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313B1 - 스마트 기기 및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 및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0313B1 KR101960313B1 KR1020120158320A KR20120158320A KR101960313B1 KR 101960313 B1 KR101960313 B1 KR 101960313B1 KR 1020120158320 A KR1020120158320 A KR 1020120158320A KR 20120158320 A KR20120158320 A KR 20120158320A KR 101960313 B1 KR101960313 B1 KR 1019603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control interface
- smart device
- screen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개시하는 실시예는, 스마트 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출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는,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 1 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표출을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표출 방향이 회전하여 표출되고; 및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 2 입력으로 상기 컨텐츠의 표출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 1 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재생기능이 제어되고, 상기 2 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의 위치가 이동하는;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시하는 실시예들은, 스마트 기기 및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기기는 사용자가 그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여러 가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스마트 기기에서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의 자동 회전 기능이 있는데, 스마트 기기의 상하방향이 달라지더라도 표출되는 컨텐츠의 방향은 유지되도록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표출한다. 스마트 기기는 내부의 중력 센서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의 상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가로 방향으로 하거나, 세로 방향으로 할 경우 상하 방향을 감지하여 그에 따라 화면의 회전하여 표출할 수 있다.
그런데 화면에 표출되는 컨텐츠 방향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누워서 스마트 기기를 보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방향을 고정시켜 컨텐츠를 보고자 할 경우에, 스마트 기기가 자동으로 화면을 회전시키면 오히려 사용자의 시각 방향이나 사용자의 목적과 스마트 기기의 화면 방향이 달라져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스마트 기기의 화면 회전 기능은 디스플레이 설정 기능을 찾아 제어할 수 있었다. 그런데 사용자가 컨텐츠를 보는 도중에 화면 회전 기능을 오프시키려면 컨텐츠 시청을 중단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설정 기능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 점이 있었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통해 장시간 시청할 경우 일반적으로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스마트 기기는 화면이 자동적으로 꺼지도록 스크린 자동 비활성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컨텐츠 시청도중에 스크린 비활성 또는 활성 기능을 제어하고자 할 경우에도 컨텐츠 시청을 중단하고 설정기능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 점이 있었다.
개시하는 실시예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및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개시하는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컨텐츠를 시청할 경우 이를 중단하지 않고 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및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개시하는 일 실시예는, 컨텐츠를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 1 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재생기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디스플레이 방향이 회전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면으로부터 제 2면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는 일정 시간 이후에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사라지는 단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수동모드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방향이 중력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표출 방향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의 위치가 이동 종료 후에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표출된 도킹 파트에 접촉되어 도킹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표출 방향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킹 파트는 상기 화면의 최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키는 제 3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상기 도킹 파트에 접촉시켜 상기 컨텐츠의 표출 방향이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플리킹(fricking) 기능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입력으로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 위치와 상기 컨텐츠의 방향이 상대적으로 고정되도록 표출할 수 있다.
개시하는 실시예는, 컨텐츠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 1 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동시키는 제 2 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은,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면에서 이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밝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하는 실시예는, 컨텐츠를 표출하고,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 1 입력 및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 1면으로부터 제 2면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제 1 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공한다.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컨텐츠를 시청할 경우 이를 중단하지 않고 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개시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일 예를 개시한 도면
도 2는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에 따라 화면이 고정된 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라 화면을 고정하는 방식의 예들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라 화면을 고정하는 방식의 다른 예를 예시한 도면
도 6는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라 화면을 고정하는 방식의 다른 예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개시한 도면
도 8은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은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는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에 따라 화면이 고정된 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라 화면을 고정하는 방식의 예들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라 화면을 고정하는 방식의 다른 예를 예시한 도면
도 6는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라 화면을 고정하는 방식의 다른 예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개시한 도면
도 8은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은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는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개시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일 예를 개시한 도면이다.
스마트 기기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구동시킨 애플리케이션에서 컨텐츠를 표출하고,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기능버튼 또는 메뉴바를 표출한다(S110). 제어기능버튼 또는 메뉴 바는 이하에서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라고 호칭한다.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제 1 입력에 따라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컨텐츠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방향이 중력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표출 방향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가 디지털 모바일 방송을 표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경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모바일 방송을 제어하는 제어기능버튼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기기는 화면상에 녹화기능버튼, 채널선택버튼, 음량조절버튼 등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튼에 대한 제 1 입력으로서 컨텐츠 표출이 제어될 수 있다.
녹화기능버튼은 모바일 방송의 컨텐츠를 녹화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채널선택버튼은 모바일 방송의 채널의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음량조절버튼은 모바일 방송의 컨텐츠의 출력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마트 기기가 웹 브라우저를 구동할 경우, 웹 브라우저를 표출하는 화면상에 그 웹 브라우저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가 표출될 수 있다.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는 웹 브라우저의 페이지 이동, 새로 고침, 새 탭 표출, 북마크, 홈페이지 이동, 페이지 찾기 또는 PC 버전 표출 등이 있으며 그 이외에 기타 다른 기능을 가진 버튼이 화면상에 표출될 수도 있다.
다음 단계로서, 위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각각 표출되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의 화면 상의 위치를 변동시켜 화면 락(lock)을 설정한다(S120).
사용자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제 2 입력으로서,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디스플레이의 제 1면으로부터 제 2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위에 예시한 바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이 디지털 모바일 방송을 표출하는 애플리케이션이라면, 개시하는 실시예는 화면 상에 표출되는 녹화기능버튼, 채널선택버튼, 음량조절버튼 등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의 화면상 위치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터치하고 터치된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화면 상 다른 위치로 옮길 수 있다.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의 위치가 이동 종료 후에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의 화면상 위치 변동에 따라 디지털 모바일 방송을 표출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출되는 디지털 모바일 방송 컨텐츠의 표출 방향이 고정될 수 있다. 상세한 예는 도 3에서 예시한다.
다른 예로서, 애플리케이션이 웹 브라우저라면,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 상에 나타나는 페이지 이동, 새로 고침, 새 탭 표출, 북마크, 홈페이지 이동, 페이지 찾기 또는 PC 버전표출 등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의 화면 상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러면, 기능버튼, 기능버튼세트, 또는 메뉴바와 같은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의 화면 상 위치가 변경되고 이에 따라 화면 락(lock)이 설정될 수 있다. 상세한 예는 도 7에서 예시한다.
설정된 스크린 락에 따라 스마트 기기의 방향과는 상관없이 컨텐츠의 방향을 고정하여 표출하거나 제어기능 버튼 또는 메뉴 바의 위치에 따라 컨텐츠 방향을 고정하여 표출한다(S130). 메뉴 바의 위치에 따라 화면 락 등 화면 제어 기능이 설정되고 메뉴 바의 위치에 따라 컨텐츠의 방향이 변경되는 예는 도 2 내지 도 9에서 예시한다.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는 일정 시간 이후에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사라질 수 있고, 그 이후에 수동으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수동모드인 경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도 2는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스마트 기기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디지털 방송이나 비디오 파일을 표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스마트 기기가 디지털 방송이나 비디오 파일을 표출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경우 디지털 방송 또는 비디오 파일을 제어할 수 있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가 화면이 일부에 표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의 채널, 녹화여부, 또는 볼륨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비디오 파일을 재생할 경우에는 컨텐츠 재생, 정지, forward, backward등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가 표출될 수 있다.
개시하는 실시예는, 애플리케이션으로 표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의 화면상 위치를 화살표 방향과 같이 변동시켜 화면의 방향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도면에서 개시하는 예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의 화면 중 컨텐츠를 제어하는 버튼이나 메뉴를 터치하고, 손가락을 밀어서 터치된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화살표와 같이 변경시키면 화면 락이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에 따라 화면이 고정된 예들을 나타낸다. 화면상 컨텐츠 제어 버튼이나 메뉴의 위치가 변경되면 화면 락이 설정될 수 있다. 화면 락이 설정되면 화면 상의 화면 락 설정을 나타내는 식별자(이 도면의 예에서는 잠금쇠)가 일정시간 또는 계속적으로 표출될 수 있고, 컨텐츠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의 위치도 일정시간 또는 계속적으로 표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가 회전하는 경우라도 컨텐츠의 표출 방향이 스마트 기기의 방향에 따라 변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사용을 중단하고 화면 제어 기능을 찾아 화면 락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화면의 방향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라 화면을 고정하는 방식의 예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애플리케이션은 동영상 재생, 무비 플레이어, 사진앨범 등을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들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플리킹(flicking) 기능에 따라 화면에 표출되는 컨텐츠르 선택할 수도 있다.
개시하는 실시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버튼이나 메뉴의 위치를 변동하여 플리킹 기능에 대한 락 또는 화면 락을 설정하는 예를 개시한다.
이 도면의 예에서 화면의 하단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로서 버튼이나 메뉴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 왼쪽 도면의 화면 상의 화살표(20)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로서 플리킹 기능을 나타내는 식별자(20)를 예시한다.
이 도면의 오른쪽과 같이 사용자가 터치 기능 등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표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의 위치를 화살표와 같이 변동시킨 경우 플리킹 기능의 락이 설정되거나, 화면 회전 기능에 대한 락이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라 화면을 고정하는 방식의 다른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 예의 (a)와 같이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를 이용하여 화면 회전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화면의 일부분에 도킹 파트(30)가 표출될 수 있다.
(b)와 같이 사용자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을 움직여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를 도킹 파트에 접촉시키면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가 도킹 파트에 고정되고 동시에 화면 락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표출된 도킹 파트에 접촉되어 도킹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표출 방향이 고정될 수 있다.
예시한 바와 같이 도킹 파트는 상기 화면의 최하단에 위치하고,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키는 제 3입력에 따라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도킹 파트에 접촉시켜 상기 컨텐츠의 표출 방향이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라 화면의 방향을 고정하는 방식의 다른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개시하는 실시예에서 컨텐츠의 표출 방향은,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의 버튼 또는 메뉴의 위치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즉,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의 위치와 컨텐츠의 방향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표출될 수 있다. 반대로 설명하면, 화면의 방향을 고정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메뉴 또는 버튼의 위치가 변경되면 컨텐츠의 표출 방향도 그에 따라 변경되고, 변경된 방향으로 고정되어 표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는 화면 상 특정한 위치에 위치한다. 설명의 편의 상 이 도면 (a)의 예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가 컨텐츠의 하단 또는 화면의 하단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도면 (b)와 같이 위에서 예시한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를 특정 방향, 예를 들어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화면 락이 설정될 수 있다.
그런데 화면 락이 설정될 경우, 표출되는 컨텐츠의 방향은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가 이동한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면 (c)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를 보이는 방향의 왼쪽 면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가 컨텐츠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컨텐츠의 방향이 변경되고, 화면 락이 설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가 도면 (d)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를, 보이는 방향의 윗면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가 컨텐츠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컨텐츠의 방향이 변경되고, 화면 락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기기의 방향과 관련없이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의 위치에 따라 컨텐츠의 표출 방향이 달라지도록 화면 락을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 도면은 애플리케이션이 웹 브라우저인 경우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에 따라 웹 페이지를 제어하는 웹 내비게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가 스마트 기기의 화면 상에 표출될 수 있다.
이 도면의 (a)는 웹 네이게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가 스마트 기기의 하단에 위치한 예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이 도면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웹 내비게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를 밀어서 위치를 이동시키면 웹 페이지의 표출 방향이 고정되고, 화면 상에 화면 락 표시가 표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스마트 기기를 세로로 회전시켜도, 스마트 기기 또는 웹 내비게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의 위치에 따라 화면의 방향이 결정되고 화면이 고정되어 표출될 수 있다.
도 8은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이 맵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a)와 같이 맵의 해상도, 맵의 중심 위치 설정 등 표출되는 맵 컨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버튼(10)이 화면의 일부에 표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b) 또는 (c)와 같이 맵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를 밀어서 이동시켜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면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의 위치에 따라 화면의 방향이 설정되고 화면 락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기기가 회전하는 경우라도 스마트 기기의 방향과 관련없이 화면 락에 의해 화면의 방향은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의 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를 이용하여 화면의 설정을 제어하는 예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도면의 (a)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에 웹 브라우저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고 가정한다. 개시하는 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인 웹 브라우저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가 하단에 표출된다고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기기는, 도면의 (b) 같이 배터리 시간을 오래 지속시키기 위해 일정시간 특정 신호를 입력하지 않으면 화면의 밝기가 어두워지고 화면이 꺼지는 스크린 오프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도면 (c)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 상에서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의 위치를 밀어서 특정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면 락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 (d)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의 메뉴바(10)를 다시 이동시키면, 이동된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를 이용하여 화면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가 이동된 한쪽 측면을 따라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를 움직이면 움직인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의 위치에 따라 화면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예와 다르게, 도면 (c)는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의 위치에 따라 화면 락이 아닌 화면 밝기 고정 모드를 나타내고, 도면 (d)는 화면 밝기를 제어하는 모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의 위치를 이동하여 화면 락을 설정할 수도 있고, 화면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컨텐츠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고,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용이하게 화면을 고정시키거나 화면의 밝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는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를 참조하여 스마트 기기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일 예는 디스플레이부(110), 센서부(120),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가 전화기능이나 방송 표출 기능 등을 구비한 경우 스마트 기기의 일 예는 신호처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스마트 기기에 의해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여러 가지 컨텐츠를 표출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스마트 기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하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20)는 중력감지센서, 광센서, 홀(hall) 센서, 지자계센서 등의 움직임 센싱 기능에 따라 스마트 기기의 상하 방향을 포함하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터치할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스마트 기기의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디지털 모바일 방송, 동영상 재생, 메세지 확인 등 애플리케이션들을 구동시킬 수 있다.
신호처리부(140)는 통신신호를 처리하여 송수신하거나,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30)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표출할 수 있는데,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 바 또는 버튼등을 포함한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출될 수 있다.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표출되는 컨텐츠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표출되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10)의 메뉴를 선택하거나 또는 메뉴 버튼을 누르면 센서부(120)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130)가 감지된 신호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고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 상의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바 또는 버튼의 위치를 변경시켜 화면의 특정 위치, 예를 들어 화면의 한 면에 메뉴바의 위치를 이동시키면, 센서부(120)가 이에 따른 감지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제어부(130)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표출되는 컨텐츠의 방향이 고정되거나 화면의 밝기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를 움직이지 않고 스마트 기기의 움직임 또는 방향을 변경하면 센서부(120)는 스마트 기기의 움직임이나 방향을 감지하고, 제어부(130)가 화면에 표출되는 컨텐츠가 항상 윗 방향이 되도록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움직여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면, 센서부(120)가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30)가 센서부(120)가 감지한 신호에 따라 스마트 기기의 움직임 또는 방향이 변경되어도 화면에 표출되는 컨텐츠의 표출 방향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애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의 위치에 따라 컨텐츠의 방향이 고정시키고, 이동된 메뉴바의 위치에 따라 컨텐츠의 방향이 달라지도록 화면 락을 설정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도 6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메뉴 바의 위치와 컨텐츠의 방향을 상대적으로 고정시켜 표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기기의 방향이 변경되더라도 컨텐츠의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센서부(120)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메뉴 바를 특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신호를 감지하면 제어부(130)는 그에 따라 화면의 밝기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센서부(120)가 도 9의 (d)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바가 이동되도록 하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를 감지하면, 제어부(130)는 그에 메뉴 바의 위치에 따라 화면 밝기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센서부(120)가 위치가 변동된 메뉴 바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면 그 이동거리 따라 화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개시하는 스마트 기기의 실시예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하는 예에 따른 화면 락 또는 밝기 조절 기능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데, 이 애플리케이션은 저장부에 저장되었다가 구동되는 컨텐츠를 표출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바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 락이나 화면 밝기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시하는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플러그 인 형태의 프로그램이 기존의 컨텐츠를 표출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결합하여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메뉴 바의 기능에 화면 락과 화면 밝기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컨텐츠를 시청할 경우 이를 중단하지 않고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10: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
20: 플리킹 기능 식별자
30: 도킹 파트
110: 디스플레이부
120: 센서부
130: 제어부
140: 신호처리부
20: 플리킹 기능 식별자
30: 도킹 파트
110: 디스플레이부
120: 센서부
130: 제어부
140: 신호처리부
Claims (12)
- 컨텐츠를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 1 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재생기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디스플레이 방향이 회전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면으로부터 제 2면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은,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는 일정 시간 이후에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사라지는 단계;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
수동모드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방향이 중력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표출 방향이 회전하는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의 위치가 이동 종료 후에 회전되는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표출된 도킹 파트에 접촉되어 도킹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표출 방향이 고정되는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파트는 상기 화면의 최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키는 제 3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를 상기 도킹 파트에 접촉시켜 상기 컨텐츠의 표출 방향이 고정하도록 하는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플리킹(fricking) 기능이 고정되는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으로 상기 컨텐츠 제어 인터페이스 위치와 상기 컨텐츠의 방향이 상대적으로 고정되도록 표출하는,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8320A KR101960313B1 (ko) | 2012-12-31 | 2012-12-31 | 스마트 기기 및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
US13/778,542 US9058087B2 (en) | 2012-12-31 | 2013-02-27 | Smar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PCT/KR2013/007848 WO2014104533A1 (en) | 2012-12-31 | 2013-08-30 | Smar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8320A KR101960313B1 (ko) | 2012-12-31 | 2012-12-31 | 스마트 기기 및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7726A KR20140087726A (ko) | 2014-07-09 |
KR101960313B1 true KR101960313B1 (ko) | 2019-03-20 |
Family
ID=5101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8320A KR101960313B1 (ko) | 2012-12-31 | 2012-12-31 | 스마트 기기 및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058087B2 (ko) |
KR (1) | KR101960313B1 (ko) |
WO (1) | WO201410453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992327B1 (en) * | 2014-01-03 | 2018-06-05 | Amazon Technologies, Inc. | Interaction lock mode for mobile devices |
RU2640329C1 (ru) * | 2016-09-28 | 2017-12-27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ИРФ" (ООО "ПИРФ") |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пользователя с помощью контекстного тулбара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03734A1 (en) | 2004-11-16 | 2006-05-18 | Samsung Techwin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ting image in digital camera |
JP2008131616A (ja) | 2006-11-27 | 2008-06-05 | Nec Saitama Ltd | 携帯端末装置、表示方向切り替え方法、および、表示方向切り替えプログラム |
US20100194705A1 (en) | 2009-01-30 | 2010-08-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terminal having dual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thereof |
WO2012094145A1 (en) | 2011-01-05 | 2012-07-12 | Advanced Micro Devices, Inc. | Control panel and ring interface for computing systems |
US20120194428A1 (en) | 2011-01-30 | 2012-08-02 | Lg Electronics Inc.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11576A (en) * | 1995-11-06 | 2000-08-2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lected menu functions as an attachment menu bar on graphic user interface systems |
US6057844A (en) * | 1997-04-28 | 2000-05-02 | Adobe Systems Incorporated | Drag operation gesture controller |
US6388686B1 (en) * | 1998-12-15 | 2002-05-14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otating through a sequence of display states in a multi-field text string clas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GB2366978A (en) * | 2000-09-15 | 2002-03-20 | Ibm | GUI comprising a rotatable 3D desktop |
KR20070113022A (ko) * | 2006-05-24 | 2007-11-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
KR100831721B1 (ko) | 2006-12-29 | 2008-05-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KR100842604B1 (ko) | 2007-04-09 | 2008-07-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
KR101404751B1 (ko) * | 2007-12-26 | 2014-06-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제어 방법 |
US8884886B2 (en) | 2008-05-02 | 2014-11-11 | Savant Systems, Llc | Touch sensitive video signal display for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
US9232167B2 (en) | 2009-08-04 | 2016-01-05 | Echostar Technologies L.L.C. | Video system and remote control with touch interface for supplemental content display |
US8614625B2 (en) | 2010-08-31 | 2013-12-24 | Apple Inc. | Adaptive media content scrubbing on a remote device |
KR101614024B1 (ko) * | 2010-12-29 | 2016-04-20 | 주식회사 케이티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
KR20130071808A (ko) * | 2011-12-21 | 2013-07-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2012
- 2012-12-31 KR KR1020120158320A patent/KR10196031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2-27 US US13/778,542 patent/US905808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8-30 WO PCT/KR2013/007848 patent/WO201410453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03734A1 (en) | 2004-11-16 | 2006-05-18 | Samsung Techwin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ting image in digital camera |
JP2008131616A (ja) | 2006-11-27 | 2008-06-05 | Nec Saitama Ltd | 携帯端末装置、表示方向切り替え方法、および、表示方向切り替えプログラム |
US20100194705A1 (en) | 2009-01-30 | 2010-08-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terminal having dual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thereof |
WO2012094145A1 (en) | 2011-01-05 | 2012-07-12 | Advanced Micro Devices, Inc. | Control panel and ring interface for computing systems |
US20120194428A1 (en) | 2011-01-30 | 2012-08-02 | Lg Electronics Inc.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04533A1 (en) | 2014-07-03 |
US20140189562A1 (en) | 2014-07-03 |
KR20140087726A (ko) | 2014-07-09 |
US9058087B2 (en) | 2015-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30355B2 (en) |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1375262B2 (en) | Main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b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989817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crolling a screen in a display apparatus | |
US8938753B2 (en) | Configurable computer system | |
US9436218B2 (en) | Electronic device | |
EP3151547B1 (en) |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ntrolled by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EP2613553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 |
US9436219B2 (en) | Remote control to operate computer system | |
US20140043277A1 (en) |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 |
CN102985896A (zh) | 用于与投影用户接口交互的方法和系统 | |
KR101861377B1 (ko) | 이동 단말에서 모션 기반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 |
US20110279354A1 (en) | Computer with tv mode | |
KR101960313B1 (ko) | 스마트 기기 및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 |
US20170180777A1 (en) |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3226568A1 (en) |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 |
KR20140087787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JP6568795B2 (ja) | 電子機器の操作方法および画像の表示方法 | |
JP2014016658A (ja) | タッチパネル処理装置、タッチパネル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