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786B1 - 주화 저장통 절환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주화 저장통 절환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786B1
KR100254786B1 KR1019940039753A KR19940039753A KR100254786B1 KR 100254786 B1 KR100254786 B1 KR 100254786B1 KR 1019940039753 A KR1019940039753 A KR 1019940039753A KR 19940039753 A KR19940039753 A KR 19940039753A KR 100254786 B1 KR100254786 B1 KR 100254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specific
won
change
co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9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248A (ko
Inventor
제갑환
Original Assignee
이혁병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혁병,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이혁병
Priority to KR1019940039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4786B1/ko
Publication of KR96002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6Coin box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07D1/06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dispensing the difference between a sum paid and a sum charg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24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with change-giv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3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displaying the inserted co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화저장통 절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종래의 한개의 주화통에 한개의 주화만을 저장 보유토록 되어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품의 판매금액 변경에 따라 잔액불출이 예상되는 특정 주화의 절환을 외부에서 설정 가능토록 하여 잔돈없음으로 인한 상품판매 불가 상태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초기화 해제후 외부로 부터의 특정주화의 절환이 되었는가를 검색하여 절환되어 있으면 현재의 제 1 특정주화통으로 부터 상기 절환된 특정주화의 잔돈여부를 검색하여 없으면 저장하는 제 1 특정주화 절환과정과; 제 1 특정주화 절환과정에서 절환된 특정주화의 잔돈이 있으면 다시 외부로 부터의 특정주화의 절환이 되었는가를 검색하여 절환되어 있으면 현재의 제 2 특정주화통으로 부터 상기 절환된 특정주화의 잔돈여부를 검색하여 없으면 이를 저장하는 제 2, 제 3 특정주화 절환과정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특정주화 절환과정을 통해 잔돈이 있고 주화가 투입되면 설정된 금액과 투입금액과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투입금액 불출, 주화불출을 수행하는 금액정산과정으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주화 저장통 절환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종래 자동 판매기의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주화저장부와 주화 반환부의 상세 구성도.
제3도는 제1도의 동작설명에 대한 신호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 자동 판매기의 주화 저장통 절환장치의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의 주화저장부와 주화반환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배면도.
제6도는 제4도의 동작설명에 대한 신호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주제어부 201 : 주화식별부
202 : 주화선별부 203 : 디스플레이부
204 : 정산부 205 : 주화저장부
206 : 주화반환부 207 : 주화감지센서
208 : 주화절환부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에서있어서, 주화선별기의 주화저장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제품의 판매금액 변경에 따라 잔액불출이 예상되는 주화를 미리 보충하여 잔돈없음 품절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주화 저장통 절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 판매기의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투입된 주화를 식별하는 주화식별부(101)와; 상기 주화식별부(101)를 통해 식별된 주화를 각각 주화별로 구분하여 이송시키는 주화선별부(102)와; 상기 주화선별부(102)에서 구분되어 이송되는 주화를 저장하는 주화저장부(105)와; 상기 주화저장부(105)에 저장되어 있는 주화를 판매금액에 따라 정산하여 주는 정산부(104)와, 상기 정산부(104)에서 정산된 금액을 표시하여 주는 디스플레이부(103)와; 상기 정산부(104)에서 정산하여 잔액불출을 하여주는 주화반환부(106)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주화저장부(105)와 주화반환부(106)는 제 2 도에서와 같이, 주화감지센서(107)의 주화 유무에 따른 주제어부(100)에 의해 주화를 저장 또는 반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 자판기 시스템을 제 3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을 켜게 되면 주제어부(100)는 모든 입출력을 초기화 시키게 된다(단계; ST1).
상기 초기화 후 상기 주제어부(100)는 주화감지센서(107)를 통해 주화저장부(105)의 100원 주화통에 잔돈이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2).
상기 단계(ST2)에서 검색한 결과 주화저장부(105)의 100원 주화통에 잔돈이 없으면 디스플레이부(103)를 통해 "100원 잔돈 없음 램프를 점등" 시켜 표시하여 주고(단계; ST3), 주화저장부(105)의 100원 주화통에 잔돈이 있으면 다시 주제어부(100)는 주화감지센서(107)를 통해 주화저장부(105)의 10원 주화통에 잔돈이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4).
상기 단계(ST4)에서 검색한 결과 주화저장부(105)의 10원 주화통에 잔돈이 없으면 주화감지센서(107)를 통해 주화반환부(106) 즉, 제 2 도의 서브-2에 10원짜리의 잔돈이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5).
상기 단계(ST5)에서 검색한 결과 10원짜리의 잔돈이 없으면 디스플레이부(103)를 통해 "10원잔돈 없음 램프를 점등"시켜 표시 한다(단계; ST6).
그리고, 상기 단계(ST4)(ST5)에서 검색한 결과 주화저장부(105)의 10원 주화통에 잔돈이 있거나 또는 주화반환부(106)에 10원짜리의 잔돈이 있으면 디스플레이부(103)를 통해 판매준비신호를 표시한다(단계; ST7).
이후, 주제어부(100)는 주화식별부(101)를 통해 주화의 투입이 되었는가를 검색하여(단계; ST8) 투입이 없으면 리턴하고 주화 투입이 있으면 설정금액과 투입금액을 비교하게 된다(단계; ST9).
상기 비교한 결과 설정금액이 현재 주화식별부(101)를 통해 투입되어 식별된 금액보다 클 경우는 상기 단계(ST4) 이후의 과정을 반복하고, 상기 단계(ST9)에서 검색한 결과 설정금액 보다 투입금액이 더 클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03)를 통해 판매신호 출력을 온하여 표시하여 준다(단계; ST10).
이와같이, 디스플레이부(103)를 통해 판매신호 출력을 온한 후 사용자로 부터 판매개시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1).
상기 검색한 결과 판매개시신호가 없으면 반환신호가 있는가를 검색하여(단계; ST12) 없으면 단계(ST9)의 과정을 반복수행하고 있으면 투입금액을 불출하고 리턴하게 된다(단계; ST13).
그리고 상기 단계(ST11)에서 검색한 결과 판매개시신호가 있으면 디스플레이부(103)를 통해 판매신호 출력을 오프하고(단계; ST14) 설정금액과 잔액을 비교하게 된다(단계; ST15).
상기 단계(ST15)에서 비교 검색한 결과 설정금액이 잔액보다 클 경우에는 정산부(104)를 통해 반환금액을 정산하고 디스플레이부(103)를 통해 반환신호를 온 표시하게 된다(단계; ST16).
이와같이, 반환금액을 정산하고 반환신호를 표시한 후 주제어부(100)는 불출잔액이 있는가를 검사하여(단계; ST17) 없으면 리턴하고 있으면 주화불출 후 리턴하게 된다(단계; ST18).
그리고, 상기 단계(ST15)에서 검색한 결과 설정금액보다 잔액이 큰 경우에는 판매신호출력을 온하고(단계; ST19) 판매개시신호가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20).
상기 검색한 결과 판매개시신호가 없으면 반환신호가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21).
상기 단계(ST21)에서 검색한 결과 반환신호가 없으면 단계(ST19) 이후의 과정을 반복수행하고 있으면 투입금액과 반환금액을 정산함과 아울러 반환신호를 온하여(단계; ST23) 반환정산 금액을 불출하고(단계; ST24) 리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ST20)에서 검색한 결과 판매개시신호가 있으면 판매개시신호 출력을 오프하고 상기 단계(ST14)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자동 자판기는 상품가격이 "100원" 단위 또는 "10원" 단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품가격에 맞도록 금액을 투입하지 않을 경우 "잔돈없" 메세지가 표시되어 있는 자동판매기에서는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 지지 않는다.
즉, 잔돈이 있을경우 잔돈을 불출할 수 있는 10원, 100원 주화통에 잔액이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요즈음의 추세는 상품가격이 100원 단위로 대부분 설정이 되기 때문에 100원 주화에 대한 보유매수가 많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각 주호통에 대하여 1가지 금액만이 저장되도록 되어 필요주화의 보유증대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의 한개의 주화통에 한개의 주화만을 저장 보유토록 되어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품의 판매금액 변경에 따라 잔액불출이 예상되는 특정주화의 절환을 외부에서 설정 가능토록 하여 잔돈없음으로 인한 상품판매 불가 상태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주화 저장통 절환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초기화 해제 후 외부로 부터의 특정주화의 절환이 되었는가를 검색하여 절환되어 있으면 현재의 제 1 특정주화통으로 부터 상기 절환된 특정주화의 잔돈여부를 검색하여 없으면 저장하는 제 1 특정주화 절환과정과; 제 1 특정주화 절환과정에서 절환된 특정주화의 잔돈이 있으면 다시 외부로 부터의 특정주화의 절환이 되었는가를 검색하여 절환되어 있으면 현재의 제 2 특정주화통으로 부터 상기 절환된 특정주화의 잔돈여부를 검색하여 없으면 이를 저장하는 제 2, 제 3 특정주화 절환과정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특정주화 절환과정을 통해 잔돈이 있고 주화가 투입되면 설정된 금액과 투입금액과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투입금액 불출, 주화불출을 수행하는 금액정산과정으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다른 수단으로는 투입된 주화를 식별하는 주화식별수단과; 상기 식별된 주화를 각각 주화별로 구분하여 이송시키는 주화선별수단과; 상기 구분되어 이송되는 주화를 저장하는 주화저장수단과; 상기 저장되어 있는 주화를 판매금액에 따라 정산하는 정산수단과; 상기 정산된 금액을 표시하여 주는 디스플레이수단과; 상기 정산수단에서 정산된 잔액을 불출을 하여주는 주화반환수단과; 상기 자동 판매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수단과; 로 이루어진 자동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주화저장수단의 각 주화통별 특정주화를 절환하여 주는 주화절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4 도는 본 발명 자동 판매기의 주화 저장통 절환장치의 구성도이고, 제 5 도는 제 4 도의 주화저장부(205)와 주화반환부(206)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배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투입된 주화를 식별하여 주는 주화식별부(201)와; 상기 주화식별부(201)에서 식별된 주화를 각각 주화별로 구분하여 이송시키는 주화선별부(202)와; 상기 주화선별부(202)에서 구분되어 이송되는 주화를 저장하는 주화저장부(205)와; 상기 주화저장부(205)에 저장되어 있는 주화를 판매금액에 따라 정산하는 정산부(204)와; 상기 정산부(204)에서 정산된 금액을 표시하여 주는 디스플레이부(203)와; 상기 정산부(204)에서 정산된 잔액을 불출을 하여주는 주화반환부(206)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200)와; 상기 주화저장부(205)의 각 주화통별로 특정주화를 절환하여 주는 주화절환부(208)와; 상기 주화저장부(206)와 주화반환부(206)에 저장된 주화의 유무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화감지센서(207)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주화저장부(205)의 각 주화통은 최대 100원 주화가 들어갈 수 있도록 주화보유통을 제 5 도와 같이, 형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제 4 도 내지 제 6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을 켜게 되면 주제어부(200)는 모든 입출력을 초기화 시키게 된다(단계; ST100).
상기 초기화 후 상기 주제어부(200)는 주화절환부(208)로 부터 주화저장부(205)의 50원 주화통이 100원으로 절환되었는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01).
상기 검색한 결과 절환되었으면 주화감지센서(207)를 통해 주화저장부(205)의 50원 주화통에 100원짜리의 잔돈이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02).
상기 검색한 결과 잔돈이 없으면 100원 잔돈 없음을 주제어부(200)의 롬에 저장한다(단계; ST103).
그리고, 상기 단계(ST101)에서 검색한 결과 50원 주화통이 100으로 절환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단계(ST103) 수행후 50원 주화통이 10원으로 절환되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04).
상기 단계(ST104)에서 검색한 결과 절환되어 있으면 주화감지센서(207)를 통해 주화저장부(205)의 50원 주화통에 10원 짜리의 잔돈이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05).
상기 검색한 결과 10원 잔돈이 없으면 10원 잔돈없음을 주제어부(200)의 롬에 저장한다(단계; ST106).
그리고, 상기 단계(ST104)에서 검색한 결과 50원 주화통이 10원으로 절환되어 있지 않으면 그 50원 주화통에 50원 짜리의 잔돈이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07).
상기 검색한 결과 잔돈이 없으면 50원 잔돈 없음을 주제어부(200)의 롬에 저장하게 된다(단계; ST108).
그리고, 상기에서 50원 주화통에 잔돈이 있으면 주화절환부(208)로 부터 주화저장부(205)의 10원 주화통이 100원으로 절환되었는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09).
상기 검색한 결과 절환되었으면 주화감지센서(207)를 통해 주화저장부(205)의 10원 주화통에 100원짜리의 잔돈이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10).
상기 검색한 결과 잔돈이 없으면 100원 잔돈 없음을 주제어부(200)의 롬에 저장한다(단계; ST111).
그리고, 상기 단계(ST109)에서 검색한 결과 10원 주화통이 100으로 절환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단계(ST111) 수행후 10원 주화통이 50원으로 절환되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12).
상기 단계(ST112)에서 검색한 결과 절환되어 있으면 주화감지센서(207)를 통해 주화저장부(205)의 10원 주화통에 50원 짜리의 잔돈이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13).
상기 검색한 결과 50원 잔돈이 없으면 50원 잔돈없음을 주제어부(200)의 롬에 저장한다(단계; ST114).
그리고, 상기 단계(ST112)에서 검색한 결과 10원 주화통이 50원으로 절환되어 있지 않으면 그 10원 주화통에 10원 짜리의 잔돈이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15).
상기 검색한 결과 잔돈이 없으면 10원 잔돈 없음을 주제어부(200)의 롬에 져저장하게 된다(단계; ST116).
그리고, 상기(ST115)에서 10원 주화통에 잔돈이 있으면 주화절환부(208)로 부터 주화저장부(205)의 100원 주화통이 10원으로 절환되었는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17).
상기 검색한 결과 절환되었으면 주화감지센서(207)를 통해 주화저장부(205)의 100원 주화통에 10원짜리의 잔돈이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18).
상기 검색한 결과 잔돈이 없으면 10원 잔돈 없음을 주제어부(200)의 롬에 저장하고(단계; ST119), 상기 단계(ST120)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ST117)에서 검색한 결과 100원 주화통이 10원으로 절환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단계(ST118) 수행후 100원 주화통이 50원으로 절환되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20).
상기 단계(ST120)에서 검색한 결과 절환되어 있으면 주화감지센서(207)를 통해 주화저장부(205)의 100원 주화통에 50원 짜리의 잔돈이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21).
상기 검색한 결과 50원 잔돈이 없으면 50원 잔돈없음을 주제어부(200)의 롬에 저장한다(단계; ST122).
그리고, 상기 단계(ST120)에서 검색한 결과 100원 주화통이 50원으로 절환되어 있지 않으면 그 100원 주화통에 100원 짜리의 잔돈이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23).
상기 검색한 결과 잔돈이 없으면 10원, 50원 주화통에 100원짜리 잔돈이 있는지를 주화감지센서(207)를 통해 검색한다(단계; ST124).
상기 검색한 결과 잔돈이 없으면 디스플레이부(203)를 통해 100원 잔돈 없음 램프를 온시켜 표시하고(단계; ST125), 50원, 10원 주화통에 100원 짜리의 잔돈이 있으면 100원 잔돈 있음을 저장한다(단계; ST126).
이후, 상기 단계(ST123)에서 검색한 결과 100원 주화통에 100원 짜리의 잔돈이 있으면 주화식별부(201)를 통해 주화가 투입되었는 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27).
이후, 주제어부(200)는 주화식별부(201)를 통해 주화의 투입이 되었는가를 검색하여(단계; ST127), 투입이 없으면 단계(ST100)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상기 주화가 투입되었으면 디스플레이부(203)를 통해 판매준비신호를 온하여 표시하고(단계; ST128), 그 투입된 금액과 설정금액과를 비교하게 된다(단계; ST129).
상기 비교한 결과 설정금액이 현재 주화식별부(201)를 통해 투입되어 식별된 투입금액보다 클 경우는 상기 단계(ST128) 부터 다시 수행하고 상기 단계(ST129)에서 검색한 결과 설정금액 보다 투입금액이 더 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203)를 통해 판매신호 출력을 온 표시하여 준다(단계; ST30).
이와같이, 디스플레이부(203)를 통해 판매신호 출력을 온한 후 사용자로 부터 판매개시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31).
상기 검색한 결과 판매개시신호가 없으면 반환신호가 있는가를 검색하여단계(ST132)의 없으면 단계(ST130) 이후의 과정을 반복수행하고 있으면 투입금액을 불출하고 리턴하게 된다(단계; ST133).
그리고 상기 단계(ST131)에서 검색한 결과 판매개시신호가 있으면 디스플레이부(203)를 통해 판매신호 출력을 오프하고(단계; ST134) 설정금액과 잔액을 비교하게 된다(단계; ST135).
상기 단계(ST135)에서 비교 검색한 결과 설정금액이 잔액보다 클 경우에는 정산부(204)를 통해 반환금액을 정산하고 디스플레이부(203)를 통해 반환신호를 온 표시하게 된다(단계; ST136).
이와같이, 반환금액을 정산하고 반환신호를 표시한 후 주제어부(200)는 불출잔액이 있는가를 검사하여(단계; ST137) 없으면 리턴하고 있으면 주화불출 후 리턴하게 된다(단계; ST138).
그리고, 상기 단계(ST135)에서 검색한 결과 설정금액보다 잔액이 큰 경우에는 판매신호출력을 온하고(단계; ST139) 판매개시신호가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40).
상기 검색한 결과 판매개시신호가 없으면 반환신호가 있는가를 검색하게 된다(단계; ST141).
상기 단계(ST141)에서 검색한 결과 반환신호가 없으면 단계(ST143)를 수행하고 있으면 설정시간(10초)이 경과되었는가를 검색하여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ST139)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경과되었으면 투입금액과 반환금액을 정산함과 아울러 반환신호를 온하여(단계; ST143) 반환정산 금액을 불출하고(단계; ST144) 리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ST140)에서 판매개시신호가 있으면 판매신호 출력을 오프하고 상기 단계(ST135)부터 다시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한개의 주화통에 한개의 주화만을 저장 보유토록 되어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품의 판매금액 변경에 따라 잔액불출이 예상되는 특정주화의 절환을 외부에서 설정 가능토록 하여 줌으로 인하여 잔돈없음으로 인한 상품판매 불가 상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초기화 해제후 외부로 부터의 특정주화의 절환이 되었는가를 검색하여 절환되어 있으면 현재의 제 1 특정주화통으로 부터 상기 절환된 특정주화의 잔돈여부를 검색하여 없으면 저장하는 제 1 특정주화 절환과정과; 제 1 특정주화 절환과정에서 절환된 특정주화의 잔돈이 있으면 다시 외부로 부터의 특정주화의 절환이 되었는가를 검색하여 절환되어 있으면 현재의 제 2 특정주화통으로 부터 상기 절환된 특정주화의 잔돈여부를 검색하여 없으면 이를 저장하는 제 2, 제 3 특정주화 절환과정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특정주화 절환과정을 통해 잔돈이 있고 주화가 투입되면 설정된 금액과 투입금액과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투입금액 불출, 주화불출을 수행하는 금액정산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주화 저장통 절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3 특정주화통은 10원, 50원, 100원 주화통인 것을 특징으로 한 주화 저장통 절환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주화통에는 10원, 50원, 100원 주화의 저장을 모두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주화 저장통 절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특정주화가 절환이되면 제 1 내지 제 3 특정주화통중에 그 선택된 주화의 잔돈 여부를 검색하여 주화불출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주화 저장통 절환방법.
  5. 투입된 주화를 식별하는 주화식별수단과; 상기 식별된 주화를 각각 주화별로 구분하여 이송시키는 주화선별수단과; 상기 구분되어 이송되는 주화를 저장하는 주화저장수단과; 상기 저장되어 있는 주화를 판매금액에 따라 정산하는 정산수단과; 상기 정산된 금액을 표시하여 주는 디스플레이수단과; 상기 정산수단에서 정산된 잔액을 불출을 하여주는 주화반환수단과; 상기 자동 판매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수단과; 상기 주화저장수단의 각 주화통별 특정주화를 절환하여 주는 주화절환수단을 포함하여 된 주화 저장통 절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저장수단의 각 주화통별로 최대 100원 주화가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주화 저장통 절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주화절환수단은 외부에서 조작하는 딥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 주화 저장통 절환장치.
KR1019940039753A 1994-12-30 1994-12-30 주화 저장통 절환방법 및 장치 KR100254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753A KR100254786B1 (ko) 1994-12-30 1994-12-30 주화 저장통 절환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753A KR100254786B1 (ko) 1994-12-30 1994-12-30 주화 저장통 절환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248A KR960025248A (ko) 1996-07-20
KR100254786B1 true KR100254786B1 (ko) 2000-05-01

Family

ID=1940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9753A KR100254786B1 (ko) 1994-12-30 1994-12-30 주화 저장통 절환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4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580B1 (ko) 2008-07-18 2011-04-15 이해수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580B1 (ko) 2008-07-18 2011-04-15 이해수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248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4697A (en) Vending apparatus for self-service store
US4458802A (en) Renting of articles and machine thereof
JP2008029530A (ja) 遊技機
JP4058158B2 (ja) 遊技機
EP0397835A1 (en) Non-attended, self-service cup vender
KR100254786B1 (ko) 주화 저장통 절환방법 및 장치
EP0178244A2 (en) Article vendor
US6279718B1 (en) Merchandising machine with bulk coin hopper
US4180182A (en) Dispensing magazine
JP4072844B2 (ja) 硬貨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2190057A (ja) 自動販売機
CN112562176B (zh) 自动售货机
JP4616081B2 (ja) 遊技機
JPH06119522A (ja) 硬貨選別処理装置
JP4616082B2 (ja) 遊技機
JP4770243B2 (ja) 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JP2006334033A (ja) 遊技機
AU744376B2 (en) Selection button for a vending machine
JP3275112B2 (ja) 洗濯物自動取次機
KR0129014B1 (ko) 자동판매기의 거스름돈 부족시 판매방법
JPH03206587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の割引装置
JP2006334030A (ja) 遊技機
JP3934307B2 (ja) 自動販売機
JPH08263737A (ja) 自動販売機における補充商品案内表示装置
EP0984405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