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126B1 -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126B1
KR101066126B1 KR1020110065311A KR20110065311A KR101066126B1 KR 101066126 B1 KR101066126 B1 KR 101066126B1 KR 1020110065311 A KR1020110065311 A KR 1020110065311A KR 20110065311 A KR20110065311 A KR 20110065311A KR 101066126 B1 KR101066126 B1 KR 101066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lt
frame
drive
pull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티
Priority to KR102011006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65G23/23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of electric linear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6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not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얹힌 대상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동작하는 벨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안정된 동작 구조를 구현하며, 또 동작하는 벨트의 소음을 최대한 방지하여 작업 환경의 개선 및 벨트의 표면 마모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TIMING BELT CONVEYOR}
본 발명은 양 벨트 상부에 얹힌 대상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벨트의 교체가 용이하고, 벨트 동작 시 슬립(slip) 방지 및 소음 방지 기능을 마련한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기술이다.
얹힌 대상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48705호(2010.04.30.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컨베이어벨트 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바닥에 지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서 서로 반대되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지지블록,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강제 회전되는 풀리에 의해 강제 이송되며 강판 등 이송체를 운반하는 이송안내부재, 상기 이송안내부재의 하측 중앙부를 지지함과 더불어 이송되는 상기 이송안내부재에 의해 회전되며 상호 접촉에 따른 마찰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롤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특히 상기 이송안내부재는, 상기 이송체를 올려놓는 이송벨트, 상기 롤링부와 상기 이송벨트의 직접적 접촉을 위해 구비된 수용홈부를 제외한 이송벨트의 하측면에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서로 유격된 상기 지지블록 상에 각 가장자리가 동시에 지지되며 상기 풀리와 맞물리는 치면돌부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체의 낙하에 따른 충격력과 하중에 의한 양측 가장자리의 찢어짐을 방지하고,
또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프레임의 직접적으로 접하게 형성된 하부블록, 상기 하부블록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이송안내부재의 치면돌부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상부블록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상부블록의 교체로 인해 작업높이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있어서 벨트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주요 구성요소들을 분리해야만 벨트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어 벨트의 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벨트 교체 시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의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동작하는 벨트의 슬립(slip)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는,
베이스;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지지부와 수용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상부 좌우 양단부(兩端部)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서포트;
상기 제1서포트의 전후 단부(端部)에 각각 설치되는 제1 구동 및 종동 풀리;
상기 제2서포트의 전후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2 구동 및 종동 풀리;
상기 제1 및 제2 구동풀리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
상기 제1서포트의 지지부와 수용공간부, 그리고 상기 제1 구동 및 종동 풀리를 거쳐 감겨지는 환형 제1벨트; 및
상기 제2서포트의 지지부와 수용공간부, 그리고 상기 제2 구동 및 종동 풀리를 거쳐 감겨지는 환형 제2벨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서포트의 수용공간부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의 하부 내측 단부에서 하방 돌출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각 벨트의 출입을 위한 측부 개구(開口)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는,
벨트의 교체가 용이하고, 벨트의 슬립 및 소음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에서 제1 및 제2 서포트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전방 측 일부 확대 입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에 대한 확대 도면,
도 5는 도 1의 후방 측 일부 확대 입체 구성도,
도 6은 도 5의 "B"에 대한 확대 도면,
도 7은 도 4의 정면 구성도,
도 8은 도 4의 측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벨트 측을 상부 또는 상방, 받침부재 측을 하부 또는 하방, 제1 및 제2 구동풀리 측을 전방 또는 전부(前部), 제1 및 제2 종동풀리 측을 후방 또는 후부(後部)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는,
크게 베이스(10), 제1 및 제2 서포트(20A, 20B), 제1 구동 및 종동 풀리(30A, 30B), 제2 구동 및 종동 풀리(40A, 40B), 구동수단(50), 제1벨트(60A) 및 제2벨트(60B)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사각프레임(11),
상기 사각프레임(11) 모서리 측에 각각 세워지는 네 수직프레임(12), 그리고
상기 네 수직프레임(12) 중 길이방향에 놓인 두 수직프레임(12)들을 상호 연결하는 상부 두 수평프레임(1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사각프레임(11)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10)를 받치게 되는 다리나 이동을 위한 롤러형 바퀴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받침부재(11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10)의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 사각프레임(11) 중단부 등에 세워지는 서브수직프레임(121)과, 상기 네 수직프레임(12)들을 상호 연결하는 보조수평프레임(1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20A, 20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상부 좌우 양단부(兩端部), 즉 상기 베이스(10)의 두 수평프레임(13)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프레임(21), 그리고
상기 프레임(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지지부(22)와 수용공간부(2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21)은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속이 빈 형태의 프레임중공부(211)를 갖고, 상기 프레임중공부(211)에는 내구성을 위한 리브(211a)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각 서포트(20A, 20B)의 지지부(22)에는
이에 감긴 벨트(60A, 60B)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각 벨트(60A, 60B) 동작 시 상기 지지부(22)와의 마찰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221)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부(22) 상부에 상기 패드(221)가 구비되고, 벨트가 상기 패드(221)와 직접 접촉하게 되며, 상기 패드(221)는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벨트와 패드(221) 간의 마찰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패드(221)는 부착수단(예 : 접착제 등)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22)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각 서포트(20A, 20B)의 지지부(22) 양단부에는
상기 패드(221)와 감긴 벨트(60A, 60B)를 지지하기 위한 양 가이드(222)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가이드(222) 사이에 상기 패드(221)와 감긴 벨트(60A, 60B)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양 가이드(222) 내측벽에는 각각 리세스(recess)(222a)가 형성되고, 이 리세스(222a)에 상기 패드(221)의 양단부가 진입하여 끼워지게 됨으로써, 상기 패드(221)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각 서포트(20A, 20B)의 수용공간부(23)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21)의 하부 내측 단부에서 하방 돌출 형성되는 수직부(231),
상기 수직부(231)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수평부(232), 그리고
상기 수평부(232)와 상기 프레임(21)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각 벨트(60A, 60B)의 출입을 위한 측부 개구(開口)부(233)
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부(231)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1)의 하부 내측 단부"라 함은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안쪽에 위치한 단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좌측에 위치한 상기 제1서포트(20A)에서 프레임(21)의 하부 내측 단부는 하부 우측에 위치한 단부를 의미하고, 우측에 위치한 상기 제2서포트(20B)에서 프레임(21)의 하부 내측 단부는 하부 좌측에 위치한 단부를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수평부(232)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231)에서 외측으로"라 함은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바깥쪽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각 서포트(20A, 20B)의 개구부(233)는 상기 각 벨트(60A, 60B)의 출입이 가능할 정도의 상하 공간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서포트(20A, 20B)의 수용공간부(23)는 상기 수평부(232)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개구부(233) 일부를 차지하도록 상방 절곡되게 돌출 형성되어 감긴 벨트(60A, 60B)의 측부를 지지하게 되는 걸림부(234)를 더 포함한다.
결국 상기 걸림부(234)는 상기 수용공간부(23)에 위치하여 동작하게 되는 벨트의 측부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벨트의 안정적 동작을 유도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231)와 수평부(232) 각각은 이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속이 빈 형태의 수직부중공부(231a)와 수평부중공부(232a)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프레임(21)의 프레임중공부(211), 상기 수직부중공부(231a) 및 상기 수평부중공부(232a)를 통해 상기 각 서포트(20A, 20B)의 경량성 확보 및 제조 단가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및 종동 풀리(30A, 30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포트(20A)의 전후 단부(端部)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각각 외주면을 따라 기어튜스(gear tooth)(GT)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구동 및 종동 풀리(40A, 40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서포트(20B)의 전후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각각 외주면을 따라 기어튜스(GT)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수단(50)은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구동풀리(30A, 40A)에 동력을 전달하여 이들의 회전 동작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구동풀리(30A, 40A)를 상호 연결하는 샤프트(51),
상기 샤프트(51) 중단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52), 그리고
후술할 두 구동중계부재(70A, 70B) 중 하나의 구동중계부재(70B)와 상기 구동모터(52)를 상호 연결하는 장착부재(5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장착부재(53)는
상기 구동중계부재(70B)를 이루는 두 브래킷(91, 92) 중 내측에 위치한 브래킷(91)에 장착되는 중간부재(531), 그리고
상기 중간부재(531)에 일단부(一端部)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52)에 타단부(他端部)가 장착되는 삼각부재(532)
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장착부재(53)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52)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 샤프트(51)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구동풀리(30A, 40A)가 회전하게 되고, 또 이들 풀리(30A, 40A)에 의해서 각 벨트(60A, 60B)가 동작하게 됨으로써, 각 벨트(60A, 60B) 상부에 얹힌 적재물의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벨트(60A)는
도 1(도 7 및 도 8 참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포트(20A)의 지지부(22)와 수용공간부(23), 그리고 상기 제1 구동 및 종동 풀리(30A, 30B)를 거쳐 감겨지는 환형 구조의 벨트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벨트(60A)는 상기 제1 구동 및 종동 풀리(30A, 30B)의 기어튜스(GT)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각 풀리(30A, 30B)와 접하는 내측면에 대응기어튜스(GT1)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제1벨트(60A)는 상기 각 풀리(30A, 30B)에 의한 동작 시 상기 기어튜스(GT)와 상기 대응기어튜스(GT1)의 상호 맞물림에 의해서 슬립(slip)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2벨트(60B)는
도 1(도 7 및 도 8 참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서포트(20B)의 지지부(22)와 수용공간부(23), 그리고 상기 제2 구동 및 종동 풀리(40A, 40B)를 거쳐 감겨지는 환형 구조의 벨트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벨트(60A)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벨트(60B)는 상기 제2 구동 및 종동 풀리(40A, 40B)의 기어튜스(GT)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각 풀리(40A, 40B)와 접하는 내측면에 대응기어튜스(GT1)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제2벨트(60B)는 상기 각 풀리(40A, 40B)에 의한 동작 시 상기 제2 구동 및 종동 풀리(40A, 40B)의 기어튜스(GT)와 상기 제2벨트(60B)의 대응기어튜스(GT1)의 상호 맞물림에 의해서 슬립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에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풀리(30A, 40A)는 상기 각 서포트(20A, 20B)의 프레임(21) 전단부에 볼팅 결합되는 두 구동중계부재(70A, 70B)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도 4 및 도 7 참조)
상기 제1 및 제2 종동풀리(30B, 40B)는 상기 각 서포트(20A, 20B)의 프레임(21) 후단부에 볼팅 결합되는 두 종동중계부재(80A, 80B)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도 6 참조)
이때 상기 각 구동중계부재(70A, 70B)와 상기 각 종동중계부재(80A, 80B) 각각은 상기 각 서포트(20A, 20B)의 프레임(21) 양측부에 배치되어 사이에 해당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두 브래킷(91, 9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해당 풀리"라 함은 상기 각 구동중계부재(70A, 70B)와 상기 각 종동중계부재(80A, 80B) 각각에 배치되는 풀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각 구동중계부재(70A, 70B)에 배치되는 풀리는 제1 및 제2 구동풀리(30A, 40A)가 해당될 것이고, 상기 각 종동중계부재(80A, 80B)에 배치되는 풀리는 제1 및 제2 종동풀리(30B, 40B)가 해당될 것이다.
상기 두 브래킷(91, 92)은 이의 전단부가 상기 프레임(21)의 전방 측으로 돌출되게 후단부가 상기 프레임(21)에 볼팅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21)의 전방 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된 상기 두 브래킷(91, 92)의 전단부 사이에 해당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두 브래킷(91, 92)에서 외측에 위치한 브래킷(92)는 서포트의 수용공간부(23)를 이루는 개구부(233)를 막게 된다. 이하에서는 '내측에 위치한 브래킷'을 '내측 브래킷', '외측에 위치한 브래킷'을 '외측 브래킷'이라 칭하고, 각각의 도면부호를 '91'과 '92'로 특정하기로 한다.
상기 벨트(60A, 60B)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좌측에 위치한 벨트(60A)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구동중계부재(70A)와 상기 종동중계부재(80A)를 이루는 각각의 두 브래킷(91, 92)에서 외측 브래킷(92)을 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게 되고,
외측 브래킷(92)에 의해서 막혀 있던 개구부(233)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부(23)에 배치된 벨트를 빼내어 새로운 벨트로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수단(10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텐션조절수단(T)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종동중계부재(80A, 80B)를 각각 이루는 두 브래킷(91, 92)에서 내측 브래킷(9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내측 브래킷(91)의 내측면에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해당풀리와 결합되는 슬라이드블록(T1),
상기 내측 브래킷(91)의 내측면에 장착되되 상기 슬라이더(T1)의 상부 및 하부를 지지하도록 장착되는 두 가이드블록(T2),
상기 내측 브래킷(91)의 내측면에 장착되되 상기 슬라이드블록(T1)에서 후방 측에 이격되게 장착되는 지지블록(T3),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T3) 중심에 체결되어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블록(T1)을 가압하게 되는 텐션볼트(T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텐션볼트(T4)의 조임 동작에 의해 상기 텐션볼트(T4)가 전진하게 되고, 전진하는 상기 텐션볼트(T4)의 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슬라이드블록(T1)이 밀리게 되며, 상기 슬라이드블록(T1)에 회전하게 장착된 해당풀리 또한 밀리게 됨으로써, 느슨해진 벨트를 팽팽하게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베이스
11 : 사각프레임 111 : 받침부재
12 : 수직프레임 121 : 서브수직프레임
13 : 수평프레임 131 : 서브수평프레임
20A, 20B : 제1 및 제2 서포트
21 : 프레임 211 : 프레임중공부
211a : 리브
22 : 지지부 221 : 패드
222 : 가이드 222a : 리세스
23 : 수용공간부 231 : 수직부
232 : 수평부 233 : 개구부
234 : 걸림부
30A, 30B : 제1 구동 및 종동 풀리
40A, 40B : 제2 구동 및 종동 풀리
GT : 기어튜스
50 : 구동수단
51 : 샤프트 52 : 구동모터
53 : 장착부재 531 : 중간부재
532 : 삼각부재
60A, 60B : 제1 및 제2 벨트
GT1 : 대응기어튜스
70A, 70B : 구동중계부재
80A, 80B : 종동중계부재
91, 92 : 브래킷
T : 텐션조절수단
T1 : 슬라이드블록 T2 : 가이드블록
T3 : 지지블록 T4 : 텐션볼트

Claims (7)

  1. 베이스(10);
    프레임(21), 그리고 상기 프레임(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지지부(22)와 수용공간부(23)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10) 상부 좌우 양단부(兩端部)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서포트(20A, 20B);
    상기 제1서포트(20A)의 전후 단부(端部)에 각각 설치되는 제1 구동 및 종동 풀리(30A, 30B);
    상기 제2서포트(20B)의 전후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2 구동 및 종동 풀리(40A, 40B);
    상기 제1 및 제2 구동풀리(30A, 40A)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50);
    상기 제1서포트(20A)의 지지부(22)와 수용공간부(23), 그리고 상기 제1 구동 및 종동 풀리(30A, 30B)를 거쳐 감겨지는 환형 제1벨트(60A); 및
    상기 제2서포트(20B)의 지지부(22)와 수용공간부(23), 그리고 상기 제2 구동 및 종동 풀리(40A, 40B)를 거쳐 감겨지는 환형 제2벨트(60B);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서포트(20A, 20B)의 수용공간부(23)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21)의 하부 내측 단부에서 하방 돌출 형성되는 수직부(231)와, 상기 수직부(231)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수평부(232)와, 상기 수평부(232)와 상기 프레임(21)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각 벨트(60A, 60B)의 출입을 위한 측부 개구(開口)부(2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포트(20A, 20B)의 수용공간부(23)는 상기 수평부(232)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개구부(233) 일부를 차지하도록 상방 절곡되게 돌출 형성되어 감긴 벨트(60A, 60B)의 측부를 지지하게 되는 걸림부(2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풀리(30A, 30B, 40A, 40B)는 이의 외주면을 따라 기어튜스(GT)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벨트(60A, 60B)는 상기 각 풀리(30A, 30B, 40A, 40B)와 접하는 내측면에 상기 기어튜스(GT)와의 맞물림을 위한 대응기어튜스(GT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포트(20A, 20B)의 지지부(22)에는 이에 감긴 벨트(60A, 60B)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소음방지용 패드(2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 서포트(20A, 20B)의 지지부(22) 양단부에는 상기 패드(221) 및 감긴 벨트(60A, 60B)를 지지하기 위한 양 가이드(2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풀리(30A, 40A)는 상기 각 서포트(20A, 20B)의 프레임(21) 전단부에 볼팅 결합되는 두 구동중계부재(70A, 70B)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종동풀리(30B, 40B)는 상기 각 서포트(20A, 20B)의 프레임(21) 후단부에 볼팅 결합되는 두 종동중계부재(80A, 80B)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제1 및 제2 구동풀리(30A, 40A)를 상호 연결하는 샤프트(51),
    상기 샤프트(51) 중단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52), 그리고
    상기 두 구동중계부재(70A, 70B) 중 하나의 구동중계부재(70B)와 상기 구동모터(52)를 상호 연결하는 장착부재(53)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중계부재(70A, 70B)와 각 종동중계부재(80A, 80B) 각각은 상기 각 서포트(20A, 20B)의 프레임(21) 양측부에 배치되어 사이에 해당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두 브래킷(91, 92)으로 이루어지고,
    외측에 위치한 상기 브래킷(92)은 상기 서포트(20A, 20B)의 수용공간부(23)를 이루는 개구부(233)를 막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KR1020110065311A 2011-07-01 2011-07-01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KR101066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311A KR101066126B1 (ko) 2011-07-01 2011-07-01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311A KR101066126B1 (ko) 2011-07-01 2011-07-01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126B1 true KR101066126B1 (ko) 2011-09-20

Family

ID=4495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311A KR101066126B1 (ko) 2011-07-01 2011-07-01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1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096B1 (ko) * 2015-05-18 2017-08-11 (주)인벤티홀딩스 개별적인 진공 및 진공파괴 기능을 가지는 진공 흡착블럭 조립형 컨베이어
CN109132367A (zh) * 2018-09-17 2019-01-04 昆山佰奥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微型平皮带输送线
KR20190081775A (ko) 2017-12-29 2019-07-09 최현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
KR20190107491A (ko) 2018-03-12 2019-09-20 서대용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CN115231210A (zh) * 2022-08-10 2022-10-25 江西铜业(清远)有限公司 自动挑铜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629A (ja) * 1992-07-14 1994-02-08 Nippon Sheet Glass Co Ltd 板状体の往復搬送装置
JP2001158517A (ja) 1999-12-03 2001-06-12 Nippon Steel Corp 空気浮上型ベルトコンベアのケーシング接続部構造
KR20080027489A (ko) * 2008-03-06 2008-03-27 주식회사 우도산기 콘베이어용 체인 안내 가이드
KR100817945B1 (ko) 2005-12-29 2008-04-0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이송용 타이밍 벨트를 이용한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629A (ja) * 1992-07-14 1994-02-08 Nippon Sheet Glass Co Ltd 板状体の往復搬送装置
JP2001158517A (ja) 1999-12-03 2001-06-12 Nippon Steel Corp 空気浮上型ベルトコンベアのケーシング接続部構造
KR100817945B1 (ko) 2005-12-29 2008-04-0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이송용 타이밍 벨트를 이용한 이송장치
KR20080027489A (ko) * 2008-03-06 2008-03-27 주식회사 우도산기 콘베이어용 체인 안내 가이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096B1 (ko) * 2015-05-18 2017-08-11 (주)인벤티홀딩스 개별적인 진공 및 진공파괴 기능을 가지는 진공 흡착블럭 조립형 컨베이어
KR20190081775A (ko) 2017-12-29 2019-07-09 최현호 탈거식 벨트 컨베이어 수축장치
KR20190107491A (ko) 2018-03-12 2019-09-20 서대용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CN109132367A (zh) * 2018-09-17 2019-01-04 昆山佰奥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微型平皮带输送线
CN115231210A (zh) * 2022-08-10 2022-10-25 江西铜业(清远)有限公司 自动挑铜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126B1 (ko)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타이밍 벨트 컨베이어
ES2726905T3 (es) Cinta de andar manual
ES2430891T3 (es) Aparatos y métodos para un gato mejorado para vehículos
US9227816B2 (en) Vertical support structure and lifting device having the same
JP5858991B2 (ja) ケーブルスリーブをケーブル上にフィッティングするための器械
JP2014001074A (ja) プラスチック製モジュール式自己係合毛ブラシ
CN110040616B (zh) 移动人行道
KR101225138B1 (ko) 트윈 벨트 컨베이어
KR20110069568A (ko) 전동식 승강 짐받이가 구비된 운반기
KR101161955B1 (ko) 금형운반용 리프트
US20170166402A1 (en) Micro-transfer conveyor
ES2290721T3 (es) Dispositivo de transporte para el transporte de material transportado, preferentemente sobre pales, con dos cadenas de transporte perifericas laterales.
ES2340691T3 (es) Pasillo movil.
KR102025377B1 (ko) 판유리 운반용 거치대
KR102016231B1 (ko) 슬러지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
CN205574911U (zh) 一种陶瓷切割输送装置
CN110436116A (zh) 传送装置
ITBO20120092A1 (it) Convogliatore a spirale.
JP5447202B2 (ja) チェーンコンベヤ
KR20170057678A (ko) 카트 세척기의 카트 이송장치
JP5757799B2 (ja) 搬送装置
CN105858089B (zh) 轻型短距离皮带输送机
EP2639386B1 (en) Movable support for the ends of movable partition walls of swimming pools
CN217556394U (zh) 一种可装配式高速弹力丝机用上机架
CN104340403B (zh) 料堆覆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