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500B1 -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500B1
KR101782500B1 KR1020150161065A KR20150161065A KR101782500B1 KR 101782500 B1 KR101782500 B1 KR 101782500B1 KR 1020150161065 A KR1020150161065 A KR 1020150161065A KR 20150161065 A KR20150161065 A KR 20150161065A KR 101782500 B1 KR101782500 B1 KR 10178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frame
cart
frame
housing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7678A (ko
Inventor
윤형원
Original Assignee
(주) 우리세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우리세차기 filed Critical (주) 우리세차기
Priority to KR1020150161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5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4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 B65G15/44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for impelling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9Wheelbarr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트 세척장치에 있어서, 카트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브러시장치가 내장된 하우징; 카트의 진출입을 위해 하우징의 입구 또는 출구와 지면 사이에 경사로를 마련하도록 설치된 경사프레임, 이 경사프레임을 축회전시켜 입구 또는 출구를 막도록 장착된 축회전장치와, 경사프레임에 무한궤도를 이루어 작동하도록 설치된 벨트를 구비한 이송 컨베이어;와 카트를 하우징의 입구에서 출구까지 운반하도록 설치된 운반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Cart conveying device of cart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카트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세척기에 카트가 진입하여 세척을 위해 이동한 후 출고되는 동안 카트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핑 카트(shopping cart)는 각종 물품을 구입하는 과정에서 물품을 적재 및 운반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각종 백화점이나 대형 마트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쇼핑카트는 철망 형태의 적재함, 이동을 위한 바퀴, 파지하여 밀거나 끌기 위한 손잡이로 구성되고, 소정의 장소에 비치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별도의 구분없이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쇼핑 카트는 그 편리함으로 인하여 거의 모든 대형 마트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하루에도 수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쇼핑 카트에는 먼지나 음식물 찌꺼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묻어 오염되기 쉬우며, 특히 여러 사람의 손을 통하여 각종 세균이나 병원균이 쇼핑 카트의 손잡이 부분에 전달되어 오염됨으로써 질병 발생의 위험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카트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기가 개발되고 있고, 이러한 카트 세척기는 어느 특정 장소에 고정하여 설치하도록 제작된 고정식과, 차량 등을 이용하여 요청이 있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작된 이동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카트 세척기의 구성은 일정 크기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다수의 브러시가 각자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카트가 하우징에 진입하면 각각의 브러시에 의해 카트의 손잡이, 전면, 측면, 후방 등이 세척된 후 출고된다.
이러한 카트 세척기는 지면보다 더 높게 위치하기 때문에 지면에 놓인 카트를 하우징에 진입 또는 출고시키기 위해 경사지게 장착된 경사프레임과, 하우징 내에서 세척되는 동안 카트를 이송시킬 컨베이어가 요구된다.
하지만, 경사프레임이 하우징과 별도로 제작되어 착탈하도록 제작되므로 중량의 경사프레임을 설치 및 해체하기 위한 작업이 힘들거나 불편할 수 있다. 또한, 정면상 카트의 폭이 종류마다 달라 카트의 바퀴들 폭 역시 다르므로 카트의 바퀴를 걸어서 이송시키고자 하는 컨베이어의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8771호(2007.10.1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2054호(2014.06.03.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카트를 세척기의 하우징에 진입 또는 출고시키기 위해 카트를 자동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를 하우징에 장착하도록 된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카트의 크기 및 종류와 무관하게 하우징 내의 카트를 원활히 이송시키기 위해 운반 컨베이어로 다양한 종류의 카트 바퀴들을 견인할 수 있도록 된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는, 카트 세척장치에 있어서, 카트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브러시장치가 내장된 하우징; 카트의 진출입을 위해 하우징의 입구 또는 출구와 지면 사이에 경사로를 마련하도록 설치된 경사프레임, 이 경사프레임을 축회전시켜 입구 또는 출구를 막도록 장착된 축회전장치와, 경사프레임에 무한궤도를 이루어 작동하도록 설치된 벨트를 구비한 이송 컨베이어;와 카트를 하우징의 입구에서 출구까지 운반하도록 설치된 운반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축회전장치는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우징에 장착된 회전기어, 이 회전기어와 맞물리는 톱니가 일면에 가공되면서 일단측 부위가 이송컨베이어에 고정된 곡률부를 구비한 회전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사프레임은 일측부에 회전부재의 일단측 부위가 고정되면서 하우징 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상부경사프레임, 상부경사프레임의 타측부에 경첩으로 장착되어 접히도록 설치된 하부경사프레임과, 하부경사프레임과 지면 사이에 경사로를 마련하도록 설치된 안내패널을 구비하거나, 상술된 상부경사프레임만 구비하거나, 상술된 상부경사프레임과 하부경사프레임만 구비한다. 그리고 상부경사프레임 이 하우징의 입구 또는 출구를 봉쇄하도록 상방향으로 축회전하면 하부경사프레임은 하방향으로 축회전하여 접히고, 상부경사프레임이 하방향으로 축회전하면 하부경사프레임은 상방향으로 축회전하여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부경사프레임이 축회전할 때 접히거나 펼쳐지는 하부경사프레임의 축회전을 위해 상부경사프레임 또는 하부경사프레임에 고정되면서 타측 프레임에 로드가 고정된 실린더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경사프레임의 양측부에 장착되어 벨트가 감겨서 설치된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구동풀리를 작동시키도록 설치된 제1동력원, 하부경사프레임과 안내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부에 지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 롤러,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설치된 벨트장력조정볼트와, 카트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벨트의 상면에 가공된 걸림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사프레임은 평면상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분리프레임을 두고 양측에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경사프레임이 축회전할 때 벨트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프레임 또는 분리프레임의 하부에는 벨트의 측부위가 얹혀지도록 굴절된 지지턱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운반 컨베이어는 하우징 내의 바닥프레임에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측면상 상부가 바닥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하부가 바닥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장착된 체인, 바닥프레임에 놓인 카트의 바퀴를 올려놓고 견인하도록 체인에 일정 간격마다 장착된 견인부재, 체인을 따라 전진 및 복귀 이동으로 전환되는 위치에서 견인부재가 바닥프레임을 통과하도록 바닥프레임에 마련된 상승부 와 하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견인부재는 카트의 바퀴를 올려서 견인하기 위해 체인에 고정된 고정판과, 고정판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바퀴가 올려지는 살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살대는 양측부가 절개되어 다수로 구분되고, 하부가 연결된 형태이고, 측면상 곡선이면서 앞쪽의 높이가 뒤쪽의 높이보다 낮게 고정판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승부와 하강부는 견인부재의 살대가 통과하도록 슬롯형태의 구멍을 다수 가공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체인은 양립하여 한 쌍이 설치되고, 각 체인의 외측으로 견인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운반 컨베이어는 하우징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바닥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면서 체인이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설치된 스프라켓, 일측의 한 쌍의 스프라켓을 관통하여 고정된 구동축, 구동축을 회전시켜 스프라켓과 체인을 회전시키는 제2동력원, 타측의 한 쌍의 스프라켓을 관통하여 설치된 종동축, 스프라켓 직접 또는 구동축을 구동시키도록 설치된 제2동력원, 스프라켓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엔코더와, 최초 카트가 하우징의 입구에 진입하면 감지하여 하우징 내의 세척 브러시장치와 체인이 이동하도록 설치된 입구센서와, 최종 카트가 하우징의 출구로 출고되면 하우징 내의 세척 브러시장치와 체인의 이동이 정지하도록 설치된 출구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가 이송 컨베이어에 올려지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벨트에 의해 자동으로 하우징에 진입되거나 하우징으로부터 출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 컨베이어의 경사프레임이 접혀지면서 하우징에 장착됨으로써, 세척기 사용시 경사프레임을 펼쳐서 지면에 닿도록 하여 카트의 진입로 또는 출고로를 마련하고, 세척기 비사용시 경사프레임을 접어서 하우징의 입구 또는 출구를 봉쇄할 수 있으며, 하우징과 별도로 보관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운반 컨베이어에서 무한궤도로 이동하는 견인부재의 정면상 폭 및 높이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카트에 따라 앞바퀴들의 폭과 크기에 따른 견인 기능의 차이를 배제하면서 충분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 수단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운반 컨베이어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운반 컨베이어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운반 컨베이어의 후부측 일부위가 확대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 수단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운반 컨베이어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운반 컨베이어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운반 컨베이어의 후부측 일부위가 확대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하우징(100), 카트를 하우징(100)에 진입시키거나 하우징(100)으로부터 출고시키도록 설치된 이송 컨베이어(200), 하우징(100)에 진입한 카트를 운반하도록 설치된 운반 컨베이어(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송 컨베이어(200)는 하우징(100)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설치되지만,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어느 하나만 설명하여 다른 하나의 설명을 갈음하고자 한다.
하우징(100)은 다수의 브러시를 포함한 카트의 세척장치가 내장된다. 좀 더 자세하게는,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카트가 이송 컨베이어(200)에 의해 진입한 후 운반 컨베이어(300)에 의해 이동하는 동안 카트의 손잡이, 전면, 측면, 후면 등을 세척하도록 각각 설치된 세척 브러시장치가 다수 설치된다. 이러한 세척 브러시장치는 통상의 장치를 이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필요시 간략히 언급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인 이송 컨베이어(200)와 운반 컨베이어(3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송 컨베이어(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프레임(210), 안내패널(220), 벨트(230), 구동풀리(240)와 종동풀리(250), 제1동력원(260), 제1구동축(270) 축회전장치(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송 컨베이어(200)는 지면과 하우징(100)에 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사로를 만들고, 자동으로 카트를 이송시키도록 제작된다.
먼저, 경사프레임(210)과 안내패널(220)은 지면의 카트를 하우징(100) 내부로 진입시키는 경사로를 제공한다. 즉, 경사프레임(210)의 일측부가 하우징(100)에 장착되고, 타측부에 안내패널(220)이 장착된다. 따라서, 경사프레임(210)과 안내패널(220)이 하나의 경사로를 제공하도록 제작된다. 물론, 안내패널(220)이 배제되고, 경사프레임(210)만으로 경사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사프레임(210)에 길이방향으로 벨트(230)가 무한궤도를 이루어 작동하도록 설치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먼저, 경사프레임(210)은 1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도 2에서와 같이 하우징(100)에 일측부가 장착된 상부경사프레임(211)과, 상부경사프레임(211)과 안내패널(220) 사이에 개재된 하부경사프레임(212)으로 이루어진 2개의 패널이 경첩(213)을 매개로 상호 접히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경사프레임(210)이 1개인 경우 상부경사프레임(211)일 수 있다.
여기서, 상부경사프레임(211)은 하우징(100)측 일측부가 축회전장치(280)에 의해 하우징(100)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축회전장치(280)는 3에서와 같이 회전부재(281)와 회전기어(282)를 구비하고, 이들의 작동으로 상부경사프레임(211)이 상, 하방향으로 축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여기서, 회전부재(281)는 상부경사프레임(211)의 폭 방향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 회전부재(281)는 회전기어(282)와 맞물리도록 내면에 톱니가 가공된 곡률부를 구비하고, 일단부가 상부경사프레임(211)의 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회전기어(282)는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동력원에 의해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기어(282)가 회전하면 회전부재(281)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부경사프레임(211)을 접거나 펼치도록 축회전시킨다. 일례로, 도 3에서와 같이 경사프레임(210)이 펼쳐진 상태에서 회전기어(282)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부재(281)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부경사프레임(211)을 들어올려 축회전시킨다. 이때, 상부경사프레임(211)의 측면상 길이를 하우징(100)의 입구 또는 출구 높이와 동일하게 하여 상부경사프레임(211)이 축회전하여 접히면 하우징(100)의 입구 또는 출구를 봉쇄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경사프레임(212)은 일측부가 상부경사프레임(211)의 선단측에 경첩(213)으로 장착되면서 타측부에 안내패널(220)이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이 하부경사프레임(212)은 상부경사프레임(211)보다 측면상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이러한 하부경사프레임(212)은 상부경사프레임(211)이 상방향으로 축회전하면 상부경사프레임(211)에 대해 경첩(213) 및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축회전한다.
또, 하부경사프레임(212)의 뒷면에는 실런더(214)가 설치되고, 실런더(214)의 로드는 상부경사프레임(211)의 뒷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부경사프레임(211)과 하부경사프레임(212)이 접히거나 펼쳐질 때 실런더(214)가 작동하여 상부경사프레임(211)에 대한 하부경사프레임(212)의 축회전 각도를 조정한다. 일례로, 경사프레임(210)을 펼치기 위해 상부경사프레임(211)이 하방으로 축회전하는 동안 실린더(214)에 의해 하부경사프레임(212)이 상방향으로 축회전하여 상부경사프레임(211)과 하부경사프레임(212)이 펼쳐진 상태로 지면과 하우징(100) 사이에 경사로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상부경사프레임(211)이 상방으로 축회전하는 동안 실런더(214)에 의해 하부경사프레임(212)이 하방으로 축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경사프레임(212)의 안내패널(220)측 부위 하면에는 지면과의 접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1롤러(215)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펼쳐질 때나 접힐 때, 하부경사프레임(212)의 일부위가 지면과 간섭되는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부경사프레임(211) 또는, 상부경사프레임(211)과 하부경사프레임(212)을 구비하는 경사프레임(210)은 평면상 중앙에 분리프레임(217)을 두고 양측으로 구분되어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경사프레임(210)이 1개일 경우 정면상 경사프레임(210)의 폭이 넓어지면서 벨트(230)가 자중에 의해 처지게 되고, 그 기능 수행이 낮아지면서 수명 또한 단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측의 경사프레임(210)에는 각각의 벨트(230)가 무한궤도로 작동하도록 설치되고, 정면상 카트의 양측 바퀴가 따로 놓이게 된다. 또, 도 2와 도 4에서와 같이 경사프레임(210)에 벨트(230)가 무한궤도로 설치되면 하측의 벨트(230)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게 된다. 특히, 경사프레임(210)이 접힐 때 하측의 벨트(230)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프레임(210)과 안내패널(220)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가 굴절되어 지지턱(216)을 마련하고, 이 지지턱(216)에 하측의 벨트(230)에서 평면상 길이방향에 대해 일측 또는 양측이 얹혀져 펼쳐졌을 때나 접힐 때의 처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패널(220)은 하부경사프레임(212)의 선단측 부위에 고정되면서 지면과 하부경사프레임(212)의 경사로를 마련하도록 설치된다. 즉, 하부경사프레임(212)에 설치된 벨트(230)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부경사프레임(212)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야 하고, 이때 발생하는 하부경사프레임(212)과 지면 간의 높이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안내패널(220)이 설치된다. 이 안내패널(220)은 경사프레임(210)이 접히거나 펼쳐질 때 지면에 닿게 되는 선단측을 보호하도록 설치된 제2롤러(221)를 구비한다. 또한, 안내패널(220)도 경사프레임(210)과 마찬가지로 평면상 중앙에 분리프레임(217)을 두고 양측으로 구분되어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프레임(217)은 안내패널(220)의 상면보다 더 높게 돌출되면서 지면측으로 평면상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분리대 역할을 하여 카트의 바퀴가 각각의 안내패널(220)에 놓인 후 경사프레임(21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패널(220)을 배제하면서 하부경사프레임(212)의 선단측 부위가 지면까지 연장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벨트(230)는 도 2에서와 같이, 경사프레임(210)의 일측에 장착된 구동풀리(240)와 타측에 장착된 종동풀리(250)를 통해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카트의 미끄럼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레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벨트(230)의 상면에는 카트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출된 다수의 걸림턱(231)이 일정 간격으로 가공된다. 여기서, 구동풀리(240)는 제1동력원(260)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구동축(270)에 연결되어 작동한다. 제1동력원(260)과 제1구동축(270)은 경사프레임(210)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하우징(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동력원(260)이 제1구동축(270)을 회전시키면, 구동풀리(240)가 작동하면서 종동풀리(250)가 지지하여 벨트(230)를 무한궤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벨트(230)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해 경사프레임(210)의 일측에 통상의 벨트장력조정벨트(232)를 설치할 수 있다. 장시간 사용시 벨트(230)에 처짐이 발생하게 되면 벨트장력조정벨트(232)를 조정하여 벨트(230)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운반 컨베이어(300)는 도 5에서와 같이, 바닥프레임(310), 체인(320), 스프라켓(330), 제2동력원(340), 엔코더(350), 견인부재(360), 입구센서(370) 및 출구센서(3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바닥프레임(310)은 진입 및 출고하는 동안 이동하는 카트가 올려지는 통상의 바닥을 마련한다. 이 바닥프레임(310)의 양측으로 각종 세척 브러시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바닥프레임(310)에는 길이방향으로 장착홀이 가공되고, 이 장착홀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체인(320)이 무한궤도를 이루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즉, 여기서,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설치된 체인(320)의 상부는 도 6에서와 같이 바닥프레임(310)의 상면 위에 위치하여 외부에 노출되고, 체인(320)의 하부는 바닥프레임(310)의 하면 아래에 위치하여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바닥프레임(310)은 장착홀의 양측으로 다수의 칸막이로 구성된 상승부(311)와 하강부(312)를 구비한다. 이 상승부(311)와 하강부(312)는 후술된 견인부재(360)가 바닥프레임(3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곳으로, 도 8에서와 같이 다수의 살대로 이루어진 견인부재(360)가 통과하도록 슬롯 형태의 구멍을 다수 갖도록 제작된다. 이때, 견인부재(360)가 판(板) 판 형상이면 상승부(311)와 하강부(312)는 하나의 구멍 형태로 제작될 것이다.
또한, 체인(320)은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평면상 바닥프레임(310)의 중앙부위이면서 바닥프레임(310)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된 스프라켓(330)에 감겨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체인(320) 중에서 바닥프레임(310)의 상측으로 노출된 상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안내부재(321)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체인(320)이 양립된 2개인 경우 안내부재(321) 역시 2개가 설치되고, 상호 연결축(3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스프라켓(330)은 바닥프레임(31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체인(320)은 2개가 상호 양립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스프라켓(330) 역시 양측에 2개씩 설치된다. 여기서, 일측의 스프라켓(330)은 도 5에서와 같이 제2동력원(34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 회전하고, 타측의 스프라켓(330)은 회전하는 체인(320)을 지지하면서 종동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체인(320)이 양립된 2개인 경우 종동 회전하는 스프라켓(330)들은 회전축(331)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제2동력원(340)은 스프라켓(33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제2동력원(340)은 평면상 일측의 1개 또는 적어도 2개의 스프라켓(330)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2구동축(341)을 회전시키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제2동력원(340)이 제2구동축(341)을 회전시키면, 제2구동축(341)에 연결된 스프라켓(330)이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체인(320)이 무한궤도를 이루면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2구동축(341)이 설치된 반대측 스프라켓(300)을ㅇ 지지하도록 종동축(341)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프라켓(330)의 회전을 더욱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통상의 엔코더(350)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견인부재(360)는 도 5 내지 도 8에서 보듯이 체인(320)에 장착된 고정판(361), 일부위가 연결되면서 기타 부위가 이격된 형태로 제작되어 고정판(361)에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제작된 살대(362)를 구비한다. 여기서, 견인부재(360)는 카트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들을 올려서 견인한다. 따라서, 견인부재(360)가 정면상 체인(320)의 양측에 설치되는 경우 정면상 시중에서 사용하고 있는 카트 중 가장 길거나 짧은 앞바퀴 또는 뒷바퀴들을 올려놓을 수 있는 폭을 감안하여 살대(362)의 돌출 길이를 산출한다. 이하에서는, 일례로 견인부재(360)가 앞바퀴를 견인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고정판(361)은 체인(320)의 측면에 고정된다. 일례로, 도 8에서와 같이 체인(320)이 2개인 경우 체인(320)들의 외측에 고정판(361)이 각각 고정되고, 이들 고정판(361)을 연결하여 고정 상태를 조력하기 위해 고정판(361)들이 양측에 고정되도록 고정축(363)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고정축(363)은 체인(320)을 보호하는 안내부재(32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안내부재(321)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살대(362)는 도 7에서와 같이 고정판(361)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고, 양측부위가 절개되어 다수로 구분되고, 하부가 연결된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살대(362)는 측면상 일정 길이의 곡면을 가지면서 앞쪽의 높이가 낮고, 뒤쪽의 높이가 높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카트의 앞바퀴가 살대(362)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앞쪽으로 이동할 때, 이동하는 카트에 대해 고정된 세척 브러시장치가 작동하면서 카트의 전진을 방해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앞바퀴가 살대(362)의 뒤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살대(362) 위에 앞바퀴가 얹혀지는 작동은 도 8을 참고하여 보면 카트의 앞바퀴가 바닥프레임(310)의 상승부(311)에 위치하면 체인(320)과 함께 회전하는 살대(362)가 상승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카트가 이송 컨베이어(200)에 의해 하우징(100)에 진입하고, 카트의 앞바퀴가 상승부(311)에 위치하는 순간 또는 상승부(311)에 위치하여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견인부재(360)의 살대(362)가 앞바퀴를 들어올려 견인하게 된다. 반대로, 살대(362)가 하강부(312)를 통해 바닥프레임(310)의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앞바퀴를 바닥프레임(310)에 내려놓게 된다.
한편, 입구센서(370)는 도 2와 도 5에서와 같이 하우징(100)의 입구 근처에 설치되어 하우징(100)으로 진입하는 카트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이 입구센서(370)가 최초 카트를 감지하면 운반 컨베이어(300)와 세척 브러시장치들이 작동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출구센서(380)는 하우징(100)의 출구 근처에 설치되어 하우징(100) 내에서 세척이 완료되어 출구로 출고되는 카트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이 출구센서(380)가 최종 카트를 감지하면 운반 컨베이어(300)와 세척 브러시장치들이 작동을 멈추거나, 출구측 이송 컨베이어(200)가 작동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입구센서(370)에서 더 이상의 카트가 감지되지 않으면 마지막 감지된 카트를 최종 카트로 판단하고, 이 최종 카트가 출구센서(380)에서 감지되어 출고되면 운반 컨베이어(300)와 세척 브러시장치들이 정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하우징 200:이송 컨베이어 210:경사프레임
211:상부경사프레임 212:하부경사프레임 213:경첩
214:실린더 215:제1롤러 216:지지턱
217:분리프레임 220:안내패널 221:제2롤러
230:벨트 231:걸림턱 232:벨트장력조정볼트
240:구동풀리 250:종동풀리 260:제1동력원
270:제1구동축 280:축회전장치 281:회전부재
282:회전기어 300:운반컨베이어 310:바닥프레임
311:상승부 312:하강부 320:체인
321:안내부재 322:연결축 331:회전축
330:스프라켓 340:제2동력원 341:제2구동축
350:엔코더 360:견인부재 361:고정부재
362:살대 363:고정축 370:입구센서
380:출구센서

Claims (13)

  1. 카트 세척장치에 있어서,
    카트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브러시장치가 내장된 하우징(100);
    상기 카트의 진출입을 위해 하우징(100)의 입구 또는 출구와 지면 사이에 경사로를 마련하도록 설치된 경사프레임(210), 이 경사프레임(210)을 축회전시켜 입구 또는 출구를 막도록 장착된 축회전장치(280)와, 경사프레임(210)에 무한궤도를 이루어 작동하도록 설치된 벨트(230)를 구비한 이송 컨베이어(200);와
    상기 카트를 하우징(100)의 입구에서 출구까지 운반하도록 설치된 운반 컨베이어(300);를 포함하고,
    상기 축회전장치(280)는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우징(100)에 장착된 회전기어(282), 이 회전기어(282)와 맞물리는 톱니가 일면에 가공되면서 일단측 부위가 이송 컨베이어(200)에 고정된 곡률부를 구비한 회전부재(281)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프레임(210)은 일측부에 상기 회전부재(281)의 일단측 부위가 고정되면서 하우징(100)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상부경사프레임(211), 상부경사프레임(211)의 타측부에 경첩(213)으로 장착되어 접히도록 설치된 하부경사프레임(212)과, 하부경사프레임(212)과 지면 사이에 경사로를 마련하도록 설치된 안내패널(220)을 구비하거나, 상기 상부경사프레임(211)만 구비하거나, 상기 상부경사프레임(211)과 하부경사프레임(212)만 구비하고,
    상기 상부경사프레임(211)이 하우징(100)의 입구 또는 출구를 봉쇄하도록 상방향으로 축회전하면 하부경사프레임(212)은 하방향으로 축회전하여 접히고, 상기 상부경사프레임(211)이 하방향으로 축회전하면 하부경사프레임(212)은 상방향으로 축회전하여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경사프레임(211)이 축회전할 때 접히거나 펼쳐지는 하부경사프레임(212)의 축회전을 위해 상부경사프레임(211) 또는 하부경사프레임(212)에 고정되면서 타측 프레임에 로드가 고정된 실런더(214)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프레임(210)의 양측부에 장착되어 벨트(230)가 감겨서 설치된 구동풀리(240)와 종동풀리(250), 구동풀리(240)를 작동시키도록 설치된 제1동력원(260), 하부경사프레임(212)과 안내패널(220)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부에 지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 롤러, 벨트(230)의 장력을 조정하도로 설치된 벨트장력조정벨트(232)와, 카트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벨트(230)의 상면에 가공된 걸림턱(231)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프레임(210)은 평면상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분리프레임(217)을 두고 양측에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프레임(210)이 축회전할 때 벨트(230)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프레임(210) 또는 분리프레임(217)의 하부에는 벨트(230)의 측부위가 얹혀지도록 굴절된 지지턱(216)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컨베이어(300)는 하우징(100) 내의 바닥프레임(310)에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측면상 상부가 바닥프레임(310)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하부가 바닥프레임(3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장착된 체인(320), 바닥프레임(310)에 놓인 카트의 바퀴를 올려놓고 견인하도록 체인(320)에 일정 간격마다 장착된 견인부재(360), 체인(320)을 따라 전진 및 복귀 이동으로 전환되는 위치에서 견인부재(360)가 바닥프레임(310)을 통과하도록 바닥프레임(310)에 마련된 상승부(311)와 하강부(31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360)는 카트의 바퀴를 올려서 견인하기 위해 체인(320)에 고정된 고정판(361)과, 고정판(361)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바퀴가 올려지는 살대(36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살대(362)는 양측부가 절개되어 다수로 구분되고, 하부가 연결된 형태이고, 측면상 곡선이면서 앞쪽의 높이가 뒤쪽의 높이보다 낮게 고정판(361)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부(311)와 하강부(312)는 견인부재(360)의 살대(362)가 통과하도록 슬롯형태의 구멍을 다수 가공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320)은 양립하여 한 쌍이 설치되고, 각 체인(320)의 외측으로 견인부재(36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컨베이어(300)는 하우징(100)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바닥프레임(310)에 각각 장착되면서 체인(320)이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설치된 스프라켓(330), 일측의 한 쌍의 스프라켓(330)을 관통하여 고정된 제2구동축(341), 제2구동축(341)을 회전시켜 스프라켓(330)과 체인(320)을 회전시키는 제2동력원(340), 타측의 한 쌍의 스프라켓(330)을 관통하여 지지하도록 설치된 종동축(342), 스프라켓(330) 직접 또는 제2구동축(341)을 구동시키도록 설치된 제2동력원(340), 스프라켓(33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엔코더(350)와, 최초 카트가 하우징(100)의 입구에 진입하면 감지하여 하우징(100) 내의 세척 브러시장치와 체인(320)이 이동하도록 설치된 입구센서(370)와, 최종 카트가 하우징(100)의 출구로 출고되면 하우징(100) 내의 세척 브러시장치와 체인(320)의 이동이 정지하도록 설치된 출구센서(38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KR1020150161065A 2015-11-17 2015-11-17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KR101782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065A KR101782500B1 (ko) 2015-11-17 2015-11-17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065A KR101782500B1 (ko) 2015-11-17 2015-11-17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678A KR20170057678A (ko) 2017-05-25
KR101782500B1 true KR101782500B1 (ko) 2017-09-27

Family

ID=5905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065A KR101782500B1 (ko) 2015-11-17 2015-11-17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5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814B1 (ko) * 2018-06-26 2020-07-0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여행용 가방 청소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594B1 (ko) * 2006-06-29 2007-06-21 이광구 쇼핑카트의 연속세정장치
JP2010522120A (ja) * 2007-07-18 2010-07-01 ウリカーウォッシュ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ショッピングカート自動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594B1 (ko) * 2006-06-29 2007-06-21 이광구 쇼핑카트의 연속세정장치
JP2010522120A (ja) * 2007-07-18 2010-07-01 ウリカーウォッシュ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ショッピングカート自動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678A (ko)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337B1 (ko)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
JP2008540202A (ja) 荷物積み降ろしシステム
US4993905A (en) Apparatus for depositing long pieces of material
KR101782500B1 (ko)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KR101066126B1 (ko)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KR101952339B1 (ko) 대차의 반송 장치
JP2001353474A (ja) パレット清掃装置
KR101291534B1 (ko) 원료내 이물질 제거장치
FR2956595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de produits tels que des fruits ou legumes a chariot de nettoyage a entrainement hydraulique et procede de nettoyage
KR100891452B1 (ko) 팔레트의 수평 이송식 컨베이어
JP2002039966A (ja) 検査車両
JP3656509B2 (ja)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CN107265055B (zh) 自动投料装置
KR101561898B1 (ko) 컨테이너 대차 이송 장치
CN215827705U (zh) 一种智能行走移载驱动装置
CN219216297U (zh) 一种阁楼货架
CN220334479U (zh) 一种自动旋转搬运装置
JP3097431B2 (ja) 洗車機
CN117023227B (zh) 一种钢带表面酸洗设备的送料装置以及送料方法
CN218950191U (zh) 一种链式输送机的保护装置
JPH0948513A (ja) コンベヤ
JP2888373B2 (ja) 単結晶用ストックカート
JPH10273018A (ja) 車両洗浄装置における車両搬送装置
JP2007210483A (ja) 洗車装置
JPH08290758A (ja) 洗車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