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572B1 - 1,3-디포화-2-불포화 트리글리세리드의 분별방법 - Google Patents

1,3-디포화-2-불포화 트리글리세리드의 분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572B1
KR101010572B1 KR1020107007463A KR20107007463A KR101010572B1 KR 101010572 B1 KR101010572 B1 KR 101010572B1 KR 1020107007463 A KR1020107007463 A KR 1020107007463A KR 20107007463 A KR20107007463 A KR 20107007463A KR 101010572 B1 KR101010572 B1 KR 101010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lycerides
fatty acid
fat
mass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111A (ko
Inventor
신 아리모토
히데타카 우에하라
토모미 스가누마
킨야 츠치야
사토시 네기시
Original Assignee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7/00Separation of mixtures of fats or fatty oils into their constituents, e.g. saturated oils from unsaturated oils
    • C11B7/0075Separation of mixtures of fats or fatty oils into their constituents, e.g. saturated oils from unsaturated oils by differences of melting or solidifying p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7/00Separation of mixtures of fats or fatty oils into their constituents, e.g. saturated oils from unsaturated oils
    • C11B7/0008Separation of mixtures of fats or fatty oils into their constituents, e.g. saturated oils from unsaturated oils by differences of solubilities, e.g. by extraction, by separation from a solution by means of anti-solvents
    • C11B7/0025Separation of mixtures of fats or fatty oils into their constituents, e.g. saturated oils from unsaturated oils by differences of solubilities, e.g. by extraction, by separation from a solution by means of anti-solvents in solvents containing oxygen in their 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1/00Preparation of fatty acids from fats, fatty oils, or waxes; Refining the fatty acids
    • C11C1/08Refining
    • C11C1/10Refining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0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4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by esterification of fats or fatty oils
    • C11C3/10Ester inter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Abstract

1위치 및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2위치에 올레오일기 및/또는 리놀로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2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1~30질량%의 존재하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어서 냉각하여 정석시켜 고액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가 풍부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1,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 2위치에 올레오일기 및/또는 리놀로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가 풍부한 유지의 보다 효율적이며 공업적으로 적합한 분별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1,3-디포화-2-불포화 트리글리세리드의 분별방법{METHOD FOR SEPARATION OF 1,3-DISATURATED-2-UNSATURATED TRIGLYCERIDE}
본 발명은, 1,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 2위치에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OX형 유지)가 풍부한 유지의 분별 제조방법, 특히 카카오버터의 대용 지방(CBE)으로서 뛰어난 하드버터의 분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1,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 2위치에 리놀로일기(리놀산 잔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LX형 유지)가 풍부한 유지의 분별 제조방법, 특히 초콜릿의 경도 조정제로서 뛰어난 하드버터의 분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카오버터를 비롯한 하드버터는, 초콜릿을 주로 한 제과, 제빵 등의 식품 및 의약품, 화장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하드버터는 1,3-디팔미토일-2-올레오일글리세린(POP), 2위치에 올레오일기를 가지고 팔미토일기와 스테아로일기를 각 1기씩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POS) 및 1,3-디스테아로일-2-올레오일글리세린(SOS) 등의 분자 내에 한 개의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류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또한 초콜릿의 경도 조정제로서 뛰어난 1,3-디스테아로일-2-리놀로일글리세린(SLS) 등의 분자 내에 2개의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류도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트리글리세리드는 이 성분을 포함하는 천연의 유지, 예를 들면 팜유, 시어버터, 살팻(sal fat), 일립버터(illipe butter) 등의 유지 또는 그 분획유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팜유, 시어버터, 살팻, 일립버터 등의 유지의 분획유로서가 아니라, 특정 유지에 1,3 선택성 리파아제를 작용시키고,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5).
상기 어느 방법도 최종 제품을 얻는데에 분획 조작을 행하고 있다(특허문헌 6~16). 그러나 1,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 2위치에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OX형 유지)가 풍부한 유지의 보다 효율적이며, 보다 공업적으로 적합한 분별 제조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소55-071797 일본국 공고특허 평03-069516 일본국 공고특허 평06-009465 WO, 96/10643 WO, 03/000832 WO, 2005/063952 WO, 2004/029185 일본국 특허 01338696 일본국 특허 02013113 일본국 특허 02042375 일본국 공개특허 소63-258995 일본국 특허 02056898 일본국 공개특허 평02-080495 일본국 특허 03588902 일본국 공개특허 평11-080776 일본국 공개특허 2004-123839
본 발명은, 1,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 2위치에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OX형 유지)가 풍부한 유지의 분별 제조방법, 특히 카카오버터의 대용 지방(CBE)으로서 뛰어난 하드버터의 분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1,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 2위치에 리놀로일기(리놀산 잔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LX형 유지)가 풍부한 유지의 분별 제조방법, 특히 초콜릿의 경도 조정제로서 뛰어난 하드버터의 분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 2위치에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OX형 유지)가 풍부한 유지의, 보다 효율적이며 공업적으로 적합한 분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1,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 2위치에 리놀로일기(리놀산 잔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LX형 유지)가 풍부한 유지의, 보다 효율적이며 공업적으로 적합한 분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순도가 높은 XOX형 유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카카오버터의 대용 지방으로서 뛰어난 특성을 가지는 하드버터의 공업적으로 적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포화 지방산 잔기만으로 이루어지는 트리글리세리드나 포화 지방산 잔기만으로 이루어지는 디글리세리드의 함유량이 적은 유지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를 특정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특정량의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의 존재하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어서 냉각하여 정석(晶析)시키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지견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를 특정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특정량의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의 존재하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어서 교반하면서 냉각하여 정석시키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지견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가 풍부한 고형(固形)상의 트리글리세리드에 특정량의 지방산 저급 알킬을 첨가하고, 이어서 파쇄하여, 압착 여과해 고형분을 얻으면,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의 농도가 더욱 향상된 트리글리세리드가 얻어진다는 지견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를 특정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특정량의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의 존재하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어서 냉각하여 포화 지방산 잔기만으로 이루어지는 트리글리세리드(XXX형 유지) 및/또는 포화 지방산 잔기만으로 이루어지는 디글리세리드(XX형)를 정석 제거하고, 또한 정석시키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지견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위치 및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2위치에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O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2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1~30질량%의 존재하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어서 냉각하여 정석시켜 고액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OX형 유지가 풍부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1위치 및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2위치에 리놀로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L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2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1~30질량%의 존재하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어서 냉각하여 정석시켜 고액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LX형 유지가 풍부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서의 고액 분리 전의 정석물 100질량부당 1~50질량부의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첨가 후, 파쇄, 혹은 파쇄 후, 첨가하고, 압착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의 농도가 더욱 향상된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가 풍부한 고형상 트리글리세리드를, 상기 트리글리세리드 100질량부당 1~50질량부의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첨가 후, 파쇄, 혹은 파쇄 후, 첨가하고, 압착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의 농도가 향상된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2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1~30질량%의 존재하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어서 냉각하여 XXX형 유지 및/또는 XX형 디글리세리드를 정석 제거하고, 또한 교반 냉각하여 XOX형 유지를 정석시켜 고액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XX형 유지 및 XX형 디글리세리드가 적은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의 농도가 향상된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2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1~30질량%의 존재하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어서 냉각하여 포화 지방산 잔기만으로 이루어지는 트리글리세리드(XXX형 유지) 및/또는 포화 지방산 잔기만으로 이루어지는 디글리세리드(XX형)를 정석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XX형 유지 및/또는 XX형 디글리세리드의 농도를 저감시킨 유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를 특정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에 대하여,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가 존재함으로써,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미존재하에서 얻어지는 결정 다형(多形)(XOX형 유지의 경우는 γ형 또는 β'형 등)보다도 안정된 결정 다형(XOX형 유지의 경우는 β형)이 얻어지기 때문에, XOX형 유지(또는 XLX형 유지)가 풍부한 유지의 정석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정석하여 얻어진 고형분의 안정성 및 수율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얻어지며, 또한 보다 안정된 다형의 결정은 크고 단단해지기 쉽기 때문에, 여과성이 양호한 결정이 얻어지는 동시에 유동성이 향상한다. 특히 교반을 행하여 정석을 행하면 유동성이 현저하게 향상하고, 압착 여과기로의 송액(送液)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의 순도가 향상한다. 또한 고형상의 정석 케이크의 파쇄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압착 여과 전에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가 존재함으로써, 정석 케이크의 유동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압착 여과기로의 송액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얻어지는 고형부에 존재하는 액상부의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의 비율이 증가한다. 그 후,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제거함으로써 유지 중의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의 순도가 향상한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XXX형 유지 및 XX형 디글리세리드를 제거한 후에 XOX형 유지를 정석시킴으로써, 초콜릿의 결정에 악영향을 미치는 XXX형 유지, XX형자 글리세리드를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과성이 양호한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의 결정을 만들어,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의 순도가 향상한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카카오버터의 대용 지방(CBE)으로서 뛰어난 하드버터의 분별 제조로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여, 포화 지방산 잔기만으로 이루어지는 트리글리세리드나 포화 지방산 잔기만으로 이루어지는 디글리세리드의 함유량이 적은 유지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유지 조성물의 흐림 방지성(defogging property)이 향상하고, 특히 저온 특성이 뛰어난 샐러드유 등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1위치 및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2위치에 올레오일기 및/또는 리놀로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를 2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에서의 포화 지방산 잔기로서는, 탄소수 16에서 22의 포화 지방산 잔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스테아로일기, 팔미토일기, 베헤노일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1위치 및 3위치의 양쪽이 스테아로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트리글리세리드는, 예를 들면 2위치에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지방산 자체를 사용하는 경우도 포함)와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행하고, 이어서 증류하여 얻어진 증류 잔사여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리올레오일글리세린, 시어버터 저융점 부분(예를 들면 요오드가 70~80), 하이올레익 해바라기유, 하이올레익 로우 리놀렌 채종유, 하이올레익 홍화유, 팜유, 팜 분획유 등의 원료 유지에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첨가하고, 1,3 선택성 리파아제, 예를 들면 리조푸스계 리파아제, 아스페르길루스계(Aspergillus) 리파아제, 무코르계(Mucor) 리파아제, 판크레아틱(pancreatic) 리파아제, 쌀겨(rice bran) 리파아제 등을 작용시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행하고, 이어서 증류하여, 미반응 원료나 부생(副生)하는 올레인산 등의 지방산이나 그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제거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로서는, 탄소수 16에서 22의 포화 지방산의 저급 알코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탄소수 1~6의 알코올과의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특히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이 바람직하고, 이 중에서도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2위치에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 대(對)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의 사용비(몰비)는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2~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1위치 및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2위치에 리놀로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LX형 유지)를 2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에서의 포화 지방산 잔기로서는, 탄소수 16에서 22의 포화 지방산 잔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스테아로일기, 팔미토일기, 베헤노일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특히 1위치 및 3위치의 양쪽이 스테아로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XLX형 유지는, 2위치에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 대신에, 2위치에 리놀로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사용하여, XOX형 유지에 대하여 기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1,3 선택성 리파아제로서는 리조푸스속의 리조푸스 델레마(Rhizopus delemar) 및 리조푸스 오리자에(Rhizopus oryzae)가 바람직하다.
이들 리파아제로서는 로빈사의 상품: 피칸타제 R8000이나, 아마노 엔자임사의 상품: 리파아제 F-AP15 등을 들 수 있는데, 가장 적합한 리파아제로서는 Rhizopus oryzae 유래, 아마노 엔자임사의 상품: 리파아제 DF "Amano" 15-K(리파아제 D라고도 칭함)를 들 수 있다. 이것은 분말 리파아제이다. 또한 이 리파아제 DF "Amano" 15-K에 대해서는 종래는 Rhizopus delemar 유래의 표기였다.
여기서, 사용하는 리파아제로서는, 리파아제의 배지 성분 등을 함유한 리파아제 함유 수용액을 건조하여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분말 리파아제로서는, 구상(球狀)이며, 수분 함량이 10질량%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리파아제 분말의 90질량%이상이 입자지름 1~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H가 6~7.5로 조정되어 이루어지는 리파아제 함유 수용액을 분무 건조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파아제를 대두 분말을 사용하여 조립(造粒;granulate)하여 분말화한 조립 분말 리파아제(분말 리파아제라고도 칭함)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대두 분말로서는 지방 함유량이 5질량%이상인 대두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 함유량이 5질량%이상인 대두 분말로서는, 지방 함유량이 10질량%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한편 25질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지방 함유량이 18~23질량%인 대두 분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방으로서는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및 그 유연체(類緣體;analogs)를 들 수 있다. 대두의 지방 함량은 속슬렛(Soxhlet) 추출법 등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대두 분말로서 전지 대두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두 분말의 원료로서 두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대두 분말은 대두를 상법에 의해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고, 그 입자지름은 0.1~600㎛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지름은 분말 리파아제의 입자지름의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리파아제에 대한 대두 분말의 사용량은, 질량 기준으로 0.1~200배의 양인 것이 바람직하고, 0.1~20배의 양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10배의 양이 가장 바람직하다.
분말 리파아제는 수분 함량이 10질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8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 리파아제의 입자지름은 임의로 할 수 있지만, 분말 리파아제의 90질량%이상이 입자지름 1~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지름은 10~80㎛가 바람직하다. 또한 분말 리파아제의 형상은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 리파아제의 입자지름은, 예를 들면 HORIBA사의 입도(粒度) 분포 측정장치(LA-500)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있어서는, 2위치에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 및/또는 XLX형 유지와 포화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원료에 상기 리파아제를 첨가하여, 상법으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원료 100질량부당 리파아제를 0.01~10질량부(바람직하게는 0.01~2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5질량부) 첨가하고, 35~100℃의 온도(바람직하게는 35~8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로 0.1~50시간(바람직하게는 0.5~30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시간)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배치식(batch method)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반응 기질인 유지가 용해하는 온도로 효소 활성을 가지는 온도이면 몇 도이든 상관없다. 최적의 반응시간은 효소 첨가량, 반응 온도 등에 따라 변화한다.
에스테르 교환반응 후 증류하여, 미반응 원료나 부생하는 올레인산이나 그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제거하고, 본 발명에서 원료로서 사용하는 1위치 및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2위치에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OX형 유지) 및/또는 2위치에 리놀로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L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20~60질량%, 바람직하게는 3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얻는다.
본 발명에서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행할 때에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과잉량 사용하여, 증류에 의해,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가, 1위치 및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2위치에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OX형 유지)(및/또는 XL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20~60질량%, 바람직하게는 3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증류 잔사에 1~30질량%(바람직하게는 4~2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23질량%) 잔존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증류에 의해 미반응 원료(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포함)나 부생하는 올레인산이나 그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가능한한 제거하고, 여기에 새롭게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2위치에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OX형 유지)(및/또는 XL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20~60질량%, 바람직하게는 3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1~30질량%(바람직하게는 4~2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23질량%)가 되도록 첨가해도 된다.
여기서 새롭게 첨가하는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탄소수 16에서 22의 지방산의 저급 알코올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포화 지방산과 탄소수 1~6의 알코올의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특히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이 바람직하고, 이 중에서도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조제한 특정량의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전체가 균일하게 녹는 온도(예를 들면 50℃이상, 바람직하게는 50~70℃)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용해 후 즉시 또는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0.5~2시간) 그 온도로 유지한 후, 실온 이하(예를 들면 26℃이하, 바람직하게는 15~26℃, 더욱 바람직하게는 18~22℃)로 냉각하고, XOX형 유지가 풍부한 고형분을 정석시켜, 이것을 고액 분리함으로써 XOX형 유지가 풍부한 트리글리세리드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XOX형 유지가 풍부한 고형부를 정석하기 위해 실온 이하로 냉각하기 전에, 소정의 온도(예를 들면 26~35℃, 바람직하게는 26~28℃)로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0.5~5시간, 바람직하게는 1~3시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XLX형 유지에 대해서는, 냉각 온도를 20℃이하, 바람직하게는 5~15℃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열 용해에서 냉각 공정에 있어서는, 교반 및/또는 정치(靜置)하여 행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 XOX형 유지(및/또는 XLX형 유지)의 함유량이 65질량%이상, 바람직하게는 70질량%이상인 것이 얻어진다. 이 방법에 의하면, 특히 XOX형 유지(및/또는 XLX형 유지)가 풍부한 유지의 정석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정석하여 얻어진 고형분의 안정성 및 수율이 향상하는 동시에, 매우 여과성이 좋은 결정이 얻어지므로 XOX형 유지(및/또는 XLX형 유지)의 순도가 향상한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함유시켜 교반하여 냉각하는 방법에서는, 유동성이 있는 정석물이 얻어지고, 결정도 여과성이 양호하다. 그 때문에, 고액 분리가 양호해져 XOX형 유지(및/또는 XLX형 유지)의 함유량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량의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가열 용해시키고, 냉각하여, XOX형 유지(및/또는 XLX형 유지)가 풍부한 고형분을 정석시키는데, XOX형 유지(및/또는 XLX형 유지)가 거의 결정화하고 있지 않은 온도(예를 들면 26~35℃, 바람직하게는 26~28℃)로 XXX형 유지나 XX형 디글리세리드를 결정화시켜, 분별 제거하고, 또한 실온 이하(예를 들면 25℃이하)로 냉각, 혹은 재가열(예를 들면 50℃이상, 바람직하게는 50~70℃)한 후에 실온 이하(예를 들면 25℃이하)로 냉각하여, XOX형 유지(및/또는 XLX형 유지)가 풍부한 고형분을 정석시키고, 이것을 고액 분리함으로써 XOX형 유지(및/또는 XLX형 유지)가 풍부한 트리글리세리드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XXX형 유지나 XX형 디글리세리드를 분별 제거한 후에, XOX형 유지가 풍부한 고형부를 정석하기 위해 실온 이하로 냉각하기 전에, 소정의 온도(예를 들면 26~35℃, 바람직하게는 26~28℃)로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0.5~5시간, 바람직하게는 1~3시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함유시켜 실시하는 이 방법에 의해, XOX형 유지(및/또는 XLX형 유지)의 함유량이 높아, 정석하여 얻어진 고형분의 안정성이 향상할 뿐 아니라, 초콜릿의 결정성에 악영향이 있는 XXX형 유지나 XX형 디글리세리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XXX형 유지나 XX형 디글리세리드를 감소시킨 소망하는 유지를, 종래법에 의해, 아세톤 등을 사용하는 용제 분별법을 이용하여 소망하는 유지 성분을 분별해도 된다. 이 용제 분별법에서는, 아세톤 외에 에탄올이나 헥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액 분리 전의 정석물 질량부당 1~50질량부(바람직하게는 5~5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질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5~50질량부)의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첨가 후, 파쇄, 혹은 파쇄 후 첨가하고, 압착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음으로써 XOX형 유지(및/또는 XLX형 유지)의 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고액 분리 전의 정석물은,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1~30질량%의 존재하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어서 냉각하여 정석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있어서, 파쇄는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의 존재하, 예를 들면 철망이나 시판의 쥬서 등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실온 이하의 온도(바람직하게는 20~27℃)로 파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압착 여과는, 예를 들면 팜유 등의 분별 여과 등에서 사용하는 압착 여과기 등을 사용하여, 실온 이하의 온도(바람직하게는 20~27℃)로 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 다음에 행하는 임의 공정인 정제 공정은, 상법(예를 들면 수증기 증류 등)에 의해 행할 수 있고, 최종 제품으로 하기 전에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XOX형 유지(및/또는 XLX형 유지)의 함유량이 75질량%이상, 바람직하게는 80질량%이상인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압착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은 후, 고형분 중의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제거하는 등의 정제하는 공정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탈색, 탈취 등의 통상 행하는 유지의 정제를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XOX형 유지의 함유량이 향상한 유지는, 특히 카카오버터의 대용 지방(CBE)으로서 뛰어난 하드버터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XLX형 유지의 함유량이 향상된 유지는, 특히 초콜릿의 경도 조정제로서 뛰어난 하드버터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초콜릿 제품은 상기의 하드버터와 카카오버터를 혼합한 유지 성분 및 당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드버터는 유지 성분 중에 10질량%이상, 바람직하게는 20질량%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질량%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 성분으로서는 통상 초콜릿에 사용되는 것이면 무엇이든 상관없다. 예를 들면 자당, 과당, 혹은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소르비톨 등의 당 알코올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통상의 초콜릿 제품에 포함되는 임의의 성분에 대해서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들의 예로서는 유화제(통상 레시틴), 향료, 탈지분유, 전지분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20~60질량%(바람직하게는 3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1~30질량%의 존재하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어서 냉각하여 포화 지방산 잔기만으로 이루어지는 트리글리세리드(XXX형 유지) 및/또는 포화 지방산 잔기만으로 이루어지는 디글리세리드(XX형)를 정석 제거함으로써, XXX형 유지 및/또는 XX형 디글리세리드의 농도를 저감시킨 유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상술한 특정량의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가열 용해시키고, 냉각하여, XOX형 유지가 풍부한 고형분을 정석시키는데, XOX형 유지 및/또는 XLX형 유지가 거의 결정화하고 있지 않은 온도(예를 들면 26~35℃, 바람직하게는 26~28℃)에서 XXX형 유지나 XX형 디글리세리드를 결정화시켜 분별 제거하는 방법에 준하여 행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 XXX형 유지나 XX형 디글리세리드의 함유량이 적은 유지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유지 조성물의 흐림 방지성이 향상하고, 특히 저온 특성이 뛰어난 샐러드유 등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분말 리파아제 조성물 1의 조제
아마노 엔자임사의 상품: 리파아제 DF "Amano" 15-K(리파아제 D라고도 칭함)의 효소 용액(150000U/㎖)에 미리 오토클레이브 멸균(121℃, 15분)을 행하고, 실온 정도로 냉각한 탈취 전지 대두 분말(지방 함유량이 23질량%, 상품명: 알파 플러스 HS-600, 닛신 코스모 푸즈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10%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3배량 첨가하여, 0.5N NaOH 용액으로 pH 7.8로 조정 후 분무 건조(도쿄 리카 키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SD-1000형)를 행하여 분말 리파아제 조성물 1을 얻었다.
[실시예 1]
하이올레익 해바라기유(상품명: 올레인 리치, 쇼와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1200g에 스테아린산에틸(상품명: 에틸스테아레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우에 코료 세이조쇼 제품) 1800g을 혼합하고, 분말 리파아제 조성물 1을 0.5질량% 첨가하여 40℃로 7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여과 처리에 의해 효소 분말을 제거하여 반응물 1-1을 2987g 얻었다. 얻어진 반응물 1-1(2980g)을 박막 증류를 행하고, 증류 온도 140℃에서 반응물로부터 소정량을 넘는 양의 지방산에틸을 제거하여, 지방산에틸에스테르 함량이 8.8질량%인 증류 잔사 1-1을 1290g 얻었다(표 1). 또한 지방산에틸에스테르 및 TAG 조성의 분석은 GLC법에 의해 행하였다.
증류 잔사 1-1, 930g을 50℃에서 완전 용해 후 25℃에서 고화시켜 케이크 1-1을 얻었다. 고화 상황의 결정 다형을 XRD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와 3에 나타낸다.
케이크 1-1(320g)을 쥬서(조지루시사 제품)에 투입하여 파쇄한 후, 가압 여과(압착 압력 3.3㎏f/㎠, 닛신 오일리오 자작(自作)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1-1(102g) 및 액상부 1-1(207g)을 얻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얻은 증류 잔사 1-1(360g)을 증류 온도 200℃에서 수증기 증류를 행하고, 지방산에틸을 제거하여 지방산에틸 함량이 흔적량%인 증류 잔사 1-2를 320g 얻었다(표 1).
증류 잔사 1-2(320g)를 50℃로 완전 용해 후, 25℃로 고화시켜 케이크 1-2를 얻었다. 고화 상황의 결정 다형을 XRD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와 3에 나타낸다.
케이크 1-2(320g)를 쥬서(조지루시사 제품)에 투입하여 파쇄한 후, 가압 여과(압착 압력 3.3㎏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1-2(62g) 및 액상부 1-2(248g)를 얻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21816362-pct00001
주 1)TAG 조성은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의 각 트리글리세리드의 조성을 나타낸다.
XOX/(XXO+OXX)는 2개의 포화 지방산 잔기 및 한 개의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 중 1위치 및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와 2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의 비이다. 또한 XOX/(XXO+OXX)는 은(銀)이 붙은 양이온 교환기를 결합한 컬럼을 사용한 HPLC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P: 팔미트산 잔기, S: 스테아린산 잔기, O: 올레인산 잔기, L: 리놀산 잔기, tr: 미량(trace)
주 2)지방산에틸에스테르 함량은 전 성분 중의 지방산에틸에스테르의 질량%를 나타낸다.
Figure 112010021816362-pct00002
*1)β화율은 X선 회절 측정에 의한 각 d값의 강도를 사용하여 이하에 정의한 값이다.
β화율=4.6Å 강도/(4.6Å 강도+3.8Å 강도)×100
Figure 112010021816362-pct00003
*2)DSC의 융해 피크탑 온도
Figure 112010021816362-pct00004
주 1)TAG 조성은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의 각 트리글리세리드의 조성을 나타낸다.
P: 팔미트산 잔기, S: 스테아린산 잔기, O: 올레인산 잔기, L: 리놀산 잔기, tr: 미량(trace)
[실시예 2]
하이올레익 해바라기유(상품명: 올레인 리치, 쇼와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14000g에 스테아린산에틸(상품명: 에틸스테아레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우에 코료 세이조쇼 제품) 21000g을 혼합하고, 분말 리파아제 조성물 1을 0.3질량% 첨가하여 40℃로 20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여과 처리에 의해 효소 분말을 제거하여 반응물 2-1을 34354g 얻었다. 얻어진 반응물 2-1(34300g)을 박막 증류를 행하고, 증류 온도 140℃에서 반응물로부터 지방산에틸을 제거하여, 지방산에틸 함량이 2.9질량%인 증류 잔사 2-1을 13714g 얻었다(표 5).
얻어진 증류 잔사 2-1(11417g)에 스테아린산에틸(상품명: 에틸스테아레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우에 코료 세이조쇼 제품) 2101g을 혼합하고, 지방산에틸 함량이 18.3질량%인 정석 원료 2-1을 13518g 얻었다. 얻어진 정석 원료 2-12(12500g)를 50℃로 완전 용해 후 교반을 행하면서, 27℃에서 3시간 냉각하고, 압착 여과(압착 여과 2, 압착 압력 7㎏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2-1(450g) 및 액상부 2-1(11859g)을 얻었다. 얻어진 액상부 2-1(3664g)을 교반을 행하면서, 27℃에서 2.5시간, 이어서 20℃로 4시간 냉각 후, 압착 여과(압착 여과 3, 압착 압력 30㎏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2-2(1458g) 및 액상부 2-2(2191g)를 얻었다(표 5, 7). 얻어진 고형부 2-2를 증류 온도 200℃에서 수증기 증류를 행하고, 지방산에틸을 제거해, 정법(定法)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하드버터 2-1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버터 2-1을 사용하여 초콜릿의 평가를 행하였는데, 제조시의 점도나 디몰딩(demoulding) 등이나 초콜릿의 입안에서 녹는 느낌 등에 특별히 문제는 없었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얻어진 정석 원료 2-1(1000g)을 50℃로 완전 용해 후 교반을 행하면서, 27℃로 2.5시간, 이어서 20℃로 4시간 냉각 후, 압착 여과(압착 여과 4, 압착 압력 30㎏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3-1(410g) 및 액상부 3-1(568g)을 얻었다(표 5, 8). 얻어진 고형부 3-1을 증류 온도 200℃에서 수증기 증류를 행하고, 지방산에틸을 제거하여, 정법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하드버터 3-1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버터 3-1을 사용하여 초콜릿의 평가를 행한 결과, 충분한 품질이었다. 또한 실시예 2의 하드버터 2-1을 사용한 초콜릿은 제조시의 점도가 낮고, 다소 디몰딩이 좋았다. 또한 초콜릿의 입안에서 녹는 느낌 등은 실시예 2 쪽이 보다 양호했다.
[실시예 4]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얻은 액상부 2-1(4000g)을 50℃로 완전 용해 후, 교반을 행하면서 27℃로 2.5시간, 이어서 20℃로 4시간 냉각 후, 압착 여과(압착 여과 5, 압착 압력 30㎏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4-1(1568g) 및 액상부 4-16(2352g)을 얻었다(표 6, 9).
[실시예 5]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얻은 액상부 2-1(3000g)을 50℃로 완전 용해 후, 교반을 행하면서 27℃까지 냉각 후, 1℃/시간의 속도로 20℃까지 냉각 후, 20℃로 1시간 유지하고, 압착 여과(압착 여과 6, 압착 압력 30㎏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5-1(1147g) 및 액상부 5-2(1793g)를 얻었다(표 6, 9).
[비교예 2]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얻은 증류 잔사 2-1(1000g)을 증류 온도 200℃에서 수증기 증류를 행하고, 지방산에틸을 제거하여 지방산에틸 함량이 흔적량%인 증류 잔사 2-2를 982g 얻었다. 얻어진 증류 잔사 2-2(950g)를 50℃로 완전 용해 후, 교반을 행하면서 27℃로 3시간 냉각하고, 압착 여과(압착 여과 7, 압착 압력 7㎏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시도했지만, 매우 점성이 높아져, 여과성이 좋지 않아 고액 분리가 곤란했기 때문에 분리를 중지하였다. 다시 50℃로 완전 용해 후, 교반을 행하면서 27℃에서 2.5시간, 이어서 20℃로 4시간 냉각 후, 압착 여과(압착 여과 8, 압착 압력 30㎏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시도했지만, 여과성이 좋지 않아 고액 분리가 곤란했기 때문에 분리를 중지하였다(표 5, 8).
Figure 112010021816362-pct00005
◎◎: 액상
◎: 유동성이 매우 높아 액상에 가까움
▲: 다소 유동성은 있지만, 점성이 높아 여과가 곤란한 상태
Figure 112010021816362-pct00006
◎: 유동성이 매우 높아 액상에 가까움
▲: 다소 유동성은 있지만, 점성이 높아 여과가 곤란한 상태
Figure 112010021816362-pct00007
주 1)TAG 조성은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의 각 트리글리세리드의 조성을 나타낸다.
XOX/(XXO+OXX)는 2개의 포화 지방산 잔기 및 한 개의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 중, 1위치 및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와 2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의 비이다.
P: 팔미트산 잔기, S: 스테아린산 잔기, O: 올레인산 잔기, L: 리놀산 잔기, tr: 미량(trace)
주 2)SS-DAG 함량은 전 성분 중의 디스테아로일글리세린의 질량%를 나타낸다.
GLC에 의해 측정을 행하였다.
주 3)지방산에틸 함량은 전 성분 중의 지방산에틸의 질량%를 나타낸다.
Figure 112010021816362-pct00008
주 1)TAG 조성은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의 각 트리글리세리드의 조성을 나타낸다.
P: 팔미트산 잔기, S: 스테아린산 잔기, O: 올레인산 잔기, L: 리놀산 잔기, tr: 미량(trace)
주 2)SS-DAG 함량은 전 성분 중의 디스테아로일글리세린의 질량%를 나타낸다.
GLC에 의해 측정을 행하였다.
주 3)지방산에틸 함량은 전 성분 중의 지방산에틸의 질량%를 나타낸다.
Figure 112010021816362-pct00009
주 1)TAG 조성은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의 각 트리글리세리드의 조성을 나타낸다.
P: 팔미트산 잔기, S: 스테아린산 잔기, O: 올레인산 잔기, L: 리놀산 잔기, tr: 미량(trace)
주 2)SS-DAG 함량은 전 성분 중의 디스테아로일글리세린의 질량%를 나타낸다.
GLC에 의해 측정을 행하였다.
주 3)지방산에틸 함량은 전 성분 중의 지방산에틸의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은 케이크 1-1(200g)에 31.7℃의 액상의 스테아린산에틸 60g을 첨가하고, 쥬서(조지루시사 제품)에 투입하여 파쇄한 후, 압착 여과(압착 압력 3.3㎏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6-1(100g) 및 액상부 6-1(160g)을 얻었다. 얻어진 고형부 6-1(100g)을 200℃에서 수증기 증류를 행하여 하드버터 6-1을 81g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은 케이크 1-1(200g)을 쥬서(조지루시사 제품)로 파쇄하고, 31.7℃의 액상의 스테아린산에틸 40g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압착 여과(압착 압력 3.3㎏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7-1(96g) 및 액상부 7-1(144g)을 얻었다. 얻어진 고형부 7-1(96g)을 200℃에서 수증기 증류를 행하여 하드버터 7-1을 80g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은 케이크 1-1(200g)을 쥬서(조지루시사 제품)에 투입하여 파쇄한 후, 압착 여과(압착 압력 3.3㎏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8-1(66g) 및 액상부 8-1(134g)을 얻었다.
결과를 표 10 및 1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21816362-pct00010
◎: 유동성이 매우 높아 액상에 가까움
○: 유동성 있음
△: 다소 유동성 있음
×: 유동성 없음
Figure 112010021816362-pct00011
주 1)TAG 조성은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의 각 트리글리세리드의 조성을 나타낸다.
P: 팔미트산 잔기, S: 스테아린산 잔기, O: 올레인산 잔기, L: 리놀산 잔기, tr: 미량(trace)
주 2)지방산에틸 함량은 전 성분 중의 지방산에틸의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9]
팜 올레인(ISF사 제품, 요오드가 56) 900g에 팔미트산에틸(상품명: 에틸팔미테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우에 코료 세이조쇼 제품) 100g을 혼합하여 정석 원료 9-1을 1000g 얻었다. 얻어진 정석 원료 9-1(1000g)을 50℃로 완전 용해 후, 교반을 행하면서 10℃로 3시간 냉각하고, 압착 여과(제1 압착 여과: 압착 압력 7㎏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9-1(22g) 및 액상부 93(958g)을 얻었다. 얻어진 액상부 9-1(940g)을 교반을 행하면서 천천히 5℃까지 냉각하고, 압착 여과(제2 압착 여과: 압착 압력 30㎏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9-2(414g) 및 액상부 9-2(507g)를 얻었다(표 12 및 13).
Figure 112010021816362-pct00012
◎◎: 액상
◎: 유동성이 매우 높아 액상에 가까워 용이하게 여과 가능
Figure 112010021816362-pct00013
주 1)TAG 조성은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의 각 트리글리세리드의 조성을 나타낸다.
XOX/(XXO+OXX)는 2개의 포화 지방산 잔기 및 한 개의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 중, 1위치 및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와 2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의 비이다.
P: 팔미트산 잔기, S: 스테아린산 잔기, O: 올레인산 잔기, L: 리놀산 잔기, tr: 미량(trace)
주 2)지방산에틸 함량은 전 성분 중의 지방산에틸의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0]
팜 올레인(ISF사 제품, 요오드가 65) 950g에 팔미트산에틸(상품명: 에틸팔미테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우에 코료 세이조쇼 제품) 50g을 혼합하여 정석 원료 10-1을 1000g 얻었다. 얻어진 정석 원료 10-1(1000g)을 50℃로 완전 용해 후, 교반을 행하면서 천천히 -5℃까지 냉각하고, 압착 여과(제1 압착 여과: 압착 압력 30㎏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10-1(196g) 및 액상부 10-1(784g)을 얻었다(표 14와 15).
Figure 112010021816362-pct00014
◎◎: 액상
◎: 유동성이 매우 높아 액상에 가까워 용이하게 여과 가능
Figure 112010021816362-pct00015
주 1)TAG 조성은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의 각 트리글리세리드의 조성을 나타낸다.
XOX/(XXO+OXX)는 2개의 포화 지방산 잔기 및 한 개의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 중, 1위치 및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와 2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의 비이다.
P: 팔미트산 잔기, S: 스테아린산 잔기, O: 올레인산 잔기, L: 리놀산 잔기, tr: 미량(trace)
주 2)XX-DAG 함량은 전 성분 중의 디포화글리세린의 질량%를 나타낸다.
GLC에 의해 측정을 행하였다.
주 3)지방산에틸 함량은 전 성분 중의 지방산에틸의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1]
하이올레익 해바라기유(상품명: 올레인 리치, 쇼와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6000g에, 스테아린산에틸(상품명: 에틸스테아레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우에 코료 세이조쇼 제품) 9000g을 혼합하고, 분말 리파아제 조성물 1을 0.3질량% 첨가하여 40℃로 20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여과 처리에 의해 효소 분말을 제거하여 반응물 11-1을 14700g 얻었다. 얻어진 반응물 11-1(14500g)을 박막 증류를 행하고, 증류 온도 140℃에서 반응물로부터 지방산에틸을 제거하여 지방산에틸 함량이 3.5질량%인 증류 잔사 11-1을 5795g 얻었다(표 X1).
얻어진 증류 잔사 11-1(5000g)에 유출물(留出物) 11-1(906g)을 혼합하여 지방산에틸 함량이 18.3질량%인 정석 원료 11-1을 5906g 얻었다. 얻어진 정석 원료 11-1(2001g)을 50℃로 완전 용해 후, 교반을 행하면서 27℃로 3시간 냉각하고, 압착 여과(제1 압착 여과: 압착 압력 7㎏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11-1(450g) 및 액상부 11-1(1904g)을 얻었다(표 16 및 17). 얻어진 액상부 11-1(1845g)을 박막 증류를 행하고, 증류 온도 140℃에서 반응물로부터 지방산에틸을 제거하여 지방산에틸 함량이 5.2질량%인 증류 잔사 11-2를 1389g 얻었다. 얻어진 증류 잔사 11-2(1351g)를 증류 온도 20℃에서 수증기 증류를 행하고, 지방산에틸을 제거하여 지방산에틸 함량이 흔적량%인 증류 잔사 11-3을 1227g 얻었다. 얻어진 증류 잔사 11-3(1197g)에 아세톤(4788g)을 첨가하고, 용해한 후, 5℃로 냉각하여 얻어진 고형부를 여과 분별하여 고형부 11-2(555g), 액상부 11-2(651g)를 얻었다. 얻어진 고형부 11-2(530g), 정법에 의해 아세톤 제거 및 정제를 행하여 하드버터 11-1(500g)을 얻었다(표 18과 19).
Figure 112010021816362-pct00016
◎◎: 액상
◎: 유동성이 매우 높아 액상에 가까워 용이하게 여과 가능
Figure 112010021816362-pct00017
Figure 112010021816362-pct00018
주 1)TAG 조성은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의 각 트리글리세리드의 조성을 나타낸다.
XOX/(XXO+OXX)는 2개의 포화 지방산 잔기 및 한 개의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 중, 1위치 및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와 2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의 비이다.
P: 팔미트산 잔기, S: 스테아린산 잔기, O: 올레인산 잔기, L: 리놀산 잔기, tr: 미량(trace)
주 2)SS-DAG 함량은 전 성분 중의 디스테아로일글리세린의 질량%를 나타낸다.
GLC에 의해 측정을 행하였다.
주 3)지방산에틸 함량은 전 성분 중의 지방산에틸의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2]
상기 하드버터 11-1을 사용하여, 표 19의 배합으로 혼합, 리파인, 콘칭(conching)을 이하의 장치를 사용하여 행한 후, 50℃→29℃→32℃의 템퍼링(tempering)을 행하여 초콜릿을 시작(試作)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제조시의 점도나 디몰딩 등에 특별히 문제는 없었다. 얻어진 초콜릿은 20℃에서 1주일간 보존한 후에 스냅성, 광택, 입안에서 녹는 느낌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하드버터 11-1을 사용한 초콜릿 1은 입안에서 녹는 느낌이 좋으면서 스냅성이 뛰어났다.
(초콜릿 시작 사용 기기)
혼합: 만능 혼합 교반기(가부시키가이샤 달톤사 제품 5DM-L)
리파인: 3개 롤러 밀(가부시키가이샤 뷸러(buhler)사 제품 SDY300형)
콘칭: 만능 혼합 교반기(가부시키가이샤 달톤사 제품 5DM-L)
Figure 112010021816362-pct00019
(초콜릿 평가 결과)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초콜릿의 틀로부터의 박리성, 스냅성, 광택, 입안에서 녹는 느낌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0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21816362-pct00020
10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한 관능시험에 의해 평가하였다. 판정 기준은 이하와 같다.
<판정 기준>
스냅성 ◎: 매우 양호한 스냅성을 가짐
○: 양호한 스냅성을 가짐
△: 스냅성이 떨어짐
입안에서 녹는 느낌 ◎: 입안에서 녹는 느낌이 매우 양호함
○: 입안에서 녹는 느낌이 양호함
△: 입안에서 녹는 느낌이 좋지 않음
광택 ◎: 매우 양호
○: 양호하지만 일부에 뿌연 부분이 보임
△: 광택이 없음
박리성 ◎: 냉각 후 15분이면 벗겨짐
○: 냉각 후 20분이면 벗겨짐
△: 벗겨지지 않음
[실시예 13]
하이리놀 홍화(safflower)유(닛신 오일리오 그룹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1600g에, 스테아린산에틸(상품명: 에틸스테아레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우에 코료 세이조쇼 제품) 2400g을 혼합하고, 분말 리파아제 조성물 1을 0.3질량% 첨가하여 40℃로 20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여과 처리에 의해 효소 분말을 제거하여 반응물 13-1을 3920g 얻었다. 얻어진 반응물 13-1(3900g)을 박막 증류를 행하고, 증류 온도 140℃에서 반응물로부터 지방산에틸을 제거하여 지방산에틸 함량이 3.7질량%인 증류 잔사 13-1을 1555g 얻었다(표 22).
얻어진 증류 잔사 13-1(1500g)에 유출물 13-1(261g)을 혼합하여 지방산에틸 함량이 18.0질량%인 정석 원료 13-1을 1761g 얻었다. 얻어진 정석 원료 13-1(1700g)을 50℃에서 완전 용해 후, 교반을 행하면서 23℃로 3시간 냉각하고, 압착 여과(제1 압착 여과: 압착 압력 7㎏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13-1(35g) 및 액상부 13-1(1624g)을 얻었다. 얻어진 액상부 13-1(1600g)을 교반을 행하면서 천천히 10℃까지 냉각하고, 압착 여과(제2 압착 여과: 압착 압력 30㎏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13-2(627g) 및 액상부 13-2(941g)를 얻었다(표 21과 22).
Figure 112010021816362-pct00021
◎◎: 액상
◎: 유동성이 매우 높아 액상에 가까워 용이하게 여과 가능
Figure 112010021816362-pct00022
주 1)TAG 조성은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의 각 트리글리세리드의 조성을 나타낸다.
XOX/(XXO+OXX)는 2개의 포화 지방산 잔기 및 한 개의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 중, 1위치 및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와 2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의 비이다.
P: 팔미트산 잔기, S: 스테아린산 잔기, O: 올레인산 잔기, L: 리놀산 잔기, tr: 미량(trace)
주 2)SS-DAG 함량은 전 성분 중의 디스테아로일글리세린의 질량%를 나타낸다.
GLC에 의해 측정을 행하였다.
주 3)지방산에틸 함량은 전 성분 중의 지방산에틸의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4]
하이올레익 해바라기유(상품명: 올레인 리치, 쇼와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320g, 팜유 중융점 획분(ISF사 제품, 요오드가 45) 380g, 스테아린산에틸(상품명: 에틸스테아레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우에 코료 세이조쇼 제품) 180g, 팔미트산에틸(상품명: 에틸팔미테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우에 코료 세이조쇼 제품) 120g을 혼합하고, 분말 리파아제 조성물 1을 0.5질량% 첨가하여 50℃로 16시간 교반 반응시켰다. 여과 처리에 의해 효소 분말을 제거하여 반응물 14-1을 997g 얻었다.
얻어진 반응물 14-1(997g)을 50℃로 완전 용해 후, 교반을 행하면서 23℃로 3시간 냉각하고, 감압 여과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14-1(168g) 및 액상부 14-1(805g)을 얻었다. 얻어진 액상부 14-1(805g)을 교반을 행하면서 천천히 12.5℃까지 냉각하고, 압착 여과(제1 압착 여과: 압착 압력 30㎏f/㎠, 닛신 오일리오 자작 가압 여과기 사용)로 고액 분리를 행하여 고형부 14-2(180g) 및 액상부 14-2(632g)를 얻었다(표 23). 얻어진 고형부 14-2를 증류 온도 200℃에서 수증기 증류를 행하여, 지방산에틸을 제거하고, 또한 정법에 의해 정제를 행하여 하드버터 14-1을 얻었다.
Figure 112010021816362-pct00023
주 1)TAG 조성은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의 각 트리글리세리드의 조성을 나타낸다.
XOX/(XXO+OXX)는 2개의 포화 지방산 잔기 및 한 개의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 중, 1위치 및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와 2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 비이다.
P: 팔미트산 잔기, S: 스테아린산 잔기, O: 올레인산 잔기, L: 리놀산 잔기, tr: 미량(trace)
주 2)지방산에틸 함량은 전 성분 중의 지방산에틸의 질량%를 나타낸다.

Claims (12)

1위치 및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2위치에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O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2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트리글리세리드와 알킬에스테르의 합계량 100질량%에 대하여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1~30질량%의 존재하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어서 냉각하여 정석시켜 고액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OX형 유지가 풍부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XO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2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가, 2위치에 올레오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와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행하고, 이어서 증류하여 얻어진 증류 잔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OX형 유지가 풍부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1 및 3위치의 포화 지방산 잔기가 탄소수 16에서 22의 포화 지방산 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OX형 유지가 풍부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XO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2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트리글리세리드와 알킬에스테르의 합계량 100질량%에 대하여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1~30질량%의 존재하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어서 교반하면서 냉각하여 정석시켜 고액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OX형 유지가 풍부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트리글리세리드로서, XO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3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OX형 유지가 풍부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
1위치 및 3위치에 포화 지방산 잔기를, 2위치에 리놀로일기를 가지는 트리글리세리드(XL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2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트리글리세리드와 알킬에스테르의 합계량 100질량%에 대하여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1~30질량%의 존재하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어서 냉각하여 정석시켜 고액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LX형 유지가 풍부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
제1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서의 고액 분리 전의 정석물 100질량부당 1~50질량부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첨가 후, 파쇄, 혹은 파쇄 후, 첨가하고, 압착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OX형 유지 또는 XLX형 유지의 농도가 더욱 향상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
XOX형 유지 또는 XL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20~60질량%로 함유하는 고형상 트리글리세리드를, 상기 트리글리세리드 100질량부당 1~50질량부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첨가 후, 파쇄, 혹은 파쇄 후, 첨가하고, 이어서 압착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OX형 유지 또는 XLX형 유지의 농도가 향상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
XOX형 유지 또는 XL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2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트리글리세리드와 알킬에스테르의 합계량 100질량%에 대하여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1~30질량%의 존재하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어서 냉각하여 포화 지방산 잔기만으로 이루어지는 트리글리세리드(XXX형 유지) 및/또는 포화 지방산 잔기만으로 이루어지는 디글리세리드(XX형)를 정석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XX형 유지 및/또는 XX형 디글리세리드의 농도를 저감시킨 유지의 제조방법.
제1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OX형 유지 또는 XL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2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트리글리세리드와 알킬에스테르의 합계량 100질량%에 대하여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1~30질량%의 존재하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어서 냉각하여 포화 지방산 잔기만으로 이루어지는 트리글리세리드(XXX형 유지) 및/또는 포화 지방산 잔기만으로 이루어지는 디글리세리드(XX형)를 정석 제거하고, 또한 교반 냉각하여 XOX형 유지 또는 XLX형 유지를 정석시켜 고액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OX형 유지 또는 XLX형 유지가 풍부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
제1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OX형 유지 또는 XLX형 유지를 전 트리글리세리드 중에 20~60질량%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트리글리세리드와 알킬에스테르의 합계량 100질량%에 대하여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지방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1~30질량%의 존재하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어서 냉각하여 포화 지방산 잔기만으로 이루어지는 트리글리세리드(XXX형 유지) 및/또는 포화 지방산 잔기만으로 이루어지는 디글리세리드(XX형)를 정석 제거하고, 또한 용제 분별에 의해 XOX형 유지 또는 XLX형 유지를 정석시켜 고액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OX형 유지 또는 XLX형 유지가 풍부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
제1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얻어진 고형분을 정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OX형 유지 또는 XLX형 유지가 풍부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제조방법.
KR1020107007463A 2007-09-07 2008-09-08 1,3-디포화-2-불포화 트리글리세리드의 분별방법 KR101010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32567 2007-09-07
JPJP-P-2007-232567 2007-09-07
JPJP-P-2008-053465 2008-03-04
JP2008053465 2008-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111A KR20100043111A (ko) 2010-04-27
KR101010572B1 true KR101010572B1 (ko) 2011-01-24

Family

ID=4042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463A KR101010572B1 (ko) 2007-09-07 2008-09-08 1,3-디포화-2-불포화 트리글리세리드의 분별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389754B2 (ko)
EP (4) EP2213712B1 (ko)
JP (1) JP4352103B2 (ko)
KR (1) KR101010572B1 (ko)
CN (1) CN101848981B (ko)
DK (3) DK2388306T3 (ko)
ES (3) ES2437927T3 (ko)
MY (1) MY147857A (ko)
RU (1) RU2431654C1 (ko)
TW (1) TWI441915B (ko)
WO (1) WO20090316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7458B2 (ja) * 2009-03-06 2014-07-23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油脂の製造方法
JP5557457B2 (ja) 2009-03-06 2014-07-23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油脂の製造方法
JP4826848B2 (ja) * 2009-03-30 2011-11-30 不二製油株式会社 サル脂分別油の製造法
PL2251428T3 (pl) * 2009-05-11 2012-05-31 Loders Croklaan Bv Sposób wytwarzania kompozycji triglicerydowej
JP5758377B2 (ja) * 2010-03-19 2015-08-05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油脂組成物及び該油脂組成物を使ったチョコレート製品
WO2011132813A1 (ko) * 2010-04-22 2011-10-27 씨제이제일제당(주) 에스테르 교환 유지 조성물의 건식 분별 방법
KR101314682B1 (ko) * 2010-04-22 2013-10-07 씨제이제일제당 (주) 카카오 버터 유사 하드버터의 제조 방법
WO2011158909A1 (ja) * 2010-06-18 2011-12-22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起泡性水中油型乳化物用油脂組成物および該油脂組成物を含んでなる起泡性水中油型乳化物
MY161610A (en) * 2010-09-27 2017-04-28 Nisshin Oillio Group Ltd Oil and fat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JP5101754B2 (ja) * 2011-01-31 2012-12-19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パーム分別軟質油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加工乳化食品
WO2012169457A1 (ja) * 2011-06-06 2012-12-13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油脂の分別方法
MY169820A (en) * 2011-09-09 2019-05-16 Sime Darby Plantation Berhad A method for producing triacylglycerol oil
DK2832226T3 (en) * 2012-03-30 2017-04-10 Fuji Oil Holdings Inc OIL OR FAT COMPOSITION AND CHOCOLATE
EP2892987B1 (en) * 2012-09-07 2016-07-20 Aak Ab Process for separation of a processed vegetable fat
JP6313554B2 (ja) * 2013-07-29 2018-04-18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チョコレート
MY176290A (en) * 2013-07-29 2020-07-27 Nisshin Oillio Group Ltd Chocolate and hard butter
CN105592708A (zh) * 2013-10-06 2016-05-18 不二制油集团控股株式会社 调温型巧克力用油脂
MY173146A (en) 2014-07-22 2019-12-31 Nisshin Oillio Group Ltd Powdered fat/oil composition, food including powdered fat/oil composition,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JP6534512B2 (ja) * 2014-10-10 2019-06-26 株式会社Adeka ハードバターの製造方法
CN108024550B (zh) 2015-09-24 2021-11-26 日清奥利友集团株式会社 粉末油脂组合物和其制造方法
US11219224B2 (en) 2016-01-21 2022-01-11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Thickener for liquid component
WO2017126665A1 (ja) * 2016-01-21 2017-07-27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液状成分の粉末化剤
EP3406696A4 (en) 2016-01-21 2019-10-02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POWDERING AGENT FOR LIQUID INGREDIENTS
EP3406683A4 (en) 2016-01-21 2020-02-26 The Nisshin OilliO Group, Ltd. LIQUID COMPONENT THICKENER
JP6971550B2 (ja) * 2016-09-30 2021-11-24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マヨネーズ様食品用油脂組成物及びマヨネーズ様食品
JP2019034980A (ja) * 2016-11-28 2019-03-07 不二製油グループ本社株式会社 油脂の乾式分別法
US11937615B2 (en) 2017-07-26 2024-03-26 Bunge Loders Croklaan B.V. Non-hydrogenated fat composition, use and process
JP6890911B1 (ja) * 2020-10-06 2021-06-18 日本食品化工株式会社 分散性に優れた油脂加工澱粉、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9185A1 (ja) 2002-09-30 2004-04-08 Fuji Oil Company, Limited 油脂の乾式分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46106A (en) * 1974-11-22 1977-06-30 H L S Ind Eng Ltd Production of liquid edible oil from palm oil or similar oils
JPS60395B2 (ja) 1976-12-28 1985-01-08 不二製油株式会社 パーム油の分別法
JPS5571797A (en) * 1978-11-21 1980-05-30 Fuji Oil Co Ltd Manufacture of cacao butter substitute fat
JPS56163196A (en) 1980-05-20 1981-12-15 Fuji Oil Co Ltd Process of oil and grease
CA1213404A (en) 1981-11-13 1986-11-04 Theodore E. Spielberg Ultrafiltering hybrid artificial organ
JPS5929526A (ja) 1982-08-10 1984-02-16 Shin Meiwa Ind Co Ltd 粉粒体運搬車の安全制御装置
JPS59150861A (ja) 1983-02-16 1984-08-29 神奈川県 脆性物体のはつり工法
US4594259A (en) * 1984-12-21 1986-06-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emperable confectionery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mouth melt suitable for chocolate
JPS6220538A (ja) 1985-07-19 1987-01-29 Sakai Chem Ind Co Ltd 粒状物
JPS6261589A (ja) 1985-09-10 1987-03-18 Fuji Oil Co Ltd グリセリド油脂の加工法
JPH069465B2 (ja) 1985-12-27 1994-02-09 不二製油株式会社 ハ−ドバタ−の製造法
JPH0749592B2 (ja) 1986-08-04 1995-05-31 不二製油株式会社 油脂物質の乾式分別法
JPH0781156B2 (ja) 1987-04-15 1995-08-30 不二製油株式会社 パ−ム油の分別方法
JPS63258995A (ja) 1987-04-15 1988-10-26 不二製油株式会社 油性物質の分別方法
JPH0280495A (ja) 1988-09-16 1990-03-20 Fuji Oil Co Ltd 非ラウリン油脂の乾式分別法
US5045243A (en) * 1988-07-01 1991-09-03 Fuji Oil Company, Limited Method for dry fractionation of fats and oils
JPH0798956B2 (ja) 1988-07-01 1995-10-25 不二製油株式会社 油脂の乾式分別法
JPH06181686A (ja) 1992-12-16 1994-07-05 Mitsubishi Kasei Corp 油脂の分別用乳化剤及び油脂の分別方法
JP2811147B2 (ja) 1993-12-09 1998-10-15 花王株式会社 固形食品
JP4335306B2 (ja) 1994-09-30 2009-09-30 不二製油株式会社 油脂のエステル交換方法
US6052612A (en) * 1995-06-07 2000-04-18 Desai; Jawahar M. Catheter for media injection
JP3022259B2 (ja) * 1995-06-30 2000-03-15 不二製油株式会社 油性組成物及び冷凍食品
JP3588902B2 (ja) 1996-03-28 2004-11-17 不二製油株式会社 油脂の乾式分別法
JP4013294B2 (ja) 1997-09-05 2007-11-28 不二製油株式会社 油脂の乾式分別法
JP4195118B2 (ja) 1998-03-04 2008-12-10 花王株式会社 酵素固形製剤の製造方法
JP4040789B2 (ja) * 1999-03-26 2008-01-3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光計測装置、シンチレーションカウンタ、パーティクルカウンタ、光計測方法、シンチレーション計数方法及び粒子計数方法
EP1064934A1 (en) * 1999-06-30 2001-01-03 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GRF-containing lyophiliz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3641197B2 (ja) 2000-09-01 2005-04-20 旭電化工業株式会社 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707882B2 (ja) 2001-06-21 2011-06-22 株式会社ニューギン パチンコ遊技機の入球装置
US6969771B2 (en) 2001-06-26 2005-11-29 Fuji Oi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processed glyceride fat
JP2004123839A (ja) 2002-09-30 2004-04-22 Fuji Oil Co Ltd 油脂の乾式分画方法
EP1698683A4 (en) 2003-12-26 2008-06-04 Fuji Oil Co Ltd METHOD FOR DRY FRACTION OF FATS OR OI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9185A1 (ja) 2002-09-30 2004-04-08 Fuji Oil Company, Limited 油脂の乾式分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437927T3 (es) 2014-01-15
EP2399977B1 (en) 2013-11-27
CN101848981B (zh) 2014-06-11
EP2388307A1 (en) 2011-11-23
EP2388306A1 (en) 2011-11-23
ES2438170T3 (es) 2014-01-16
DK2399977T3 (en) 2014-02-24
KR20100043111A (ko) 2010-04-27
EP2399977A1 (en) 2011-12-28
EP2213712A4 (en) 2012-02-22
MY147857A (en) 2013-01-31
RU2431654C1 (ru) 2011-10-20
ES2437849T3 (es) 2014-01-14
TW200920840A (en) 2009-05-16
EP2213712A1 (en) 2010-08-04
US8389754B2 (en) 2013-03-05
DK2388306T3 (en) 2014-02-24
EP2213712B1 (en) 2013-11-27
WO2009031680A1 (ja) 2009-03-12
DK2213712T3 (da) 2014-01-20
CN101848981A (zh) 2010-09-29
TWI441915B (zh) 2014-06-21
JP4352103B2 (ja) 2009-10-28
US20100222607A1 (en) 2010-09-02
JPWO2009031680A1 (ja) 2010-12-16
EP2388306B1 (en)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572B1 (ko) 1,3-디포화-2-불포화 트리글리세리드의 분별방법
JP5557457B2 (ja) 油脂の製造方法
JP5557458B2 (ja) 油脂の製造方法
JP6163530B2 (ja) ココアバターと類似のハードバターの製造方法
JP2013014749A (ja) 油脂の分別方法
US20170107446A1 (en) Fatty Acid Composition and Use Thereof
EP2004784B1 (en) Process for producing isomer enriched conjugated linoleic acid compositions
JP2013507118A (ja) 酵素的エステル交換反応によるチョコレート、及び製菓用油脂の製造方法
AU628644B2 (en) Enzymatic transesterification of tryglycerides
JP5576513B2 (ja) 油脂の製造方法
CN113115830B (zh) 用于巧克力的油脂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