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061B1 - 캠 장치 - Google Patents

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061B1
KR101017061B1 KR1020030013346A KR20030013346A KR101017061B1 KR 101017061 B1 KR101017061 B1 KR 101017061B1 KR 1020030013346 A KR1020030013346 A KR 1020030013346A KR 20030013346 A KR20030013346 A KR 20030013346A KR 101017061 B1 KR101017061 B1 KR 101017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lide
cam
rod
slide
suppor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4195A (ko
Inventor
미야지다카유키
기리아키히데키
Original Assignee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4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2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01C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개시된 캠 장치는, 캠 드라이버와, 캠 드라이버에 접촉하여 이동되도록 되며, 관통공을 가진 캠 슬라이드와, 캠 슬라이드를 X 및 Y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며, 캠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 X 및 Y의 전방에 배치된 전벽부와 캠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 X 및 Y에서 전벽부에 대향되는 후방에 凹 부분을 가지고 개구되어 있는 캠슬라이드 지지기대를 가진 캠 슬라이드 지지수단과, 캠 슬라이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캠 장치{Cam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바람직한 예의 일부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 Ⅱ에 대해서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대해서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주요 부호의 설명]
1 캠 장치
3 캠 드라이버
6 관통공
7 캠 슬라이드
8 전벽부
9 凹 부분
10 캠슬라이드 지지기대
11 캠슬라이드 지지수단
12 복귀기구
본 발명은 캠 드라이버에 의해 캠 슬라이드를 슬라이딩시켜, 캠 슬라이드에 장착된 공구에 의해 박판 등의 피가공물에 천공(punching) 절곡(bending) 등의 가공을 수행하는 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서스펜디드 캠 타입(suspended cam type)의 캠 장치는 일반적으로 캠드라이버 지지기대에 고정적으로 지지되게 되어 있는 캠 드라이버와, 캠 드라이버의 슬라이딩 면에 이동 자유롭게 접촉하도록 당해 슬라이딩 면과 상보적인 형상의 슬라이딩 면을 가진 캠 슬라이드와, 캠 슬라이드가 캠 슬라이드의 슬라이딩 면과 캠 드라이버의 슬라이딩 면의 접촉에 의해 캠 드라이버의 슬라이딩 면에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당해 캠 슬라이드를 이동 자유롭게 매달아 지지하는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와, 캠 슬라이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력을 발생하는 코일 스프링을 가진 복귀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서스펜디드 캠 타입의 캠 장치에 있어서 하사점 상태에서의 날공구 선단부의 위치 조정, 확인 작업을 수행할 때에, 이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사점 상태에서 큰 복귀력을 발생하는 코일 스프링의 제거 작업이 일반적으로 사전에 행해진다.
그런데, 이러한 코일 스프링의 제거 작업은 캠 슬라이드의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에 대한 제거 및 설치 작업을 수반한다. 또, 위치 조정, 확인 작업 후에는 다 시 코일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해서 캠 슬라이드의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에 대한 제거 및 설치 작업을 필요로 한다.
또한, 하사점 상태에서의 날공구 선단부의 위치 조정, 확인 작업에서의 코일 스프링의 제거 작업을 위해서 캠 슬라이드의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에 대한 제거 및 설치 작업을 수반하는 캠 장치에서는 코일 스프링의 보수, 점검, 교환에 있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번잡한 작업을 요구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불편함은 서스펜디드 캠 타입의 캠 장치에 한해서 생기는 게 아니라 로우어 마운티드 타입(lower mounted type)의 캠 장치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관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캠 슬라이드의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에 대한 제거 및 설치와 같은 번잡한 작업을 하지 않아도 공구 선단부의 위치 조정, 확인 작업 및 코일 스프링의 보수, 점검, 교환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일 양태의 캠 장치는, 캠 드라이버와, 상기 캠 드라이버에 접촉하여 이동되며, 관통공을 가진 캠 슬라이드와, 상기 캠 슬라이드를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며, 상기 캠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의 전방에 배치된 전벽부와 상기 캠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전벽부와 대향되는 후방에 개구되어 있는 캠슬라이드 지지기대를 가진 캠 슬라이드 지지수단과, 상기 캠 슬라이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 키는 복귀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복귀기구는, 상기 캠 슬라이드의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를 상기 캠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슬라이딩 자유롭게 지지하며, 상기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의 개구 쪽에 위치하는 상기 캠 슬라이드의 상기 관통공의 일측 개구단에 있어서 상기 캠 슬라이드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된 로드 지지부재와, 상기 캠 슬라이드를 상기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의 개구 방향을 향해 탄성적으로 바이어스시키도록 상기 전벽부와 상기 로드 지지부재 사이에 상기 로드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다.
제일 양태의 캠 장치에 의하면, 로드 지지부재가 캠 슬라이드의 관통공 일측 개구단에 있어서, 캠 슬라이드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 지지부재를 캠 슬라이드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코일 스프링의 복귀 방향 탄성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날공구 선단부의 위치 조정, 확인 작업에 있어서 복귀력의 발생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로드는, 그 제2 양태의 캠 장치와 같이, 로드 본체와, 일단부가 로드 본체의 일단부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로드 부체(副體)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로드라면, 로드 본체와 로드 부체를 서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을 용이하게 로드에 대해 제거,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로드는, 그 제3 양태의 캠 장치와 같이,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의 전벽부에 당접하는 일측 방대 단부와,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의 개구 쪽에 위치하는 타측 방대 단부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로드라면, 로드 지지부재로부터 로드가 빠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은, 그 제4 양태의 캠 장치와 같이, 일단부는 상기 일측 방대 단부에, 타단부는 로드 지지부재 또는 그 타단부와 로드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된 조정판에 당접해 있는 것이 좋다. 이러한 코일 스프링이라면, 복귀기구를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의 개구 쪽으로 빼내서, 확실하게 코일 스프링도 빼낼 수 있으며, 또한 로드 지지부재와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 사이에 조정판이 비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두께의 조정판을 사용함으로써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 나아가서는 복귀력을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캠 장치에서는, 상기한 어느 한 양태의 캠 장치에 있어서, 캠 슬라이드는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의 개구 쪽에 위치하는 단면에 凹 부분을 가지며, 로드 지지부재는 캠 슬라이드의 凹 부분에 있어서 볼트를 통해서 당해 캠 슬라이드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제5 양태의 캠 장치에 의하면, 캠 슬라이드 단면에서의 로드 지지부재의 돌출을 적게 하거나 없앨 수 있고, 따라서 로드 지지부재가 부가되어도 캠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에 대한 장치 길이가 길어지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캠 장치에서는, 상기한 어느 한 양태의 캠 장치에 있어서, 캠슬라이드 지지기대는 캠 슬라이드 양쪽에 배치된 양쪽 벽부와, 양쪽 벽부 각각에 있어서 캠 슬라이드를 이동 자유롭게 매달아 지지하는 현가(懸架) 지지 기구를 구비하며, 캠 슬라이드 지지수단은 캠 슬라이드의 캠슬라이드 지지기대로부터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방지 기구를 구비하며, 낙하방지 기구는 캠 슬라이드의 낙하에 있어서 로드의 각 단부를 수용하도록 전벽부 쪽은 전벽부 또는 양쪽 벽부에, 개구 쪽은 양쪽 벽부에 각각 제거 자유롭게 설치되는 낙하 방지판을 구비한다.
제6 양태의 매달리는 캠 타입의 캠 장치에서는, 낙하방지 기구가 캠 슬라이드의 낙하에 있어서 로드의 각 단부를 수용하도록 전벽부 쪽은 전벽부 또는 양쪽 벽부에, 개구 쪽은 양쪽 벽부에 각각 제거 자유롭게 설치되는 낙하 방지판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가령 현가 지지 기구가 기능하지 못하게 되어도 캠 슬라이드의 캠슬라이드 지지기대로부터의 의도하지 않는 낙하를 막을 수 있으며 지극히 안전하다(fail safe).
낙하 방지판은, 제7 양태의 캠 장치와 같이, 전벽부 쪽은 전벽부 또는 양쪽 벽부의 하면에, 개구 쪽은 양쪽 벽부의 하면에 각각 볼트에 의해 제거 자유롭게 설치된다.
제7 양태의 캠 장치에 의하면, 낙하 방지판이 하면에 볼트에 의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에서 볼트를 풀어서 그것을 제거함으로써 낙하 방지판을 간단히 빼낼 수 있어서 복귀기구의 인출 작업을 더욱 어려움 없이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양태의 캠 장치에서는, 상기한 제6 또는 제7 양태의 캠 장치에 있어서, 캠 슬라이드는 캠슬라이드 본체와,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의 각 측벽부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캠슬라이드 본체의 각 측면에 설치된 활판을 구비하며, 현가 지지 기구는 양쪽 벽부 각각의 하면에 제거 자유롭게 설치된 현가 부재를 구비하며, 이 현가 부재의 선단부를 캠 슬라이드의 활판 하면에 배치하여 캠 슬라이드를 이동 자유롭게 매달고 있다.
본 발명의 제9 양태의 캠 장치에서는, 상기한 어느 한 양태의 캠 장치에 있 어서, 캠 드라이버는 캠드라이버 지지기대에 고정적으로 지지되게 되어 있고, 캠 슬라이드는 캠 드라이버의 슬라이딩 면에 이동 자유롭게 접촉하도록 당해 슬라이딩 면과 상보적인 형상의 슬라이딩 면을 가지며, 캠슬라이드 지지기대는 캠 슬라이드가 캠 슬라이드의 슬라이딩 면과 캠 드라이버의 슬라이딩 면의 접촉에 의해 캠 드라이버의 슬라이딩 면에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당해 캠 슬라이드를 이동 자유롭게 매달아 지지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0 양태의 캠 장치에서는, 상기한 어느 한 양태의 캠 장치에 있어서, 로드는 관통공의 직경보다 작은 최대 직경을 가지고 있고, 코일 스프링은 관통공의 직경보다 작은 최대 직경을 가지고 있다.
제10 양태의 캠 장치에 의하면, 캠 슬라이드의 관통공을 통과하고 있는 로드가 관통공의 직경보다 작은 최대 직경을 가지며, 전벽부와 로드 지지부재 사이에 있어 로드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이 관통공의 직경보다 작은 최대 직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로드 지지부재, 로드 및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유닛화된 복귀기구를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의 개구 쪽에서 빼낼 수 있는 결과, 캠 슬라이드의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에 대한 제거 및 설치와 같은 번잡한 작업을 하지 않아도 공구 선단부의 위치 조정, 확인 작업 및 코일 스프링의 보수, 점검, 교환 작업을 신속하게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 및 그 실시예를 도면에 도시되는 예시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 예시로 아무런 한정을 받는 게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도 4에 있어서, 본 예시의 서스펜디드 캠 타입의 캠 장치(1)는 캠드라이버 지지기대(2)에 고정적으로 지지되게 되어 있는 캠 드라이버(3)와, 캠 드라이버(3)의 슬라이딩 면(4)에 이동 자유롭게 접촉하도록 슬라이딩 면(4)과 상보적인 형상의 슬라이딩 면(5, 도 4 참조)을 가짐과 동시에 관통공(6)을 가진 캠 슬라이드(7)와, 캠 슬라이드(7)가 캠 슬라이드(7)의 슬라이딩 면(5)과 캠 드라이버(3)의 슬라이딩 면(4)의 접촉에 의해 캠 드라이버(3)의 슬라이딩 면(4)에 의해 안내되어 X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당해 캠 슬라이드(7)를 X 및 Y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함과 동시에, 캠 슬라이드(7)의 이동 방향 X 쪽의 전방에 배치된 전벽부(8)와 캠 슬라이드(7)의 이동 방향 X에 있어서 전벽부(8)에 대향되는 후방에 凹 부분(9)을 가지고 개구되어 있는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를 가진 캠 슬라이드 지지수단(11)과, 캠 슬라이드(7)를 초기 위치(도 1에 도시되는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기구(12)를 구비하고 있다.
캠 드라이버(3)는 캠드라이버 지지기대(2)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된 기대본체(15)와, 기대본체(15)의 경사 상면(16)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기부(17)를 구비한다. 슬라이딩 면(4)은 본 예시에서는 역V자 모양으로 되어 돌기부(17)에 마련되어 있다.
캠 슬라이드(7)는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의 凹 부분(9)으로 규정된 개구(18) 쪽에 위치하는 단면(19)에 凹 부분(20)을 가지며, 캠 드라이버(3)에 접촉하여 이동되게 되어 있다. 캠 슬라이드(7)는 상기한 관통공(6) 및 관통공(6)에 연통하는 凹 부분(20)이 각각 형성된 캠슬라이드 본체(25)와,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의 측벽부(26 및 27, 도 2 참조) 각각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캠슬라이드 본체(25)의 측면(28 및 29, 도 2 참조) 각각에 매입 볼트 등에 의해 설치된 활판(30 및 31, 도 2 참조)과,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의 기부(32)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캠슬라이드 본체(25)의 상면(33)에 매입 볼트 등에 의해 설치된 활판(34)과, 캠슬라이드 본체(25)의 경사 하면(35)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2갈래 돌기부(36, 도 4 참조)를 구비한다. 슬라이딩 면(5)은 본 예시에서는 역V자 모양으로 되어 돌기부(36)에 마련된다. 캠슬라이드 본체(25)의 전면(37)에 날공구 등의 공구가 볼트 등을 통해서 설치된다.
캠 슬라이드 지지수단(11)은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에 더하여 캠 슬라이드(7)의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로부터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방지 기구(41)를 구비하고 있다.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는 기부(base portion)(32)와, 캠 슬라이드(7)의 캠슬라이드 본체(25) 양쪽에 위치되며, 기부(32) 양쪽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양쪽 벽부(26 및 27)와, 양쪽 벽부(26 및 27)를 연결하여 당해 양쪽 벽부(26 및 27) 및 기부(32)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전벽부(8)와, 양쪽 벽부(26 및 27) 각각에 있어서 캠 슬라이드(7)를 이동 자유롭게 매달아 지지하는 현가 지지 기구(42)를 구비한다. 기부(32)는 유압 램(ram) 등에 설치되는 기반(foundation bed)(43)에 볼트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전벽부(8), 양쪽 벽부(26 및 27) 및 기부(32)에 의해 공동부(44)가 정의된다. 개구(18)에 의해 오픈된 공동부(44)에 캠슬라이드 본체(25)의 상부가 X 및 Y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위치된다.
현가 지지 기구(42)는 양쪽 벽부(26 및 27) 각각의 하면(45 및 46)에 매립 볼트(stud bolt) 등에 의해 제거 자유롭게 설치되는 판자 형상의 현가 부재(47 및 48)를 구비하며, 현가 부재(47 및 48)의 선단부를 캠 슬라이드(7)의 활판(30 및 31) 하면(49 및 50)에 배치하여 캠 슬라이드(7)를 X 및 Y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매달고 있다.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는, 캠 슬라이드(7)가 캠 슬라이드(7)의 슬라이딩 면(5)과 캠 드라이버(3)의 슬라이딩 면(4)과의 접촉에 의해 캠 드라이버(3)의 슬라이딩 면(4)에 안내되어 X 및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현가 지지 기구(42)를 통해서 당해 캠 슬라이드(7)를 X 및 Y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매달아 지지하게 되어 있다.
낙하방지 기구(41)는 캠 슬라이드(7)의 의도하지 않는 낙하에 있어서 로드(55) 각 단부의 방대 단부(직경이 확대된 부분)(56 및 57)를 수용하도록 전벽부(8) 쪽에는 전벽부(8) 또는 양쪽 벽부(26 및 27)에, 본 예시에서는 전벽부(8)에, 개구(18) 쪽에는 양쪽 벽부(26 및 27)에 볼트(58)에 의해 제거 자유롭게 설치되는 낙하 방지판(59 및 60)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낙하 방지판(59)은 전벽부(8)에 있어서 당해 전벽부(8) 하면(61)에 볼트(58)에 의해 제거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낙하 방지판(60)은 개구(18) 쪽에 있어서 측벽부(26 및 27)를 연결하여 양쪽 벽부(26 및 27) 하면(45 및 46)에 각각 볼트(58)에 의해 제거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낙하방지 기구(41)는, 현가 지지 기구(42)의 현가 부재(47 및 48)를 측벽부(26 및 27) 하면(45 및 46)에 고정하는 볼트가 풀려서 현가 부재(47 및 48)가 측벽부(26 및 27) 하면(45 및 46)부터 탈락하더라도, 낙하 방지판(59 및 60)에 의해 로드(55)의 방대 단부(56 및 57)를 밑에서 받쳐서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로부터의 캠 슬라이드(7)의 낙하를 방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낙하 방지판(59 및 60)은 볼트(58)를 풀어서 제거함으로써 전벽부(8) 및 측벽부(26 및 27) 각각부터 빼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복귀기구(12)는 캠 슬라이드(7)의 캠슬라이드 본체(25)의 관통공(6)을 통과하며 관통공(6)의 직경(D1)보다 작은 최대 직경(D2)을 가진 로드(55)와, 로드(55)를 캠 슬라이드(7)의 이동 방향 X 및 Y에 대해서 슬라이딩 자유롭게 지지하며,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의 개구(18) 쪽에 위치하는 캠슬라이드 본체(25) 관통공(6)의 개구단(65) 쪽에 위치되어 캠 슬라이드(7)의 캠슬라이드 본체(25)에 볼트(66)에 의해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로드 지지부재(67)와, 캠 슬라이드(7)를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의 개구(18) 방향을 향해 탄성적으로 바이어스시켜, 캠 슬라이드(7)를 초기 위치(도 1에 도시되는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전벽부(8)와 로드 지지부재(67) 사이에 로드(55)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관통공(6)의 경(D1)보다 작은 최대경(D3)을 가진 코일 스프링(68)을 구비하고 있다.
로드(55)는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의 전벽부(8)에 당접하는 방대 단부(56)와,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의 개구(18) 쪽에 위치하는 방대 단부(57)와, 방대 단부(57)가 일체적으로 마련된 로드 본체(71)와, 일단부가 로드 본체(71)의 일단부에 나사로 체결되며 방대 단부(56)가 일체적으로 마련된 로드 부체(72)를 구비하고 있 다.
로드 지지부재(67)는 캠슬라이드 본체(25)의 凹 부분(20)에 있어서 볼트(66)를 통해서 당해 캠 슬라이드(7)의 캠슬라이드 본체(25)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68)은 일단부는 방대 단부(56)에, 타단부는 로드 지지부재(67)와 당해 타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로드 본체(71)에 장착된 환상의 조정판(73)에 각각 당접되어 있다. 그리고, 방대 단부(56)를 설치하지 않을 때에는 코일 스프링(68)의 일단부를 전벽부(8)에 당접시켜도 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68)의 스프링력을 그 두께를 가지고 조정하는 조정판(73)을 마련하지 않을 때에는 코일 스프링(68)의 타단부를 로드 지지부재(67)에 당접시켜도 된다.
복귀기구(12)는 기반(43)에 연결된 유압 램(미도시)의 작동에 의한 기반(43) 및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의 D방향의 하강으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캠 드라이버(3)에 의해 캠 슬라이드(7)가 X방향으로 이동된 후에 유압 램의 역작동에 의해 기반(43)과 함께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가 U방향으로 상승될 때에, 캠 슬라이드(7)를 코일 스프링(68)의 탄성력에 의해 Y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캠슬라이드 본체(25)의 단면(19)이 기부(32)의 단(段)부(75)에 당접하는 초기 위치로 캠 슬라이드(7)를 복귀시키게 되어 있다.
이상의 캠 장치(1)에서는, 캠 슬라이드(7)가 도 1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복귀된 상태에서 유압 램이 작동되어 기반(43)과 함께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가 D방향으로 하강되면, 캠 슬라이드(7)는 그 슬라이딩 면(5)과 캠 드라이버(3)의 슬라 이딩 면(4)과의 접촉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으로 이동되어 캠슬라이드 본체(25)의 전면(37)에 설치된 공구로, 예컨대 절곡 가공을 수행하게 되어 있다.
절곡 가공 후 캠 장치(1)에서는, 유압 램이 역작동되어 기반(43)과 함께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가 U방향으로 상승되면, 캠 슬라이드(7)는 그 슬라이딩 면(5)과 캠 드라이버(3)의 슬라이딩 면(4)과의 접촉 해제와 함께 복귀기구(12)의 코일 스프링(68)의 탄성력에 의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Y방향으로 이동되어 초기 위치에 복귀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캠 장치(1)에서는 로드 지지부재(67)가 캠 슬라이드(7)의 관통공(6)의 개구단(65)에 있어서 캠 슬라이드(7)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캠 슬라이드(7)의 관통공(6)을 통과하고 있는 로드(55)가 관통공(6)의 직경(D1)보다 작은 최대 직경(D2)을 가지며, 전벽부(8)와 로드 지지부재(67) 사이에 있어 로드(55)를 둘러싸서 배치되고 있는 코일 스프링(68)이 관통공(6)의 직경(D1)보다 작은 최대 직경(D3)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볼트(58)를 풀어서 낙하 방지판(60)을 측벽부(26 및 27) 각각에서 제거한 후에 볼트(66)를 풀어서 로드 지지부재(67)를 캠 슬라이드(7)의 캠슬라이드 본체(25)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우선 코일 스프링(68)의 복귀 방향의 탄성력을 발생시키지 않게 할 수 있어, 도 5에 도시되는 하사점 상태에서의 공구 선단부의 위치 조정, 확인 작업에 있어서의 복귀력의 발생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로드 지지부재(67), 로드(55) 및 코일 스프링(68)으로 이루어지는 유닛화된 복귀기구(12)를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의 개구(18) 쪽에서 빼낼 수 있는 결과, 캠 슬라이드(7)의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에 대한 제거 및 설치와 같은 번잡한 작업을 하지 않아도 공구 선단부의 위치 조정, 확인 작업 및 코일 스프링(68)의 보수, 점검, 교환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캠 장치(1)에서는 로드(55)가 로드 본체(71)와 로드 본체(71)에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로드 부체(72)를 구비하고 있어, 로드 본체(71)와 로드 부체(72)를 서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68)을 용이하게 로드(55)에 대하여 제거,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로드(55)가 방대 단부(56 및 57)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로드 지지부재(67)로부터의 로드(55)의 의도하지 않는 빠짐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캠 장치(1)에서는 코일 스프링(68)의 일단부가 방대 단부(56)에 당접하고 있기 때문에, 복귀기구(12)를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의 개구(18) 쪽에서 빼냄으로써 확실히 코일 스프링(68)도 빼낼 수 있다. 또한, 로드 지지부재(67)와 코일 스프링(68)의 타단 사이에 조정판(73)이 비치되어 있기 때문에 적절한 두께의 조정판(73)을 사용함으로써 코일 스프링(68)의 탄성력, 나아가서는 복귀력을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로드 지지부재(67)가 凹 부분(20)에 있어서 볼트(66)를 통해서 캠 슬라이드(7)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캠 슬라이드(7)의 단면(19)으로부터의 로드 지지부재(67)의 돌출을 적게 하거나 없앨 수 있으며, 따라서 로드 지지부재(67)가 부가되어도 캠 슬라이드(7)의 이동 방향에 대한 장치 길이가 길어지는 일이 없다.
또한, 캠 장치(1)에서는 낙하방지 기구(41)가, 캠 슬라이드(7)의 낙하에 있어서 로드(55)의 각 단부의 방대 단부(56 및 57)를 수용하도록 전벽부(8) 및 측벽부(26 및 27)에 각각 제거 자유롭게 설치된 낙하 방지판(59 및 60)을 구비하므로, 가령 현가 지지 기구(42)가 기능하지 않게 되어도 캠 슬라이드(7)의 캠슬라이드 지지기대(10)로부터의 의도하지 않는 낙하를 막을 수 있어서 지극히 안전하다(fail safe). 또한, 낙하 방지판(59)이 전벽부(8) 하면(61)에, 낙하 방지판(60)이 양쪽 벽부(26 및 27) 하면(45 및 46)에 각각 볼트(58)에 의해 제거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밑에서 볼트(58)를 풀어서 그것을 빼냄으로써 낙하 방지판(59 및 60)을 간단히 빼낼 수 있으며, 또한 낙하 방지판(60)의 간단한 제거로 복귀기구(12)의 인출 작업을 더욱 어려움 없이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캠 슬라이드의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에 대한 제거 및 설치와 같은 번잡한 작업을 하지 않아도 공구 선단부의 위치 조정, 확인 작업 및 코일 스프링의 보수, 점검, 교환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캠 드라이버와,
    상기 캠 드라이버에 접촉하여 이동되며, 관통공을 가진 캠 슬라이드와,
    상기 캠 슬라이드를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며, 상기 캠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의 전방에 배치된 전벽부와 상기 캠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전벽부와 대향되는 후방에 개구되어 있는 캠슬라이드 지지기대를 가진 캠 슬라이드 지지수단과,
    상기 캠 슬라이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복귀기구는,
    상기 캠 슬라이드의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를 상기 캠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슬라이딩 자유롭게 지지하며, 상기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의 개구 쪽에 위치하는 상기 캠 슬라이드의 상기 관통공의 일측 개구단에 있어서 상기 캠 슬라이드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된 로드 지지부재와,
    상기 캠 슬라이드를 상기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의 개구 방향을 향해 탄성적으로 바이어스시키도록 상기 전벽부와 상기 로드 지지부재 사이에 상기 로드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는 캠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로드 본체와, 그 일단부가 상기 로드 본체의 일단부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로드 부체를 구비하는 캠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의 상기 전벽부에 당접하는 일측 방대 단부와, 상기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의 개구 쪽에 위치하는 타측 방대 단부를 구비하는 캠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그 일단부는 상기 일측 방대 단부에, 그 타단부는 상기 로드 지지부재 또는 그 타단부와 상기 로드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된 조정판에 당접하는 캠 장치.
  5. 제1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슬라이드는 상기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의 개구 쪽에 위치하는 단면에 凹 부분을 가지며, 상기 로드 지지부재는 상기 캠 슬라이드의 凹 부분에 있어서 볼트를 통해서 상기 캠 슬라이드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캠 장치.
  6. 제1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슬라이드 지지기대는 상기 캠 슬라이드 양쪽에 배치된 양쪽 벽부와, 상기 양쪽 벽부 각각에 있어서 상기 캠 슬라이드를 이동 자유롭게 매달아 지지하는 현가 지지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캠 슬라이드 지지수단은 상기 캠 슬라이드의 상기 캠슬라이드 지지기대로부터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방지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낙하방지 기구는 상기 캠 슬라이드의 낙하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각 단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전벽부 쪽은 상기 전벽부 또는 상기 양쪽 벽부에, 상기 개구 쪽은 상기 양쪽 벽부에 각각 제거 자유롭게 설치되는 낙하 방지판을 구비하는 캠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방지판은 상기 전벽부에 있어서는 상기 전벽부 또는 상기 양쪽 벽부 하면에, 상기 개구 쪽에 있어서는 상기 양쪽 벽부의 하면에 각각 볼트에 의해 제거 자유롭게 설치되는 캠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슬라이드는 캠슬라이드 본체와, 상기 캠슬라이드 지지기대의 각 측벽부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상기 캠슬라이드 본체의 각 측면에 설치된 활판을 구비하며,
    상기 현가 지지 기구는 상기 양쪽 벽부 각각의 하면에 제거 자유롭게 설치되는 현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현가 부재의 선단부를 상기 캠 슬라이드의 상기 활판 하면에 배치하여 상기 캠 슬라이드를 이동 자유롭게 매달고 있는 캠 장치.
  9. 제1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드라이버는 캠드라이버 지지기대에 고정적으로 지지되게 되어 있고,
    상기 캠 슬라이드는 상기 캠 드라이버의 슬라이딩 면에 이동 자유롭게 접촉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면과 상보적인 형상의 슬라이딩 면을 가지며,
    상기 캠슬라이드 지지기대는, 상기 캠 슬라이드가 상기 캠 슬라이드의 슬라이딩 면과 상기 캠 드라이버의 슬라이딩 면의 접촉에 의해 상기 캠 드라이버의 슬라이딩 면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캠 슬라이드를 이동 자유롭게 매달아 지지하는 캠 장치.
  10. 제1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관통공의 직경보다 작은 최대직경을 가지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관통공의 직경보다 작은 최대직경을 가지는 캠 장치.
KR1020030013346A 2002-03-07 2003-03-04 캠 장치 KR101017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62063A JP4221937B2 (ja) 2002-03-07 2002-03-07 カム装置
JPJP-P-2002-00062063 2002-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195A KR20030074195A (ko) 2003-09-19
KR101017061B1 true KR101017061B1 (ko) 2011-02-25

Family

ID=2776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346A KR101017061B1 (ko) 2002-03-07 2003-03-04 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86296B2 (ko)
EP (1) EP1344586B1 (ko)
JP (1) JP4221937B2 (ko)
KR (1) KR101017061B1 (ko)
CN (1) CN1234502C (ko)
DE (1) DE60300310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09B1 (ko) * 2014-05-30 2015-06-25 (주)디엠티월드 블랭킹 다이의 사이드 게이지에 대한 스트로크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3192B2 (ja) * 2003-03-31 2010-06-16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ホルダユニット及びそのホルダユニットを具備したヘミング加工装置
US7431502B2 (en) * 2004-09-15 2008-10-07 Anchor Lamina America, Inc. Universal cam slide
JP4599971B2 (ja) * 2004-09-29 2010-12-15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カム装置
DE102006036654B4 (de) * 2006-08-03 2008-12-04 Harald Weigelt Keiltrieb mit Zwangsrückholeinrichtung
JP5217247B2 (ja) * 2007-05-24 2013-06-19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カム装置
CN101584641A (zh) * 2008-05-23 2009-11-25 北京航天长峰股份有限公司 一种全自动胶囊充填机的滑动架的拆卸方法
DE102008061420B9 (de) * 2008-12-10 2011-02-10 voestalpine Gießerei Linz GmbH Keiltrieb
JP2010279987A (ja) * 2009-06-05 2010-12-16 Oiles Ind Co Ltd カム装置
JP2011140048A (ja) * 2010-01-08 2011-07-21 Sankyo Oilless Industry Inc カム装置
FR2984189B1 (fr) * 2011-12-15 2014-05-0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esse a emboutir permettant le travail d’une tole dans deux directions differentes de celle du mouvement de la presse
DE102022106585B4 (de) * 2022-03-21 2023-10-19 F I B R O Gmbh Schieberanordn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4094A (ja) * 1994-12-27 1996-07-09 Oiles Ind Co Ltd プレス用カム型
JPH10113729A (ja) 1996-10-11 1998-05-06 Oiles Ind Co Ltd プレス金型用カム
JP2000158063A (ja) 1998-11-27 2000-06-13 Oiles Ind Co Ltd カム装置
KR200265750Y1 (ko) 2001-11-26 2002-02-25 주식회사 루-보 금형용 캠 유니트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011B2 (ja) 1990-09-29 1994-11-16 ユミックス株式会社 スライドカムを備えた金型
US5269167A (en) * 1992-01-09 1993-12-14 Connell Limited Partnership Universal aerial cam unit
US5487296A (en) * 1992-01-09 1996-01-30 Connell Limited Partnership Univers cam unit
JP3610596B2 (ja) * 1994-06-30 2005-01-12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プレス型のカム装置
DE19680783B3 (de) 1995-07-31 2014-08-14 Oiles Corp. Nocke für ein Preßwerkzeug
JP3624485B2 (ja) * 1995-09-21 2005-03-02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プレス金型用カム
DE19753549C2 (de) 1997-12-03 2000-02-17 Harald Weigelt Keiltrieb
US5884521A (en) 1998-07-10 1999-03-23 Lamina, Inc. High performance aerial and die mount cams
JP3757635B2 (ja) * 1998-08-26 2006-03-22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カム装置
JP3549771B2 (ja) * 1999-05-20 2004-08-04 三協オイルレス工業株式会社 吊りカム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4094A (ja) * 1994-12-27 1996-07-09 Oiles Ind Co Ltd プレス用カム型
JPH10113729A (ja) 1996-10-11 1998-05-06 Oiles Ind Co Ltd プレス金型用カム
JP2000158063A (ja) 1998-11-27 2000-06-13 Oiles Ind Co Ltd カム装置
KR200265750Y1 (ko) 2001-11-26 2002-02-25 주식회사 루-보 금형용 캠 유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09B1 (ko) * 2014-05-30 2015-06-25 (주)디엠티월드 블랭킹 다이의 사이드 게이지에 대한 스트로크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00310T2 (de) 2005-12-29
JP4221937B2 (ja) 2009-02-12
EP1344586B1 (en) 2005-02-09
US6986296B2 (en) 2006-01-17
KR20030074195A (ko) 2003-09-19
JP2003260526A (ja) 2003-09-16
DE60300310D1 (de) 2005-03-17
US20030167874A1 (en) 2003-09-11
EP1344586A1 (en) 2003-09-17
CN1443627A (zh) 2003-09-24
CN1234502C (zh) 200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061B1 (ko) 캠 장치
US6095509A (en) Clamping apparatus
US6820327B2 (en) Fastener installation apparatus
US6244580B1 (en) Machining vise
US5881599A (en) Cam for press die
WO2003091011A1 (en) Bearing press support adaptor
JP5217247B2 (ja) カム装置
CN214350905U (zh) 机器人手臂夹具
CN220073983U (zh) 一种手锁自动定心夹具
JPH01129912A (ja) 高炉の湯出し口を孔抜きするロッドを孔抜き機械へ結合するためのグリッパを装着する装置
WO2023188782A1 (ja) ねじ浚いモジュールおよびねじ浚いユニット
CN220372268U (zh) 一种加工轮毂的气动钻夹具
CN116511956A (zh) 一种手锁自动定心夹具
CN218891778U (zh) 一种反扣式翻转装置
CN219520552U (zh) 一种用于无缝钢管加工的穿孔机
KR102397048B1 (ko) 열변형된 튜브 정비툴
CN216264637U (zh) 一种用于数控车床加工的工件固定治具
CN220427544U (zh) 一种夹持牢固的工装夹具
JP2569344Y2 (ja) クランプ装置
CN220680047U (zh) 一种带锁紧装置的弹簧支撑
JP4808669B2 (ja) 吊りカム装置
EP0577974A1 (en) Lower tool device for press brake
CN217123166U (zh) 一种自适应对接桁架抓手
CN208584391U (zh) 一种位置可调动的削磨夹具
KR200312868Y1 (ko) 피니언치홈흔들림체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