 단말은 표시 수단에 보조 실행 영역 및 실행 영역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은 S107 단계에서 보조 실행 영역에 샘플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샘플 리스트는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특성 예를 들면 음원 조정을 위한 메뉴 리스트이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은 S109 단계에서 샘플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샘플이 선택되는지 확인하고, S111 단계에서 해당 샘플 효과를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은 보조 실행 영역에 출력 중인 샘플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샘플을 실행 영역에서 발생하는 드래그 신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샘플 효과 적용을 위하여 선택된 샘플의 크기 값을 조정할 수 있도록 보조 실행 영역에 보조 휠 영역과 보조 정보 표시 영역을 마련하여 현재 특성을 조정하고 있는 샘플의 색인과, 해당 샘플의 크기 값에 대응하는 색인들 중 현재 지시되고 있는 색인을 나타낼 수 있다.
이후, S113 단계에서 휴대 단말은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특성 조정에 대한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 별도의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S1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제어를 위한 휴대 단말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게임단말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의 개략적인 구조를 하기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표시 수단(100)이 터치스크린인 경우를 대표적인 예시 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표시 수단(100)이 반드시 터치스크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OLED, LCD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오디오처리부(1010)와, 입력부(1020)와, 표시 수단(100)과, 저장부(1030) 및 제어부(1040)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표시 수단(100)은 출력 영역(300) 및 실행 영역(400)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1020)는 터치패드 형태의 입력 수단(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010)는 상기 휴대 단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성분(예컨대, 음악파일 재생 등에 따른 오디오신호 등)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010)는 상기 제어부(1040)에서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 Speaker)를 통해 출력한다. 이에 따라, 오디오처리부(1010)는 보조 실행 영역에서 선택된 음원 조정 목록 및 해당 목록의 크기 값 선택에 따라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 시 상기 음원 조정 목록과 설정된 크기 값이 적용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20)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 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04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020)는 사용자의 행위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위한 키패드(Keypad)와 터치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입력 수단(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부(1020)는 터치패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입력이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 수단(200)은 사용자와 휴대 단말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사용자 의 입력을 처리하는 물리적 매개체로, 특히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이벤트를 입력받는 터치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수단(200)은 터치패드에서 입력이벤트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입력이벤트를 상기 제어부(104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40)는 상기 입력이벤트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지시하거나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수단(10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출력 영역(300)과 실행 영역(4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수단(100)이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 수단(100)은 입력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입출력 수단이 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수단(100)은 휴대 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화면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 및 기능 설정 등에 따른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즉, 상기 표시 수단(100)은 상기 휴대 단말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화면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수단(100)은 상기 제어부(1040)로부터 출력되는 여러 신호와 색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아울러, 상기 표시 수단(100)은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입력받는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 수단(100)은 상기 출력 영역(300)과 실행 영역(400)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 영역(300)은 전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음원 조정을 위한 보조 실행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실행 영역은 메뉴에 따라 보조 정보 표시 영역만 출력하거나, 보조 휠 영역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1020)의 입력 수단(200)과 상기 표시 수단(100)은 인접하게 배열되어, 상기 입력 수단(200)의 터치영역과 상기 표시 수단(100)의 실행 영역(400)이 서로 이웃하여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저장부(103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030)는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및 상기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외부 휴대 단말, 퍼스널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상기 휴대 단말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상기 휴대 단말 이용에 따른 여러 설정정보, 현재 선택된 음원 조정 목록에 따른 보조 실행 영역의 세팅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세팅 정보는 선택된 음원 조정 목록에 따라 보조 실행 영역의 환경을 다르게 세팅할 수 있도록 정의된 정보이다. 예를 들면, 상기 세팅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 실행 영역을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시, 멀티미디어 아이템 관련 정보와 재생 정보를 출력하도록 정의한다. 또한 상기 세팅 정보는 음원 조정을 위한 샘플 리스트 선택 기능 지원 시, 해당 샘플 리스트를 출력하는 보조 정보 표시 영역과, 샘플 리스트의 특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보조 휠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세팅 정보는 특정 샘플이 선택된 경우, 상기 보조 실행 영역에서 상기 특정 샘플의 크기 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당 샘플의 색인 값을 출력하는 보조 정보 표시 영역과, 상기 샘플의 색인들 중 어느 하나 를 지시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휠 영역을 정의한다. 여기서, 상기 세팅 정보는 상기 보조 정보 표시 영역에 출력되는 색인들을 직접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터치 세팅을 조정하는 값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40)는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 단말 내의 상기 각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40)는 상기 오디오처리부(1010)와, 상기 입력부(1020)와, 상기 표시 수단(100) 및 상기 저장부(103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40)는 저장부(1030)에 저장된 세팅 정보에 따라, 특정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선택되어 재생되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 아이템에 관련된 정보 및 재생 정보를 보조 실행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40)는 실행 영역(400)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보조 실행 영역의 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40)는 상기 세팅 정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 실행 영역을 보조 표시 영역과 보조 휠 영역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 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40)는 상기 휴대 단말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은 지원 가능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설정 된 통신채널(communication channel)을 형성하여 음성통신(voice call), 화상통신(video telephony call) 및 데이터통신(data call) 등과 같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오디오처리부(1010)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도 7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그 제공 형태에 따라 피사체 촬영을 통해 그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방송수신모듈,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및 인터넷 망과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휴대 단말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 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블록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블록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를 대표적인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 단말 및 그의 동작이 반드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LCD를 구성된 표시부와 키패드 또는/ 및 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동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행 영역 및 보조 실행 영역의 형태를 반원형, 원형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출력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실행 영역 및 보조 실행 영역은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 별 모양, 반구형, 구형 등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행 영역 및 보조 실행 영역은 그 형태로서 한정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조작하는데 있어서, 표시 수단에서 별도의 페이지 넘김이나, 화면 전화 과정 없이, 영역들 간에 서로 연계된 입력 신호 생성 관계 또는 정보 출력 관계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을 용이하게 지원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실행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수단에 해당하는 화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조정 목록을 표시하는 보조 실행 영역에 해당하는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원 조정 항목 크기 값 조절을 위한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원 조정 항목 크기 값 조절을 위한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휴대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Claims (19)

  1.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음원 조정을 위한 정보가 표시되는 보조 실행 영역과, 상기 보조 실행 영역에 출력되는 정보를 지시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실행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수단;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및 상기 음원 조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행 영역은
    터치 및 드래그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휠 영역;
    선택에 따라 확인키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확인 키 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실행 영역은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음원 조정을 위한 기능 수행 시 상기 음원 조정 목록 및 상기 음원 조정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음원 조정 항목의 크기 값에 대응하는 색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보조 정보 표시 영역; 및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음원 조정 목록 중 어느 하나의 항목 선택하기 위한 입력신호 및 상기 선택된 음원 조정 항목의 크기 값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보조 휠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 표시 영역은
    상기 터치 휠 영역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라 출력 중인 음원 조정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목록들을 자리바꿈하여 표시하거나, 음원 조정 기능 크기 값에 대응하는 색인들을 자리바꿈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휠 영역은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시 특정 기능들이 각각 할당된 부분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휠 영역은
    상기 부분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부분 영역이 선택되면, 선택된 부분 영역 이외의 다른 부분 영역들은 선택된 부분 영역의 휠 영역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휠 영역은
    상기 음원 조정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제1 터치 휠 영역;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시 볼륨 조정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제2 터치 휠 영역;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시 필터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제3 터치 휠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터치 휠 영역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음원 조정 목록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 표시 영역은
    상기 음원 조정 목록을 터치 시, 상기 터치에 따른 해당 목록 선택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 표시 영역은
    상기 음원 조정 목록 중 특정 음원 조정 목록이 선택되면, 해당 음원 조정 기능의 크기 값에 대응하는 색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정보 표시 영역은
    상기 색인들 터치 시, 상기 터치에 따른 해당 색인 값 선택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11.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에 따른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관련 정보 및 재생 정보를 표시 수단의 보조 실행 영역에 출력하는 과정;
    터치 휠 영역과 확인 키 맵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수단에 출력되는 실행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음원 조정 기능을 선택하는 과정;
    상기 음원 조정 기능 선택에 따라 상기 음원 조정을 위한 목록을 상기 보조 실행 영역에 출력하는 과정;
    상기 실행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 실행 영역에 출력된 상기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목록 선택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 선택 과정은
    상기 목록이 표시되는 위치의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목록 터치 시, 터치에 따른 해당 목록 선택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조정 기능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 휠 영역을 부분 영역으로 분할하는 과정;
    상기 부분 영역별로 상기 음원 조정 기능, 볼륨 조정 기능, 필터 기능을 할당하는 과정;
    상기 음원 조정 기능이 할당된 부분 영역에서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음원 조정 기능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조정 기능 선택 시, 나머지 부분 영역은 상기 음원 조정 기능의 휠 영역으로서 동작하도록 상기 부분 영역들을 세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실행 영역 내에 터치 이벤트에 따라 음원 조정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보조 휠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음원 조정 기능의 크기 값에 대응하는 색인들을 상기 보조 실행 영역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색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크기 값을 결정하는 결정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실행 영역 내에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색인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보조 휠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색인들이 위치한 영역의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색인 터치 시, 해당 색인 값을 결정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방법.
KR1020090006197A 2009-01-23 2009-01-23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 KR101545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197A KR101545875B1 (ko) 2009-01-23 2009-01-23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
US12/690,279 US8516394B2 (en) 2009-01-23 2010-01-20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characteristics of a multimedia item
EP10151224.2A EP2211261B1 (en) 2009-01-23 2010-01-20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characteristics of a multimedia item
CN201010105493.7A CN101789250B (zh) 2009-01-23 2010-01-22 调整多媒体项的特性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197A KR101545875B1 (ko) 2009-01-23 2009-01-23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788A KR20100086788A (ko) 2010-08-02
KR101545875B1 true KR101545875B1 (ko) 2015-08-20

Family

ID=4165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197A KR101545875B1 (ko) 2009-01-23 2009-01-23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16394B2 (ko)
EP (1) EP2211261B1 (ko)
KR (1) KR101545875B1 (ko)
CN (1) CN1017892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4526C2 (nl) * 2000-02-29 2001-08-30 N2It Dev B V I O Schijf te gebruiken in een inrichting voor signaalbewerking, alsmede een dergelijke inrichting.
KR20100086678A (ko) * 2009-01-23 2010-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12209766A (ja) 2011-03-30 2012-10-25 Yamaha Corp コントローラー
CN102681775A (zh) * 2012-04-13 2012-09-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区域控制方法、系统及移动终端
KR101374353B1 (ko) 2012-10-18 2014-03-17 광주과학기술원 음향 재생 장치
US9652136B2 (en) * 2013-02-05 2017-05-1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a slider interface element
US9817548B2 (en) * 2013-05-20 2017-11-14 Citrix Systems, Inc. Providing enhanced user interfaces
US9098180B1 (en) * 2013-08-29 2015-08-04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personalized radio station creation
CN104516720B (zh) * 2013-09-26 2018-08-0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音量调节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D802008S1 (en) * 2014-11-24 2017-11-07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GB2537348A (en) * 2015-03-23 2016-10-19 Motivii Ltd User input mechanism
KR20170024365A (ko) * 2015-08-25 2017-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201267A (zh) * 2016-07-09 2016-12-07 王静 一种设置多参数的方法
CN106354418B (zh) * 2016-11-16 2019-07-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触摸屏的操控方法和装置
USD823330S1 (en) 2017-01-13 2018-07-1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77763S1 (en) * 2018-05-07 2020-03-10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0050S1 (en) * 2019-03-22 2021-02-0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5141A1 (en) * 2007-01-05 2008-07-10 Apple Inc.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0771B1 (en) * 1999-05-13 2004-03-2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edium
JP2001075712A (ja) * 1999-08-31 2001-03-2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7254785B2 (en) * 2000-02-17 2007-08-07 George Reed Selection interface system
JP4701564B2 (ja) * 2001-08-31 2011-06-15 ソニー株式会社 メニュー表示装置及びメニューの表示方法
EP1510911A3 (en) * 2003-08-28 2006-03-2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cont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050262451A1 (en) * 2003-10-09 2005-11-24 Jesse Remignanti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hanging parameters
JP2008506183A (ja) * 2004-07-08 2008-02-28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自動的に生成されたコンテンツのインポート
US7653883B2 (en) * 2004-07-30 2010-01-26 Apple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US20070024577A1 (en) * 2005-07-27 2007-02-01 Mikko Nurmi Method of controlling software function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7574672B2 (en) * 2006-01-05 2009-08-11 Apple Inc. Text entry interface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7603633B2 (en) * 2006-01-13 2009-10-13 Microsoft Corporation Position-based multi-stroke marking menus
ATE527833T1 (de) * 2006-05-04 2011-10-15 Lg Electronics Inc Verbesserung von stereo-audiosignalen mittels neuabmischung
TWI325551B (en) * 2006-12-29 2010-06-01 Htc Corp Input methods, and electronic devices thereof
KR20090005680A (ko) * 2007-07-09 2009-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원통형 입체 형상의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gui 제공방법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US8295494B2 (en) * 2007-08-13 2012-10-23 Lg Electronics Inc. Enhancing audio with remixing capability
US20090058801A1 (en) * 2007-09-04 2009-03-05 Apple Inc. Fluid motion user interface control
KR100930563B1 (ko) * 2007-11-06 2009-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방송채널 또는 방송채널 리스트 전환 방법
KR100973354B1 (ko) * 2008-01-11 2010-07-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메뉴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7941765B2 (en) * 2008-01-23 2011-05-10 Wacom Co., Ltd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variables using a radial control menu
US20090290725A1 (en) * 2008-05-22 2009-11-26 Apple Inc. Automatic equalizer adjustment setting for playback of media assets
KR101565378B1 (ko) * 2008-09-03 201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5141A1 (en) * 2007-01-05 2008-07-10 Apple Inc.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92104A1 (en) 2010-07-29
EP2211261B1 (en) 2018-11-14
EP2211261A2 (en) 2010-07-28
EP2211261A3 (en) 2014-07-09
KR20100086788A (ko) 2010-08-02
CN101789250B (zh) 2014-09-03
US8516394B2 (en) 2013-08-20
CN101789250A (zh)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875B1 (ko)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
KR10152397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기능 수행 방법
JP5705131B2 (ja) 異種のタッチ領域を利用した電子機器の動作制御方法及び装置
KR101538705B1 (ko)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426718B1 (ko) 휴대단말기에서 터치 이벤트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 및방법
CN101309311B (zh) 双向滑动式移动通信终端及其提供图形化用户界面的方法
US2011008798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 interface and touch interface method
US201302547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loating user interface
KR20100081577A (ko) 휴대단말에서 오브젝트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US8225236B2 (en) Displaying active cursor in mobile terminal
US20090179867A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i) to display operating guide and multimedia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80256472A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hanging the mode of the terminal
JP2012141978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含む装置及びその装置のスクロール方法
JP2007272904A (ja) 画面表示項目を選択する端末機及び方法
KR20120092487A (ko) 휴대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KR20090085470A (ko) 아이템 또는 바탕화면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감지하는터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CN101160932A (zh) 具有菜单和子菜单结构的水平和竖直显示的移动通信终端
KR20080073868A (ko) 단말기 및 메뉴표시방법
KR101650339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00134948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
KR20100086678A (ko)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130068313A (ko) 시간차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00097376A (ko) 이종의 터치영역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0116028A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apparatus
KR20140096573A (ko)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