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202B1 -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그 제조 중간체 - Google Patents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그 제조 중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202B1
KR101025202B1 KR1020097013144A KR20097013144A KR101025202B1 KR 101025202 B1 KR101025202 B1 KR 101025202B1 KR 1020097013144 A KR1020097013144 A KR 1020097013144A KR 20097013144 A KR20097013144 A KR 20097013144A KR 101025202 B1 KR101025202 B1 KR 101025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alkoxyethyl
added
water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8420A (ko
Inventor
카즈타케 하기야
타카시 스기무라
Original Assignee
효고켄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고켄,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효고켄
Publication of KR20090088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81/00Derivatives of carbonic acid containing functional groups covered by groups C07C269/00 - C07C279/00 in which at least one nitrogen atom of these functional groups is further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a nitro or nitroso group
    • C07C281/20Derivatives of carbonic acid containing functional groups covered by groups C07C269/00 - C07C279/00 in which at least one nitrogen atom of these functional groups is further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a nitro or nitroso group the two nitrogen atoms of the functional groups being doubly-bound to each other, e.g. azoform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7/00Preparation of guanidine or its derivatives, i.e.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81/00Derivatives of carbonic acid containing functional groups covered by groups C07C269/00 - C07C279/00 in which at least one nitrogen atom of these functional groups is further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a nitro or nitroso group
    • C07C281/02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e.g. carbaz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 화합물과 병용하여 탈수 축합 반응을 행하는 미츠노부 반응, 산화제 및 여러가지 합성 원료로서 유용한 공업적으로 안전하고, 또한 유용한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그 제조 중간체와, 이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반식(1);
Figure 112009038280127-pct00050
(식 중 A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를 나타냄.)로 나타내어지는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Description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그 제조 중간체{BIS(2-ALKOXYETHYL) AZODICARBOXYLATE ESTER COMPOUND AND INTERMEDIATE FOR PRODUCT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공업적으로 안전하고 또한, 유용한 신규의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그 제조 중간체와,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 화합물과 아조디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를 이용하여 탈수 축합을 행하는 미츠노부(光延) 반응은 유용한 합성 반응으로서 의약품 등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미츠노부 반응은 카르복실산 화합물, 페놀 화합물, 이미드 화합물, 인산 화합물 및 아지드화 수소 등 다종 다양한 산성 화합물과 알코올의 탈수 축합 반응으로서 알려져 있고, 광학 활성의 알코올을 원료로 하여 사용하면 완전한 입체 반전하에 목적 생성물이 얻어지는 것도 알려져 있다(비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공지의 아조디카르복실산 디메틸에스테르, 아조디카르복실산 디에틸에스테르 및 아조디카르복실산 디이소프로필에스테르에 있어서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1) 상온에서 액체라는 점에서 증류에 의한 정제가 필수로 된다. 그러나, 일 반적으로 아조 화합물은 열에 대하여 불안정하여 가열하는 것은 위험하다. 실제로 아조디카르복실산 디메틸에스테르 및 아조디카르복실산 디에틸에스테르를 합성할 때에는 주의가 필요한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비특허 문헌 2 참조).
(2) 예를 들면, 인 화합물과 병용하여 탈수 축합을 행하는 미츠노부 반응 또는 산화 반응 등을 행하면 부생성물로서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가 생성되지만 물에 불용이며 유기 용매에도 적당하게 용해되기 때문에 생성물과 제거·분리하는데에 많은 공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현상황에서는 종래의 아조디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 화합물은 상기 문제가 있다는 점에서 공업적인 견지로부터 반드시 우수한 화합물은 아니다.
비특허 문헌 1: Synthesis, 1, 1(1981)= 신세시스, 제 1판, p1, 1981년
비특허 문헌 2: Org. Synth. Coll. Vol. IV, 411(1963)= 오가닉 신세시스 컬렉티브 볼륨, 제 4판, p411, 1963년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고, 인 화합물과 병용하여 탈수 축합을 행하는 미츠노부 반응, 산화제 및 여러가지 합성 원료로서 유용한 공업적으로 안전하고, 또한 유용한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그 제조 중간체와, 이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증류 정제가 필요 없는 결정성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을 발견하고, 또한 인 화합물과 병용하여 탈수 축합을 행하는 미츠노부 반응 또는 산화 반응 등에 사용한 경우에 부생되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이 물에 용해되어 제거가 용이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그 제조 중간체와, 이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일반식(1);
Figure 112009038280127-pct00001
(식 중 A는 탄소수 1~2의 알킬기를 나타냄.)로 나타내어지는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2. 상기 1에 있어서, 알킬기는 메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공정(a): 히드라진과 일반식(2);
Figure 112009038280127-pct00002
(식 중 A는 탄소수 1~2의 알킬기이며, B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냄.)로 나타내어지는 할로탄산(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을 반응시켜 일반식(3);
Figure 112009038280127-pct00003
(식 중 A는 상기와 동의임.)으로 나타내어지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을 얻는 공정,
공정(b): 일반식(3);
Figure 112009038280127-pct00004
(식 중 A는 상기와 동의임.)으로 나타내어지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을 산화함으로써 일반식(1);
Figure 112009038280127-pct00005
(식 중 A는 상기와 동의임.)로 나타내어지는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을 얻는 공정을 함유하는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4. 일반식(3);
Figure 112009038280127-pct00006
(식 중 A는 탄소수 1~2의 알킬기를 나타냄.)으로 나타내어지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5. 상기 4에 있어서, 알킬기는 메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6. 공정(a): 히드라진과 일반식(2);
Figure 112009038280127-pct00007
(식 중 A는 탄소수 1~2의 알킬기이며, B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냄.)로 나타내어지는 할로탄산(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을 반응시켜 일반식(3);
Figure 112009038280127-pct00008
(식 중 A는 상기와 동의임.)으로 나타내어지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은 종래의 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보다 안전하게 제조할 수 있고, 후처리도 용이하며, 또한 동등한 반응성을 갖는 공업적으로 매우 유리한 화합물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상기 일반식(1), (2), (3)에 있어서의 A에 대하여 설명한다.
A는 알킬기이지만 직쇄상이라도 분기쇄상이라도 좋다. 분기상인 경우, 분기 위치나 분기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탄소수 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기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부토-2-일기, 2-메틸프로프-1-일기, 2-메틸프로프-2-일기 등을 들 수 있고, 메틸기, 에틸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일반식(2)에 있어서의 B에 대하여 설명한다.
B는 할로겐 원자이지만 특별히 제한은 없다. 구체적으로는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을 들 수 있고, 범용성 등으로부터 염소, 브롬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에 상기 항 3. 및 항 6.에 나타내어져 있는 공정(a) 및 (b)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정(a)]
이 공정은 히드라진과 상기 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할로탄산(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을 얻는 공정이다.
히드라진 및 상기 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할로탄산(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은 어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라도 좋다. 상기 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할로탄산(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플루오로탄산(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클로로탄산(2-알콕시에틸)에스테르, 브로모탄산(2-알콕시에틸)에스테르, 요오드탄산(2-알콕시에틸)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클로로탄산(2-알콕시에틸)에스테르, 브로모탄산(2-알콕시에틸)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 반응에는 염기가 필요하지만 염기의 종류에 제한은 없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세슘,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등의 알칼리 금속염,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바륨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트리펜틸아 민, 트리헥실아민, 트리옥틸아민, 트리알릴아민, 피리딘, 2-메틸피리딘, 3-메틸피리딘, 4-메틸피리딘, N-메틸모르폴린,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N,N-디메틸아닐린, N-메틸이미다졸,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세-7-엔 등의 3급 아민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트리에틸아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염기의 사용량은 히드라진 1몰에 대하여 1.0~3.0몰이 바람직하고, 1.0~2.0몰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할로탄산(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의 사용량은 히드라진 1몰에 대하여 2.0~5.0몰이 바람직하고, 2.0~3.0몰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용매는 반응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n-펜탄, n-헥산, 시클로헥산, n-헵탄, n-옥탄 등의 탄화수소 용매,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톡시에탄,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t-부틸메틸에테르, 아니솔 등의 에테르 용매,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용매,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프로판 등의 할로겐화 용매,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t-부탄올 등의 알코올 용매 및 물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탄올, 에탄올, 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매는 단일로 사용해도 혼합해도 문제 없다. 상기 용매의 사용량은 히드라진 1g에 대하여 0.5mL~50mL가 바람직하고, 2mL~20mL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반응은 히드라진, 염기 및 상기 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할로탄산(2-알 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을 반응 용매 중에서 혼합함으로써 행해진다. 반응 온도는 너무 낮으면 반응 속도가 작아지고, 너무 높으면 부생성물이 많아지기 때문에 -20℃~60℃가 바람직하고, 0℃~30℃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0.1시간~24시간이 바람직하고, 0.5시간~3시간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종료시에 상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이 정석되어 있는 경우에는 여과 채취를 행하여 필요에 따라 재결정 또는 현탁 세정에 의한 정제를 행한다. 정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물 이외의 용매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추출, 세정, 탈습, 용매 증류 제거 등의 상법에 의해 조(粗)생성물을 얻은 후에 정석, 재결정,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정제에 의해 상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이 얻어진다.
[공정(b)]
이 공정은 상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의 산화에 의해 상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을 얻는 공정이다.
상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은 어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라도 좋다. 상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메톡시에틸)에스테르, 1,2- 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에톡시에틸)에스테르,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프로폭시에틸)에스테르,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부톡시에틸)에스테르,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부토-2-옥시)에틸)에스테르,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2-메틸프로프-1-옥시)에틸)에스테르,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2-메틸프로프-2-옥시)에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메톡시에틸)에스테르,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에톡시에틸)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메톡시에틸)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반응에서 사용하는 산화제의 제한은 특별히 없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염소, 브롬, 요오드, 차아염소산 나트륨, 차아브롬산 나트륨, 차아요오드산 나트륨, N-클로로숙신산 이미드, N-브로모숙신산 이미드, N-요오드숙신산 이미드, 과산화수소, 과산화수소-요소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염소, 브롬, N-브로모숙신산 이미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제의 사용량은 상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1몰에 대하여 1.0몰~2.0몰이 바람직하고, 1.0몰~1.5몰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반응에서는 염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특별히 제한은 없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세슘,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등의 알칼리 금속염,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바륨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트리펜틸아민, 트리헥실아민, 트리옥틸아민, 트리알릴아민, 피리딘, 2-메틸피리딘, 3-메틸피리딘, 4-메틸피리딘, N-메틸모르폴린,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N,N-디메틸아닐린, N-메틸이미다졸,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세-7-엔 등의 3급 아민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트리에틸아민, 피리딘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염기의 사용량은 상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히드라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1몰에 대하여 0.5몰~5.0몰이 바람직하고, 1.0몰~3.0몰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용매는 반응에 사용하는 시제와 반응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n-펜탄, n-헥산, 시클로헥산, n-헵탄, n-옥탄 등의 탄화수소 용매,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톡시에탄,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t-부틸메틸에테르, 아니솔 등의 에테르 용매,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용매,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프로판 등의 할로겐화 용매, 물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테트라히드로푸란, 톨루엔, 디클로로메탄, 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의 사용량은 상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1g에 대하여 0.5mL~50mL가 바람직하고, 2mL~20mL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반응은 상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과 산화제와 필요에 따라 염기를 반응 용매 중에서 혼합함으로써 행해진다. 반응 온도는 너무 낮으면 반응 속도가 작아지고, 너무 높으면 부생성물이 많아지기 때문에 0℃~60℃가 바람직하고, 0℃~30℃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 시간은 0.5시간~24시간이 바람직하고, 0.5시간~12시간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종료 후, 물 이외의 용매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추출, 세정, 탈습, 용매 증류 제거 등의 상법에 의해 조생성물 얻은 후에 정석, 재결정,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정제에 의해 상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이 얻어진다.
종래의 아조디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 예를 들면, 아조디카르복실산 디에틸, 아조디카르복실산 디이소프로필은 액체라는 점에서 증류 정제가 필수로 된다. 증류시에 가열한다는 점에서 열분해에 의한 폭발 등의 위험이 존재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은 결정이라는 점에서 증류 정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공업적으로 안전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은 소방법 위험물 제 5류(자기 반응성 물질)에 해당되므로 반송시에는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는 정도의 비율로 유기 용제에 용해시켜 소방법 위험물 제 4류(인화성 액체)에 속하는 범용의 유기 용제 정도까지 안전성을 높인 상태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유기 용제로서는 에테르계 용제, 케톤계 용제, 니트릴계 용제, 지방족계 용제, 방향족계 용제, 할로겐계 용매를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테르계 용제에서는 디에틸에테르, 메틸tert부틸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가, 케톤계 용제에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이, 니트릴계 용제에서는 아세토니트릴이, 지방족계 용제에서는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옥탄이, 방향족계 용제에서는 톨루엔, 크실렌, 벤젠, 메시틸렌, 할로겐계 용매에서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에는 하기 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스체, 트랜스체의 이성체가 존재한다.
Figure 112009038280127-pct00009
또한, 인 화합물과 상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을 이용하여 탈수 축합을 행하는 미츠노부 반응 또는 산화 반응을 행한 경우, 상기 일반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이 부생되지만 물 1mL에 대하여 0.55g용해되는 점에서(22℃), 추출 용매를 수세하는 것만으로 제거할 수 있다. 때문에 종래의 아조디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와 비교하여 제거가 용이하다.
따라서,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미츠노부 반응 생성물은 추출 용매를 수세하 는 것만으로 부생성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미츠노부 반응 생성물의 용도로서는 예를 들면, 의약품, 생리 활성 천연물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스(2-메톡시에틸)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112009038280127-pct00010
500ml 플라스크에 히드라진 수화물(15g, 300mmol), 99.5% 에탄올(75ml)을 첨가하여 6℃까지 냉각시킨 용액에 클로로포름산(2-메톡시에틸)에스테르(41.41g, 300mmol)를 20℃ 이하에서 적하했다. 이어서, 클로로포름산(2-메톡시에틸)에스테르(41.41g, 300mmol)와 물(120ml)에 용해된 탄산나트륨(31.76g, 300mmol)을 동시에 20℃ 이하에서 적하한 후에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 용액을 농축 건고시키고, 아세톤(100mL)을 첨가하여 고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했다. 얻어진 여과액을 농축 건고시킨 후에 아세톤(75ml), 톨루엔(120mL)을 사용한 재결정을 행함으로써 비스(2-메톡시에틸)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백색 결정으로서 얻었다(50.91g, 수율 71.9%).
Mp: 71.3-76.5℃
IR(KBr): 3258, 1748, 1694, 1518, 1454, 1256, 1244, 1207, 1103, 1105, 1066, 1043, 860 cm-1.
1H NMR(400MHz, CDCl3): δ7.02(brs,2H), 4.27-4.25(m,4H), 3.58-3.56(m,4H), 3.49(s,6H).
13C NMR(400MHz, CDCl3): δ156.59, 70.40, 64.68, 58.69.
원소 분석
계산값: C8H16N2O6: C,40.68; H,6.83; N,11.96.
측정값: C,40.88; H,7.49; N,12.07.
실시예 2 비스(2-메톡시에틸)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112009038280127-pct00011
20ml 플라스크에 히드라진 수화물(200㎎, 4.0mmol), 트리에틸아민(1.11ml, 8.0mmol), 테트라히드로푸란(6ml)을 첨가하고, 빙욕을 이용하여 냉각시킨 용액에 클로로포름산(2-메톡시에틸)에스테르(1.38g, 12.0mmol)를 적하한 후에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 용액을 농축 건고시켜 얻어진 조품(粗品)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초산 에틸)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비스(2-메톡시에틸)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648㎎, 수율 69%).
1H NMR(400MHz, CDCl3): δ7.02(brs,2H), 4.27-4.25(m,4H), 3.58- 3.56(m,4H), 3.49(s,6H).
실시예 3 비스(2-메톡시에틸)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112009038280127-pct00012
30ml 플라스크에 히드라진 수화물(200㎎, 4.0mmol), 트리에틸아민(1.11ml, 8.0mmol), 아세토니트릴(10ml)을 첨가하고, 빙욕을 이용하여 냉각시킨 용액에 클로로포름산(2-메톡시에틸)에스테르(1.38g, 12.0mmol)를 적하한 후에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 용액을 농축 건고시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초산 에틸)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비스(2-메톡시에틸)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635㎎, 수율 67%).
1H NMR(400MHz, CDCl3): δ7.02(brs,2H), 4.27-4.25(m,4H), 3.58-3.56(m,4H), 3.49(s,6H).
실시예 4 비스(2-메톡시에틸)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112009038280127-pct00013
20ml 플라스크에 히드라진 수화물(200.5㎎, 4.0mmol), 탄산나트륨(424㎎, 4.0mmol), 테트라히드로푸란(6ml)을 첨가하고, 빙욕을 이용하여 냉각시킨 용액에 클로로포름산(2-메톡시에틸)에스테르(1.38g, 12.0mmol)를 적하한 후에 1시간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 용액을 농축 건고시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초산 에틸)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비스(2-메톡시에틸)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732㎎, 수율 78%).
1H NMR(400MHz, CDCl3): δ7.02(brs,2H), 4.27-4.25(m,4H), 3.58-3.56(m ,4H), 3.49(s,6H).
실시예 5 비스(2-메톡시에틸)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112009038280127-pct00014
30ml 플라스크에 히드라진 수화물(200㎎, 4.0mmol), 탄산칼륨(553㎎, 4.0mmol), 아세토니트릴(10ml)을 첨가하고, 빙욕을 이용하여 냉각시킨 용액에 클로로포름산(2-메톡시에틸)에스테르(1.38g, 12.0mmol)를 적하한 후에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반응 용액을 농축 건고시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초산 에틸)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비스(2-메톡시에틸)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708㎎, 수율 75%).
1H NMR(400MHz, CDCl3): δ7.02(brs,2H), 4.27-4.25(m,4H), 3.58-3.56(m ,4H), 3.49(s,6H).
실시예 6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112009038280127-pct00015
1000ml 플라스크에 비스(2-메톡시에틸)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45g, 191mmol), 피리딘(15.09g, 191mmol), 톨루엔(450ml)을 첨가하고, 20℃에서 N-브로모숙신산 이미드(37.31g, 210mmol)를 천천히 첨가하여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용액을 물(180mL×2회)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한 후에 농축 건고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톨루엔(67.5ml), 헥산(337.5ml)에 의해 재결정함으로써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가 박황색 결정으로서 얻어졌다(39.26g, 수율 88.0%).
Mp: 39.9-40.4℃
IR(KBr): 2940, 2899, 1782, 1450, 1371, 1281, 1240, 1200, 1136, 1094, 1036, 1016, 962, 866, 810, 527 cm-1.
1H NMR(400MHz, CDCl3): δ4.51-4.49(m,4H), 3.66-3.63(m,4H), 3.32(s,6H).
13C NMR(400MHz, CDCl3): δ156.59, 70.40, 64.68, 58.69.
원소 분석
계산값: C8H14N2O6: C,41.03; H,6.03; N,11.96.
측정값: C,41.09; H,6.65; N,11.98.
실시예 7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112009038280127-pct00016
10mL 플라스크에 비스(2-메톡시에틸)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200㎎, 0.85mmol), 톨루엔(2mL)을 첨가하고, 빙욕을 이용하여 냉각시킨 용액에 5% 차아염산 나트륨 수용액(1.39g, 0.85mmol)을 적하하고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용액을 물(1mL×2회)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한 후에 농축 건고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톨루엔(1mL), 헥산(5mL)에 의해 재결정함으로써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가 박황색 결정으로서 얻어졌다(73㎎, 수율 37%).
1H NMR(400MHz, CDCl3): δ4.51-4.49(m,4H), 3.66-3.63(m,4H), 3.32(s,6H).
실시예 8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조
Figure 112009038280127-pct00017
30ml 플라스크에 비스(2-메톡시에틸)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1g, 4.23mmol), 피리딘(0.34g, 4.23mmol), 톨루엔(10ml)을 첨가하고, 빙욕을 이용하여 냉각시킨 용액에 염소 가스를 30분간 취입했다. 반응 종료 후, 용액을 물(1mL×2회)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한 후에 농축 건고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톨루엔(1.5mL), 헥산(7.5mL)에 의해 재결정함으로써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가 박황색 결정으로서 얻어졌다(0.59g, 수율 60%).
1H NMR(400MHz, CDCl3): δ4.51-4.49(m,4H), 3.66-3.63(m,4H), 3.32(s,6H).
실시예 9 (4S,2R)-4-(4-니트로벤조일옥시)펜탄-2-올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18
50mL 플라스크에 트리페닐포스핀(565㎎, 2.16mmol), (2R,4R)-2,4-펜탄디올(226㎎, 2.16mmol), THF(6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505㎎, 2.16mmol)를 적하하고, 이어서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4-니트로안식향산(300㎎, 1.80mmol)을 적하하고, 1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40%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4S,2R)-4-(4-니트로벤조일옥시)펜탄-2-올을 박황색 고체 물질로서 얻었다(358㎎, 수율 79%/4-니트로안식향산).
Mp: 48.4-50.7℃
비선광도: [α]D 20=+9.86(c 1.23, MeOH).
IR(KBr): 3416, 2972, 1722, 1607, 1530, 1350, 1285, 1103, 874, 719cm-1.
1H NMR(600MHz, CDCl3): δ8.26(d,J=8.9Hz,2H), 8.18(d,J=8.9Hz,2H), 5.34(m,1H), 3.95(m,1H), 2.01(m,1H), 1.72(m,1H), 1.55(brd,1H), 1.41(d,J=6.2Hz,3H), 1.24(d,J=6.2Hz,3H).
13C NMR(100MHz, CDCl3): δ164.15, 150.30, 135.89, 130.50, 123.34, 71.10, 65.18, 44.93, 23.81, 20.04.
원소 분석
계산값: C12H15NO5: C,56.91; H,5.97; N,5.53.
측정값: C,56.82; H,6.27; N,5.60.
비교예 1 실시예 9에 대한 비교예(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사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19
50mL 플라스크에 트리페닐포스핀(566㎎, 2.16mmol), (2R,4R)-2,4-펜탄디올(225㎎, 2.16mmol), THF(6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40% 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톨루엔 용액(1.13mL, 2.16mmol)을 적하하고, 이어서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4-니트로안식향산(300㎎, 1.80mmol)을 적하하고, 1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40%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디이소프로필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4S,2R)-4-(4-니트로벤조일옥시)펜탄-2-올을 593㎎의 박황색 고체 물질을 얻었다. 1H-NMR의 측정으로부터 (4S,2R)-4-(4-니트로벤조일옥시)펜탄-2-올이 379㎎(수율 83%/4-니트로안식향산), 디이소프로필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가 213㎎ 함유되어 있었다.
실시예 10 (4S,2R)-4-벤조일옥시펜탄-2-올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20
50ml 플라스크에 안식향산(300㎎, 2.46mmol), 트리페닐포스핀(775㎎, 2.95mmol), (2R,4R)-2,4-펜탄디올(308㎎, 2.95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691.1㎎, 2.95mmol)를 적하하고, 1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40%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4S,2R)-4-벤조일옥시펜탄-2-올을 무색 오일상 물질로서 얻었다(379㎎, 수율 74%/안식향산).
비선광도: [α]D 20=+33.1(c 1.12, MeOH).
IR(KCl, neat): 3416, 2972, 2932, 1715, 1450, 1315, 1279, 1111, 1099, 1070, 1026, 712 cm-1.
1H NMR(600MHz, CDCl3): δ7.97(d,J=7.6Hz,2H), 7.45(d,J=7.6Hz,1H), 7.34(d,J=7.6Hz,2H), 5.28(m,1H), 3.96(m,1H), 2.00(m,1H), 1.70(m,1H), 1.65(brs,1H), 1.38(d,J=6.2Hz,3H), 1.23(d,J=6.2Hz,3H).
13C NMR(100MHz, CDCl3): δ166.11, 132.79, 130.43, 129.39, 128.23, 69.95, 65.29, 45.17, 23.61, 20.25.
원소 분석
계산값: C12H16O3: C,69.21; H,7.74.
측정값: C,68.84; H,7.63.
비교예 2 실시예 10에 대한 비교예(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사용)
50ml 플라스크에 안식향산(300.6㎎, 2.46mmol), 트리페닐포스핀(776.2㎎, 2.95mmol), (2R,4R)-2,4-펜탄디올(309.1㎎, 2.95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40% 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톨루엔 용액(1.55ml, 2.95mmol)을 적하하고, 6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40%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디이소프로필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4S,2R)-4-벤조일옥시펜탄-2-올을 525.3㎎의 무색 오일상 물질로서 얻었다. 1H-NMR의 측정으로부터 (4S,2R)-4-벤조일옥시펜탄-2-올이 380㎎(수율 74%/안식향산), 디이소프로필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가 146㎎ 함유되어 있었다.
실시예 11 (4S,2R)-4-(4-메톡시페녹시)펜탄-2-올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21
50ml 플라스크에 4-메톡시페놀(300㎎, 2.41mmol), 트리페닐포스핀(761㎎, 2.89mmol), (2R,4R)-2,4-펜탄디올(302㎎, 2.89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680㎎, 2.89mmol)를 적하하고, 14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여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30% 초산 에 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4S,2R)-4-(4-메톡시페녹시)펜탄-2-올을 무색 오일상 물질로서 얻었다(418㎎, 수율 82%/4-메톡시페놀).
비선광도: [α]D 20= +6.92(c 1.09, MeOH).
IR(KCl, neat): 3430, 2840, 1510, 1240, 1040, 830 cm-1.
1H NMR(600MHz, CDCl3): δ6.87(d,J=9.3Hz,2H), 6.80(d,J=6.3Hz,2H), 4.44(m,1H), 4.06(m,1H), 3.75(s,3H), 2.70(brs,1H), 1.89(m,1H), 1.66(ddd,J=14.4,4.2,2.9Hz,1H), 1.24(d,J=5.9,Hz,3H), 1.20(d,J=6.4Hz,3H).
13C NMR(100MHz, CDCl3): δ154.13, 150.94, 117.81, 114.52, 74.90, 66.67, 55.47, 45.32, 23.55, 19.77.
매스 스펙트럼 분석: MS(M+), m/z(%) 210(12), 186(9), 162(20), 150(10), 124(100), 109(30), 108(10).
고분해능 매스 스펙트럼 분석
계산값: C12H18O3, 210.1256
측정값: 210.1242.
비교예 3 실시예 11에 대한 비교예(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사용)
50ml 플라스크에 4-메톡시페놀(300㎎, 2.41mmol), 트리페닐포스핀(762㎎, 2.89mmol), (2R,4R)-2,4-펜탄디올(303㎎, 2.89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40% 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톨루엔 용액(1.53mL, 2.89mmol)을 적하하고, 17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해서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30%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디이소프로필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4S,2R)-4-(4-메톡시페녹시)펜탄-2-올을 543㎎의 무색 오일상 물질로서 얻었다. 1H-NMR의 측정으로부터 (4S,2R)-4-벤조일옥시펜탄-2-올이 420㎎(수율 83%/4-메톡시페놀), 디이소프로필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가 123㎎ 함유되어 있었다.
실시예 12 4-((1S,3R)-3-히드록시-1-메틸부톡시)안식향산 에스테르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22
50ml 플라스크에 4-히드록시안식향산 메틸(300㎎, 1.97mmol), 트리페닐포스핀(620.5㎎, 2.36mmol), (2R,4R)-2,4-펜탄디올(247㎎, 2.36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554㎎, 2.36mmol)를 적하하고, 5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40%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4-((1S,3R)-3-히드록시-1-메틸부톡시)안식향산 에스테르를 무색 오일상 물질로서 얻었다(389㎎, 수율 83%/4-히드록시안식향산 메틸).
비선광도: [α]D 20=+24.6(c 0.65, MeOH).
IR(KCl, neat): 3437, 2972, 1714, 1605, 1508, 1435, 1283, 1254, 1171, 1113, 849, 772 cm-1.
1H NMR(600MHz, CDCl3): δ7.96(dm,J=8.9Hz,2H), 6.91(dm,J=8.9Hz,2H), 4.68(m,1H), 4.01(m,1H), 3.86(s,3H), 1.96(ddd,J=14.4, 8.8, 7.6Hz,1H), 1.69(ddd,J=14.4, 6.4, 3.4Hz,1H), 1.58(brs,1H), 1.33(d,J=5.9,Hz,3H), 1.22(d,J=6.4Hz,3H).
13C NMR(100MHz, CDCl3): δ166.79, 161.25, 131.58, 122.45, 115.14, 72.82, 66.08, 51.80, 45.17, 23.82, 19.61.
고분해능 매스 스펙트럼 분석
계산값: C13H18O4, 238.1205.
측정값: 238.1181.
비교예 4 실시예 12에 대한 비교예(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사용)
50ml 플라스크에 4-히드록시안식향산 메틸(300㎎, 1.97mmol), 트리페닐포스핀(621㎎, 2.36mmol), (2R,4R)-2,4-펜탄디올(247㎎, 2.36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40% 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톨루엔 용액(1.25ml, 2.36mmol)을 적하하고, 17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40%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디이소프로필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4-((1S,3R)-3-히드록시-1-메틸부톡시)안식향산 에스테르를 643㎎의 무색 오일상 물질로서 얻었다. 1H-NMR의 측정으로부터 4-((1S,3R)-3-히드록시-1-메틸부톡시)안식향산 에스테르가 426㎎(수율 91%/4-히드록시안식향산 메틸), 디이소프로필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가 217㎎ 함유되어 있었다.
실시예 13 (4S,2R)-4-페녹시펜탄-2-올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23
50ml 플라스크에 페놀(300㎎, 3.19mmol), 트리페닐포스핀(1008㎎, 3.83mmol), (2R,4R)-2,4-펜탄디올(399㎎, 3.83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896㎎, 3.83mmol)를 적하하고, 21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40%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4S,2R)-4-페녹시펜탄-2-올을 무색 오일상 물질로서 얻었다(481㎎, 수율 84%/페놀).
비선광도:[α]D 20= +14.97(c 1.00, MeOH).
IR(KCl, neat): 3400, 2940, 1600, 1500, 1380, 1250, 1120, 760, 700cm-1.
1H NMR(600MHz, CDCl3): δ7.28-7.21(m,2H), 6.95-6.90(m,3H), 4.58(m,1H), 4.04(m,1H), 2.15(brs,1H), 1.93(ddd,J=14.2, 8.8, 5.9Hz, 1H), 1.68(ddd,J=14.2, 4.3, 3.0Hz,1H), 1.29(d,J=6.0,Hz, 3H), 1.23(d,J=6.3Hz, 3H).
13C NMR(100MHz, CDCl3): δ157.08, 129.40, 120.97, 116.00, 73.25, 66.46, 45.30, 23.55, 19.72.
원소 분석
계산값: C11H6O2: C,73.30; H,8.95.
측정값: C,72.93; H,8.67.
비교예 5 실시예 13에 대한 비교예(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사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24
50ml 플라스크에 페놀(300㎎, 3.19mmol), 트리페닐포스핀(1006㎎, 3.83mmol), (2R,4R)-2,4-펜탄디올(399㎎, 3.83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40% 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톨루엔 용액(2.01ml, 3.83mmol)을 적하하고, 21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40%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4S,2R)-4-페녹시펜탄-2-올을 무색 오일상 물질로서 얻었다(461㎎, 수율 80%/페놀).
실시예 14 (R)-2-벤조일옥시옥탄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25
50ml 플라스크에 (S)-2-옥탄올(300㎎, 2.30mmol), 트리페닐포스핀(725㎎, 2.76mmol), 안식향산(338㎎, 2.76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649㎎, 2.76mmol)를 적하하고, 2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10%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R)-2-벤조일옥시옥탄을 무색 액체 물질로서 얻었다(490㎎, 수율 91%/(S)-2-옥탄올).
비선광도: [α]D 20= -40.6(c 1.06, MeOH)
IR(KCl, neat): 2930, 2859, 1742, 1450, 1314, 1275, 1109, 1069, 1026, 712 cm-1.
1H NMR(600MHz, CDCl3): δ7.97(d,J=7.6Hz,2H), 7.47(t,J=7.6Hz,1H), 7.36(t,J=7.6Hz,2H), 5.08(m,1H), 1.66(m,1H), 1.53(m,1H), 1.35-1.18(m,11H), 0.80(t,J=6.9Hz,3H).
13C NMR(100MHz, CDCl3): δ163.96, 150.18, 136.06, 130.36, 120.19, 72.83, 35.71, 31.49, 28.91, 25.17, 22.35, 19.68, 13.79.
비교예 6 실시예 14에 대한 비교예(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사용)
50ml 플라스크에 (S)-2-옥탄올(300㎎, 2.30mmol), 트리페닐포스핀(728㎎, 2.76mmol), 안식향산(338㎎, 2.76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40% 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톨루엔 용액(1.45ml, 2.76mmol)을 적하하고, 2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10%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R)-2-벤조일옥시옥탄을 무색 액체 물질로서 얻었다(503㎎, 수율 93%/(S)-2-옥탄올).
1H NMR(600MHz, CDCl3): δ7.97(d,J=7.6Hz,2H), 7.47(t,J=7.6Hz,1H), 7.36(t,J=7.6Hz,2H), 5.08(m,1H), 1.66(m,1H), 1.53(m,1H), 1.35-1.18(m,11H), 0.80(t,J=6.9Hz,3H).
실시예 15 2-페네틸이소인돌-1,3-디온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26
50ml 플라스크에 2-페닐에틸알코올(300㎎, 2.46mmol), 트리페닐포스핀(775㎎, 2.95mmol), 프탈이미드(434㎎, 2.95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697㎎, 2.95mmol)를 적하하고, 2.5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초산 에틸(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30%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2-페네틸이소인돌-1,3-디온을 백색 고체 물질로서 얻었다(579㎎, 수율 94%/2-페닐에틸알코올).
Mp: 124.4-125.7℃
IR(KBr): 2396, 1709, 1429, 1396, 1360, 1101, 1069, 870, 756, 710, 530 cm-1.
1H NMR(600MHz, CDCl3): δ7.81(m,2H), 7.69(m,2H), 7.28-7.18(m,5H), 3.91(t,J=7.6Hz,2H), 2.97(t,J=7.6Hz,2H).
13C NMR(100MHz, CDCl3): δ168.11, 137.96, 133.85, 132.02, 128.80, 128.5 0, 126.59, 123.17, 39.24, 34.60.
원소 분석
계산값: C16H13NO2: C,76.48; H,5.21; N,5.57.
측정값: C,75.27; H,5.59; N,5.84.
실시예 16 4,N-디메틸-N-(1-메틸헵틸)벤젠술폰아미드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27
50ml 플라스크에 (라세미)-2-옥탄올(300㎎, 2.30mmol), 트리페닐포스핀(727㎎, 2.76mmol), N-메틸-p-톨루엔술폰아미드(514㎎, 2.76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648㎎, 2.76mmol)를 적하하고, 21시간 반응을 행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10%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4,N-디메틸-N-(1-메틸헵틸)벤젠술폰아미드를 백색 고체 물질로서 얻었다(223㎎, 수율 33%/(라세미)-2-옥탄올).
1H NMR(600MHz, CDCl3): δ7.66(d,J=8.2Hz,2H), 7.266(d,J=8.2Hz,2H), 3.96(m,1H), 2.64(s,3H), 2.39(s,3H), 1.37-1.16(m,10H) ,0.95-0.83(m,6H).
13C NMR(100MHz, CDCl3): δ142.80, 137.29, 129.50, 127.01, 52.75, 34.26, 31.67, 28.95, 27.21, 26.33, 22.53, 21.44, 17.29, 14.05.
IR(KCl, neat): 2955, 2928, 2857, 1597, 1460, 1383, 1339, 1153, 1090, 939, 816, 731, 712, 694, 654, 646, 567, 552 cm-1.
원소 분석
계산값: C16H27NO2S: C,64.60; H,9.15; N,4.71; S,10.78.
측정값: C,64.41; H,9.00; N,4.83; S,11.08.
실시예 17 (1-메틸-1H-테트라졸-5-일술파닐)초산 메틸에스테르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28
50ml 플라스크에 글리콜산 메틸에스테르(300㎎, 3.33mmol), 트리페닐포스핀(1052㎎, 4.00mmol), 1-메틸-5-메르캅토-1H-테트라졸(465㎎, 4.00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937㎎, 4.00mmol)를 적하하고, 2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초산 에틸(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70%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1-메틸-1H-테트라졸-5-일술파닐)초산 메틸에스테르를 무색 오일상 물질로서 얻었다(549㎎, 수율 88%/글리콜산 메틸에스테르).
IR(KCl, neat): 2959, 1755, 1506, 1441, 1358, 1227, 1200, 1148, 1032, 999, 812, 721, 677, 579 cm-1.
1H NMR(600MHz, CDCl3): δ4.14(s,2H), 3.96(s,3H), 3.76(s,3H).
13C NMR(100MHz, CDCl3): δ167.82, 152.80, 53.08, 34.77, 33.48.
원소 분석
계산값: C5H8N4O2S: C,31.91; H,4.28; N,29.77; S,17.04.
측정값: C,32.02; H,4.63; N,30.08; S,16.44.
비교예 7 실시예 17에 대한 비교예(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사용)
50ml 플라스크에 글리콜산 메틸에스테르(300㎎, 3.33mmol), 트리페닐포스핀(1050㎎, 4.00mmol), 1-메틸-5-메르캅토-1H-테트라졸(465㎎, 4.00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40% 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톨루엔 용액(2.10ml, 4.00mmol)을 적하하고, 3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초산 에틸(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70%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디이소프로필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1-메틸-1H-테트라졸-5-일술파닐)초산 메틸에스테르를 610㎎의 무색 오일상 물질로서 얻었다. 1H-NMR의 측정으로부터 (1-메틸-1H-테트라졸-5-일술파닐)초산 메틸에스테르가 406㎎(수율 65%/글리콜산 메틸에스테르), 디이소프로필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가 204㎎ 함유되어 있었다.
실시예 18 (1S,2S,5R)-1-(4-니트로벤조일옥시)-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 헥산올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29
50ml 플라스크에 L-멘톨(300㎎, 1.92mmol), 트리페닐포스핀(605㎎, 2.30mmol), 4-니트로안식향산(385㎎, 2.30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540㎎, 2.30mmol)를 적하하고, 17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1S,2S,5R)-1-(4-니트로벤조일옥시)-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산올을 백색 고체 물질로서 얻었다(430㎎, 수율 73%/L-멘톨).
비선광도: [α]D 20=+21.6(c 1.02, MeOH).
Mp: 94.1-94.7℃
IR(KBr): 2965, 2920, 2853, 1713, 1599, 1530, 1348, 1279, 1123, 1103, 1013, 920, 874, 839, 719 cm-1.
1H NMR(600MHz, CDCl3): δ8.27(dm,J=9.0Hz,2H), 8.18(dm,J=9.0Hz,2H), 5.47(d,J=2.0Hz,1H), 2.07(ddd,J=14.4,5.9,4.7Hz,1H), 1.84(m,1H), 1.66(m,2H), 1.11(m,1H), 0.90(d,J=5.9Hz,3H), 0.87(d,J=7.1Hz,3H), 0.85(d,J=7.1Hz,3H).
13C NMR(100MHz, CDCl3): δ163.99, 150.43, 136.37, 130.60, 123.55, 73.17, 46.92, 39.10, 34.71, 29.43, 26.82, 25.37, 22.10, 20.92, 20.75.
원소 분석
계산값: C17H23NO4: C,66.86; H,7.59; N,4.59.
측정값: C,66.99; H,8.11 N,4.59.
비교예 8 실시예 18에 대한 비교예(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사용)
50ml 플라스크에 L-멘톨(300㎎, 1.92mmol), 트리페닐포스핀(605㎎, 2.30mmol), 4-니트로안식향산(387㎎, 2.30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40% 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톨루엔 용액(1.21ml, 2.30mmol)을 적하하고, 15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1S,2S,5R)-1-(4-니트로벤조일옥시)-2-이소프로필-5-메틸시클로헥산올을 백색 고체 물질로서 얻었다(423㎎, 수율 72%/L-멘톨).
1H NMR(600MHz, CDCl3): δ8.27(dm,J=9.0Hz,2H), 8.18(dm,J=9.0Hz,2H), 5.47(d,J=2.0Hz,1H), 2.07(ddd,J=14.4,5.9,4.7Hz,1H), 1.84(m,1H), 1.66(m,2H), 1.11(m,1H), 0.90(d,J=5.9Hz,3H), 0.87(d,J=7.1Hz,3H), 0.85(d,J=7.1Hz,3H).
실시예 19 5,6-디히드로티아졸로[3,2-d]테트라졸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30
300mL 플라스크에 트리페닐포스핀(649㎎, 2.46mmol), THF(105mL)를 첨가하고, 20℃에서 THF(15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300㎎, 2.46mmol)를 적하하고, 이어서 20℃에서 THF(90mL)에 용해된 1-(2-히드록시에틸)-5-메르캅토-1H-테트라졸(300㎎, 2.05mmol)을 적하하고, 39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초산 에틸(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이소프로판올(3mL)을 사용한 재결정을 행함으로써 5,6-디히드로티아졸로[3,2-d]테트라졸을 백색 분말 물질로서 얻었다(83㎎, 수율 32%/1-(2-히드록시에틸)-5-메르캅토-1H-테트라졸).
Mp: 107.7-109.8℃
IR(KBr): 3034, 2963, 1472, 1452, 1435, 1418, 1312, 1213, 1157, 1121, 1063, 955, 862, 712, 660, 546, 484 cm-1.
1H NMR(600MHz, CDCl3): δ4.57(t,J=7.6Hz,2H), 4.19(t,J=7.6Hz,2H).
13C NMR(100MHz, CDCl3): δ161.94, 44.96, 37.55.
계산값: C3H4N4S: C,28.12; H,3.15; N,43.72; S,25.02.
측정값: C,28.69; H,3.32; N,43.36; S,24.30.
실시예 20 15-펜타데카노락톤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31
300mL 플라스크에 트리페닐포스핀(366㎎, 1.39mmol), THF(135mL)를 첨가하고, 20℃에서 THF(30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367㎎, 1.39mmol)를 적하하고, 이어서 20℃에서 THF(60mL)에 용해된 15-히드록시펜타데칸산(300㎎, 1.16mmol)을 적하하고, 12.5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5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5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5mL), 포화 식염수(15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15-펜타데카노락톤을 백색 고체 물질로서 얻었다(86㎎, 수율 31%/15-히드록시펜타데칸산).
Mp: 33.9-35.8℃
IR(KBr): 2930, 2857, 1736, 1460, 1350, 1258, 1236, 1221, 1167, 1142, 1107, 1070, 719 cm-1.
1H NMR(600MHz, CDCl3): δ4.11(t,J=5.5Hz,2H), 2.30(t,J=6.9Hz,2H), 1.66-1.58(m,4H), 1.39(m,2H), 1.32-1.29(m,18H).
13C NMR(100MHz, CDCl3): δ173.91, 63.84, 34.31, 28.29, 27.65, 27.02, 27.00, 26.78, 26.55, 26.20, 25.89, 25.78, 25.69, 24.99, 24.84.
계산값: C15H28O2: C,74.95; H,11.74.
측정값: C,75.33; H,12.16.
실시예 21 (R)-2-(4-니트로벤조일옥시)옥탄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32
50ml 플라스크에 (S)-2-옥탄올(300㎎, 2.30mmol), 트리페닐포스핀(726㎎, 2.76mmol), 4-니트로안식향산(462㎎, 2.76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648㎎, 2.76mmol)를 적하하고, 2.5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10%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R)-2-(4-니트로벤조일옥시)옥탄을 박황색 액체 물질로서 얻었다(579㎎, 수율 90%/(S)-2-옥탄올).
비선광도: [α]D 20=-43.9(c 1.21, MeOH).
IR(KBr): 3109, 2982, 2934, 1722, 1607, 1528, 1350, 1273, 1115, 1103, 1061, 1015, 874, 841, 719, 698 cm-1.
1H NMR(600MHz, CDCl3): δ8.26(d,J=8.6Hz,2H), 8.18(d,J=8.6Hz,2H), 5.17(m,1H), 1.38-1.26(m,11H), 0.85(t,J=6.5Hz,3H).
13C NMR(100MHz, CDCl3): δ163.96, 150.18, 136.06, 130.36, 120.19, 72.83, 35.71, 31.49, 28.91, 25.17, 22.35, 19.68, 13.79.
비교예 9 실시예 21에 대한 비교예(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사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33
50ml 플라스크에 (S)-2-옥탄올(300㎎, 2.30mmol), 트리페닐포스핀(724㎎, 2.76mmol), 4-니트로안식향산(465㎎, 2.76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40% 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톨루엔 용액(1.45ml, 2.76mmol)을 적하하고, 2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R)-2-(4-니트로벤조일옥시)옥탄을 박황색 액체 물질로서 얻었다(616㎎, 수율 96%/(S)-2-옥탄올).
1H NMR(600MHz, CDCl3): δ8.26(d,J=8.6Hz,2H), 8.18(d,J=8.6Hz,2H), 5.17(m,1H), 1.38-1.26(m,11H), 0.85(t,J=6.5Hz,3H).
실시예 22 (R)-2-(4-니트로벤조일옥시)옥탄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34
50ml 플라스크에 (S)-2-옥탄올(300㎎, 2.30mmol), 트리페닐포스핀(726㎎, 2.76mmol), 4-니트로안식향산(462㎎, 2.76mmol), 디클로로메탄(12ml)을 첨가한 후에 20℃에서 디클로로메탄(6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 스테르(648㎎, 2.76mmol)를 적하하고, 1.5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10mL)을 첨가하고, 분액한 후에 물층을 디클로로메탄(10mL×1회)에 의해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통합하여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R)-2-(4-니트로벤조일옥시)옥탄을 박황색 액체 물질로서 얻었다(572㎎, 수율 89%/(S)-2-옥탄올).
1H NMR(600MHz, CDCl3): δ8.26(d,J=8.6Hz,2H), 8.18(d,J=8.6Hz,2H), 5.17(m,1H), 1.38-1.26(m,11H), 0.85(t,J=6.5Hz,3H).
실시예 23 (R)-2-(4-니트로벤조일옥시)옥탄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35
50ml 플라스크에 (S)-2-옥탄올(300㎎, 2.30mmol), 트리페닐포스핀(725㎎, 2.76mmol), 4-니트로안식향산(463㎎, 2.76mmol), 톨루엔(12ml)을 첨가한 후에 20℃에서 톨루엔(6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648㎎, 2.76mmol)를 적하하고, 3.5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10mL)을 첨가하고, 분액한 후에 물층을 톨루엔(10mL×1회)에 의해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통합하여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 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켈, 5%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R)-2-(4-니트로벤조일옥시)옥탄을 박황색 액체 물질로서 얻었다(615㎎, 수율 96%/(S)-2-옥탄올).
1H NMR(600MHz, CDCl3): δ8.26(d,J=8.6Hz,2H), 8.18(d,J=8.6Hz,2H), 5.17(m,1H), 1.38-1.26(m,11H), 0.85(t,J=6.5Hz,3H).
실시예 24 (R)-2-(4-니트로벤조일옥시)옥탄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36
50ml 플라스크에 (S)-2-옥탄올(300㎎, 2.30mmol), 트리페닐포스핀(726㎎, 2.76mmol), 4-니트로안식향산(462㎎, 2.76mmol), 아세토니트릴(12ml)을 첨가한 후에 20℃에서 아세토니트릴(6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648㎎, 2.76mmol)를 적하하고, 21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10%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R)-2-(4-니트로벤조일옥시)옥탄을 박황색 액체 물질로서 얻었다(349㎎, 수율 54%/(S)-2-옥탄올).
1H NMR(600MHz, CDCl3): δ8.26(d,J=8.6Hz,2H), 8.18(d,J=8.6Hz,2H), 5.17(m,1H), 1.38-1.26(m,11H), 0.85(t,J=6.5Hz,3H).
실시예 25 (R)-1-(4-니트로벤조일옥시)-1-페닐에탄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37
50ml 플라스크에 (S)-1-페닐에틸알코올(300㎎, 2.46mmol), 트리페닐포스핀(771㎎, 2.95mmol), 4-니트로안식향산(494㎎, 2.95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691㎎, 2.95mmol)를 적하하고, 4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R)-1-(4-니트로벤조일옥시)-1-페닐에탄을 박황색 액체 물질로서 얻었다(559㎎, 수율 84%/(S)-1-페닐에틸알코올).
비선광도: [α]D 20=-46.6(c 1.09, MeOH).
IR(KCl, neat): 3111, 2955, 2930, 2859, 1719, 1607, 1528, 1466, 1348, 1280, 1113, 1103, 1015, 874, 841, 719 cm-1.
1H NMR(600MHz, CDCl3): δ8.26(d,J=8.9Hz,2H), 8.21(d,J=8.9Hz,2H), 7.43(d,J=7.6Hz,2H), 7.37(t,J=7.6Hz,2H), 7.32(d,J=7.6Hz,1H), 6.14(q,J=6.9Hz,1H), 1.69(d,J=6.9Hz,2H).
13C NMR(100MHz, CDCl3): δ163.79, 150.36, 140.88, 135.74, 130.62, 128.5 7, 128.15, 126.02, 123.39, 74.07, 22.10.
비교예 10 실시예 25에 대한 비교예(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사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38
50ml 플라스크에 (S)-1-페닐에틸알코올(300㎎, 2.46mmol), 트리페닐포스핀(773㎎, 2.95mmol), 4-니트로안식향산(493㎎, 2.95mmol), THF(12ml)를 첨가한 후에 20℃에서 THF(6ml)에 용해된 40% 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톨루엔 용액(1.55ml, 2.76mmol)을 적하하고, 4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R)-1-(4-니트로벤조일옥시)-1-페닐에탄을 박황색 액체 물질로서 얻었다(595㎎, 수율 89%/(S)-1-페닐에틸알코올).
1H NMR(600MHz, CDCl3): δ8.26(d,J=8.9Hz,2H), 8.21(d,J=8.9Hz,2H), 7.43(d,J=7.6Hz,2H), 7.37(t,J=7.6Hz,2H), 7.32(d,J=7.6Hz,1H), 6.14(q,J=6.9Hz,1H), 1.69(d,J=6.9Hz,2H).
실시예 26 (R)-1-(4-니트로벤조일옥시)-1-페닐에탄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39
50ml 플라스크에 (S)-1-페닐에틸알코올(300㎎, 2.46mmol), 트리페닐포스핀(772.5㎎, 2.95mmol), 4-니트로안식향산(494㎎, 2.95mmol), 디클로로메탄(12ml)을 첨가한 후에 20℃에서 디클로로메탄(6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693㎎, 2.95mmol)를 적하하고, 46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10mL)을 첨가하고, 분액한 후에 물층을 디클로로메탄(10mL×1회)에 의해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통합하여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R)-1-(4-니트로벤조일옥시)-1-페닐에탄을 박황색 액체 물질로서 얻었다(496㎎, 수율 74%/(S)-1-페닐에틸알코올).
1H NMR(600MHz, CDCl3): δ8.26(d,J=8.9Hz,2H), 8.21(d,J=8.9Hz,2H), 7.43(d,J=7.6Hz,2H), 7.37(t,J=7.6Hz,2H), 7.32(d,J=7.6Hz,1H), 6.14(q,J=6.9Hz,1H), 1.69(d,J=6.9Hz,2H).
실시예 27 (R)-1-(4-니트로벤조일옥시)-1-페닐에탄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40
50ml 플라스크에 (S)-1-페닐에틸알코올(300㎎, 2.46mmol), 트리페닐포스핀(772㎎, 2.95mmol), 4-니트로안식향산(493㎎, 2.95mmol), 아세토니트릴(12ml)을 첨가한 후에 20℃에서 아세토니트릴(6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692㎎, 2.95mmol)를 적하하고, 40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0.5mL)을 첨가하여 농축한 후에 물(10ml)을 첨가하고, 디에틸에테르(10ml×2회)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R)-1-(4-니트로벤조일옥시)-1-페닐에탄을 박황색 액체 물질로서 얻었다(202㎎, 수율 30%/(S)-1-페닐에틸알코올).
1H NMR(600MHz, CDCl3): δ8.26(d,J=8.9Hz,2H), 8.21(d,J=8.9Hz,2H), 7.43(d,J=7.6Hz,2H), 7.37(t,J=7.6Hz,2H), 7.32(d,J=7.6Hz,1H), 6.14(q,J=6.9Hz,1H), 1.69(d,J=6.9Hz,2H).
실시예 28 (R)-1-(4-니트로벤조일옥시)-1-페닐에탄의 제조: 미츠노부 반응에의 이용
Figure 112009038280127-pct00041
50ml 플라스크에 (S)-1-페닐에틸알코올(176㎎, 1.43mmol), 트리페닐포스핀(449.8㎎, 1.72mmol), 4-니트로안식향산(288㎎, 1.72mmol), 톨루엔(7ml)을 첨가한 후에 20℃에서 톨루엔(3.5ml)에 용해된 비스(2-메톡시에틸)아조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403㎎, 1.72mmol)를 적하하고, 6시간 반응을 행했다. 물(10mL)을 첨가하고, 분액한 후에 물층을 톨루엔(10mL×1회)에 의해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통합하여 물(10mL), 포화 식염수(10ml)에 의해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에 의해 탈습했다. 이어서, 농축해서 얻어진 조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 초산 에틸-헥산 용액)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R)-1-(4-니트로벤조일옥시)-1-페닐에탄을 박황색 액체 물질로서 얻었다(352㎎, 수율 91%/(S)-1-페닐에틸알코올).
1H NMR(600MHz, CDCl3): δ8.26(d,J=8.9Hz,2H), 8.21(d,J=8.9Hz,2H), 7.43(d,J=7.6Hz,2H), 7.37(t,J=7.6Hz,2H), 7.32(d,J=7.6Hz,1H), 6.14(q,J=6.9Hz,1H), 1.69(d,J=6.9Hz,2H)
본원 발명은 미츠노부 반응에 이용하거나 산화제, 기타 여러가지 합성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일반식(1);
    Figure 112010082345669-pct00051
    (식 중 A는 탄소수 1~2의 알킬기를 나타냄.)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2. 삭제
  3. 공정(a): 히드라진과 일반식(2);
    Figure 112010082345669-pct00043
    (식 중 A는 탄소수 1~2의 알킬기이며, B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냄.)로 나타내어지는 할로탄산(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을 반응시켜 일반식(3);
    Figure 112010082345669-pct00044
    (식 중 A는 상기와 동의임.)으로 나타내어지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을 얻는 공정,
    공정(b): 일반식(3);
    Figure 112010082345669-pct00045
    (식 중 A는 상기와 동의임.)으로 나타내어지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을 산화함으로써 일반식(1);
    Figure 112010082345669-pct00046
    (식 중 A는 상기와 동의임.)로 나타내어지는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을 얻는 공정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4. 일반식(3);
    Figure 112010082345669-pct00047
    (식 중 A는 탄소수 1~2의 알킬기를 나타냄.)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5. 삭제
  6. 공정(a): 히드라진과 일반식(2);
    Figure 112010082345669-pct00048
    (식 중 A는 탄소수 1~2의 알킬기이며, B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냄.)로 나타내어지는 할로탄산(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을 반응시켜 일반식(3);
    Figure 112010082345669-pct00049
    (식 중 A는 상기와 동의임.)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히드라진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7. 산화 화합물, 알코올, 인 화합물 및 제 1 항에 기재된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을 혼합하여 산화 화합물과 알코올의 탈수 축합 반응을 행하게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츠노부 반응을 행하는 방법.
  8. 제 1 항에 기재된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을 산화제로 하여 산화 반응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반응을 행하는 방법.
KR1020097013144A 2007-01-31 2008-01-30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그 제조 중간체 KR1010252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52027 2007-01-31
JPJP-P-2007-052027 2007-01-31
JP2007252331A JP4094654B1 (ja) 2007-01-31 2007-09-27 アゾジカルボン酸ビス(2−アルコキシエチル)エステル化合物、その製造中間体
JPJP-P-2007-252331 2007-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420A KR20090088420A (ko) 2009-08-19
KR101025202B1 true KR101025202B1 (ko) 2011-03-31

Family

ID=3956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144A KR101025202B1 (ko) 2007-01-31 2008-01-30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그 제조 중간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820802B2 (ko)
EP (1) EP2112136B1 (ko)
JP (1) JP4094654B1 (ko)
KR (1) KR101025202B1 (ko)
CN (1) CN101595087B (ko)
ES (1) ES2385624T3 (ko)
WO (1) WO2008093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4654B1 (ja) * 2007-01-31 2008-06-04 東洋化成工業株式会社 アゾジカルボン酸ビス(2−アルコキシエチル)エステル化合物、その製造中間体
JP5920623B2 (ja) * 2012-05-14 2016-05-18 東洋紡株式会社 アゾジカルボン酸ビス(2−アルコキシエチル)エステル化合物の製造方法
JP5920622B2 (ja) * 2012-05-14 2016-05-18 東洋紡株式会社 アゾジカルボン酸ジエステル化合物の製造方法
CN102898328B (zh) * 2012-10-26 2014-12-24 山东师范大学 偶氮二甲酸二乙酯及其中间体的合成方法
CN103193683B (zh) * 2013-04-26 2014-07-09 山东师范大学 酯化法制备氢化偶氮二甲酸二烷基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1970A (en) * 1977-09-08 1979-04-03 Toppan Printing Co Ltd Manufacture of molded article having uneven surfac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3189A (en) * 1946-01-16 1950-12-05 Wingfoot Corp Hydrazo esters
US2554141A (en) * 1946-01-16 1951-05-22 Wingfoot Corp Azo esters
US2903361A (en) * 1956-01-12 1959-09-08 Wallace & Tiernan Inc Procedure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flour
US3017406A (en) * 1959-01-05 1962-01-16 Wallace & Tiernan Inc Manufacture of azo compounds
US3192196A (en) * 1962-11-27 1965-06-29 Wallace & Tiernan Inc Oxidation of aliphatic hydrazo compounds to the corresponding aliphatic azo compounds
US3347845A (en) * 1963-08-01 1967-10-17 Wallace & Tiernan Inc Shock stable azodiformate esters
DE1257768B (de) * 1965-08-31 1968-01-04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yanamid-Dicarbonsaeureestern
US3488342A (en) * 1967-12-11 1970-01-06 Pennwalt Corp Preparation of hydrazo and azodiformate diesters
US6153633A (en) * 1998-08-11 2000-11-28 Rohm And Haas Company Stable 3-isothiazolone compositions
US6806357B1 (en) * 2001-08-20 2004-10-19 University Of Pittsburgh Fluorous nucleophilic substitution of alcohols and reagents for use therein
JP4094654B1 (ja) * 2007-01-31 2008-06-04 東洋化成工業株式会社 アゾジカルボン酸ビス(2−アルコキシエチル)エステル化合物、その製造中間体
CL2009001233A1 (es) * 2008-05-21 2009-08-07 Gruenenthal Gmbh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l acetato de 3 alfa-hidrocicloromadinona por reduccion del acetato de cloromadinona con un hidruro,con posterior inversion de la configuracion de la posicion 3; y uno de los compuestos intermediarios considerado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1970A (en) * 1977-09-08 1979-04-03 Toppan Printing Co Ltd Manufacture of molded article having uneven su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95087A (zh) 2009-12-02
ES2385624T3 (es) 2012-07-27
US20100048881A1 (en) 2010-02-25
EP2112136A4 (en) 2010-10-20
KR20090088420A (ko) 2009-08-19
JP2008208111A (ja) 2008-09-11
JP4094654B1 (ja) 2008-06-04
US7947816B2 (en) 2011-05-24
EP2112136B1 (en) 2012-05-23
US7820802B2 (en) 2010-10-26
US20110028701A1 (en) 2011-02-03
WO2008093702A1 (ja) 2008-08-07
CN101595087B (zh) 2012-11-21
EP2112136A1 (en)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202B1 (ko) 아조디카르복실산 비스(2-알콕시에틸)에스테르 화합물, 그 제조 중간체
RU2742005C2 (ru) Способы получения 4-алкокси-3-(ацил или алкил)оксипиколинамидов
KR20110106840A (ko) 광학 활성 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JP5209183B2 (ja) 不純物の低減された2−シアノフェニルボロン酸又はそのエステル体の製造方法
JP6736466B2 (ja) 環状ホスホン酸ナトリウム塩の結晶及びその製造方法
JP4030289B2 (ja) β−ケトニトリル類の製法
JP2006312644A (ja) β−ケトニトリル類の製法
JP4030293B2 (ja) β−ケトニトリル類の製造法
CN1127503C (zh) (r)-2-[3-(2-n-邻苯二甲酰亚胺基乙基)-4,5-二氢-5-异噁唑基]-乙酸、合成及用途
JP2011032179A (ja) キラル化合物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中間体
JP2734646B2 (ja) 2,2―ジフルオロカルボン酸誘導体の新規合成法
JP2008303173A (ja) チオジグリコール酸ジメチルの製造方法
JP2006232743A (ja) 1,3−ジベンジル−2−オキソイミダゾリジン−4,5−ジカルボン酸ジメチルの製造方法
TW202404470A (zh) 用於製備4-取代的2-㗁唑啶酮之方法
JP4402951B2 (ja) エリスロマイシン化合物の製造方法
RU2605453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КСИМОВ ФУЛЛЕРЕНА: БИС-АДДУКТОВ 1-[ГИДРОКСО]-9-[1'-ГИДРОКСИМИНО-2'-ОКСО-2'-АЛКИЛ-ЭТИЛ]-1,9-ДИГИДРО-[C60-Ih][5,6]ФУЛЛЕРЕНОВ
JP5034277B2 (ja) 3−(n−アシルアミノ)−3−(4−テトラヒドロピラニル)−2−オキソプロパン酸エステル及び3−(n−アシルアミノ)−3−(4−テトラヒドロピラニル)−2−オキソプロパノヒドラジドの製造方法
WO1999041214A1 (fr) Agent d'halogenation et procede d'halogenation de groupe hydroxyle
KR20230114620A (ko) 구아야콜의 제조방법
KR100525358B1 (ko) 카르복실 벤조트리아졸 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JP2003160560A (ja) トランス−4−置換ピペリジン−2−カルボン酸塩類の製造方法
EP1674451A1 (en) Method for producing n,n -dialkoxy-n,n -dialkyl oxamide
JP2003342267A (ja) エポキシブタン酸エステル類の製造方法
KR20060094553A (ko) 2',2'-디플루오로뉴글레오시드 중간체의 제조방법
JP2006312645A (ja) β−ケトニトリル類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