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919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919B1
KR101018919B1 KR1020030066319A KR20030066319A KR101018919B1 KR 101018919 B1 KR101018919 B1 KR 101018919B1 KR 1020030066319 A KR1020030066319 A KR 1020030066319A KR 20030066319 A KR20030066319 A KR 20030066319A KR 101018919 B1 KR101018919 B1 KR 101018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e
contact portion
hole
block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638A (ko
Inventor
가주야 리구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040038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직경의 전기와이어를 위한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에 의해서 전기와이어와 돌출접점부의 상대적인 운동이 장기간 조절될 수 있다. 전기커넥터는 전기와이어의 외장부재를 관통하는 돌출접점부를 갖는 소위 관통형이고, 여기서 코어와이어는 외장부재에 의해서 외장된다. 전기커넥터는 돌출접점부의 단부가 홀에 돌출되도록 하는 블록을 더욱 포함한다. 부가하여 스프링부재는 홀에 수용된 전기와이어를 돌출접점부로 밀기 위하여 홀에 돌출하는 돌출접점부 단부의 반대위치에 제공된다.
Figure R1020030066319
전기와이어, 전기커넥터, 외장부재, 돌출접점부, 스프링부재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결합커넥터의 수용포트 상부로부터 경사지게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도 1의 반대측 상부로부터 경사지게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선 A-A´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선 B-B´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전기커넥터에 제공되는 수형접점을 맞춤부의 상부로부터 경사지게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반대측 상부로부터 수형접점을 경사지게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전기커넥터에 제공되는 스프링부재를 후단부의 하부로부터 경사지게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나타난 전기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형접점 11 : 맞춤부
12 : 접점부 13 : 베이스
100: 하우징 200 : 블록
본 발명은 전기와이어의 외장부재를 관통하는 돌출접점부를 갖는 접점이 제공되고 코어와이어에는 외장부재가 외장된 소위 관통형의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접점과 전기와이어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다양한 종래의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압력용접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압력용접방법은 외장부재로 외장된 코어와이어를 갖는 전기와이어의 연결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 방법에 의해 형성된 접점은 단부에 날카로운 돌출접점부를 갖는 소위 관통형의 접점을 포함한다.
예를 들자면, 특허문헌 1에는 날카로운 단부를 갖는 돌출접점부와 돌출접점부의 양면에서 약간 외측으로 개방하면서 상방으로 확장하는 한 쌍의 압력접합부를 갖는 접점이 기재된다. 전기와이어가 상기 접점에 연결되었을 때, 돌출접점부는 외장부재를 관통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기와이어에 부착되고, 코어와이어와 돌출접점부는 서로 접촉된다. 압력접합부는 소성변형되고 코어와이어의 접점과 돌출접점부의 접촉을 장기간 유지하므로, 이들은 돌출접점부가 코어와이어와 접촉된 후에 외장부재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하기 위하여 외장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변곡된다. 그러나, 코어와이어가 다수의 와이어를 함께 가압하여 형성된 경우에는, 돌출접점부가 전기와이어에 부착될 때, 부착외력은 전기와이어를 변형시키고 다수의 와이어를 외장부재의 내부에 펼친다. 따라서, 모든 와이어가 전도부재와 접촉될 수는 없다.
특허문헌 2에는 돌출접점부가 전기와이어에 부착되었을 때 전기와이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기커넥터가 개시된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전기커넥터는 단부에 날카로운 돌출접점부를 갖는 접점에 부가하여 전기와이어의 원주면으로부터 전기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박스(커버하우징)를 갖는다. 고정부가 강성의 수지물질로 만들어지는 반면에, 전기와이어의 외장부재는 탄성을 가진다. 외장부재의 탄성은 전기와이어가 고정부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전기커넥터에서는 박스의 고정부는 결합이 이루어진 때 전기와이어를 고정하고, 이에 의해서 전기와이어의 변형을 방지한다. 그러나, 전기와이어 외장부재의 탄성은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 경년변형(secular change)에 의해 사라지기 쉽다. 일단 외장부재가 탄성을 잃으면, 전기와이어는 돌출접점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코어와이어와 돌출접점부 사이의 전기적결합의 신뢰성이 감소한다.
한편, 특허문헌 3에는 U-형상의 탄성부재들이 전기와이어의 측면을 샌드위치시키는 전기커넥터가 개시된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다수의 접점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횡방향 직선으로 배열된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전기커넥터는 또한 배열된 접점을 따라 횡방향 직선으로 배열된 다수의 전기와이어를 갖는 블록을 갖는다. 무엇보다도, 다수의 U-형상의 탄성부재는 다수의 전기와 이어의 배열간격에 따라 블록에 배열된다. 블록에 배열된 전기와이어는 U-형상의 탄성부재의 양부분(opposing portion)에 의해 샌드위치된다. 탄성부재의 양부분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가압한다. 접점의 돌출접점부는 결합이 이루어진 때 전기와이어의 하방으로부터 전기와이어에 부착된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결합이 이루어진 때 전기와이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부가하여 전기와이어의 외장부재가 경년변형으로 인하여 탄성을 잃었을 때 조차, 전기와이어는 탄성부재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유지하고, 이에 의해서 돌출접점부에 대한 전기와이어의 상대적 이동을 방지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고번호 제56-30955호 (도 1 내지 3)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번호 제61-133584호 (도 1 내지 3)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번호 제2002-175845호 (도 19 내지 22)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전기커넥터가 접점 배열간격의 변화없이 대직경 전기와이어에 사용될 때, 직선으로 배열된 인접한 전기와이어 사이의 공간은 줄어들고, U-형상의 탄성부재를 블록에 배열하는 공간을 제거한다. U-형상의 탄성부재가 전기와이어의 배열간격에 따라 배열될 수 있을 때라도, 인접한 탄성부재 사이의 공간은 블록에서 차례로 감소한다. 따라서, 크랙은 블록의 형성동안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전기와이어와 돌출접점부의 상대적 운동을 조절할 수 있는 대직경 전기와이어용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의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전기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는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전기와이어를 수용하는 홀을 갖는 블록- 상기 전기와이어는 외장부재에 의해 외장된 코어와이어를 가짐-과, 외장부재를 관통하도록 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방향에 직각으로 돌출하는 둘출접점부를 갖는 접점을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블록은 돌출접점부의 단부가 홀에 돌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고, 상기 블록은 상기 홀에 돌출하는 돌출접점부의 단부에 반대되는 위치에 스프링부재를 갖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홀에 수용된 전기와이어를 돌출접점부에 압박한다.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에 따르면, 블록은 돌출접점부의 단부가 홀에 돌출되지 않는 위치에 먼저 배치되고, 전기와이어가 홀에 삽입된다. 계속해서, 블록과 하우징의 위치는 상대적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블록은 돌출접점부의 단부가 홀에 돌출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돌출접점부는 전기와이어의 외장부재를 관통하고, 돌출접점부의 단부와 코어와이어는 접촉하고 상호결합된다. 블록이 스프링부재를 갖기 때문에, 전기와이어의 변형은 결합이 된 때 방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전기와이어의 외장부재가 경년변형에 의해 탄성을 잃었을 때 조차, 전기와이어는 스프링부재에 의해서 돌출접점부에 압박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전기와이어가 돌출접점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스프링부재가 홀에 돌출하는 돌출접점부의 단부에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다수개의 전기와이어가 인접한 전기와이어 사이에서 더 작은 간격으로 측방으로 배열되어 있을 때 조차, 스프링부재를 배열하는 공간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커넥터는 대직경의 전기와이어를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에서 블록은 홀에 결합되는 오목부를 갖고 홀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가지며, 스프링부재가 오목부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에서, 전기와이어는 연결될 때 돌출접점부에 의해서 가압된다. 전기와이어의 코어외의 부분이 가압되었을 때, 전기와이어의 외장부재는 홀의 일측으로 기울어지고 코어와이어도 또한 이에 수반하여 기울어지며, 결국 돌출접점부와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의 배열에 있어서, 오목부는 홀로부터 돌출접점부의 돌출방향으로 연장하는 공간이다. 부가적으로 홀의 중심과 오목부의 중심은 서로 일치한다. 따라서 돌출접점부가 전기와이어와 결합된 때 외장부재는 외력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선에서 오목부로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외장부재는 홀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결합이 된 때, 돌출접점부는 코어와이어의 중심에 부착되고, 미리 정해진 방식대로 돌출접점부와 코어와이어를 전기적으로 결합시킨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에서 접점은 홀에 수용된 전기와이어를 스 프링부재로 가압하는 지지암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여기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낼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는 4개의 수형접점을 갖는다. 수형접점의 각각은 결합접점(mating contact)에 억지끼워맞춤되는 맞춤부를 팁에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커넥터의 결합연결포트에 있어서, 수형접점의 맞춤부는 미리정해진 간격으로 측방으로 배열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수형접점을 갖는 전기커넥터 뿐 만 아니라, 암형접점을 갖는 전기커넥터에도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결합커넥터의 수용포트 상부로부터 경사지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도 1의 반대측 상부로부터 경사지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커넥터(1)는 도 1의 4개의 수형접점을 보유한 하우징(100)과, 도 2의 4개의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을 갖는 블록(200)을 갖는다.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은 블록(200)의 후방(200a)으로 개방된다. 후방(200a)은 결합커넥터수용부(1a)에 반대로 제공된다. 여기서, 전기커넥터(1)의 결합커넥터 수용포트를 갖는 측은 전방측으로서 언급될 것이고,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이 개방되는 측은 후방측으로서 언급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의 어느 것도 블록(200)은 하우징(100)의 후방에 끼워맞추어 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기커넥터(1)에서 전기와이어는 하우징(100)의 후방에 블록(200)을 끼워맞춤으로써 수형접점(10)에 연결된다. 전기와이어가 수형접점(100)에 연결될 때까지, 블록(200)은 하우징(100)에 부분적으로 물려있고 블록(200)은 여기에서 일시적으로 체결된다. 전기커넥터(1)에서, 우선 일시적인 체결상태에서, 전기와이어는 도 2의 4개의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에 삽입되고, 블록(200)은 하우징(100)의 후방에 끼워맞추어진다. 도 1 내지 도 3의 어느것도 전기와이어가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블록(200)이 하우징(100)의 후방에 끼워맞추어져 있는 전기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선 A-A´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선 B-B´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볼록(200)에 제공된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도 4의 블록(200)에 제공된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은 블록(200)의 후방(200a)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하는 장공(long hole)이다.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의 연장방향의 단부는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의 축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면을 갖고, 경사면(2011)의 단부는 아래로 경사진다. 전기와이어는 블록의 후방(200)에 제공된 개구(2012)로부터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에 삽입되고, 반면에 하우징(100)과 블록(200)은 일시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체결된다. 전기와이어는 탄성의 외장부재로 외장된 다수의 코어와이어를 갖는 대직경 전기와이어이다. 전기와이어가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에 삽입되었을 때, 삽입은 다수의 와이어가 외장부재의 벗겨짐없이 외장부재로 외장된 상태로 있는 동안 이루어진다. 전기와 이어 수용홀(201)의 개구(2012)는 전기와이어의 단부가 신속하게 삽입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개방된다. 개구(2012)로부터 삽입된 전기와이어는 전기와이어의 단부가 경사면(2011)과 접촉할 때까지 계속 삽입된다. 경사면(2011)과 접촉한 후에, 전기와이어의 단부는 경사면(2011)에 의해 일시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압된다. 일시적인 고정은 전기와이어가 소직경을 가질 때 전기와이어가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데 효과적이다. 블록(200)은 투명수지재료로 만들어지고, 따라서 사용자는 전기와이어의 단부가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의 단부에 도달했는 지 여부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삽입된 전기와이어 단부의 가시적 확인을 허용하기 위하여, 블록(200)은 작은 두께를 갖는 전기와이어 수용홀(201) 단부의 상부에 홈(202)을 갖는다. 더욱이,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의 단부가 경사면(2011)에 의해서 한정되기 때문에, 홈(202)의 하부(2021)는 상부 경사면(2011)과 평행하게 기울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은 아래에서 더욱 설명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록(200)은 동일선상에 측면으로 배열된 4 개의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을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200)의 일부 이외의 다른 부재는 인접한 전기와이어 수용홀(201) 사이에 제공되지 않는다.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의 배열간격은 블록의 형성동안 크랙을 발생시키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감소된다. 종래의 전기커넥터에서 접점의 배열간격이 그대로 사용되는 반면에, 도 1의 전기커넥터는 종래의 전기커넥터의 접점에 연결된 전기와이어 보다 더 큰 직경의 전기와이어에 적합하게 고안된다. 4 개의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의 각각은 기본 적으로 팔각형이고, 팔각형의 일측은 사각형(rectangular)에 유사하게 노치된다. 즉, 사각형에 유사하게 노치된 팔각형부(201a)의 중심과 오목부(201b)의 중심은 서로 일치한다. 전기와이어는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의 팔각형부(201a)에 삽입된다.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은 상보형상(complimentary shape)을 갖는 다이핀에 의해서 형성된다. 전기와이어는 단면이 원형일지라도, 홀에는 단면이 원형보다 팔각형인 사각형 오목부가 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홀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다이핀이 커팅에 의해서 얻어지고 다이핀의 생산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팔각형의 대각선의 길이가 팔각형의 내접원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전기와이어는 용이하게 삽입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형접점(10)은 전기커넥터(1)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한다. 수형접점(10)은 단부에 제공되는 맞춤부(11)에 부가하여 돌출접점부(12)를 갖는다. 맞춤부(11)는 수형접점(10)의 베이스(13)로부터 상승하여 전방측에 연장한다. 돌출접점부(12)는 베이스(1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날카로운 팁을 갖는다. 게다가, 수형접점의 후방단부는 베이스(1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두갈래로 갈라진 전기와이어 고정부(14)를 갖는다. 하우징(100)에서 수형접점(10)의 베이스(13)는 블록(200)의 하부(200b)보다 더 낮게 배치된다. 블록(200)은 접점부삽입홀(203)과 고정부삽입홀(204)의 두 종류의 삽입홀을 갖고, 이들은 블록(200)의 하부(200b)로부터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에 제공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200)의 외주벽은 임시(temporary) 체결돌기와 실제(actual) 체결돌기(미도시)를 갖는다. 블록(200)은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눌려지고 하우징(100)의 실제 체결돌기는 하우징(100)의 체결부(미도시)에 체결되고, 블록(200)은 하우징(100)에 실제로 체결된다. 블록(200)이 하우징(100)에 실제로 체결되었을 때, 수형접점(10)의 돌출접점부(12)는 접점부 삽입홀(203)로부터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에 돌출한다. 전기와이어 수용홀(201)로 돌출하는 돌출접점부(12)는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의 축에 배치된다. 도 4와 도 5는 수형접점(10)의 돌출접점부(12)가 전기와이어 수용홀(201)로 돌출하는 것을 나타낸다. 전기와이어가 블록의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에 삽입되었을 때 블록(200)은 실제로 하우징(100)에 체결되고, 수형접점(10)의 전기와이어 고정부(14)는 고정부삽입홀(204)로부터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에 돌출하여 전기와이어를 샌드위치시킨다. 전기와이어는 외장부재의 탄성을 이용하여 전기와이어 고정부(14)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더욱이, 도 4와 도 5의 블록(200)은 스프링부재(210)를 갖는다. 스프링부재(210)는 수형접점(10)으로 변곡되는 변곡부(211)를 갖는다. 스프링부재(210)는 수형접점(10)의 돌출접점부(12)의 팁상에 변곡부(211)가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의 오목부(201b)상에 제공된다. 도 4에 나타난 스프링부재(210)의 단부(210a)는 블록의 홈(202) 하부의 공간에 배치되는 자유단이고, 후방단부(210b)는 블록(200)의 후방측에 압력끼워맞춤된 고정단이다. 스프링부재(210)는 후방단부(210b)가 지지점으로 작용하는 상태에서 외력을 수용함으로써 상방과 하방으로 변곡된다. 스프링부재의 변곡부(211)는 스프링부재(21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slit; 2111, 도 5참조)을 갖는다. 변곡부(211)의 유연성은 슬릿(2111)에 의해 향상된다. 도 4와 도 5에서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은 어떤 전기와이어도 수용하지 않으므로, 도 4와 도 5에서 수형접점(10)의 돌출접점부(12)의 팁은 스프링부재(120)의 변곡부(211)상의 슬릿(2111)으로 들어가서 스프링부재(210)를 상방으로 민다.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이 전기와이어를 수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형접점(10)의 돌출접점부(12)의 팁은 전기와이어를 통해서 상방으로 스프링부재(210)를 민다. 스프링부재(210)가 돌출접점부(12)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져도, 스프링부재(210)는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에 수용된 전기와이어를 돌출접점부(12)측으로 압박하는 스프링상수를 갖는다.
도 6은 도 1의 전기커넥터에 제공되는 수형접점을 맞춤부의 상부로부터 경사지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반대측 상부로부터 수형접점을 경사지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의 전기커넥터(1)에 제공된 수형접점(10)은 금속판을 다이커팅하고 도 6과 도 7의 형상으로 상기 판을 만곡시킴으로써 성형된다. 도 6과 도 7의 수형접점(10)상에, 하우징 압력끼워맞춤부(15)는 베이스(13)로부터 융기하고 전방부로 연장하는 맞춤부(11)의 기단부분(basal portion)에 제공된다. 하우징 압력끼워맞춤부(15)는 하우징(100)에 압력끼워맞춤되고, 수형접점(10)은 압력끼워맞춤에 의해 하우징(100)에 고정된다. 측방향으로 돌출된 삼각 스테빌라이저(stabilizer; 16)는 후단부에 제공되는 전기와이어 고정부(14)의 분기부중 하나에 측방으로 제공된다. 스테빌라이저(16)는 수형접점(10)이 하우징(1)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블록 압력끼워맞춤부(17)는 베이스(1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 는 돌출접점부(12)의 기단부분에 제공된다. 블록(200)이 실제로 하우징(100)에 체결될 때, 블록 압력끼워맞춤부(17)는 블록(200)에 제공된 접점부 삽입홀(203)내벽에 압력끼워맞춤된다(도 4참조). 무엇보다도, 수형접점(10)은 돌출접점부(12)의 측면을 샌드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암(18)을 갖는다. 굽힘이 실시되기 전에, 베이스(13)는 돌출접점부(12)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는 설형피스(tongue piece)를 갖는다. 한 쌍의 지지암(18)은 설형피스를 맞춤부(11)와 전기와이어 고정부(14)에 적합한 두개로 분할시킴으로써 형성되고, 분할된 설형피스를 약 180。로 접는다. 그러므로, 지지암(18)은 돌출접점부의 좌우에 배열된다. 지지암(18)은 블록(200)이 실제로 하우징(100)에 체결될 때 전기와이어를 스프링부재(210)의 변곡부(211)에 가압한다.
도 8은 도 1의 전기커넥터에 제공되는 스프링부재를 후단부의 하부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수형접점과 같이, 도 1의 전기커넥터(1)에 제공된 스프링부재(210)는 금속판을 다이커팅하고 도 8의 형상으로 판을 변곡시켜 성형한다. 제1압력끼워맞춤부(212)와 제2압력끼워맞춤부(213)는 도 8에 나타난 스프링부재(210)의 후단부(210b)에 제공된다. 제1압력끼워맞춤부(212)와 제2압력끼워맞춤부(213)는 블록(200)에 제공되는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의 개구(2012)에 가까운 오목부(201b)의 내벽에 압력끼워맞춤된다. 무엇보다도, 스프링부재(210)는 후단부(210b)로부터 스프링부재(210)의 변곡부(211)까지 형성된 비드(bead; 214)를 갖는다. 결합이 된 때, 수형접점(10)의 돌출접점부(12)는 전기와이어에 부착되고 전기와이어를 민다. 따라서, 변곡부(211)의 표면(211a)은 전기와이어와 접촉하게 되고, 표면(211a)은 돌출접점부(12)와 대향된다. 변곡부(211)의 표면(211a)상에서 슬릿(2111)을 둘러싸는 부분은 C표면(2112)을 형성하도록 모따기 된다. 결합이 된 때, 변곡부(211)에 결합되려는 전기와이어는 전기와이어의 코어가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의 축에 일치하도록 C평면(2112)에 의해서 안내된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난 전기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부분적으로 나타난 전기커넥터(1)는 실제로 하우징(100)에 체결되는 블록(200)을 갖는다. 전기와이어(9)는 도 9에 나타난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의 팔각형부(201a)에 삽입되고, 수형접점(10)의 돌출접점부(12)는 전기와이어(9) 아래로부터 전기와이어(9)에 부착된다. 전기와이어(9)는 전기와이어(9)의 코어가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의 축에 일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부재(210)의 C표면(2112)과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의 단부상의 경사면(2011)에 중심일치된다. 돌출접점부(12)는 전기와이어(9)의 외장부재(91)를 관통하고 다수개의 코어와이어(92)와 접촉한다. 외장부재(91)는 돌출접점부(12)를 부착시키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고, 전기와이어(9)를 하방으로 탄성압박하는 스프링부재의 탄성압박력을 극복하고,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의 오목부(201b)에 들어가고, 스프링부재의 변곡부(211)를 상방으로 밀어준다. 도 1의 전기커넥터(1)에서 오목부(201b)는 돌출접점부(12)의 부착방향으로 연장한다. 부가하여 오목부(201b)의 중심과 전기와이어(9)를 수용하는 팔각형부(201a)의 중심은 서로 일치한다. 따라서, 돌출접점부(12)가 전기와이어(9)에 부착될 때, 외장부재(91)는 외력을 수용하는 방 향으로 연장하는 선상에서 오목부(201b)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외장부재(91)는 전기와이어 수용홀(201)의 팔각형부(201a)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는다. 도 1의 전기커넥터(1)에서, 전기와이어는 중심위치되고, 외장부재(91)는 돌출접점부(12)가 전기와이어에 부착할 때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결합이 된 때, 돌출접점부는 다수개의 모아진 코어와이어(92)의 중심에 부착한다. 전기와이어(9)는 스프링부재(210)의 변곡부(211)에 의해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압박되고, 전기와이어(9)의 포위부는 팔각형부(210a)의 벽에 의해서 한정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코어와이어(92)는 외장부재(91)에서 펼쳐짐없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형접점(10)의 돌출접점부(12)와 전기와이어(9)의 코어와이어(92)는 바람직한 전기연결을 형성하다. 외장부재(91)의 탄성이 경년변화에 의해서 사라질 때 조차, 전기와이어(9)는 스프링부재(210)에 의해서 돌출접점부(12)로 압박되고, 지지암(18)에 의해서 변곡부(211)에 가압된다. 따라서, 돌출접점부(12)에 대한 전기와이어(9)의 상대적 이동에 기인한 전기적 분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U자를 뒤집은 모양의 그루브(206)는 도 2에 나타난 블록(200)의 후방(200a)에 제공된다. 결합이 된 후, 프로브(probe)는 U자를 뒤집은 모양의 그루브(206)에 삽입되고 전기와이어(9)와 수형접점(10)사이의 전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형접점의 후단부와 접촉되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암을 설치하면, 스프링부재의 압박효과는 증가되고, 이에 의해서 전기와이어와 돌출접점부의 상대적 이동을 장기간으로 제어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직경의 전기와이어용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해서 전기와이어와 돌출접점부의 상대적 이동은 장기간으로 조절될 수 있다.

Claims (4)

  1. 미리정해진 방향으로 전기와이어를 수용하는 홀을 갖는 블록-상기 전기와이어는 외장부재로 외장된 코어와이어를 가짐-;
    상기 외장부재를 관통하도록 하기 위하여 미리정해진 방향에 직교하여 돌출하는 돌출접점부를 갖는 접점을 고정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돌출접점부의 단부를 상기 홀로 돌출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고, 상기 블록은 상기 홀로 돌출하는 상기 돌출접점부의 단부와 반대되는 위치에 스프링부재를 갖고,
    상기 접점은 상기 홀에 수용된 전기와이어를 상기 스프링부재로 가압하는 지지암을 가지며,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홀에 수용된 전기와이어를 상기 돌출접점부로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홀에 연결되고, 상기 홀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오목부를 갖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며,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접점을 향해 변곡되는 변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곡부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폭방향 중심에서 상기 스프링부재의 연장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과,
    상기 돌출접점부에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슬릿을 둘러싸는 모따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4. 삭제
KR1020030066319A 2002-10-31 2003-09-24 전기 커넥터 KR101018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17977A JP4250404B2 (ja) 2002-10-31 2002-10-31 電気コネクタ
JPJP-P-2002-00317977 2002-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638A KR20040038638A (ko) 2004-05-08
KR101018919B1 true KR101018919B1 (ko) 2011-03-02

Family

ID=32171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319A KR101018919B1 (ko) 2002-10-31 2003-09-24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57894B2 (ko)
JP (1) JP4250404B2 (ko)
KR (1) KR101018919B1 (ko)
CN (1) CN100384018C (ko)
DE (1) DE1034258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4296B1 (en) 2006-09-21 2008-04-08 Hubbell Incorporated Contact termination member for an electrical receptacle
JP5233962B2 (ja) * 2009-11-10 2013-07-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7845968B1 (en) * 2010-01-12 2010-12-07 Phoenix Contact Development & Manufacturing,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JP7232129B2 (ja) * 2019-06-13 2023-03-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M588904U (zh) * 2019-06-28 2020-01-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5845A (ja) * 2000-12-08 2002-06-21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US6416350B1 (en) * 1999-11-02 2002-07-09 Harting Automotive Gmbh & Co. Kg Contact for conductor foi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5695A (en) * 1966-03-01 1968-01-23 Nat Res Dev Connectors for use on flexible tape conductors
JPS5248089A (en) * 1975-10-15 1977-04-16 Keru Kk Connector
JPS5540985U (ko) * 1978-09-11 1980-03-15
JPS5540984U (ko) * 1978-09-11 1980-03-15
DE2933531A1 (de) 1979-08-18 1981-03-26 Basf Ag, 67063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aminoanthrachinon-(beta)-carbonsaeuren
DE3518228A1 (de) * 1985-05-21 1986-11-27 Alfred 6601 Heusweiler Michely Klemme
JPS61133584A (ja) * 1985-10-31 1986-06-20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電気コネクタ用プラグ
JPH0416380Y2 (ko) * 1986-01-20 1992-04-13
JPH0430784Y2 (ko) * 1988-04-23 1992-07-24
JPH04196072A (ja) * 1990-11-27 1992-07-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速結端子
JP2589838Y2 (ja) * 1993-05-31 1999-02-03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圧接接続用コネクタ
DE4403507C1 (de) * 1994-02-04 1995-02-16 Kaiser Gmbh & Co Kg Klemmkontakteinrichtung
JPH09204643A (ja) * 1996-01-29 1997-08-05 Kao Corp 磁気記録媒体
JP2002280088A (ja) * 2001-03-19 2002-09-27 Denso Corp 電線の接合構造
KR101322957B1 (ko) * 2008-10-10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장치와 그 출력 보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6350B1 (en) * 1999-11-02 2002-07-09 Harting Automotive Gmbh & Co. Kg Contact for conductor foil
JP2002175845A (ja) * 2000-12-08 2002-06-21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84018C (zh) 2008-04-23
JP4250404B2 (ja) 2009-04-08
DE10342585B4 (de) 2020-08-13
CN1499672A (zh) 2004-05-26
JP2004152667A (ja) 2004-05-27
KR20040038638A (ko) 2004-05-08
DE10342585A1 (de) 2004-05-19
US20040087203A1 (en) 2004-05-06
US6857894B2 (en) 2005-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8409B2 (en) Connector and cable retainer
KR101646793B1 (ko) 커넥터 및 전자기기
US7377803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US7192301B2 (en) Electrical connector
EP0501629A1 (en) Cable strain relief back shell
US20060252300A1 (en) Connector for flat cable
EP1624532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US8105105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851709B1 (ko) 전기 커넥터
US5338233A (en) Structu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terminal and a wire
JPH0824058B2 (ja) 予備成形された電気接点アレイおよび電気コネクタ
JP2006049261A (ja) コネクタ
US6997761B2 (en) Electrical contact element
JP4915880B2 (ja) シェル付き電気コネクタ
KR101018919B1 (ko) 전기 커넥터
JP3681173B2 (ja) Smt型dinコネクタ
JPH1027636A (ja) 電気コネクタ
JP2008077952A (ja) コネクタ
US10756450B2 (en) Terminal and electric wire with the same
US4941842A (en) Board-in type contact-connectors
JP3412740B2 (ja) 端子金具
JP7106090B2 (ja) 電気コネクタ
JP7249157B2 (ja) コネクタ端子
JP5137654B2 (ja) 接続端子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2510960Y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