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588B1 - 난연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588B1
KR101010588B1 KR1020057006359A KR20057006359A KR101010588B1 KR 101010588 B1 KR101010588 B1 KR 101010588B1 KR 1020057006359 A KR1020057006359 A KR 1020057006359A KR 20057006359 A KR20057006359 A KR 20057006359A KR 101010588 B1 KR101010588 B1 KR 101010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
tert
triazine
butyl
hydr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3756A (ko
Inventor
니콜라스 카프리니디스
니콜라 렐리
Original Assignee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83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08K5/3435Piperid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Abstract

유기 중합체 물질,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은 (i) 1 이상의 입체장애 아민 안정화제, (ii) 유기할로겐, 인 함유 난연제, 이소시아누레이트 난연제 및 멜라민 기제 난연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통상의 난연제; 및 (iii) 1 이상의 제산제의 상승작용적 혼합물을 혼입시키는 것에 의해 난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양호한 난연 특성과 함께 광안정성 및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고 있다. 폴리올레핀 성형 물품은 1 이상의 입체장애 아민 및 1 이상의 통상적인 난연제의 혼입에 의해 광, 열 및 산소로 부터 안정화되며 또 난연성으로 제조되지만, 보통 다량의 난연성 첨가제를 현저하게 감소 또는 제거시킬 수 있다.
난연제, 폴리올레핀, 제산제, 입체장애 아민, 광안정성, 상승작용적 혼합물

Description

난연성 조성물{Flame retardant compositions}
본 발명은 중합체 물질에 1 이상의 입체장애 아민 안정화제, 1 이상의 통상의 난연제 및 1 이상의 제산제(acid scavenger)의 상승작용적 혼합물을 난연 유효량으로 부가하는 것에 의해 중합체 물질을 난연처리하는 신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1 이상의 입체장애 아민 안정화제 및 1 이상의 통상의 난연제를 혼입시켜 보통 다량의 난연성 충전제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거나 제거시킴으로써 광, 열 및 산소로 부터 안정화되고 난연성으로 된 폴리올레핀 성형 물품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5,096,950호는 폴리프로필렌중에 특정 NOR (N-알콕시)입체장애 아민과 브롬화된 Sb2O3-함유 난연제를 동시 사용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5,393,812호는 할로겐화된 히드로카르빌 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 에스테르 난연제와 알콕시아민 작용성 입체장애 아민과의 조합에 의해 난연성으로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5,844,026호는 특정 NOR 입체장애 아민과 특정의 전통적 난연제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6,117,995호는 특정 N-알콕시 입체장애 아민이 유기 중합체에 대한 난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6,271,377호는 N-히드록시알콕시 입체장애 아민 및 할로겐화된 난연제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6,309,987호 및 상응하는 WO 99/54530호는 N-알콕시아민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 부직포를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6,262,161호는 랜덤 인터폴리머(interpolymer), 예컨대 충전제 및 입체장애 아민 안정화제일 수 있는 1 이상의 다른 성분을 포함하여 향상된 발화 저항성을 갖는, 에틸렌 및/또는 1 이상의 α-올레핀 단량체와 1 이상의 비닐 방향족 단량체의 중합체를 개시한다.
A Revolutionary UV Stable Flame Retardant System for Polyolefins - R. Srinivasan, A. Gupta 및 D. Horsey, Int. Conf. Addit. Polyolefins 1998, 69-83은 특정 NOR 입체장애 아민과 함께 할로겐 및 인 함유의 전통적 난연제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을 개시한다.
Advances in a Revolutionary Flame Retardant System for Polyolefins - S. Srinivasan, B. Rotzinger, Polyolefins 2000, Int. Conf. Polyolefins 2000, 571-581은 특정 NOR 입체장애 아민과 함께 브롬화되고 인-함유하는 난연제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을 개시한다.
2001년 9월불로 Society of Plastics Engineers 웹 사이트에 부쳐진 요약서에서 N. Kaprinidis와 R. King은 폴리올레핀에서 NOR 입체장애 아민을 난연제로서 사용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 요약서는 2002년 2월 24일 텍사스 휴스톤에서 열리는 폴리올레핀 2002 컨퍼런스에 제공하기 위해 Polymer Modifiers and Additives Division subsection에 제출된 논문이다. 이 웹사이트는 www.PMAD.org 이다.
유럽특허 0 792 911 A2호는 알콕시아민 작용성 입체장애 아민 및 트리스(트리할로게노펜틸)포스페이트 난연제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개시한다.
WO 99/00450호, 동시계류중인 미국 특허출원 09/502,239호(1999년 11월 3일 출원) 및 09/714,717호(2000년 11월 16일 출원)는 특정 N-알콕시 입체장애 아민을 난연제로서 사용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유럽특허 1038912호는 특정 히드로카르빌옥시 입체장애 아민 화합물을 난연제로서 개시하고 있다.
Research Disclosure, Sept. 2000, No. 437087, June 2000, No. 434095 and Dec.2000, No. 440128은 특정 히드로카르빌옥시 입체장애 아민 화합물의 난연제로서의 효능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6,225,387호는 유기할라이드 난연제 중합체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현재 난연제(FR) 시장은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 수단에 의한 연소처리를 방해하는 작용을 하는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계적으로, 이들 FR은 가스상, 축합된 상 또는 양쪽 상으로 물품을 연소하는 동안 작용하기 위해 제시되었다. 유기할로겐은 중합체 물질로 부터 자유 라디칼 유기 "연료"를 가스상에서 방해하는 할 로겐 종(예컨대 HX)을 생성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상승제는 산화안티몬과 HX가 반응하여 할로겐화안티몬과 수증기를 형성하는 것과 같이, HX와 반응하여 가스상의 연소를 방해하는 부가적인 화학종을 형성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삼산화안티몬과 같은 안티몬 화합물은 라디칼제거제 형성 안티몬 할라이드로도 작용한다. 따라서, 이것은 불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안티몬 화합물은 비용 성능면에서 효과적이지만, 할로겐화된 난연제 존재하에서의 연소시 형성되는 부생성물의 독성으로 인하여 최근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산화안티몬은 흔히 발암물질인 비소 화합물을 미량 함유한다. 이들 생태학적 문제로 인하여, 현재 난연제 시장에서 삼산화안티몬을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그러나, 환경친화적이고 비용면에서도 유리한 효과적인 상승제를 O기란 아주 어려운 일이다.
난연성 첨가제를 부가하는 다른 이유는 불을 적용하는 동안 적하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연소 동안의 적하는 중합체 부분을 매트릭스로 부터 방울 형태로 분리하는 방법이다. 흔히, 상기 방울들은 불타는 성질이어서 불이 번질 심각한 위험을 부과한다. 활석과 같은 충전제를 다량으로 중합체에 부가하는 것이 일반적 조치이며, 이것은 기계적 특성에 대하여 일부 음성적 결과를 갖는다. 보통 사용되는 충전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붕산아연, 실리케이트, 실리콘, 유리 섬유, 유리구, 아스베스토스,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황산칼슘; 산화아연, 수산화마그네슘, 알루미나 삼수화물,과 같은 수화물 및 수산화물; 실리카, 칼슘 실리케이트 및 마그네슘 실리케이트이다.
입체장애 아민 안정화제가 통상의 유기할로겐 난연제, 인 함유 난연제, 이소시아누레이트 난연제 또는 멜라민 기제 난연제 및 제산제와 함께 중합체에 부가되면 양호한 난연특성을 갖는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조합에 의하여, 난연성 충전제 또는 통상의 충전제의 양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거나 대체시킬 수 있다. 상기 입체장애 아민 화합물은 안정화제로서 활성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광, 산소 및/또는 열의 유해 영향으로 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본 발명은,
(a) 유기 중합체 물질, 및
(b) (i) 1 이상의 입체장애 아민 안정화제,
(ii) 유기할로겐, 인 함유 난연제, 이소시아누레이트 난연제 및 멜라민 기제 난연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통상의 난연제; 및
(iii) 1 이상의 제산제
의 상승작용적 혼합물 난연 유효량을 포함하는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난연성 충전제는 난연특성을 향상시키고 또 예컨대 UL-94 연소시험(이하 참조)에서 높은 등급을 얻기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다. 결국,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량, 예컨대 중합체 성분 A의 약 3중량% 미만, 예컨대 약 1중량% 미만, 에컨대 약 0.1 중량% 미만의 난연성 충전제만을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질적으로 난연성 충전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난연성 충전제는 당해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또 수산화마그네슘, 알루미나 삼수화물 및 붕산아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난연성 충전제는 난연특성을 위해 이용되는 무기 화합물이며, 충전제로 간주될 만큼 다량이다.
활석, 탄산칼슘 등과 같은 통상의 충전제가 화염 액적이 퍼지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유동특성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통상의 충전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에 의해 감소될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량의 통상적인 충전제, 예컨대 중합체 성분 A의 약 3중량% 미만, 예컨대 1중량% 미만, 예컨대 약 0.1 중량% 미만을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통상적인 충전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의 충전제가 보다 고가의 난연성 충전제를 대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난연 요건을 충족하면서 Sb2O3와 같은 안티몬 화합물을 미량 함유하거나 거의 함유하지 않으며, 예컨대 성분(a)의 약 1중량% 미만, 예컨대 약 0.1중량% 미만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티몬을 거의 함유하지 않는다.
중합체 물질 (a)
성분(a)의 중합체 물질은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및 PVC를 비롯하여 다양한 유형의 중합체이다. 예컨대, 중합체 물질은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스티렌 중합체 및 공중합체, ABS 및 헤테로원자, 이중결합 또는 방향족 고리를 함유하는 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는 성분(a)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ABS 또는 고충격 폴리스티렌이다.
예컨대, 중합체 물질은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스티렌 중합체 및 공중합체 및 ABS로 구성된 수지로 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중합체 물질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ABS 및 고충격 폴리스티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예컨대, 중합체 물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이다. 성분 A의 유기 중합체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과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그의 공중합체이다.
유기 중합체(성분 A)의 다른 예는 다음과 같다:
1.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의 중합체,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4-메틸펜트-1-엔, 폴리비닐시클로헥산,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 뿐만 아니라 시클로올레핀(예컨대, 시클로펜텐 또는 노르보르넨)의 중합체, 폴리에틸렌(선택적으로 교차 결합될 수 있음),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밀도 및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HMW), 고밀도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UHMW), 중간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VLDPE) 및 (ULDPE).
폴리올레핀 즉, 앞 단락에서 예시된 모노올레핀의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다양하게, 특히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라디칼 중합 반응(정상적으로는 고압하 및 고온에서)
b) 정상적으로는 주기율표의 Ⅳb,Ⅴb, VIb 또는 Ⅷ 금속족 1이상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는 촉매 중합반응. 이같은 금속은 일반적으로 1이상의 리간드, 예컨대 π- 또는 σ-배위될 수 있는 산화물, 할로겐화물, 알코올레이트,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알킬, 알켄일 및/또는 아릴을 가진다. 이같은 금속 착물은 유리 형태이거나 기질 상에, 전형적으로 활성화된 염화 마그네슘, 염화티탄(Ⅲ), 알루미나 또는 산화 실리콘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같은 촉매는 중합반응 매질에서 가용성 또는 불용성일 수 있다. 이들 촉매는 그 자체로 중합반응에서 사용되거나 추가의 활성제, 전형적으로 금속 알킬, 금속 수소화물, 금속 알킬 할로겐화물, 금속 알킬 산화물 또는 금속 알킬옥산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금속은 주기율표 Ia, IIa 및/또는 IIIa 족의 원소이다. 활성제는 추가의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또는 실릴 에테르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개질될 수 있다. 상기 촉매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Phillips, Standard Oil Indiana, Ziegler(-Natta), TNZ(DuPont), 메탈로센 또는 단자리 촉매(SSC)라고 칭한다.
2. 1)이하에서 언급된 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이소부틸렌의 혼합물,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컨대, PP/HDPE, PP/LDPE) 및 다양한 유형의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컨대, LDPE/HDPE).
3.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 서로간 또는 다른 비닐 단위체와의 공중합체,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이들과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혼합물, 프로필렌/부트-1-엔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트-1-엔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틸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헵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시클로헥산 공중합체, 에틸렌/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예컨대 에틸렌/노르보르넨 같은 COC), 에틸렌/1-올레핀 공중합체, 이때 1-올레핀은 같은 자리에서 생성됨; 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시클로헥센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염(이오노머) 뿐만 아니라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디엔(예컨대, 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또는 에틸리덴-노르보르넨)의 삼중합체; 및 이같은 공중합체 간 그리고 이같은 공중합체와 상기 1)에서 언급한 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LDPE/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LDPE/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LLDPE/EVA, LLDPE/EAA 및 교대의 또는 랜덤 폴리알킬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 및 다른 중합체(예컨대, 폴리아미드)와 이들의 혼합물.
4. 수소화된 개질형(예컨대, 점착제) 및 폴리알킬렌과 전분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예컨대 C5-C9).
상기 1) 내지 4)의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신디오탁틱, 이소탁틱, 헤미-이소탁틱 또는 아탁틱을 비롯한 임의 입체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아탁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입체블록 중합체도 또한 포함된다.
5.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6.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의 모든 이성질체, 특히 p-비닐톨루엔, 에틸 스티렌의 모든 이성질체, 프로필 스티렌, 비닐 비페닐, 비닐 나프탈렌, 및 비닐 안트라센을 비롯한 비닐 방향족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방향족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신디오탁틱, 이소탁틱, 헤미-이소탁틱 또는 아탁틱을 비롯한 임의 입체구조를 가질 수 있고, 아탁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입체블록 중합체도 또한 포함된다.
6a.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니트릴, 산, 말레산 무수물, 말레이미드, 비닐 아세테이트 및 염화비닐로부터 선택된 상술한 비닐 방향족 단량체 및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는 그의 아크릴 유도체 및 그의 혼합물,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에틸렌 (인터중합체), 스티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아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메틸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공중합체 및 다른 중합체의 고충역 강도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엔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과 같은 스티렌의 블록 공중합체.
6b. 6)하에서 언급한 중합체의 수소화로부터 유도된 수소화된 방향족 중합체, 특히 아탁틱 폴리스티렌을 수소화시켜 제조한 폴리시클로헥실에틸렌(PCHE)(흔히 폴리비닐시클로헥산(PVCH)으로 칭함).
6c. 6a)하에서 수록된 중합체의 수소화로부터 유도된 수소화된 방향족 중합체.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신디오탁틱, 이소탁틱, 헤미-이소탁틱 또는 아탁틱을 비롯한 임의 입체구조를 가질 수 있고, 아탁틱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입체블록 중합체도 또한 포함된다.
7.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과 같은 비닐 방향족 단량체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스티렌 또는 폴리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상의 스티렌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중합체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뿐만 아니라 이들과 6)이하에 목록화된 공중합체의 혼합물, 예컨대 ABS, MBS, ASA 또는 AES 중합체로 공지된 공중합체 혼합물.
8. 할로겐-함유 중합체, 예컨대 폴리클로로프렌, 염소화 고무, 이소부틸렌-이소프렌의 염소화 및 브롬화 공중합체(할로부틸 고무), 염소화 또는 황염소화 폴리에틸렌, 에틸렌 및 염소화 에틸렌의 공중합체, 에피클로로히드린 동종- 및 공중합체, 특히 할로겐-함유 비닐 화합물의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 클로리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리드, 폴리비닐 플루오리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리드, 뿐만 아니라 그들의 공중합체(예컨대, 비닐 클로리드/비닐리덴 클로리드, 비닐 클로리드/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리덴 클로리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9. α,β-불포화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부터 유도된 중합체,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부틸 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충격 개질됨).
10. 9)이하에서 언급된 단위체의 서로간의 또는 다른 불포화 단위체와의 공중합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비닐 할라이드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알킬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삼중합체.
11. 불포화 알코올 및 아민 또는 아실 유도체 또는 이들의 아세탈로 부터 유도된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 벤조에이트, 폴리비닐 말레에이트,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알릴 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릴 멜라민; 뿐만 아니라 이들과 상기 1)에서 언급된 올레핀과 의 공중합체.
12. 폴리프로필렌 옥시드,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알킬렌 글리콜과 같은 환형 에테르의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 또는 이들과 비스글리시딜 에테르의 공중합체.
13. 폴리옥시메틸렌 및 공단량체로 에틸렌 옥시드를 포함하는 폴리옥시메틸렌과 같은 폴리아세탈;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MBS에 의해 개질된 폴리아세탈.
14. 폴리페닐렌 옥시드 및 술피드, 및 폴리페닐렌 옥시드와 스티렌 중합체 또는 폴리아미드의 혼합물.
15. 한편으로는 히드록시-말단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부타디엔 및 또 다른 한편으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우레탄 뿐만 아니라 이들의 전구물질.
16. 디아민 및 디카르복시산 및/또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상응하는 락탐으로 부터 유도된 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 예컨대 폴리아미드 4,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6/10, 6/9, 6/12, 4/6, 12/12,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m-크실렌 디아민 및 아디프산으로 부터 개시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탄성 중합체를 개질제로서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이소프탈산 및/또는 테레프탈산으로 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 예컨대 폴리-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또는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및 전술한 폴리아미드와 폴리올레핀, 올레핀 공중합체, 이오노머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되거나 그라프트된 탄성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전술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테르(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의 블록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EPDM 또는 ABS에 의해 개질된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 및 가공하는 동안 축합된 폴리아미드(RIM 폴리아미드 시스템).
17. 폴리우레아,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히단토인 및 폴리벤즈이미다졸.
18. 디카르복시산 및 디올로 부터 및/또는 히드록시카르복시산 또는 그와 상응하는 락톤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알킬렌 나프탈레이트(PAN) 및 폴리히드록시벤조에이트 뿐만아니라, 히드록실-말단 폴리에테르로 부터 유도된 블록 코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및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MBS에 의해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19.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20. 폴리케톤.
21.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및 폴리에테르 케톤.
22. 전술한 중합체의 혼합물(복혼합물), 예컨대 PP/EPDM, 폴리아미드/EPDM 또는 ABS, PVC/EVA, PVC/ABS, PVC/MBS, PC/ABS, PBTP/ABS, PC/ASA, PC/PBT, PVC/CPE, PVC/아크릴레이트, POM/열가소성 PUR, PC/열가소성 PUR, POM/아크릴레이트, POM/MBS, PPO/HIPS, PPO/PA 6.6 및 공중합체, PA/HDPE, PA/PP, PA/PPO, PBT/PC/ABS 또는 PBT/PET/PC.
성분(i)의 입체장애 아민 안정화제
본 발명의 입체장애 아민은 예컨대 단량체성 화합물 또는 올리고머성 또는 중합성 화합물이다.
성분(i)의 본 발명의 입체장애 아민 안정화제는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또 하기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05019195767-pct00001
식중에서,
G1 및 G2는 독립적으로 1 내지 8개 탄소원자의 알킬이거나 또는 합쳐져서 펜타메틸렌이고,
Z1 및 Z2는 각각 메틸이거나, 또는 Z1 및 Z2는 합쳐져서 에스테르, 에테르, 아미드, 아미노, 카르복시 또는 우레탄 기에 의해 부가적으로 치환될 수 있는 연결 잔기를 형성하며, 또
E는 옥실, 히드록실, 알콕시, 시클로알콕시, 아르알콕시, 아릴옥시, -O-CO-OZ3, -O-Si(Z4)3-, -O-PO(OZ5)2 또는 -O-CH2-OZ6 이고, 이때 Z3, Z4, Z5 및 Z6은 수소, 지방족, 방향지방족 및 방향족 잔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또는 E는 -O-T-(OH)b 이고,
T는 1 내지 18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렌, 5 내지 18개 탄소원자의 시클로알킬렌, 5 내지 18개 탄소원자의 시클로알케닐렌, 페닐에 의해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의 1 또는 2개의 알킬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에 의해 치환된 1 내지 4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렌이며,
b는 1, 2 또는 3이고, 단 b는 T중의 탄소원자 수를 넘을 수 없으며 또 b가 2 또는 3이면, 각 히드록실 기는 T의 상이한 탄소원자에 부착된다.
E는 예컨대 옥실, 히드록실, 알콕시, 시클로알콕시 또는 아르알콕시이다. 예컨대, E는 메톡시, 프로폭시, 시클로헥실옥시 또는 옥틸옥시이다.
성분(i)의 본 발명의 입체장애 아민 안정화제는 예컨대 하기 화학식(A) 내지 (R)의 안정화제이다:
Figure 112005019195767-pct00002
Figure 112005019195767-pct00003
Figure 112005019195767-pct00004
Figure 112005019195767-pct00005
Figure 112005019195767-pct00006
Figure 112005019195767-pct00007
Figure 112005019195767-pct00008
Figure 112005019195767-pct00009
Figure 112005019195767-pct00010
Figure 112005019195767-pct00011
Figure 112005019195767-pct00012
Figure 112005019195767-pct00013
Figure 112005019195767-pct00014
Figure 112005019195767-pct00015
Figure 112005019195767-pct00016
Figure 112005019195767-pct00017
Figure 112005019195767-pct00018
Figure 112005019195767-pct00019
식중에서,
E는 옥실, 히드록실, 1 내지 18개 탄소원자의 알콕시, 5 내지 12개 탄소원자의 시클로알콕시 또는 7 내지 15개 탄소원자의 아르알콕시이거나, 또는 E는 -O-T-(OH)b 이고,
T는 1 내지 18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렌, 5 내지 18개 탄소원자의 시클로알킬렌, 5 내지 18개 탄소원자의 시클로알케닐렌, 페닐에 의해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의 1 또는 2개의 알킬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에 의해 치환된 1 내지 4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렌이며,
b는 1, 2 또는 3이고, 단 b는 T중의 탄소원자 수를 넘을 수 없으며 또 b가 2 또는 3이면, 각 히드록실 기는 T의 상이한 탄소원자에 부착되고,
R은 수소 또는 메틸이며,
m은 1 내지 4이고,
m =1이면,
R2는 수소, C1-C18알킬 또는 1 이상의 산소원자를 경우에 따라 중간에 포함하 는 상기 알킬, C2-C12알케닐, C6-C10아릴, C7-C18아르알킬, 글리시딜,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족 카르복시산 또는 카르밤산의 일가 아실 라디칼, 예컨대 2-18개 C 원자를 갖는 지방족 카르복시산의 아실 라디칼, 5-12개 C 원자의 시클로지방족 카르복시산의 아실 라디칼 또는 7-15개 C 원자를 갖는 방향족 카르복시산의 아실 라디칼이거나, 또는
Figure 112005019195767-pct00020
이고,
이때 x는 0 또는 1이며,
Figure 112005019195767-pct00021
이때 y는 2-4이고;
m = 2이면,
R2는 C1-C12알킬렌, C4-C12알케닐렌, 크실릴렌,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방향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디카르밤산의 2가 아실 라디칼, 예컨대 2-18 개 C 원자를 갖는 지방족 디카르복시산의 아실 라디칼, 8-14개 C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의 아실 라디칼, 또는 8-14개 C원자를 갖는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카르밤산의 아실 라디칼이고;
Figure 112005019195767-pct00022
이며, 이때 D1 및 D2는 독립적으로 수소, 8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라디칼,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라디칼을 비롯한 아릴 또는 아르알킬 라디칼이고, D3은 수소, 또는 18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또는 알케닐 라디칼이며, 또 d는 0-20이고;
m = 3이면, R2는 지방족, 불포화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족 트리카르복시산의 3가 아실 라디칼이며;
m = 4이면, R2는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시산, 1,2,3,4-부트-2-엔-테트라카르복시산 및 1,2,3,5- 및 1,2,4,5-펜탄테트라카르복시산을 비롯한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시산의 4가 아실 라디칼이며;
p는 1, 2 또는 3이고;
R3은 수소, C1-C12알킬, C5-C7시클로알킬, C7-C9아르알킬, C2-C18알카노일, C3-C5알케노일 또는 벤조일이며;
p = 1이면,
R4는 수소, C1-C18알킬, C5-C7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시아노, 카르보닐 또는 카바미드기에 의해 치환된 C2-C8알케닐, 아릴, 아르알킬 또는 글리시딜, 화학식 -CH2-CH(OH)-Z 또는 화학식 -CO-Z 또는 -CONH-Z의 기 (이때 Z는 수소, 메틸 또는 페닐임)이거나;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5019195767-pct00023
의 기이고, 이때 h는 0 또는 1이며,
R3 및 R4는 합쳐져서 p =1이면, 4 내지 6개 탄소원자의 알킬렌 또는 2-옥소폴리알킬렌, 지방족 또는 방향족 1,2- 또는 1,3-디카르복시산의 시클릴 아실 라디칼이고,
p = 2이면,
R4는 직접 결합이거나 또는 C1-C12알킬렌, C6-C12아릴렌, 크실릴렌, -CH2CH(OH)-CH2 기 또는 기 -CH2-CH(OH)-CH2-O-X-O-CH2-CH(OH)-CH2- 이고, 이때 X는 C2-C10알킬렌, C6-C15아릴렌 또는 C6-C12시클로알킬렌이거나; 또는 R3이 알카노일, 알케노일 또는 벤조일이 아니면, R4는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디카르밤산의 2가 아실 라디칼일 수 있거나, 또는 기 -CO- 일 수 있거나; 또는
R4
Figure 112005019195767-pct00024
이며,
T8 및 T9는 독립적으로 수소, 1 내지 18개 탄소원자의 알킬이거나, 또는 T8 및 T9는 합쳐져서 4 내지 6개 탄소원자의 알킬렌 또는 3-옥사펜타메틸렌이고, 예컨대 T8 및 T9는 합쳐져서 3-옥사펜타메틸렌이며;
p = 3이면,
R4는 2,4,6-트리아지닐이고,
n은 1 또는 2이며,
n = 1 이면,
R5 및 R'5는 독립적으로 C1-C12알킬, C2-C12알케닐, C7-C12아르알킬이거나, 또는 R5는 또한 수소이거나, 또는 R5 및 R'5는 합쳐져서 C2-C8알킬렌 또는 히드록시알킬렌이거나 또는 C4-C22아실옥시알킬렌이고;
n = 2이면,
R5 및 R'5는 합쳐져서 (-CH2)2C(CH2-)2 이며;
R6은 수소, C1-C12알킬, 알릴, 벤질, 글리시딜 또는 C2-C6알콕시알킬이고;
n = 1 이면,
R7은 수소, C1-C12알킬, C3-C5알케닐, C7-C9아르알킬, C5-C7시클로알킬, C2-C4히드록시알킬, C2-C6알콕시알킬, C6-C10아릴, 글리시딜, 화학식 -(CH2)t-COO-Q의 기 또는 화학식 -(CH2)t-O-CO-Q의 기, 이때 t는 1 또는 2이고 또 Q는 C1-C4알킬 또는 페닐이거나; 또는
n = 2이면,
R7은 C2-C12알킬렌, C6-C12아릴렌, -CH2CH(OH)-CH2-O-X-O-CH2-CH(OH)-CH2- 기이고, 이때 X는 C2-C10알킬렌, C6-C15아릴렌 또는 C6-C12시클로알킬렌이거나, 또는 -CH2CH(OZ')CH2-(OCH2-CH(OZ')CH2)2 기이며, 이때 Z'는 수소, C1-C18알킬, 알릴, 벤질, C2-C12알카노일 또는 벤조일이며;
Q1은 -N(R8)- 또는 -O-이며; E7은 C1-C3알킬렌, -CH2-CH(R9)-O- 기 (이때 R9는 수소, 메틸 또는 페닐임) 또는 -(CH2)3-NH- 기 또는 직접 결합이고;
R10은 수소 또는 C1-C18알킬이고, R8은 수소, C1-C18알킬, C5-C7시클로알킬, C7-C12아르알킬, 시아노에틸, C6-C10아릴, -CH2-CH(R9)-OH 기(이때 R9는 상기 정의와 동일함); 화학식
Figure 112005019195767-pct00025
의 기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5019195767-pct00026
의 기이고, 이때 G4는 C2-C6알킬렌 또는 C6-C12아릴렌이거나; 또는 R8은 -E7-CO-NH-CH2-OR10 기이고;
화학식 F는 T3이 에틸렌 또는 1,2-프로필렌인 중합체의 반복 구조단위체를 의미하며,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의 알파-올레핀 공중합체로 부터 유도된 반복 구조 단위체이며; 예컨대 에틸렌 및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이고, k는 2 내지 100이고;
T4는 p가 1 또는 2일 때 R4와 동일한 의미를 갖고,
T5는 메틸이며,
T6은 메틸 또는 에틸이거나, 또는 T5 및 T6은 합쳐져서 테트라메틸렌 또는 펜타메틸렌이며, 예컨대 T5 및 T6은 각각 메틸이고,
M 및 Y는 독립적으로 메틸렌 또는 카르보닐이고, 또 T4는 n = 2인 에틸렌이 며;
T7은 R7과 프로파일, 또 T7은 예컨대 n = 2일 때 옥타메틸렌이고,
T10 및 T11은 독립적으로 2 내지 12개 탄소원자의 알킬렌이거나, 또는 T11
Figure 112005019195767-pct00027
이고,
T12는 피페라지닐,
Figure 112005019195767-pct00028
이고, 이때 R11은 R3과 동일하거나 또는
Figure 112005019195767-pct00029
이며,
a, b 및 c는 독립적으로 2 또는 3이고, 또 f는 0 또는 1이며, 예컨대 a 및 c 는 각각 3이고, b는 2 이며 또 f는 1이고; 또
e는 2, 3 또는 4이고, 예컨대 4이며;
T13은 R2와 동일하고, 단 T13은 n=1일 때 수소일 수 없고;
E1 및 E2는 서로 상이하며 각각 -CO- 또는 -N(E5)- 이며, 이때 E5는 수소, C1-C12알킬 또는 C4-C22알콕시카르보닐알킬, 예컨대 E1은 -CO- 이고 또 E2는 -N(E5)- 이며,
E3은 수소, 1 내지 30개 탄소원자의 알킬, 페닐, 나프틸, 염소에 의해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의 알킬에 의해 치환된 상기 페닐 또는 상기 나프틸이거나, 또는 7 내지 12개 탄소원자의 페닐알킬이거나,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의 알킬에 의해 치환된 상기 페닐알킬이고,
E4는 수소, 1 내지 30개 탄소원자의 알킬, 페닐, 나프틸 또는 7 내지 12개 탄소원자의 페닐알킬이거나, 또는
E3 및 E4는 합쳐져서 4 내지 17개 탄소원자의 폴리메틸렌이거나, 또는 1 내지 4개 탄소원자의 4개 이하의 알킬기에 의해 치환된 상기 폴리메틸렌, 예컨대 메틸이고,
E6은 지방족 또는 방향족 4가 라디칼이며,
화학식(N)의 R2는 m = 1일 때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G1은 직접 결합, C1-C12알킬렌, 페닐렌 또는 -NH-G'-NH 이고, 이때 G'는 C1-C12알킬렌이거나; 또는
상기 입체장애 아민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I), (II), (III), (IV), (V), (VI), (VII), (VIII), (IX), (X) 또는 (XI)의 화합물이며,
Figure 112005019195767-pct00030
(Ⅰ)
Figure 112005019195767-pct00031
(Ⅱ)
Figure 112005019195767-pct00032
(Ⅲ)
(Ⅳ)
Figure 112005019195767-pct00034
(Ⅴ)
Figure 112005019195767-pct00035
(Ⅵ)
Figure 112005019195767-pct00036
(Ⅶ)
Figure 112005019195767-pct00037
(Ⅷ)
Figure 112005019195767-pct00038
(Ⅸ)
Figure 112005019195767-pct00039
(Ⅹ)
Figure 112005019195767-pct00040
(XI)
식중에서,
E1, E2, E3 및 E4는 독립적으로 1 내지 4개 탄소원자의 알킬이거나, 또는 E1 및 E2는 독립적으로 1 내지 4개 탄소원자의 알킬이고 또 E3 및 E4는 합쳐져서 펜타메틸렌이거나, 또는 E1 및 E2 및 E3 및 E4는 각기 합쳐져서 펜타메틸렌이며,
R1은 1 내지 18개 탄소원자의 알킬, 5 내지 12개 탄소원자의 시클로알킬, 7 내지 12개 탄소원자의 비시클릭 또는 트리시클릭 탄화수소 라디칼, 7 내지 15개 탄 소원자의 페닐알킬, 6 내지 10개 탄소원자의 아릴이거나 또는 1 내지 8개 탄소원자의 알킬 1 내지 3개에 의해 치환된 상기 아릴이며,
R2는 수소이거나 또는 1 내지 12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R3은 1 내지 8개 탄소원자의 알킬렌이거나, 또는 R3은 -CO-, -CO-R4-, -CONR2- 또는 -CO-NR2-R4- 이며,
R4는 1 내지 8개 탄소원자의 알킬렌이고,
R5는 수소, 1 내지 12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거나, 또는
Figure 112005019195767-pct00041
이거나 또는 R4가 에틸렌이면, 2개의 R5 메틸 치환기는 트리아진 브릿지 기가 -N(R5)-R4-N(R5)-가 피페라진-1,4-디일 잔기이도록 직접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R6은 2 내지 8개 탄소원자의 알킬렌이거나 또는 R6
Figure 112005019195767-pct00042
이며, 단 R6이 상기 기재한 구조이면 Y는 -OH가 아니며,
A는 -O- 또는 -NR7- 이며, 이때 R7은 수소, 1 내지 12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거나, 또는 R7
Figure 112005019195767-pct00043
이며,
T는 페녹시, 1 내지 4개 탄소원자의 알킬 1 또는 2개에 의해 치환된 페녹시, 1 내지 8개 탄소원자의 알콕시 또는 R2가 수소가 아닌 조건에서 -N(R2)2 이거나, 또는 T는
Figure 112005019195767-pct00044
이며,
X는 -NH2, -NCO, -OH, -O-글리시딜 또는 -NHNH2 이고, 또
Y는 -OH, -NH2, -NHR2 이고, 이때 R2는 수소가 아니며; 또는 Y는 -NCO, -COOH, 옥시라닐, -O-글리시딜 또는 -Si(OR2)3 이거나; 또는 그 조합 R3-Y는 -CH2CH(OH)R2 이고, 이때 R2는 알킬 또는 1 내지 4개 산소원자를 중간에 포함하는 상기 알킬이거나, 또는 R3-Y는 -CH2OR2 이고; 또는
입체장애 아민 화합물이 N,N',N"'-트리스[2,4-비스[(1-히드로카르빌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알킬아미노]-s-트리아진-6-일}-3,3'-에틸렌디아미노디프로필아민; N,N',N"-트리스{2,4-비스[(1-히드로카르빌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알킬아미노]-s-트리아진-6-일}-3,3'-에틸렌디이미노디프로필아민 및 하기 화학식(I), (II), (IIA) 및 (III)의 브릿지연결된 유도체의 혼합물이고,
Figure 112005019195767-pct00045
(I)
Figure 112005019195767-pct00046
(II)
Figure 112005019195767-pct00047
(IIA)
Figure 112005019195767-pct00048
(III)
화학식(I)의 테트라아민에서,
R1 및 R2는 s-트리아진 잔기 E이고; 또 R3 및 R4중의 하나는 s-트리아진 잔기 E이고 R3 및 R4중의 나머지 하나는 수소이며,
E는
Figure 112005019195767-pct00049
이고,
R은 메틸, 프로필, 시클로헥실 또는 옥틸, 예컨대 시클로헥실이며,
R5는 1 내지 12개 탄소원자의 알킬, 예컨대 n-부틸이고,
화학식(II) 또는 (IIA)의 화합물에서, R은 프로필, 시클로헥실 또는 옥틸이며,
T 및 T1은 각각 화학식(I)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R1-R4에 의해 치환된 테트라 아민이고,
(1) 각 테트라아민중의 s-트리아진 잔기 E의 하나는 기 E1에 의해 치환되어 2개의 테트라아민 T 및 T1 사이에 브릿지를 형성하며,
E1
Figure 112005019195767-pct00050
이거나 또는
(2) 기 E1는 화학식(IIA)에서와 동일한 테트라아민 T에서 양쪽 말단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테트라아민의 2개의 E 잔기는 1개의 E1 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3) 테트라아민 T의 모든 3개의 s-트리아진 치환기는 1개의 E1이 T 및 T1을 연결하고 또 두번째 E1이 테트라아민 T중의 양쪽 말단을 갖도록 E1 일 수 있으며,
L은 프로판디일, 시클로헥산디일 또는 옥탄디일이고;
화학식(III)의 화합물에서,
G, G1 및 G2는 화학식(I)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R1-R4에 의해 치환된 각 테트 라아민이며, 단 G 및 G2가 E1에 의해 치환된 s-트리아진 잔기 E의 하나를 갖고, 또 G1은 E1에 의해 치환된 2개의 트리아진 잔기 E를 가지고 있어 G와 G1 사이에 브릿지를 갖고 또 G1 및 G2 사이에 두번째 브릿지를 가지며;
상기 혼합물은 2 내지 4 당량의 2,4-비스[(1-히드로카르빌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부틸아미노]-6-클로로-s-트리아진과 1 당량의 N,N'-비스(3-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을 반응시켜 제조하며;
또는 입체장애 아민은 하기 화학식(IIIb)
Figure 112005019195767-pct00051
의 화합물이고, 이때 지수 n은 1 내지 15이고;
R12는 C2-C12알킬렌, C4-C12알케닐렌, C5-C7시클로알킬렌, C5-C7시클로알킬렌-디(C1-C4알킬렌), C1-C4알킬렌디(C5-C7시클로알킬렌), 페닐렌디(C1-C4알킬렌) 또는 중간에 1,4-피페라진디일, -O- 또는 >N-X1을 포함하는 C4-C12알킬렌 (이때 X1은 C1-C12아실 또는 (C1-C12알콕시)카르보닐이거나 또는 수소를 제외하고는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R14의 정의중의 하나를 가짐)이거나 또는 R12는 하기 화학식(Ib') 또는 (Ic')의 기이며,
Figure 112005019195767-pct00052
Figure 112005019195767-pct00053
이때, m은 2 또는 3이며,
X2는 C1-C18알킬, 비치환 또는 1, 2 또는 3개의 C1-C4알킬에 의해 치환된 C5-C12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1, 2 또는 3개의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페닐; 비치환 또는 페닐상에서 1, 2 또는 3개의 C1-C4알킬에 의해 치환된 C7-C9페닐알킬이고; 또
라디칼 X3은 서로 독립적으로 C2-C12알킬렌이며;
R13, R14 및 R15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C1-C18알킬, 비치환 또는 1, 2 또는 3개의 C1-C4알킬에 의해 치환된 C5-C12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1,2 또는 3개의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C3-C18알케닐, 페닐; 비치환 또는 페닐상에서 1,2 또는 3개의 C1-C4알킬에 의해 치환된 C7-C9페닐알킬;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또는 2, 3 또는 4 위치에서 -OH, C1-C8알콕시, 디(C1-C4알킬)아미노 또는 하기 화학식(Ie')
Figure 112005019195767-pct00054
의 기(이때 Y는 -O-, -CH2-, -CH2CH2- 또는 >N-CH3 임)에 의해 치환된 C2-C4알킬이거나 또는 -N(R14)(R15)는 부가적으로 상기 화학식(Ie')의 기이며;
라디칼 A는 독립적으로 -OR13, -N(R14)(R15) 또는 화학식
Figure 112005019195767-pct00055
의 기이고,
X는 -O- 또는 >N-R16 이며;
R16은 수소, C1-C18알킬, C3-C18알케닐, 비치환 또는 1, 2 또는 3개의 C1-C4알 킬에 의해 치환된 C5-C12시클로알킬; 비치환 또는 페닐상에서 1, 2 또는 3개의 C1-C4알킬에 의해 치환된 C7-C9페닐알킬;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하기 화학식(IIIf)의 기
Figure 112005019195767-pct00056
의 기 또는 2, 3 또는 4 위치에서 -OH, C1-C8알콕시, 디(C1-C4알킬)아미노 또는 화학식(Ie')의 기에 의해 치환된 C2-C4알킬이며;
R11은 R16에 정의된 의미중의 하나를 갖고; 또
라디칼 B는 서로 독립적으로 A에 정의된 의미중의 하나를 갖는다.
알킬은 직쇄 또는 측쇄이며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이차부틸, 삼차부틸, n-헥실, n-옥틸, 2-에틸헥실, n-노닐, n-데실, n-운데실, n-도데실, n-트리데실, n-테트라데실, n-헥사데실 또는 n-옥타데실이다.
시클로알킬 기는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을 포함하며; 전형적인 시클로알케닐 기는 시클로헥세닐을 포함하는 반면에; 전형적인 아르알킬 기는 벤질, 알파-메틸-벤질, 알파, 알파-디메틸벤질 또는 펜에틸을 포함한다.
R2가 카르복시산의 일가 아실 라디칼이면, 이것은 예컨대 아세트산, 스테아르산, 살리실산, 벤조산 또는 β-(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실 라디칼이다.
R2가 디카르복시산의 2가 아실 라디칼이면, 이것은 예컨대 옥살산, 아디프산, 숙신산, 수베르산, 베사스산, 프탈산 디부틸말론산, 디벤질말론산 또는 부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론산 또는 비시클로헵텐디카르복시산의 아실 라디칼이며, 숙시네이트, 세바케이트, 프탈레이트 및 이소프탈레이트가 특별한 예이다.
R2가 디카르밤산의 2가 아실 라디칼이면, 이것은 예컨대 헥사메틸렌디카르밤산 또는 2,4-톨루일렌디카르밤산의 아실 라디칼이다.
성분(i)의 입체장애 알콕시아민 안정화제는 당업자에게 N-알콕시 입체장애 아민 및 NOR 입체장애 아민 또는 NOR 입체장애 아민 광 안정화제 또는 NOR HALS로도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예컨대 미국특허 5,004,770호, 5,204,473호, 5,096,950호, 5,300,544호, 5,112,890호, 5,124,378호, 5,145,893호, 5,216,156호, 5,844,026호, 6,117,995호, 6,271,377호 및 미국특허출원 09/505,529(2000년 2월 17일 출원), 09/794,710호(2001년 2월 27일 출원), 09/714,717호(2000년 11월 16일 출원), 09/502,239호(1999년 11월 3일 출원) 및 60/312,517호(2001년 8월 15일 출원)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특허 및 특허출원의 관련 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상기에서 인용된 미국특허 6,271,377호 및 미국특허출원 09/505,529호(2000 년 2월 17일 출원) 및 09/794,710호(2001년 2월 27일 출원)은 입체장애 히드록시알콕시아민 안정화제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입체장애 히드록시알콕시아민 안정화제는 입체장애 알콕시아민 안정화제의 부분집합으로 간주되며 본 발명의 성분(i)의 일부이다. 입체장애 히드록시알콕시아민 안정화제는 N-히드록시알콕시 입체장애 아민 또는 NOR HALS로도 공지되어 있다.
성분(i)의 적합한 입체장애 아민은 예컨대 다음을 포함한다:
NOR1 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4-옥타데실아미노피페리딘;
NOR2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세바케이트;
NOR3 2,4-비스[(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부틸아미노]-6-(2-히드록시에틸아미노-s-트리아진;
NOR4 2,4-비스[(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부틸아미노]-6-클로로-s-트리아진;
NOR5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NOR6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옥소-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NOR7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옥타데카노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NOR8 비스(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세바케이트;
NOR9 비스(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 일)아디페이트;
NOR10 2,4-비스{N-[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N-부틸아미노}-6-(2-히드록시에틸아미노)-s-트리아진;
NOR11 2,4-비스[(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부틸아미노]-6-클로로-s-트리아진과 N,N'-비스(3-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의 반응 생성물[CAS Reg. No. 191680-81-6]; 및
NOR12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112005019195767-pct00057
식중, n은 1 내지 15임;
화합물 NOR12는 미국특허 6,117,995호의 실시예 2에 기재되어 있다.
NOR13은 비스(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디페이트이다.
성분(i)의 안정화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중에서 중합체 물질(a)의 중량을 기 준하여 약 0.05중량% 내지 약 20중량%의 양을로 함유되는 것이 유리하다; 예컨대 약 0.1중량% 내지 약 10중량%; 예컨대 약 0.2중량% 내지 약 8중량%; 예컨대 약 0.5중량% 내지 약 3중량%. 예컨대, 성분(i)의 안정화제는 물질(a)의 중량을 기준하여 약 0.05중량% 내지 약 15중량%, 약 0.05중량% 내지 약 10중량%, 약 0.05중량% 내지 약 8중량%, 약 0.05중량% 내지 약 5중량% 또는 약 0.05중량% 내지 약 3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예컨대 성분(i)의 안정화제는 물질(a)의 중량을 기준하여 약 0.1중량% 내지 약 20중량%, 약 0.2 중량% 내지 약 20중량%, 약 0.5중량% 내지 약 20중량% 또는 약 1중량% 내지 약 20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ii)의 통상적인 난연제
유기할로겐 난연제는 예컨대 다음과 같다:
클로로알킬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ANTIBLAZE® AB-100, 올브라이트 앤드 윌슨 제조; FRYOL® FR-2, 악조 노벨 제조),
트리스(2-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폴리브롬화된 디페닐 옥사이드 (DE-60F, 그레이트 레이크스 코포레이션 제조),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DBDPO; SAYTEX®102E),
트리스[3-브로모-2,2-비스(브로모메틸)프로필]포스페이트 (PB370®, FMC 코포레이션 제조),
트리스(2,3-디브로모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스(2,3-디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클로렌드산,
테트라클로로프탈산,
테트라브로모프탈산,
비스-(N,N'-히드록시에틸)테트라클로르페닐렌 디아민,
폴리-β-클로로에틸 트리포스포네이트 혼합물,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PE68),
브롬화된 에폭시 수지,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SAYTEX® BT-93),
비스(헥사클로로시클로펜타디에노)시클로옥탄 (DECLORANE PLUS®),
염소화된 파라핀,
옥타브로모디페닐 에테르,
헥사클로로시클로펜타디엔 유도체,
1,2-비스(트리브로모페녹시)에탄 (FF680),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SAYTEX® RB100),
에틸렌 비스-디브로모-노르보르난디카르복시이미드)(SAYTEX® BN-451),
비스-(헥사클로로시클로펜타디에노)시클로옥탄,
PTFE,
트리스-(2,3-디브로모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및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인 함유 난연제는 예컨대 다음과 같다:
테트라페닐 레조르시놀 디포스파이트 (FYROFLEX®RDP, 악조 노벨 제조),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옥틸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히드록시메틸)포스포늄 술파이드,
디에틸-N,N-비스(2-히드록시에틸)-아미노메틸 포스포네이트,
인산의 히드록시알킬 에스테르,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APP) 또는 (HOSTAFLAM® AP750),
레조르시놀 디포스페이트 올리고머 (RDP),
포스파젠 난연제 및
에틸렌디아민 디포스페이트 (EDAP).
시소시아누레이트 난연제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의 에스테르 및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한다. 예컨대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히드록시메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3-히드록시-n-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의 히드록시알킬 이소시아누레이 트.
멜라민 기제 난연제는 예컨대 다음과 같다: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멜라민 보레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
붕산은 난연제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할로겐화된 난연제는 할로겐화된 벤젠, 비페닐, 페놀, 그의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비스페놀, 디페닐옥사이드, 방향족 카르복시산 또는 폴리산, 그의 무수물, 아미드 또는 이미드와 같은 유기 방향족 할로겐화된 화합물; 유기 시클로지방족 또는 폴리시클로지방족 할로겐화된 화합물; 및 유기 지방족 할로겐화된 화합물, 예컨대 할로겐화된 파라핀, 올리고- 또는 중합체, 알킬포스페이트 또는 알킬이소시아누레이트로 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예컨대 미국특허 4,579,906호(예컨대 칼럼 3, 30-41행), 5,393,812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Plastics Additives Handbook, Ed. by H. Zweifel, 5th Ed., Hanser Publ., Munich 2001, pp.681-698 참조.
포스파젠 난연제는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예컨대 EP 1104766, JP07292233호, DE19828541호, DE1988536호, JP11263885호, 미국특허 4,107,108호, 4,108,805호 및 4,079,035호 및 6,265,599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의 관련 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P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예컨대 Teflon® 6C; E.I. Du Pont)는 미국특허 출원 60/312,517호(2001년 8월 15일 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부가적 난연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유리하게 부가될 수 있다.
성분(ii)는 중합체 물질(a)의 중량을 기준하여 약 0.5중량% 내지 약 45중량%, 예컨대 약 3중량% 내지 약 40중량%; 예컨대 약 5중량% 내지 약 35중량%의 양으로 조성물에 함유되는 것이 유리하다. 예컨대 성분(ii)는 중합체 물질의 중량을 기준하여 약 0.5중량% 내지 약 10중량%, 약 1중량% 내지 약 10중량%, 약 3중량% 내지 약 10중량% 또는 약 5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적용된다. 예컨대, 성분(ii)는 중합체 물질의 중량을 기준하여 약 0.5중량% 내지 약 8중량%, 약 0.5중량% 내지 약 6중량%, 약 0.5중량% 내지 약 5중량%, 약 0.5중량% 내지 약 3중량%의 양으로 적용된다.
성분(i) 대 성분(ii)의 비(중량부)는 예컨대 약 1:5 내지 약 1:200, 예컨대 약 1:50 내지 1:100 또는 약 1:10 내지 약 1:25 이다. 성분(i) 대 성분(ii)의 비는 약 1:10 내지 약 1:200, 약 1:25 내지 약 1:200, 약 1:50 내지 약 1:200 또는 약 1:100 내지 약 1:200 이다. 예컨대 성분(i) 대 성분(ii)의 중량비는 약 1:5 내지 약 1:100, 약 1:5 내지 약 1:50, 약 1:5 내지 약 1:25, 또는 약 1:5 내지 약 1:10 이다.
성분(ii)의 사용량은 특정 화합물의 효과, 중합체 및 특정 적용 형태에 따라서 달라진다.
성분(iii)의 제산제
제산제는 예컨대 미국특허 4,427,816호, 5,106,898호 및 5,234,981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예컨대 히드로탈사이트 및 무정형 염기성 탄산 알루미늄 마그네슘이며, 이들 관련 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히드로탈사이트는 하이사이트 또는 DHT4A로도 공지되어 있다.
히드로탈사이트는 천연 또는 합성일 수 있다. 천연 히드로탈사이트는 구조 Mg6Al2(OH)16CO3·4H2O를 갖는다.
합성 히드로탈사이트의 전형적인 실험식은 Al2Mg4.35OH11.36CO3(1.67)·xH2O 이다.
합성 생성물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Mg0.7Al0.3(OH)2(CO3)0.15·0.54H2O, Mg4.5Al2(OH)13CO3·3.5 H2O 및 Mg4.2Al(OH)12.4CO3.
제산제는 성분(a)의 중량을 기준하여 중합체 조성물중에 약 0.1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산제는 성분(a)의 중량을 기준하여 약 0.2중량% 내지 약 0.8중량% 또는 약 0.4중량% 내지 약 0.6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산제는 성분(a)의 중량을 기준하여 약 0.1중량% 내지 약 0.8중량%, 약 0.1중량% 내지 약 0.6중량%, 약 0.1중량% 내지 약 0.4중량% 또는 약 0.1중량% 내지 약 0.2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산제는 성분(a)의 중량을 기준하여 약 0.2중량% 내지 약 1.0중량5, 약 0.4중량% 내지 약 1.0중량%, 약 0.6중량% 내지 약 1.0중량% 또는 약 0.8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제산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색, 냄새 및 안정성면에서 보조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많은 용도, 특히 하기를 비롯한 옥외 용도에 유용하다: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페이트칠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성형품,
폴리에틸렌 필름,
기타 공안정화제를 갖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그리스-충전된 와이어 및 케이블 절연,
코팅,
플라스틱 물질상의 코팅,
화학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탱크 또는 용기,
김서림 방지제를 갖는 폴리올레핀 필름,
히드로탈사이트, 예컨대 DHT4A와 같은 IR 열적 충전제를 갖는 폴리올레핀 필름,
대전방지제를 갖는 폴리올레핀 필름,
난연 성형된 폴리프로필렌 물품,
난연 성형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난연 폴리에틸렌 필름,
플라스틱 물질에 대한 적층용의 예비성형된 필름,
전자 적용,
저장 및 수송을 위한 용기, 박스, 빈,
데시보드, 백보드와 같은 자동차용,
가구, 예컨대 경기장 좌석, 공공 좌석,
지붕 쉬트,
지붕 막,
바닥 물질,
라이너,
프로파일, 예컨대 창 및 문 프로파일,
지오 멤브레인,
꺼끄러기 직물,
배너 필름,
가구류,
휘장,
카페트,
텐트, 방수포,
외과용 가운, 모자 및 기타 병원용품,
직물,
로우프,
네트,
타이어 코드
낙하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직물 적층에서 유용하며 미국특허 6,235,658호 및 6,251,99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질 코팅으로서 유용하며, 그의 관련 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물질은 성형품, 로토성형품, 사출성형품, 취입성형품, 단층 및 다층 필름, 압출된 프로파일, 표면 코팅 생성물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성한 안정화된 조성물은 이하에 수록한 물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성분(a)의 중량을 기준하여 약 0.01 중량% 내지 약 10중량%, 예컨대 약 0.025중량% 내지 약 4중량%, 예컨대 약 0.1중량% 내지 약 2중량%의 양의 다양한 통상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1. 산화방지제
1.1. 알킬화 모노페놀, 예를들어 2,6-디-삼차부틸-4-메틸페놀, 2-삼차부틸-4,6-디메틸페놀, 2,6-디-삼차부틸-4-에틸페놀, 2,6-디-삼차부틸-4-n-부틸페놀, 2,6-디-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시클로헥실)- 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삼차부틸-4-메톡시메틸페놀, 직쇄 또는 측쇄에서 분지된 노닐페놀 예컨대,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 메틸-헵타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데크-1'-일)-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1.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를들어 2,4-디-옥틸티오메틸-6-삼차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 4-노닐페놀.
1.3.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 히드로퀴논, 예를들어 2,6-디-삼차부틸-4-메톡시페놀, 2,5-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삼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아디페이트.
1.4. 토코페롤, 예를 들어 α-토코페놀, β-토코페놀, γ-토코페놀, δ-토코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비타민E)
1.5. 히드록시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예를들어 2,2'-티오비스(6-삼차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삼차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이차아밀페놀), 4,4'-비스 (2,6-디메틸-4-히드록시페닐)디술피드.
1.6. 알킬리덴비스페놀, 예를들어 2,2'-메틸렌비스(6-삼차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삼차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 삼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삼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 스[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삼차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삼차부틸-2-메틸페놀), 1,1-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삼차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머캅토부탄, 에틸렌 글리콜 비스[3,3-비스(3'-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삼차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6-삼차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디메틸-2-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 (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머캅토부탄, 1,1,5,5-테트라(5-삼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펜탄.
1.7.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3,5,3',5'-테트라-삼차부틸-4,4'-디히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옥타데실-4-히드록시-3,5-디메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데실-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아민, 비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술피드, 이소옥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머캅토아세테이트.
1.8. 히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를들어 디옥타데실-2,2-비스(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삼차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질)- 말로네이트, 디-도데실머캅토에틸-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9. 방향족 히드록시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2,3,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페놀.
1.10. 트리아진 화합물, 예를들어 2,4-비스(옥틸머캅토)-6-(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2,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삼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1,3,5-트리스 (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1. 벤질 포스포네이트, 예를들어 디메틸-2,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5-삼차부틸-4-히드록시-3-메틸벤질 포스포네이트,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칼슘 염.
1.12. 아실아미노페놀, 예를들어 4-히드록시라우르아닐리드, 4-히드록시스테아르아닐리드, 옥틸 N-(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
1.13.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4.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 -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5-삼차부틸-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5.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 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β-(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16.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과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아세트산의 에스테르.
1.17. β-(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예를들어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헥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피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삼차부 틸-4-히드록시-페닐프오피오닐)히드라지드, N,N'-비스[2-3-[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옥사미드 (NaugardR XL-1, 유니로얄사 공급).
1.18.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
1.19. 아민 산화방지제, 예컨대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이차부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 디 시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비스(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 -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시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디아민, 4-(p-톨루엔술파모일)-디페닐아민, N,N'-디메틸-N,N'-디-이차부틸 -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알릴디페닐아민, 4-이소프로폭시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4-삼차옥틸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 디페닐아민, 예컨대, p,p'-디-삼차옥틸디페닐아민, 4-n-부틸아미노페놀, 4-부티릴아미노페놀, 4-노난오일아미노-페놀, 4-도데칸오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칸오일아미노페놀, 비스(4-메톡시페닐)아민, 2,6-디-삼차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1,2-비스[(2-메틸페닐)아미노]에탄, 1,2-비스(페닐아미노)프로판, (o-톨릴)비구아니드, 비스[4-(1',3'-디메틸부틸)페닐]아민, 삼차옥틸화 N-페닐-1-나프틸아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삼차옥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도데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이소프로필/이소헥실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2,3-디-히드로-3,3-디메틸-4H-1,4-벤조티아진, 페노티아진,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부틸/삼차옥틸페노타이진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삼차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1,4-디아미노부트-2-엔,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헥사메틸렌디아민, 비스(2,2,6,6-테트라메틸피 페리드-4-일)세바케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2. UV 흡수제 및 광안정화제
2.1.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예를들어 미국특허 3,004,896,
Figure 112005019195767-pct00058
에 기재된 공지된 시판중인 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및 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삼차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삼차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3,5-디-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3-삼차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3-이차부틸-5-삼차부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3,5-디-삼차아밀-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큐밀-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ω-히드록시-옥타(에틸렌옥시)카르보닐-에틸)-, 페닐)-2H-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도데실화된 2-(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 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오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삼차옥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히드록시-3-α-큐밀-5-삼차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삼차옥틸-5-α-큐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5-플루오로-2-(2-히드록시-3,5-디-α-큐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2-히드록시-3,5-디-α-큐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2-히드록시-3-α-큐밀-5-삼차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3-삼차부틸-2-히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5-트리플루오로메틸-2-(2-히드록시-3-α-큐밀-5-삼차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5-트리플루오로메틸-2-(2-히드록시-5-삼차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5-트리플루오로메틸-2-(2-히드록시-3,5-디-삼차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메틸 3-(5-트리플루오로메틸-2H-벤조트리아졸-2-일)-5-삼차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5-부틸술포닐-2-(2-히드록시-3-α-큐밀-5-삼차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5-트리플루오로메틸-2-(2-히드록시-3-α-큐밀-5-삼차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5-트리플루오로메틸-2-(2-히드록시-3,5-디-삼차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5-트리플루오로메틸-2-(2-히드록시-3,5-디-α-큐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5-부틸술포닐-2-(2-히드록시-3,5-디-삼차 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및 5-페닐술포닐-2-(2-히드록시-3,5-디-삼차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 2-히드록시벤조페논, 예를들어 4-히드록시, 4-메톡시, 4-옥틸옥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히드록시 및 2'-히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2.3. 비치환 또는 치환된 벤조산의 에스테르, 예를들어 4-삼차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 레조르시놀, 비스(4-삼차부틸-벤조일)레조르시놀, 벤조일 레조르시놀, 2,4-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삼차부틸페닐 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4. 아크릴레이트, 예를들어 에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N-(β-카르보메톡시-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2.5. 니켈 화합물, 예를들어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예 : n-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N-시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가 있는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니켈 착물(예컨대 1:1 또는 1:2 착물), 니켈 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4-히드록시-3,5-디-삼차부틸 벤질 포스폰산 모노알킬 에스테르(예 : 메틸 에스테르 또는 에틸 에스테르)의 니켈 염, 케톡심(예 : 2-히드록시-4-메틸페닐 운데실케톡심)의 니켈 착물, 적절한 경우 부가적인 리간드가 있는 1-페닐-4-라우로일-5-히드록시 피라졸의 니켈 착물.
2.6. 입체 장애 아민, 예를들어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n-부틸-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질 말로네이트,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과 숙신산의 축합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삼차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시클릭 축합생성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 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부틸-2-(2-히드록시-3,5-디-삼차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모르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시클릭 축합생성물,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 필아미노)에탄의 축합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생성물,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2, 2,6,6-펜타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4-헥사데실옥시- 및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티렌디아민 및 4-시클로헥실아민-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생성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 및 2,4,6-트리크로로-1,3,5-트리아진 뿐만 아니라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생성물(CAS Reg. No.[136504-96-6]);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2-운데실-7,7,9,9-테트라메틸-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7,7,9,9-테트라메틸-2-시클로운데실-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생성물, 1,1-비스(1, 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카르보닐)-2-(4-메톡시페닐)에텐, N,N'-비스-포르밀-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4-메톡시메틸렌말론산과 1,2, 2,6,6-펜타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의 디에스테르, 폴리-[메틸프로필-3-옥시-4-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실옥산, 말레산 무수물-α-올레핀 공중합체와 2,2,6,6-테트라메틸-4-아미노피페리딘 또는 1,2,2,6,6-펜타메틸-4-아미노피페리딘의 반응 생성물.
2.7. 옥사미드, 예를들어 4,4'-디옥틸옥시옥사닐리드, 2,2'-디에톡시옥사닐리드, 2,2'-디옥틸옥시-5,5'-디-삼차부톡사아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삼차부톡사아닐리드, 2-에톡시-2'-에톡사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사미드, 2-에톡시-5-삼차부틸-2'-에톡사닐리드 및 그와 2-에톡시-2'-에틸-5,4'-디-삼차부톡사닐리드와의 혼합물, o- 및 p-메톡시-이중 치환된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및 o- 및 p-에톡시-이중치환된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2.8. 트리스-아릴-o-히드록시페닐-s-트리아진, 예를들어 시판되는 트리스-아릴-o-히드록시페닐-s-트리아진 및 WO 96/28431 및 미국특허
Figure 112005019195767-pct00059
에 기재된 트리아진, 예컨대 4,6-비스-(2,4-디메틸페닐)-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s-트리아진, Cyasorb® 1164 (Cytec Corp. 제조), 4,6-비스-(2,4-디메틸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4-디히드록시페닐)-6-(4-클로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2-히드록시에톡시)페닐]-6-(4-클로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2-히드록시-4-(2-히드록시에톡시)페닐]-6-(2,4-디메틸페닐)-s-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2-히드록시에톡시)페닐]-6-(4-브로모페닐)-s-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2-아세톡시에톡시)페닐]-6-(4-클로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4-디히드록시페닐)-6-(2,4-디메틸페닐)-s-트리아진, 2,4-비스(4-비페닐)-6-(2-히드록시-4-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리덴옥시페닐)-s-트리아진, 2-페닐-4-[2-히드록시-4-(3-이차부틸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 페닐]-6-[2-히드록시-4-(3-이차아밀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3-벤질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n-부틸옥시페닐)-6-(2,4-디-n-부틸옥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3-노닐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5-α-큐밀페닐]-s-트리아진 (*는 옥틸옥시, 노닐옥시 및 데실옥시 기의 혼합물을 의미함), 메틸렌비스-{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3-부틸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s-트리아진}, 3:5', 5:5' 및 3:3' 위치에서 5:4:1 비로 브릿지된 메틸렌 브릿지 이합체 혼합물, 2,4,6-트리스(2-히드록시-4-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이소프로필리덴옥시페닐)-s-트리아진, 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헥실옥시-5-α-큐밀페닐)-s-트리아진, 2-(2,4,6-트리메틸페닐)-4,6-비스[2-히드록시-4-(3-부틸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s-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3-이차부틸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s-트리아진, 4,6-비스-(2,4-디메틸페닐)-2-(2-히드록시-4-(3-도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s-트리아진 및 4,6-비스-(2,4-디메틸페닐)-2-(2-히드록시-4-(3-트리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s-트리아진, Tinuvin® 400 (시바 스폐셜티 케미컬스 코포레이션 제조), 4,6-비스-(2,4-디메틸페닐)-2-(2-히드록시-4-(3-(2-에틸헥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s-트리아진 및 4,6-디페닐-2-(4-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s-트리아진.
3. 금속 탈활성화제, 예를들어 N,N'-디페닐옥사아미드, N-살리실알-N'-살리실로일 히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릴 디히드라지드, 옥사닐리드, 이소프탈오일 디히드라지드, 세바코일 비스페닐히드라지드, N,N'-디아세틸아디포일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오일)옥살릴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오일)티오프로피오닐 디히드라지드.
4.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예를들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알킬 포스파이트, 페닐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큐밀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삼차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옥시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스-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삼차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삼차부틸-12H-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에틸 포스파이트, 6-플루오로-2,4,8,10-테트라-삼차부틸-12-메틸-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2,2',2"-니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삼차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2-에틸헥실(3,3',5,5'-테트라-삼차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5-부틸-5-에틸-2-(2,4,6-트리-삼차부틸페녹시)-1,3,2-디옥사포스피란.
이하의 포스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트리스(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IrgafosR 168, 시바 가이기 제조),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Figure 112005019195767-pct00060
Figure 112005019195767-pct00061
Figure 112005019195767-pct00062
5. 히드록실아민, 예를들어 N,N-디벤질히드록실아민, N,N-디에틸히드록실아민, N,N-디옥틸히드록실아민, N,N-디라우릴히드록실아민, N,N-디테트라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헥사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수소화 수지로 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6. 니트론, 예를들어 N-벤질-알파-페닐-니트론, N-에틸-알파-메틸-니트론, N-옥틸-알파-헵틸-니트론, N-라우릴-알파-운데실-니트론, N-테트라데실-알파-트리데실-니트론, N-헥사데실-알파-펜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헥사데실-알파-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페타데실-니트론, N-헵타데실-알파 -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알파-헥사데실-니트론, 수소화 수지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니트론.
7. 티오상승제, 예를들어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8. 과산화물 분해화합물, 예를들어 β-티오디프로핀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틸 또는 트리데실 에스테르, 머캅토벤즈이미다졸 또는 2-머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염, 디부틸디티오카밤산 아연, 디옥타데실 디술피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β-도데실메르캅토)프로피온에이트.
9. 폴리아미드 안정화제, 예를들어 요오다이드 및/또는 인 화합물과 조합된 구리 염 및 2가 망간의 염.
10. 염기성 공안정화제, 예를들어 멜라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시안디아미드,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우레아 유도체, 히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 염, 예컨대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베헨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리시놀레산 나트륨, 팔미트산 칼륨, 피로카테콜산 안티몬 또는 피로카테콜산 아연.
11. 핵 생성제, 예를들어 무기물질(예;활석), 금속 산화물(예; 이산화 티탄 또는 산화마그네슘),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인산염, 탄산염 또는 황산염; 유기 화합물(모노- 또는 폴리카르복시산) 및 이들의 염, 예컨대 4-삼차부틸벤조산, 아디프산, 디페닐아세트산, 숙신산 나트륨 또는 벤조산 나트륨; 중합성 화합물, 예컨대 이온성 공중합체("이오노머"). 특히 1,3:2,4-비스(3',4'-디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1,3:2,4-디(파라메틸디벤질리덴)소르비톨 및 1,3:2,4-디(벤질리덴)소르비톨이 바람직하다.
12. 충전제 및 강화제, 예를들어 탄산칼슘, 실리케이트, 유리 섬유, 유리 구, 석면, 활석,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금속 산화물 및 수산화물, 카본 블랙, 흑연, 나무 분말 및 기타 천연 생성물의 분말 또는 섬유, 합성 섬유.
13. 다른 첨가제, 예를들어 가소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유동학적 첨가제, 촉매, 흐름-조절제, 광학 광택제, 내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및 발포제.
14. 벤조푸라논 및 인돌리논, 예를들어 US-A-4 325 863호, US-A-4 338 244호, US-A-5 175 312호, US-A-5 216 052호, US-A-5 252 643호, DE-A-4 316 611호, DE-A-4 316 622호, DE-A-4 316 876호, EP-A-0 589 839호 또는 EP-A-0 591 102호에 개시된 것 또는 3-[4-(2-아세톡시에톡시)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5,7-디-삼차부틸-3-[4-(2-스테아로일옥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3'-비스[5,7-디-삼차부틸-3-(4-[2-히드록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5,7-디-삼차부틸-3-(4-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4-아세톡시-3,5-디메틸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3-(3,5-디메틸-4-피발로일옥시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3-(3,4-디메틸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3-(2,3-디메틸페닐)-5,7-디-삼차부틸벤조푸란-2-온.
15. 아민 옥사이드, 예컨대 미국 특허 5,844,029호 및 5,880,19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아민 옥사이드, 디데실 메틸 아민 옥사이드, 트리데실 아민 옥사이드, 트리도데실 아민 옥사이드 및 트리헥사데실 아민 옥사이드. 미국 특허 5,844,029호 및 5,880,191호는 열가소성 수지의 안정화에 대한 포화 탄화수소 아민 옥사이드의 용도를 개시한다. 열가소성 중합체는 페놀 산화방지제, 입체장애 아민 광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유기 인 화합물, 지방산의 알칼리성 금속염 및 티오상승제로 부터 선택된 안정화제 또는 안정화제 혼합물을 더 함유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폴 리올레핀을 안정화시키는 것에 대한 기타 안정화제와 아민 옥사이드의 공동사용은 예시되어 있지 않다.
첨가제의 특정 예는 페놀 산화방지제(상기 목록의 1), 추가의 입체장애 아민(상기 목록의 2.6), 벤조트리아졸의 광 안정화제 및/또는 o-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류(상기 목록의 2.1 및 2.8),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상기 목록의 4) 및 퍼옥사이드-파괴 화합물(상기 목록의 5)이다.
벤조푸란-2-온인 첨가제(안정화제)의 추가적인 특수한 예는 예컨대 US-A-4,325,863호, US-A-4,338,244호 또는 US-A-5,175,312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s-트리아진, 옥사닐리드, 히드록시벤조페논, 벤조에이트 및 α-시아노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른 UV 흡수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1 이상의 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다른 트리스-아릴-s-트리아진; 또는 입체장애 아민 또는 그의 혼합물 유효 안정량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추가의 성분은 안료, 염료, 가소제, 산화방지제, 요변성제, 균염보조제, 염기성 공안정화제, 추가의 광안정화제 예컨대 UV 흡수제 및/또는 입체장애 아민, 금속 탈활성화제, 금속 옥사이드, 유기인 화합물, 히드록실아민, 및 그의 혼합물로 부터 선택되며, 특히 안료, 페놀 산화방지제,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아연,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2-히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류의 UV 흡수제, 및 입체장애 아민이다.
본 발명의 첨가제 및 임의의 추가적 성분은 중합체 물질에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혼합되어 부가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예컨대 건조 블렌딩, 압축 또는 용 융물에 의해 중합체에 혼입하기 전에, 개별 성분을 서로 혼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i) 1 이상의 입체장애 아민 안정화제 및
(ii) 유기할로겐, 인 함유,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멜라민 기제 난연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통상의 난연제 및
(iii) 1 이상의 제산제를 포함하는 난연제 첨가제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성분(i), (ii) 및 (iii)의 첨가제 및 상기 기재된 추가의 첨가제는 질소 분위기하 또는 질소 분위기 없이 180-220℃에서 2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건식 배합한 다음 압축시켰다. 이렇게하여 얻은 물질은 공지 방법에 따라 더욱 가공될 수 있다. 형성된 물품의 표면은 광택이나 조도의 손실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중합체 물질에
(i) 1 이상의 입체장애 아민 안정화제 및
(ii) 유기할로겐, 인 함유,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멜라민 기제 난연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통상의 난연제 및
(iii) 1 이상의 제산제의 상승 혼합물을 난연 유효량을 부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 중합체 물질에 광안정성 및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첨가제 및 추가의 임의 성분을 중합체에 혼입하는 것은 분말 형태로 건식 블렌딩하거나, 또는 불활성 용매, 물 또는 오일중의 용액, 분산액 또는 현 탁액 형태로 습식 혼합하는 것과 같은 공지 방법으로 실시한다. 본 발명의 첨가제 및 추가의 임의 첨가제는 성형 전 또는 성형후 또는 용해되거나 분산된 첨가제 또는 첨가제 혼합물을 중합체 물질에 도포한 다음 경우에 따라 용매 또는 현탁제/분산제를 증발시키는 것에 의해 혼입될 수 있다. 이들은 직접적으로 가공 장치(예컨대 압출기, 내부 혼합기 등)에 부가되거나, 예컨대 건식 혼합물 또는 분말로서 또는 용액 또는 분산액 또는 현탁액 또는 용융물로 부가될 수 있다.
상기 혼입은 교반기를 구비한 가열가능한 용기, 예컨대 혼련기, 혼합기 또는 교반되는 용기와 같은 밀폐 장치에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혼입은 예컨대 압출기 또는 혼련기에서 실시될 수 있다. 가공이 불활성 분위기에서 실시되는지 산소 존재하에서 실시되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는다.
첨가제 또는 첨가제 혼합물을 중합체에 부가하는 것은 중합체가 첨가제와 함께 용융되어 혼합되는 통상의 모든 혼합 기기에서 실시될 수 있다. 적합한 기기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주로 혼합기, 혼련기 및 압출기이다.
상기 가공은 가공중에 첨가제를 도입하는 것에 의해 압출기에서 실시된다.
적합한 가공 기기의 특수한 예는 단일 스크류 압출기, 콘트라회전 및 공동회전 2축 스크류 압출기, 유성기어 압출기, 고리 압출기 또는 공동혼련기이다. 진공이 인가될 수 있는 1 이상의 가스 제거 부분을 구비한 가공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압출기 및 혼련기는 예컨대 Handbuch der Kunststoffextrusion, Vol. 1 Grundlagen, Editors F. Hensen, W. Knappe, H. Potente, 1989, pp.3-7, ISBN:3- 446-14339-4 (Vol.2 Extrusionsanlagen 1986, IBBN 3-446-14329-7)
예컨대, 스크류 길이는 1-60 스크류 직경, 예컨대 35-48 스크류 직경이다. 스크류의 회전 속도는 예컨대 분당 10-600 회전(rpm), 예컨대 25-300 rpm 이다.
최대 처리량은 스크류 직경, 회전 속도 및 구동력에 좌우된다. 본 발명의 과정은 상술한 변수를 변경하거나 또는 중량기기 전달 투여량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최대 처리량 보다 낮은 수준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복수의 성분을 부가하는 경우, 이들은 미리 혼합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부가된다.
본 발명의 첨가제 및 임의의 추가 첨가제는 중합체 물질에 분무될 수 있다. 이들은 다른 첨가제(예컨대 상기 나타낸 통상의 첨가제) 또는 이들의 용융물을 희석시킬 수 있어 이들이 상기 첨가제와 함께 물질상에 분무될 수 있다. 중합 촉매의 탈활성화 동안 분무에 의한 부가가 특히 유리하다; 이 경우, 발생한 증기는 촉매의 탈활성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형상 중합된 폴리올레핀의 경우, 예컨대 본 발명의 첨가제를 기타 첨가제와 함께 분무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첨가제 및 경우에 따라 추가의 첨가제는 중합체내에 혼입된 약 1중량% 내지 약 40중량%, 예컨대 약 2중량% 내지 약 20중량%의 농도로 상기 성분들을 함유하는 마스터뱃치("농축물") 형태로 중합체에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중합체는 첨가제가 부가될 중합체에 비교하여 동일한 구조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이러한 작용에서, 상기 중합체는 분말, 과립, 용액, 현탁액 또는 라티스 형태로 사 용될 수 있다.
혼입은 성형 작업 전 또는 성형 동안에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물질은 성형물품, 예컨대 로토성형 물품, 사출성형 물품, 프로파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i) 1 이상의 입체장애 아민 안정화제 및
(ii) 유기할로겐, 인 함유 난연제, 이소시아누레이트 난연제 및 멜라민 기제 난연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통상의 난연제; 및
(iii) 1 이상의 제산제의 혼입에 의해 난연성으로 제조된 성형 중합체 물품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다.
P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예컨대 TeflonR 6C; E. I. Du Pont)은 2001년 8월 15일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60/312,51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부가적인 난연제로서 유리하게 부가될 수 있다.
난연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다량의 난연성 충전제를 보통 포함하는 중합체 성형 물품은 본 발명의 성분(i), (ii) 및 (iii)의 혼입에 의해 광, 열 및 산소로 부터 안정화되고 난연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 난연성 충전제의 필요량이 감소되거나 전체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 놀랍게도 밝혀졌다. 중합체 성형 물품은 예컨대 폴리올레핀 성형 물품, 예컨대 박편 물품이다. 난연성 충전제는 전형적으로 수산화마그네슘이다.
박편 폴리올레핀 성형물품은 본 발명의 성분(i), (ii) 및 (iii)을 포함한다. 감소된 수준의 난연제 충전제를 갖거나 난연제 충전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성형물품은 난연성을 유지하며 향상된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성형 물품은 천장 막, 사이딩, 창 프로파일 및 몰딩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 물품은 예컨대 약 5 mil 내지 약 100 mil 두께이며, 약 20 mil 내지 약 100 mil 두께, 예컨대 약 10 mil 내지 약 80 mil, 예컨대 40 mil 내지 약 100 mil 두께이다. 폴리올레핀은 특히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이다. 본 발명의 성형물품은 인장강도, 연신저항 및 균열 저항과 같은 기계적 특성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배합물에 비하여 더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다.
성분(B)의 효과적인 난연양은 난연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표준 방법중의 하나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난연 효율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양이다. 이들은 NFPA 701 Standard Methods of Fire Tests for Flame-Resistant Textiles and Films, 1989 and 1996 editions; the UL 94 Test for Flammability of Plastic Materials for Parts in Devices and Appliances, 5th Edition, October 29, 1996; Limiting Oxygen Index (LOI), ASTM D-2863; and Cone Calorimetry, ASTM E-1354를 포함한다. UL 94V 시험에 따른 등급은 다음 표에 수록한다:
Figure 112005019195767-pct00063
난연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성분(i), (ii) 및 (iii)과 조합하여 사용하기에 특히 유용한 공동첨가제는 다음과 같다:
UV 흡수제:
2-(2-히드록시-3,5-디-α-큐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TINUVINR 234, 시바 스폐셜티 케미컬스 코포레이션);
2-(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TINUVINR P, 시바 스폐셜티 케미컬스 코포레이션);
5-클로로-2-(2-히드록시-3,5-디-삼차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TINUVINR 327, 시바 스폐셜티 케미컬스 코포레이션);
2-(2-히드록시-3,5-디-삼차아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TINUVINR 328, 시바 스폐셜티 케미컬스 코포레이션);
2-(2-히드록시-3-α-큐밀-5-삼차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TINUVINR 928, 시바 스폐셜티 케미컬스 코포레이션);
2,4-디-삼차부틸페닐-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TINUVINR 120, 시바 스폐셜티 케미컬스 코포레이션);
2-히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CHIMASSORBR 81, 시바 스폐셜티 케미컬스 코포레이션);
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s-트리아진, (CYASORBR 1164, Cytec 제조).
이하의 실시예는 예시적 목적으로 예로 든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온은 20 내지 25℃ 범위의 온도이다. %는 특별히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중량기준이다.
약어:
v: 부피부
w: 중량부
1Hnmr: 1H의 핵자기 공명(NMR)
m/z: 질량 분광계(원자 유닛)
amu: 분자량(g/mol)(=원자 유닛)
PP: 폴리프로필렌
PE: 폴리에틸렌
PE-LD: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시험방법
1989년 및 1996년판 방염성 직물 및 필름의 연소시험의 NFPA 701 표준 방법; 장치 및 기계설비의 부품용 플라스틱 재료의 가연성을 시험하기 위한 UL 94 시험, 제5판, 1996년 10월 29일;
제한 산소 지수 (LOI), ASTM D-2863;
콘 열량계, ASTM E-1 또는 ASTM E-1354;
ASTM D 2633-82, 연소시험.
시험 화합물
본 발명의 성분(i)의 입체장애 아민:
NOR1은 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4-옥타데실아미노피페리딘이고;
NOR2는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세바케이트이며;
NOR3은 2,4-비스[(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부틸아미노]-6-(2-히드록시에틸아미노-s-트리아진이고;
NOR4는 2,4-비스[(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부틸아미노]-6-클로로-s-트리아진이며;
NOR5는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 리딘이고;
NOR6은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옥소-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이며;
NOR7은 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옥타데카노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이고;
NOR8은 비스(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세바케이트이며;
NOR9는 비스(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디페이트이고;
NOR10은 2,4-비스{N-[1-(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N-부틸아미노}-6-(2-히드록시에틸아미노)-s-트리아진이며;
NOR11은 2,4-비스[(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부틸아미노]-6-클로로-s-트리아진과 N,N'-비스(3-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의 반응생성물[CAS Reg. No. 191680-81-6]이고;
NOR11은 주성분이 화학식
Figure 112005019195767-pct00064
의 성분인 화합물의 혼합물로 표시되며,
상기에서 R1, R2, R3 및 R4의 3개는 화학식
Figure 112005019195767-pct00065
의 잔기이며 또 R1, R2, R3 및 R4의 1개는 수소이다 (NOR11은 미국특허 5,844,026호의 실시예 3에 기재된 고분자량 화합물이다); 및
NOR12는 하기 화학식
Figure 112005019195767-pct00066
의 화합물(식중, n은 1 내지 15임)이고;
NOR13은 비스(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디페이트임.
성분(ii)의 통상적인 난연제는 다음과 같다:
DBDPO는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이고,
FR1은 트리스[3-브로모-2,2-비스(브로모메틸)프로필]포스페이트, (PB 370R, FMC Corp.)이고,
FR2는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APP)이며,
FR3은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의 비스(2,3-디브로모프로필)에테르 (PE68)이고,
FR4는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상승작용제 혼합물, HOSTAFLAMR AP750이며,
FR5는 데카브로모디페닐 옥사이드(DBDPO; Dead Sea Bromine으로 부터 구입)이고,
FR6은 에틸렌 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SAYTEXR BT-93)이며,
FR7은 멜라민 포스페이트, MELAPURR P 46이고,
FR8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EXOLITR AP752이며,
FR9는 트리스-(2,3-디브로모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이고,
FR10은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이고,
FR11은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MELAPURR MC이며,
FR12는 멜라민 보레이트이고,
FR13은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MELAPURR 200이며, 또
FR14는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임.
화합물 NOR2, NOR7, NOR11, NOR12는 시바 스폐셜티 케미컬스사가 시판하고 있다. MELAPUR 생성물은 DSM으로 부터 구입할 수 있다.
실시예 1 : 난연제 폴리프로필렌
첨가제를 건식 혼합하고 질소하의 2축 스크류 (27 mm)압출기, 200℃에서 폴리프로필렌 동종중합체 수지와 함께 압출하였다. 중량%는 중합체를 기준으로 한다. 펠릿으로 부터, 1.6 mm 플라크를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였다. 이 플라크를 25℃ 및 50% 습도에서 콘디쇼닝처리한 지 48시간 후 UL 94 프로토콜에 따라 시험하였다. 2,4-비스[(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부틸아미노]-6-클로로-s-트리아진과 N,N'-비스(3-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의 반응생성물인 1중량% NOR11, 14중량%의 트리스[3-브로모-2,2(브로모메틸)프로필]포스페이트 및 0.6중량%의 본 발명의 제산제를 함유하는 플라크는 V-0 등급을 얻었다. 이 플라크는 또한 우수한 색, 냄새 및 안정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2
샘플 제조: 중합체 분말 및 안정화제를 예비 혼합(한셀 혼합기, 800 rpm, 실온), 안료 분말 및 난연제를 PP중의 농축물로 부가하고 드럼 혼합기에서 균질화시켰다. 압출(Collin® 2축 스크류 압출기, 최대 200℃, 100 rpm)에 의해 더 균질화하고 과립화하였다. 이어, 혼합물을 상응하는 노즐(샘플 직경 2 mm 두께, 10 cm 폭)을 구비한 단축 스크류 압출기(최대 200℃, 70 rpm)에 의해 평탄한 필름으로 가공하였다.
노화: 구멍낸 샘플을 가속화 노화시험에 노출시켰다(Atlas® WOM Ci 65, 0.35 W/m2 (340 nm), 102분 건조, 18분 물 분무, 63℃ 흑색 패널 온도). 표면에 대한 노화의 영향은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초킹(초킹은 표면상에서 분해를 의미한다)의 목측 관찰.
광택: Minolta; 편광(DIN 67530에 정의된 바와 같은 60°광택)의 굴절을 감소시키는 표면의 분해.
ΔE: 색 변화 (DIN 6174에 따름)
배합물:
84 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Novolen®PPG 1022),
51중량%의 FR1을 함유하는 15중량부의 PE-기제 난연제 마스터뱃치,
1중량부의 TiO2, 및
0.2중량부의 청색 안료 (크로모프탈 블루 4GNP)
NOR1-NOR12로 부터 선택된 0.4 중량부의 NOR,
0.1중량부의 제산제.
본 발명의 난연제 및 입체장애 아민의 조합물 및 제산제를 함유하는 샘플은 초킹을 나타내지 않고 더 우수한 광택과 분명히 적은 색 변화를 나타낸다.
실시예 3
섬유 등급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시험 첨가제와 건식 혼합한 다음 550℉에서 용융 배합시킨 다음 펠릿화시켰다. 이 폴리에스테르 펠릿을 진공하 의 17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건조된 펠릿을 힐스 라보라토리 스케일 섬유 압출기를 이용하여 550℉에서 압출에 의해 섬유로 만들었다. 이들 섬유로 부터 양말을 직조하고 NFPA 701 시험법에 따라서 난연성을 시험하였다.
NOR1-NOR12로 부터 선택된 화합물, 전통적인 난연제 및 제산제를 함유하는 섬유는 탁월한 난연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4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동종중합체,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고충격 폴리스티렌(HIPS) 및 ABS를 비롯한 열가소성 수지를 시험 첨가제와 건식 혼합한 다음 용융 배합하여 펠릿화하였다. 펠릿화된 충분히 배합된 수지를 가공하여 섬유로 압출, 필름으로 취입 또는 캐스트 압출; 병으로 취입 성형; 성형 물품으로 사출 성형, 성형 물품으로 열성형, 와이어 및 케이블 하우징으로 압축 및 중공 물품으로 회전성형에 의해 유용한 물품으로 만들었다.
NOR1-NOR12로 부터 선택된 화합물, 공지된 통상적인 난연제 및 제산제를 함유하는 물품은 공지된 표준 시험 방법에 의해 시험할 때 탁월한 난연효과를 나타낸다.
폴리에틸렌 와이어 및 케이블은 ASTM D-2633-82 연소시험법에 따라 난연성을 시험하였다. NOR1-NOR12로 부터 선택된 화합물, 전통적인 난연제 및 제산제를 함유하는 물질은 탁월한 난연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5
트리스(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6-메틸페닐) 에틸 포스파이트, 2,2',2"-니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삼차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틸 디포스파이트, 2,2'-에틸리덴비스(2,4-디-삼차부틸페닐)플루오로포스파이트 및 2-부틸-2-에틸프로판-1,3-디일 2,4,6-트리-삼차부틸페닐 포스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기인 안정화제를 부가적으로 함유하는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물품은 우수한 난연 특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6
2-(2-히드록시-3,5-디-α-큐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2-히드록시-3,5-디-삼차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삼차아밀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α-큐밀-5-삼차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4-디-삼차부틸페닐-3,5-디-삼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히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s-트리아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o-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히드록시페닐 벤조페논 또는 o-히드록시페닐-s-트리아진 UV 흡수제를 부가적으로 함유하는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물품은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낸다.

Claims (18)

  1. (a) 유기 중합체 물질, 및
    (b) (i) 1 이상의 입체장애 아민 안정화제,
    (ii) 트리스[3-브로모-2,2-비스(브로모메틸)프로필]포스페이트; 및
    (iii) 히드로탈사이트의 상승작용적 혼합물 난연 유효량을 포함하며,
    이때 성분(i)의 안정화제는 하기 화학식의 안정화제이고;
    Figure 112010056756071-pct00117
    식중에서,
    G1 및 G2는 독립적으로 1 내지 8개 탄소원자의 알킬이거나 또는 합쳐져서 펜타메틸렌이고,
    Z1 및 Z2는 각각 메틸이거나, 또는 Z1 및 Z2는 합쳐져서 에스테르, 에테르, 아미드, 아미노, 카르복시 또는 우레탄 기에 의해 부가적으로 치환될 수 있는 연결 잔기를 형성하며, 또
    E는 시클로헥실옥시이고; 또
    이때 성분(iii)의 히드로탈사이트는 성분(a)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존재하는,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성분(a)는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스티렌 중합체와 공중합체, ABS 및 헤테로 원자, 이중결합 또는 방향족 고리를 함유하는 중합체로 구성된 수지로 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성분(i)은 N,N',N"'-트리스[2,4-비스[(1-히드로카르빌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알킬아미노]-s-트리아진-6-일}-3,3'-에틸렌디아미노디프로필아민; N,N',N"-트리스{2,4-비스[(1-히드로카르빌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알킬아미노]-s-트리아진-6-일}-3,3'-에틸렌디이미노디프로필아민 및 하기 화학식(I), (II), (IIA) 및 (III)의 브릿지연결된 유도체의 혼합물인 조성물:
    Figure 112010056756071-pct00111
    (I)
    Figure 112010056756071-pct00112
    (II)
    Figure 112010056756071-pct00113
    (IIA)
    Figure 112010056756071-pct00114
    (III)
    화학식(I)의 테트라아민에서,
    R1 및 R2는 s-트리아진 잔기 E이고; 또 R3 및 R4중의 하나는 s-트리아진 잔기 E이고 R3 및 R4중의 나머지 하나는 수소이며,
    E는
    Figure 112010056756071-pct00115
    이고,
    R은 시클로헥실이며,
    R5는 1 내지 12개 탄소원자의 알킬이고,
    화학식(II) 또는 (IIA)의 화합물에서,
    T 및 T1은 각각 화학식(I)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R1-R4에 의해 치환된 테트라아민이고,
    (1) 각 테트라아민중의 s-트리아진 잔기 E의 하나는 기 E1에 의해 치환되어 2개의 테트라아민 T 및 T1 사이에 브릿지를 형성하며,
    E1
    Figure 112010056756071-pct00116
    이거나 또는
    (2) 기 E1는 화학식(IIA)에서와 동일한 테트라아민 T에서 양쪽 말단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테트라아민의 2개의 E 잔기는 1개의 E1 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또는
    (3) 테트라아민 T의 모든 3개의 s-트리아진 치환기는 1개의 E1이 T 및 T1을 연결하고 또 두번째 E1이 테트라아민 T중의 양쪽 말단을 갖도록 E1 일 수 있으며,
    L은 시클로헥산디일이고;
    화학식(III)의 화합물에서,
    G, G1 및 G2는 화학식(I)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R1-R4에 의해 치환된 각 테트라아민이며, 단 G 및 G2가 E1에 의해 치환된 s-트리아진 잔기 E의 하나를 갖고, 또 G1은 E1에 의해 치환된 2개의 트리아진 잔기 E를 가지고 있어 G와 G1 사이에 브릿지를 갖고 또 G1 및 G2 사이에 두번째 브릿지를 가지며;
    상기 혼합물은 2 내지 4 당량의 2,4-비스[(1-히드로카르빌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부틸아미노]-6-클로로-s-트리아진과 1 당량의 N,N'-비스(3-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을 반응시켜 제조함.
  8. 제 1항에 있어서, 성분(i)의 안정화제는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4-옥타데실아미노피페리딘;
    2,4-비스[(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부틸아미노]-6-(2-히드록시에틸아미노-s-트리아진;
    비스-(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디페이트;
    2,4-비스[(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부틸아미노]-6-클로로-s-트리아진; 및
    2,4-비스[(1-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부틸아미노]-6-클로로-s-트리아진과 N,N'-비스(3-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의 반응 생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안료, 염료, 가소제, 페놀성 산화방지제, 요변성제, 균염보조제, 염기성 공안정화제, 니트론 안정화제, 아민 옥사이드 안정화제, 벤조푸라논 안정화제, UV 흡수제, 입체장애 아민, 금속 탈활성화제, 금속 옥사이드, 유기인 화합물, 히드록실아민,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15. 삭제
  16. 유기 중합체에
    (i) 1 이상의 입체장애 아민 안정화제,
    (ii) 트리스[3-브로모-2,2-비스(브로모메틸)프로필]포스페이트; 및
    (iii) 히드로탈사이트를 부가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성분(i)의 안정화제는 하기 화학식의 안정화제이고;
    Figure 112010056756071-pct00118
    식중에서,
    G1 및 G2는 독립적으로 1 내지 8개 탄소원자의 알킬이거나 또는 합쳐져서 펜타메틸렌이고,
    Z1 및 Z2는 각각 메틸이거나, 또는 Z1 및 Z2는 합쳐져서 에스테르, 에테르, 아미드, 아미노, 카르복시 또는 우레탄 기에 의해 부가적으로 치환될 수 있는 연결 잔기를 형성하며, 또
    E는 시클로헥실옥시이고; 또
    이때 성분(iii)의 히드로탈사이트는 중합체 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존재하는,
    유기 중합체 물질에 광안정성 및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
  17. 삭제
  18. 삭제
KR1020057006359A 2002-10-17 2003-10-09 난연성 조성물 KR101010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926002P 2002-10-17 2002-10-17
US60/419,260 2002-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756A KR20050083756A (ko) 2005-08-26
KR101010588B1 true KR101010588B1 (ko) 2011-01-24

Family

ID=3210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359A KR101010588B1 (ko) 2002-10-17 2003-10-09 난연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109260B2 (ko)
EP (1) EP1554336B1 (ko)
JP (1) JP4490276B2 (ko)
KR (1) KR101010588B1 (ko)
CN (1) CN100439434C (ko)
AT (1) ATE462749T1 (ko)
AU (1) AU2003282026A1 (ko)
CA (1) CA2501384C (ko)
DE (1) DE60331938D1 (ko)
ES (1) ES2342054T3 (ko)
MY (1) MY136645A (ko)
TW (1) TWI291478B (ko)
WO (1) WO20040356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6869B2 (ja) * 2001-12-10 2010-02-03 チバ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難燃性組成物
CN1662499A (zh) * 2002-06-24 2005-08-31 西巴特殊化学品控股有限公司 阳离子型烷氧基胺及其在由天然或合成粘土制备纳米粒子中的应用
MY139230A (en) * 2002-10-17 2009-08-28 Ciba Holding Inc Flame retardant polymeric electrical parts
US7138448B2 (en) * 2002-11-04 2006-11-21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FR2881141B1 (fr) * 2005-01-24 2007-02-23 Rhodia Chimie Sa Composition ignifugeante
JP4937610B2 (ja) * 2005-04-12 2012-05-23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難燃性発泡ポリスチレン系樹脂およびその成形体
EP1721931A1 (en) * 2005-05-09 2006-11-15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mono-layer rotomoulded articles prepared from blends comprising polyethylene
CN105061803A (zh) 2006-10-25 2015-11-18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聚烯烃分散体,泡沫,和泡沫体
US20080303006A1 (en) * 2007-06-08 2008-12-11 Frank Huijs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resinous compostion
US20110046250A1 (en) * 2007-07-06 2011-02-24 Stowell Jeffrey K Flame retardant composition and flexible polyurethane foam prepared therewith
US20100048780A1 (en) * 2008-08-22 2010-02-25 Polymer Products Company, Inc. Prevention of color formation in polyolefins
US7714611B1 (en) * 2008-12-03 2010-05-11 Advantage Logic, Inc. Permutable switching network with enhanced multicasting signals routing for interconnection fabric
US20100152352A1 (en) * 2008-12-10 2010-06-17 Polymer Products Company, Inc. Substrates coated with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based on organic polymers and zeolites
US8981002B2 (en) * 2009-03-19 2015-03-17 Stratasys, Inc.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s
US9915069B1 (en) 2009-12-31 2018-03-13 Firestone Building Products Co., LLC Non-black EPDM roof membranes with improved weathering
KR20130090891A (ko) * 2010-07-22 2013-08-14 바스프 에스이 실란트 적용을 위한 첨가제 배합물
US8604105B2 (en) 2010-09-03 2013-12-10 Eastman Chemical Company Flame retardant copolyester compositions
CN102477208B (zh) * 2010-11-30 2014-06-25 深圳市亚塑科技有限公司 耐蓄电池溶液腐蚀的阻燃ab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382401B (zh) * 2011-10-25 2013-01-23 宁波一舟塑胶有限公司 一种cmr级高阻燃聚氯乙烯线缆护套料及其制备方法
MX2014011083A (es) 2012-03-16 2015-04-08 Basf Se Compuestos nor-hals pirorretardantes.
CN102828397B (zh) * 2012-08-31 2014-10-22 江苏高博智融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棉纺织产品阻燃处理的阻燃剂
CN103122101B (zh) * 2013-01-24 2015-04-29 广东聚石化学股份有限公司 一种高灼热丝不起燃聚丙烯复合材料及其生产方法
US9518176B2 (en) * 2013-06-05 2016-12-13 Gse Environmental, Llc High temperature geomembrane liners and master batch compositions
MX2016007457A (es) * 2013-12-10 2016-10-03 General Cable Tech Corp Composiciones termoconductoras y sus cables.
CN105778264B (zh) * 2014-08-11 2020-06-02 江苏理工学院 无卤阻燃poe材料的制备方法
EP3002311A1 (en) * 2014-10-03 2016-04-06 Kaneka Belgium N.V. Flame retardant pre-expanded polymer material, in-mold or extruded foamed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material
CN107148441B (zh) 2014-10-03 2020-11-27 钟化比利时公司 聚烯烃系树脂预发泡粒子和模内发泡成型体以及它们的制造方法
BR112018001130B1 (pt) * 2015-07-20 2022-06-14 Basf Se Artigo retardador de chama, composição retardadora de chama, e, uso de uma composição
CA3061249C (en) * 2017-05-22 2021-09-2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Halogenated elastomers with mooney viscosity stabi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WO2018217294A1 (en) * 2017-05-22 2018-11-2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Halogenated elastomers with mooney viscosity stabi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10889704B2 (en) 2017-05-22 2021-01-1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Halogenated elastomers with Mooney viscosity stabi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2020526609A (ja) 2017-07-06 2020-08-31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ベンゾフラノンおよびヒンダードフェノール系酸化防止剤を含む安定化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SG11201912421SA (en) 2017-07-06 2020-01-30 Basf Se A polyethylene pipe
CA3068993A1 (en) 2017-07-06 2019-01-10 Basf Se Stabilized polyolefin compositions comprising benzofuranones and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
KR20200062336A (ko) 2017-10-17 2020-06-03 셀라니즈 세일즈 저머니 게엠베하 난연성 폴리아미드 조성물
US10696819B2 (en) 2017-10-19 2020-06-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ltraviolet light stabilizing polymeric filler materials
KR20200116385A (ko) 2019-04-01 2020-10-12 주식회사 가이아 판스프링용 높이조절 샤클
JP2023524284A (ja) * 2020-05-07 2023-06-09 ソルベイ スペシャルティ ポリマーズ ユーエスエー, エルエルシー ポリアミド組成物を含む電気及び電子物品
CN113801320B (zh) * 2020-06-01 2023-11-0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生物基嵌段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以及阻燃复合物及其制备方法
JP2023540503A (ja) * 2020-09-03 2023-09-25 ダブリュー・アール・グレース・アンド・カンパニー-コーン 酸化分解に耐性のあるポリマー組成物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物品
KR20230130036A (ko) * 2021-01-05 2023-09-11 바스프 에스이 인공 uv-c 광에 의해 유발되는 열화에 대한 성형 중합체물품의 안정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89085A2 (en) * 1997-06-30 1999-01-07 Ciba SC Holding AG N,N',N'''-Tris(2,4-bis(1-hydrocarbyloxy-2,2,6,6,-tetramethylpiperidin-4-yl)alkylamino)-s-triazin-6-yl)-3,3'-ethylenediiminodipropylamines, their isomers and bridged derivatives and polymer compositions stabilized therewith
KR20010014333A (ko) * 1997-06-30 2001-02-26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방염제 조성물
KR20020046204A (ko) * 2000-12-12 2002-06-20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방염성 중합체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41A (ja) 1983-06-17 1985-01-07 Kyowa Chem Ind Co Ltd 難燃性樹脂組成物
JPS6060161A (ja) * 1983-08-08 1985-04-06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 重合体の処理中に放出されたハロゲンおよび酸の中和方法
JP2553537B2 (ja) * 1987-01-23 1996-11-13 東燃化学 株式会社 ポレプロピレン繊維防糸用組成物
US5096950A (en) 1988-10-19 1992-03-17 Ciba-Geigy Corporation Polyolefin compositions stabilized with NOR-substituted hindered amines
KR910700007A (ko) 1988-12-22 1991-03-13 윌리암 피. 블레이크 열 및 빛에 대하여 안정한 방염성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및 폴리스티렌 조성물
JP3166788B2 (ja) * 1992-03-04 2001-05-14 出光興産株式会社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H06263930A (ja) * 1993-03-15 1994-09-20 Tonen Chem Corp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H06329843A (ja) * 1993-05-18 1994-11-29 Tonen Chem Corp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US5393812A (en) 1993-08-31 1995-02-28 Hercules Incorporated Flame retardant, light stable composition
JPH07133397A (ja) * 1993-11-12 1995-05-23 Asahi Chem Ind Co Ltd ハロゲン化エポキシ系難燃剤を含有する耐光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H08325412A (ja) * 1995-05-30 1996-12-10 Asahi Denka Kogyo Kk 難燃化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EP0792911A3 (en) 1996-02-27 1998-01-14 Fmc Corporation Flame resistant polyolefin compositions
US6262161B1 (en) 1997-06-26 2001-07-17 The Dow Chemical Company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ignition resistance
US6599963B2 (en) 1997-06-30 2003-07-29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US6472456B1 (en) 1997-06-30 2002-10-29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SG85605A1 (en) * 1997-10-16 2002-01-15 Gen Electric Flame resistant compositions of polycarbonate and monovinylidene aromatic compounds
ITMI980366A1 (it) 1998-02-25 1999-08-25 Ciba Spec Chem Spa Preparazione di eteri amminici stericamente impediti
WO1999054530A1 (en) 1998-04-20 1999-10-28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Nonwoven fabric having both uv stability and flame retardancy and related method for its manufacture
AU5115299A (en) 1998-07-21 2000-02-14 Great Lakes Chemical Corporation Method for reducing odor during processing of flame retardant polymers
US6271377B1 (en) 1999-02-25 2001-08-07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Hydroxy-substituted N-alkoxy hindered amines and compositions stabilized therewith
US6225387B1 (en) 2000-02-17 2001-05-01 Great Lakes Chemical Corporation Stabilizer blend for organic polymer compositions; stabilized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 of stabilizing polymers
TWI291973B (ko) * 2000-02-23 2008-01-01 Ajinomoto Kk
EP1038912A3 (en) 2000-06-22 2000-12-27 Ciba SC Holding AG High molecular weight hindered hydrocarbyloxyamine stabilizers
WO2002074847A1 (en) 2001-03-20 2002-09-26 Ciba Speciality Chemicals Holding Inc.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US7084197B2 (en) 2001-06-29 2006-08-01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Synergistic combinations of nano-scaled fillers and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
JP4406869B2 (ja) * 2001-12-10 2010-02-03 チバ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難燃性組成物
CA2477884A1 (en) * 2002-03-01 2003-09-1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Dimensionally-stable propylene polymer foam with improved thermal aging.
WO2004031286A1 (en) 2002-10-03 2004-04-15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89085A2 (en) * 1997-06-30 1999-01-07 Ciba SC Holding AG N,N',N'''-Tris(2,4-bis(1-hydrocarbyloxy-2,2,6,6,-tetramethylpiperidin-4-yl)alkylamino)-s-triazin-6-yl)-3,3'-ethylenediiminodipropylamines, their isomers and bridged derivatives and polymer compositions stabilized therewith
KR20010014333A (ko) * 1997-06-30 2001-02-26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방염제 조성물
KR20020046204A (ko) * 2000-12-12 2002-06-20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방염성 중합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91478B (en) 2007-12-21
AU2003282026A1 (en) 2004-05-04
WO2004035671A1 (en) 2004-04-29
US7109260B2 (en) 2006-09-19
KR20050083756A (ko) 2005-08-26
CN100439434C (zh) 2008-12-03
EP1554336B1 (en) 2010-03-31
CN1705705A (zh) 2005-12-07
DE60331938D1 (de) 2010-05-12
US20040097620A1 (en) 2004-05-20
ES2342054T3 (es) 2010-07-01
CA2501384A1 (en) 2004-04-29
JP2006503138A (ja) 2006-01-26
EP1554336A1 (en) 2005-07-20
ATE462749T1 (de) 2010-04-15
MY136645A (en) 2008-11-28
TW200512279A (en) 2005-04-01
JP4490276B2 (ja) 2010-06-23
CA2501384C (en)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588B1 (ko) 난연성 조성물
US7138448B2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KR100873719B1 (ko) 난연제 조성물
KR100805296B1 (ko) 방염성 중합체 조성물
US7323502B2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KR101029863B1 (ko) 신규한 난연제 화합물
US20050014871A1 (en) Flame retardant polylactic acid
KR101023765B1 (ko) 난연성 중합체 전기 부품 조성물
KR20050083695A (ko) 난연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