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823B1 - 전락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전락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823B1
KR101013823B1 KR1020080113910A KR20080113910A KR101013823B1 KR 101013823 B1 KR101013823 B1 KR 101013823B1 KR 1020080113910 A KR1020080113910 A KR 1020080113910A KR 20080113910 A KR20080113910 A KR 20080113910A KR 101013823 B1 KR101013823 B1 KR 101013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 prevention
prevention member
drive
braking
retract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478A (ko
Inventor
타쿠야 히로타
이사오 칸바라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5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플랫폼상에 설치된 섀시와, 그 섀시로부터 돌출되어 플랫폼과 열차 사이의 간극을 폐쇄하는 돌출 위치와 이 돌출 위치로부터 후퇴한 상기 섀시내의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섀시에 장착된 전락 방지 부재와, 그 전락 방지 부재를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한 전락 방지 장치로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전락 방지 부재에 설치됨과 아울러 그 전락 방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구동용 랙과, 그 구동용 랙에 맞물리는 구동용 피니언과, 상기 섀시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용 피니언을 회전시켜서 상기 구동용 랙과 함께 상기 전락 방지 부재를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락 방지 장치는 상기 구동 기구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상기 전락 방지 부재가 상기 돌출 위치에 있을 때 그 전락 방지 부재의 상기 퇴피 위치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전락 방지 장치

Description

전락 방지 장치{DOWNFALL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전락 방지 장치(轉落防止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역의 플랫폼과 열차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폐쇄함으로써 열차로의 승객의 승강시의 전락 등을 방지하는 전락 방지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락 방지 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5-1480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2005-14805호 공보에 개시된 전락 방지 장치는 본체 프레임과, 전락 방지 부재와,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은 얇은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플랫폼 선로측의 단부 가장자리 근방에 설치된다. 전락 방지 부재는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플랫폼과 열차 사이의 간극을 폐쇄하는 돌출 위치와, 이 돌출 위치로부터 후퇴한 본체 프레임내의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구동 기구는 전락 방지 부재를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다. 열차가 역에 정차하면 전락 방지 부재는 구동 기구에 의해 상기 퇴피 위치로부터 상기 돌출 위치로 이동되어서 플랫폼과 열차 사이의 간극을 폐쇄하고, 그 후 열차로의 승객의 승강이 종료되면 전락 방지 부재는 구동 기구에 의해 상기 돌출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구동 기구는 전락 방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볼 나사와, 전락 방지 부재에 결합됨과 아울러 볼 나사에 나사 결합된 너트와, 볼 나사를 그 축둘레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볼 나사는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그 축둘레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너트가 볼 나사를 따라 이동한다. 그 너트의 이동에 따라 전락 방지 부재는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또한, 이 전락 방지 장치에서는 승객이 열차에 승강할 때 그 승객에 의해 전락 방지 부재가 밟힐 것이다. 그 때, 전락 방지 부재에는 상기 돌출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측으로 향하는 족축력(足蹴力)이 부가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 족축력에 의해 전락 방지 부재가 퇴피 위치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돌출 위치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에는 퇴피 위치측으로의 이동에 저항하는 제동력이 부여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볼 나사의 단부에 전자 브레이크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볼 나사는 전락 방지 부재가 돌출 위치에 있을 때 이 브레이크 기구에 의해 해당 볼 나사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동력이 부여된다. 또한, 구동 모터는 스스로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제동력을 갖고 있고, 이 제동력에 의해서도 볼 나사의 회전이 억제된다. 그리고, 이들 볼 나사의 회전 제동에 의해 돌출 위치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가 상기 족축력에 의해 퇴피 위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데, 전락 방지 부재의 구동 기구로서는 상기 일본 특허 공개 2005-14805호 공보에 개시된 것 이외에 구동용의 랙과 피니언을 사용하여 전락 방지 부재를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도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전락 방지 부재에 그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 구동용 랙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구동용 랙에 맞물리도록 구동용 피니언을 설치하고, 그 구동용 피니언을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구동용 랙과 함께 전락 방지 부재를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단, 이 구성에서는 돌출 위치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가 상기 족축력에 의해 퇴피 위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일본 특허 공개 2005-14805호 공보의 구성에 비해 큰 제동력이 필요하게 된다.
즉, 상기 일본 특허 공개 2005-14805호 공보의 구성에서는 전락 방지 부재가 퇴피 위치측으로 상기 족축력을 받았을 경우, 너트 나사산이 볼 나사의 나사산에 압착되고, 이에 따라 너트 나사산과 볼 나사의 나사산 사이에서 저항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락 방지 부재는 상기 족축력에 의해 퇴피 위치측으로 이동되기 어렵다. 그 결과, 전락 방지 부재의 퇴피 위치측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데에도 그다지 큰 제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상기 구동용 랙과 구동용 피니언을 사용한 것에서는 전락 방지 부재가 퇴피 위치측으로 상기 족축력을 받았을 경우, 그 힘은 그대로 구동용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힘으로서 구동용 랙으로부터 구동용 피니언에 부여된다. 따라서, 이 랙과 피니언을 채용한 구성에서는 상기 일본 특허 공개 2005-14805호 공보의 구성에 비해 큰 제동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 랙과 피니언을 채용한 구성에 있어서, 전락 방지 부재에 부가하는 제동력을 구동 모터에 의해 부담하려고 하면 구동 모터를 대형으로 하지 않을 수 없고, 그 결과 구동 기구가 대형화된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돌출 위치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가 승객의 족축력에 의해 퇴피 위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구동 기구의 대형화를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락 방지 장치는 플랫폼 상에 설치된 섀시와, 그 섀시로부터 돌출되어 플랫폼과 열차 사이의 간극을 폐쇄하는 돌출 위치와 이 돌출 위치로부터 후퇴한 상기 섀시내의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섀시에 장착된 전락 방지 부재와, 그 전락 방지 부재를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한 전락 방지 장치로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전락 방지 부재에 설치됨과 아울러 그 전락 방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구동용 랙과, 그 구동용 랙에 맞물리는 구동용 피니언과, 상기 섀시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용 피니언을 회전시켜서 상기 구동용 랙과 함께 상기 전락 방지 부재를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락 방지 장치는 상기 구동 기구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상기 전락 방지 부재가 상기 돌출 위치에 있을 때 그 전락 방지 부재의 상기 퇴피 위치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락 방지 장치(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전락 방지 장치(1)는 역의 플랫폼(100)의 단부 가장자리부와 열차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폐쇄함으로써 열차로의 승객의 승강시에 있어서의 상기 간극으로의 승객의 전락 등을 방지하는 것이며, 이 전락 방지 장치(1)는 플랫폼(100)의 선로측의 단부 가장자리부 근방의 상면에서, 그리고 정차한 열차의 승강문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100)이 그 길이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을 경우에는 플랫폼(100)의 만곡부의 내측 가장자리와 열차 사이의 간극이 커지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전락 방지 장치(1)를 설치해서 플랫폼(100)과 열차 사이의 간극을 폐쇄하는 것이 유효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전락 방지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2)와, 레일(4)과, 전락 방지 부재(6)와, 구동 기구(8)와, 제동 기구(10)와, 록킹 장치(locking device)(12)와, 로드 셀(load cell)(14)과, 제어 장치(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섀시(2)는 얇은 직사각형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플랫폼(100) 상면의 선로측의 단부 가장자리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랫폼(100)의 선로측의 단부 가장자리부에는 섀시(2)의 형상에 대응하는 직사각형의 오목부(10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00a)에 섀시(2)가 끼워짐으로써 섀시(2)의 상면과 플랫폼(100)의 상면은 거의 하나의 면으로 되어 있다. 섀시(2)의 선로측의 측면에는 개구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락 방지 부재(6)는 이 개구부(2a)를 통해서 섀시(2)내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레일(4)은 상기 전락 방지 부재(6)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레 일(4)은 상기 섀시(2)내에 2쌍, 즉 합계 4개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4개의 레일(4)은 섀시(2)내에 있어서 그 섀시(2)의 저벽부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들 4개의 레일(4)은 플랫폼(100)의 선로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플랫폼(100)의 길이 방향, 환언하면 선로에 걸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각 쌍의 레일(4, 4) 사이의 간격은 등간격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쌍의 레일(4, 4)은 상기 전락 방지 부재(6)의 후술하는 가동 프레임(6b)이 대응하는 각 피안내 프레임(6e)을 플랫폼(1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양측으로부터 끼워져 있고, 해당 각 쌍의 레일(4. 4)은 그 각 피안내 프레임(6e)을 플랫폼(100)의 선로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대하여 거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피안내 프레임(6e)의 외측면에 도시 생략된 슬라이더가 설치되어 있고, 그 슬라이더가 레일(4)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전락 방지 부재(6)는 열차가 정차했을 때에 플랫폼(100)과 열차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폐쇄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전락 방지 부재(6)는 상기 섀시(2)로부터 돌출되어 플랫폼(100)과 열차 사이의 간극을 폐쇄하는 돌출 위치(A)(도 2 참조)와, 이 돌출 위치(A)로부터 후퇴해서 상기 섀시(2)내에 위치하는 퇴피 위치(B)(도 3 참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섀시(2)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락 방지 부재(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 플레이트(filler plate)(6a)와, 가동 프레임(6b)을 갖고 있다.
상기 필러 플레이트(6a)는 전락 방지 부재(6)가 상기 돌출 위치(A)에 있을 때 플랫폼(100)과 열차 사이의 간극을 폐쇄하는 평판상의 부재이다. 이 필러 플레 이트(6a)는 플랫폼(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열차측의 단부 가장자리에는 고무제의 완충재(6c)가 설치되어 있다. 승객은 이 필러 플레이트(6a)상을 걸어서 승강문을 통해 열차에 승강한다.
상기 가동 프레임(6b)은 전락 방지 부재(6)의 이동 방향, 즉 플랫폼(100)의 열차측(선로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대하여 거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레일(4)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이며, 상기 필러 플레이트(6a)와 결합되어 있다. 이 가동 프레임(6b)은 상기 레일(4)에 의해 안내되는 한쌍의 피안내 프레임(6e, 6e)과, 이들 피안내 프레임(6e, 6e)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6g)을 갖는다.
상기 한쌍의 피안내 프레임(6e, 6e)은 필러 플레이트(6a)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배치되어 있고, 각 피안내 프레임(6e)은 대응하는 상기 각 쌍의 레일(4, 4) 사이에 각각 끼워져 있다. 이들 피안내 프레임(6e, 6e)이 대응하는 각 쌍의 레일(4, 4)에 각각 안내됨으로써 전락 방지 부재(6)는 상기 돌출 위치(A)와 상기 퇴피 위치(B)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락 방지 부재(6)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각 피안내 프레임(6e)의 거의 중앙부로부터 열차측(전방측) 부분은 필러 플레이트(6a) 아래에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는 한편, 그 거의 중앙부로부터 열차와 반대측(후방측) 부분은 필러 플레이트(6a)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각 피안내 프레임(6e)의 열차측 단부는 필러 플레이트(6a)의 열차측 단부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6g)은 상기 한쌍의 피안내 프레임(6e, 6e) 중 필러 플레이트(6a)로부터 돌출된 부분끼리를 그들 사이에서 연결하고 있다. 이 연결 프레 임(6g)은 2개 설치되어 있고, 그 중 1개의 연결 프레임(6g)은 피안내 프레임(6e, 6e)의 후단부끼리를 연결하고, 또한 1개 연결 프레임(6g)은 피안내 프레임(6e, 6e)의 중간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연결 프레임(6g, 6g) 사이에 구동용 랙 지지부(6i) 및 제동용 랙 지지부(6j)가 전락 방지 부재(6)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설되어 있다. 구동용 랙 지지부(6i)는 상기 구동 기구(8)의 후술하는 구동용 랙(8a)을 지지하는 것이며, 제동용 랙 지지부(6j)는 상기 제동 기구(10)의 후술하는 제동용 랙(10a)을 지지하는 것이다. 구동용 랙 지지부(6i)와 제동용 랙 지지부(6j)는 플랫폼(10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기구(8)는 상기 전락 방지 부재(6)를 상기 돌출 위치(A)와 상기 퇴피 위치(B)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이 구동 기구(8)는 플랫폼(1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전락 방지 부재(6)의 중심 위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락 방지 부재(6)를 돌출 위치(A)와 퇴피 위치(B) 사이에서 이동시킬 때에도 구동 기구(8)로부터 전락 방지 부재(6)에 가해지는 힘의 발란스가 취해지고, 이에 기인하여 전락 방지 부재(6)를 부드럽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섀시(2)내에는 도시 생략된 돌출 위치(A) 검출용 근접 스위치 및 퇴피 위치(B) 검출용 근접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양 근접 스위치에 의해 전락 방지 부재(6)가 돌출 위치(A)로 이동한 것 및 퇴피 위치(B)로 이동한 것이 검출되고, 이에 의거해서 구동 기구(8)는 전락 방지 부재(6)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구동 기구(8)는 구동용 랙(8a)과, 구동용 피니언(8b)과, 구동 모터(8c)와, 전달 기구(8d)를 갖는다.
상기 구동용 랙(8a)은 플랫폼(100)의 열차측 단부 가장자리에 대하여 거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구동용 랙(8a)은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전락 방지 부재(6) 중 가동 프레임(6b)의 구동용 랙 지지부(6i)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용 랙(8a)은 그 이면이 플랫폼(1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전락 방지 부재(6)의 거의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용 랙(8a) 중 열차로부터 먼 측의 단부(후단부)의 상기 제동용 랙 지지부(6j)측의 측면에는 피맞물림 구멍(8e)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피맞물림 구멍(8e)은 본 발명의 피맞물림부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용 피니언(8b)은 상기 구동용 랙(8a)에 맞물려서 수직축 둘레에서 회전한다.
상기 구동 모터(8c)는 전동 모터이며, 그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용 피니언(8b)을 회전시켜서 상기 구동용 랙(8a)과 함께 상기 전락 방지 부재(6)를 상기 돌출 위치(A)와 상기 퇴피 위치(B)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킨다. 이 구동 모터(8c)는 구동용 랙(8a)의 상기 제동용 랙 지지부(6j)측에 인접한 위치에 있어서 섀시(2)의 저벽부상에 횡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이 구동 모터(8c)의 구동축의 회전은 상기 전달 기구(8d)를 통해 구동용 피니언(8b)에 전달된다. 이 구동 모터(8c)는 횡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동축은 수평 배치되어 있다. 전달 기구(8d)는 그 수평 배치된 구동축의 회전을 수직축 둘레의 회전으로 변환해서 구동용 피니언(8b)에 전달한다.
또한, 구동 모터(8c)는 돌출 위치(A)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6)의 퇴피 위 치(B)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도시 생략된 제동부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출 위치(A)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6)의 필러 플레이트(6a)가 열차에 승강하는 승객에 의해 밟혀서 퇴피 위치(B)측으로의 족축력을 받았을 경우에 그 족축력은 구동용 랙(8a)을 통해 구동용 피니언(8b)에 회전력으로서 부여된다. 이때, 구동 모터(8c)는 제동부에 의해 구동축으로 제동이 걸림으로써 구동용 피니언(8b)의 회전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상기 족축력에 의한 전락 방지 부재(6)의 퇴피 위치(B)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한다. 또한, 구동 모터(8c)의 제동부는 상기 도시 생략된 돌출 위치(A) 검출용의 근접 센서에 의해 전락 방지 부재(6)가 돌출 위치(A)로 이동한 것이 검출됨에 따라 전락 방지 부재(6)에 제동을 거는 한편, 전락 방지 부재(6)의 이동중에는 전락 방지 부재(6)로의 제동을 해제한다.
상기 제동 기구(10)는 전락 방지 부재(6)가 돌출 위치(A)에 있을 때 그 전락 방지 부재(6)가 상기 승객의 족축력을 받아서 퇴피 위치(B)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 제동 기구(10)는 상기 구동 기구(8)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고, 그 구동 기구(8)의 상기 제동용 랙 지지부(6j)측의 위치에서 그리고 해당 구동 기구(8)의 근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동 기구(10)는 플랫폼(1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전락 방지 부재(6)의 중심 위치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락 방지 부재(6)가 제동 기구(10)에 의해 제동될 때 제동 기구(10)로부터 전락 방지 부재(6)에 가해지는 힘의 발란스가 크게 무너지지 않기 때문에 전락 방지 부재(6)가 제동시에 기울어지는 것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제동 기구(10)는 상기 도시 생략된 돌출 위치(A) 검출용의 근접 센서에 의 해 전락 방지 부재(6)가 돌출 위치(A)로 이동한 것이 검출됨에 따라 전락 방지 부재(6)에 제동을 거는 한편, 전락 방지 부재(6)의 이동중에는 전락 방지 부재(6)로의 제동을 해제한다. 이 제동 기구(10)는 제동용 랙(10a)과, 제동용 피니언(10b)과, 전자 브레이크(electromagnetic brake)(10c)를 갖는다.
상기 제동용 랙(10a)은 상기 전락 방지 부재(6)에 설치되어 있고, 전락 방지 부재(6)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동용 랙(10a)은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전락 방지 부재(6) 중 가동 프레임(6b)의 제동용 랙 지지부(6j)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동용 피니언(10b)은 상기 제동용 랙(10a)에 맞물려서 수직축 둘레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자 브레이크(10c)는 상기 제동용 피니언(10b)과 결합하는 회전축을 갖고 있고, 그 회전축에 브레이크를 걸어서 제동용 피니언(10b)의 회전을 억제한다. 이 전자 브레이크(10c)는 전락 방지 부재(6)가 돌출 위치(A)에 있을 때에는 제동용 피니언(10b)의 회전을 제동하는 한편, 전락 방지 부재(6)의 이동시에는 제동용 피니언(10b)의 제동을 해제해서 그 제동용 피니언(10b)을 자유롭게 회전시킨다. 이 전자 브레이크(10c)에 의해 돌출 위치(A)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6)에 제동용 피니언(10b)과 제동용 랙(10a)을 통해 퇴피 위치(B)측으로의 이동에 저항하는 제동력이 부여된다.
상기 록킹 장치(12)는 상기 전락 방지 부재(6)가 퇴피 위치(B)에 있을 때 그 전락 방지 부재(6)를 록킹한다. 이 록킹 장치(12)는 섀시(2)내에 있어서 그 섀 시(2)의 저벽부상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구동 모터(8c)에 대하여 열차와 반대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록킹 장치(12)는 상기 구동용 랙(8a)의 피맞물림 구멍(8e)과 맞물리는 맞물림핀(12a)을 갖고 있다. 이 맞물림핀(12a)은 본 발명의 맞물림 부재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록킹 장치(12)는 거의 수평 방향으로, 그리고 전락 방지 부재(6)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맞물림핀(12a)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록킹 장치(12)는 전락 방지 부재(6)가 퇴피 위치(B)에 배치되었을 때 맞물림핀(12a)을 돌출시켜서 구동용 랙(8a)의 피맞물림 구멍(8e)에 맞물리게 하고, 이에 따라 전락 방지 부재(6)를 퇴피 위치(B)에서 록킹한다. 또한, 이 록킹 장치(12)는 상기 도시 생략된 돌출 위치(A) 검출용의 근접 센서에 의해 전락 방지 부재(6)가 퇴피 위치(B)로 이동한 것이 검출됨에 따라 전락 방지 부재(6)를 록킹하는 한편, 전락 방지 부재(6)의 이동시에는 맞물림핀(12a)을 후퇴시켜서 피맞물림 구멍(8e)에 대한 맞물림핀(12a)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이에 따라 전락 방지 부재(6)의 록킹을 해제한다.
상기 로드 셀(14)은 상기 필러 플레이트(6a)의 중량을 검출함으로써 그 필러 플레이트(6a)상에 승객이 올라갔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 로드 셀(14)은 필러 플레이트(6a)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로드 셀(14)에 의한 검출 결과 신호는 상기 제어 장치(16)로 송신된다.
상기 제어 장치(16)는 역사로부터 송신된 지령 신호나, 상기 로드 셀(14)로부터 송신된 검출 신호나, 상기 도시 생략된 돌출 위치(A) 검출용 근접 스위치의 검지 신호 및 도시 생략된 퇴피 위치(B) 검출용 근접 스위치의 검지 신호 등의 각종 신호에 따라서 구동 기구(8)의 구동 모터(8c), 제동 기구(10)의 전자 브레이크(10c) 및 록킹 장치(12)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6)는 전락 방지 부재(6)를 상기 퇴피 위치(B)로부터 상기 돌출 위치(A)로 전진 이동시킬 때 록킹 장치(12)에 의한 전락 방지 부재(6)의 록킹을 해제시키고, 그 후 구동 모터(8c)를 구동시켜서 전락 방지 부재(6)를 돌출 위치(A)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어 장치(16)는 전락 방지 부재(6)가 돌출 위치(A)에 배치되면 구동 모터(8c)의 도시 생략된 제동부와 전자 브레이크(10c)에 상기한 제동 동작을 실행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16)는 전락 방지 부재(6)를 돌출 위치(A)로부터 퇴피 위치(B)로 후퇴 이동시킬 때 구동 모터(8c)의 제동부에 의한 제동과 전자 브레이크(10c)에 의한 제동을 해제시키고, 그 후 구동 모터(8c)를 구동시켜서 전락 방지 부재(6)를 퇴피 위치(B)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어 장치(16)는 전락 방지 부재(6)가 퇴피 위치(B)에 배치되면 록킹 장치(12)로 전락 방지 부재(6)의 록킹을 실행시킨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전락 방지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열차가 입선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락 방지 부재(6)가 섀시(2)내의 퇴피 위치(B)에 위치되어 있고, 필러 플레이트(6a)는 플랫폼(100)으로부터 거의 돌출되어 있지 않다. 이때, 록킹 장치(12)의 맞물림핀(12a)이 구동용 랙(8a)의 피맞물림 구멍(8e)에 맞물림으로써 전락 방지 부재(6)는 퇴피 위치(B)에서 록킹되어 있다.
그리고, 열차가 역에 입선해서 정차하면 제어 장치(16)는 역사로부터 송신된 지령 신호에 따라서 록킹 장치(12)를 제어해서 맞물림핀(12a)을 퇴피시키고, 이에 따라 전락 방지 부재(6)의 록킹을 해제시킨다. 그 후, 제어 장치(16)는 구동 모터(8c)를 구동시켜서 구동용 피니언(8b)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용 랙(8a)과 함께 전락 방지 부재(6)를 돌출 위치(A)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 플레이트(6a)는 플랫폼(100)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고, 플랫폼(100)과 열차 사이의 간극을 폐쇄시킨다. 이 전락 방지 부재(6)의 돌출 위치(A)측으로의 이동시에 제동 기구(10)의 전자 브레이크(10c)에 의한 제동용 피니언(10b)의 제동은 해제되어 있고, 제동용 피니언(10b)은 자유롭게 회전된다.
그리고, 전락 방지 부재(6)가 돌출 위치(A)로 이동하면 그것이 도시 생략된 돌출 위치(A) 검출용 근접 스위치에 의해 검출된다. 제어 장치(16)는 그 근접 스위치로부터 송신된 검출 신호에 의거해서 구동 모터(8c)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그 구동 모터(8c)의 제동부를 작동시키고, 또한 제동 기구(10)의 전자 브레이크(10c)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용 피니언(8b)의 역전이 억제됨과 아울러 제동용 피니언(10b)의 회전이 억제된다. 그 결과, 퇴피 위치(B)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동력이 제동용 랙(10a)을 통해 전락 방지 부재(6)에 가해진다. 또한, 제동 기구(10)에 의한 제동력은 구동 모터(8c)의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에 비해 상당히 큰 힘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승객이 필러 플레이트(6a)상을 걸어서 승강문을 통해 열차에 승강한다. 이때, 승객의 족축력이 퇴피 위치(B)측으로 향하여 필러 플레이트(6a)에 가해지는 경우가 있지만 상기 제동력이 전락 방지 부재(6)에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족축력에 의한 전락 방지 부재(6)의 퇴피 위치(B)측으로의 이동은 억제된다. 또한, 이때 로드 셀(14)로부터 제어 장치(16)에 필러 플레이트(6a) 중량의 검출 결과가 입력된다.
이어서, 승객의 열차로의 승강이 종료되면 제어 장치(16)는 역사로부터 송신된 지령 신호와 로드 셀(14)로부터 송신된 검출 결과 신호에 따라 제동 기구(10)의 전자 브레이크(10c)에 의한 제동을 해제함과 아울러 구동 모터(8c)의 제동부에 의한 제동을 해제한다. 그 후, 제어 장치(16)는 구동 모터(8c)를 구동시켜서 전락 방지 부재(6)를 퇴피 위치(B)측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6)는 로드 셀(14)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검출 결과 신호를 감시하고 있고, 역사로부터의 지령 신호가 제어 장치(16)로 입력되어도 로드 셀(14)이 필러 플레이트(6a)상에 승객이 올라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소정 중량 이상의 검출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16)는 역사로부터의 지령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한편, 제어 장치(16)는 로드 셀(14)이 필러 플레이트(6a)상에 승객이 올라가지 않을 것을 나타내는 중량의 검출 결과를 나타내고 있고, 또한 역사로부터의 지령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제어 장치(16)는 전자 브레이크(10c)에 의한 제동을 해제해서 제동용 피니언(10b)의 회전을 자유롭게 함과 아울러 구동 모터(8c)를 구동시켜서 구동용 피니언(8b)을 회전시켜서 전락 방지 부재(6)를 퇴피 위치(B)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전락 방지 부재(6)가 퇴피 위치(B)로 이동되면 그것이 도시 생략된 퇴피 위치(B) 검출용 근접 스위치에 의해 검출된다. 제어 장치(16)는 그 근접 스위 치로부터 송신된 검출 신호에 의거해서 록킹 장치(12)를 제어해서 맞물림핀(12a)을 돌출시킨다. 이에 따라, 맞물림핀(12a)은 구동용 랙(8a)의 피맞물림 구멍(8e)에 맞물리게 되고, 그 결과 전락 방지 부재(6)가 퇴피 위치(B)에서 록킹된다.
이와 같이 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전락 방지 장치(1)의 동작이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 위치(A)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6)에 퇴피 위치(B)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동력을 부여 가능한 것으로 해서, 구동 모터(8c)에 더해서 제동 기구(1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구동 모터(8c)의 제동력과 제동 기구(10)의 제동력에 의해 돌출 위치(A)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6)가 승객의 족축력에 의해 퇴피 위치(B)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기구(8)와는 별개로 제동 기구(1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돌출 위치(A)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6)의 퇴피 위치(B)측으로의 이동의 억제를 별개로 설치된 구동 기구(8)의 구동 모터(8c)와 제동 기구(10)에 각각 분담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8c)에 요구되는 제동력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 모터(8c)로서 큰 제동력을 발휘하는 대형의 것을 이용하지 않아도 좋게 되고, 그 결과 구동 기구(8)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 위치(A)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6)가 승객의 족축력에 의해 퇴피 위치(B)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구동 기구(8)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용 랙(8a)이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 므로 구동용 랙(8a)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구동용 랙(8a)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 전락 방지 장치(1)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모터(8c) 이외에 제동 기구(10)에 의해서도 돌출 위치(A)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6)의 제동을 행하므로 구동 모터(8c)만에 의해 돌출 위치(A)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6)의 제동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족축력이 돌출 위치(A)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6)에 부가되었을 때에 구동용 랙(8a)의 이면과 구동용 피니언(8b)의 이면 사이에 작용하는 면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용 랙(8a)이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금속제인 것에 비해 강도가 떨어진다고 하더라도 돌출 위치(A)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6)의 제동시에 구동용 랙(8a)의 이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용 랙(8a) 이면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전락 방지 장치(1)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락 방지 부재(6)가 퇴피 위치(B)에 있을 때 그 전락 방지 부재(6)를 록킹하는 록킹 장치(1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전락 방지 부재(6)가 퇴피 위치(B)에 있을 때 오동작에 의해 그 전락 방지 부재(6)가 돌출 위치(A)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의 설명이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전락 방지 부재(6)의 필러 플레이트(6a)의 형상은 직사각형 이외의 다양한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있어서, 전락 방지 부재(6)의 돌출 위치(A) 및 퇴피 위치(B)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시 생략된 돌출 위치(A) 검출용 근접 스위치 및 상기 도시 생략된 퇴피 위치(B) 검출용 근접 스위치를 각각 설치하는 위치를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제어 장치(16)가 그들 양 근접 스위치의 검출 신호에 의거해서 구동 모터(8c)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전락 방지 부재(6)의 돌출 위치(A)와 퇴피 위치(B)를 각각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8c)에 엔코더를 내장시켜서 제어 장치(16)가 그 엔코더의 신호를 판독하여 퇴피 위치(B)로부터 돌출 위치(A)측으로 전락 방지 부재(6)를 이동시킬 때 구동 모터(8c)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전락 방지 부재(6)의 이동량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전락 방지 부재(6)의 돌출 위치(A)를 조절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락 방지 부재(6)의 돌출 위치(A)를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돌출 위치(A)에 있어서의 필러 플레이트(6a)의 플랫폼(100)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의 돌출량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플랫폼(100)에 전락 방지 장치(1)가 설치되는 개소에 의해 플랫폼(100)과 열차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그 간극의 크기에 따라 필러 플레이트(6a)의 돌출량을 적절한 돌출량으로 조절할 수 있고, 플랫폼(100)과 열차 사이의 간극을 유효하게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제동 기구(10)에 의해 전락 방지 부재(6)에 제동을 거는 위치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동용 랙(10a)은 구동용 랙(8a)과 평행하게 전락 방지 부재(6)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플랫폼(100)과 열차 사이의 간극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전락 방지 부재(6)에 제동을 거는 돌출 위치(A)를 플랫폼(100)과 열차 사이의 간극의 크기에 맞춰서 제동용 랙(10a)의 길이 범위내에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조절은 상기 구동 기구(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돌출 위치(A) 검출용 근접 스위치의 위치를 적당히 조절해서 전자 브레이크(10c)에 의한 제동을 거는 전락 방지 부재(6)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나, 구동 모터(8c)에 내장시킨 엔코더의 신호에 의거해서 전자 브레이크(10c)에 의한 제동을 거는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 등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랫폼(100)에 전락 방지 장치(1)가 설치되는 개소에 의해 플랫폼(100)과 열차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그 플랫폼(100)의 여러가지 개소에 있어서 열차 사이의 간극을 유효하게 폐쇄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그 여러가지 개소에 있어서 승객의 족축력에 의해 전락 방지 부재(6)가 퇴피 위치(B)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8c)에 엔코더를 내장시키는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6)는 엔코더에 의해 검출되는 전락 방지 부재(6)의 위치 정보에 의거해서 전락 방지 부재(6)의 이동시의 위치를 판단함과 아울러 그 위치 판단에 의거해서 전락 방지 부재(6)가 돌출 위치(A) 또는 퇴피 위치(B)로 근접했을 때 구동 모터(8c)의 회전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돌출 위치(A) 및 퇴피 위치(B)에서의 전락 방지 부재(6)의 정지 동작을 완만하고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록킹 장치(12)는 상기한 바와 같은 맞물림핀(12a)을 구동용 랙(8a)의 피맞물림 구멍(8e)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전락 방지 부재(6)를 록킹하는 바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락 방지 부재(6)를 퇴피 위치(B)에서 록킹 가능한 것이면 다른 형태의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퇴피 위치(B)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6)를 척킹(chucking)함으로써 록킹하는 바와 같은 록킹 장치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기구(8)와 제동 기구(10)를 각각 1개씩 설치했지만 복수의 구동 기구 및 복수의 제동 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차량의 종류에 의해 승강문의 개구폭이 넓어지거나, 승강문의 위치가 다른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에는 플랫폼(1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전락 방지 부재(6)의 길이를 확대함으로써 그러한 승강문의 개구폭의 변화 및 승강문의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렇게 전락 방지 부재(6)를 확대하면 그 중량이 증대된다. 이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 기구 및 제동 기구를 설치하면 전락 방지 부재(6)의 중량이 증대되도 전락 방지 부재(6)의 이동 및 제동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용 랙(8a)을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했지만 구동용 랙(8a)은 금속제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개요)
본 실시형태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전락 방지 장치는 플랫폼 상에 설치된 섀시와, 그 섀시로부터 돌출되어 플랫폼과 열차 사이의 간극을 폐쇄하는 돌출 위치와 이 돌출 위치로부터 후퇴한 상기 섀시내의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섀시에 장착된 전락 방지 부재와, 그 전락 방지 부재를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한 전락 방지 장치로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전락 방지 부재에 설치됨과 아울러 그 전락 방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구동용 랙과, 그 구동용 랙에 맞물리는 구동용 피니언과, 상기 섀시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용 피니언을 회전시켜서 상기 구동용 랙과 함께 상기 전락 방지 부재를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구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상기 전락 방지 부재가 상기 돌출 위치에 있을 때 그 전락 방지 부재의 상기 퇴피 위치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락 방지 장치에서는 돌출 위치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에 퇴피 위치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동력을 부여 가능한 것으로서 구동 모터에 추가로 제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구동 모터의 제동력과 제동 기구의 제동력에 의해 돌출 위치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가 승객의 족축력에 의해 퇴피 위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락 방지 장치에서는 구동 기구와는 별개로 제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돌출 위치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의 퇴피 위치측으로의 이동의 억제를 별개로 설치된 구동 기구의 구동 모터와 제동 기구에 각각 분담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에 요구되는 제동력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 모터로서 큰 제동력을 발휘하는 대형의 것을 이용하지 않아도 좋게 되고, 그 결과 구동 기구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전락 방지 장치에서는 돌출 위치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가 승객의 족축력에 의해 퇴피 위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구동 기구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전락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동 기구는 상기 전락 방지 부재에 설치됨과 아울러 그 전락 방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제동용 랙과, 그 제동용 랙에 맞물리는 제동용 피니언과, 상기 섀시에 설치되고 상기 전락 방지 부재가 상기 돌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동용 피니언의 회전을 억제하는 전자 브레이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돌출 위치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의 퇴피 위치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동 기구의 구체적인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제동용 랙이 전락 방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플랫폼내의 개소에 의해 열차와 사이의 간극 크기가 여러가지 다른 경우이어도 전락 방지 부재에 제동을 거는 돌출 위치를 플랫폼과 열차 사이의 간극의 크기에 맞춰서 제동용 랙의 길이 범위내에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플랫폼의 여러가지 개소에 있어서 열차와의 사이의 간극을 폐쇄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그 여러가지 개소에 있어서 상기 족축력에 의해 전락 방지 부재가 퇴피 위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 지할 수 있다.
상기 전락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랙은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구동용 랙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구동용 랙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 전락 방지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락 방지 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 이외에 제동 기구에 의해서도 돌출 위치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의 제동을 행하므로 구동 모터만에 의해 돌출 위치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의 제동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족축력이 돌출 위치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에 부가되었을 때 구동용 랙의 이면과 구동용 피니언의 이면 사이에 작용하는 면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용 랙이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금속제인 것에 비해 강도가 떨어진다고 하더라도 돌출 위치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의 제동시에 구동용 랙의 이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서는 구동용 랙 이면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전락 방지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전락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락 방지 부재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 그 전락 방지 부재를 록킹하는 록킹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록킹 장치에 의해 전락 방지 부재를 퇴피 위치에서 록킹시킬 수 있으므로 전락 방지 부재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 그 전락 방지 부재가 오동작에 의해 돌출 위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랙은 피맞물림부를 갖고, 상기 록킹 장치는 맞물림 부재를 갖고, 상기 전락 방지 부재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맞물림 부재를 상기 구동용 랙의 상기 피맞물림부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전락 방지 부재를 록킹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퇴피 위치에 있는 전락 방지 부재를 록킹하는 록킹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역의 플랫폼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락 방지 장치의 설치 개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는 전락 방지 부재가 돌출 위치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전락 방지 장치로부터 섀시의 천정부를 제외시켜서 그 전락 방지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전락 방지 부재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의 도 2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전락 방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Claims (5)

  1. 플랫폼 상에 설치된 섀시와, 그 섀시로부터 돌출되어 플랫폼과 열차 사이의 간극을 폐쇄하는 돌출 위치와 이 돌출 위치로부터 후퇴한 상기 섀시내의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섀시에 장착된 전락 방지 부재와, 그 전락 방지 부재를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한 전락 방지 장치로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전락 방지 부재에 설치됨과 아울러 그 전락 방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구동용 랙과, 그 구동용 랙에 맞물리는 구동용 피니언과, 상기 섀시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용 피니언을 회전시켜서 상기 구동용 랙과 함께 상기 전락 방지 부재를 상기 돌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구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상기 전락 방지 부재가 상기 돌출 위치에 있을 때 그 전락 방지 부재의 상기 퇴피 위치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동 기구는 상기 전락 방지 부재에 설치됨과 아울러 그 전락 방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제동용 랙과, 그 제동용 랙에 맞물리는 제동용 피니언과, 상기 섀시에 설치되고 상기 전락 방지 부재가 상기 돌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동용 피니언의 회전을 억제하는 전자 브레이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랙은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락 방지 부재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전락 방지 부재를 록킹하는 록킹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랙은 피맞물림부를 갖고,
    상기 록킹 장치는 맞물림 부재를 갖고, 상기 전락 방지 부재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맞물림 부재를 상기 구동용 랙의 상기 피맞물림부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전락 방지 부재를 록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락 방지 장치.
KR1020080113910A 2007-11-28 2008-11-17 전락 방지 장치 KR101013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07171 2007-11-28
JP2007307171A JP5059568B2 (ja) 2007-11-28 2007-11-28 転落防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478A KR20090055478A (ko) 2009-06-02
KR101013823B1 true KR101013823B1 (ko) 2011-02-14

Family

ID=4074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910A KR101013823B1 (ko) 2007-11-28 2008-11-17 전락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59568B2 (ko)
KR (1) KR101013823B1 (ko)
CN (1) CN101445114B (ko)
HK (1) HK11293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5006B2 (ja) * 2010-02-19 2014-07-23 三菱重工交通機器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JP5475164B1 (ja) * 2013-04-11 2014-04-16 株式会社京三製作所 プラットホーム用転落防止装置
JP5886811B2 (ja) * 2013-11-06 2016-03-16 三菱重工交通機器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2段伸縮ホームドア装置
JP2016130128A (ja) * 2016-02-10 2016-07-21 三菱重工交通機器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2段伸縮ホームドア装置
CN105946882A (zh) * 2016-06-07 2016-09-21 江苏沃德渥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列车站台自适应伸缩踏板装置
CN106627598B (zh) * 2016-11-09 2018-10-26 南京九致信息科技有限公司 用于地铁站台的嵌套踏板装置及其工作方法
CN108974019B (zh) * 2018-07-02 2019-10-18 华南理工大学 一种针对地铁站台间隙的辅助系统及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195A (ko) * 2000-06-01 2001-12-08 이시카와 요시노리 플랫폼의 승강보조장치 및 그 설치방법
JP2004161188A (ja) 2002-11-15 2004-06-10 Nabco Ltd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JP2005297670A (ja) 2004-04-08 2005-10-27 Kyosan Electric Mfg Co Ltd 可動ステップ装置
KR20080016492A (ko) * 2006-08-18 2008-02-21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플랫폼용 스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3995B2 (ja) * 2000-05-31 2008-04-30 株式会社京三製作所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4358562B2 (ja) * 2003-06-27 2009-11-04 株式会社京三製作所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195A (ko) * 2000-06-01 2001-12-08 이시카와 요시노리 플랫폼의 승강보조장치 및 그 설치방법
JP2004161188A (ja) 2002-11-15 2004-06-10 Nabco Ltd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JP2005297670A (ja) 2004-04-08 2005-10-27 Kyosan Electric Mfg Co Ltd 可動ステップ装置
KR20080016492A (ko) * 2006-08-18 2008-02-21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플랫폼용 스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478A (ko) 2009-06-02
CN101445114B (zh) 2010-12-08
HK1129353A1 (en) 2009-11-27
JP2009126490A (ja) 2009-06-11
CN101445114A (zh) 2009-06-03
JP5059568B2 (ja)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823B1 (ko) 전락 방지 장치
JP4430663B2 (ja) スライドステップ
US10800435B2 (en) Safety footboard for rail transit platform
KR100904118B1 (ko) 플랫폼용 스텝 장치
EP2558393B1 (en) Retractable stop for low overhead elevators
EP3003947B1 (en) Retractable toe guard assembly for an elevator system
CN110914183B (zh) 电梯系统
KR100549616B1 (ko) 도어장치
JP4358562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
KR101400806B1 (ko) 수직과 수평 및 경사 이동구간을 갖는 승강기
KR101309769B1 (ko) 철도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JP2006298022A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EP1524234B1 (en) Elevator system
JP2010126144A (ja) 可動式ホーム柵
EP3530605B1 (en) Elevator car toe guard system
JP6229946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JP4657776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固定装置
JP468079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365794B2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JP425215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285922B2 (ja) 可動ホーム柵装置
JP3755872B2 (ja) 旅客輸送用鉄道車両の側出入口の高さ調節装置
JP2010105804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床制御装置
KR10066891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960008533Y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문턱과 카문턱 간격 보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