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383B1 -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383B1
KR101024383B1 KR1020100106359A KR20100106359A KR101024383B1 KR 101024383 B1 KR101024383 B1 KR 101024383B1 KR 1020100106359 A KR1020100106359 A KR 1020100106359A KR 20100106359 A KR20100106359 A KR 20100106359A KR 101024383 B1 KR101024383 B1 KR 101024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vehicle
guide frame
guid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희
김광재
Original Assignee
동서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하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서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PCT/KR2011/001982 priority patent/WO2012057415A1/ko
Publication of KR10102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4Conveyors for vehicle clea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65G19/22Impellers, e.g. push-plates, scrapers; Guiding means therefor
    • B65G19/24Attachment of impellers to traction element
    • B65G19/26Attachment of impellers to traction element pivo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세차기에서 차량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프레임; 가이드 프레임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설치되는 체인벨트; 및 체인벨트에 서로 이격하여 다수개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철 가능한 브래킷과 브래킷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이드 프레임으로 차량 진입시, 가이드 홈의 상측으로 롤러 조립체가 펼쳐지고 차량의 타이어를 밀어서 이동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TRANSFER CONVEYOR OF AUTO CAR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세차를 위해 차량을 이동시키는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자동세차기는 자동차의 외부를 세척하는 장치로서, 근래에는 이용의 편리성으로 인해, 차주 스스로 외부 세차를 하는 경우보다는 세차장이나 주유소에 설치된 자동세차기를 이용하여 외부 세차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자동세차기의 수요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자동세차기를 이용한 차량의 세척은, 차량의 외측면에 물과 세정액을 분사하는 공정, 브러시를 이용하여 차량의 외측면을 세척하는 공정, 및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차량을 건조시키는 공정 등을 연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통상적인 자동세척기는 차량이 상술한 각 공정을 연속적으로 거쳐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차량을 각 공정별로 이송시키는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종래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에는 차량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과, 가이드 프레임 내부에서 순환하는 체인벨트와, 체인벨트를 따라 순환하며 타이어의 후방에 접촉하여 차량을 이동시키는 푸시롤러가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푸시롤러가 타이어를 밀 수 있도록 가이드 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차량의 최초 진입시 타이어가 푸시롤러를 지나가는 과정에서 덜컹거림이 발생하여 차량의 운전자를 불안하게 하고, 차량의 하중이 푸시롤러를 거쳐 체인벨트에 전달됨으로써 고장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하나의 타이어에 대응하여, 타이어의 폭보다 길이가 긴 하나의 푸시롤러가 타이어를 밀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동력손실과 접촉마찰에 따른 소음발생의 문제가 있으며, 차량의 크기에 따라 체인벨트 상의 푸시롤러 배치 간격과 차량의 앞·뒤 타이어 간격이 어긋나는 경우, 뒷 타이어와 푸시롤러 간의 충격발생과, 뒷 타이어가 푸시롤러의 상측에 얹혀지면서 차량이 불안정하게 기울게 되는 경우도 있다.
아울러, 가이드 프레임의 내부에는 차량을 세척한 폐수와 이물질이 혼입되는데, 적절한 시점에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가이드 프레임의 바닥에 고이게 되며, 따라서 돌출된 푸시롤러가 바닥면을 지나는 과정에서 오염되거나, 이물질에 의한 고장발생 및 소음발생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진입 전에는 롤러 조립체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가이드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컨베이어로 차량 진입시에는 가이드 프레임의 상측으로 롤러 조립체가 펼쳐지고, 타이어의 후방에 접촉하여 차량을 이송시키게 되는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프레임; 가이드 프레임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설치되는 체인벨트; 및 체인벨트에 서로 이격하여 다수개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철 가능한 브래킷과 브래킷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며, 가이드 프레임으로 차량 진입시, 가이드 홈의 상측으로 롤러 조립체가 펼쳐지고 차량의 타이어를 밀어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가 제공된다.
여기서, 롤러 조립체는, 체인벨트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브래킷과, 제1브래킷의 타단 양측에 일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브래킷을 포함한다.
또한, 제1브래킷의 일단 양측에 각각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롤러와, 한 쌍의 제2브래킷의 일단에 각각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롤러와, 한 쌍의 제2브래킷의 타단에 각각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3롤러를 포함한다.
이때, 제1롤러의 회전축에는 제1브래킷이 체인벨트의 외측으로 회전하게끔 탄성력을 가하는 제1토션스프링이 개재되고, 제1브래킷의 타단 일측에는 제2브래킷이 제1브래킷의 외측으로 회전하게끔 탄성력을 가하는 제2토션스프링이 구비된다.
이때, 제1브래킷의 타단 양측 내부에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스토퍼가 체인벨트에 지지되어,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는 가이드 프레임으로의 차량 진입을 감지하는 타이어 감지부가 설치된다.
여기서, 타이어 감지부는, 서로 이격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바; 한 쌍의 슬라이드 바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슬라이드 홈이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바; 한 쌍의 가이드 바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드 바의 하단을 지지하며, 양단이 가이드 바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향 절곡되는 누름 바; 및 슬라이드 홈의 하단에 개재되어 누름 바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스토퍼는 볼플런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 프레임으로 차량 진입시, 누름 바에 의해 볼플런저가 눌러져서, 제1토션스프링과 제2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이 펼쳐지게 된다.
아울러, 가이드 프레임으로 차량 진입시, 누름 바가 가이드 바의 일측에 마련되는 접촉단자와 접촉하여, 체인벨트를 순환시키는 구동모터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의 출구측에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패널이 구비되며, 가이드 패널과 접촉한 롤러 조립체는 접혀져서 가이드 프레임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에 의하면, 차량 진입 전에는 롤러 조립체가 접혀져서 가이드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고, 차량 진입이 감지된 후에는 롤러 조립체가 가이드 프레임의 상측으로 펼쳐져서 타이어의 후방에 지지되므로, 차량 진입과정에서 덜컹거림 발생과 이에 따른 고장발생의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를 밀어서 가이드 프레임의 출구측까지 이동한 롤러 조립체는, 가이드 패널에 의해 접혀져서 가이드 프레임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므로, 가이드 프레임을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고, 가이드 프레임 내 타 부품과의 접촉에 의한 소음발생이나, 가이드 프레임 내에 고인 폐수와 이물질과의 접촉에 의한 오염, 및 이로 인한 고장발생의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체인벨트의 출렁거림이 감소됨에 따라 내구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또한, 3쌍의 롤러로 롤러 조립체를 구성하여, 그 중 한 쌍의 롤러는 타이어의 후방 양측에 밀착되게 하고, 다른 한 쌍의 롤러는 가이드 홈의 테두리에 각각 지지되어 이동하게 함으로써, 종래 하나의 롤러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동력손실과 마찰에 의한 소음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뒷바퀴와 롤러의 접촉이 방지되므로, 뒷바퀴와 롤러가 서로 충돌하거나, 뒷바퀴가 롤러에 얹혀져서 차량이 불안정하게 기울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차량 진입을 감지하는 타이어 감지부를 설치함으로써, 롤러 조립체의 접철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타이어 감지부에 의해 체인벨트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전력소모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가이드 프레임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롤러 조립체의 확대도.
도 4는 롤러 조립체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도 5는 가이드 프레임의 출구측에서 롤러 조립체가 다시 접혀지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감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감지부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가이드 프레임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100)는, 차량의 타이어(10)가 안착되는 가이드 프레임(200)과, 가이드 프레임(200) 내에서 순환하는 체인벨트(300)와, 체인벨트(300) 상에 서로 이격하여 다수개 설치되는 롤러 조립체(400)를 포함하고, 롤러 조립체(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철 가능한 브래킷과, 브래킷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가이드 프레임(200)으로 차량 진입시, 롤러 조립체(400)가 가이드 프레임(200)의 상측으로 펼쳐져서 타이어(10)의 후방에 밀착되어, 체인벨트(300)의 구동에 따라 타이어(10)를 밀어서 차량을 이동시키게 된다.
가이드 프레임(200)은, 내부에 체인벨트(300)가 가이드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공간부를 가진 직육면체 형상이며, 가이드 프레임(200)의 상측에는 펼쳐진 롤러 조립체(400)의 롤러가 타이어(10)의 후방을 지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210)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 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에는 체인벨트(300)가 가이드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차량이 진입하는 가이드 프레임(200)의 입구측에는 후방 스포라켓(220)이 설치되고, 차량이 빠져나가는 가이드 프레임(200)의 출구측에는 전방 스포라켓(230)이 설치되며, 체인벨트(300)는 전방 스포라켓(230)과 후방 스포라켓(220) 사이에 연결되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하게 된다.
이때, 체인벨트(300)의 작동은 전방 스포라켓(230) 또는 후방 스포라켓(2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타이어 감지부(500)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200)으로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구동모터가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체인벨트(300) 상에는 서로 이격하여 다수개의 롤러 조립체(400)가 설치되는데, 이 롤러 조립체(400)는 차량 진입 전에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펼쳐져서 타이어(10) 후방에 밀착되고, 체인벨트(300)의 작동에 따라 타이어(10)를 밀어서 차량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펼쳐진 롤러 조립체(400)는 가이드 프레임(200)의 출구 측에 설치된 원호 형상의 가이드 패널(240)과 접촉하여, 다시 접혀지면서 가이드 프레임(200) 내부로 안내되는데, 이하 롤러 조립체(400)의 구성과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롤러 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 조립체(400)는, 체인벨트(300)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브래킷(410)과, 제1브래킷(410)의 타단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브래킷(420)과, 제1브래킷(410)과 제2브래킷(420)에 각각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롤러(430~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1브래킷(410)은 일측(도면상으로는 상측)이 개구된 덮개 형태로서, 일단이 체인벨트(30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양측에 원호 형상의 라운드부(411)가 도면상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이 라운드부(411)의 내측에는 제1브래킷(410)의 접철동작을 제어하는 스토퍼(411a)가 구비되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2브래킷(4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제1브래킷(410)의 타단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제1브래킷(410)의 일단 양측에 한 쌍의 제1롤러(430)가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제2브래킷(420)의 일단에 한 쌍의 제2롤러(440)가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 쌍의 제2브래킷(420)의 타단에 한 쌍의 제3롤러(450)가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한 쌍의 제2롤러(440)는 한 쌍의 제2브래킷(420)과 함께 제1브래킷(410)의 타단 양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제1롤러(430)의 회전축에는 제1토션스프링(460)이 개재되어, 제1롤러(43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브래킷(410)의 타단이 체인벨트(300)의 외측(도면상 하측)으로 회전하게끔 탄성력을 가하게 되며, 제1브래킷(410)의 라운드부(411) 외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412)에 제2토션스프링(470)이 개재되어, 제2롤러(44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2브래킷(420)의 타단이 체인벨트(300)의 외측(도면상 하측)으로 회전하게끔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제1토션스프링(460)의 일단은 제1롤러(430)의 회전축에 인접하여 제1브래킷(410)의 일측에 지지되고 타단은 제1브래킷(410)의 모서리 부분(도면상 상측 모서리)에 지지되며, 제2토션스프링(470)의 일단은 돌기부(412)에 인접하여 제2브래킷(420)의 일측에 지지되고 타단은 제2브래킷(420)의 모서리 부분(도면상 상측 모서리)에 지지된다.
한편, 차량 진입 전이나 롤러 조립체(400)가 가이드 프레임(200) 내부로 안내된 경우,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서로 접혀진 제1브래킷(410)과 제2브래킷(420)이, 제1토션스프링(460)과 제2토션스프링(47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펼쳐지지 못하도록, 제1브래킷(410)의 양쪽 라운드부(411) 내측에 각각 스토퍼(411a)가 구비된다.
이때, 스토퍼(411a)는 외관상 반구형상이며 체인벨트(300) 방향으로 돌출되는데, 이 스토퍼(411a)가 체인벨트(300)에 걸림으로 인해 제1브래킷(410)과 제2브래킷(420)의 회전이 방지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토퍼(411a)로서 탄성력을 가진 볼플런저(ball plunger)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브래킷(410)의 라운드부(411) 또는 스토퍼(411a)에 외력이 가해져서, 스토퍼(411a)가 제1브래킷(410)과 함께 체인벨트(300)를 벗어나게 되면, 제1,2토션스프링(460,470)의 작동에 의해 제1브래킷(410)과 제2브래킷(420)이 회전하여 서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롤러 조립체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래킷(410)의 일단이 체인벨트(30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브래킷(410)의 일단 양측에 각각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제1롤러(430)는 체인벨트(300)와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제1브래킷(410)의 타단은 제1롤러(43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펼쳐지며, 제2브래킷(420)은 제2롤러(44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펼쳐져서, 제3롤러(450)가 세개의 롤러(430~450) 중 가장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1롤러(430)는 가이드 프레임(200)의 내부에서 체인벨트(300)와 함께 이동하며, 제2롤러(440)는 가이드 프레임(200)의 상측에서 가이드 홈(210)의 테두리에 지지되어 이동하고, 제3롤러(450)는 타이어(10)의 후방에 밀착되어 차량을 밀어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펼쳐져서 이동하던 롤러 조립체(400)가, 가이드 프레임(200)의 출구측에서 다시 접혀져서 가이드 프레임(200)의 내부로 안내되는 모습을 보인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200)의 전면 출구측에는 체인벨트(300)의 형상을 따라, 원호 형상의 가이드 패널(240)이 구비되며, 가이드 패널(240)의 상단은 제3롤러(450)와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위쪽으로 약간 벌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펼쳐진 롤러 조립체(400)의 제1브래킷(410)은 상측면이 가이드 패널(240)의 내측면과 접촉하면서 아래 방향으로 힘을 받아 접혀지게 되는데 따라서, 마찰감소를 위해 제1브래킷(410)의 상측면은 라운드진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롤러(450)는 가이드 패널(240)의 상단과 접촉하면서 아래방향으로 힘을 받아, 제2브래킷(420)이 제1브래킷(410) 방향으로 접혀지며, 제1브래킷(410)의 스토퍼(411a)가 체인벨트(300)에 걸림으로써 롤러 조립체(400)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패널(240)은 가이드 프레임(200)의 후면 입구측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롤러 조립체(400)는 가이드 프레임을 지나서 펼쳐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감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감지부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감지부(500)는 차량이 가이드 프레임(200)으로 진입한 것을 감지하여, 롤러 조립체(400)가 펼쳐질 수 있도록 제1브래킷(410) 또는 스토퍼(411a)에 외력을 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서로 이격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바(510)와, 슬라이드 바(510)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바(520), 가이드 바(520)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바(510)의 하단을 지지하며 양단이 하향 절곡 형성되는 누름 바(530), 및 누름 바(530)의 하단에서 누름 바(530)를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5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슬라이드 바(510)는 서로 이격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단이 가이드 프레임(20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차량 진입시 타이어(10)가 이 슬라이드 바(510)를 누름에 따라 차량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바(520)는 전체적으로 H-빔 형상으로서 슬라이드 바(510)의 승강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홈(521)을 가진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한 쌍의 가이드 바(520) 사이에 걸쳐진 누름 바(530)가 슬라이드 바(510)의 하부에 구비되는데, 이 누름 바(530)는 슬라이드 바(510)의 하단을 지지하고, 양쪽 슬라이드 홈(521)의 하단에 각각 개재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54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누름 바(530)의 양단은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 진입시 타이어(10)가 슬라이드 바(510)를 누르면, 가이드 바(520)의 슬라이드 홈(521)을 따라 하강한 슬라이드 바(510)가 누름 바(530)를 누르게 되고, 누름 바(530)에서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 양단이 하부에 위치되는 체인벨트(300) 방향으로 하강하여 롤러 조립체(400) 제1브래킷(410)의 라운드부(411)를 가압하여 스토퍼(411a)를 체인벨트(300)로부터 이탈시키거나, 혹은 볼플런저를 가압함으로써 제1,2토션스프링(460,470)에 의해 제1,2브래킷(410,420)이 회전하여 펼쳐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 프레임(200)의 입구측에 가이드 패널이 설치된 경우에는, 롤러 조립체(400)가 가이드 패널을 벗어나면서부터 제1,2브래킷(410,420)이 회전하여 펼쳐질 수 있다.
한편, 평상시에는 체인벨트(300)의 작동을 중지한 상태로 있다가, 차량 진입을 감지하면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체인벨트(300)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가이드 바(520)의 하단 일측에 접촉단자(550)를 마련하고, 누름 바(530)의 양단이 하강하여 이 접촉단자(550)와 접촉하면 구동모터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10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차량이 가이드 프레임(200)의 상측으로 진입하면, 차량의 타이어(10)가 타이어 감지부(500)의 슬라이드 바(510)를 가압하게 되고, 가이드 바(520)를 따라 하강한 슬라이드 바(510)에 의해 누름 바(530)가 하강한다.
이때, 누름 바(530)의 하강에 의해, 롤러 조립체(400)의 스토퍼(411a)가 체인벨트(300)을 이탈하면서 제1,2브래킷(410,420)이 제1,2토션스프링(460,470)의 탄성력에 의해 펼쳐지며, 롤러 조립체(400)의 제1롤러(430)는 체인벨트(300)을 따라 가이드 프레임(200) 내부에서 이동하고, 제2롤러(440)는 가이드 프레임(200) 상측의 가이드 홈(210) 테두리에 지지되어 가이드 홈(210)을 따라 이동하며, 제3롤러(450)는 타이어(10)의 후방에 밀착되어 체인벨트(300)의 이동에 따라 차량을 전방으로 밀게된다.
그리고, 가이드 프레임(200)의 출구측에 도달한 롤러 조립체(400)는 가이드 패널(240)과 접촉하면서 다시 접혀져서 가이드 프레임(200)의 내부로 안내된다.
따라서, 최초 차량 진입시 체인벨트(300) 상의 롤러 조립체(400)는 모두 접혀진 상태로 있으므로, 종래기술과 달리, 차량이 롤러를 타고 넘는 과정에서 덜컹거림이 발생되거나, 롤러를 통해 체인으로 충격력이 전달됨에 따라 야기되는 고장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200)의 내부로 안내되면서 롤러 조립체(400)는 모두 접혀지게 되므로, 가이드 프레임(200) 내부에서 이동하는 동안 타 부품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발생 또는 폐수와 이물질과의 접촉에 의한 오염과 고장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가이드 프레임(200)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다.
한편, 타이어 감지부(500)에 의해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었을 때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체인벨트(300)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데, 이때 타이어 감지부(500)의 누름 바(530)가 하강하여 가이드 바(52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접촉단자(550)와 접촉됨으로써 구동모터의 작동이 이루어지게끔 구성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는 전방 스포라켓(230) 또는 후방 스포라켓(220)을 정/역회전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는 가이드 프레임(200)의 출구 측에 롤러 조립체(400)가 펼쳐진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롤러 조립체(400)가 가이드 패널(240)에 의해 다시 접혀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도시한 것이며, 실제로는 차량의 최초 진입시 가이드 프레임(200)의 출구 측에 위치하는 롤러 조립체(400)는 접혀진 상태로 있게 됨을 밝혀둔다.
10 : 타이어 100 :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200 : 가이드 프레임 210 : 가이드 홈
220 : 후방 스포라켓 230 : 전방 스포라켓
240 : 가이드 패널
300 : 체인벨트
400 : 롤러 조립체 410 : 제1브래킷
411 : 라운드부 411a : 스토퍼
412 : 돌기부 420 : 제2브래킷
430 : 제1롤러 440 : 제2롤러
450 : 제3롤러 460 : 제1토션스프링
470 : 제2토션스프링
500 : 타이어 감지부 510 : 슬라이드 바
520 : 가이드 바 521 : 슬라이드 홈
530 : 누름 바 540 : 코일스프링
550 : 접촉단자

Claims (10)

  1. 상측에 가이드홈(210)이 형성되는 가이드 프레임(200);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설치되는 체인벨트(300); 및
    상기 체인벨트(300)에 서로 이격하여 다수개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철 가능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롤러 조립체(400);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조립체(400)는, 상기 체인벨트(300)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브래킷(410)과, 상기 제1브래킷(410)의 타단 양측에 일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브래킷(420)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으로 차량 진입시, 상기 가이드 홈(210)의 상측으로 상기 롤러 조립체(400)가 펼쳐지고 차량의 타이어를 밀어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브래킷(410)의 일단 양측에 각각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롤러(430)와, 상기 한 쌍의 제2브래킷(420)의 일단에 각각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롤러(440)와, 상기 한 쌍의 제2브래킷(420)의 타단에 각각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3롤러(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430)의 회전축에는 상기 제1브래킷(410)이 상기 체인벨트(300)의 외측으로 회전하게끔 탄성력을 가하는 제1토션스프링(460)이 개재되고, 상기 제1브래킷(410)의 타단 일측에는 상기 제2브래킷(420)이 상기 제1브래킷(410)의 외측으로 회전하게끔 탄성력을 가하는 제2토션스프링(4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브래킷(410)의 타단 양측 내부에는 스토퍼(411a)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411a)가 상기 체인벨트(300)에 지지되어, 상기 제1브래킷(410)과 상기 제2브래킷(420)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으로의 차량 진입을 감지하는 타이어 감지부(5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감지부(500)는,
    서로 이격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바(510);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바(510)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슬라이드 홈(521)이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바(520);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바(520)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바(510)의 하단을 지지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 바(52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향 절곡되는 누름 바(530); 및
    상기 슬라이드 홈(521)의 하단에 개재되어 상기 누름 바(530)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5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11a)는 볼플런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으로 차량 진입시, 상기 누름 바(530)에 의해 상기 볼플런저가 눌러져서, 상기 제1토션스프링(460)과 상기 제2토션스프링(47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브래킷(410)과 상기 제2브래킷(420)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으로 차량 진입시, 상기 누름 바(530)가 상기 가이드 바(52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접촉단자(550)와 접촉하여, 상기 체인벨트(300)를 순환시키는 구동모터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의 출구측에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패널(24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패널(240)과 접촉한 롤러 조립체(400)는 접혀져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KR1020100106359A 2010-10-28 2010-10-28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KR101024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359A KR101024383B1 (ko) 2010-10-28 2010-10-28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PCT/KR2011/001982 WO2012057415A1 (ko) 2010-10-28 2011-03-23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359A KR101024383B1 (ko) 2010-10-28 2010-10-28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383B1 true KR101024383B1 (ko) 2011-03-23

Family

ID=43939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359A KR101024383B1 (ko) 2010-10-28 2010-10-28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4383B1 (ko)
WO (1) WO201205741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459B1 (ko) * 2011-10-18 2012-03-23 동서하이텍 주식회사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KR102172313B1 (ko) 2019-10-23 2020-11-02 신태식 세차설비의 차량 이송장치
CN113277145A (zh) * 2021-05-20 2021-08-20 上海烟草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烟包包装机的叠包输送剔除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1081B (zh) * 2012-10-18 2016-05-11 嘉马股份有限公司 洗车机输送装置
ES2685835T3 (es) * 2013-01-21 2018-10-11 Arwe Holding Gmbh Dispositivo de arrastre para vehículos de motor
CN108455177A (zh) * 2018-03-23 2018-08-28 庆铃汽车(集团)有限公司 驾驶室焊接输送线
CN111284455B (zh) * 2020-03-07 2022-11-22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建筑工地用高效除尘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5178A (ja) * 1994-01-31 1995-08-15 Daifuku Co Ltd 洗車機
KR100250952B1 (ko) * 1998-02-07 2000-04-15 조용화 터널식 자동세차기의 차량 고정장치
KR20100036552A (ko) * 2008-09-30 2010-04-08 신태식 자동세차기의 차량이송용 컨베이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2974A (en) * 1993-07-20 1995-07-18 Daifuku Co., Ltd. Car washing machine
JP3039288B2 (ja) * 1993-10-13 2000-05-08 株式会社ダイフク 洗車機
KR100692968B1 (ko) * 2006-03-02 2007-03-12 한림기계 주식회사 자동세차기의 이송 컨베이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5178A (ja) * 1994-01-31 1995-08-15 Daifuku Co Ltd 洗車機
KR100250952B1 (ko) * 1998-02-07 2000-04-15 조용화 터널식 자동세차기의 차량 고정장치
KR20100036552A (ko) * 2008-09-30 2010-04-08 신태식 자동세차기의 차량이송용 컨베이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459B1 (ko) * 2011-10-18 2012-03-23 동서하이텍 주식회사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KR102172313B1 (ko) 2019-10-23 2020-11-02 신태식 세차설비의 차량 이송장치
CN113277145A (zh) * 2021-05-20 2021-08-20 上海烟草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烟包包装机的叠包输送剔除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7415A1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383B1 (ko)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CN108411599B (zh) 一种简易型自动叠衣机
KR100348981B1 (ko) 세차기
US20140145575A1 (en) Dryer
KR100829416B1 (ko) 자동세차기의 사이드브러시 틸팅 조향장치
KR100692968B1 (ko) 자동세차기의 이송 컨베이어 장치
KR101160408B1 (ko) 터널 세차기의 타이어 휠 보호용 컨베이어 이송장치
EP2192225B1 (en) Laundry press finishing device
KR200421035Y1 (ko) 대형차량용 이동식 자동세차기
KR101128459B1 (ko) 자동세차기의 차량 이송용 컨베이어
KR101161637B1 (ko) 튜브클리닝장치
WO2008041000A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1782500B1 (ko)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JP6451882B2 (ja) 洗車機
JP3097431B2 (ja) 洗車機
JP5814020B2 (ja) 乗客コンベアの異常検出装置
KR102488099B1 (ko) 터널형 세차기의 컨베이어 커버 소음 감소 장치
KR100599843B1 (ko) 밀걸레 세탁기 및 이동식 밀걸레 세탁 장치
CN220027954U (zh) 一种亚克力板清洗装置
CN107755368B (zh) 摩托车配件的制造方法
CN216183609U (zh) 一种电池片印刷装置
JP2001227189A (ja) 円形循環式駐車装置
JPH08290758A (ja) 洗車設備
KR100766225B1 (ko) 업 다운 구조를 갖는 수평순환식 주차장치
JP4383714B2 (ja) パレット移送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