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207B1 - 요금 자동 수수기 - Google Patents

요금 자동 수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207B1
KR101027207B1 KR20087031017A KR20087031017A KR101027207B1 KR 101027207 B1 KR101027207 B1 KR 101027207B1 KR 20087031017 A KR20087031017 A KR 20087031017A KR 20087031017 A KR20087031017 A KR 20087031017A KR 101027207 B1 KR101027207 B1 KR 101027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ge
toll
charge
machin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703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389A (ko
Inventor
겐지 두투미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4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being coin-opera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유료 도로에 마련된 요금소의 차선 옆에 설치된 요금 자동 수수기는 동전을 받아들이는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와,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에 결합된 이동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기구부가 동작함으로써, 거스름돈 받음 접시가 요금 자동 수수기의 하우징으로 수납되거나, 또는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용이하게 거스름돈 동전을 거스름돈 받음 접시로부터 쥘 수 있는 요금 자동 수수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요금 자동 수수기{AUTOMATIC TOLL COLLECTION MACHINE}
본 발명은 유료 도로의 요금소에 설치되는 요금 자동 수수기에 관한 것이다.
유료 도로의 요금소에 요금 자동 수수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요금 자동 수수기는 요금 수수원을 두지 않고, 차량의 운전수가 통행 요금의 지불과 거스름돈의 수취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운전수는 차종 등에 따른 통행 요금의 제시를 받고, 지불해야 할 통행 요금을 요금 자동 수수기의 지폐 투입구 혹은 동전 투입구에 투입한다. 그런데, 통행 요금에 대하여 거스름돈이 필요없으면, 차량은 발진하게 된다. 한편, 거스름돈이 있는 경우에는 요금 자동 수수기에 조립된 거스름돈 받음 접시에 거스름돈 동전이 배출된다. 운전수는 거스름돈 받음 접시에 손을 뻗어서 거스름돈 동전을 수취한다. 지폐의 거스름돈이 있으면, 운전수는 지폐 반환구로부터 거스름돈 지폐를 수취한다.
거스름돈 받음 접시는 요금 자동 수수기의 하우징 내에 수납되어 있다. 운전수가 거스름돈 동전을 받기 위해서는, 차량을 가능한 한 요금 자동 수수기에 가까이대서 멈추고, 또한 운전수의 근처에 거스름돈 받음 접시가 오도록 차량을 멈추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운전수는 차량의 창문을 열고 손을 뻗어서 거스름돈 동전을 쥘 때, 완만하게 거스름돈 동전을 쥐기 위해서, 차량의 정차 위치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된다. 거스름돈 받음 접시로부터 먼 위치에 차량을 정차시키면, 운전수는 무리하게 손을 뻗어야만 하거나, 문을 열고 내려야 할 필요가 발생기거나, 거스름돈 동전을 놓쳐서 거스름돈 동전을 노상에 낙하시켜버리는 일이 일어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1996-305925 호 공보에는, 동전을 투입하는 동전 투입구와, 이 동전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동전을 종류별로 구분해서 수납하는 동전 수납부와, 이 동전 수납부 내에 수납된 각종의 동전을 종류별로 필요한 매수씩 취출하는 동전 취출 기구와, 이 동전 취출 기구에 의해 취출된 동전이 배출되는 동전 취출구를 갖는 자동 거스름돈 기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 자동 거스름돈 기기는, 상기 동전 투입구를 고객측의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동전 투입구를 개폐하는 동시에 폐지 상태에서 이 동전 투입구에 투입하는 동전의 받음 접시를 겸용하는 트레이를 마련하며, 소정의 개폐 조작에 근거해서 상기 트레이를 개폐시키는 개폐 기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1995-306961 호 공보에는, 유료 도로의 일측을 따라 입설된 자동 요금 수수 장치에 내장되고, 그 전단 개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및 후퇴 가능함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게 부설되어, 전단에 터치 센서를 설치하는 동시에 거리 센서를 부설해서 이루어진 신축 가능한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전단에 부설된 통행료 및 거스름돈용 수수 접시를 구비한 자동 요금 수수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자동 요금 수수 장치는 소정의 정지 위치에 차량이 정지한 것을 검출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전단이 그 드라이버 시트의 윈 도우를 향해서 자동적으로 신장 정지하고, 통행료가 그 수수 접시에 삽입되면 상기 벨트 컨베이어는 자동적으로 원래 위치로 되돌아와서 그 금액을 확인하고, 그 영수증와 함께 필요하면 거스름돈을 상기 수수 접시에 넣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이것을 드라이버 시트의 윈도우를 향해서 신장 정지하고, 드라이버가 영수증 및 거스름돈을 수수후 자동적으로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료 도로의 요금소에 설치되는 요금 자동 수수기에 있어서, 용이하게 거스름돈 동전을 거스름돈 받음 접시로부터 쥘 수 있는 요금 자동 수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요금 자동 수수기는 유료 도로에 마련되는 요금소의 차선 옆에 설치되는 요금 자동 수수기이며, 동전을 받아들이는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와,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에 결합된 이동 기구부를 구비한다. 이동 기구부가 동작함으로써,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가 자동적으로 요금 자동 수수기의 하우징으로 수납 또는 하우징로부터 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요금 자동 수수기에 있어서,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는 또한,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가 소정 위치에서의 물체의 존재를 검지하는 검지 센서를 구비한다. 검지 센서가 물체의 존재를 검지했을 때,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의 하우징으로의 수납이 정지된다.
본 발명에 의한 요금 자동 수수기에 조립되어 있는 제어부는 요금 자동 수수기에 조립되어 있는 동전 처리기로부터 통행 요금에 따른 거스름돈이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에 배출된 후에, 이동 기구부에 이동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동 지령 신호에 따라 이동 기구부가 동작함으로써,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가 하우징 밖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요금 자동 수수기에 조립되어 있는 제어부는 차량이 발진한 것을 검지하는 발진 검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발진 검지 신호에 응답해서 이동 기구부에 이동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동 지령 신호에 따라 이동 기구부가 동작함으로써,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가 하우징 내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요금 자동 수수기에 있어서,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는 바닥면에 배수 구멍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료 도로의 요금소에 설치되는 요금 자동 수수기에 있어서, 용이하게 거스름돈 동전을 거스름돈 받음 접시로부터 집을 수 있는 요금 자동 수수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요금 자동 수수기용 거스름돈 받음 접시 및 주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요금 자동 수수기의 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요금 자동 수수기용 거스름돈 받음 접시 및 주변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요금 자동 수수기의 하우징 내에 거스름돈 받음 접시가 받아들여졌을 때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요금 자동 수수기의 하우징 밖으로 거스름돈 받음 접시가 배출되었을 때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거스름돈 받음 접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7은 요금 자동 수수기의 동작의 흐름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요금 자동 수수기를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요금 자동 수수기용 거스름돈 받음 접시 및 주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금소는 차선(18), 진입 검지 센서[(발광부)4]와 진입 검지 센서[(수광부)6], 요금 자동 수수기(10), 발진 검지 센서[(발광부)12]와 발진 검지 센서[(수광부)14]로 구성되어 있다.
진입 검지 센서[(발광부)4]는 진입 검지 센서광(8)을 발광한다. 차량(2)이 진입하면, 진입 검지 센서광(8)이 차단되어, 진입 검지 센서[(수광부)6]에 광이 도달하지 않게 되는 것에 의해, 차량(2)이 차선(18)에 진입한 것이 검지된다. 진입 검지 센서[(수광부)6]는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제어부(10b)에 차량 진입 검지 신호를 보낸다.
차량(2)의 운전수는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앞에 차량(2)을 정차시킨다.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전면(10a)을 도 2에 도시한다. 유료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2)은 보통 차나 대형차가 혼재하기 때문에, 요금 자동 수수기(10)는 대형차용(50)과 보통차용(60)의 상하 2단으로 나뉘어져 있다.
여기에서, 운전수는 통행권을 통행권 삽입구(10f)에 삽입한다.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도시하지 않은 연산부는 통행권의 자기정보 등을 판독하여, 차종이나 통행 거리에 따른 통행 요금을 요구한다. 요구된 통행 요금은 요금 표시(10g)에 표시된다.
운전수는 요금 표시(10g)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필요한 통행 요금을 지폐 삽입구(10j) 혹은 동전 투입구(10d)에 넣는다. 동전 처리기(10c)는 삽입 혹은 투입된 지폐나 동전의 금액에 따라, 통행 요금과의 차액을 연산하고, 필요한 거스름돈 금액을 요구한다. 거스름돈은 지폐의 경우에는 지폐 반환구(10k)로부터 배출되고, 동전의 경우에는 거스름돈 받음 접시(20)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필요한 통행 요금은 몇백엔 정도로, 지폐가 아니고, 동전으로 통행 요금을 지불하여, 동전의 거스름돈을 받아들일 경우에 있어서 설명한다.
운전수가 지불한 동전은 동전 투입구(10d)로부터 동전 처리기(10c)에 들어간다. 동전 처리기(10c)는 필요한 거스름돈의 동전을 거스름돈 슈트(10e)로 배출한다. 거스름돈 슈트(10e)는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배출된 거스름돈의 동전은 거스름돈 받음 접시(20)가 수취한다.
거스름돈 받음 접시(20)는 거스름돈의 동전을 수취할 때까지는,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하우징 내에 들어 있다. 거스름돈 받음 접시(20)가 거스름돈의 동전을 수취하면, 제어부(10b)는 이동 지령 신호를 모터(30)에 보낸다. 모터(30)가 회전하고, 거스름돈 받음 접시(20)가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하우징 밖으로 나온다.
운전수는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에 손(44)을 뻗어서, 거스름돈의 동전을 수취한다. 또한, 필요하면 영수증 발행 보턴(10h)을 눌러, 영수증 발행구(10i)로부터 영수증을 수취한다.
차선(18)의 차량(2)의 진행 방향(2')의 전방에는, 발진 검지 센서[(발광부)12]와 발진 검지 센서[(수광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수가 거스름돈의 동전을 수취하여, 차량(2)을 발진시키면, 차량(2)이 발진 검지 센서 광(16)을 가로막아서, 차량(2)이 발진한 것이 검지된다. 발진 검지 센서[(수광부)14]는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제어부(10b)에 차량 발진 검지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10b)는 차량 발진 검지 신호를 받으면, 이동 지령 신호를 후술하는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의 주변 기구에 포함되는 모터(30)에 보낸다. 모터(30)가 회전하고, 거스름돈 받음 접시(20)가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하우징 내로 들어간다. 이렇게, 거스름돈 받음 접시(20)가 출납(21)되는 것에 의해, 운전수에 가까운 곳에, 거스름돈 받음 접시(20)가 나온다. 그 때문에, 운전수는 거스름돈의 동전을 쥐기 쉽다. 또한, 거스름돈 받음 접시(20)가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하우징의 밖으로 나오기 때문에, 운전수는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의 장소를 시각적으로 즉시 인식하기 쉽다. 또한, 거스름돈 받음 접시(20) 및 주변 기구의 설명과,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의 동작의 흐름에 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 3은 거스름돈 받음 접시(20) 및 주변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모터(30)가 볼나사(32)에 결합하고 있다. 반송 가이드(36)에는 도시하지 않은 암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볼나사(32)가 그 암나사 구멍에 관통되어 있다. 볼나사(32)가 회전하면, 반송 가이드(36)는 볼나사(32)의 축의 방향(도 3 내에 도시하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송 가이드(36)는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와 일체로 되어 있다. 반송 가이드(36)는 반송 레일(34)을 따라 움직인다. 반송 레일(34)은 반송 기구 지지부(38)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전면(10a)에는, 하우징 전면 개구구(24)가 열려 있다. 이 하우징 전면 개구구(24)는, 거스름돈 받음 접시(20)가 출입하기 위해서 열려 있는 것이다. 모터(30)의 회전에 의해 볼나사(32)가 회전하고, 거스름돈 받음 접시(20)는 도 3 내에 도시하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하우징의 내외로 출입한다.
반송 가이드(36)에는 거스름돈 받음 접시 검지용 지그(28)가 부착되어 있다. 거스름돈 받음 접시 배출 위치 검지 센서(26a) 및 거스름돈 받음 접시 격납 위치 검지 센서(26b)가 반송 기구 지지부(38)에 부착되어 있다. 이들의 센서는 도시하지 않은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고 있다. 거스름돈 받음 접시 검지용 지그(28)가 거스름돈 받음 접시 배출 위치 검지 센서(26a) 및 거스름돈 받음 접시 격납 위치 검지 센서(26b)의 발광부로부터 나온 광을 차단하면, 거스름돈 받음 접시 배출 위치 검지 센서(26a) 및 거스름돈 받음 접시 격납 위치 검지 센서(26b)는 제어부(10b)에 이동 정지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10b)는 이동 정지 신호를 받으면 모터(30)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거스름돈 받음 접시 배출 위치 검지 센서(26a)는 거스름돈 받음 접시(20)가 배출되었을 때[요금 자동 수수기(10)의 하우징 밖으로 거스름돈 받음 접시(20)가 이동했을 때]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거스름돈 받음 접시 격납 위치 검지 센서(26b)는 거스름돈 받음 접시(20)가 격납되었을 때[요금 자동 수수기(10)의 하우징 내로 거스름돈 받음 접시(20)가 이동했을 때]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의 상방(도 3 내에 도시하는 Z축의 정방향)에는 거스름돈 슈트(10e)가 배치된다. 또한,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의 가장자리의 전후(도 3 내에 도시하는 X축의 방향)에는 끼워 조립된 검지 센서[(발광부)22a]와 끼워 조립된 검지 센서[(수광부)22b]를 구비된다. 끼워 조립된 검지 센서[(발광부)22a]와 끼워 조립된 검지 센서[(수광부)22b]는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거스름돈 받음 접시(20)가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하우징 내로 이동할 때에 손(44)이 끼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안전 장치로서, 끼워 조립된 검지 센서[(발광부)22a]와 끼워 조립된 검지 센서[(수광부)22b]가 마련되어 있다.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에 손(44)이 들어간 채라면, 끼워 조립된 검지 센서[(발광부)22a]로부터 나온 광이 차단되어, 끼워 조립된 검지 센서[(수광부)22b]는 광을 수광하지 않는다. 이 경우, 끼워 조립된 검지 센서[(수광부)22b]는 제어부(10b)에 이동 정지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10b)는 이동 정지 신호를 받으면 모터(30)의 회전의 정지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도 4는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하우징 내에 거스름돈 받음 접시(20)가 격납되었을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한편, 도 5는 요금 자동 수수기의 하우징 밖으로 거스름돈 받음 접시가 배출되었을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에 관한 설명은 상기에서 서술한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도 6은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끼워 조립된 검지 센서[(발광부)22a]와 끼워 조립된 검지 센서[(수광부)22b]가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의 가장자리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의 거스름돈 받음 접시 내부(40)는, 사면부(20a)와 바닥면부(20b)로 구성되어 있다. 거스름돈 슈트(10e)로부터 낙하한 거스름돈 동전(42)은 사면부(20a)를 미끄러져 굴러 가서, 바닥면부(20b)에 쌓인다. 또한, 거스름돈 받음 접시(20)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이나 수지이면 좋다. 거스름돈 받음 접시(20)는 옥외에 설치되므로, 부식성이나 내후성이 뛰어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면부(20a)나 바닥면부(20b)도 부식성이나 내후성이 뛰어난 금속이나 수지의 재료이면 좋다. 사면부(20a)나 바닥면부(20b)는 거스름돈 동전(42)이 붙지 않도록, 표면에 약간의 요철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의 바닥면부(20b)에는, 복수의 배수 구멍(20c)이 마련된다. 요금 자동 수수기(10)는, 옥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눈, 비에 맞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수 구멍(20c)은 빗물이나 눈이 녹은 물(이하, 빗물 등)이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의 내부에 고이는 것을 막는다. 빗물 등은 배출 구멍(20e)을 통과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배수 구멍(20c)에는, 보다 스무스하게 빗물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 경사(20d)가 마련되어 있다. 경사(20d)는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하우징의 전면(10a)을 향해서 내려가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부(20b)에 복수의 배수 구멍(20c)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배수 구멍(20c)이 없는 평면에 비해, 거스름돈 동전(42)이 바닥면부(20b)에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운전수가 거스름돈 동전(42)을 집어내기 쉽게 한다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7은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상기에 있어서,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의 동작을 설명했기 때문에, 중복하는 설명도 있지만, 여기에서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요금 자동 수수기(10)가 대기중에, 차량 진입이 있어서[단계(S1)], 진입 검지 센서[(수광부)6]가 차량 진입을 검지한다[단계(S2)]. 진입 검지 센서[(수광부)6]는 제어부(10b)에 차량 진입 검지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10b)는 차량 진입 검지 신호를 받으면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통행권 삽입구(10f)와 동전 투입구(10d)의 도시하지 않은 셔터를 열도록 제어한다[단계(S3)].
운전수가 통행권을 통행권 삽입구(10f)에 삽입한다[단계(S4)].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도시하지 않은 연산부는 통행권의 자기 정보 등을 판독하여, 차종이나 통행 거리에 따른 통행 요금을 요구한다. 요구된 통행 요금은 요금 표시(10g)의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단계(S5)].
운전수가 통행 요금을 동전 투입구(10d)에 투입한다[단계(S6)]. 그리고,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내부에 조립된 동전 처리기(10c)가 투입된 동전의 금액과 통행 요금의 차액을 연산한다[단계(S7)].
이 경우, 운전수가 투입한 동전의 금액이 통행 요금과 같으면, 차액이 없다. 즉, 거스름돈이 없는 경우에는, 요금 자동 수수기(10)는 대기중의 상태로 복귀한다[단계(S8), 아니오]. 한편, 거스름돈이 있는 경우[단계(S8), 예], 동전 처리기(10c)는 거스름돈 동전(42)을 하우징 내의 거스름돈 슈트(10e)로 배출한다[단계(S9)]. 거스름돈 슈트(10e)는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에 거스름돈 동전(42)이 낙하한다[단계(S10)].
그러면, 모터(30)가 구동(정회전)하고, 거스름돈 받음 접시(20)가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하우징 밖으로 나간다[단계(S11)]. 거스름돈 받음 접시 배출 위치 검지 센서(26a)는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의 배출 위치를 검출한다[단계(S12)]. 거스름돈 받음 접시 위치 검지 지그(28)를 거스름돈 받음 접시 배출 위치 검지 센서(26a)가 검지하면, 거스름돈 받음 접시 배출 위치 검지 센서(26a)는 제어부(10b)에 모터(30)의 회전을 정지하기 위한 이동 정지 신호를 보내고, 모터(30)의 구동(정회전)이 정지한다[단계(S13)].
다음에 운전수가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에 들어가 있는 거스름돈 동전(42)을 잡는다[단계(S14)]. 운전수는 필요하면, 영수증 발행 보턴(10h)을 눌러서, 영수증을 영수증 발행구(10i)로부터 수취하고, 차량(2)을 발진시킨다.
발진 검지 센서[(수광부)14]가 차량 발진을 검지한다[단계(S15)]. 그리고,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에 마련되어 있는 끼워 조립된 검지 센서[(수광부)22b]가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의 내측에 손(44)이 없는 것을 확인한다[단계(Sl6)]. 또한, 끼워 조립된 검지 센서[(수광부)22b]는 거스름돈 받음 접시(20)가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하우징 밖으로 나갔을 때[단계(S11)]부터 계속해서 유효하게 기능하고 있다.
그 후, 모터(30)가 구동(역회전)하고, 거스름돈 받음 접시(20)가 요금 자동 수수기(10)의 하우징 내로 들어간다[단계(S17)]. 그리고, 거스름돈 받음 접시 격납 위치 검지 센서(26b)가 거스름돈 받음 접시(20)의 수납 위치를 검출한다[단계(S18)]. 즉, 거스름돈 받음 접시 위치 검지 지그(28)를 거스름돈 받음 접시 격납 위치 검지 센서(26b)가 검지하면, 거스름돈 받음 접시 격납 위치 검지 센서(26b)는 제어부(10b)에 모터(30)의 회전을 정지하기 위한 이동 정지 신호를 보내어, 모터(30)의 구동(역회전)이 정지한다[단계(S20)]. 그 후는, 다시 요금 자동 수수기(10)는 대기중의 상태로 복귀한다.

Claims (6)

  1. 유료 도로에 마련되는 요금소의 차선의 옆에 설치되는 요금 자동 수수기에 있어서,
    동전을 받아들이는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와,
    상기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에 결합된 이동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구부가 동작함으로써, 상기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가 자동적으로 상기 요금 자동 수수기의 하우징으로 수납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며,
    상기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는, 상기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의 소정 위치에서의 물체의 존재를 검지하는 검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검지 센서가 물체의 존재를 검지했을 때, 상기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의 상기 하우징으로의 수납이 정지되는
    요금 자동 수수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자동 수수기에 조립되어 있는 제어부는, 상기 요금 자동 수수기에 조립되어 있는 동전 처리기로부터 통행 요금에 따른 거스름돈이 상기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로 배출된 후에, 상기 이동 기구부에 이동 지령 신호를 보내고,
    상기 이동 지령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기구부가 동작함으로써, 상기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가 상기 하우징 밖으로 이동하는
    요금 자동 수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자동 수수기에 조립되어 있는 제어부는, 차량이 발진한 것을 검지하는 발진 검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발진 검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기구부에 이동 지령 신호를 보내고,
    상기 이동 지령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기구부가 동작함으로써, 상기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가 상기 하우징 내로 이동하는
    요금 자동 수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는 바닥면에 배수 구멍을 구비하는
    요금 자동 수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부는 통행 요금을 투입하기 위한 동전 투입구를 이동시키는 일 없이 상기 거스름돈 받음 접시부를 이동시키는
    요금 자동 수수기.
KR20087031017A 2006-07-13 2007-07-09 요금 자동 수수기 KR101027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92453A JP2008021133A (ja) 2006-07-13 2006-07-13 料金自動収受機
JPJP-P-2006-192453 2006-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389A KR20090014389A (ko) 2009-02-10
KR101027207B1 true KR101027207B1 (ko) 2011-04-06

Family

ID=3892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31017A KR101027207B1 (ko) 2006-07-13 2007-07-09 요금 자동 수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021133A (ko)
KR (1) KR101027207B1 (ko)
WO (1) WO20080076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7446B2 (ja) * 2008-05-21 2013-12-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料金自動収受機
JP5517669B2 (ja) * 2010-02-22 2014-06-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料金自動収受機およびその処理方法
KR101489363B1 (ko) * 2013-12-09 2015-02-04 키오스크코리아(주) 티켓용 키오스크의 방출부 구조
JP6565077B2 (ja) * 2015-02-27 2019-08-28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料金自動収受機
CN106225820B (zh) * 2016-08-30 2018-10-23 南京中钞长城金融设备有限公司 贵金属检查机的装盘机构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054U (ja) * 1993-04-14 1994-11-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料金収受装置
JPH08161557A (ja) * 1994-12-05 1996-06-21 Mitsubishi Heavy Ind Ltd 自動料金収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9783A (ja) * 1986-12-15 1988-06-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通行料金自動徴収システム
JPH06314361A (ja) * 1993-04-27 1994-11-08 Mitsubishi Heavy Ind Ltd 自動料金収受装置
JP3040659B2 (ja) * 1994-05-11 2000-05-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自動料金収受装置
JPH11149585A (ja) * 1997-11-14 1999-06-02 Shibaura Mechatronics Corp 自動販売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054U (ja) * 1993-04-14 1994-11-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料金収受装置
JPH08161557A (ja) * 1994-12-05 1996-06-21 Mitsubishi Heavy Ind Ltd 自動料金収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21133A (ja) 2008-01-31
KR20090014389A (ko) 2009-02-10
WO2008007639A1 (fr)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207B1 (ko) 요금 자동 수수기
JP2008506172A (ja) 貨幣品払出装置
US5709293A (en) Bill processing device
JP4413803B2 (ja) 遊技機用台間機
JP2003311008A (ja) 遊技媒体貸出制御装置および遊技媒体貸出制御システム
US20090294245A1 (en) Bill validator - dispenser with improved security
JP4431090B2 (ja) メダル送り装置
KR20200095256A (ko) 무인 현금 수납기
JP4185705B2 (ja) 紙幣取扱装置
JP2008148728A (ja) 投入メダル選別装置及び遊技機
JPH06223256A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における残留硬貨検出装置
JP2712678B2 (ja) 自動販売機の硬貨返却装置
JP2007175192A (ja) 遊技媒体貸出装置
KR100354885B1 (ko) 동전 공급기
JP5779609B2 (ja) 遊技媒体貸出機および遊技媒体計数ユニット
EP4057242B1 (en) Coin selector and automatic service machine
JPH06243328A (ja) 硬貨処理装置
JP3929221B2 (ja) 硬貨リフトアップ装置及び硬貨入出金機
JP2521245B2 (ja) 弾球遊技機の賞球払い出し装置
JP2984895B2 (ja) 釣銭払出装置
JP2742538B2 (ja) 自動取引装置並びに該装置に組込まれる金庫カセット
JP4713345B2 (ja) 遊技機用台間機
JP6310245B2 (ja) 遊技媒体使用機
JP6364185B2 (ja) 遊技媒体使用機
KR910001870Y1 (ko) 콘베이어 벨트가 내장된 버스승차요금 확인식 자동요금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