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678A -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678A
KR20100086678A KR1020090006021A KR20090006021A KR20100086678A KR 20100086678 A KR20100086678 A KR 20100086678A KR 1020090006021 A KR1020090006021 A KR 1020090006021A KR 20090006021 A KR20090006021 A KR 20090006021A KR 20100086678 A KR20100086678 A KR 20100086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item
area
information
operation uni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원
윤중삼
지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6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6678A/ko
Priority to US12/690,269 priority patent/US20100188351A1/en
Priority to EP10151269.7A priority patent/EP2214174A3/en
Priority to CN201010105317A priority patent/CN101789249A/zh
Publication of KR20100086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1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paper articles, e.g. booklets, news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53Forms specially designed for commercial use, e.g. bills, receipts, offer or order sheets, coup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73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5/0086Sheet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 B42D15/04Foldable or multi-part cards or sheets
    • B42D15/045Multi-part cards or sheets, i.e. combined with detachably mounted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표시 수단을 출력 영역과 실행 영역으로 구성하며, 상기 출력 영역에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디스크 형태의 디스크 조작부를 마련함으로써, 디스크 조작부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을 직관적이며 빠르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휴대 단말, 디스크, 출력영역, 실행영역, 멀티미디어 아이템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OF MULTIMEDIA ITEM}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의 표시수단에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디스크 조작부를 출력하고, 상기 디스크 조작부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 제어를 보다 빠르고 직관적이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휴대 단말에서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보다 다양한 사용자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및 그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휴대 단말에서 멀티미디어 아이템 예를 들면, 음악 컨텐츠에 대한 재생 시, 휴대 단말에서는 표시수단을 통해 음악 컨텐츠에 해당하는 음원 정보 및 이미지 정보 등에 대응하는 오브젝트(object)를 제공한다. 아울러, 휴대 단말에서는 상기 오브젝트 외에 재생 진행 바(progress bar) 또는 그래픽 이퀄라이저(graphic equalizer) 등의 오브젝트를 통해 음악 컨텐츠가 재생 중임을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휴대 단말에서 제공하는 음악 컨텐츠 재생에 따른 사용자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는 재생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을 위한 제어 수단으로서 "재생", "다음곡 선택", "이전곡 선택", "일시 중지" 등을 위한 버튼만을 제공함으로써, 아이템 재생 제어가 매우 단순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음악 컨텐츠에 대한 다양한 조작 행위가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제어에 있어 직관적이며 편리하고 보다 빠른 조작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에 있어서, 휠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휠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를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선택 또는 재생 시 출력하는 표시 수단;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아이템과 상기 조작부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을 정의한 기능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조작부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와 상기 기능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방법은,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재생을 위해 선택되는 과정; 휠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휠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를 출력하는 과정;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아이템과 상기 조작부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을 정의한 기능 설정 정보를 로딩하는 과정; 상기 조작부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와 상기 기능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을 보다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러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제어를 위한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출력 영역(300)과 실행영역(400)이 위치하는 표시 수단(100)과, 입력 수단(200) 및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K)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입력 수단(200)에서 발생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메뉴 화면을 출력하고, 출력된 메뉴 화면 중에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선택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수단(100)의 일정 영역을 출력 영역(300)으로 설정하고, 해당 출력 영역(300)에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은 상기 표시 수단(100)의 다른 영역을 실행영역(4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실행영역(400)은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터치 휠(403) 및 확인 키 맵(4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은 메뉴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아이템 리스트를 출력하는 출력 영역(300)과 실행영역(400)을 포함하도록 표시 수단(100)이 변경되면, 터치 센서를 리셋하여 출력 영역(300)의 터치 센서는 비활성화하며, 실행영역(400)의 터치 센서는 해당 영역 즉, 터치 휠(403) 영역과 확인 키 맵(401) 영역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시 수단(100)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 수단(100)은 표시 패널과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저장부에 저장된 다양한 컨텐츠 재생에 따른 화면이나 휴대 단말의 기능 활성화에 따른 이미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전체 영역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에 출력된 일정 이미지들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 터치에 대한 효과를 제공하도록 부분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센서는 휴대 단말의 제어부 제어에 따라 표시 패널 전체에서 활성화되거나, 일정 영역은 활성화되고 타 영역은 비 활성화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터치 센서는 출력 영역(300)에서 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며, 실행영역(400)에서는 해당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영역 즉, 터치 휠(403) 영역과 확인 키 맵(401) 영역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실행영역(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휠(403) 영역과 확인 키 맵(401)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휠(403) 영역은 도시된 바와 같은 반원형 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 휠(403)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 휠(403) 영역의 특정 지점을 터치 다운하고, 터치 다운 상태를 유지하면서 표시 수단(100)의 표면을 이동하는 드래그 동작을 수행할 경우, 실행 영역(400)은 드래그 동작의 방향을 감지하고, 이를 휴대 단말의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방향 감지에 따라 출력 영역(300)에 출력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지정하는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인 키 맵(401) 영역은 출력 영역(300)에 출력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중 상기 하이라이트가 지시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 신호를 터치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가 출력 영역(300)의 "Sample1"을 지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확인 키 맵(401) 영역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확인 키 맵(401)은 "Sample1"을 선택함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영역(300)은 상기 실행영역(400)을 제외한 표시 수단(100)의 나머지 영역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 영역(300)은 제어부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메뉴를 출력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출력 영역(300)은 4개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즉 "Sample1, Sample2, Sample3, Sample4"을 나타내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수의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출력할 수 있다. 많은 수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출력 시, 출력 영역(300)은 표시 수단(100)의 전체 공간을 고려하여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 아이템 색인 정보 예를 들면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출력 영역(300)은 기 설정된 개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리스트를 출력하고 추가적인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스크롤바를 출력할 수 있다. 스크롤바가 출력중인 경우, 사용자는 실행영역(400)의 터치 휠(403)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킴으로서, 별도의 스크롤바 운용을 위한 터치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상기 입력 수단(200)은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수단(200)은 표시 수단(100)의 터치 휠(403) 영역 및 확인 키 맵(401) 영역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것에 비하여 하드웨어로 구현되어 변경이나 이동이 없다. 즉, 상기 입력 수단(200)은 고정된 버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입력 수단(200)은 휠 패드(203) 영역과 확인 키(201)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휠 패드(203)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다운 동작이 유지되면서 이동하는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는 영역이다. 즉, 휠 패드(203) 영역은 터치 휠(403)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지원한다. 상기 확인 키(201) 영역은 상기 확인 키 맵(401) 영역과 동일한 기능을 지원하는 영역으로서, 터치 시 확인 키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수단(200)과 상기 실행영역(400)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로 서로 구별되어 있지만, 외관으로는 소프트웨어의 일정 영역과 하드웨어의 일정 영역이 서로 맞닿아 있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실질적으로 동작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실행영역(400)의 휠 패드(203)와 상기 터치 휠(403)은 서로 연결되어 환형 띠 형태의 휠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행영역(400)의 확인 키 맵(401) 영역과 상기 입력 수단(200)의 확인 키(201) 영역은 두 곳 중 적어도 한 곳에서 발생하는 터치에 대응하여 동일한 입력 신호 예를 들면 "확인"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 사용자가 휠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실행영역(400)과 입력 수단(200) 영역의 경계점에서도 휠 입력 신호를 끊어짐 없이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터치 휠(403)에서부터 발생하는 터치 신호와 휠 패드(203)에서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동일한 동작을 위한 입력 신호로서 인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확인 키 맵(401) 영역과 확인 키(201) 영역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하나의 확인 키 입력 신호로서 인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력 영역(300)에 출력 중인 멀티미디어 아이템 중 어느 하나가 지시된 상태에서 실행영역(400) 및 입력 수단(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확인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지시된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상기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 제어를 보다 직관적이며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제어를 위한 표시 수단(100)의 일예를 나타낸 화면 인터페이스이다. 설명에 앞서, 이하 설명에서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제어를 위한 조작부로서 디스크 형태를 가지는 디스크 조작부를 도시하며 또한 그에 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조작부는 다양한 모양 예를 들면, 별모양, 다각형 모양, 구 모양, 볼록 렌즈 또는 오목 렌즈 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 수단(100)은 디스크 조작부(500), 버튼 조작부(550), 실행영역(400) 및 출력 영역(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크 조작부(500)의 일정 영역, 버튼 조작부(550) 및 실행영역(400)은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각각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크 조작부(500)의 일정 영역, 버튼 조작부(550) 및 실행영역(400)은 입력 수단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은 상기 디스크 조작부(500)의 일정 영역, 버튼 조작부(550) 및 실행영역(400)에 배치된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조작부(550)는 사용자의 설정이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표시 수단(100)에서 제거되거나, 옵션으로 제공된 후, 설정에 따라 표시 수단(10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조작부(500)는 도 1에서 출력 영역(300)에 출력된 멀티미디어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는 경우,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Sample1"이 활성화되는 경우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Sample1"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크 조작부(500)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디스크 조작부(500)는 휠 영역(510), 제1 정보 표시 영역(520), 제2 정보 표시 영역(530) 및 기준 마크 영 역(5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 영역(510)은 사용자의 터치 다운 및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드래그에 대응하여 휠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영역이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 사용자는 상기 휠 영역(510)의 특정 지점을 터치 다운한 이후, 휠 영역(510)의 이미지에 따라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하는 방향으로의 휠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휠 영역(510)은 터치 이벤트에 따라 휠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휠 영역(510)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터치 이벤트의 방향 즉, 드래그의 방향뿐만 아니라 드래그의 속도에 관한 정보도 함께 수집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휠 영역(510)에서 발생하는 드래그에 대하여 어떠한 방향으로 어떠한 속도를 가지며 드래그가 발생했는지를 검출하고, 이를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 제어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정보 표시 영역(520)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아이템에 관한 특정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즉,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음악 컨텐츠이며, 음악 컨텐츠가 앨범 표지 등과 같은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 표시 영역(520)은 제어부 제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악 컨텐츠가 컨텐츠의 장르나 곡의 특성 또는 가수명 등과 같은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 표시 영역(520)은 제어부 제어에 따라 상술한 텍스트 정보를 출력할 수 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정보 표시 영역(520)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에 종속된 앨범 이미지 등일 수 있으나, 휴대 단말에서 제공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른 디폴트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은 제1 정보 표시 영역(520)에 출력될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옵션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메뉴 옵션을 이용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제1 정보 표시 영역(52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미지가 동화상 이미지인 경우, 상기 제1 정보 표시 영역(520)에 해당 동화상 이미지를 출력할 수 도 있다. 별도의 설정이 없는 경우, 휴대 단말은 디폴트로 설정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정보 표시 영역(520)에 표시되고 있는 정보는 재생 속도에 따라 회전하면서 출력될 수 도 있다.
상기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은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과 관련한 정보를 출력하는 영역이다. 즉,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예를 들어 음악 컨텐츠인 경우, 상기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은 음악 컨텐츠 재생 시간과 같은 재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은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선택된 상태에서 초기 값으로는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전체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4분 30초의 재생 시간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존재한다면,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은 최초 4분 30초의 재생 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은 사용자 요청 또는 자동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재생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현재 재생 구간에 해당하는 시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준 마크 영역(540)은 상기 휠 영역(510)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휠 영역(510)이 동작하는 동안 회전하는 휠 영역(510)의 기준을 제공하는 영역이다. 즉, 상기 기준 마크 영역(540)은 휴대 단말 사용자가 휠 영역(510)에 드래그를 수행하여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얼마만큼의 회전이 발생하였는지를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기준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준 마크 영역(540)은 제1 정보 표시 영역(520)에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정보 표시 영역(520) 및 제2 정보 표시 영역(530)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준 마크 영역(540)은 제1 정보 표시 영역(520)에 출력되는 동안 제1 정보 표시 영역(520)에 기 출력 중인 정보들의 가독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 정보 표시 영역(520)에 일정 투명도를 가지며 오버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준 마크 영역(540)은 제1 정보 표시 영역(520)과 같이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 속도에 따라 회전하면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버튼 조작부(550)는 다수개의 버튼 예를 들면 제1 버튼(551), 제2 버튼(553), 제3 버튼(555) 및 제4 버튼(557)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조작부(550)는 휴대 단말의 지원 여부에 따라 더 많은 수 또는 더 적은 수의 버튼을 출력 영역(3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조작부(550)에 포함되는 각 버튼들은 현재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 제어와 관련하여 특정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버튼들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버튼(551)은 현재 활성화 중인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 종료를 지시할 수 있는 버튼이다. 휴대 단말 사용자는 상기 제1 버튼(551)을 터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 제어부는 현재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을 종료시키고, 이전 화면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아이템 리 스트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기 설정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버튼(553)은 녹음 또는 녹화를 지시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이다. 휴대 단말 사용자는 제2 버튼(553)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기반으로 특정 작업을 수행한 이후, 작업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3 버튼(555)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분당 비트 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제3 버튼(555)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 사용자가 휠 영역(510)을 조정하는 경우 조정된 휠 영역(510)에 대응하는 만큼의 분당 비트 수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 사용자는 제3 버튼(555)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아이템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음원의 속도를 비트를 현재보다 빠르게 또는 느리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4 버튼(557)은 도 1에서 선택된 멀티미디어 아이템에 관하여 DJ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버튼이다. 휴대 단말 사용자는 제4 버튼(557)을 활성화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아이템에 대해 DJ 기능을 이용하여 재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제1 버튼 내지 제4 버튼(557)은 재생 종료, 녹음, BPM(Bit Per Minute), DJ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버튼들은 다른 기능들 예를 들면, 음원 추가 기능, 음원 제거 기능 등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들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출력 영역(300)은 상기 디스크 조작부(500)와 버튼 조작부(550) 및 실행영역(400)을 제외한 영역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의도에 따라 특정 색으로 배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크 조작부(500)와 버튼 조작부(550) 및 실행영역(400)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출력 영역(300)은 상기 디스크 조작 부(500)와 버튼 조작부(550) 및 실행영역(400)에 할당된 색과 대비되는 색 또는 상기 구성들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영역(300)은 기타 정보 예를 들면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아이템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나 이미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영역(300)은 상기 실행영역(400)의 터치 휠(403) 영역을 키 맵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 휠(403) 영역 중 부분 영역을 지시하고, 지시된 부분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텍스트나 이미지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출력 영역(300)은 터치 휠(403) 영역 중 상단부에 "메뉴1"을 나타내는 텍스트 정보 및 "메뉴1"을 실행하기 위한 터치 휠(403) 영역을 지시하는 지시바, 터치 휠(403) 영역 중 중단부에 "메뉴2"를 나타내는 텍스트 정보 및 "메뉴2"를 실행하기 위한 터치 휠(403) 영역을 지시하는 지시바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영역(300)에 출력되는 텍스트 정보나 이미지 정보 등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음악 컨텐츠인 경우,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는 음악 컨텐츠와 관련된 메뉴 예를 들면, 음 소거 기능, 음악 컨텐츠 리스트 출력 기능 등에 대응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사진 등인 경우,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는 사진 관련 메뉴 예를 들면, 사진 삭제 기능 등에 대응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실행영역(400)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터치 휠(403) 영역과 확인 키 맵(40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휠(403)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기능 을 수행하기 위한 부분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터치 휠(403) 영역에 별도의 텍스트 정보나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상기 출력 영역(3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텍스트 정보나 이미지 정보를 출력 영역(3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터치 이벤트가 완료되면 상기 출력 영역(300)에서 상기 텍스트 정보나 이미지 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 제어를 디스크 조작부(500) 및 버튼 조작부(550)를 이용하여 보다 직관적이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상술한 디스크 조작부(500)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 제어를 수행하는 것에 대하여 화면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제어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수단(100)은 디스크 조작부(500)와 버튼 조작부(550) 및 출력 영역(300)과 실행영역(400)을 포함하며, 디스크 조작부(50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일정 방향 여기서는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 사용자는 디스크 조작부(500)의 특정 지점 예를 들면, 휴대 단말의 전방을 기준으로 하여 환형 띠 형태 휠 영역(510)의 제1 상단 중앙부분(A1)을 터치한 이후, 오른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 만큼 드래그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크 조작부(500)는 휴대 단말의 전방을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어 제1 상단 중앙부분(A1)의 터치 치점이 제1 일정 각도 지점(A2)으로 이동한다. 이때, 기준 마크 영역(540)은 상기 일정 각도만큼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휴대 단말의 전방을 기준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는 기준 마크 영역(540)은 휠 영역(510)에서 발생한 오른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1 정보 표시 영역(520)에 출력된 텍스트 정보나 이미지 정보는 휠 영역(510)에서 발생한 드래그에 관계없이 동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정보 표시 영역(520)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나 이미지 정보도 오른쪽 방향으로 상기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출력되고 있는 이미지는 휠 영역(510)에서 발생한 드래그에 따라 오른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에 출력 중 인 재생 정보도 휠 영역(510)에서 발생한 드래그에 따라 오른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출력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없이 이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휠 영역(510)에 오른쪽 방향의 드래그가 발생하면, 제1 정보 표시 영역(520)과 기준 마크 영역(540)은 상기 오른쪽 방향의 드래그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드래그 입력 신호가 적용되고 있음을 명확히 지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에 출력된 재생 정보는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하여 회전에 관계없이 도 2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은 회전 방향에 따라 변경된 재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 영역(510)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할 경우, 현재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을 앞쪽으로 진행 즉, 빨리 감기 또는 빨리 감으면서 재생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 제어부는 오른쪽 방향의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면, 도 2에서 2분 10초의 재생 시간이 회전량에 따라 빨리 감겨진 상태인 2분 17초의 재생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사용자가 드래그 이후, 터치 다운 상태를 유지할 경우,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에 대하여 일시 중지 기능에 따른 재생 정보를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은 터치 다운이 해제되면, 현재 변경된 재생 정보인 2분 17초부터 재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휠 영역(510)에서 드래그 이후 터치 다운이 해제되면, 휴대 단말 제어부는 제1 정보 표시 영역(520)에 표시되는 텍스트 정보나 이미지 정보를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 제어부는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에 표시된 재생 정보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 지점에서부터 재생과는 다르게, 상기 휴대 단말 제어부는 터치 다운이 해제되면 최초 터치된 지점으로 모든 정보를 복귀시킬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일정 각도 지점(B2)에서 유지되고 있는 터치 다운이 해제되면, 휴대 단말 제어부는 제1 정보 표시 영역(520) 및 기준 마크 영역(540)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복귀시킴과 아울러,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의 재생 정보도 도 2에 도시된 시점인 2분 10초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 제 어부는 제1 정보 표시 영역(520)과 기준 마크 영역(540)을 회전된 일정 각도만큼 반대로 회전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여 도 2에 도시된 지점으로 이동되고 있음을 가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 측면을 살펴보면, 도 2 상태에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일정 부분을 건너뛰기 또는 빠르게 감기를 하고 싶은 경우, 휴대 단말은 도 3에서와 같이,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일정 부분을 건너뛰거나 빠르게 감은 이후부터 해당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추가적인 드래그 신호 발생을 지원하기 위하여, 터치 다운이 해제되면, 상기 제1 정보 표시 영역(520)과 기준 마크 영역(540)은 도 2에서와 같은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 제어부는 사용자가 2분 10초에서 2분 17초 사이에 재생을 드래그 속도에 따라 재생하고,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또는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음악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는 해당 구간 즉, 2분 10초에서 2분 17초 사이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드래그 속도에 따라 빠르게 또는 느리게 들을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 제어부는 터치 다운이 해제된 시점에서 도 2에 도시된 지점으로 자동 복귀하도록 제어한 이후, 2분 10초부터 기 설정된 속도로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상기 휴대 단말 제어부는 오른쪽 방향 드래그 신호에 대하여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속도를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 제어부는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 신호가 발생한 경우, 멀티미디어 아이템 의 재생 속도를 드래그 속도에 따라 일정 배속 예를 들면, 2배속, 3배속, 4배속 등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아이템은 드래그 속도에 따라 변경된 배속에 대응하도록 재생된다. 상기 휴대 단말 제어부는 상술한 디스크 조작부(500) 기능들이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버튼 조작부(550) 선택에 따라 디스크 조작부(500) 기능이 지원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디스크 조작부 기능들은 버튼 조작부(550)에 마련된 기능 선택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제어부는 버튼 조작부(550)에서 제4 버튼(557)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터치 다운 해제 시 모든 정보를 터치 시점으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하며, 제4 버튼(557)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1 일정 각도 지점(A2)부터 재생하도록 하는 건너뛰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제어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수단(100)은 디스크 조작부(500)와 버튼 조작부(550) 및 출력 영역(300)과 실행영역(400)을 포함하며, 디스크 조작부(50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왼쪽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 사용자는 디스크 조작부(500)의 특정 지점 예를 들면, 휴대 단말의 전방을 기준으로 하여 환형 띠 형태 휠 영역(510)의 제2 상단 중앙부분(B2)을 터치한 이후, 왼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드래그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크 조작부(500)는 휴대 단말의 전방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어 제2 상단 중앙부분(B2)의 터치 치점이 제2 일정 각도 지점(B2)으로 이동한다. 이때, 기준 마크 영역(540)은 상기 일정 각도만큼 왼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휴대 단말의 전방을 기준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는 기준 마크 영역(540)은 휠 영역(510)에서 발생한 왼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1 정보 표시 영역(520)에 출력된 텍스트 정보나 이미지 정보는 휠 영역(510)에서 발생한 드래그에 관계없이 동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정보 표시 영역(520)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나 이미지 정보도 왼쪽 방향으로 상기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출력되고 있는 이미지는 휠 영역(510)에서 발생한 드래그에 따라 왼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에 출력 중 인 재생 정보도 휠 영역(510)에서 발생한 드래그에 따라 왼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출력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없이 이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휠 영역(510)에 왼쪽 방향의 드래그가 발생하면, 제1 정보 표시 영역(520)과 기준 마크 영역(540)은 상기 왼쪽 방향의 드래그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드래그 입력 신호가 적용되고 있음을 명확히 지시할 수 있다.
한편,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은 도 3에서와 유사하게 회전 방향에 따라 변경된 재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 영역(510)에서 왼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할 경우, 현재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을 뒤쪽으로 진행 즉, 되감기 또는 되감으면서 재생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 제어부는 왼쪽 방 향의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면, 도 2에서 2분 10초의 재생 시간에서 회전량에 따라 되감겨진 상태인 2분 01초의 재생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의 제어부는 도 3에서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드래그 이후, 터치 다운 상태를 유지할 경우,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의 2분 01초는 일시 중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은 터치 다운이 해제되면, 현재 변경된 재생 정보인 2분 01초부터 재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휠 영역(510)에서 드래그 이후 터치 다운이 해제되면, 휴대 단말 제어부는 제1 정보 표시 영역(510)에 표시되는 텍스트 정보나 이미지 정보의 회전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 제어부는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에 표시된 재생 정보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휴대 단말 제어부는 터치 다운이 해제되면 최초 터치된 지점으로 모든 정보를 복귀시킬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일정 각도 지점(B2)에서 유지되고 있는 터치 다운이 해제되면, 휴대 단말 제어부는 제1 정보 표시 영역(520) 및 기준 마크 영역(540)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복귀시킴과 아울러, 제2 정보 표시 영역(530)의 재생 정보도 도 2에 도시된 시점인 2분 10초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 제어부는 제1 정보 표시 영역(520)과 기준 마크 영역(540)을 회전된 일정 각도만큼 반대로 회전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여 도 2에 도시된 지점으로 이동되고 있음을 가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측면에서 살펴보면, 도 2 상태에서 사용자가 멀티미 디어 아이템의 일정 부분을 다시 듣고 싶은 경우, 휴대 단말 제어부는 도 4에서와 같이,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이미 재생되어 지나간 일정 부분으로 되감기를 하여 다시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추가적인 드래그 신호 발생을 지원하기 위하여, 터치 다운이 해제되면, 상기 제1 정보 표시 영역(520)과 기준 마크 영역(540)은 도 2에서와 같은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 제어부는 사용자가 2분 10초에서 2분 01초 사이에 재생을 드래그 속도에 따라 재생하고,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또는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음악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는 해당 구간 즉, 2분 10초에서 2분 01초 사이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드래그 속도에 따라 빠르게 또는 느리게 거꾸로 들을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 제어부는 터치 다운이 해제된 시점에서 자동으로 도 2에 도시된 지점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한 이후, 2분 10초부터 기 설정된 속도로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 제어부는 도 2에서의 빨리 감기 속도 조절과 상반되게 왼쪽 방향 드래그 신호에 따라 되감기 속도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 사용자는 오른쪽 방향 드래그 신호로 빨리 감기 속도를 조정한 이후, 이전 속도 또는 속도 감소를 위하여 왼쪽 방향으로 일정 속도를 가지는 드래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왼쪽 방향 드래그 및 오른쪽 방향 드래그에 따른 특정 기능 수행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왼쪽 방향 드래그와 오른쪽 방향 드래그를 적절히 사용 하여 DJ 기능에서의 스크래치(Scratching)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 단말은 오른쪽 방향 드래그 또는 왼쪽 방향 드래그에 따라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을 제어한다. 즉,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오디오 컨텐츠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은 오른쪽 방향 또는 왼쪽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면 휴대 단말 제어부는 해당 드래그 속도에 따라 오디오 재생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스크래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휠 영역(510)의 상단 중앙부분을 최초 터치 지점으로 설정하고 오른쪽 방향 또는 왼쪽 방향 드래그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는 휠 영역의 휠 영역(510)의 특정 지점을 최초 터치 지점으로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지점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술한 재생 제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화면 인터페이스는 표시 수단(100)에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 제어를 조작할 수 있는 디스크 조작부(500)를 마련하여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다양한 재생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은 버튼 조작부(550)를 마련하여,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이용하는 목적에 따라 디스크 조작부(500)의 재생 제어를 보다 다양하게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방법은 먼저, 전 원 공급에 따른 부팅이 완료된 이후, 기 설정된 화면 예를 들면 메뉴 화면이 S101 단계에서 표시 수단에 출력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은 S103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은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고, 특정 멀티미디어 아이템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리스트가 출력된 표시 수단의 출력 영역에 하이라이트 기능을 지원하고, 하이라이트를 조정할 수 있도록 방향키 기능을 가지는 실행 영역을 표시 수단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 수단에 이미지 형태로 출력되며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어 있는 실행 영역에 포함된 터치 휠 영역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를 조정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실행 영역의 확인 키 맵 영역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가 지시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은 휠 패드 및 확인 키를 가지는 터치 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 사용자는 실행 영역 대신 상기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동일한 동작 수행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선택된 이후, 휴대 단말은 S105 단계에서 재생 제어 기능 수행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105 단계에서 재생 제어 기능 수행 요청이 없는 경우, 휴대 단말은 S107 단계에서 선택된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기반으로 하는 기능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외부 전송이나, 멀티미디어 아이템 삭제, 멀티미디어 아이템 분류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 제어 기능 수행 요청은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휴대 단말은 S107 단계를 생략하고, S103 단계에서 바로 S109 단계로 진입할 수 있을 것이다. 멀티미디어 아이템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재생 제어 기능 수행 요청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은 재생 제어 기능 수행 요청을 위한 버튼 등을 표시 수단(100)에 출력하거나,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는 항목으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버튼이나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S105 단계에서 기능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재생 제어 기능 수행 요청이 있는 경우, 휴대 단말은 S109 단계로 진입하여 재생 제어 기능 지원을 위한 디스크 조작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은 디스크 조작부를 보조하기 위한 버튼 조작부(550)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디스크 조작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형 띠 형태의 휠 영역과, 선택된 멀티미디어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정보 표시 영역,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정보 표시 영역 및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회전의 기준을 제공하는 기준 마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조작부(550)는 디스크 조작부 이외의 출력 영역에 버튼 형태로 출력되어 터치 시,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한 입력 신호 생성을 담당한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은 S111 단계에서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휴대 단말은 S109 단계 이전으로 복귀하여 디스크 조작부 출력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11 단계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휴대 단말은 S113 단계로 분기하여 터치 이벤트에 따른 재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휴대 단말 제어부는 유효 한 터치 이벤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은 디스크 조작부 상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재생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의 재생 제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은 디스크 조작부의 휠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다운, 드래그 방향, 터치 해제에 따라 빨리 감기, 건너뛰기, 되감기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은 디스크 조작부의 휠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다운, 드래그 방향, 터치 해제에 따라 빨리 재생 후 복귀 또는 되감기하면서 재생 후 복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빨리 감기, 건너뛰기, 되감기, 재생 후 복귀 기능 등은 버튼 조작부(550)에서 특정 목적 예를 들면 재생이나 DJ 기능 활용을 위한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활성화된 버튼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은 S115 단계에서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제어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 재생 제어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S109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후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제어를 위한 휴대 단말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게임단말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의 개략적인 구조를 하기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표시 수단(100)이 터치스크린인 경우를 대표적인 예시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표시 수단(100)이 반드시 터치스크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OLED, LCD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오디오처리부(1010)와, 입력부(1020)와, 표시 수단(100)과, 저장부(1030) 및 제어부(1040)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표시 수단(100)은 출력 영역(300) 및 실행영역(400)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1020)는 터치패드 형태의 입력 수단(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010)는 상기 휴대 단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성분(예컨대, 음악파일 재생 등에 따른 오디오신호 등)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010)는 상기 제어부(1040)에서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 Speaker)를 통해 출력한다. 이에 따라, 오디오처리부(1010)는 디스크 조작부가 배속 조정을 위한 구성으로 이용되는 경우, 일반 재생 속도보다 빠른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 또는 일반 재생 속도보다 느린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20)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 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04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1020)는 사용자의 행위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위한 키패드(Keypad)와 터치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입력 수단(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부(1020)는 터치패드로 형성되어 사용자 의 입력이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 수단(200)은 사용자와 휴대 단말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물리적 매개체로, 특히 상기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이벤트를 입력받는 터치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수단(200)은 터치패드에서 입력이벤트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입력이벤트를 상기 제어부(104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40)는 상기 입력이벤트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지시하거나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수단(10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출력 영역(300)과 실행영역(4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수단(100)이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 수단(100)은 입력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입출력 수단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표시 수단(100)은 휴대 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화면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 및 기능 설정 등에 따른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즉, 상기 표시 수단(100)은 상기 휴대 단말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화면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수단(100)은 상기 제어부(1040)로부터 출력되는 여러 신호와 색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아울러, 상기 표시 수단(100)은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입력받는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 수단(100)은 상기 출력 영역(300)과 실행영역(400)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 영역(300)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제어를 위한 디스크 조작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조작부는 휠 영역과 정보 표시 영역을 제공한다. 휠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는 휴대 단말 제어부에 전달되어 현재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을 제어하는 입력 신호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1020)의 입력 수단(200)과 상기 표시 수단(100)은 인접하게 배열되어, 상기 입력 수단(200)의 터치영역과 상기 표시 수단(100)의 실행영역(400)이 서로 이웃하여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저장부(103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030)는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및 상기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외부 휴대 단말, 퍼스널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상기 휴대 단말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상기 휴대 단말 이용에 따른 여러 설정정보, 디스크 조작부와 버튼 조작부(550) 간의 기능 설정을 위한 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기능 설정 정보는 휴대 단말의 설정 예를 들어 버튼 조작부(550) 활성화에 따라 디스크 조작부의 기능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정의된 정보이다. 예를 들면, 기능 설정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튼 조작부(550)의 DJ 버튼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디스크 조작부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멀티미 디어 아이템의 일정 구간을 건너뛰기 하거나 빠르게 감으면서 재생하기를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정의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버튼 조작부(550)에 멀티미디어 아이템 일반 재생 버튼이 있으며, 이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기능 설정 정보는 재생 버튼 활성화 시, 디스크 조작부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 속도 조절 기능을 정의한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 설정 정보는 버튼 조작부(550)의 버튼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스크 조작부의 기능을 정의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설정 정보의 기능 정의에 대하여 버튼 조작부(550)와 디스크 조작부가 연계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기타 설정 예를 들면, 휴대 단말이 제공하는 메뉴 선택을 통하여 동일 터치 이벤트에 따라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40)는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 단말 내의 상기 각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40)는 상기 오디오처리부(1010)와, 상기 입력부(1020)와, 상기 표시 수단(100) 및 상기 저장부(103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40)는 저장부(1030)에 저장된 기능 설정 정보에 따라, 특정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선택되어 재생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디스크 조작부의 기능을 정의하고, 디스크 조작부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른 입력 신호를 기능 설정 정보에 정의된 정보에 따라 해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40)는 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제 어부(1040)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104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40)의 전술한 기능 제어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동작을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 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40)는 상기 휴대 단말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은 지원 가능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설정된 통신채널(communication channel)을 형성하여 음성통신(voice call), 화상통신(video telephony call) 및 데이터통신(data call) 등과 같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오디오처리부(1010)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도 6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그 제공 형태에 따라 피사체 촬영을 통해 그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방송수신모듈,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및 인터넷 망과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휴대 단말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 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블록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블록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를 대표적인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 단말 및 그의 동작이 반드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LCD를 구성된 표시부와 키패드 또는/ 및 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동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조작부를 포함하는 표시 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조작부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조작부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휴대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Claims (20)

  1.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에 있어서,
    휠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휠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를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선택 또는 재생 시 출력하는 표시 수단;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아이템과 상기 조작부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을 정의한 기능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조작부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와 상기 기능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리스트,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영역;
    상기 출력 영역에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지시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휠 영역과 지시된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확인 키 맵 영역을 포함하는 실행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선택 및 재생 시, 상기 출력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휠 영역 내측에 마련되며,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이미지 정보 및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정보 표시 영역;
    상기 제1 정보 표시 영역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 정보를 출력하는 제2 정보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표시 영역은 상기 휠 영역에서 발생하는 드래그 신호에 독립적으로 표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표시 영역은
    상기 휠 영역에서 발생하는 일정 방향의 드래그 신호에 따라 회전되는 상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표시 영역은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속도에 따라 회전되는 상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설정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 설정에 따라 상기 조작부에서 발생하는 동일한 터치 이벤트에 대하여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의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다운이 유지된 상태에서 일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발생하는 드래그 신호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다운 해제 시, 드래그 신호 발생 이전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에 따른 조작부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다운 해제 시, 상기 터치 다운 해제된 시점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12.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이 재생을 위해 선택되는 과정;
    휠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휠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부를 출력하는 과정;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아이템과 상기 조작부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을 정의한 기능 설정 정보를 로딩하는 과정;
    상기 조작부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와 상기 기능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이미지 정보 및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휠 영역 내측에 마련된 제1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제1 정보 표시 과정;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의 재생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표시 영역 내측에 마련된 제2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제2 정보 표시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표시 과정은
    상기 휠 영역에서 발생하는 일정 방향의 드래그 신호에 따라 회전되는 상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표시 과정은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속도에 따라 회전되는 상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 설정에 따라 상기 조작부에서 발생하는 동일한 터치 이벤트에 대하여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의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휠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다운이 유지된 상태에서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
    상기 이동에 따라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는 과정;
    상기 드래그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오른쪽 방향 드래그 신호와 왼쪽 방향 드래그 신호가 교번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스크래치 기능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 다운이 해제되는 과정;
    상기 드래그 신호 발생 이전의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에 따른 조작부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방법.
  20. 제1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 다운이 해제되는 과정;
    상기 터치 다운 해제된 시점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방법.
KR1020090006021A 2009-01-23 2009-01-23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100086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021A KR20100086678A (ko) 2009-01-23 2009-01-23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및 방법
US12/690,269 US20100188351A1 (en) 2009-01-23 2010-01-20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of multimedia item
EP10151269.7A EP2214174A3 (en) 2009-01-23 2010-01-21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of multimedia item
CN201010105317A CN101789249A (zh) 2009-01-23 2010-01-25 播放多媒体项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021A KR20100086678A (ko) 2009-01-23 2009-01-23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678A true KR20100086678A (ko) 2010-08-02

Family

ID=4214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021A KR20100086678A (ko) 2009-01-23 2009-01-23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188351A1 (ko)
EP (1) EP2214174A3 (ko)
KR (1) KR20100086678A (ko)
CN (1) CN1017892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819A (ko) * 2011-03-25 2012-10-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3154341A1 (ko) * 2012-04-10 2013-10-17 Ahn Jae Seok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4526C2 (nl) * 2000-02-29 2001-08-30 N2It Dev B V I O Schijf te gebruiken in een inrichting voor signaalbewerking, alsmede een dergelijke inrichting.
CN102025831A (zh) * 2010-11-18 2011-04-20 华为终端有限公司 多媒体播放方法和终端
KR101662726B1 (ko) * 2010-12-29 2016-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스크롤 방법 및 장치
JP2012209766A (ja) * 2011-03-30 2012-10-25 Yamaha Corp コントローラー
US9612740B2 (en) 2013-05-06 2017-04-04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Inc. Swipe-based delete confirmation for touch sensitive devices
US20140347171A1 (en) * 2013-05-23 2014-11-27 Juan Carlos Ramiro Portable wireless tactile control device
CN103531215B (zh) * 2013-10-31 2016-05-04 余姚市友威电器有限公司 视频播放设备播放控制系统
US20150205511A1 (en) * 2014-01-17 2015-07-23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7707764A (zh) * 2017-10-20 2018-02-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13015023A (zh) * 2019-12-20 2021-06-22 海信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Html5网页中的视频控制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4290B2 (ja) * 1997-06-26 2002-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ペン入力装置及びペン入力方法及びペン入力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800592B2 (en) * 2005-03-04 2010-09-21 Apple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touch sensing devices
US6545669B1 (en) * 1999-03-26 2003-04-08 Husam Kinawi Object-drag continuity between discontinuous touch-screens
US6440197B1 (en) * 1999-07-27 2002-08-27 G.B.D. Corp. Apparatus and method separating particles from a cyclonic fluid flow including an apertured particle separation member within a cyclonic flow region
US7345671B2 (en) * 2001-10-22 2008-03-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rotational user inputs
US7312785B2 (en) * 2001-10-22 2007-12-25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scrolling
US7656393B2 (en) *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US20050162402A1 (en) * 2004-01-27 2005-07-28 Watanachote Susornpol J. Methods of interacting with a computer using a finger(s) touch sensing input device with visual feedback
WO2005104088A1 (ja) * 2004-04-19 2005-11-0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楽音を再生する装置、及びそれを含む複合装置
KR101181766B1 (ko) * 2005-12-23 2012-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TWI328185B (en) * 2006-04-19 2010-08-01 Lg Electronics Inc Touch screen device for potab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and selecting menus thereon
US20090278806A1 (en) * 2008-05-06 2009-11-12 Matias Gonzalo Duarte Extended touch-sensitive control area for electronic device
US8402382B2 (en) * 2006-04-21 2013-03-19 Google Inc. System for organizing and visualizing display objects
US8564543B2 (en) * 2006-09-11 2013-10-22 Apple Inc. Media player with imaged based browsing
DE202007014957U1 (de) * 2007-01-05 2007-12-27 Apple Inc., Cupertino Multimediakommunikationseinrichtung mit Berührungsbildschirm, der auf Gesten zur Steuerung, Manipulierung und Editierung von Mediendateien reagiert
US7956847B2 (en) * 2007-01-05 2011-06-07 Apple Inc.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US7685163B2 (en) * 2007-01-07 2010-03-23 Apple Inc. Automated creation of media asset illustrations
KR101426718B1 (ko) * 2007-02-15 2014-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터치 이벤트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 및방법
KR20080079007A (ko) * 2007-02-26 200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명령이 입력가능한 전자장치
US10133317B2 (en) * 2007-04-27 2018-11-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ing device with multiple displays
JP4697551B2 (ja) * 2007-12-21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入力制御方法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JP5153354B2 (ja) * 2008-01-22 2013-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45875B1 (ko) * 2009-01-23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819A (ko) * 2011-03-25 2012-10-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3154341A1 (ko) * 2012-04-10 2013-10-17 Ahn Jae Seok 모바일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트를 스크롤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88351A1 (en) 2010-07-29
EP2214174A2 (en) 2010-08-04
EP2214174A3 (en) 2014-11-19
CN101789249A (zh)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6678A (ko)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및 방법
JP6301530B2 (ja) タッチデバイスの機能運用方法及び装置
KR101545875B1 (ko)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
JP4950122B2 (ja) 両方向スライド型移動通信端末機及びそ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表示方法
KR101350556B1 (ko) 편집 인터페이스
JP2010205394A (ja) 音源再生装置及び音源選択再生方法
US20090077491A1 (en) Method for inputting user command using user's motion and multimedia apparatus thereof
JP5228796B2 (ja) 携帯情報端末、ホールド状態切替方法およびホールド状態切替プログラム
KR20120031357A (ko)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JP2014519126A (ja) 複数のアプリケーションから受信した通知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MX2011007439A (es) Aparato y metodo para procesar datos.
KR20140096573A (ko)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287320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0948290B1 (ko)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그 화면 표시 방법
KR101849364B1 (ko) 미디어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130048960A (ko)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JP6191968B2 (ja) データ処理装置と、そのプログラム
WO202220939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102037199B1 (ko)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KR101517117B1 (ko)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90043960A (ko)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그 화면 표시 방법
KR20140132471A (ko) 상태 바를 이용한 랜덤 억세스 장치 및 방법
JP2007272945A (ja) 再生装置
JP2008071193A (ja)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転送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転送方法、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