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223B1 - 데이터통신방법 및 데이터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통신방법 및 데이터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223B1
KR101020223B1 KR20050007890A KR20050007890A KR101020223B1 KR 101020223 B1 KR101020223 B1 KR 101020223B1 KR 20050007890 A KR20050007890 A KR 20050007890A KR 20050007890 A KR20050007890 A KR 20050007890A KR 101020223 B1 KR101020223 B1 KR 101020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livery confirmation
center station
confirmation respons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0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7782A (ko
Inventor
이노우에히데키
마에다도시히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50077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oth placing and remov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or mould-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4Guide devices; Guide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터국으로부터 다수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장치로부터의 송달 확인 응답이 센터국의 인바운드 회선을 폭주시키는 일 없이, 데이터의 재송을 확실하고 효율좋게 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단말장치(3)에 송달 확인 응답 결정부(23)를 설치하고, 센터국(1)에 송달 확인 응답을 송신하는 단말수를 제한하여 인바운드 회선의 폭주를 회피하도록 하였다. 또 일부의 단말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송달 확인 응답에 의하여 어느 정도의 단말장치가 아직 정확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지를 평가하는 송달 확인 응답 평가부(17)를 설치하고, 그 결과에 의하여 아직 정확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단말장치(3)가 많은 경우에는 동보통신으로 데이터를 재송하고, 적어진 경우에는 개별통신에 의하여 데이터를 재송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데이터통신방법 및 데이터통신시스템{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DATA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인공위성을 사용한 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의 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센터국 및 단말장치 각각에 있어서의 통신장치의 블럭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센터국과 단말군과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통신의 시퀀스의 예를 나타낸 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터국이 송달 확인 응답해야 할 단말장치를 폴링하는 경우에, 센터국과 단말군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통신의 시퀀스의 예를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터국이 단말군에 대하여 통신제어모드변경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에, 센터국과 단말군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통신의 시퀀스의 예를 나타낸 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보통신모드시의 센터국 통신장치의 통신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의 예,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보통신모드시의 단말통신장치의 통 신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의 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센터국 3 : 단말장치
3a : 단말군 4 : 아웃 바운드회선
5 : 인바운드회선 10 : 센터국 통신장치
12 : 통신제어모드 지정부 13 : 송신제어부
14 : 송신변환부 15 : 수신변환부
16 : 수신제어부 17 : 송달 확인 응답 평가부
20 : 단말 통신장치 21 : 수신변환부
22 : 수신제어부 23 : 송달 확인 응답 결정부
24 : 송신제어부 25 : 송신변환부
26 : 통신제어모드 지정부
본 발명은 동보 데이터를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센터국 장치와, 동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수의 단말장치로 이루어지는 데이터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송달 확인 응답을 행하는 데이터통신방법 및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그 송신 데이터가 상대측에서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송달 확인이 행하여지고 있다. 만약, 정확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었다는 취지의 송달 확인 응답이 상대측으로부터 반송된 경우에는, 송신측은 동일한 데이터를 재송한다. 이와 같은 송달 확인 응답에 의한 재송을 반복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회선이 반드시 고품질의 회선이 아니어도 수신측은 정확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센터국 장치로부터 다수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동보적으로 송신하는 경우에, 모든 단말장치와 개별적으로 송달 확인을 행하려고 하면, 센터국 장치에는 다수의 송달 확인 응답이 거의 동시에 반송되어, 센터국 장치에 대한 인바운드(밖으로부터 안쪽으로의) 회선이 폭주하게 된다. 그 때문에 센터국 장치는, 송달 확인처리에 장시간을 요하게 되거나, 또는 타임아웃이 발생하여 실질적으로 모든 단말장치로부터의 송달 확인 응답을 수취할 수 없거나 하였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미리 다수의 단말장치를 그룹화하여, 그 그룹마다 대표 단말장치를 정하고, 처음에는 그 대표 단말장치만이 센터국 장치에 송달 확인 응답을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비대표 단말장치는 대표 단말장치가 센터국 장치에 송신하는 송달 확인 응답을 모니터하여 두고, 비대표 단말장치의 송달 확인 응답이 대표 단말장치의 송달 확인 응답과 다르고, 또한 부정의 송달 확인 응답이 있었을 때에만 센터국 장치에 송달 확인 응답을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는 단말장치가 반송하는 송달 확인 응답의 수를 저감함으로써 인바운드 회선의 폭주를 회피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1-196041호 공보(단락 0018∼0042, 도 3∼도 8)
최근, 예를 들면 주행 중인 차량에 탑재된 단말장치에 대하여, 동보적으로 교통정보 등을 제공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이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제공을 위한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는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센터국 장치와 단말장치의 사이에서 송달의 확인을 행하여, 필요에 따라 재송을 행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건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단말장치의 수가 수만 내지 수십만 또는 그 이상에 미치는 일도 있기 때문에 센터국 장치의 인바운드 회선이 폭주하는 문제가 당연 생기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는 각각이 이동하고, 또 센터국 장치와 단말장치 사이의 통신은 무선으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특허문헌 1의 데이터 통신시스템과 같이 대표 단말장치를 정하는 것도, 다른 단말장치의 송달 확인 응답을 모니터하는 것도 할 수 없다. 즉, 이와 같은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인바운드 회선 폭주 회피의 방법은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센터국 장치로부터 다수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대표 단말장치를 미리 결정하여 두지 않아도 단말장치의 송달 확인 응답에 의한 센터국 장치의 인바운드 회선의 폭주를 회피할 수 있고, 또 단말장치에의 데이터의 재송을 확실하고 또한 효율좋게 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주로 동보 데이터를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센터국 장치와, 주로 동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수의 단말장치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통신방법이, (1) 센터국 장치가, 다수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동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보 데이터 송신단계와, (2) 단말장치가, 센터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동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보 데이터 수신단계와, (3) 단말장치가, 상기 수신한 동보 데이터에 대한 송달 확인 응답을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송달 확인 응답 결정단계와, (4) 송달 확인 응답 결정단계에 있어서 응답할 것을 결정받은 단말장치가, 센터국 장치에 대하여 송달 확인 응답을 송신하는 송달 확인 응답단계와, (5) 센터국 장치가, 다수의 단말장치 중의 일부의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송달 확인 응답에 의거하여, 다수의 단말장치 전체로부터 송신되는 송달 확인 응답의 상황을 평가하는 송달 확인 응답 평가단계와, (6) 센터국 장치가, 송달 확인 응답 평가단계의 평가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다수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동보 데이터를 재송하는 데이터 재송단계와, (7) 센터국 장치가, 송달 확인 응답 평가단계의 평가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센터국 장치와 다수의 단말장치 사이의 통신모드를 개별통신 모드로 이행하는 통신모드 이행단계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 본 발명에서는 센터국 장치에 다수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동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수단과, 다수의 단말장치 중 일부의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송달 확인 응답에 의거하여, 다수의 단말장치 전체로부터 송신되는 송달 확인 응답의 상황을 평가하는 송달 확인 응답 평가수단을 설치하고, 또 단말장치에 센터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동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보 데이터수신수단과, 수신된 동보 데이터에 대한 송달 확인 응답을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송달 확인 응답 결정수단과, 송달확인 응답 결정수단에 의하여 응답할 것이 결정되었을 때에 센터국 장치에 대하여 송 달 확인 응답을 송신하는 송달 확인 응답수단을 설치하고, 센터국 장치는, 송달 확인응답 평가수단에 의한 평가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동보 데이터를 재송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다수의 단말장치 사이의 통신모드를 개별 통신모드로 이행시키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말장치가 송달 확인 응답 결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단말장치 자신이 송달 확인 응답을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송달 확인 응답을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미리 대표 단말을 결정하여 둘 필요가 없다. 또 일부의 단말장치만이 송달 확인 응답을 하기 때문에, 센터국 장치에 송신하는 송달 확인 응답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센터국 장치의 인바운드 회선의 폭주를 회피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센터국 장치에서는 송달 확인 응답 평가수단에 의하여 일부의 단말장치의 송달 확인 응답의 상황에 의거하여, 다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정도의 단말장치가 아직 정확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지를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에 의거하여 아직 정확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단말장치가 많은 경우에는, 동보통신으로 데이터를 재송하고, 적어진 경우에는 개별통 신에 의하여 데이터를 재송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인공위성을 사용한 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의 예이다.
도 1의 통신시스템은, 센터국(1), 인공위성(2) 및 다수의 단말장치(3)로 이루어지는 단말군(3a)을 주된 구성요소로 한다. 여기서 센터국(1)과 각각의 단말장치(3)는, 센터국(1)으로부터 인공위성(2)을 경유하여 단말군(3a)을 향하는 아웃 바운드 회선(4)과, 단말군(3a)으로부터 인공위성(2)을 경유하여 센터국(1)으로 향하는 인바운드 회선(5)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단말장치(3)의 일부는 직접 또는 무선 LAN (Local Area Network)(7)에 의하여 지상의 인터넷(8)을 경유하여 센터국(1)과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단말장치(3)의 다른 일부는, 휴대전화 회선(6), 휴대전화 기지국(6a) 및 인터넷(8) 또는 전용회선(9)을 경유하여 센터국(1)과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센터국은 청구항에서 말하는 센터국 장치를 약칭한 것이다.
도 1의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센터국(1)은 인공위성(2)을 중계국으로 한 아웃 바운드 회선(4)을 거쳐, 다수의 단말장치(3)로 이루어지는 단말군(3a)에 대하여 각종정보를 동보 데이터로서 송신한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3)의 대부분이 주행중인 차량에 탑재되고, 센터국(1)은 그 차량 탑재의 단말장치(3)에, 예를 들면 도로의 혼잡상황 등의 정보를 동보 데이터로서 제공한다. 또 이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는 일 방향의 위성방송과 달리, 단말장치(3)가 수신 에러를 일으킨 경우에는 단말장치(3)는 인바운드 회선(5)을 거쳐 센터국(1)에 수신 실패를 의미하는 송달 확인 응답의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데이터의 재송을 요구한다. 데이터를 재송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의 통신시스템에서는 아웃 바운드 회선(4)의 통신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을 사용한다. TDM에서는 통신동작의 스케줄링은, 센터국(1) 또는 인공위성(2)에 의하여 모두 제어 가능하다. 따라서 센터국(1)은 데이터의 재송제어나 용장화(冗長化) 등의 방식을 임의로 설정하여 변경할 수 있다. 또 아웃 바운드 회선(4)이 TDM 회선이면 모든 단말장치(3)는 그 송신 데이터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TDM에 의하여 센터국(1)은 용이하게 다수의 단말장치(3)에 보내어 동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인바운드 회선(5), 즉 단말장치(3)로부터 센터국(1)을 향하는 회선에 있어서는 개별로 통신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다수의 단말장치(3)에 의한 경합 액세스 방식으로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인바운드 회선(5)의 통신방식을, 예를 들면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라 한다. FDMA에서는 캐리어의 대역에 의하여 동시 액세스의 회선수가 한정되게 되기 때문에, 다수의 단말장치(3)가 동시에 센터국(1)에 액세스하는 경우에는 인바운드 회선(5)이 폭주하게 된다.
또한, 도 1의 통신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 단말장치(3)는 차량에 탑재된 이동단말뿐만 아니라, 퍼스널컴퓨터 등에 의한 고정단말이어도 좋고, 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이동단말이어도 좋다. 또 센터국(1)은 반 드시 지상국일 필요는 없고, 인공위성(2)의 위에 탑재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단말장치(3)로부터 센터국(1)을 향하는 인바운드 회선(5)은, FDMA 회선으로 하였으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휴대전화 회선(6)이나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회선 등 지상계 무선통신회선을 사용하여도, 무선 LAN(IEEE802.11b, a 및 그 후계규격, 호환규격), bluetooth(IEEE802.15 및 그 후계규격, 호환규격), UWB(Ultra Wide Band) 등의 지상계 무선통신회선을 거쳐도 좋다. 또 고정의 단말장치(3)의 경우에는, 유선의 통신회선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들 지상의 통신회선을 거친 인바운드방향의 송신 데이터는, 인터넷(8)을 거쳐 센터국(1)에 송신하여도 전용회선(9) 등을 거쳐 직접 센터국(1)에 송신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센터국(1) 및 단말장치(3) 각각에 있어서의 통신장치의 구성 및 그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통신동작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센터국(1) 및 단말장치(3) 각각에 있어서의 통신장치의 블럭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센터국(1)과 단말군(3a)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통신의 시퀀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센터국 통신장치(10)는 송신 데이터 기억부(11), 통신제어모드 지정부(12), 송신 제어부(13), 송신 변환부(14), 수신 변환부(15), 수신 제어부(16), 송달 확인 응답 평가부(17) 등을 구비한다. 또 단말 통신장치(20)는 수신 변환부(21), 수신 제어부(22), 송달 확인 응답 결정부(23), 송신 제어부(24), 송신 변환부(25), 통신제어모드 지정부(26), 단말위치 검출부(27) 등을 구비한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시퀀 스의 특징은 처음에는 센터국(1)이 단말군(3a)과의 사이에서 동보 통신모드에 의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센터국(1)이 단말군(3a)으로부터 송신되는 부정의 송달 확인 응답(NAK)의 수가 어느 기준값 이하가 되었다고 판단하였을 때는(S145 :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함), 데이터 통신모드를 개별 통신모드로 전환하는 점에 있다. 또 동보 통신모드시에는 센터국(1)으로부터 송신되는 동보 데이터에 대하여 일부의 단말장치(3)만 송달 확인 응답을 센터국(1)에 송신하지 않도록 하고(S120a 등 :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함), 개별 통신모드시가 되어 비로소 모든 단말장치(3)가 송달 확인 응답을 센터국(1)에 송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센터국(1)이 송신하는 동보 데이터에 대하여 단말군(3a)이 송신하는 송달 확인 응답의 수를 제한할 수 있어, 송달확인 응답에 따르는 인바운드 회선(5)의 폭주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송달 확인 응답은, ACK(Acknowledgement : 긍정의 송달 확인 응답) 또는 NAK (Negative Acknowledgement : 부정의 송달 확인 응답)로 표기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도 필요에 따라 ACK 또는 NAK의 표기를 사용한다.
다음에 도 2로 되돌아가, 각 블럭의 기능과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센터국(1)은 단말군(3a)을 향하여 목적 데이터를 동보 데이터로서 송신한다. 여기서 목적 데이터란, 센터국(1)이 단말장치(3)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본체를 말하고, 예를 들면 파일 등 소정의 데이터량을 가지는 데이터의 덩어리를 말한다. 목적 데이터는 일반적으로는 복수개의 패킷에 의하여 송수신되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1개의 패킷으로 송수신되는 것으로 한다. 또 센터국(1)과 단말장치(3)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에는, 목적 데이터 외에 제어 메시지가 있다. 제어 메시지는 센터국(1)과 단말장치(3)와의 통신의 제어에 사용되는 송수신 데이터를 말하고, 상기한 송달 확인 응답도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다.
센터국 통신장치(10)에 입력되는 목적 데이터는, 예를 들면 컴퓨터 등의 상위층의 시스템에 의하여 공급된다. 입력된 목적 데이터는 재송처리 등에 구비하여, 송신 데이터 기억부(11)에 기억됨과 동시에, 송신 제어부(13)에 있어서 데이터 프레임이 재구성되거나, 에러검출, 정정을 위한 부호화가 되기도 한다. 또한 목적 데이터는 송신제어부(13)에 있어서 소정의 형식으로 패킷화되고, 모뎀 등으로 이루어지는 송신 변환부(14)에 있어서 아웃 바운드 회선(4)의 사양에 의거한 변조나 주파수 변환이 가해지고 안테나 등을 거쳐 단말군(3a)을 향하여 송신된다. 또한 센터국(1)과 단말장치(3)가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안테나가 아니라 예를 들면 LAN 케이블에 접속하는 커넥터가 그것에 상당한다. 또한 송신 제어부(13)는 단말장치(3)에 대한 여러가지의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것들의 메시지를 목적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송신 변환부(14)를 거쳐 단말군(3a)을 향하여 송신할 수 있다.
단말 통신장치(20)는 센터국(1)이 송신한 신호를, 안테나 또는 커넥터를 거쳐 수신하고, 그 수신한 신호는 모뎀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신 변환부(21)에 의하여 복조되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수신 제어부(22)는 디지털화된 수신 데이터의 패킷을 해체함과 동시에, 소정의 에러검출, 정정처리를 행하여 목적 데이터를 복원한다. 그 에러검출, 정정처리에 있어서 수신 에러가 없는 목적 데이터는, 예를 들면 단말장치(3)에 포함되는 표시제어장치(도시 생략) 등의 상위층의 시스템에 출력된다.
또, 수신 제어부(22)는 소정의 에러검출, 정정처리의 결과를 송달 확인 응답 결정부(23)에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송달 확인 응답 결정부(23)는, 소정의 결정방법(뒤에서 상세하게 설명)에 의거하여 자기가 송달 확인 응답을 하여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 결과, 송달 확인 응답을 하여야 하는 것이 결정된 경우에는, 송달 확인 응답 결정부(23)는 송신 제어부(24)에 대하여 센터국(1)에 수신의 성공여부를 나타내는 송달 확인 응답(ACK/NAK)을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송신 제어부(24)는 그 지시에 따라 센터국(1)에 ACK/NAK를 송신하고, NAK 송신에 의하여 목적 데이터의 재송을 요구한다. ACK/NAK 메시지는, 송신에 있어서 패킷화되고, 송신 변환부(25)에 있어서 인바운드 회선(5)의 사양에 의거하여 변조되어 단말 통신장치(20)의 안테나 또는 커넥터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단말 통신장치(20)는 목적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또 ACK/NAK 이외의 제어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다음에 센터국 통신장치(10)는 안테나 또는 커넥터를 거쳐 단말 통신장치(2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신호는 모뎀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신 변환부(15)에 있어서 복조되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화된 수신신호는, 수신 제어부(16)에 있어서 패킷이 해체됨과 동시에, 소정의 에러검출, 정정이 행하여지고, 목적 데이터 또는 ACK/NAK 등의 제어 메시지가 복원된다.
여기서 송달 확인 응답 평가부(17)는 단말군(3a)으로부터 반송되는 송달 확인응답(ACK/NAK) 메시지를 감시하여, 단말군(3a)의 단말장치(3) 중 어느 정도의 수의 단말장치(3)가 센터국(1)으로부터 송신된 목적 데이터(동보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추정하여, 평가한다. 그 결과, 정확한 목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단말장치(3)의 수가 어느 소정의 수보다 큰 경우에는 송달 확인 응답 평가부(17)는 송신 제어부(13)에 대하여 목적 데이터의 재송을 지시하고, 또 정확한 목적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단말장치(3)의 수가 어느 소정의 수보다 작아진 경우에는 송달 확인 응답 평가부(17)는 통신제어모드 지정부(12)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통신제어모드 지정부(12)는 그 통지를 받아 송신 제어부(13)에 대하여 개별 통신모드로의 이행 지시 메시지의 송신을 지시한다. 송신 제어부(13)는 개별 통신 모드로의 이행 지시 메시지의 송신을 위하여 패킷화 등의 처리를 행하고, 또한 송신 변환부(14)는 그것을 변조하여, 안테나 또는 커넥터로부터 단말군(3a)을 향하여 송신한다. 그 송신이 종료되면, 통신제어모드 지정부(12)는 송신 제어부(13)의 통신모드를 개별 통신모드로 전환한다.
또, 단말 통신장치(20)에 있어서는, 수신 변환부(21)를 거쳐 수신된 개별 통신모드로의 이행 지시 메시지가, 수신 제어부(22)에 있어서 제어 메시지로 해석되고, 그 취지가 통신제어모드 지정부(26)에 통지된다. 통신제어모드 지정부(26)는 그 통지를 받아 수신 제어부(22)의 통신모드를 개별 통신모드로 전환한다.
다음에 도 3에 의거하여, 또 적절하게 도 2를 참조하면서 센터국(1)과 단말군(3a)과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통신의 시퀀스의 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 통신의 시퀀스의 예는, 설명을 위한 동작의 일례이기 때문에, 판단 분기 블럭에 있어서의 시퀀스의 흐름은 그 설명의 상황에 따라 하나의 분기방향을 따라 분기하고 있다. 또 도 3에서는 단말군(3a)의 단말장치(3)의 동작은, 단말 A 및 단말 B로 대표시켜 설명하고 있다.
먼저 센터국(1)은 목적 데이터를 동보 데이터로서 단말군(3a)을 향하여 송신한다(S110). 단말 A 및 단말 B는 송신된 목적 데이터를 수신하여(S110a, S110b), 각각의 수신 제어부(22)에 있어서 수신에러가 없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그 결과, 에러가 없으면 센터국(1)에 대하여 긍정의 송달 확인 응답(ACK)을 송신하고, 에러가 있으면 부정의 송달 확인 응답(NAK)을 송신한다. 즉, ACK는 목적 데이터의 수신 성공을, 또 NAK는 목적 데이터의 수신 실패를 의미한다. 여기서는 단말 A 및 단말 B 어느 것에 있어서도 수신에러가 있었던 것으로 하여, NAK를 송신하고 있다(120a, 120b).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규칙으로서 미리 정하여 두면 동보 통신모드의 동안은 ACK/NAK 모두 응답하도록 하여도 좋고, ACK만 또는 NAK만 응답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센터국(1)은 단말군(3a)으로부터 송신되는 송달 확인 응답(ACK/NAK)을 수신한다(S120). 이때 단말군(3a)의 모든 단말장치(3)로부터 ACK/NAK의 송신이 이루어진다고 하면, 인바운드 회선(5)은 즉시 폭주하여 버린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말 통신장치(20)에 송달 확인 응답 결정부(23)가 설치되어(도 2 참조), 자신의 송달 확인 응답 결정부(23)에 의해 송달 확인 응답할 것을 결정한 단말장치(3)만이 송달 확인 응답(ACK/NAK)을 센터국(1)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ACK/NAK의 송신수를 줄여 인바운드 회선(5)의 폭주를 회피할 수 있다.
여기서 송달 확인 응답 결정부(23)가 송달 확인 응답을 하여야 할지의 여부 는 예를 들면 자기의 기기번호나 멋대로 발생시킨 난수에 따라 독자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 송달 확인 응답을 하는 단말장치(3)의 대략의 수를 확정하기 위하여 센터국(1)은 미리 단말장치(3)에 반신율을 지정한다. 반신율은 단말장치(3)가 송달 확인 응답할 확률이다. 예를 들면 반신율로서 1%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말장치(3)는 예를 들면 난수를 발생시키고, 그 난수의 아래 2자리수의 숫자가 예를 들면「23」일 때 송달 확인 응답을 한다고 하면 된다. 그렇게 하면 단말장치(3)는 대략 100대에 1대의 비율로 송달 확인 응답을 송신한다. 또한 「23」과 같은 기준이 되는 수는 난수로 발생시켜도 좋고, 기기번호의 아래 2자리수의 숫자로 하여도 좋다. 또 반신율은 전용의 제어 메시지의 데이터로서, 또는 목적 데이터의 헤더부분의 부가정보로서 단말장치(3)에 송신할 수 있다.
센터국(1)은 폴링함으로써 송달 확인 응답을 하여야 할 단말장치(3)를 직접 지정할 수 있다. 또 아웃 바운드 회선(4)이 TDM인 경우에는 센터국(1)은 복수의 단말장치(3)를 지정하여 또는 동보 송신 데이터로서 폴링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대상의 단말장치(3)는 폴링 메시지에 부속시킨 데이터에 의하여 지정된다. 예를 들면 폴링 메시지에 지역명 등의 지리적 위치정보를 포함시켜 두면 그 폴링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장치(3)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단말위치 검출부(27)에 의하여 얻어지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송달 확인 응답하여야 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단말장치(3)는 폴링 메시지를 수신하고, 송달 확인 응답이 대상이 되었을 때에 송달 확인 응답을 송신하면 좋다.
도 3에 있어서, 단말 A 및 단말 B는 그 송달 확인 응답 결정부(23)에 의해 송달 확인 응답하여야 하는 것으로 결정된 단말장치(3)의 예이다. 여기서는 어느 것이나 NAK를 송신(S120a, S120b)으로 하고 있으나, 만약 단말 A 및 단말 B가 송달 확인 응답해서는 안된다고 결정된 단말장치(3)인 경우에는 단계 S120a, S120b의 NAK의 송신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다음에 센터국(1)은 단말군(3a)으로부터 송신되는 송달 확인 응답(ACK/NAK)을 수신하면(S120), 송달 확인 응답 평가부(17)에 있어서 NAK의 수신수가 기준값 이하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25). 이 판정은 센터국(1)으로부터 송신된 목적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하지 않은 단말장치(3)가 어느 정도의 수 잔존하고 있는지를 추정하여, 그 잔존하고 있는 단말장치(3)가 송달 확인 등답(ACK/NAK)을 송신하였을 때에 인바운드 회선(5)을 폭주시키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여기서 인바운드 회선(5)의 폭주가 1000 이하의 단말장치(3)와의 통신에서는 생기지 않는다고 하고, 단말장치(3)의 총수가 10만대라고 하면 최초의 반신율은 1%로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1000대의 단말장치(3)로부터 ACK/NAK의 응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NAK의 수신수의 기준값은 10 이 된다. 따라서 단말장치(3)의 5%가 수신에 실패하여, 실제의 NAK의 수신수가 50이었다고 한다면, 단계 S125의 판정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또한 수신의 실패율 5%로부터 추정하면, 정확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었던 단말장치(3)가 전체에서 아직 5000대 잔존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센터국(1)은 단말군(3a)에 대하여 목적 데이터를 재송한다(S130). 단말 A 및 단말 B는 이전의 목적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하였기 때문에, 그 재송된 목적 데이터를 수신한다(S130a, S130b). 여기서 이전의 목적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한 단말장치(3)는 재송되는 목적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가 없다.
다음에 단말 A 및 단말 B는 수신에러의 유무를 검사한다(S135a, S135b). 그리고 송달 확인 응답 결정부(23)에 의하여 송달 확인 응답하는 것이 결정된 경우에는 센터국(1)에 송달 확인 응답을 송신한다. 여기서는 단말 A는 수신에러가 있었기 때문에, 센터국(1)에 NAK를 송신하고(S140a), 또 단말 B는 수신에러가 없었기 때문에, 센터국(1)에 ACK를 송신하여(S140b) 수신동작을 완료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 의거하면, 정확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었던 단말장치(3)가 5000대 잔존하고, 인바운드 회선(5)의 폭주는 1000 이하의 단말장치(3)와의 통신까지는 생기지 않기 때문에, 송달 확인 응답결정에 있어서의 반신율은 20%가 된다. 이 경우에는 센터국(1)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1000대의 단말장치(3)로부터 ACK/NAK의 응답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의 조건이나 환경에 변화가 없다고 한다면, NAK의 수신수의 기준값은 200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센터국(1)은 단말군(3a)으로부터 송신되는 송달 확인 응답(ACK/NAK)을 다시 수신한다(S140). 단말장치(3)의 수신 실패율이 5% 그대로이면 NAK의 수신수는 50 이 된다. 따라서 NAK의 수신수가 기준값 이하가 된다(S145). 이 시점에서 목적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하지 않은 단말장치(3)의 수는 250대로 추정된다. 이 수의 단말장치(3)는 더 이상 인바운드 회선(5)을 폭주시키는 일은 없다.
따라서, 센터국(1)은 센터국(1)과 단말장치(3) 사이의 통신모드를 동보 통신 모드로부터 개별 통신모드로 이행하도록, 단말군(3a)에 대하여 개별 통신모드로의 이행 지시 메시지를 송신한다(S150). 단말 A는 개별 통신모드로의 이행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고(S150a), 그 통신모드를 개별 통신모드로 이행한다(S155a). 여기서 단말군(3a)의 단말장치(3) 중, 아직 목적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하지 않은 단말장치(3)도 마찬가지로 개별 통신모드로의 이행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여, 그 통신모드를 개별 통신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TDM 등의 경우와 같이 통신방식에 따라서는 동보 통신모드와 개별 통신모드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에는 개별 통신모드로의 이행 지시 메시지의 송신(S150)은 불필요하다.
한편, 단계 S145에 있어서, NAK의 수신수가 기준값 이하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센터국(1) 및 단말 A는 단계 S130 ∼ 단계 S145까지의 동작을 NAK의 수신수가 기준값 이하로 될 때까지 반복하여 행한다. 즉, 목적 데이터의 재송은 목적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하지 않은 단말장치(3)가 개별통신을 하여도 인바운드 회선(5)을 폭주시키는 일이 없을 정도로 적어질 때까지 반복된다.
다음에 통신모드가 개별 통신모드로 이행되면, 단말 A를 포함하여 아직 목적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하지 않은 단말장치(3)는 목적 데이터의 재송 요구 메시지를 센터국(1)에 송신하고(S160a), 센터국(1)은 그 목적 데이터의 재송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S160). 이 단계가 되면 목적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하지 못한 단말장치(3)의 수는 충분히 적어져 있기 때문에, 이 송신에 의하여 인바운드 회선(5)이 폭주하는 일은 없다. 또한 이 목적 데이터의 재송 요구 메시지는, 송달 확인 응답으로서의 NAK 이어도 좋으나, NAK와는 독립된 제어 메시지로 하여도 좋다.
목적 데이터의 재송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센터국(1)은 그것을 송신한 단말 장치(3)에 대하여 개별로 목적 데이터를 재송한다(S170). 그 재송을 받은 단말장치(3)는 목적 데이터를 수신하여(S170a) 수신에러의 유무를 검사하고(S170b), 에러가 있는 경우에는 NAK를 센터국(1)에 송신하여 다시 목적 데이터의 재송을 요구한다(도시생략). 또 수신에러의 유무를 검사하여(S175a), 에러가 없었던 경우에는 ACK를 센터국(1)에 송신하고(S180a), 수신동작을 완료한다. 한편 센터국(1)은 단말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ACK를 수신하고(S180), 또한 개별 통신동작을 한 모든 단말장치로부터 ACK를 수신한 것을 확인하여(S185), 일련의 송신동작을 완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말장치(3)의 단말 통신장치(20)에 송달 확인 응답 결정부(23)를 설치함으로써, 센터국(1)으로부터 송신되는 목적 데이터에 대하여 송달 확인 응답 결정부(23)가 송달 확인 응답한다고 결정한 단말장치(3)만이 센터국(1)에 송달 확인 응답(ACK/NAK)을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센터국(1)과 통신하는 단말장치(3)의 수가, 예를 들면 수십만이 넘는 큰 수이어도, 예를 들면 반신율을 0.1% 정도로 설정하면 송달 확인 응답(ACK/NAK)의 수를, 수백 정도로 끝낼 수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3)가 센터국(1)에 송신하는 송달 확인 응답(ACK/NAK) 때문에 인바운드 회선(5)이 폭주하는 일은 없다.
또, 센터국 통신장치(10)에 송달 확인 응답 평가부(17)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센터국(1)은 단말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송달 확인 응답(ACK/NAK)의 수를 평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센터국(1)은 목적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하지 않은 단말장치(3)의 수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추정값이 소정의 수 이하가 된 경우, 바꿔 말하면 NAK의 수신수가 소정의 수 이하가 된 경우에는, 센터국(1)은 단말 장치(3)와의 사이의 통신모드를 개별 통신모드로 전환하여 통신을 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목적 데이터를 요구하고 있는 단말장치(3)는 인바운드 회선(5)을 폭주시키는 일 없이 확실하게 에러가 없는 목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4 내지 도 7을 사용하여 이 실시형태를 더욱 보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센터국(1)이 송달 확인응답해야 할 단말장치(3)를 폴링하는 경우에, 센터국(1)과 단말군(3a)과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통신의 시퀀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센터국(1)이 단말군(3a)에 대하여 통신제어모드 변경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에, 센터국(1)과 단말군(3a)과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통신의 시퀀스의 예를 나타낸다. 또 도 6은 동보 통신모드시의 센터국 통신장치(10)의 통신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의 예이고, 도 7은 동보 통신모드시의 단말 통신장치(20)의 통신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의 예이다.
도 4는 센터국(1)이 송달 확인 응답해야 할 단말장치(3)를 폴링하는 경우에, 센터국(1)과 단말군(3a)과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통신의 시퀀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나, 이것은 도 3의 일부를 수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따라서 도 4에 있어서는 도 3과 대응하는 동일한 동작을 나타내는 블럭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 도 4에 있어서는 단말 B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센터국(1)은 먼저 목적 데이터를 동보 데이터로서 단말군(3a)을 향하여 송신한다(S110). 단말 A는 그 송신된 목적 데이터를 수신하고(S110a), 수신 제어부(22)에 있어서 수신에러가 없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다음에 센터 국(1)은 단말장치(3)를 예를 들면 단말 A라고 지정하여 폴링 메시지를 송신한다(S117). 단말 A는 폴링 메시지를 수신하여(S117a), 이전에 검사한 수신에러의 결과에 의거하여 송달 확인 응답(ACK/NAK)을 센터국(1)에 송신한다. 도 4의 예에서는 NAK를 송신한다(S120a). 또한 폴링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단말장치(3), 또는 폴링 메시지를 수신하여도 대상으로 되어 있지 않은 단말장치(3)는 송달 확인 응답(ACK/NAK)을 센터국(1)에 송신할 필요는 없다.
센터국(1)은 이상과 같이 하여 송신된 송달 확인 응답(ACK/NAK)을 수신하고 (S120), NAK의 수신수가 기준값 이하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평가한다(S125). 그 결과에 의하여 목적 데이터를 재송할지(S130), 개별 통신모드로 이행할지가 되나, 그 이후의 동작은 도 3에 나타낸 통신의 시퀀스와 동일하게 된다.
센터국(1)이 송달 확인 응답하는 단말장치(3)를 폴링하여 선택하는 방법은, 더욱 확실하게 목적 데이터를 송신하고 싶은 경우 등에 유효하다.
예를 들면 재해시에 재해를 입은 지역에 대하여 확실하게 정보를 보내고 싶은 경우, 재해를 입은 지역에 있는 단말장치(3)를 집중적으로 폴링 지정한다. 이 경우에는 단말장치(3)는 단말위치 검출부(27)에 의하여 취득되는 위치정보를, 센터국(1)이 지정한 폴링 대상지역과 비교함으로써 자기 단말장치가 폴링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 예를 들면 목적 데이터가 지도의 부분 업데이트 데이터인 경우, 업데이트되는 지도의 근린에 존재하는 단말장치(3)에 비중을 높여 폴링하여도 좋다.
또, 위성회선에 있어서는, 강우 등에 의하여 수신전파가 감쇠하는 일이 있기 때문에, 강우지역의 단말장치(3)를 집중적으로 폴링하여도 좋다. 반대로 강우지역의 단말장치(3)를 제외하고 폴링함으로써 단말군(3a) 전체의 수신 에러율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강우지역의 단말장치(3)를 제외하고 폴링한 경우에는 강우 해소후에 재송신함으로써, 수신 에러율이 높은 강우시의 재송을 반복하는 경우보다, 효율적으로 목적 데이터의 송신을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는 센터국(1)이 단말군(3a)에 대하여 통신제어모드 변경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에, 센터국(1)과 단말군(3a)과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통신의 시퀀스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나, 이것은 도 3의 일부를 수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따라서 도 5에 있어서는 도 3과 대응하는 동일한 동작을 나타내는 블럭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 도 5에 있어서는 단말 B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센터국(1)이 목적 데이터를 송신하고(S110), 단말 A가 그 목적 데이터를 수신하고(S110a), 그 수신에러의 유무를 검사하여(S115a) 수신에러가 있었기 때문에 송달 확인 응답으로서 NAK를 센터국(1)에 송신한다(S120a). 센터국(1)은 단말 A를 포함하는 단말군(3a)으로부터 송신되는 송달 확인 응답(ACK/NAK)을 수신하고(S120), 그 수신상황을 평가하여 NAK 수신수가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25). 여기까지는 도 3에 나타낸 통신의 시퀀스와 동일하다.
다음에 센터국(1)은 NAK 수신수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에 있어, 목적 데이터를 재송하고자 하는 경우, 그 재송에 앞서 단말군(3a)에 대하여 통신제어모드 변경 메시지를 송신한다(S127). 여기서 통신제어모드의 변경이란, 센터국(1)과 단말장치(3)와의 사이의 통신프로토콜을 변경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목적 데이터의 에러 정정 코드를 보다 강력한 것으로 변경하거나, 동일 패킷의 연송(連送)수를 늘리거나, 인터리브의 확산의 깊이를 크게 하는 것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연송이란, 프레임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동일한 세션으로 동일한 프레임을 복수회 송신하는 것을 말하며, 동일 데이터송신의 세션을 복수회 반복하는 재송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통신제어모드의 변경은, 목적 데이터의 재송을 효율좋게 행하기 위하여 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강우 등 때문에 NAK의 수신수가 매우 컸던 경우, 즉 목적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한 단말장치(3)가 많았던 경우에는, 재송시에는 통신에 있어서 에러가 생기기 어려운, 또는 에러가 생겨도 정정하기 쉬운 통신방식으로 변경한다. 그렇게 하면 목적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하는 단말장치(3)의 수는 통상으로 재송을 반복하는 것보다도 빠르게 감소한다.
또, 반대로 NAK의 수신수가 적고, 목적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한 단말장치(3)가 기대 이상으로 적은 경우에는 단말장치(3)가 송달 확인 응답을 하는 확률, 즉 반신율을 크게 하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여도 좋다. 이 조치는 단말장치(3)가 송달 확인 응답으로서 NAK만을 송신하는 경우밖에 적용할 수 없으나, 더욱 많은 단말장치(3)로부터의 송달 확인 응답을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목적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하지 않은 단말수의 추정을 보다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 센터국(1)은 통신제어모드 변경 메시지를 송신하면(S127), 통신제어모드 지정부(12)에 있어서의 통신제어모드를 변경한다(S128). 또 단말장치(3)는 그 통신제어모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하여(S127a), 통신제어모드 지정부 (26)에 있어서의 통신제어모드를 변경한다(S128a). 이와 같이 하여 변경된 통신제어모드에 따라 센터국(1)은 목적 데이터를 송신하고(S130), 단말장치(3)는 그 목적 데이터를 수신한다(S130a).
도 6은 동보 통신모드시의 센터국 통신장치(10)의 통신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의 예이며, 도 3 내지 도 5에 있어서의 센터국(1)의 통신동작을 통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의 설명은 도 3 ∼ 도 5의 설명과 다소 중복되나, 보충을 포함하여 다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6과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동작을 나타내는 블럭의 부호는, 동일한 동작의 블럭이어도 다른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센터국 통신장치(10)는 컴퓨터 등의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목적 데이터를 입력하고(S210), 그것을 송신 데이터 기억부(11)에 저장함과 (S220) 동시에, 단말군(3a)을 향하여 송신한다(S230). 송달 확인 응답하는 단말장치(3)를 지정하기 위하여 폴링을 사용하는 경우(S240에서 Yes)에는 센터국(1)은 단말군(3a)을 향하여 단말장치(3)를 지정하여 폴링 메시지를 송신한다(S250). 다음에 센터국(1)은 단말군(3a) 중 소정의 반신율로 자발적으로 송달 확인 응답을 결정한 단말장치(3) 또는 폴링에 의하여 지정된 단말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송달 확인 응답(ACK/NAK)을 수신하고(S270), 그 ACK/NAK의 수신상황을 평가한다(S280).
여기서 ACK/NAK 수신상황의 평가란, 일부의 단말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ACK/NAK의 실제의 수신수로부터 단말군(3a) 전체의 단말장치(3)중 아직 정확한 목적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단말장치(3)의 수나 그 비율을 추정하는 것을 말한다. 그 추정모델의 가장 간단한 것은, 도 3의 설명에 있어서 예시한 바와 같다. 그 모델에 있어서는 단말장치(3)의 총수, 인바운드 회선(5)의 폭주를 일으키지 않는 단말장치(3)의 최대수, 반신율, NAK 수신수를 이용하였으나, ACK 수신수나, NAK 수신수와 ACK 수신수와의 비등한 정보도 이용하면, 모델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단말장치(3) 중에는 비가동의 것이나, 통신 불능영역(예를 들면, 터널 속) 등에 존재하는 것이 있으나, ACK 수신수 및 NAK 수신수에 의하여 단말장치(3)의 총수를 실제로 가동 중인 단말장치(3)의 수로서 구할 수 있다. 또, 인공위성(2)을 거친 회선에 있어서는 특히 날씨에 따라 회선의 상태가 크게 좌우된다. 이와 같은 날씨의 정보 등을 반신율에 반영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도 3의 설명과 동일한 모델을 상정한다. 따라서 센터국(1)은 인바운드 회선(5)의 폭주를 일으키지 않는 단말장치(3)의 최대수를 구하여 두고, 그 최대수와 단말장치(3)의 총수와 회신율에 의하여 정해지는 NAK의 수신수의 최대수를 기준값으로 한다. 그리고 실제로 수신한 NAK의 수를 그 기준값과 비교한다(S290). 그 결과 NAK의 수신수가 기준값보다 컸던 경우에는(S290에서 No) 센터국(1)은 목적 데이터를 단말군(3a)에 재송한다(S340). 이와 같이 하여 단말군(3a)에의 목적 데이터의 재송을 몇번인가 반복하면 NAK의 수신수는 기준값 이하가 된다. NAK의 수신수가 기준값 이하가 되면(S290에서 Yes), 센터국(1)은 개별 통신모드로의 이행 지시 메시지를 단말군(3a)에 송신하고(S300), 아직 정확한 목적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하지 않은 단말장치(3)와는 개별로 통신을 행하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단계 S310 및 S320은, 목적 데이터를 재송함에 있어서, 통신제어모드를 변경하는 경우에 행하는 옵션의 동작이다. 예를 들면 위성 회선의 경우에는 강우 등에 의하여 회선의 상태가 열화되기 때문에 강력한 에러 정정방식을 사용하도록 하고, 재송시에는 통신에 있어서 에러가 생기기 어려운 또는 에러가 생겨도 정정하기 쉬운 통신방식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센터국(1)은 통신제어모드를 변경하는 경우에는(S310에서 Yes), 통신제어모드 변경 메시지를 단말군(3a)에 송신하고 (S320), 통신제어모드 지정부(12)의 통신제어모드를 변경한다(S330). 또한 이들 동작에 대해서는 도 5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도 7은 동보 통신모드시의 단말 통신장치(20)의 통신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의 예이고, 도 3 내지 도 5에 있어서의 단말장치(3)의 통신동작을 통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의 설명은 도 3 내지 도 5의 설명과 다소 중복되나, 보충을 포함하여 다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7과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동작을 나타내는 블럭의 부호는 동일한 동작의 블럭이어도 다른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단말장치(3)는 센터국(1)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S410), 그 수신한 데이터에 에러가 없는지 검사한다(S42O). 그 결과, 정정 불가능한 수신에러가 있어(S420에서 Yes) 송달 확인 응답의 필요가 있을 때에는(S430에서 Yes) 송달 확인 응답으로서 NAK를 송신한다(S440). 또 정정 불가능한 수신에러도 없고(S420에서 No), 송달 확인 응답의 필요가 있었을 때에는(S430a에서 Yes), 송달 확인 응답으로서 ACK를 송신한다(S440a).
다음에 수신한 데이터에 수신에러가 없었던 경우에는(S420에서 No) 그 데이 터를 분별한다. 수신 데이터가 목적 데이터인 경우에는(S450에서 Yes), 수신동작을 완료한다. 수신 데이터가 개별 통신모드로의 이행 지시 메시지인 경우에는(S460에서 Yes) 단말 통신장치(20)의 통신제어모드 지정부(26)를 개별 통신모드로 변경하여 개별 통신모드로 이행한다. 수신 데이터가 폴링 메시지인 경우에는(S470에서 Yes), 폴링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S480). 폴링 응답 메시지는 ACK/NAK로 끝내어도 좋고, 특별한 메시지로 하여도 좋다. 또 수신 데이터가 통신제어모드 변경 메시지인 경우에는(S490에서 Yes), 통신제어모드 지정부(26)의 통신제어모드를 변경하고(S500), 그 통신제어모드에 따라 센터국(1)으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한다.
단말장치(3)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본적으로는 ACK/NAK 중 어느 하나를 응답으로서 센터국(1)에 송신한다(S44O, S440a). 단, 상기한 바와 같이 동보 통신모드에 있어서는 ACK/NAK 모두 응답하도록 하여도 좋고, ACK만 또는 NAK만 응답하도록 하여도 좋다. 응답하는 방법은, 수신에러가 생기기 쉬운 정도를 감안하여 어느 것으로 할 지를 미리 결정하여 두어도 좋다. 또 실제로 수신되는 ACK/NAK의 수에 따라 재송신 동작을 반복하는 도중이더라도 그 응답의 방법을 전환하여도 좋다. 또한 단말장치(3)에 있어서 목적 데이터가 불필요한 경우는, 수신에러의 유무에 관계없이 ACK를 송신하여도 좋다. 이 경우, 센터국(1)은 송신한 목적 데이터의 수요의 정도를 파악할 수 없는 이점이 있다. 또 이것에 의하여 수신에 성공하지 않은 단말장치(3)의 수가 빠르게 기준값 이하가 되기 때문에, 조기에 개별 통신모드로의 이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ACK(수신성공), NAK(수신실패)에 더하여, 명시적인 수취 불필요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사용하여도 좋다.
도 7에 있어서는, 제어 메시지에 대해서도 목적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송달 확인 응답(ACK/NAK)을 송신한다고 하고 있으나, 도 3 내지 도 6에 있어서는 제어 메시지에 대한 ACK/NAK의 송신동작 및 제어 메시지에 대해서는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이것은 설명이 번잡해지는 것을 피하였기 때문이다.
또, 제어 메시지에는 단말장치(3)의 통신제어모드 등의 상태를 센터국(1)이 지시하는 상태로 설정하는 역할이 있다. 따라서 제어 메시지의 송신은 보다 확실하게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어 메시지의 송신은 ACK/NAK의 송달 확인 응답에 관계없이 재송을 복수회 반복하여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어 메시지는 목적 데이터에 비하여 데이터량이 작기 때문에 통신 효율에 대한 영향은 작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말장치(3)는 모두가 송달 확인 응답 기능을 가진다고 하고 있으나, 반드시 모든 단말장치(3)가 송달 확인 응답기능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일부의 단말장치(3)만이 송달 확인 응답기능을 가지고, 다른 단말장치(3)는 송달 확인 응답기능을 가지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단말군(3a)으로서의 단말장치(3)의 수가 다수인 경우에는 송달 확인 응답기능을 가지는 일부의 단말장치(3)로부터의 송달 확인 응답으로부터 나머지 단말장치(3)의 수신에러의 상황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송달 확인 응답기능을 가지는 단말장치(3)의 모두가 송달 확인 응답을 송신하였다 하여도 그 일부가 송달 확인 응답을 송신하였다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단말장치(3)의 송달 확인 응답기능을 삭제, 나아가서는 송신기능 그 자체를 삭제함으로써 단말장치(3)의 제 조비용이나 전력소비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터국 장치로부터 다수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고정의 대표 단말을 정하지 않아도 단말장치로부터의 송달 확인 응답을 줄일 수 있어, 센터국 장치의 인바운드 회선의 폭주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단말장치에의 데이터의 재송을 효율좋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주로 동보 데이터를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센터국 장치와, 주로 동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수의 단말장치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터국 장치가,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복수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동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보 데이터 송신단계와,
    상기 동보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 중의 일부 복수의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동보 데이터에 대한 송달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송달 확인 응답 수신단계와,
    상기 송달 확인 응답 수신단계에서 수신되는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 중의 일부 복수의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송달 확인 응답에 의거하여,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 전체에서의 상기 동보 데이터의 수신상황을 평가하는 송달 확인 응답 평가단계와,
    상기 송달 확인 응답 평가단계에 의한 평가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동보 데이터를 재송하는 데이터 재송단계와,
    상기 송달 확인 응답 평가단계에 의한 평가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센터국 장치와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 사이의 통신모드를 개별 통신모드로 이행시키는 통신모드 이행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센터국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동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보 데이터 수신 단계와,
    상기 동보 데이터 수신단계에 의하여 상기 동보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동보 데이터에 대하여 송달 확인 응답을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송달 확인 응답 결정단계와,
    상기 송달 확인 응답 결정단계에서 송달 확인 응답하는 것이 결정되었을 때에, 상기 센터국 장치에 대하여 송달 확인 응답을 송신하는 송달 확인 응답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국 장치는, 상기 송달 확인 응답 평가단계에 의한 평가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동보 데이터를 재송하기 전에, 상기 단말장치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의 통신제어모드를 변경한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고, 자기장치의 통신제어모드를 당해 통신제어모드로 변경하는 센터국 장치 통신제어모드 변경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센터국 장치로부터 통신제어모드를 변경한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자기장치의 통신제어모드를 상기 메시지에 의하여 지정되는 통신제어모드로 변경하는 단말장치 통신제어모드 변경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송달 확인 응답 결정단계에서, 상기 센터국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폴링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상기 폴링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송달 확인 응답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방법.
  4. 주로 동보 데이터를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센터국 장치와, 주로 동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수의 단말장치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터국 장치가,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복수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동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보 데이터 송신수단과,
    상기 동보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 중의 일부 복수의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동보 데이터에 대한 송달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송달 확인 응답 수신수단과,
    상기 송달 확인 응답 수신수단에서 수신되는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 중의 일부 복수의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송달 확인 응답에 의거하여,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 전체에서의 상기 동보 데이터의 수신상황을 평가하는 송달 확인 응답 평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달 확인 응답 평가수단에 의한 평가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동보 데이터를 재송하고,
    상기 송달 확인 응답 평가수단에 의한 평가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센터국 장치와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 사이의 통신모드를 개별 통신모드로 이행시키고,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센터국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동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보 데이터 수신수단과,
    상기 동보 데이터 수신수단에 의하여 상기 동보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동보 데이터에 대하여 송달 확인 응답을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송달 확인 응답 결정수단과,
    상기 송달 확인 응답 결정수단에 의하여 송달 확인 응답하는 것이 결정되었을 때에, 상기 센터국 장치에 대하여 송달 확인 응답을 송신하는 송달 확인 응답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국 장치는, 상기 송달 확인 응답 평가수단에 의한 평가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다수의 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동보 데이터를 재송하기 전에, 상기 단말장치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의 통신제어모드를 변경한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고, 자기장치의 통신제어모드를 당해 통신제어모드로 변경하는 센터국 장치 통신제어모드 변경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센터국 장치로부터 통신제어모드를 변경한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자기장치의 통신제어모드를 상기 메시지에 의하여 지정되는 통신제어모드로 변경하는 단말장치 통신제어모드 변경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송달 확인 응답 결정수단은, 상기 센터국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폴링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에, 상기 폴링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송달 확인 응답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송달 확인 응답 결정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050007890A 2004-01-29 2005-01-28 데이터통신방법 및 데이터통신시스템 KR101020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21297A JP4189330B2 (ja) 2004-01-29 2004-01-29 データ通信方法及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JP-P-2004-00021297 2004-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782A KR20050077782A (ko) 2005-08-03
KR101020223B1 true KR101020223B1 (ko) 2011-03-07

Family

ID=3487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07890A KR101020223B1 (ko) 2004-01-29 2005-01-28 데이터통신방법 및 데이터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189330B2 (ko)
KR (1) KR101020223B1 (ko)
CN (1) CN16492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511B1 (ko) 2005-08-12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Bcast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전송방법
JP2007166233A (ja) * 2005-12-14 2007-06-28 Nec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マルチキャスト再送制御方法
KR101187076B1 (ko) 2006-01-05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 전송 방법
CN105515736A (zh) 2006-01-05 2016-04-20 Lg电子株式会社 在移动通信系统中发送数据
USRE43949E1 (en) 2006-01-05 2013-01-29 Lg Electronics Inc. Allocating radio resources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8428086B2 (en) 2006-01-05 2013-04-23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912784B1 (ko) 2006-01-05 2009-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데이터 재전송 방법
KR101265628B1 (ko) 2006-01-05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스케줄링 방법
KR101268200B1 (ko) 2006-01-05 201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할당방법
KR101203841B1 (ko) 2006-01-05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메시지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1211807B1 (ko) 2006-01-05 201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단말의 동기상태 관리방법
WO2007078171A2 (en) 2006-01-05 2007-07-1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358469B1 (ko) 2006-02-07 2014-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network) 안에서 상향(uplink)및 하향(downlink) 대역폭(bandwidth)의선택 및 신호 방법
KR101216751B1 (ko) 2006-02-07 2012-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충돌 회피 방법
US7664198B2 (en) * 2006-03-21 2010-02-16 Kyocer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data over a wireless network using rateless codes
KR101387475B1 (ko) 2006-03-22 2014-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네트워크 엔터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JP4780657B2 (ja) * 2006-03-31 2011-09-28 Kddi株式会社 放送通信融合システムのメッセージ受信装置および視聴者端末
KR20070121513A (ko) 2006-06-21 200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향 접속 방법
EP2033341B1 (en) 2006-06-21 2018-03-2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access information using a message separation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8234534B2 (en) 2006-06-21 2012-07-3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supporting data re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70121505A (ko) 2006-06-21 200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링크 재설정 방법
KR101369135B1 (ko) * 2006-06-21 2014-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및 방송서비스의 품질보장 방법 및 그 단말
JP4805072B2 (ja) * 2006-09-14 2011-11-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JP5151263B2 (ja) * 2007-06-12 2013-02-27 株式会社ナカヨ通信機 無線電話端末
JP5157638B2 (ja) * 2008-05-21 2013-03-06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該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パケット連送方法及びパケット連送プログラム
JP5108801B2 (ja) * 2009-02-02 2012-1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5295942B2 (ja) * 2009-12-24 2013-09-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端末の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
CN102918902A (zh) * 2010-02-12 2013-02-06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机器类通信的群组寻呼
WO2013065264A1 (ja) * 2011-11-01 2013-05-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オフライン移行方法
JP2014146069A (ja) * 2013-01-25 2014-08-14 Sanden Corp 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JP6174454B2 (ja) * 2013-10-28 2017-08-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ホップ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マルチホップ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制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2195A1 (en) 2000-04-06 2003-01-16 Shinzo Ohkubo Multicasting method, multicasting system, mobile station and base st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2195A1 (en) 2000-04-06 2003-01-16 Shinzo Ohkubo Multicasting method, multicasting system, mobile station and base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782A (ko) 2005-08-03
CN1649285A (zh) 2005-08-03
JP2005217743A (ja) 2005-08-11
JP4189330B2 (ja)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223B1 (ko) 데이터통신방법 및 데이터통신시스템
US8442531B2 (en) Context transfers and multi-band operation for wireless networks
KR100976732B1 (ko) 다중 홉 방식의 네트워크에서 중계국을 이용한 재전송 장치및 방법
US9961599B2 (en) Methods to control multiple radio access bearers in a wireless device
US8565756B2 (en) Control of measurement messaging in a mobile device
EP1924009B1 (en) Relay apparatus for relaying a data packet to be transmitted from a first partner transceiver to a second partner transceiver
KR2008005212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태 보고 메시지 전송 방법 및이를 지원하는 송수신기
US7697890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08068729A1 (en) Enhanced data transport protocol for a multi-station network
CN101491053A (zh) 无线通信网络中的数据分组的传送
KR101223870B1 (ko) 다중 무선 링크를 통한 병렬 전송 방법
JP2010519877A (ja) 中継方式を使用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再送信装置及び方法
CN102315915A (zh) 一种构造状态报告的方法与装置
US2008001933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 base station
JP2008289080A (ja) 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JP2004015746A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JP2006165623A (ja) 無線中継システム、無線クライアント、無線中継方法及び無線中継プログラム
JP2007536868A (ja) Arqを用いてデータ・パケットを通信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局
KR10103768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
JP4479652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とそれに用いられる緊急通報端末及びセンタ装置
EP1841117A1 (en) Acknowledgment message arbitration received by different access points and corresponding to the same packet
Yan et al. Mechanism for coding-aware opportunistic retransmission in wireless networks
JP2011004335A (ja)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無線通信端末
JPH08251658A (ja) 誤り制御方式
KR101821350B1 (ko) 무선랜 환경에서 비디오 전송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