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796B1 -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 Google Patents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796B1
KR950003796B1 KR1019920014094A KR920014094A KR950003796B1 KR 950003796 B1 KR950003796 B1 KR 950003796B1 KR 1019920014094 A KR1019920014094 A KR 1019920014094A KR 920014094 A KR920014094 A KR 920014094A KR 950003796 B1 KR950003796 B1 KR 950003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in
spring
biased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500A (ko
Inventor
이해수
Original Assignee
이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수 filed Critical 이해수
Priority to KR1019920014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796B1/ko
Publication of KR940004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판기의 주화가 떨어지는 상황과 제품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판기의 하우징 부분들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판기의 주화식별판을 중심으로 한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화식별판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제5도는 주화투입구가 좁혀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주화식별판의 평면도.
제6도는 주화투입구가 넓혀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주화식별판의 평면도.
제7도는 제5도에 대응하는 주화식별판의 저면도.
제8도는 제6도에 대응하는 주화식별판의 저면도.
제9도는 저장된 제품의 모두 소비된 상태에서 기어에 의해 주화투입구가 벌여져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주화식별판의 저면도.
제10도는 투입되는 주화가 수집통으로 들어가는 상황과 반환되는 상황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형 자판기 2 : 주화투입구
7 : 반환구 10 : 바닥통
11 : 주화안내판 12,12' : 하우징
15 : 상판 100 : 주화식별판
102 : 기판 104 : 작동판
본 발명은 소형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블 등의 위에 올려놓을 수 있고 오늘의 운세표, 퍼즐게임, 유머 등이 들어있는 구슬이나 사탕 등을 판매하는 주화식별 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다방 등의 영업소의 테이블 위에 "오늘의 운사"등을 알 수 있는 운세통에 백원짜리 주화를 넣으면 운세표가 나오는 오늘의 운세통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런 운세통을 이용할 때, 백원짜라 주화가 아닌 십원짜리 주화를 넣으면 운세표는 나오지 않고서 주화도 반환되지 않았으며, 또한 손님이 장난으로 운세통을 거꾸로 들고 흔들면 백원짜리 주화가 빠져나오곤 하였고, 그외에도 운세통 안에 운세표가 없는 경우에도 주화를 넣으면 작동되는 문제, 즉 빈통인데도 불구하고 돈만 잡아먹는 등의 여러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백원짜리가 아닌 10원이나 50원짜리 주화 등은 집어넣자 마자 그대로 반환되도록 하였고, 500원짜라 주화는 들어가지도 않도록 하여, 100원짜리 주화에만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며, 또한, 내부에 제품이 없을 경우에도 집어넣은 주화가 반환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목적은, 주화반환구와 제품배출수단을 갖고, 내부에는 주화수집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에는 제품분리편이 일체로 돌출되어 있는 상하분리형의 바닥통 수단; 상기 바닥통 수단이 윗면중앙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고, 평상시 탄성 수단에 의해 한쪽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는 새모양의 주화안내수단; 원통형이 외판과 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판과 외판 사이에는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들을 저장하는 소정 간격의 환형 공간이 칸막이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외판의 윗쪽내측면에는 상기 칸막이와 일치하는 위치에 칸막이와 동일한 갯수의 톱니형 단면의 래칫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판의 아랫쪽 외측면에는 상기 칸막이와 동일면상에 그 칸막이들과 소정 간격을 두고 격벽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제품분리편의 두께보다 약간 넓으며, 상기 내판은 상기 주화안내수단이 삽입되는 원통 기둥형의 개구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제품저장수단; 상기 제품저장수단의 최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져 제품저장수단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내측 하우징과, 상기 내측 하우징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져 내측 하우징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외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하우징수단; 짧은 중공축을 갖고 부채꼴 개구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판형의 기판, 상기 중공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기판의 윗면에 장착되는 장방형의 작동판, 상기 작동판이 밑면에 기다랗게 돌출되어 있는 주화안내수단 작동대, 상기 작동판의 밑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스프링에 의해 외측으로 바이어스되며 선단은 상기 저장수단의 래칫의 직각면에 걸리는 기다란 밀대, 상기 작동판이 한쪽 측면에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도록 장착되고 선단에는 V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피봇판, 상기 중공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도록 작동판의 윗면에 장착되는 작동판회전구, 상기 작동판의 윗면에 돌출되어 상기 작동판회전구의 턱에 걸리도록 되어있는 스토퍼, 상기 피봇판과 직교하는 상기 작동판의 측면 일단에 피봇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스프링에 의해 안쪽으로 바이어스되며 중간에는 상기 피봇판의 V형 돌기에 맞는 V형 홈을 형성하는 돌기가 형성된 갈고기, 상기 기판의 윗면에 돌출되어 상기 갈고리의 선단이 걸리도록 되어있는 스토퍼, 상기 기판의 밑면에 스프링으로 상향 바이어스되도록 장착되고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래칫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하는 제품수에 맞는 이가 원주에 형성되고 외측 밑면에는 돌기가 형성된 기어, 상기 피봇판의 밑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시 상기 기어의 이에 맞물리는 기어회전편, 상기 기판의 밑면에 미끄럼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기어의 돌기에 맞닿는 돌출부가 일측면에 형성된 미끄럼판으로 구성되는 주화식별수단; 상기 내측 하우징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만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내측 하우징의 상단에 클램프식으로 장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주화식별수단의 작동판회전구의 측면 돌출부에 거리는 하향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윗면에는 주화투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스프링이 장착되는상판수단; 및 상기 상판수단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손잡이가 외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캡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수단이 회전하면, 상기 밀대가 상기 래칫을 밀어주어 상기 제품저장통이 소정각도로 회전하고, 상기 안내수단작동대가 회전하여 상기 주화안내수단을 피봇시키며, 상기 상판의 돌출부와 상기 피봇판이 벌어져 주화투입구이 폭이 넓어지고, 내부의 제품이 모두 소비된 상태에서는 상기 미끄럼판이 상기 기어회전편을 항상 밀고 있어 주화투입구의 폭이 넓어진 상태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작동방법의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판기(1)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화투입구(2)에 백원짜리 주화를 넣은채, 조작자의 엄지와 검지로 돌출부들(3,4)을 잡아 당겨주면 주화은 화살표(B)방향으로 낙하하고 돌출부(3)는 고정된채 돌출부(4)가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슬(5)이 출구(6)에서 튀어나온다. 이 돌출부(4)는 그뒤 와이어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작용에 의해 원위치한다.
만약 조작자가 백원짜라기 아닌 10원이나 50원짜리 주화를 사용하면 그 주화은 그대로 반환구(7)로 나오게 되어 있는바, 이들의 작동관계는 후술한다.
제2도와 제3는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판기(1)의 구성 부품들을 알기쉽게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판기(1)는, 하반부(8)와 그 하반부에 결합되는 상반부(9)로 이루어진 바닥통(10), 새모양의 주화안내판(11), 원통형이 하우징(12), 그 하우징(12)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고 하우징(12)안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내측 하우징(12'), 바닥통(10)의 상반부(9)상의 혀모양의 1쌍의 돌기(13)에 끼워맞춤되어 내측 하우징(12')안에 조립되는 제품저장통(14), 내측 하우징(12')의 상연부에 클램프식으로 결합되는 원형의 상판(15), 및 상판(15)에 결합되는 캡(16)을 포함한다.
제2도에 도시된 부품들의 결합관게와 역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바닥통(10)중 하반부(8)와 상반부(9)는 서로 반쪽씩의 주화 반환구(7)를 갖고 있는바, 이들을 정확히 정렬한 후 나사결합한다. 이어서, 상반부(9)의 중앙에 있는 원형 개구(16)의 원주부에 정대향하게 뚫인 한쌍의 구멍(17)에 주화안내판(11)의 하단에 형성된 가느다란 봉(18)의 양단을 각각 삽입한 다음 용수철스프링(19)을 봉(18)과 상반부(9)의 본체에 걸어주어 평상시 주화안내판(11)을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게 한다.
다음에는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소형 자판기(1)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화식별판(100)의 구조를 설명하고, 그 기능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주화식별판(100)은, 상기 내측 하우징(12')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고 중앙에 짧은 중공축(101)이 달린 원형의 기판(102), 상기 축(101)에 맞는 구멍(103)이 중앙에 뚫려있어 기판(102)상에서 축(10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직사각형의 작동판(104), 도면상에서 작동판(104)의 우측하단에 있는 돌기(105)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측하단의 돌기(106)와 돌기(107)에 용수철스프링(108)을 걸어 평상시 안쪽으로 바이어스 상태로 있는 갈고리(109), 작동판(104)의 배면상의 돌기(도시되지 않음)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고 용수철스프링(110)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바이어스되는 기다란 밀대(111), 작동판(104)의 배면에 직하방으로 형성되어 전술한 주화안내판(11)을 피봇시키는 기다란 안내판작동대(112), 기판(102)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용수철스프링(113)에 의해 상방으로 바이어스되며 안쪽에 래칫기어(114)가 형성되어 한쪽으로만 회전하는 기어(115), 작동판(104) 위로해서 상기 중공축에 끼워지는 ㅁ자형의 작동판회전구(116), 기판(102) 상면의 돌기(117)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프링(118)에 의해 바이어스되는 주화밀대(119)등을 포함한다.
이렇게 구성된 주화식별판(100)의 결합된 상태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바, 이렇게 결합된 주화식별판(100)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12')의 위로부터 내부에 장착되고 그 위에 원형상판(15)을 클램프 결합한다.
이하, 제4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화식별판(1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에 도시된 것은, 제4도와 같이 결합된 상태의 주화식별판(100)이 주화투입 전의 상태에 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의 주화투입구(2)는 개방된 상태이다. 그러나, 이때의 주화투입구의 폭(D)은 10원이나 50원짜리 등은 그대로 통과하지만 100원짜리 주화은 걸릴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이때 100원을 주화투입구(2)에 집어넣으면 이 투입구에 걸려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엄지와 검지로 돌출부들(3,4)을 잡아당기면(제1도 참조), 기판(102)은 회전하지 않고 작동판(104)만 회전하게 되는데, 이는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판(15)의 밑면에 일체로 형성된 사각단면의 돌출부(120)가 작동판회전구(116)의 측방돌기(121)에 걸려있기 때문이다.
작동판회전구(116)가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하면, 투입구(2)에 걸려있는 주화때문에 회전구(116)의 턱(122)이 스토퍼(123)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주화투입구(2)에 주화가 걸려 있는채로 작동판(104) 전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작동판(104)이 회전하면 갈고리(109)의 선단이 스토퍼(124)에 닿게 되고,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판(104)이 더 회전하면, 갈고리(109)의 선단이 스토퍼(124)에 걸려 그 스포터의 한쪽면을 따라 미끄러진다. 이렇게 되면, 갈고리(109)의 작용에 의해 주화투입구(2)의 폭이 넓어지는데, 이 관계는 제11도와 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작동판(104)의 측면에는 기다란 직사각형의 피봇판(125)이 장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피봇판(125)의 역할은, 제5도에서 보다시피, 평상시 주화투입구(2)의 폭(D)을 제한하여 백원짜리 주화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판(10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주화투입구(2)가 벌어진다.
제11도는 피봇판(125)이 주화투입구(2)를 좁혀놓은 상태도이며, 제12도는 피봇판(125)이 회전하여 주화투입구(2)가 벌어진 상태도이다. 작동판(10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갈고리(109)의 선단이 스토퍼(124)에 걸려 화살표(E)방향으로 벌어지므로, 갈고리(109)의 중간에 튀어나온 돌기(126)가 피봇판(125)의 단부에 형성된 V형 돌출부(127)를 밀어주기 때문에, 피봇판(125)을 화살표(F)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작동판(104)이 완전히 회전하면, 피봇판(125)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α)만큼 주화투입구(2)의 폭(D)을 D+α로 넓혀주므로, 100원짜리 주화가 하방으로 낙할 수 있다. 이어서, 작동판(104)이 원위치하면 용수철스프링(128)때문에 피봇판(125)과 갈고리(109)가 원위치하여 주화투입구(2)의 폭을 원래의 폭(D)으로 좁혀준다.
한편, 다시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화투입구(2)에 주화가 없다면, 작동판회전구(116)가 회전하더라도 스프링(129)의 바이어스때문에 회전구(116)가 완전히 편향되어 턱(122)이 스포터(123)에 걸리기 않기 때문에, 작동판(104)은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동전이 있으면, 그 두께때문에 회전구(116)가 화살표(K) 방향으로 밀리면서 회전하여 턱(122)이 스토퍼에 걸리므로 작동판(104)이 회전한다. 즉, 주화가 없을 경우에는, 작동판회전구(116)만 회전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판기(1)가 기능을 발휘하지 않게 된다.
이어서, 작동판(104)의 회전과 함께 제품저장통(14)이 회전하는 관계를 제7도와 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판(104)의 배면에는 밀대(111)가 피봇가능하게 장착된다. 제7도에서 보다시피, 이 밀대(111)는 용수철스프링(130)에 의해 외측으로 바이어스된다. 또한, 이 밀대(111)는 기판(102)에 뚫려 있는 부채꼴의 개구(131)를 통해 기판(102)보다 약간 밑으로 내려와 있게 된다. 즉, 밀대(111)는 기판(102)보다 약간 아래쪽으로 기판에 평행하게 작동판(104)에 피봇장착되는 것이다.
제7도는 최초상태, 즉 주화가 투입구(2)에 걸려있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제8도는 주화가 낙하하는 순간의 상태, 즉 주화투입구(2)가 α만큼 벌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작동판(104)이 화살표(G) 방향으로 회전하면 밀대(111)도 함께 회전한다. 평상시 이 밀대(111)는 외측으로 바이어스 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이 부품들을 완전히 결합한 상태에서는, 제품저장통(14)의 상부에 안쪽으로 형성된 톱니형 래칫들(131)의 직각면에 걸려있게 된다(제2도 참조). 따라서, 밀대(111)가 회전하면, 그 회전각도만큼 제품저장통(14)을 회전시키고, 원위치할 때는 용수철스프링(130)의 작용때문에 래칫(131)의 경사면을 타고 래칫(131)을 넘어 다시 인접 래칫의 직각면에 걸리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원하는 제품의 갯수에 따라 이들 래칫의 갯수를 원하는만큼 등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저장통(14)은 외판(137)과 내판(138)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고, 외판과 내판 사이의 공동은 래칫(131)과 동일한 간격으로 칸막이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 바로 밑에는 바람개비형태로 격벽(139)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139)의 높이는 제품 하나의 높이와 동일하게 한다. 외판(137)과 내판(138) 사이의 칸막이된 공동에 필요한 제품들을 저장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격벽(139)으로 이루어진 공간은 항상 바닥통(10)의 상반부(9) 윗면에 형성된 제품배출구(140)와 일치되어 있고, 격벽(139)과 외판(137)의 하연부 사이의 틈(141)에 제품 분리편(142)이 위치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칫(131)이 회전하면 제품저장통(14)도 회전하므로, 통속의 제품의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품들이 배출구(140)로 배출된다. 그러나, 제품분리편(142) 때문에, 하나씩밖에 배출되지 않는다. 작동판(104)이 한번 더 작동하면 이웃 칸이 배출구(140) 바로 위로 인덱스되어 다른 제품이 또하나 배출된다. 이 관계는 제10도에도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주화 수집통(136)으로 떨어지면서, 제품이 하나씩 배출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7도를 살펴보면, 피봇판(125)의 저면에는 기어회전편(1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작동판(104)이 회전하면서, 이 기어회전편(132)의 전단은 기어(115)의 이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제8도 참조). 작동판(104)이 회전하면서 기어회전편(132)이 화살표(H)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어(115)에 맞물리면, 기어(115)는 화살표(I)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어(115)의 회전은, 작동판(104)이 한번 작동할 경우, 톱니 하나만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런식으로 작동판(104)이 계속 작동하면, 기어(115)는 1회전 하게 되는바, 필요한 제품이 갯수에 맞게 기어의 톱니를 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품의 갯수가 29개일 경우 기어의 이의 갯수는 30개로 한다. 제품이 모두 소비되면, 즉 작동판(104)이 29번 작동하면, 기어(115)는 제9도와 같은 상태로 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이 모두 소비된 상태에서는, 기어(115)의 저면 외측부에 형성된 돌기(133)가 해칭선으로 표시한 미끄럼판(134)의 한쪽면에 형성된 돌기(135)를 항상 화살표(J) 방향으로 밀어주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 미끄럼판(134)이 기어회전편(132)에 맞닿아 그 회전편을 외측으로 밀어준다. 따라서, 기어회전편(132)과 일체로 형성된 피봇판(125)은 항상 α만큼 벌어져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제품이 모두 소비된 상태에서는, 100원짜리 주화라도, 주화투입구(2)에 넣자마자 낙하하여 반환구(7)로 곧바로 배출된다. 제품을 다시 채워넣은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기어(115)를 최초상태로 원위치하면 된다.
그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기어(115)에는 래칫(114)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113)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있기 때문에, 역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제10도에는 본 발명의 소형 자판기의 전체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0도를 참조하여 주화의 반환여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원짜리 주화가 아닌 10원이나 50원짜리 주화를 주화투입구(2)로 투입하면, 곧바로 낙하하여 실선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주화안내판(11)을 따라 반환구(7)로 배출된다. 그러나, 100원짜리 주화를 투입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판(104)을 회전시키면 작동판(104) 밑면에 장착된 안내판작동대(112)가 회전한다. 이 작동대(112)는, 실선으로 도시한대로, 평상시 안내판(11)이 좌측에서 안내판(11)에 걸려있지만, 작동대(112)가 회전하여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이동하면 안내판(11)도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피봇한다. 그러므로, 이 상태에서는 100원짜리 주화가 반환구(7)로 배출되지 않고 수집통(136)으로 들어간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작동과정은, 제1도에 도시된 돌기(3,4)를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해 화살표(A)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킨 다음 자동적으로 원위치하는 동안에 이루어진다. 이때, 본 돌기(4)의 원위치는 상판(15)의 아래에 장착되는 와이어 스프링(143)에 의해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판기를 이용하면, 100원짜리 주화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보다 직경이 작은 주화는 투입하자마자 그대로 반환되므로, 실수로 작동자가 금전적인 손해를 보는 일이 없다. 뿐만아니라, 자판기내의 제품이 모두 소비되면, 100원짜리 주화도 자동적으로 반환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판기가 소형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거꾸로 뒤집어서 저장된 주화를 빼내려고 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어떤 상태에서도 일단 투입된 주화는 설치자의 의사에 반해서는 빠져나오지 않게 되어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관점 및 정신을 벗어남이 없이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등록청구의 범위는 명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등록청구범위에 명시된 모든 특징적 사항들은 그들의 대응 균등물을 포괄하여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주화반환구(7)와 제품배출수단(6)을 갖고, 내부에는 주화 수집 공간(1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에는 제품분리편(142)이 일체로 돌출되어 있는 상하분리형의 바닥통 수단(10); 상기 바닥통 수단이 윗면중앙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고, 평상시 탄성 수단에 의해 한쪽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는 새모양의 주화안내수단(11); 원통형의 외판(137)과 내판(138)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판과 외판 사이에는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들(5)을 저장하는 소정 간격의 환형 공간이 칸막이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외판의 윗쪽내측면에는 상기 칸막이와 일치하는 위치에 칸막이와 동일한 갯수의 톱니형 단면의 래칫(13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판의 아랫쪽 외측면에는 상기 칸막이와 동일면상에 그 칸막이들과 소정 간격을 두고 격벽들(13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제품분리편(142)의 두께보다 야간 넓으며, 상기 내판은 상기 주화안내수단(11)이 삽입되는 원통 기둥형의 개구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제품저장수단(14); 상기 제품저장수단의 최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져 제품저장수단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내측 하우징(12')과, 상기 내측 하우징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져 내측 하우징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외측면에 돌출부(3)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 하우징(12)으로 구성되는 하우징수단; 짧은 중공축(101)을 갖고 부채꼴 개구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판형의 기판(102), 상기 중공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기판의 윗면에 장착되는 장방형의 작동판(104), 상기 작동판이 밑면에 기다랗게 돌출되어 있는 주화안내수단 작동대(112), 상기 작동판의 밑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스프링에 의해 외측으로 바이어스되며 선단은 상기 저장수단의 래칫의 직각면에 걸리는 기다란 밀대(111), 상기 작동판의 한쪽 측면에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도록 장착되고 선단에는 V형 돌기(127)가 형성되어 있는 피봇판(125), 상기 중공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도록 작동판의 윗면에 장착되는 작동판회전구(116), 상기 작동판의 윗면에 돌출되어 상기 작동판회전구의 턱(122)에 걸리도록 되어있는 스토퍼(123), 상기 피봇판과 직교하는 상기 작동판의 측면 일단에 피봇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스프링에 의해 안쪽으로 바이어스되며 중간에는 상기 피봇판의 V형 돌기에 맞는 V형 홈을 형성하는 돌기(126)가 형성된 갈고리(109), 상기 기판의 윗면에 돌출되어 상기 갈고리의 선단이 걸리도록 되어있는 스토퍼(124), 상기 기판의 밑면에 스프링으로 상향 바이어스되도록 장착되고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래칫(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하는 제품수에 맞는 이가 원주에 형성되고 외측 밑면에는 돌기(133)가 형성된 기어(155), 상기 피봇판의 밑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시 상기 기어의 이에 맞물리는 기어회전편(132), 상기 기판의 밑면에 미끄럼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기어의 돌기에 맞닿는 돌출부가 일측면에 형성된 미끄럼판(134)으로 구성되는 주화식별수단(100); 상기 내측 하우징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만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내측 하우징의 상단에 클램프식으로 장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주화식별수단(100)의 작동판회전구(116)의 측면 돌출부(121)에 걸리는 하향 돌출부(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윗면에는 주화투입구(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스프링(143)이 장착되는 상판수단(15); 및 상기 상판수단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손잡이가 외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캡수단(16); 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수단이 회전하면, 상기 밀대가 상기 래칫을 밀어주어 상기 제품저장통이 소정각도로 회전하고, 상기 안내수단작동대가 회전하여 상기 주화안내수단을 피봇시키며, 상기 상판의 돌출부와 상기 피봇판이 벌어져 주화투입구이 폭이 넓어지고, 내부의 제품이 모두 소비된 상태에서는 상기 미끄럼판이 상기 기어회전편을 항상 밀고 있어 주화투입구의 폭이 넓어진 상태에 있는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KR1019920014094A 1992-08-06 1992-08-06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KR950003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094A KR950003796B1 (ko) 1992-08-06 1992-08-06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094A KR950003796B1 (ko) 1992-08-06 1992-08-06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500A KR940004500A (ko) 1994-03-15
KR950003796B1 true KR950003796B1 (ko) 1995-04-18

Family

ID=1933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094A KR950003796B1 (ko) 1992-08-06 1992-08-06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7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580B1 (ko) * 2008-07-18 2011-04-15 이해수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KR101313717B1 (ko) * 2012-06-21 2013-10-01 안호진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580B1 (ko) * 2008-07-18 2011-04-15 이해수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KR101313717B1 (ko) * 2012-06-21 2013-10-01 안호진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500A (ko) 199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9825A (en) Rotatable compartmentalized vending apparatus
US6464221B1 (en) Coin receiving pan of a game machine having a tray with grooves for arranging coins
US2653850A (en) Combination storage and dispensing rack
US5492504A (en) Pocket portable coin dispenser
US3228556A (en) Token dispensing device
JP3157745B2 (ja) スロットマシン用コイン受け皿および固定受け皿
KR950003796B1 (ko)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JPWO2002073547A1 (ja) コイン検出装置
US20040206770A1 (en) Ball bearing actuation mechanism
KR101029580B1 (ko)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JPH08215420A (ja) メダル装置
US4928970A (en) Bingo chip dispenser
US3430746A (en) Merchandise vending machine with combination rotary coin mechanism and slug rejector
US5339985A (en) Coin operated dispensing machine
JPS5913798B2 (ja) 簡易自動販売機における硬貨選別装置
US5590811A (en) Crayon organizer
US2526195A (en) Cartridge container
US724392A (en) Fortune-telling attachment.
JPH0641599Y2 (ja) 自動販売機玩具
JP2002133492A (ja) 自動販売機
KR890002519Y1 (ko) 토큰 판매기
US1840433A (en) Toothbrush container
US3083867A (en) Coin-actuaed vending machine
JPH04126592U (ja) 回胴式遊技機
JPS5938892A (ja) おみくじ等の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