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304Y1 -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304Y1
KR200435304Y1 KR2020060021887U KR20060021887U KR200435304Y1 KR 200435304 Y1 KR200435304 Y1 KR 200435304Y1 KR 2020060021887 U KR2020060021887 U KR 2020060021887U KR 20060021887 U KR20060021887 U KR 20060021887U KR 200435304 Y1 KR200435304 Y1 KR 200435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fitted
plate
screwed
co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승
Original Assignee
(주) 한준세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준세이지 filed Critical (주) 한준세이지
Priority to KR2020060021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3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3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2Testing the dimensions, e.g. thickness, diameter; Testing the deform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캔디 등 소형 사탕류 자판기에서 금액별로 다른 기계적 특성을 갖는 주화를 인식하여 주화의 진위여부 및 종별을 판별하여 소정액면(예로서, 100원) 주화만을 사용하도록 식별하는 소형 사탕류 자판기용 주화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T자 형상으로 되는 작동레버(1)와, 앞면에 주화 삽입구(2a)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에 끼워맞춤되며 뒷면에 스톱퍼(4)가 끼워지고 상기 스톱퍼(4)를 탄력 지지하는 판 스프링(3)이 끼워지는 전면판(2)과, 상기 작동레버에 끼워맞춤되고 서로 고정붙임되어 주화 안착부(5b)가 형성되는 이중판으로 되는 주화 안착 회전반(5)과, 좌측 하단이 절취되어 주화 배출 통로(15)를 이루며 뒷면에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화 안착 회전반이 내재되어 상기 전면판과 앞면이 맞닿은 채 나사결합되는 후면판(6)과, 원둘레상에 다수의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에 끼워맞춤되며 나사결합되는 회동기어(9)와, 상기 회동기어와 치차맞춤되며 상기 후면판에 회동이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키이(8)와, 상기 후면판의 뒷면 돌기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키이와 맞닿아서 힘을 가하는 스프링(7)과, 상기 후면판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키이의 역회동을 방지하는 역회동 방지부재(14)로 되는 것이다.
소형 사탕류 자판기, 주화 식별 장치

Description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Coin Discriminator for Small Type Candy Vending Machine}
도1a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의 일측면 사시도.
도1b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의 배면도.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주화 식별장치의 전면판의 후면 사시도.
도2c는 본 고안에 따른 주화 식별장치의 후면판의 후면 사시도.
도3a 및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의 작동 상태 예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의 설치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작동 레버
1a: 손잡이부 1b: 지지축
2: 전면판
2a: 주화 삽입구 2b: 관통공
2c: 지지돌기 2d: 홈
2e: 회동 안내 플랜지부
3: 판 스프링 4: 스톱퍼
5: 주화 안착 회전반
5a: 사각 관통홈 5b: 주화 안착부
6: 후면판
6a: 관통공 6b: 돌기
6c,6d: 나사구멍 6e: 관통공
7: 스프링 8: 키이
9: 회동기어
9a: 기어 9b: 끼워맞춤홈
10,12,13: 나사
14: 역회동 방지 부재
15: 주화 배출 통로
본 고안은 소형 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캔디 등 소형 사탕류 자판기에서 금액별로 다른 기계적 특성을 갖는 주화를 인식하여 주화의 진위여부 및 종별을 판별하여 소정액면(예로서, 100원) 주화만을 사용하도록 식별하는 소형 사탕류 자판기용 주화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가의 소형 사탕류 자판기는 별도로 주화의 진위여부 및 종별을 판별하여 소정액면 주화만을 사용하도록 식별하는 주화식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못하여, 주로 유치원생이나 초등학생이 사용하는 소형 사탕류 자판기의 조작 사용 시, 불량주화의 사용이 빈번하여 내용물을 판매하고도 손해를 보는 일이 자주 발생할 뿐만 아니라 유치원생이나 초등학생의 사행심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지금까지 알려진 주화식별장치로서는 기계적으로 주화의 형상 및 중량 등의 물리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주화를 식별하는 기계식과, 전자적으로 주화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전기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주화를 식별하는 전자식이 있다.
그러나, 전자식 주화식별장치는 제작 시 원가상승요인이 가중되므로 유치원생이나 초등학생이 주로 사용하는 염가의 소형 사탕류 자판기용에는 채용이 불가능하고, 기계식 주화식별장치 역시 구조가 복잡함에 따라 제작 시 원가상승요인이 가중되어 채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캔디 등 소형 사탕류 자판기에서 금액별로 다른 기계적 특성을 갖는 주화를 인식하여 주화의 진위여부 및 종별을 판별하여 소정액면(예로서, 100원) 주화만을 사용하도록 주화검출의 정확도를 높이고, 유치원생이나 초등학생 등의 부정 사용에 따른 사행심 유발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주화식별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주화 식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선별 장치는,
손잡이부와 한쪽 끝단이 대략 사각 형상이며 그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축이 T자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레버; 대략 사각 형상으로 되고, 앞면에는, 좌측 상단에 주화 삽입구가 형성되고, 대략 중앙에 상기 작동 레버의 지지축이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뒷면에는, 스톱퍼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를 탄력 지지하는 판 스프링이 끼워지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회동 안내 플랜지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전면판; 중앙에 상기 작동레버의 지지축에 끼워 맞춤되는 사각 관통홈이 형성되고 서로 고정 붙임되어 주화 안착부가 형성되는 이중판으로 되는 주화 안착 회전반; 대략 사각 형상으로 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좌측 하단이 원호를 이루며 절취되어 주화 배출 통로를 이루며, 앞면은 편평하고, 뒷면은 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두개의 나사구멍과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주화 안착 회전반이 내재되어 상기 전면판의 회동 안내 플랜지부와 상기 편평한 앞면이 맞닿은 채 나사결합되는 후면판; 원둘레상에 다수의 기어가 형성되고 몸체 내부에 상기 작동레버의 지지축과 끼워 맞춤되는 사각형상의 끼워 맞춤 홈과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작동 레버의 지지축과 나사결합되는 회동기어; 상기 회동기어의 기어와 치차맞춤되며, 상기 후면판의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되는 키이; 상기 후면판의 뒷면 돌기에 끼워 맞춤되고 상기 키이와 맞닿아서 힘을 가하는 스프 링; 상기 후면판의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키이의 역회동을 방지하는 역회동 방지부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 및 스톱퍼는 정상적인 주화의 두께 및 직경을 물리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주화 안착 회전반을 회전 구동 또는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판에 주화 안착 회전반, 후면판 및 회동 기어가 순차적으로 나사결합 되었을 때 총 두께는 대략 16.75mm 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 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a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의 일측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1b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의 전체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주화 식별장치의 전면판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2c는 본 고안에 따른 주화 식별장치의 후면판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1)는 손잡이부(1a)와 한쪽 끝단이 대략 사각 형상이며 그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축(1b)이 T자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전면판(2)은 대략 사각 형상으로 되고, 앞면에는, 좌측 상단에 주화 삽입 구(2a)가 형성되고, 대략 중앙에 상기 작동 레버(1)의 지지축(1b)이 끼워지는 관통공(2b)이 형성되어 있고, 뒷면에는, 스톱퍼(4)가 끼워지는 홈(2d)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4)를 탄력 지지하는 판 스프링(3)이 끼워지는 지지돌기(2c)가 형성되고, 회동 안내 플랜지부(2e)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화 안착 회전반(5)은, 중앙에 상기 작동레버(1)의 지지축(1b)에 끼워 맞춤되는 사각 관통홈(5a)이 형성되고 서로 고정 붙임되어 주화 안착부(5b)가 형성되는 이중판으로 되어 있다.
또한, 후면판(6)은 대략 사각 형상으로 되고, 중앙에 관통공(6a)이 형성되고, 좌측 하단이 원호를 이루며 절취되어 주화 배출 통로(15)를 이루며, 앞면은 편평하고, 뒷면은 돌기(6b)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두개의 나사구멍(6c),(6d)과 다수의 관통공(6e)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주화 안착 회전반(5)이 내재되어 상기 전면판(2)의 회동 안내 플랜지부(2e)와 상기 후면판(6)의 편평한 앞면이 맞닿은 채 나사결합되어 있다.
회동기어(9)는 원둘레상에 다수의 기어(9a)가 형성되고 몸체 내부에 상기 작동레버(1)의 지지축(1b)과 끼워 맞춤되는 사각형상의 끼워 맞춤 홈(9b)과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작동 레버(1)의 지지축(1b)과 나사결합되어 있다.
한편, 키이(8)는 상기 회동기어(9)의 기어(9a)와 치차맞춤되며, 상기 후면판(6)의 나사 구멍(6c)에 회동이 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7)이 상기 후면판(6)의 뒷면 돌기(6b)에 끼워 맞춤되어 상기 키이(8)와 맞닿아서 힘을 가하고 있다.
역회동 방지부재(14)가 상기 후면판(6)의 나사구멍(6d)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키이(8)의 역회동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2)에 주화 안착 회전반(5), 후면판(6) 및 회동 기어(9)가 순차적으로 나사결합되었을 때 전면판(2)의 표면에서 나사결합된 회동 기어(9)까지의 총 두께는 소형 사탕류 자판기에 최적의 두께인 대략 16.75mm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은 전면판(2)과 후면판(6)의 결합볼트, 12는 키이(8)와 후면판(6)의 결합볼트, 15는 주화 배출통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의 동작을 도3a 및 도3b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상적인 소정금액(100원짜리)의 주화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2 및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판(1)에 형성된 주화 삽입구(2a)에 소정금액(100원짜리)의 주화(A)를 투입한 후, 작동 레버(1)를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전면판(1)의 뒷면의 홈(2d)에 끼워진 판 스프링(3)과 이 판 스프링(3)을 탄력 지지하는 스톱퍼(4)가 주화가 안착되는 공간 확보를 위해 이중판이 고정붙임되어 구성된 주화 안착 회전반(5)의 주화 삽입구에 안착된 100원짜리 주화(A)의 두께 및 직경을 물리적으로 감지하여 정상적인 100원짜리 주화(A)이므로 주화 안착 회전반(5)이 회전하도록 언 록킹(unlocking) 상태가 된다.
즉, 주화 안착 회전반(5)에 안착된 주화가 회전하면서 스톱퍼(4)의 하면에 접촉될 때 주화의 두께 및 직경을 물리적으로 감지하는 것이다.
이때 후면판(6)의 뒷면에 관통공(6a)을 통해 작동 레버(1)의 지지축(1b)과 나사결합된 회동 기어(9)도 주화 안착 회전반(5)과 같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되는데, 정상적인 100원짜리 주화(A)투입 경우에는 상기 회동 기어(9)의 회전을 제동하는 키이(8)가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 기어(9)의 회전을 제동하지 않고 회동 기어(9)가 언록킹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작동 레버(1)를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1b 및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0원짜리 주화(A)가 후면판(6)의 하측에 형성된 주화 배출통로(15)에 도달하게 되면 100원짜리 주화(A)가 주화 배출 통로(15)를 통하여 도시되지 아니한 주화 수집함에 쌓여지게 되고, 사용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자판기(B)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내용물 배출구(D)를 통하여 내용물(C)을 습득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작동 레버(1)의 회전 각도는 대략 250~270도 정도가 된다.
다음에, 비정상적인 금액(50원 또는 10원짜리)의 주화 또는 불량주화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 한다.
도2 및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판(1)에 형성된 주화 삽입구(2a)에 비정상적인 금액(50원 또는 10원짜리)의 주화 또는 불량주화를 투입한 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 레버(1)를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전면판(1)의 뒷면의 홈(2d)에 끼워진 판 스프링(3)과 이 판 스프링(3)을 탄력 지지하는 스톱퍼(4)가 주화 안착 회전반(5)에 안착된 50원 또는 10원짜리 주화 또는 불량주화의 두께 및 직경을 물리적으로 감지하여 정상적인 100원짜리 주화(A)가 아니므로 주화 안착 회전반(5)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록킹 상태가 되므로 더 이상 작동 레버(1)가 회전되지 못하므로 부정에 의한 자판기(B)의 사용을 차단한다.
이때 후면판(6)의 뒷면에 관통공(6a)을 통해 작동 레버(1)의 지지축(1b)과 나사결합된 회동 기어(9)도 주화 안착 회전반(5)과 같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대략 40~50도 정도 회전하게 되는데, 50원 또는 10원짜리 주화 또는 불량주화의 투입 경우에는 상기 회동 기어(9)의 회전을 제동하는 키이(8)가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 기어(9)의 회전을 제동하여 회동 기어(9)가 록킹(locking) 상태가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전면판(2)에 주화 안착 회전반(5), 후면판(6) 및 회동 기어(9)가 순차적으로 나사결합되었을 때 전면판(2)의 표면에서 나사결합된 회동기어(9)까지의 총 두께는 소형 사탕류 자판기에 최적의 두께인 대략 16.75mm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화 식별 장치는 캔디 등 소형 사탕류 자판기에서 금액별로 다른 기계적 특성을 갖는 주화를 인식하여 주화의 진위여부 및 종별을 판별하여 소정액면(예로서, 100원) 주화만을 사용하도록 주화식 별의 정확도를 높이고, 유치원생이나 초등학생 등의 부정사용에 따른 사행심 유발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주화식별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손잡이부(1a)와 한쪽 끝단이 대략 사각 형상이며 그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축(1b)이 T자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레버(1);
    대략 사각 형상으로 되고, 앞면에는, 좌측 상단에 주화 삽입구(2a)가 형성되고, 대략 중앙에 상기 작동 레버(1)의 지지축(1b)이 끼워지는 관통공(2b)이 형성되고, 뒷면에는, 스톱퍼(4)가 끼워지는 홈(2d)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4)를 탄력 지지하는 판 스프링(3)이 끼워지는 지지돌기(2c)가 형성되고, 회동 안내 플랜지부(2e)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전면판(2);
    중앙에 상기 작동레버(1)의 지지축(1b)에 끼워 맞춤되는 사각 관통홈(5a)이 형성되고 서로 고정 붙임되어 주화 안착부(5b)가 형성되는 이중판으로 되는 주화 안착 회전반(5);
    대략 사각 형상으로 되고, 중앙에 관통공(6a)이 형성되고, 좌측 하단이 원호를 이루며 절취되어 주화 배출 통로(15)를 이루며, 앞면은 편평하고, 뒷면은 돌기(6b)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두개의 나사구멍(6c),(6d)과 다수의 관통공(6e)이 형성되며, 상기 주화 안착 회전반(5)이 내재되어 상기 전면판(2)의 회동 안내 플랜지부(2e)와 상기 편평한 앞면이 맞닿은 채 나사결합되는 후면판(6);
    원둘레상에 다수의 기어(9a)가 형성되고 몸체 내부에 상기 작동레버(1)의 지지축(1b)과 끼워 맞춤되는 사각형상의 끼워 맞춤 홈(9b)과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작동 레버(1)의 지지축(1b)과 나사결합되는 회동기어(9);
    상기 회동기어(9)의 기어(9a)와 치차맞춤되며, 상기 후면판(6)의 나사 구멍(6c)에 회동이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키이(8);
    상기 후면판(6)의 뒷면 돌기(6b)에 끼워 맞춤되고 상기 키이(8)와 맞닿아서 힘을 가하는 스프링(7);
    상기 후면판(6)의 나사구멍(6d)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키이(8)의 역회동을 방지하는 역회동 방지부재(14)로 되는 소형 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2)에 주화 안착 회전반(5), 후면판(6) 및 회동 기어(9)가 순차적으로 나사결합되었을 때 총 두께는 대략 16.75mm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
  3. 삭제
KR2020060021887U 2006-08-16 2006-08-16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 KR2004353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887U KR200435304Y1 (ko) 2006-08-16 2006-08-16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887U KR200435304Y1 (ko) 2006-08-16 2006-08-16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304Y1 true KR200435304Y1 (ko) 2007-01-16

Family

ID=4155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887U KR200435304Y1 (ko) 2006-08-16 2006-08-16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3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580B1 (ko) 2008-07-18 2011-04-15 이해수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KR101313717B1 (ko) 2012-06-21 2013-10-01 안호진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580B1 (ko) 2008-07-18 2011-04-15 이해수 주화식별기능을 갖는 소형 자판기
KR101313717B1 (ko) 2012-06-21 2013-10-01 안호진 주화식별수단이 구비된 소형 자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5304Y1 (ko) 소형사탕류 자판기용 주화 식별장치
JP5032254B2 (ja) 遊技媒体貸機
US20040053698A1 (en) Floating bezel for a peripheral component in a gaming machine
CN2919389Y (zh) 一种公共汽车用智能投币箱储币胆
US6964328B2 (en) Antitheft design for rotary coin mechanisms
JP3187765U (ja) 遊技機
TWM470993U (zh) 出幣機之撥幣裝置
EP0851395B1 (en) Rotary coin mechanism and token therefor
JP7368231B2 (ja) カプセル入り玩具販売機のコイン投入装置
US20050227604A1 (en) [outlet-adjusting device of coin dispenser]
CN1912937A (zh) 自动售货机
JP5412641B2 (ja) 円板体貯留装置
JP3184416U (ja) 遊技機
JP2006280451A (ja) コイン処理装置
JP3726475B2 (ja) コイン払い出し装置
US20040245067A1 (en) Coin mechanism of simplified construction and method of coin validity testing and vending machine operation
JP4781311B2 (ja) 遊技機
TW305979B (en) The inspecting apparatus for coin processing device
WO2024075360A1 (ja) ロック機構および貨幣取扱装置
JP5070576B2 (ja) コイン状部材送出装置
EP1717765A1 (en) Token accepting mechanism for vending machine, tokens and the combination of tokens and token accepting mechanism and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such token accepting machine
GB2375428A (en) Apparatus for testing tokens of varied sizes
KR940000040Y1 (ko) 수동식 자동판매기의 동전판별장치
US20040045786A1 (en) Banknote receiving system used in a ticket vendor or the like
JP2009082213A (ja) 遊技媒体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