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861B1 - 엘리베이터의 도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861B1
KR101010861B1 KR1020087012566A KR20087012566A KR101010861B1 KR 101010861 B1 KR101010861 B1 KR 101010861B1 KR 1020087012566 A KR1020087012566 A KR 1020087012566A KR 20087012566 A KR20087012566 A KR 20087012566A KR 101010861 B1 KR101010861 B1 KR 101010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oor
door panel
bending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2677A (ko
Inventor
타이지 사와키
마사유키 미나미
요시히코 고이즈미
나오키 하시구치
가즈미 야마모토
아키히로 카도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2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엘리베이터의 도어는 패널 부재와 패널 부재의 이면 측에 설치된 이면 부재를 가지고 있다. 패널 부재와 이면 부재는 도어 패널의 폭 방향 단부에서 서로 연속하고 있다. 패널 부재 및 이면 부재가 서로 연속하는 부분은 판을 굽힘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이면 부재는 패널 부재의 이면에 겹쳐진 이면 측 겹침부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판을 굽힘 가공하는 것만으로 도어 패널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 판의 굽힘에 의한 보강 및 이면 부재에 의한 보강의 각각에 의해, 도어 패널의 강도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승객의 손 등이 도어 패널의 이면 측에 삽입된 경우에 있어서도 도어 패널로 승객이 손이 잘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ELEVATOR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내부와 승강장을 연통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요(所要)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패널의 이면에 복수의 보강 돌기를 형성한 엘리베이터용 판체가 제안되고 있다. 각 보강 돌기는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패널과 일체로 되어 있다. 각 보강 돌기의 돌출단에는 패널의 이면을 가리는 불연재제의 박판이 장착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평6-321463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판체에서는 복잡한 형상의 패널을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는 패널 부재와, 패널 부재의 이면 측에 설치된 이면 부재를 가지는 도어 패널을 구비하고, 패널 부재와 이면 부재가 도어 패널의 폭 방향 단부에서 서로 연속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로서, 패널 부재 및 이면 부재가 서로 연속하는 부분은 판을 굽힘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이면 부재는 패널 부재의 이면에 겹쳐진 이면 측 겹침부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승강로 측에서 보았을 때의 승강장 출입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도어 패널을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와 승강장 도어와의 사이에 승객의 손이 삽입되어 있을 때 상태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도어 패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수평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도어 패널을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2)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설치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는 엘리베이터 칸(2)에 탑재된 도어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의 구동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의 간구(間口)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가 개폐된다.
각층의 승강장에는 승강장 출입구(5)와, 승강장 출입구(5)를 개폐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6)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는 엘리베이터 칸(2)이 각층에 정지하고 있을 때에 승강장 출입구(5)와 대향한다. 각 승강장 도어(6)는 도시하지 않은 맞물림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도어(4)와 맞물림 하면서, 승강장 출입구(5)의 간구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승강장 출입구(5)가 개폐된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 및 승강장 출입구(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의 도어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4) 및 승강장 도어(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승강로(1)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승강장 출입구(5)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장 출입구(5)의 상부에는 승강장 측 행거 케이스(7)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측 행거 케이스(7)에는 승강장 출입구(5)의 간구 방향으로 연장하는 승강장 측 도어 레일(8)이 설치되어 있다. 각 승강장 도어(6)는 승강장 측 도어 레일(8)에 매달려 있다. 각 승강장 도어(6)는 승강장 측 도어 레일(8)에 따라 이동된다. 승강장 출입구(5)의 하부에는 승강장 문턱(9)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문턱(9)에는 승강장 출입구(5)의 간구 방향으로 연장하는 문턱 홈(sill groove)(10)이 설치되어 있다.
각 승강장 도어(6)는 도어 패널(11)과, 도어 패널(11)의 상부에 설치된 도어 행거(12)와, 도어 패널(11)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도어 레그(13)를 각각 가지고 있다. 도어 행거(12)는 승강장 측 도어 레일(8)에 걸리고 있다. 또, 각 도어 레그(13)는 승강장 문턱(9)의 문턱 홈(10)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측 행거 케이스(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측 행거 케이스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의 간구 방향으로 연장하는 엘리베이터 칸 측 도어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는 엘리베이터 칸 측 도어 레일에 매달려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는 엘리베이터 칸 측 도어 레일에 따라서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문턱(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문턱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의 간구 방향으로 연장하는 문턱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는 각 승강장 도어(6)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도어 행거는 엘리베이터 칸 측 도어 레일에 걸려 있다. 또한,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도어 레그는 엘리베이터 칸 문턱의 문턱 홈에 삽입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도어 패널(11)을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도어 패널(11)은 패널 부재(14)와, 패널 부재(14)의 이면 측에 설치된 이면 부재(15)를 가지고 있다. 패널 부재(14)와 이면 부재(15)는 도어 패널(11)의 폭 방향 단부에서 서로 연속하고 있다. 도어 패널(11)은 한 장의 판(예를 들면 강판 등)을 굽힘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패널 부재(14)는 의장면을 형성하는 패널 표면판(16)과, 패널 표면판(16)의 폭 방향 양단부에 설치되고, 패널 표면판(16)의 이면 측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부(17, 18)를 가지고 있다. 한쪽의 대향부(17)는 도어 패널(11)의 도어 닫힘 측 단부(도어가 맞닿는 측 단부)에 설치되고, 다른 쪽의 대향부(18)는 도어 패널(11)의 도어 열림 측 단부(도어 포켓 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대향부(17)는 패널 표면판(16)의 도어 닫힘 측 단부로부터 도어 패널(1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패널 수직부(17a)와, 패널 수직부(17a)의 선단부(패널 표면판(16)으로부터 멀어진 측의 단부)로부터 도어 패널(11)의 중앙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패널 평행부(17b)를 가지고 있다. 또, 대향부(18)는 패널 표면판(16)의 도어 열림 측 단부로부터 도어 패널(1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패널 수직부(18a)와, 패널 수직부(18a)의 선단부(패널 표면판(16)으로부터 멀어진 측의 단부)로부터 도어 패널(11)의 중앙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패널 평행부(18b)를 가지고 있다.
이면 부재(15)는 도어 패널(11)의 도어 닫힘 측 단부에서 패널 부재(14)와 연속하는 제1 이면 부재(19)와, 도어 패널(11)의 도어 열림 측 단부에서 패널 부 재(14)와 연속하는 제2 이면 부재(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이면 부재(19) 및 제2 이면 부재(20)의 각각과 패널 부재(14)가 서로 연속하는 각 부분은 판을 거의 180도 접어 겹치는 헤밍(hemming)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제1 이면 부재(19)는 그 전부가 패널 부재(14)의 이면에 겹쳐진 이면 측 겹침부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이면 부재(19)는 패널 평행부(17b)에만 겹쳐져 있다.
제2 이면 부재(20)는 패널 부재(14)의 이면에 겹쳐진 이면 측 겹침부(21)와, 이면 측 겹침부(21)에 설치되어 패널 부재(14)로부터 개리된 이면 측 개리부(22)를 가지고 있다.
이면 측 겹침부(21)는 대향부(18)의 단부로부터 패널 수직부(18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패널 평행부(18b)에 따라 연장하는 겹침 평행부(21a)와, 겹침 평행부(21a)의 선단부(패널 수직부(18a)에 가까운 쪽의 단부)로부터 패널 표면판(1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패널 수직부(18a)에 따라 연장하는 겹침 수직부(21b)와, 겹침 수직부(21b)의 선단부(패널 표면판(16)에 가까운 쪽의 단부)로부터 도어 패널(11)의 중앙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패널 표면판(16)에 따라서 연장하는 겹침 표면판 부(21c)를 가지고 있다. 겹침 표면판부(21c)의 수평 방향 치수는 패널 표면판(16)의 수평 방향 치수보다 작은 소정의 치수로 되어 있다.
이면 측 개리부(22)는 겹침 표면판부(21c)의 선단부(도어 패널(11)의 도어 닫힘 측 단부에 가까운 쪽의 단부)로부터 도어 패널(1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개리 수직부(22a)와, 개리 수직부(22a)의 선단부(패널 표면판(16)으로부터 멀어진 측의 단부)에서부터 도어 닫힘 측으로 연장하는 개리 평행부(22b)를 가지고 있다.
도어 패널(11)은 도어 닫힘 측 단부 및 도어 열림 측 단부를 각각 이하와 같이 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즉, 한 장의 강판의 일단부를 헤밍 굽힘 가공에 의해 접어 굽히고, 접어 굽힌 부분을 제1 이면 부재(19)로 한다. 이 후, 제1 이면 부재(19)가 겹친 부분을 피해 강판을 굽혀 대향부(17)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 패널(11)의 도어 닫힘 측 단부가 형성된다.
또, 강판의 타단부를 굽혀 이면 측 개리부(22)를 형성한 후, 강판의 이면 측 개리부(22)를 포함한 부분을 헤밍 굽힘 가공에 의해 접어 구부린다. 이 후, 강판의 접어 굽힘에 의해 겹친 부분을 함께 굽혀, 대향부(18) 및 이면 측 겹침부(2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 패널(11)의 도어 열림 측 단부가 형성된다.
즉, 도어 패널(11)의 도어 닫힘 측 단부는 패널 부재(14)가 단독으로 굽혀진 단독 굽힘 구조로 되고, 도어 패널(11)의 도어 열림 측 단부는 패널 부재(14) 및 이면 측 겹침부(21)가 함께 굽혀진 겹쳐 굽힘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겹쳐 굽힘 구조는 패널 부재(14) 및 이면 측 겹침부(21)가 함께 굽혀져 있으므로, 패널 부재(14)가 이면 측 겹침부(21)보다 완만한 곡선이 된다. 따라서, 겹쳐 굽힘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도어 패널(11)의 의장성이 저하해 버린다. 이것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의 측부에 의해 상시 은폐되어 있는 도어 패널(11)의 도어 열림 측 단부에만 겹쳐 굽힘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에서는 패널 부재(14)와 이면 부재(15)가 도어 패널(11)의 폭 방향 단부에서 서로 연속하고, 패널 부재(14)와 이면 부재(15)가 서로 연속하는 부분이 강판의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이면 부재(15)는 패널 부재(14)의 이면에 겹쳐진 이면 측 겹침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강판을 굽힘 가공만 하여 도어 패널(11)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어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강판의 굽힘에 의한 보강 및 이면 부재(15)에 의한 보강의 각각에 의해, 도어 패널(11)의 강도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패널(11)의 폭 방향 단부가 강판을 굽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어 패널(11)의 이면 측에서 예리한 부분을 없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승객의 손 등이 도어 패널(11)의 이면 측에 삽입된 경우에 있어서도 도어 패널(11)로 승객이 손이 잘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4)와 승강장 도어(6)와의 사이에 승객의 손이 삽입되어 있을 때 상태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객의 손(25)이 엘리베이터 칸 도어(4)와 승강장 도어(6)와의 사이에 삽입된 경우, 승객의 손(25)이 도어 패널(11)의 이면에 접촉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승객의 손(25)이 접촉하는 부분이 굽힘 가공에 의해 완만한 곡면이 되어 있으므로, 도어 패널(11)로 승객의 손(25)이 잘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패널 부재(14)와 이면 부재(15)가 서로 연속하는 부분은 헤밍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어 패널(11)의 제조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도어 패널(11)의 도어 열림 측 단부는 패널 부재(14) 및 이면 측 겹침부(21)가 함께 굽혀진 겹쳐 굽힘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도어 패널(11)의 강도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 도어 패널(11)의 도어 열림 측 단부만이 겹쳐 굽힘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도어 패널(11)의 의장성이 저하되고 있는 부분을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의 측부에서 숨길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도어 패널(11)의 도어 열림 측 단부만이 겹쳐 굽힘 구조로 되어 있지만, 도어 패널(11)의 의장성의 저하를 허용할 수 있다면, 도어 패널(11)의 도어 닫힘 측 단부도 겹쳐 굽힘 구조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도어 패널(11)의 강도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패널 부재(14) 및 이면 부재(15)만으로 도어 패널(11)의 강도가 확보되도록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이면 측 개리부(22) 및 대향부(17) 사이에 도어 패널(11)과는 별개의 보강 부재를 장착하여도 좋다. 이 경우, 보강 부재는 이면 측 개리부(22) 및 대향부(17)의 각각에 예를 들면 나사 등에 의해 장착된다. 이와 같이 하면, 도어 패널(11)의 강도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 용접과 다른 방법에 의해 도어 패널(11)에 보강 부재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도어 패널(11)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개리 평행부(22b)가 개리 수직부(22a)의 선단부에서 도어 닫힘 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리 수직부(22a)의 선단부에서 도어 열림 측에 연장하도록 개리 평행부(22b)를 형성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도어 패널(31)을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도어 패널(31)은 실시 형태 1과 같은 패널 부재(14)와, 패널 부재(14)의 이면 측에 설치된 이면 부재(32)를 가지고 있다. 패널 부재(14)와 이면 부재(32)는 도어 패널(31)의 폭 방향 단부에서 서로 연속하고 있다. 도어 패널(31)은 한 장의 판(예를 들면 강판 등)을 굽힘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이면 부재(32)는 도어 패널(31)의 도어 닫힘 측 단부에서 패널 부재(14)와 연속하는 제1 이면 부재(33)와, 도어 패널(31)의 도어 열림 측 단부에서 패널 부재(14)와 연속하는 제2 이면 부재(34)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이면 부재(33)와 패널 부재(14)가 서로 연속하는 부분은 판을 둔각으로 굽히는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또, 제2 이면 부재(34)로 패널 부재(14)가 서로 연속하는 부분은 판을 거의 180도 접어 겹치는 헤밍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제1 이면 부재(33)는 대향부(17)의 단부로부터 패널 표면판(1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면 측 개리부(33a)와, 이면 측 개리부(33a)의 선단부(패널 표면판(16)에 가까운 쪽의 단부)로부터 도어 패널(31)의 중앙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면 측 겹침부(33b)를 가지고 있다. 이면 측 겹침부(33b)는 패널 표면판(16)의 이면에 겹쳐져 있다.
제2 이면 부재(34)는 실시 형태 1과 같은 이면 측 겹침부(21)와, 이면 측 겹침부(21)에 설치되어 패널 부재(14)로부터 개리된 이면 측 개리부(35)를 가지고 있다. 이면 측 개리부(35)는 이면 측 겹침부(21)의 겹침 표면판부(21c)의 선단부로부터 도어 패널(3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즉, 패널 표면판(16)에 수직으 로 배치된 판만이 이면 측 개리부(35)로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이 하여도, 강판을 굽힘 가공만 하여 도어 패널(31)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어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강판의 굽힘에 의한 보강 및 이면 부재(32)에 의한 보강의 각각에 의해, 도어 패널(31)의 강도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승객의 손 등이 도어 패널(31)의 이면 측에 삽입된 경우에 있어서도 도어 패널(31)로 승객이 손이 잘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패널 부재(14)와 이면 부재(32)가 서로 연속하는 부분을 둔각으로 굽혀져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어 패널(31)을 더욱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 패널 표면판(16)에 수직으로 배치된 판만이 이면 측 개리부(35)로 되어 있으므로, 각각 실시 형태 1보다 적은 재료로 도어 패널(31)을 제작할 수 있어, 도어 패널(31)의 재료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2의 제1 이면 부재(33) 및 제2 이면 부재(34) 중 어느 한 구조를 실시 형태 1의 도어 패널(11)에 적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내부와 승강장을 연통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4)

  1. 패널 부재와, 상기 패널 부재의 이면(裏面) 측에 설치된 이면 부재를 가지는 도어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 부재와 상기 이면 부재가 상기 도어 패널의 폭 방향 단부에서 서로 연속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로서,
    상기 패널 부재 및 상기 이면 부재가 서로 연속하는 부분은 판을 굽힘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이면 부재는 상기 패널 부재의 이면에 겹쳐진 이면 측 겹침부를 가지며,
    상기 굽힘 가공은 상기 판을 접어 겹치는 헤밍(hemming) 굽힘 가공이고,
    상기 도어 패널의 폭 방향 단부는 상기 패널 부재 및 상기 이면 측 겹침부가 함께 굽혀진 겹쳐 굽힘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의 도어 열림 측 단부만이 상기 겹쳐 굽힘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3. 삭제
  4. 삭제
KR1020087012566A 2006-04-20 2006-04-20 엘리베이터의 도어 KR101010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08308 WO2007122712A1 (ja) 2006-04-20 2006-04-20 エレベータのド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677A KR20080072677A (ko) 2008-08-06
KR101010861B1 true KR101010861B1 (ko) 2011-01-26

Family

ID=38624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566A KR101010861B1 (ko) 2006-04-20 2006-04-20 엘리베이터의 도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08958A4 (ko)
JP (1) JP4885850B2 (ko)
KR (1) KR101010861B1 (ko)
CN (1) CN101321681A (ko)
WO (1) WO20071227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62117B1 (de) * 2011-08-23 2014-05-14 Cedes AG Aufzugvorrichtung mit Positionsbestimmungsvorrichtung
KR101602606B1 (ko) 2015-07-01 2016-03-10 박윤규 엘리베이터용 도어
CN113140072A (zh) * 2018-03-08 2021-07-20 富士电机株式会社 自动售货机的商品收纳装置
CN115210166A (zh) * 2020-03-13 2022-10-1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门板结构
WO2023037171A1 (en) * 2021-09-07 2023-03-16 Wittur Holding Gmbh A sheet metal base panel for use in elevat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3822A (ja) 1999-03-26 2000-10-03 Kaneso Co Ltd 舗装用仕切り材
JP2005066635A (ja) 2003-08-22 2005-03-17 Kobayashi Kinzoku Kogyo Kk ばね性金属部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77709A (en) * 1944-03-07 1946-05-29 Standard Pressed Steel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heet metal doors
JPS387818Y1 (ko) * 1961-04-28 1963-04-30
JP2797896B2 (ja) 1993-05-17 1998-09-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用板体
DE9409916U1 (de) * 1994-06-21 1994-09-22 Kaufmann Kg Elektro Und Metall Sicherheitstür
JP3431431B2 (ja) * 1996-12-13 2003-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扉の製造方法
JP3538096B2 (ja) * 2000-01-12 2004-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の戸
DE10207482A1 (de) * 2002-02-22 2003-10-02 Gerhard Wilhelm Hes Türseg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3822A (ja) 1999-03-26 2000-10-03 Kaneso Co Ltd 舗装用仕切り材
JP2005066635A (ja) 2003-08-22 2005-03-17 Kobayashi Kinzoku Kogyo Kk ばね性金属部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08958A1 (en) 2008-12-31
KR20080072677A (ko) 2008-08-06
JP4885850B2 (ja) 2012-02-29
WO2007122712A1 (ja) 2007-11-01
EP2008958A4 (en) 2013-01-30
CN101321681A (zh) 2008-12-10
JPWO2007122712A1 (ja) 200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861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US20130278017A1 (en) Pillar structure for vehicle body rear portion
EP2070770A1 (en) Vehicle garnish having recess integrally formed with edge in longitudinal direction
JP4644721B2 (ja) エレベーター出入口装置
JP6012619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における気密装置及び気密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のかご
JP4823658B2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構造
JP5068486B2 (ja) エレベータの敷居隙間閉塞装置
JP4768542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KR100926956B1 (ko) 엘리베이터의 외부도어 이탈방지구조
JP3603521B2 (ja) 車両のドアパネル
JP2006347391A (ja) スライドドア構造
US20110155512A1 (en) Car door apparatus for an elevator
JP4844146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
JP6400901B2 (ja) 鉄道車両の引戸構造
JP4755922B2 (ja) ドア構造
JP4220787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2019119590A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ー
JP695692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
JP5344428B2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US20080011556A1 (en) Elevator door operator and interlock arrangement
KR100623152B1 (ko) 승용차량의 슬라이드 도어 구조
JP3113703U (ja) 車両用ドアの構造
JP3991965B2 (ja) 自動車のスライドドア構造
US20230121910A1 (en) Side door for a vehicle
KR100956917B1 (ko) 엘리베이터용 행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도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