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321B1 - 향수 조성물 - Google Patents

향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321B1
KR101022321B1 KR1020100050061A KR20100050061A KR101022321B1 KR 101022321 B1 KR101022321 B1 KR 101022321B1 KR 1020100050061 A KR1020100050061 A KR 1020100050061A KR 20100050061 A KR20100050061 A KR 20100050061A KR 101022321 B1 KR101022321 B1 KR 101022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azine
perfume composition
sulfuryl
parts
di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욱
김건희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김건희
임승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희, 임승욱 filed Critical 김건희
Priority to KR1020100050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기를 구울 때 고기와 연료로부터 유래되는 향취인 탄취와 지방취를 발생시켜 고깃집과 같은 음식점에서 사용시 손님을 유도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스모크향, 함황화합물, 함질소화합물 및 용제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향수 조성물 {Perfume Composition}
본 발명은 음식점의 후각 마케팅 수단으로서 유용한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모크향은 검은색의 점조한 반고체 내지는 엷은 갈색의 액체로서 연기냄새 및 연기와 같은 자극적인 맛을 가지고 있는 착향료이다.
천연 첨가물인 스모크향은 주로 식품의 착향의 목적을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고, 항균성과 탈취효과가 있어 식품의 부패방지 목적이나 색과 향을 부여하여 특유의 맛을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후각은 인간의 느낌과 기억을 직접적으로 불러일으키는 대표적인 감각요소로서 보편화된 감성마케팅에 활용된다. 향기로 후각을 자극하여 구매를 유도하기 때문에 '향기마케팅'이라고도 한다.
최근 보고된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객은 좋은 향기가 나는 매장을 선호한다. 또 동일한 상품이라도 향기가 나는 매장의 상품을 선호하고, 향기가 있는 상품의 품질이 더 좋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의류매장은 센츄얼향이나 사넬향으로 고급스런 이미지를 갖도록 하고 있으며, 병원은 라벤더향을 뿌려 환자가 안정감을 느끼도록 하고 있다. 여행사 사무실의 경우에는 파인애플향이나 코코넛향으로 이국적인 정취를 불러일으킨다. 영국의 한 거대 은행은 각 지점마다 볶은 커피를 보급해 시선한 커피향으로 은행을 찾은 고객들이 편안함을 느끼도록 한다.
또한, 빵집에서 나는 갓 구워진 빵 냄새가 손님을 유도하고, 바비큐 갈비 전문점에서는 주방을 완전 개방해 갈비굽는 냄새가 매장에 퍼질 수 있도록 하여 고객의 식욕을 돋우는 동시에 역시 손님을 매장으로 이끄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음식점에서 실제 조리 준비 전이나 손님이 뜸한 시간에는 주방을 개방하여 조리하는 향이 퍼지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탄취와 지방취를 동시에 포함하는 향취를 발생시키는 향수 조성물로서, 음식점, 특히 고기 음식점에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향취를 항상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향수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1구현예로서, 스모크향, 함황화합물, 함질소화합물 및 용제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스모크향은 참나무 스모크향, 대나무 스모크향 및 목초액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함황화합물은 Sulfrol, Sulfuryl Acetate, Sulfuryl Butyrate, Sulfuryl Caprate, Sulfuryl Caproate, Sulfuryl Caprylate, Sulfuryl Propionate,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및 Dimethyl Trisulfid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함질소화합물은 2-Acetyl Pyrazine, 2-Methoxy Pyrazine, 2-Methoxy-3-Methyl Pyrazine, 5,6,7,8-Tetrahydro Quinoxaline, 2-Methoxy 3-Isobutyl Pyrazine, 2.3.5-Trimethyl Pyrazine, 2.5-Dimethyl Pyrazine, 2.6-Dimethyl Pyrazine, 2-Ethyl (5/6)-Methyl Pyrazine, 2-Ethyl Pyrazine, 2-Ethyl-3(5/6)-Dimethyl Pyrazine, 2-Methoxy-3/5-Methyl Pyrazine, 2-Methoxy -3-Isopropyl Pyrazine, 2-Methyl Pyrazine, 2-Methyl-Thio-3.5/6-Methyl Pyrazine 및 2-SEC-Butyl-3-Methoxy Pyrazin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용제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Isopropyl Alcohol, Isopropyl Myristate, Triacetine, Tween(R) 20, Tween(R) 40, Tween(R) 60, Tween(R)80, Tween(R) 120, Triethyl Citrate, Carvitol, Dioctyl Adiphate, Benzyl Benzoate, Benzyl Salicylate, Floralyn, Liquid Parapin, Isopha H, Isopha M, Solfit(R), 가공유지, 대두유, 채종유, 옥배유 및 현미유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에탄올은 곡물 발효주정, 합성 에탄올 및 무수 에탄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곡물 발효주정은 옥수수, 고구마, 쌀보리 및 타피오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곡물의 발효알코올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향수 조성물은 상기 스모크향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함황화합물 0.0002~30 중량부, 함질소 화합물 0.0001~5 중량부 및 용제 80~90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향수 조성물은 벤질알콜, 글리세린, Ambroxan, Cetalox, Floralyn, Civet Absolute, Castoreum Absolute, Ambergris, Peru balsam Resinoid, Tolu Balsam Resinoid, Benzoin Resinoid, Styrax Resinoid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보류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향수 조성물에서 상기 보류제의 함량은 스모크향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120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향수 조성물은 향신료 또는 허브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향신료는 White Pepper, Anise, Garlic, Ginger, Red Pepper, Green Pepper, Tumeric, Cardamon, Allspice, 파프리카, Onion, Nutmeg, Clove, Staranise, Coriander, Cinnamon, Mustard, 딜 및 월계수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허브 추출물은 블랙페퍼, Rosemary, Lavender, Sage, Thyme, Savory, Peppermint, Spearmint, Lemon Balm, 레몬그라스 및 Applemint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허브에서 추출한 오일 또는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향신료 또는 허브 추출물의 함량은 스모크향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5 ~ 90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음식점, 특히, 고깃집에서 특유의 고기 굽는 냄새를 항상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탄취를 발생시키는 스모크향과 고기의 지방에서 휘발되는 지방취를 발생시키는 성분을 주요 구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구현예로서 스모크향, 함황화합물, 함질소화합물 및 용제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을 제공한다.
스모크향은 연기냄새 및 연기와 같은 자극적인 맛을 가지고 있는 착향료로서, 본 발명에서 스모크향은 탄취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스모크향은 참나무 스모크향, 대나무 스모크향 및 목초액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탄취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모크향이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방취는 고기를 구울 때 고기의 지방 성분이 휘발되는 발생되는 향취로서 본 발명에서는 함황화합물과 함질소화합물이 혼합되어 지방취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함황화합물은 Sulfrol, Sulfuryl Acetate, Sulfuryl Butyrate, Sulfuryl Caprate, Sulfuryl Caproate, Sulfuryl Caprylate, Sulfuryl Propionate,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및 Dimethyl Trisulfid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고, 상기 함질소화합물은 2-Acetyl Pyrazine, 2-Methoxy Pyrazine, 2-Methoxy-3-Methyl Pyrazine, 5,6,7,8-Tetrahydro Quinoxaline, 2-Methoxy 3-Isobutyl Pyrazine, 2.3.5-Trimethyl Pyrazine, 2.5-Dimethyl Pyrazine, 2.6-Dimethyl Pyrazine, 2-Ethyl (5/6)-Methyl Pyrazine, 2-Ethyl Pyrazine, 2-Ethyl-3(5/6)-Dimethyl Pyrazine, 2-Methoxy-3/5-Methyl Pyrazine, 2-Methoxy -3-Isopropyl Pyrazine, 2-Methyl Pyrazine, 2-Methyl-Thio-3.5/6-Methyl Pyrazine 및 2-SEC-Butyl-3-Methoxy Pyrazin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함황화합물의 함량은 스모크향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02~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황화합물의 함량이 0.0002 중량부 미만이면 지방취 발생 효과가 저하되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목표로 하는 지방취와는 경향이 다른 지방취로 변질되거나 함황화합물의 특유의 지방느낌의 비린취가 나타날 수 있으며, 제품의 전체적인 느낌도 무거워지며 느끼한 느낌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때, 함질소화합물의 함량은 스모크향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0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황화합물의 함량이 0.0001 중량부 미만이면 탄취 발생 효과가 저하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탄취가 아닌 넛트(땅콩, 밤 등)류 같은 느낌이 들거나 함질소화합물 특유의 구수한 느낌이 스모크취와 어울려 오히려 약간 쓴 듯한 인공적인 탄 느낌이 강하게 나타나 자연스러운 느낌의 탄취 및 목표로 하는 향취와는 완전히 다른 경향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
용제는 향수 조성물의 스모크향, 함황화합물 및 함질소화합물이 적절하게 혼합되도록 하여 향수 조성물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용제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Isopropyl Alcohol, Isopropyl Myristate, Triacetine, Tween(R) 20, Tween(R) 40, Tween(R) 60, Tween(R)80, Tween(R) 120, Triethyl Citrate, Carvitol, Dioctyl Adiphate, Benzyl Benzoate, Benzyl Salicylate, Floralyn, Liquid Parapin, Isopha H, Isopha M, Solfit(R), 가공유지, 대두유, 채종유, 옥배유 및 현미유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에탄올은 곡물 발효주정, 합성 에탄올 및 무수 에탄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곡물 발효 주정은 옥수수, 고구마, 쌀보리 및 타피오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곡물의 발효알코올일 수 있으나, 곡물 발효 주정으로 제조될 수 있는 곡물이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제의 함량은 스모크향 100중량부에 대하여 80~9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용제의 함량이 80 중량부 미만이면 사용되는 원료 중 분말-결정상 원료를 완전 용해시키기 어렵고 900 중량부를 초과하면 향의 강도가 충분치 못하여 발현되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을 제조하기가 어렵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은 향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류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류제는 벤질알콜, 글리세린, Ambroxan, Cetalox, Floralyn, Civet Absolute, Castoreum Absolute, Ambergris, Peru balsam Resinoid, Tolu Balsam Resinoid, Benzoin Resinoid, Styrax Resinoid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향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이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류제의 함량은 스모크향 100중량부에 대하여 1~1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1 중량부 미만이면 향의 지속성이 저하되고, 120 중량부 초과이면 향조의 변화를 일으키거나 향의 발현이 잘 안되며, 또한 배합물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은 향을 더하기 위하여 향신료 또는 허브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구울 때 고기의 잡내를 없애기 위하여 향신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향신료와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 허브 추출물이다.
이때, 향신료는 White Pepper, Anise, Garlic, Ginger, Red Pepper, Green Pepper, Tumeric, Cardamon, Allspice, 파프리카, Onion, Nutmeg, Clove, Staranise, Coriander, Cinnamon, Mustard, 딜 및 월계수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허브 추출물은 블랙페퍼, Rosemary, Lavender, Sage, Thyme, Savory, Peppermint, Spearmint, Lemon Balm, 레몬그라스 및 Applemint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허브에서 추출한 오일 또는 추출물과 같은 수용성 또는 유용성 추출물일 수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대나무 잎 추출물이나 Wine 추출물도 사용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허브 추출물로서 블랙페퍼오일이 있는데, 블랙페퍼오일은 일반적으로 고기를 구울 때 고기의 잡내를 없애기 위하여 뿌리는 후추와 유사한 향을 낼 수 있으므로 실제 고기를 구울 때의 향취와 유사한 향을 내는 향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블랙페퍼오일을 추가함에 의해 향조가 좀 더 자연스러워지고, 강도가 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향신료 또는 허브 추출물의 함량은 스모크향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9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0.05 중량부 미만이면 후추향이 거의 나지 않고, 90 중량부 초과이면 향의 강도가 거꾸로 약해지거나 후추향 특유의 매운 느낌이 과도하게 나서 향수 조성물 자체의 향조가 목표로 하는 향조와는 크게 달라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은 용제에 스모크향, 함황화합물 및 함질소화합물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성분을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은 바람직한 함량으로 계량한 뒤, 혼합 및 숙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향수 조성물은 스모크의 향미를 갖는 황색 내지 연갈색의 액체로서, 탄취와 지방취를 발생시키므로 고깃집과 같은 음식점에서 항상 고기 굽는 냄새가 나게 하여, 손님을 유도할 수도 있어 실제 음식점에서 사용시 매출향상과 직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스모크향, 함황화합물, 함질소화합물 및 용제를 이용하여 표 1에 기재된 함량의 성분을 사용하여 다음 방법에 따라 향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스모크향을 용기에 첨가량만큼 투입한 후 함황화합물인 설푸릴아세테이트와 함질소화합물인 5, 6, 7, 8-테트라 히드로 퀴녹살린, 2- 메틸 치오-3,5-메틸 파라진 및 2-메틸 피라진을 투입하였다. 그 후, 함황화합물과 함질소화합물이 휘발되지 않도록 발효주정을 투입하여 혼합한 다음, 프로필렌글리콜을 투입 및 혼합하여 향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보류제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향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블랙페퍼오일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향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첨가량
스모크향 100중량부
함황화합물


설푸릴아세테이트


0.2중량부


함질소화합물


5,6,7,8-테트라 히드로 퀴녹살린 0.04중량부
2-메틸 치오-3,5-메틸 피라진 0.08중량부
2-메틸 피라진

0.08중량부
용제

발효주정 180중량부
프로필렌그리콜 120중량부
보류제 벤질알콜 1.2중량부
블랙페퍼오일 0.08중량부
실시예 1 ~ 3에서 제조된 향수 조성물은 모두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향취인 탄취 및 지방취가 동시에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향수 조성물은 보류제의 첨가로 인하여, 향이 더욱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또한,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향수 조성물에서는 블랙페퍼오일의 첨가로 인하여 고기를 구우면서 후추를 첨가한 향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국,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향수 조성물은 모두 음식점, 특히 고깃집에서 고기를 굽는 것과 같은 향취를 발생시켜 손님을 유치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3)

  1. 스모크향,
    Sulfrol, Sulfuryl Acetate, Sulfuryl Butyrate, Sulfuryl Caprate, Sulfuryl Caproate, Sulfuryl Caprylate, Sulfuryl Propionate,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및 Dimethyl Trisulfid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함황화합물,
    2-Acetyl Pyrazine, 2-Methoxy Pyrazine, 2-Methoxy-3-Methyl Pyrazine, 5,6,7,8-Tetrahydro Quinoxaline, 2-Methoxy 3-Isobutyl Pyrazine, 2.3.5-Trimethyl Pyrazine, 2.5-Dimethyl Pyrazine, 2.6-Dimethyl Pyrazine, 2-Ethyl (5/6)-Methyl Pyrazine, 2-Ethyl Pyrazine, 2-Ethyl-3(5/6)-Dimethyl Pyrazine, 2-Methoxy-3/5-Methyl Pyrazine, 2-Methoxy -3-Isopropyl Pyrazine, 2-Methyl Pyrazine, 2-Methyl-Thio-3.5/6-Methyl Pyrazine 및 2-SEC-Butyl-3-Methoxy Pyrazin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함질소화합물 및
    용제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모크향은 참나무 스모크향, 대나무 스모크향 및 목초액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Isopropyl Alcohol, Isopropyl Myristate, Triacetine, 가공유지, 대두유, 채종유, 옥배유 및 현미유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곡물 발효주정, 합성 에탄올 및 무수 에탄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발효주정은 옥수수, 고구마, 쌀보리 및 타피오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곡물의 발효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모크향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함황화합물 0.0002~30 중량부, 함질소 화합물 0.0001~5 중량부 및 용제 80~90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벤질알콜,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보류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류제의 함량은 스모크향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1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향신료 또는 허브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향신료는 White Pepper, Anise, Garlic, Ginger, Red Pepper, Green Pepper, Tumeric, Cardamon, Allspice, 파프리카, Onion, Nutmeg, Clove, Staranise, Coriander, Cinnamon, Mustard, 딜 및 월계수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허브 추출물은 블랙페퍼, Rosemary, Lavender, Sage, Thyme, Savory, Peppermint, Spearmint, Lemon Balm, 레몬그라스 및 Applemint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허브에서 추출한 오일 또는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향신료 또는 허브 추출물의 함량은 스모크향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5 ~ 9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조성물.






KR1020100050061A 2010-05-28 2010-05-28 향수 조성물 KR101022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061A KR101022321B1 (ko) 2010-05-28 2010-05-28 향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061A KR101022321B1 (ko) 2010-05-28 2010-05-28 향수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2321B1 true KR101022321B1 (ko) 2011-03-21

Family

ID=4393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061A KR101022321B1 (ko) 2010-05-28 2010-05-28 향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3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2951B2 (en) 2012-12-14 2021-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ragrance materials
KR102435375B1 (ko) 2022-04-21 2022-08-23 주식회사 다정글로벌 기호도가 우수한 저자극성 향수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9986A (en) 1976-11-11 1978-05-16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Flavoring with norbornanol derivatives
JPH1142063A (ja) 1997-07-29 1999-02-16 Asahi Chem Ind Co Ltd 調味料
KR20010007714A (ko) * 2000-06-21 2001-02-05 이명호 정제 목초액을 이용한 소취제
KR20030012439A (ko) * 2001-08-01 2003-02-12 유한회사 푸른생명 수목초액으로 부터 식품첨가물인 스모크향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9986A (en) 1976-11-11 1978-05-16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Flavoring with norbornanol derivatives
JPH1142063A (ja) 1997-07-29 1999-02-16 Asahi Chem Ind Co Ltd 調味料
KR20010007714A (ko) * 2000-06-21 2001-02-05 이명호 정제 목초액을 이용한 소취제
KR20030012439A (ko) * 2001-08-01 2003-02-12 유한회사 푸른생명 수목초액으로 부터 식품첨가물인 스모크향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2951B2 (en) 2012-12-14 2021-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ragrance materials
US11844854B2 (en) 2012-12-14 2023-1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ragrance materials
KR102435375B1 (ko) 2022-04-21 2022-08-23 주식회사 다정글로벌 기호도가 우수한 저자극성 향수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9856B2 (ja) 焙煎香辛料ペース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283368A (zh) 一种酱香型香精
SU585799A3 (ru) Способ изменени органолептических свойств изделий
CN102871097A (zh) 一种牛肉油状香精的制备方法
CN102871098A (zh) 一种调配型牛肉油状香精及其制备方法
KR101860780B1 (ko) 대파향이 가미된 식용유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22321B1 (ko) 향수 조성물
JP2010148412A (ja) ゴマ様香味増強剤
CN102362660A (zh) 一种牛肉油状香精
JP6235185B1 (ja) 肉漬け込み用味噌だれ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662162A (zh) 一种火锅底料及其制备方法
CN111329103B (zh) 具有铁观音茶香特征的电子烟香料组合物、电子烟烟液及它们的用途
TW201608995A (zh) 和風味強化劑及蒸煮臭(retort odor)遮蔽劑
JPH10263064A (ja) 消臭剤
JPWO2019043894A1 (ja) 液状調味料
JP2017051161A (ja) 大豆タンパク質含有食品
EP1421861B1 (en) Use of tobacco flavoring agent
JP4783421B2 (ja) ゴマ様香味増強剤
KR20080013274A (ko) 증제 녹차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79965B1 (ko) 어진향차 향취 재현 향료 조성물
JPH05316989A (ja) 遠赤外線照射による香味油の製造法
KR101612732B1 (ko) 한방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6065206B2 (ja) 香料組成物
JP6717515B1 (ja) フムス風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567353B2 (ja) 油揚げ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