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717B1 -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 Google Patents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717B1
KR101313717B1 KR1020120066663A KR20120066663A KR101313717B1 KR 101313717 B1 KR101313717 B1 KR 101313717B1 KR 1020120066663 A KR1020120066663 A KR 1020120066663A KR 20120066663 A KR20120066663 A KR 20120066663A KR 101313717 B1 KR101313717 B1 KR 101313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product
hole
vending machine
sto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호진
Original Assignee
안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호진 filed Critical 안호진
Priority to KR1020120066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2Testing the dimensions, e.g. thickness, diameter; Testing the deform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2Coin slo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02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actuated mechanically by coins, e.g. by a single co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는 외주연에 주화(C)가 투입되는 주화투입공(11)과, 상기 주화투입공(11)의 내측에 연결되어 투입된 주화(C)가 하부방향으로 통과되도록 천공된 주화유도공(12)과, 상기 주화투입공(11)으로 투입된 주화(C)가 상기 주화유도공(12)으로 이동되도록 중심부로 경사진 주화이동유도면(13)으로 이루어진 상부케이스(10)와;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하부에는 투입된 동전이 보관되는 주화보관부(21)와, 상기 주화보관부(21)의 일측에 상기 상품(G)이 배출되는 상품배출로(22)와, 상기 주화보관부(21)의 중심부에 투입된 주화(C)가 정해진 크기보다 작을 경우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작은주화배출로(23)로 이루어진 하부케이스(20)와; 상기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의 내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상품을 보관하는 상품보관부(30)와; 상기 상품보관부(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품보관공(32)의 하면과 상품배출로(22)의 상면을 일치시켜 내부에 보관된 상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상품보관부(30)를 회전시키는 작동수단(40);으로 구성되어 투입된 주화를 식별하여 정해진 주화로만 작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 Small vending machine with coin identifying function }
본 발명은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해진 주화보다 큰 주화는 투입되지 못하도록 정해진 크기의 투입구가 형성되고, 투입된 주화중 정해진 크기의 주화는 멈추고 정해진 주화보다 작은 주화는 하부로 통과되어 배출되도록 내부에 주화멈춤부재를 구비하며, 수직으로 수용된 상품이 중력에 의하여 차례로 배출되도록 투입된 주화를 이동하여 상품보관부를 회전시키는 작동수단을 구비하고, 상품보관부의 동작이 정확해지도록 주화가 이동되는 이동로의 측면에 최대동작지점까지 꼭지점으로 지정한 회전레버가압기준부가 구비되는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자판기는 커피숍 또는 음식점 등과 같은 영업소의 테이블에 설치하여 정해진 주화의 투입으로 인하여 오늘의 운세, 퍼즐게임, 커플찾기, 유머 등이 인쇄된 두루마리 종이 또는 사탕과 같은 상품이 나오는 오락용기구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형 자판기는 정해진 주화가 아닌 주화로도 작동이 가능하여 정해진 주화가 아닌 다른 주화로 무분별하게 사용함으로써, 소형 자판기의 주인은 금전적으로 큰 손실을 보게 되고, 투입된 주화가 소형 자판기의 내부에 걸려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소형 자판기는 사용자가 장난으로 거꾸로 들고 흔들어 내부에 들어있는 주화를 유출시키거나 내부에 들어있는 두루마리 종이 또는 사탕과 같은 상품를 매우 손쉽게 유출할 수 있어 보안에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출원된 공개특허 10-2010-0009209호의 주화식별기능을 가지는 소형자판기가 출원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소형 자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분해입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소형 자판기의 내부 구성중 요지부를 나타내 보인 분해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소형 자판기는 상부에 주화투입부(2a)가 형성된 상판(2) 및 캡(3)과, 상기 캡(3)과 상판(2)이 안착되는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4)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품저장수단(5)과, 상기 상품저장수단(5)이 안착되는 상품배출수단(6)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투입된 주화를 식별하여 상기 상품배출수단(6)을 작동시키는 주화식별수단(7)이 구비되고, 상기 주화식별수단(7)을 내부에 수용시키는 하반부(8)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소형 자판기의 주화식별수단(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스프링(S)으로 복귀동작을 실행하게 되어 장시간 사용시 복귀동작이 부정확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거나 동작이 정밀하지 못하여 투입된 주화의 이동시 걸림현상이 발생되어 고장나게 된다.
또한, 공급되는 상품의 크기가 커졌을 경우 상기 상품저장수단(5)에 보관되는 상품의 재고가 적어 빈번히 방문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소형자판기는 상품을 배출시키는 동작시 투입된 주화를 상품이 배출되는 최대작동점으로 이동시켜 상품을 배출시킨 후 작동레버를 미세하게 뒤로 조작하여 상기 투입된 주화를 뒤로 이동하여 재차 상품을 배출시킴으로써, 하나의 주화를 이용하여 다수의 상품을 배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해진 주화와 동일한 크기의 주화투입공을 형성하여 정해진 주화보다 큰 주화의 투입을 차단하고, 정해진 주화와 동일한 크기의 주화는 멈추고 작은 크기의 주화는 하부로 낙하시켜 투입된 주화를 식별하여 작동시킬 수 있으며, 주화가 이동되어 소형 자판기를 작동시키는 최대지점인 회전레버가압기준부를 형성하여 이동되는 주화가 회전레버가압기준부를 넘어선 후 뒤로 돌아오는 것을 방지하고, 넘어서지 못한 경우 소형 자판기가 작동되지 못하도록 명확하게 구분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며, 투입된 주화가 보관되는 보관부의 상부를 덮어주는 커버를 구비하여 소형자판기를 거꾸로 세워 투입된 동전을 역류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역류된 주화가 작동수단의 동작부분에 인입되어 동작을 방해하거나 고장을 유발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는 주화가 투입되어 상품이 배출되는 소형자판기로서 외주연에 정해진 주화와 동일한 크기로 천공되어 큰 주화의 투입을 차단하는 다수개의 주화투입공과, 상기 주화투입공의 내측에 연결되어 투입된 주화가 일지점에서 하부방향으로 통과되도록 천공된 주화유도공과, 상기 주화투입공으로 투입된 주화가 상기 주화유도공으로 이동되도록 중심부로 경사진 주화이동유도면으로 이루어진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는 투입된 동전이 보관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주화보관부와, 상기 주화보관부의 일측에 상기 상품이 배출되도록 외측으로 관통된 상품배출로와, 상기 주화보관부의 중심부에 투입된 주화가 정해진 크기보다 작을 경우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작은주화배출로로 이루어진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링형상의 보관부본체와, 상기 보관부본체의 상면에 상품이 보관되도록 수직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상품보관공과, 상기 보관부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보관부기어로 이루어진 상품보관부와; 상기 상품보관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품보관공의 하면과 상기 상품배출로의 상면을 일치시켜 내부에 보관된 상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상품보관부를 회전시키는 작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상품보관부의 하면에 연결되도록 상면에 상품보관인입부가 돌출된 작동수단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수단본체의 중심부에는 투입된 주화가 직립되어 안착되는 주화멈춤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수단본체의 일측부에는 상기 직립된 주화멈춤부재를 일측으로 밀어 회전시키며, 안착된 주화를 수평으로 밀어 상기 주화보관부로 낙하시키는 작동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수단본체의 하면에는 상기 배출되는 주화에 밀려 가압력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회전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레버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가압력을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노크식회전구가 구비되고, 상기 노크식회전구의 일측에 상기 보관부기어와 연결되어 상품보관부를 회전시키는 작동수단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수단본체의 하부 일면에는 상기 주화멈춤부재에서 일측으로 이동되는 주화가 상기 회전레버를 동작시킬 경우 상기 주화의 직경에 의하여 상기 회전레버의 최대작동지점이 작동되도록 상기 회전레버에서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지며 돌출형성된 회전레버가압기준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수단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작동레버와 작동수단본체의 결합이 견고해지도록 상기 작동레버를 덮어주며 고정된 작동수단하부커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화멈춤부재는 중심부에 정해진 주화와 동일한 크기의 주화안착공이 천공되고, 양측면에 상기 주화멈춤부재가 회전가능토록 원통형의 힌지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주화안착공의 내측면에 정해진 주화보다 작은 주화는 하부로 통과시키고 정해진 크기의 주화는 걸릴 수 있도록 양측면에서 돌출된 주화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부에 상기 주화멈춤부재가 회전된 후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리턴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수단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주화멈춤부재가 일측으로 회전될 경우 안착된 주화가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작동수단본체의 상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주화멈춤부재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원호로 형성된 주화회전이탈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주화보관부에 보관된 주화가 상기 주화투입공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주화보관부의 상부를 밀폐하는 역배출방지커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정해진 주화보다 큰 주화의 투입이 차단되도록 주화와 동일한 크기의 주화투입공을 상부케이스에 형성하고, 정해진 주화보다 작은 주화를 하부로 통과시켜 배출되도록 주화투입공에서 하부케이스까지 관통된 작은주화배출로를 형성함으로써, 투입된 주화를 식별하여 정해진 주화로만 작동할 수 있고,
둘째, 소형 자판기가 작동되는 최대지점을 정해진 거리로 형성하고, 작동시키는 최대지점의 거리를 지정하는 기준점을 삼각형상의 회전레버가압기준부로 형성함으로써, 일측으로 이동되는 주화가 회전레버가압기준부를 넘어설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하고 넘어서지 못한 경우에는 작동되지 못하도록 명확하게 구분하여 소형 자판기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내부에 구비된 작동수단의 하부에 작동레버를 덮어주며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작동레버용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작동하는 작동레버가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동레버의 원활한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넷째, 투입된 주화가 작동수단으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주화투입공의 내측에 중심부로 경사면이 형성된 주화이동유도면을 형성함으로써, 투입된 주화가 다른곳으로 이동되어 작동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 하부케이스의 상부를 덮어주는 역배출방지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소형자판기를 거꾸로 세워 투입된 동전을 역류시켜 내부에 보관된 주화를 외부로 빼내는 행위를 차단하고, 역류된 주화가 작동수단의 동작부분에 인입되어 동작을 방해하거나 고장을 유발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형 자판기를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소형 자판기를 나타내 보인 분해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판기를 나타내 보인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자판기를 나타내 보인 분해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수단을 나타내 보인 분해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화의 이동을 나타내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레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레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지시된 "A"의 확대도로서 회전레버가압기준부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부분확대도이고,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보관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주화(C)가 투입되어 상품(G)이 배출되는 소형자판기로서 외주연에 정해진 주화(C)와 동일한 크기로 천공되어 큰 주화의 투입을 차단하는 다수개의 주화투입공(11)과, 상기 주화투입공(11)의 내측에 연결되어 투입된 주화(C)가 일지점에서 하부방향으로 통과되도록 천공된 주화유도공(12)과, 상기 주화투입공(11)으로 투입된 주화(C)가 상기 주화유도공(12)으로 이동되도록 중심부로 경사진 주화이동유도면(13)으로 이루어진 상부케이스(10)와;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하부에는 투입된 동전이 보관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주화보관부(21)와, 상기 주화보관부(21)의 일측에 상기 상품(G)이 배출되도록 외측으로 관통된 상품배출로(22)와, 상기 주화보관부(21)의 중심부에 투입된 주화(C)가 정해진 크기보다 작을 경우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작은주화배출로(23)로 이루어진 하부케이스(20)와; 상기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의 내측에 구비되는 링형상의 보관부본체(31)와, 상기 보관부본체(31)의 상면에 상품(G)이 보관되도록 수직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상품보관공(32)과, 상기 보관부본체(31)의 하부에 형성된 보관부기어(33)로 이루어진 상품보관부(30)와; 상기 상품보관부(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품보관공(32)의 하면과 상기 상품배출로(22)의 상면을 일치시켜 내부에 보관된 상품(G)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상품보관부(30)를 회전시키는 작동수단(4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품보관부(30)에는 수직으로 천공된 상품보관공(31)이 다수의 열로 배열되며, 상기 상품보관공(13)은 1열과 2열이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수단(40)의 일면에는 상기 상품보관부(30)의 내부에 보관된 상품(G)이 상기 작동수단(40)을 통과하여 상기 상품배출로(22)로 배출될 수 있도록 타원형상으로 천공된 상품배출통과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회전레버(44)는 지레대의 작용에 의하여 정해진 지점으로 가압력이 전달되도록 중앙부가 연결된 회전힌지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의 내부에는 상호 접촉된 후 나사(미도시)로 인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대립돌출된 나사결합연결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은주화배출로(23)에는 상기 주화멈춤부재(42)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20)의 하면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작은주화배출로(23)의 몸체(미도시)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수단(40)은 상기 상품보관부(30)의 하면에 연결되도록 상면에 상품보관인입부(41a)가 돌출된 작동수단본체(41)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중심부에는 투입된 주화(C)가 직립되어 안착되는 주화멈춤부재(42)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일측부에는 상기 직립된 주화멈춤부재(42)를 일측으로 밀어 회전시키며, 안착된 주화(C)를 수평으로 밀어 상기 주화보관부(21)로 낙하시키는 작동레버(43)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하면에는 상기 배출되는 주화(C)에 밀려 가압력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회전레버(44)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레버(44)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가압력을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노크식회전구(45)가 구비되고, 상기 노크식회전구(45)의 일측에 상기 보관부기어(33)와 연결되어 상품보관부(30)를 회전시키는 작동수단기어(4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하부 일면에는 상기 주화멈춤부재(42)에서 일측으로 이동되는 주화(C)가 상기 회전레버(44)를 동작시킬 경우 상기 주화(C)의 직경에 의하여 상기 회전레버(44)의 최대작동지점이 작동되도록 상기 회전레버(44)에서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지며 돌출형성된 회전레버가압기준부(41b)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하부에는 상기 작동레버(43)와 작동수단본체(41)의 결합이 견고해지도록 상기 작동레버(43)를 덮어주며 고정된 작동수단하부커버(41c)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작동레버(43)의 레버손잡이(43a)는 내부에 수용된 작동수단(40)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의 외측면으로 돌출시켜 설치하고,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하면과 하부케이스(20)의 상면에는 상기 작동레버(46)가 이동되도록 작동레버(46)의 이동반경과 동일한 작동레버이동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주화멈춤부재(42)는 중심부에 정해진 주화(C)와 동일한 크기의 주화안착공(42a)이 천공되고, 양측면에 상기 주화멈춤부재(42)가 회전가능토록 원통형의 힌지연결부(42b)가 구비되며, 상기 주화안착공(42a)의 내측면에 정해진 주화(C)보다 작은 주화(C)는 하부로 통과시키고 정해진 크기의 주화(C)는 걸릴 수 있도록 양측면에서 돌출된 주화안착돌기(42c)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부(42b)에 상기 주화멈춤부재(42)가 회전된 후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리턴스프링(42d)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상면에는 상기 주화멈춤부재(42)가 일측으로 회전될 경우 안착된 주화(C)가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상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주화멈춤부재(42)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원호로 형성된 주화회전이탈방지부(41d)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작동레버(43)는 일측에 사용자가 손에 쥘 수 있도록 레버손잡이(43a)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작동레버(43)가 일측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된 레버힌지부(43b)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레버(43)의 상부 일면에는 상기 직립된 주화멈춤부재(42)를 밀어 회전시키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멈춤부재푸시부(43d)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레버(43)의 중앙부에는 상기 멈춤부재푸시부(43d)에 의하여 회전된 주화멈춤부재(42)의 주화(C)를 일측으로 밀어 배출시키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주화푸시부(43c)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43)의 주화푸시부(43c) 반대편면에는 일측으로 회전된 작동레버(43)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레버스프링(43e)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상부에는 상기 주화보관부(21)에 보관된 주화가 상기 주화투입공(11)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주화보관부(21)의 상부를 밀폐하는 역배출방지커버(2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역배출방지커버(24)의 일면에는 상기 작은주화배출로(23)와 상품배출로(22)가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주화멈춤부재(42)가 회전되어 수평으로 밀려 상기 주화보관부(21)로 낙하되는 주화(C)가 통과되는 주화이동공(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0)의 외주면에 정해진 주화(C)의 크기와 동일한 주화투입공(11)에 주화(C)를 투입하게 된다.
이어,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내부로 투입된 주화(C)는 상부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주화이동유도면(13)에 의하여 중앙부로 이동하게 되고, 주화이동유도면(13)의 중앙에 형성된 주화유도공(12)을 통하여 상기 작동수단(40)의 주화멈춤부재(42)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주화멈춤부재(42)의 내부에 정해진 주화(C)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주화안착공(42a)으로 정해진 크기보다 작은 주화(C)가 투입되었을 경우 하부로 통과하여 상기 작은주화배출로(2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정해진 크기와 동일한 주화(C)는 상기 주화안착공(42a)의 내측면에 돌출된 주화안착돌기(42c)에 걸림으로써, 투입된 주화(C)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화안착공(42a)에 안착된 주화(C)는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는 작동레버(46)에 의하여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수직으로 직립안착된 상기 주화(C)가 수평안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화멈춤부재(42)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원호로 형성된 주화회전이탈방지부(41d)로 인하여 일측으로 회전되는 주화멈춤부재(42)의 내부에 안착된 주화(C)가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상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레버(43)는 상기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설치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작동수단(40)을 상기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의 외부에서 직접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레버(43)의 일측에 형성된 멈춤부재푸시부(43d)가 상기 주화멈춤부재(42)의 일면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주화멈춤부재(42)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연결부(42b)로 인하여 상기 주화멈춤부재(42)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수직으로 직립되어 있던 주화안착공(42a)이 수평으로 회전되며 상기 주화안착공(42a)이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멈춤부재푸시부(43d)의 하면에 형성된 주화푸시부(43c)가 상기 주화안착공(42a)에 안착된 주화(C)를 일측으로 밀어 상기 주화보관부(21)에 낙하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작동레버(43)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주화멈춤부재(42)를 회전시키는 것과 상기 주화멈춤부재(42)에 안착된 주화(C)를 밀어내는 것을 동시에 실행시키게 되어 작동수단(40)을 단일 작업으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화안착공(42a)에서 일측으로 밀리며 이동되는 주화(C)가 상기 회전레버(44)에서 정해진 거리(D1)만큼 떨어지며 돌출형성된 회전레버가압기준부(41b)의 사이로 통과하며 상기 회전레버(44)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정해진 거리(D1)로 인하여 상기 주화(C)가 회전레버가압기준부(41b)를 통과할 경우에만 상기 회전레버(44)에 연결된 작동수단기어(46)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레버가압기준부(41b)는 상기 주화(C)와 접촉되는 접촉점(P)을 삼각형상의 모서리부분으로 형성함으로써, 일측으로 이동되는 주화(C)가 상기 접촉점(P)을 넘어설 경우와 넘어서지 못한 경우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넘어설 경우에는 상기 작동수단기어(46)를 작동시키는 것과 더불어 상품(G)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접촉점(P)을 넘어서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회전레버(44)와 주화(C)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회전레버(44)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부족하여 상기 작동수단기어(46)가 작동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작동레버(43)를 덮어주며 고정된 작동수단하부커버(41c)로 인하여 상기 작동레버(43)의 동작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작동수단본체(41)와 작동레버(43)의 결합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화안착공(42a)에서 일측으로 밀려나가는 주화(C)는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하면에 구비된 회전레버(44)의 일면을 밀어주게 되고, 상기 회전레버(44)는 지래대 원리로 또 다른 회전레버(44)를 밀어주며, 또 다른 회전레버(44)는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일측에 구비된 노크식회전구(45)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회전레버(44)를 통하여 전달되는 가압력은 상기 노크식회전구(45)의 일측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가압력을 회전력으로 가변하게 된다.
여기서, 가압력을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노크식회전구(45)는 기존 볼펜의 버튼에서 사용되는 기술로서 가압력을 전달받는 버튼의 타단부에 캠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캠수단과 연결된 기어에 의하여 직선으로 이동되는 가압력을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기술이며, 상기 노크식회전구(45)의 기술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6457호에 기출원자료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노크식회전구(45)의 반대편에 연결된 작동수단기어(46)가 회전되며 상기 작동수단기어(46)와 맞물린 보관부기어(33)로 인하여 상기 상품보관부(30)를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부본체(31)에 형성된 상품보관공(32)이 상기 하부케이스(20)에 형성된 상품배출로(22)와 일치하게 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품보관공(31)에 보관된 상품(G)이 중력에 의하여 하부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품보관부(30)의 상품보관공(31)은 다수개의 열로 형성되며 열과 열을 대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하여 보관되는 상품의 수를 대량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정해진 주화(C)를 투입한 후 외측으로 돌출시켜 설치하고된 작동레버(46)를 작동시킴으로써, 내부에 보관된 상품(G)을 외부로 배출가능토록 하며 주화(C)의 크기를 판별하여 크기가 다른 주화(C)를 판별하여 정해지지 않은 주화(C)의 사용으로 무분별하게 작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소형자판기 10 : 상부케이스
11 : 주화투입공 12 : 주화유도공
13 : 주화이동유도면 20 : 하부케이스
21 : 주화보관부 22 : 상품배출로
23 : 작은주화배출로 24 : 역배출방지커버
30 : 상품보관부 31 : 보관부본체
32 : 상품보관공 33 : 보관부기어
40 : 작동수단 41 : 작동수단본체
41a : 상품보관인입부 41b : 회전레버가압기준부
41c : 작동수단하부커버 41d : 주화회전이탈방지부
42 : 주화멈춤부재 42a : 주화안착공
42b : 힌지연결부 42c : 주화안착돌기
42d : 리턴스프링 43 : 작동레버
44 : 회전레버 45 : 노크식회전구
46 : 작동수단기어 G : 상품
C : 주화 C1 : 작은주화
P : 접촉점

Claims (6)

  1. 주화(C)가 투입되어 상품(G)이 배출되는 소형자판기에 있어서,
    외주연에 정해진 주화(C)와 동일한 크기로 천공되어 큰 주화의 투입을 차단하는 다수개의 주화투입공(11)과, 상기 주화투입공(11)의 내측에 연결되어 투입된 주화(C)가 일지점에서 하부방향으로 통과되도록 천공된 주화유도공(12)과, 상기 주화투입공(11)으로 투입된 주화(C)가 상기 주화유도공(12)으로 이동되도록 중심부로 경사진 주화이동유도면(13)으로 이루어진 상부케이스(10)와;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하부에는 투입된 동전이 보관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주화보관부(21)와, 상기 주화보관부(21)의 일측에 상기 상품(G)이 배출되도록 외측으로 관통된 상품배출로(22)와, 상기 주화보관부(21)의 중심부에 투입된 주화(C)가 정해진 크기보다 작을 경우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작은주화배출로(23)로 이루어진 하부케이스(20)와;
    상기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의 내측에 구비되는 링형상의 보관부본체(31)와, 상기 보관부본체(31)의 상면에 상품(G)이 보관되도록 수직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상품보관공(32)과, 상기 보관부본체(31)의 하부에 형성된 보관부기어(33)로 이루어진 상품보관부(30)와;
    상기 상품보관부(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품보관공(32)의 하면과 상기 상품배출로(22)의 상면을 일치시켜 내부에 보관된 상품(G)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상품보관부(30)를 회전시키는 작동수단(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40)은 상기 상품보관부(30)의 하면에 연결되도록 상면에 상품보관인입부(41a)가 돌출된 작동수단본체(41)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중심부에는 투입된 주화(C)가 직립되어 안착되는 주화멈춤부재(42)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일측부에는 상기 직립된 주화멈춤부재(42)를 일측으로 밀어 회전시키며, 안착된 주화(C)를 수평으로 밀어 상기 주화보관부(21)로 낙하시키는 작동레버(43)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하면에는 상기 배출되는 주화(C)에 밀려 가압력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회전레버(44)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레버(44)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가압력을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노크식회전구(45)가 구비되고, 상기 노크식회전구(45)의 일측에 상기 보관부기어(33)와 연결되어 상품보관부(30)를 회전시키는 작동수단기어(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하부 일면에는 상기 주화멈춤부재(42)에서 일측으로 이동되는 주화(C)가 상기 회전레버(44)를 동작시킬 경우 상기 주화(C)의 직경에 의하여 상기 회전레버(44)의 최대작동지점이 작동되도록 상기 회전레버(44)에서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지며 돌출형성된 회전레버가압기준부(41b)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하부에는 상기 작동레버(43)와 작동수단본체(41)의 결합이 견고해지도록 상기 작동레버(43)를 덮어주며 고정된 작동수단하부커버(41c)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멈춤부재(42)는 중심부에 정해진 주화(C)와 동일한 크기의 주화안착공(42a)이 천공되고, 양측면에 상기 주화멈춤부재(42)가 회전가능토록 원통형의 힌지연결부(42b)가 구비되며, 상기 주화안착공(42a)의 내측면에 정해진 주화(C)보다 작은 주화(C)는 하부로 통과시키고 정해진 크기의 주화(C)는 걸릴 수 있도록 양측면에서 돌출된 주화안착돌기(42c)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부(42b)에 상기 주화멈춤부재(42)가 회전된 후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리턴스프링(42d)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상면에는 상기 주화멈춤부재(42)가 일측으로 회전될 경우 안착된 주화(C)가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작동수단본체(41)의 상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주화멈춤부재(42)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원호로 형성된 주화회전이탈방지부(41d)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상부에는 상기 주화보관부(21)에 보관된 주화가 상기 주화투입공(11)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주화보관부(21)의 상부를 밀폐하는 역배출방지커버(2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KR1020120066663A 2012-06-21 2012-06-21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KR101313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663A KR101313717B1 (ko) 2012-06-21 2012-06-21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663A KR101313717B1 (ko) 2012-06-21 2012-06-21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3717B1 true KR101313717B1 (ko) 2013-10-01

Family

ID=4963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663A KR101313717B1 (ko) 2012-06-21 2012-06-21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7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796B1 (ko) * 1992-08-06 1995-04-18 이해수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KR960000366Y1 (ko) * 1993-04-09 1996-01-06 나순호 자동판매기의 출구 조절장치
KR200435304Y1 (ko) 2006-08-16 2007-01-16 (주) 한준세이지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
KR101029580B1 (ko) 2008-07-18 2011-04-15 이해수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796B1 (ko) * 1992-08-06 1995-04-18 이해수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KR960000366Y1 (ko) * 1993-04-09 1996-01-06 나순호 자동판매기의 출구 조절장치
KR200435304Y1 (ko) 2006-08-16 2007-01-16 (주) 한준세이지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
KR101029580B1 (ko) 2008-07-18 2011-04-15 이해수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1888B1 (en) Vending machine for retaining and dispensing feminine hygiene products through a novel coin operating apparatus
WO2006068176A1 (ja) 自動販売機
US6557725B2 (en) Article discharging device
CN1509459B (zh) 硬币检查装置
KR101313717B1 (ko)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US2432561A (en) Article ejecting device
JP2008003778A (ja) コイン選別器、コイン検出装置、および販売装置
TWM470993U (zh) 出幣機之撥幣裝置
KR101029580B1 (ko)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WO2006068177A1 (ja) 自動販売機
US8640915B2 (en) Gumball machine that dispenses multiple gumballs
CN201984568U (zh) 硬币处理装置
JP6302022B2 (ja) 投入物品選別装置、投入物品検出装置及び収容物取出装置
US882923A (en) Vending-machine.
KR20120126248A (ko) 다금종 처리가 가능한 동전 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전 인식 장치
KR950003796B1 (ko)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JP2006244210A (ja) カプセル入玩具用自動販売機のコイン投入装置
JP2561606B2 (ja) 景品放出ゲーム機
JPS5938892A (ja) おみくじ等の販売機
KR20010038340A (ko) 자동 판매기용 동전 반환 장치
US1661440A (en) Single-package-vending machine
JP3104648U (ja) カプセル入玩具用自動販売機のコイン投入装置
JP2002133494A (ja) 自動販売機
JP2004362481A (ja) 自動販売機
US900924A (en) Coin-controlled vending-machine, &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