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580B1 -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 Google Patents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580B1
KR101029580B1 KR1020080069981A KR20080069981A KR101029580B1 KR 101029580 B1 KR101029580 B1 KR 101029580B1 KR 1020080069981 A KR1020080069981 A KR 1020080069981A KR 20080069981 A KR20080069981 A KR 20080069981A KR 101029580 B1 KR101029580 B1 KR 101029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plate
fortune
gear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209A (ko
Inventor
이해수
Original Assignee
이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수 filed Critical 이해수
Priority to KR1020080069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58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02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actuated mechanically by coins, e.g. by a single coin

Abstract

본 발명은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상판(2)에는 주화투입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화투입부(20)는 캡(3)에 형성되어 있는 주화투입구(30)의 상부와 결합되는 주화투입구(21)를 가지며, 이들 주화투입구(21)와 주화투입구(30)는 주화가 투입되는 구멍이 대응되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주화투입부(20)는, 투입된 주화가 본체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측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계단부(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운세표나 퍼즐 게임 등이 인쇄된 종이가 들어있는 제품이 다면체로 되어 있다. 또한, 운세통 하부에 도난방지용 감지기를 설치하고 운영자 주위에 경보장치를 위치시킴으로써, 운세통이 소정 거리를 벗어날 경우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하여 주화가 들어있는 운세통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한다.
주화식별기능, 소형 자판기, 주화투입부, 다각형 플라스틱 구슬, 도난방지용 감지기, 경보장치, 운세통

Description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Small vending machine with coin identifying function}
본 발명은 소형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블 등에 올려놓을 수 있고 오늘의 운세표, 퍼즐게임, 커플찾기, 유머 등이 인쇄된 두루마리 종이 또는 사탕과 같은 제품이 들어있는 주화식별 기능을 갖는 운세통과 같은 소형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커피숍 등의 영업소의 테이블 위에 오늘의 운세 등을 알아보기 위한 운세통에 예컨대 100원짜리 주화를 넣으면 운세표가 나오는 운세통이 있었다.
그러나, 이런 운세통을 이용할 때. 백원짜리 주화가 아닌 주화를 넣으면 운세표는 나오지 않고 주화도 반환되지 않았으며, 또한 손님이 장난으로 운세통을 거꾸로 들고 흔들면 백원짜리 주화가 빠져나오곤 하였고, 그외에도 운세통 안에 운세표가 없는 경우에도 주화를 넣으면 작동되는 문제 등의 여러 결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를 특허출원하였으며, 이는 95-3796호로서 특허되었다.
상기 특허에 의하면, 100원짜리가 아닌 10원이나 50원짜리 주화 등은 집어넣 자마자 그대로 통 밖으로 반환되도록 하였고, 500원짜리 주화는 들어가지도 않도록 하여, 100원짜리 주화에만 작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에 제품이 없을 경우에도 집어넣은 주화가 반환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 95-3796호에 있어서도, 주화주입구와 투입된 주화가 걸리는 부위의 거리가 가까워서 자판기를 기울인 상태에서 통을 흔들면 주화와 플라스틱 구슬이 본체 밖으로 빠져나오거나, 투입된 주화를 투입구를 드라이버와 같은 끝이 날카로운 공구로 주화 투입구를 강제로 벌리면 투입된 주화가 투입구로 나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특허에 있어서는, 운세표나 퍼즐 게임 등이 인쇄된 종이가 들어있는 플라스틱제 구슬이 구형으로 되어 있어, 운세통 밖으로 빠져나온 구슬이 탁자 또는 바닥에서 제멋대로 굴러가거나 또는 잘못하여 손에서 놓쳤을 경우 구슬의 굴러가는 방향을 알 수 없어 찾는데 애를 먹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고객이 주화가 가득찬 운세통을 누군가가 그대로 집어가도 이를 방지할 만한 마땅한 수단이나 대책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주목적은 자판기를 기울인 상태에서도 주화와 알이 자판기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고, 또한 투입된 주화를 주화 투입구를 통해 본체 밖으로 강제로 끄집어내기 어려운,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세표나 퍼즐 게임 등이 인쇄된 종이가 들어있는 플라스틱 구슬을 종래의 구형이 아닌 다면체로 함으로써 본체 밖으로 빠져나온 플라스틱 구슬이 잘 구르지 않도록 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판기 본체의 하부를 상부보다 넓게하여 본체 전체의 안정성을 제고시킨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500원짜리 주화에 의해서만 동작되고, 그 외의 주화는 운세통 밖으로 그대로 떨어지도록 한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세통 하부에 도난방지용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운영자 주위에 경보장치를 위치시킴으로써, 운세통이 소정 거리를 벗어날 경우 경보장치가 작동하도록 하여 주화가 들어있는 운세통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목적은,
주화반환구와 제품배출수단을 갖고, 내부에는 주화수집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에는 제품분리편이 일체로 돌출되어 있는 상하분리형의 바닥통 수단; 상기 바닥통 수단의 윗면 중앙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고, 평상시 탄성 수단에 의해 한쪽으로 바이어스되어있는 직각형의 주화안내수단 :
원통형의 외판과 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판과 외판 사이에는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들을 저장하는 소정 간격의 환형 공간이 칸막이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외판의 위쪽 내측면에는 상기 칸막이와 일치하는 위치에 칸막이와 동일한 갯수의 롭니형 단면의 래칫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판의 아랫쪽 외측면에는 상기 칸막 이와 동일면상에 그 칸막이들과 소정 간격을 두고 격벽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제품분리면의 두께보다 약간 넓으며, 상기 내판은 상기 주화안내수단이 삽입되는 원통 기둥형의 개구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제품저장수단:
상기 제품저장수단의 최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고 제품저장수단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내측 하우징과, 상기 내측 하우징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고 내측 하우징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단 외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수단;
짧은 중공축을 갖고 부채꼴 개구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판형의 기판과, 상기 중공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기판의 윗면에 장착되는 장방형의 작동판과, 상기 작동판의 밑면에 기다랗게 돌출되어 있는 주화안내수단 작동대와, 상기 작동판의 밀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스프링에 의해 외측으로 바이어스되며 선단은 상기 저장수단의 래칫의 직각면에 걸리는 기다란 밀대와, 상기 작동판의 한쪽 측면에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도록 장착되고 선단에는 V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피봇판과, 상기 종공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도록 작동판의 윗면에 장착되는 작동판회전구와, 상기 작동판의 윗면에 돌출되어 상기 작동판 회전구의 턱에 걸리도록 되어있는 스토퍼와, 상기 피봇판과 직교하는 상기 작동판의 측면 일단에 피봇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스프링에 의해 안쪽으로 바이어스되며 중간에는 상기 피봇판의 V형 돌기에 맞는 V형 홈을 형성하는 돌기가 형성된 갈고리와, 상기 기판의 윗면에 돌출되어 상기 갈고리의 선단이 걸리도록 되어있는 스토퍼와, 상기 기판의 밑면에 스프 링으로 상향 바이어스되도록 장착되고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래칫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하는 제품수에 맞는 톱니가 원주에 형성되고 외측 밑면에는 돌기가 형성된 기어와, 상기 피봇판의 밑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시 상기 기어의 이에 맞물리는 기어회전편과. 상기 기판의 밑면에 미끄럼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기어의 돌기에 맞닿는 돌출부가 일측면에 형성된 미끄럼판으로 구성되는 주화식별수단;
상기 내측 하우징에 대하여 소정 동판 회전구의 측면 돌출부에 걸리는 하향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윗면에는 주화투입부가 형성되고, 또한 스프링이 장착되는 상판 수단 ; 및
상기 상판 수단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판 수단위에 장착된 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 수단이 회전하면. 상기 밀대가 상기 래칫을 밀어주어 상기 제품저장통이 소정 각도로 회전하고, 상기 안내수단 작동대가 회전하여 상기 주화안내수단을 피봇시키며, 상기 상판의 돌출부와 상기 피봇판이 벌어져 주화투입구의 폭이 넓어지고, 내부의 제품이 모두 소비된 상태에서는 상기 미끄럼판이 상기 기어회전편을 항상 밀고 있어 주화투입부의 폭이 넓어진 상태에 있고,
상기 상판에는 주화투입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화투입부는 캡에 형성되어 있는 주화투입구의 상부와 결합되는 주화투입구를 가지며, 주화투입구와 주화투입구는 주화가 투입되는 구멍이 대응되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주화투입부는, 투입된 주화가 본체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 해 하측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계단부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세표나 퍼즐 게임 등이 인쇄된 종이가 들어있는 제품이 다면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장의 출입구에 전자식 도난방지용 장비를 비치하고 운세통의 내부에 도난방지용 센서를 부착함으로써 제품이 무단으로 출입구를 통과할 경우, 경보, 즉 알람을 울려주어 운세통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하는 도난방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세통의 하부에 제공된 상하분리형의 바닥통의 체결을 한개의 볼트로 체결하도록 함으로서, 운세통 내의 동전들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자판기를 기울인 상태에서도 주화와 플라스틱 구슬이 본체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게 되고, 투입된 주화를 주화 투입구를 통해 본체 밖으로 강제로 꺼내기가 어려우며, 또한, 운세표나 퍼즐 게임 등이 인쇄된 종이가 들어있는 플라스틱 구슬을 종래의 구형 또는 원형이 아닌 다면체로 함으로써 본체 밖으로 빠져나온 플라스틱 구슬이 잘 구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운세통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하는 도난방지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하분리형의 바닥통의 체결을 한개의 볼트로 체결하도록 함으로서, 특정 공구를 사용하여 운세통 내의 동전들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운세표 등이 인쇄되어 있는 두루마리 종이가 들어있는 플라스틱 구슬과 같은 제품을 예로들어 기술하였으나, 상기 제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사탕과 같은 기호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자판기(1)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화투입구(30)에 오백원짜리 주화를 넣고, 캡(3)을 시계방향, 즉 도면에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돌리면, 주화는 낙하하고 구슬(5)이 출구(6)에서 튀어나온다. 상기 캡(3)은 그 뒤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작용에 의해 원위치한다.
만약 조작자가 500원짜리가 아닌 100원이나 10원짜리 주화 등을 넣으면 그 주화는 그대로 반환구(7)로 나오게 되어 있는바, 이들의 작동관계는 후술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제 구슬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운세통 밖으로 빠져나온 구슬이 제멋대로 구르지 않고 멈추게 된다. 상기 플라스틱제 구슬은 본 실시예에서는 6각형 이상의 면을 갖는 다각형으로 되어 있으나, 구슬이 잘 구르지 않도록 하는 한 다른 형상으로 해도 좋으며, 그 재질 역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3과 도4는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소형자판기(1)의 구성부품들을 알기 쉽게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자판기(1)는, 하반부(8)와 그 하반부에 결합되는 상반부(9)로 이루어진 바닥통(10), 대략 직사각형의 주화안내판(11), 본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하부가 상부보다 넓게 형성된 원통형의 외측 하우징(12), 외측 하우징(12)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고 하우징(12) 안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내측 하우징(12'), 바닥통(10)의 상반부(9)상의 혀모양의 1쌍의 돌기(13)에 끼워맞춤되어 내측하우징(12')안에 조립되는 제품저장통(14), 내측 하우징(12')의 상연부에 클램프식으로 결합되는 원형의 상판(2), 및 이 상판(2)에 결합되는 절두형 둥근 캡(3)을 포함한다. 상기 캡(3)에는 예컨대 십이지(十二支), 즉,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가 인쇄되어 자신에 해당하는 띠를 선택하여 운세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십이지 선택부(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십이지 선택부(4)는 클릭식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고, 손으로 돌리기 쉽도록 하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다수의 홈(40)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캡(3)에는 주화투입구(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주화투입구(30)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기다란 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판(2)에 형성되어 있는 주화투입부(20)의 주화투입구(21)와 각각의 구멍들이 서로 정렬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주화투입부(20)는, 투입된 주화가 본체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계단부(22)를 갖는다. 이 계단부(22)는 도11에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에 하나의 턱(23)을 갖고 있으나, 상기 턱(23)은 하나 이상으로 해도 좋다. 상기 턱은 투입된 주화가 걸리도록 하여 주화가 본체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3에 도시된 부품들의 결합관계와 역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바닥통(10) 중 하반부(8)와 상반부(9)는 서로 반쪽씩의 주화 반환구(7)를 갖고 있는바, 이들을 정확히 정렬한 후 나사결합한다. 이때, 상기 바닥통(10)의 하반부(8)와 상반부(9)는 단 하나의 나사로 결합함으로써, 하반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바닥통(10)의 하반부(8) 저부에는 상기 하반부(8)와 상반부(9)를 체결하기 위한 하나의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반부(8)의 결합홈(8')에 상반부(9)의 결합돌기(9')를 끼운 다음, 상기 체결부의 나사를 돌려 결합하면 된다. 또한, 상기 하반부(8)와 상반부(9)의 분리시에는 이와 반대의 동작으로 행한다.
다음, 상반부(9)의 중앙에 있는 원형 개구(16)의 원주부에 정대향하게 뚫린 한쌍의 구멍(17)에 주화안내판(11)의 하단에 형성된 가느다란 봉(18)의 양단을 각각 삽입한 다음 스프링(19)을 봉(18)과 상반부(9)의 본체에 걸어주어 평상시 주화안내판(11)을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도록 한다.
다음에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소형자판기(1)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화식별판(1OO)의 구조를 설명하고, 그 기능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주화식별판(1OO)은, 상기 내측 하우징(12')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고 중앙에 짧은 중공축(1O1)이 달린 원형의 기판(1O2), 상기 중공축(1O1)에 맞는 구멍(103)이 중앙에 뚫려있어 기판(1O2)상에서 축(10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대략 직사각형의 작동판(104), 도면상에서 작동판(104)의 우측 하단에 있는 돌기(1O5)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측하단의 돌기(106)와 돌기(1O7)에 스프링(1O8)을 걸어 평상시 안쪽으로 바이어스 상태로 있는 갈고리(1O9). 작동판(104) 의 배면상의 돌기(도시되지 않음)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110)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는 기다란 밀대(111), 작동판(1O4)의 배면에 직하방으로 형성되어 전술한 주화안내판(11)을 피봇시키는 기다란 안내판작동대(112). 기판(1O2)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프링(113)에 의해 상방으로 바이어스되며 안쪽에 래칫기어(114)가 형성되어 한쪽으로만 회전하는 기어(115), 작동판(1O4) 위로 상기 중공축(1O1)에 끼워지는 ㅁ자형의 작동판회전구(116), 기판(1O2) 상면의 돌기(117)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프링(118)에 의해 바이어스되는 주화밀대(119)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판회전구(116)의 일단에는 돌기(116')가 형성되어 있어 투입된 주화를 확실히 붙잡아 주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주화식별판(100)의 결합된 상태가 도5에 도시되어 있는바, 이렇게 결합된 주화식별판(1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12')의 위로부터 내부에 장착되고 그 위에 원형 상판(15)을 클램프 결합한다.
이하. 도5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화식별판(1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6에 도시된 것은, 도5와 같이 결합된 상태의 주화식별판(100)이 주화투입 전의 상태에 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의 주화투입부에 있어서의 폭(D)은 100원이나 50원짜리 등은 그대로 통과하지만 5O0원짜리 주화는 걸릴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이때 5O0원을 주화투입구(30)에 집어넣으면, 이 주화는 주화투입부(20)에 걸려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캡(3)을 시계방 향으로 돌리면(도1 참조), 기판(102)은 회전하지 않고 작동판(1O4)만 회전하게 되는데, 이는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판(2)의 밑면에 일체로 형성된 사각단면의 돌출부(120)가 작동판회전구(116)의 측방돌기(121)에 걸려있기 때문이다.
작동판회전구(116)가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하면, 주화투입부(20)내에 걸려있는 주화 때문에 회전구(116)의 턱(122)이 스토퍼(123)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주화투입부(20)에 주화가 걸려있는 채로 작동판(104) 전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작동판(1O4)이 회전하면 갈고리(1O9)의 선단이 스토퍼(124)에 닿게되고, 도7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판(1O4)이 더 회전하면, 갈고리(109)의 선단이 스토퍼(124)에 걸려 그 스토퍼의 한쪽면을 따라 미끄러진다. 이렇게 되면. 갈고리(1O9)의 작용에 의해 주화투입부(20)의 폭이 넓어지는데, 이 관계는 도12와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작동판(104)의 측면에는 기다란 직사각형의 피봇판(125)이 장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피봇판(125)의 역할은,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상시 주화투입부(20)의 폭(D)을 제한하여 500원짜리 주화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판(1O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주화투입부(2)가 벌려진다.
도12는 피봇판(125)이 주화투입부(20)를 좁혀놓은 상태도이며, 도13은 피봇판(125)이 회전하여 주화투입부(20)가 벌어진 상태도이다. 작동판(1O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갈고리(1O9)의 선단이 스토퍼(124)에 걸려 화살표(E) 방향으로 벌어지므로, 갈고리(1O9)의 중간에 튀어나온 돌기(126)가 피봇 판(125)의 단부에 형성된 V형 돌출부(127)를 밀어주기 때문에. 피봇판(125)을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작동판(1O4)이 완전히 회전하면, 피봇판(125)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α)만큼 주화투입부(2)의 폭(D)을 D+α로 넓혀주므로, 500원짜리 주화가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다. 이어서, 작동판(104)이 원위치하면 스프링(128)에 의해 피봇판(125)과 갈고리(109)가 원위치하여 주화투입부(20)의 폭을 원래의 폭(D)으로 좁혀준다.
한편, 다시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화투입부(20)에 주화가 없을 경우, 작동판회전구(116)가 회전하더라도 스프링(129)의 바이어스 때문에 회전구(116)가 완전히 편향되어 턱(122)이 스토퍼(123)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작동판(104)은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동전이 있으면. 그 두께 때문에 회전구(116)가 화살표(K) 방향으로 밀리면서 회전하여 턱(122)이 스토퍼에 걸리므로 작동판(1O4)이 회전한다. 즉, 주화가 없을 경우에는, 작동판회전구(116)만 회전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소형자판기(1)가 기능을 발휘하지 않게 된다.
이어서, 작동판(1O4)의 회전과 함께 제품저장통(14)이 회전하는 관계를 도8도 및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판(104)의 배면에는 밀대(111)가 피봇가능하게 장착된다.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대(111)는 스프링(130)에 의해 외측으로 바이어스된다. 또한, 이 밀대(111)는 기판(1O2)에 뚫려있는 부채꼴의 개구(131)를 통해 기판(102)보다 약간 밑으로 내려와 있게 된다. 즉, 밀대(111)는 기판(102)보다 약 간 아래쪽으로 기판에 평행하게 작동판(1O4)에 피봇장착되는 것이다.
도8은 최초상태, 즉, 주화가 투입부(20)에 걸려있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9는 주화가 낙하하는 순간의 상태, 즉 주화투입부(2)가 α만큼 벌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작동판(104)이 화살표(G) 방향으로 회전하면 밀대(111)도 함께 회전한다. 평상시 이 밀대(111)는 외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부품들을 완전히 결합한 상태에서는, 제품저장통(14)의 상부에 안쪽으로 형성된 톱니형 래칫(131)의 직각면에 걸려있게 된다(도3 참조). 따라서, 밀대(111)가 회전하면, 그 회전각도만큼 제품저장통(14)을 회전시키고, 원위치할 때는 스프링(130)의 작용 때분에 래칫(131)의 경사면을 타고 래칫(131)을 넘어 다시 인접 래칫의 직각면에 걸리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원하는 제품의 개수에 따라 이를 래칫의 갯수를 원하는 만큼 등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8에서 부호 102'는 주화이동방지판으로서, 운세통을 기울였을 때, 투입된 주화가 옆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저장통(14)은 외판(137)과 내판(138)의 이중 구조로 되어있고. 외판과 내판 사이의 공동은 래칫(131)과 동일한 간격으로 칸막이 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 바로 밑에는 바람개비 형태로 격벽(139)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139)의 높이는 제품 하나의 높이와 동일하게 한다. 외판(137)과 내판(138) 사이의 칸막이 된 공동에 필요한 제품들을 저장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격벽(139)으로 이루어진 공간은 항상 바닥통(10)의 상반부(9) 윗면에 형성된 제품배출구(140)와 일치되어 있고, 격벽(139)과 외판(137)의 하연부 사이의 틈(141) 에 제품 분리편(142)이 위치한다. 상기 제품 분리편(142)은 500원짜리 주화의 원활한 동작 및 충분한 공간의 확보를 위해 위쪽으로 기다란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어있고, 일측면이 내측으로 절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칫(131)이 회전하면 제품저장통(14)도 회전하므로, 통 속의 제품의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품들이 배출구(140)로 배출된다. 그러나, 제품분리편(142) 때문에, 하나씩밖에 배출되지 않는다. 작동판(104)이 한번 더 작동하면 이웃 칸이 배출구(140) 바로 위로 인덱스되어 다른 제품이 또 하나 배출된다. 이 관계는 도11에도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주화가 수집통(136)으로 떨어지면서, 제품이 하나씩 배출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8을 살펴보면. 피봇판(125)의 저면에는 기어회전면(1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작동판(1O4)이 회전하면서, 이 기어회전편(132)의 전단은 기어(115)의 톱니에 걸리도록 되어있다(도9 참조). 작동판(104)이 회전하면서 기어회전편(132)이 화살표(H)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어(115)에 맞물리면, 기어(115)는 화살표(1)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어(115)의 회전은, 작동판(1O4)이 한번 작동할 경우, 톱니 하나만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이 작동판(104)이 계속 작동하면, 기어(115)는 1회전하게 되는바, 필요한 제품의 갯수에 맞게 기어의 톱니를 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품의 개수가 29개일 경우 기어의 톱의 개수는 30개로 한다. 제품이 모두 소비되면, 즉, 작동판(1O4)이 29번 작동하면, 기어(115)는 도10과 같은 상태로 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이 모두 소비된 상태에서는, 기어(115)의 저 면 외측부에 형성된 돌기(133)가 해칭선으로 표시한 미끄럼판(134)의 한쪽면에 형성된 돌기(135)를 항상 화살표(J)방향으로 밀어주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 미끄럼판(134)이 기어회전면(132)에 맞닿아 그 회전면을 외측으로 밀어준다. 따라서, 기어회전면(132)과 일체로 형성된 피봇판(125)은 항상 α만큼 벌어져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제품이 모두 소비된 상태에서는, 500원짜리 주화라도, 주화투입부(2)에 넣자마자 낙하하여 반환구(7)로 곧바로 배출된다. 제품을 다시 채워넣은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기어(115)를 최초상태로 원위치하면 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기어(115)에는 래칫(114)이 형성되어있고 스프링(113)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있기 때문에, 역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도11에는 본 발명의 소형자판기의 전체척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11을 참조하여 주화의 반환 여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갈다.
5O0원짜리 주화가 아닌 100원이나 50원짜리 주화를 주화투입부(20)로 투입하면, 곧바로 낙하하여 실선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주화안내판(11)을 따라 반환구(7)로 배출된다. 그러나, 500원짜리 주화를 투입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판(1O4)을 회전시키면 작동판(104) 밑면에 장착된 안내판 작동대(112)가 회전한다. 이 작동대(112)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시 안내판(11)의 좌측에서 작동대(112)가 회전하여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이동하면 안내판(11)도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피봇한다. 그러므로, 이 상태에서는 500원짝리 주화가 반환구(7)로 배출되지 않고 수집통(136)으로 들어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과정은, 도1에 도시된 캡을 사용자가 화살표(A)방 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 다음 자동적으로 원위치하는 동안에 이루어진다. 이때, 캡의 원위치는 상판(15)의 아래에 장착되는 스프링(143)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통(10)의 내부에 운세통의 내부에 도난방지용 센서(200)를 부착하고, 출입구에 경보기로서의 전자식 도난방지장치(300)를 비치함으로써 제품이 무단으로 출입구를 통과할 경우, 경보, 즉 알람을 울려주어 운세통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도난방지장치는 시중에서 용이하게 입수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운세통의 하부에 제공된 상하분리형의 바닥통의 체결을 단 한개의 볼트로 체결하도록 함으로서, 운세통 내의 동전들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자판기를 이용하면, 500원짜리 주화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보다 직경이 작은 주화는 투입하자마자 그대로 반환되므로, 실수로 작동자가 금전적인 손해를 보는 일이 없다. 뿐만 아니라, 자판기내의 제품이 모두 소비되면, 500원짜리 주화도 자동적으로 반환되게 되어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판기가 소형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거꾸로 뒤집어서 저장된 주화를 빼내려고 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어떤 상태에서도 일반 투입된 주화는 설치자의 의사에 반해서는 빠져나오지 않게 되어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관점 및 정신을 벗어남이 없이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명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청구범위에 명시된 모든 특정적 사항들은 그들의 대응 균등물을 포괄하여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자판기의 주화가 떨어지는 상황과 제품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제품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자판기의 하우징 부분들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를 소형자판기의 주화식별판을 중심으로 한 분해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화식별판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6은 주화투입부가 좁혀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주화식별판의 평면도.
도7은 주화투입부가 넓혀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주화식별판의 평면도.
도8은 도6에 대응하는 주화식별판의 저면도.
도9는 도7에 대응하는 주화식별판의 저면도.
도10은 저장된 제품이 모두 소비된 상태에서 기어에 의해 주화투입부가 벌어져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주화식별판의 저면도.
도11은 투입되는 주화가 수집통으로 들어가는 상황과 반환되는 상황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12는 피봇판이 주화투입부를 좁혀놓은 상태도.
도13은 피봇판이 회전하여 주화투입부가 벌어진 상태도.

Claims (3)

  1. 하반부(8)와 그 하반부에 결합되고 제품배출수단(6)을 갖는 상반부(9)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반부(8)와 상반부에 걸쳐 주화반환구(7)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주화 수집 공간(136)이 형성되어 있고, 윗면에는 제품분리편(142)이 일체로 돌출되어 있고, 하반부(8)와 상반부(9)는 결합홈(8')과 결합돌기(9') 및 하반부(8)의 저부에 형성된 하나의 체결부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상하분리형의 바닥통 수단(10);
    상기 바닥통 수단의 윗면 중앙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고, 평상시 탄성 수단에 의해 한쪽으로 바이어스되어있는 직사각형의 주화안내수단(11);
    원통형의 외판(137)과 내판(138)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판과 외판 사이에는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들(5)을 저장하는 소정 간격의 환형 공간이 칸막이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외판의 윗쪽 내측면에는 상기 칸막이와 일치하는 위치에 칸막이와 동일한 갯수의 톱니형의 래칫(1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판의 아랫쪽 외측면에는 상기 칸막이와 동일면상에 그 칸막이들과 소정 간격을 두고 격벽들(13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제품분리편(142)의 두께보다 넓으며, 상기 내판은 상기 주화안내수단(11)이 삽입되는 원통 기둥형의 개구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제품저장수단(14);
    상기 제품저장수단의 최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제품저장수단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내측 하우징(12')과, 상기 내측 하우징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내측 하우징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외측 하우징(12)으로 구성되는 하우징수단 ;
    짧은 중공축(1O1)을 갖고 부채꼴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경과 통일한 직경을 갖는 원판형의 기판(102), 주화식별수단의 저면에 일체로 기립 형성되고, 투입된 주화가 옆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화이동방지판(102'), 상기 중공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기판의 윗면에 장착되는 장방형의 작동판(1O4), 상기 작동판의 밑면에 기다랗게 돌출되어 있는 주화안내수단 작동대(112), 상기 작동판의 밑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스프링에 의해 외측으로 바이어스되며 선단은 상기 제품저장수단의 래칫의 직각면에 걸리는 기다란 밀대(111), 상기 작동판의 한쪽 측면에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도록 장착되고 선단에는 V형 돌기(127)가 형성되어 있는 피봇판(125), 상기 중공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도록 작동판의 윗면에 장착되고 그의 일단에는 주화를 지지하기 위한 돌기(116')가 형성되어 있는 작동판회전구(116), 상기 작동판의 윗면에 돌출되어 상기 작동판회전구의 턱(122)에 걸리도록 되어있는 스토퍼(123), 상기 피봇판과 직교하는 상기 작동판의 측면 일단에 피봇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스프링에 의해 안쪽으로 바이어스되며 중간에는 상기 피봇판의 V형 돌기에 맞는 V형 홈을 형성하는 돌기(126)가 형성된 갈고리(1O9), 상기 기판의 윗면에 돌출되어 상기 갈고리의 선단이 걸리도록 되어있는 스토퍼(124), 상기 기판의 밑면에 스프링으로 상향 바이어스되도록 장착되고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래칫(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하는 제품수에 맞는 톱니가 원주에 형성되고 외측 밑면에는 돌기(133)가 형성된 기어(115), 상기 피봇판의 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시 상기 기어의 톱니에 맞물리는 기어회전편(132), 상기 기판의 밑면에 미끄럼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기어(115)의 돌기(133)에 맞닿는 돌출부(135)가 일측면에 형성된 미끄럼판(134)으로 구성되는 주화식별수단(1OO);
    상기 내측 하우징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만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내측하우징의 상단에 클램프식으로 장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주화식별수단(1O0)의 작동판회전구(116)의 측면 돌출부(121)에 걸리는 하향 돌출부(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윗면에는 주화투입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143)이 장착되는 상판수단(2);
    상기 상판수단(2)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판수단(2) 상에 장착되고, 다수의 수직 홈을 갖고, 일측에 주화투입구(30)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에 의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도록 하는 캡수단(3); 및
    상기 캡수단(3)상에 이 캡수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4)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수단(2)이 회전하면, 상기 밀대가 상기 래칫을 밀어주어 제품저장통이 소정 각도로 회전하고, 상기 주화안내수단 작동대가 회전하여 상기 주화안내수단을 피봇시키며, 상기 피봇판이 벌어져 주화투입부의 폭이 넓어지고, 내부의 제품이 모두 소비된 상태에서는 상기 미끄럼판이 상기 기어회전편을 항상 밀고 있어 주화투입부의 폭이 넓어진 상태에 있고,
    상기 상판수단(2)에는 주화투입구(21)를 갖는 주화투입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화투입부(20)는, 투입된 주화가 본체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측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계단부(22)를 갖고, 상기 계단부(22)는 적어도 하나의 턱(2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2. 제1항에 있어서, 운세표나 퍼즐 게임이 인쇄된 종이가 들어있는 제품이 다면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3. 제1항에 있어서. 운세통 하부에 도난방지용 감지장치를 설치하고 운영자 주위에 경보장치를 위치시킴으로써, 운세통이 소정 거리를 벗어날 경우 경보장치가 작동하도록 하여 주화가 들어있는 운세통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KR1020080069981A 2008-07-18 2008-07-18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KR101029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981A KR101029580B1 (ko) 2008-07-18 2008-07-18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981A KR101029580B1 (ko) 2008-07-18 2008-07-18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09A KR20100009209A (ko) 2010-01-27
KR101029580B1 true KR101029580B1 (ko) 2011-04-15

Family

ID=4181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981A KR101029580B1 (ko) 2008-07-18 2008-07-18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717B1 (ko) 2012-06-21 2013-10-01 안호진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1154B2 (en) * 2017-10-10 2023-08-08 Crane Payment Innovations, Inc. Coin payout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796B1 (ko) * 1992-08-06 1995-04-18 이해수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KR950015038B1 (ko) * 1993-02-09 1995-12-21 금성계전주식회사 자동판매기 및 제어방법
KR100254786B1 (ko) 1994-12-30 2000-05-01 이혁병 주화 저장통 절환방법 및 장치
KR200435304Y1 (ko) 2006-08-16 2007-01-16 (주) 한준세이지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796B1 (ko) * 1992-08-06 1995-04-18 이해수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KR950015038B1 (ko) * 1993-02-09 1995-12-21 금성계전주식회사 자동판매기 및 제어방법
KR100254786B1 (ko) 1994-12-30 2000-05-01 이혁병 주화 저장통 절환방법 및 장치
KR200435304Y1 (ko) 2006-08-16 2007-01-16 (주) 한준세이지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717B1 (ko) 2012-06-21 2013-10-01 안호진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09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9825A (en) Rotatable compartmentalized vending apparatus
US6206234B1 (en) Cigar vending machine
KR101029580B1 (ko)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US6557725B2 (en) Article discharging device
US7571833B2 (en) Bulk coin dispenser
JPWO2002073547A1 (ja) コイン検出装置
JP4267004B2 (ja) コイン選別器、コイン検出装置、および販売装置
US3430746A (en) Merchandise vending machine with combination rotary coin mechanism and slug rejector
JP5684197B2 (ja) 収容物取出装置
KR950003796B1 (ko)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JP6302022B2 (ja) 投入物品選別装置、投入物品検出装置及び収容物取出装置
JP3719596B2 (ja) 景品等の球状物品の給送装置
KR101313717B1 (ko)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JP6817980B2 (ja) 投入物品選別装置、投入物品検出装置及び収容物取出装置
US6253900B1 (en) Coin sorting device, commodity discharging device, and game device
JP5913647B2 (ja) 収容物取出装置
JP3057393U (ja) 自動販売機と硬貨回収機構
JP7102497B2 (ja) 投入物品検出装置及び収容物取出装置
JPS5938892A (ja) おみくじ等の販売機
WO2022153864A1 (ja) 物品収容容器
JP6835921B2 (ja) 手動商品販売装置
JP4432092B2 (ja) コイン選別器、コイン検出装置、及び販売装置
JP2006178612A (ja) 自動販売機
JP4673999B2 (ja) 硬貨識別装置
US6571930B2 (en) Coin mechanism for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