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915B1 -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 Google Patents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915B1
KR101009915B1 KR1020100042102A KR20100042102A KR101009915B1 KR 101009915 B1 KR101009915 B1 KR 101009915B1 KR 1020100042102 A KR1020100042102 A KR 1020100042102A KR 20100042102 A KR20100042102 A KR 20100042102A KR 101009915 B1 KR101009915 B1 KR 10100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helf
block
support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홍
김재홍
Original Assignee
대산녹화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산녹화산업(주) filed Critical 대산녹화산업(주)
Priority to KR1020100042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토층(3)의 선단에 선단블록(7)을 설치하고, 상기 선단블록(7)에 지지구(30)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구(30) 선단의 받침부(32)에는 선반(42)이 설치되고, 상기 선반(42)에는 녹화를 위한 식물이 자라는 식생토(43)가 위치된다. 상기 지지구(30)는 상기 선단블록(7)의 구획벽(15)의 상면과 후단벽(11)의 상면에 형성된 요입단차부(21)에 연결부(38)와 걸이부(40)가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30)는 상기 선단블록(7)의 선단벽(9) 상면과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채널(25,26)에 각각 안착되는 수직밀착부(34)와 수평밀착부(36)를 구비하여 선반(42)에 안착된 식생토(43)의 무게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성토부나 절토부의 보강토층(3) 선단이 견고하게 만들어지고 선단블록(7)의 전면에 위치되는 구조물이 보강토층(3)과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Afforestation apparatus of vertical wall}
본 발명은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토 또는 성토에 의해 발생하는 고경사면 또는 다양한 형태의 수직벽을 녹화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나 하천변 등 절토 또는 성토되어 발생하는 사면은 토사의 유실과 붕괴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경관을 개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면의 안정화와 함께 녹화를 실시하게 된다.
사면을 녹화하기 위한 공법으로 다양한 것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9883호의 사면녹화 보강토공법이 있는데, 이는 절토나 성토지의 사면을 녹화함에 있어서, 형틀을 사용하여 보강토층을 형성하고, 보강토층의 형성 후에 형틀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식생토층을 형틀과 보강토층의 선단 사이에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보강토공법은 보강토층의 형성 후에 형틀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성토층 선단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져 오랜 기간의 경과 후에 성토층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종래의 보강토공법은 상기 식생토층의 표면이 지표면을 기준으로 상부방향으로만 향하게 되어 있어, 식생토층에 자라는 식물이 지표면에 대해 상방으로 자라게 된다. 따라서, 사람들이 지표면에서 사면을 볼 때, 사면에서 자라는 식물뿐만아니라 상기 형틀의 일면도 많이 보이게 되어 녹화의 정도가 상당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방식의 경우, 식생토층이 지표면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향하도록 보이게 되므로 예각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에만 채용할 수 있고, 직벽으로 되는 부분에는 녹화공법을 채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사면에 자라는 식물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자연적 강수에만 의존하므로 녹화 후에 식물의 생존율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강토층의 형성시에 보강토층의 선단에 위치되는 선단블록이 보강토층의 형성 전후에 위치변화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토층의 구성과 선단블록에 구비되는 선반지지구가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이 고경사면 또는 수직벽의 전방 방향을 향해 자랄 수 있도록 하여 고경사면 또는 수직벽 표면적의 거의 대부분을 녹화할 수 있는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개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보강토층의 선단에 각각 구비되어 적층되는 선단블록과, 상기 선단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선단블록의 전면에서 전방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게 받침부가 구비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지지되어 상기 선단블록의 전면에 식생토가 위치되게 하는 선반과, 상기 선반을 관통하여 식생토층의 내부를 따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최상부의 보강토층에 구비된 물공급부에서 물이 공급되는 관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단블록은 전면을 형성하는 선단벽과,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벽과, 후면을 형성하는 후단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선단벽, 측면벽 및 후단벽에 의해 선단블록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선단벽의 폭은 상기 후단벽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선단벽과 후단벽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관통부를 구획하도록 구획벽이 형성되는데, 상기 구획벽과 후단벽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구가 안착되는 요입단차부가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구획벽과 선단벽에 걸쳐 상기 요입단차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구가 안착되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선단블록의 선단벽과 측면벽이 만나는 위치에 해당되는 하면에는 하부에 위치되는 선단블록의 관통부의 모서리에 안착되는 돌출러그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구는 상기 선단블록의 전면 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선단블록의 선단벽에 형성된 가이드채널에 안착되는 수직밀착부와, 상기 수직밀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선단블록의 선단벽과 구획벽에 형성된 가이드채널에 안착되는 수평밀착부와, 상기 수평밀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선단블록의 요입단차부중 후단벽 상면에 형성된 부분에 위치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에는 상기 수평밀착부와 걸이부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평밀착부의 연장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이부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단블록의 요입단차부중 후단벽의 상면쪽에 형성된 일측 고정돌기를 둘러 상기 걸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돌기의 사이에 해당되는 걸이부에 상기 보강토층을 보강하는 보강재가 연결된다.
삭제
상기 선반에 채워진 식생토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오그리드나 메쉬망의 양단이 상부에 있는 선반의 하단 중간에 있는 연결구와 하부에 있는 선반의 선단에 있는 연결구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선반은 그 길이방향의 횡단면이 삼각형의 톱니형상으로 되고, 하면 중간부를 따라 돌출리브가 형성되어 연결구가 장착되고 선단을 따라 연결구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보강토층의 선단을 선단블럭을 사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고, 보강토층을 형성할 때 사용된 선단블럭을 그대로 보강토층 선단에 있도록 하므로 보강토층의 선단 강도가 높아지고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선단블럭을 보강토층의 선단에 두고 보강토층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상기 선단블럭에 고정되어 선단블럭의 전면에 식생토층이 설치되는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구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전체 구조가 일체화될 수 있어 보다 견고하게 수직벽과 고경사면을 형성하고 녹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선단블럭의 전면에 식생토를 선반조립체를 사용하여 지지하여 식물이 고경사면 또는 수직벽의 전방 방향을 향해 자랄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고경사면 또는 수직벽 표면적의 거의 대부분을 녹화할 수 있게 되어 수직벽과 고경사면을 확실하게 녹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지구의 선단에 형성된 받침부에 가해지는 선반과 식생토의 하중을 선단블록에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밀착부와 수평밀착부가 선단블록의 제1 및 제2 가이드채널에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식생토의 하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 및 고경사면 녹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시공된 성토층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선단블록과 지지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선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수직벽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된 부분에 선단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 및 고경사면 녹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표면(1)에 잡석기초(1')를 형성하고, 그 위에 보강토층(3)을 일정 두께씩 차례로 형성하여 보강토층(3)의 선단이 수직벽 또는 고경사면으로 되게 한다. 참고로 상기 잡석기초(1') 부분은 상기 보강토층(3)의 선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선단블록(7)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보강토층(3)은 반드시 상기 지표면(1)과 같은 높이에서 시작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표면(1)보다 아래부터 보강토층(3)이 시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잡석기초(1')는 상기 지표면(1)보다 낮은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잡석기초(1')에는 잡석기초(1')로 전달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횡배수유공관(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는 성토부에 수직벽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직벽을 형성함에 있어 일정 두께의 보강토층(3) 사이에는 보강재(5)가 사용된다. 상기 보강재(5)로는 시공중 토사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내생물학적 내화학적 성질을 가진 조밀한 격자모양을 가진 섬유질로 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5)를 사용하는 이유는 상기 각각의 보강토층(3)이 보다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보강토층(3)을 형성함에 있어서 수직벽 대신에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단에 형성되는 보강토층(3)으로 갈수록 보강토층(3)의 선단을 그 하부의 보강토층(3)에 비해 약간 씩 후퇴되도록 형성하면 된다.
상기 보강토층(3)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보강토층(3)의 선단이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선단블록(7)을 사용한다. 상기 선단블록(7)은 그 구성이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선단블록(7)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의 횡단면이 일정하게 형성된다.
상기 선단블록(7)은 전면을 사각 판상의 선단벽(9)이 형성하고 양측면을 역시 사각 판상의 측면벽(13)이 각각 형성한다. 상기 측면벽(13)은 평면도로 볼 때 선단블록(7)의 선단에서 후단으로 가면서 양단의 측면벽(13)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단블록(7)의 배면을 사각판상의 후단벽(11)이 형성한다. 상기 후단벽(11)의 폭은 상기 선단벽(9)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선단블록(7)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벽 및 고경사면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선단블록(7)에 의해 수직벽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된 것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측면벽(13)의 사이에는 구획벽(15)이 있어 선단블록(7)의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17)를 구획한다. 상기 관통부(17)는 상기 잡석기초(1')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고, 그 내부에 자갈과 같은 것이 채워짐에 의해 배수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후단벽(11)과 구획벽(15)의 상면 일부에는 요입단차부(21)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요입단차부(21)중 상기 후단벽(11)에 해당되는 부분 양단에는 고정돌기(2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23)는 상기 후단벽(11)의 상면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된다.
상기 구획벽(15)의 상면에는 상기 요입단차부(21)와 연결되고 상기 선단벽(9)까지 연장되게 제1가이드채널(25)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채널(25)과 연결되게 상기 선단벽(9)의 전면에는 상하로 길게 제2가이드채널(26)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채널(25,26)은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구(30)의 수평밀착부(36)와 수직밀착부(34)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선단블록(7)의 하면 양단, 보다 상세하게는 선단벽(9) 양단과 측면벽(13)이 각각 만나는 위치에는 돌출러그(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러그(27)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어 선단블록(7)이 적층될 때 하부에 있는 선단블록(7)의 관통부(17) 모서리인 A 영역에 위치되어 선단블록(7) 사이의 상대 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지지구(30)는 상기 선단블록(7)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와이어나 철근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구(30)는 아래에서 설명될 선반(4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구(30)는 선반(42)과 함께 선반조립체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구(30)의 선단에는 받침부(32)가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32)는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받침부(32)의 각도는 대략 20도 정도로 된다. 상기 받침부(32)는 선반(4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부(32)의 일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선단블럭(7)의 제2가이드채널(26)에 안착되게 수직밀착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밀착부(34)는 상기 선단블록(7)의 전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중력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상기 수직밀착부(34)에서 연장되고 상기 수직밀착부(34)와 대략 직교하게 수평밀착부(36)가 연장된다. 상기 수평밀착부(36)는 상기 선단블록(7)의 제1가이드채널(25)에 안착된다. 상기 수평밀착부(36)와 수직밀착부(34)는 각각 선단블록(7)에 밀착되어 상기 받침부(32)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수평밀착부(36)에서 연장되어 연결부(38)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38)는 상기 수평밀착부(36)의 연장방향에 대해 경사진 연장방향을 가진다. 상기 연결부(38)는 대부분이 상기 요입단차부(21) 상에 지지된다.
상기 연결부(38)에서 연장되어 걸이부(40)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부(40)는 상기 고정돌기(23) 후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후단벽(11)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걸이부(40)중 상기 고정돌기(23)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상기 보강재(5)가 걸어진다.
상기 지지구(30)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나 철근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인데, 상기 연결부(38)와 걸이부(40)의 구성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38)가 없이 수평밀착부(36)가 길게 연장되고 걸이부(40)를 절반이 두 겹으로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걸이부(40)를 수평밀착부(36)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다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절곡하여 수평밀착부(36)의 단부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두 겹으로 걸이부(40)가 만들어지게 하고 계속하여 반대쪽 고정돌기(23)쪽으로 걸이부(40)가 연장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구(30)의 받침부(32)에는 선반(42)이 얹어진다. 상기 선반(42)은 상기 받침부(32)의 길이에 해당되는 폭을 가지는 판형상이다. 상기 선반(42)은 적어도 2개 이상 다수개의 지지구(30)로 지지된다. 상기 선반(42)은 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횡단면이 삼각형 단면의 톱니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선반(42)의 지지강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선반(42)의 횡단면 형상은 톱니모양 외에도 사각형 단면이나 반원형 단면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선반(42)에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42')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즉, 선반(42)의 선단에는 선반(42)을 관통하여 통공(도면부호 부여 않음)을 형성하여 연결구(42')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선반(42)의 하면 중간 부분에는 돌출리브(42t)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리브(42t)에 통공이 형성되어 연결구(4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리브(42t)는 상기 선반(42)의 길이방향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구(4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메쉬망(48)이 걸어진다.
상기 선반(42)은 상기 지지구(30)의 받침부(32)에 지지되면 받침부(32)의 경사에 해당하는 경사를 가지게 된다. 상기 선반(42)에는 식생토(43)가 안착된다. 상기 식생토(43)는 상기 중력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있는 선반(42)사이에 위치되어 수직벽의 녹화를 위한 식물이 심어진다.
상기 선반(42)에는 그 양단 중앙을 따라서 간섭회피부(도면부호 부여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부는 관수관(44)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선반(42)에는 다수개의 통수공(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통수공은 선반(42)상에 안착된 식생토(43)에 공급된 물이 선반(42)의 하부에 있는 또 다른 식생토(43)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생토(43)에는 물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식생토(43)로의 물공급은 관수관(44)에 의해 수행되는데, 상기 관수관(44)은 중력방향으로 연장되게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관수관(44)은 중력방향뿐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연장되게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토층(3)의 최상단에는 물공급부(46)가 구비된다. 상기 물공급부(46)는 보강토층(3)의 상면에 내린 강수가 모여지는 부분이다. 상기 물공급부(46)는 강수가 모여져 흘러갈 수 있는 채널 형상으로 된다. 상기 물공급부(46)에 모인 물은 상기 관수관(44)으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식생토(43)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출원번호 10-2010- 8613에 개시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선반(42)에 안착된 식생토(43)가 선반(42)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오그리드나 메쉬망(48)을 사용한다. 상기 메쉬망(48)은 하부의 선반(42)의 선단에 구비되는 연결구(42')와 상부의 선반(42)의 돌출리브(42t)에 장착된 연결구(42')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오그리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오그리드를 보강재(5)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강토층(3)의 선단에 해당하는 상기 선단블록(7)의 선단벽(9)의 상면까지 지오그리드가 위치되게 한다. 따라서, 보강재(5)의 선단은 적층되어 있는 선단블록(7)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5)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Strip)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은 띠형섬유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스트립은 상기 선단블록(7)에 설치된 지지구(30)의 걸이부(40)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스트립을 보강재(5)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성토부, 절토부, 곡선부 등에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띠형상인 스트립을 보강재(5)로서 사용함에 의해 보강재(5)를 선단블록(7)과 일체화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성토부 뿐만 아니라 절토부의 시공에서도 구조적으로 안정된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절토면을 보강하기 위한 어스 앵커(earth Anchor), 록 볼트(rock bolt), 소일 네일링(soil nailing)의 선단에 스트립인 보강재(5)를 인장하여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를 사용하여 수직벽을 녹화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잡석기초(1')를 형성하고, 이에 보강재(5)를 사용하여 몇 개층의 보강토층(3)을 형성한다. 물론, 지표면(1)상에서 부터 시작해서 보강토층(3)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보강토층(3)을 형성함에 있어, 먼저 선단블록(7)을 설치하고 보강토층(3)의 다짐을 수행한다. 하나의 보강토층(3)의 다짐이 완성되고 나면, 선단블록(7)과 보강토층(3) 상에 지오그리드인 보강재(5)를 놓거나 스트립을 상기 선단블록(7)에 설치된 지지구(30)의 걸이부(40)에 걸어 고정한다.
다음의 보강토층(3)을 형성하기 위해서 하부 보강토층(3)의 선단블록(7) 상에 선단블록(7)을 적층한다. 이때, 상부의 선단블록(7)은 하부의 2개의 선단블록(7)사이에 위치된다. 즉, 상부의 선단블록(7)은 하부의 2개의 선단블록(7)에 걸쳐 위치된다. 이때, 상부의 선단블록(7)의 돌출러그(25)는 하부의 선단블록(7)의 관통부(17) 내에 위치된다. 물론, 상기 하부의 선단블록(7)에는 각각 지지구(30)가 설치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강토층(3)을 차례로 적층하여 만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단블록(7)의 관통부(17)에는 자갈이나 마사토 등을 채워넣을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직벽이 형성되면, 선반(42)을 상기 지지구(30)의 받침부(32)에 지지되게 설치한다. 참고로, 상기 선반(42)은 두 개의 보강토층(3)을 형성할 때마다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대략 상기 보강토층(3)의 높이가 20cm 정도인 경우에 상하로 인접한 선반(42)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깝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물론 각각의 보강토층(3)마다 선반(42)을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보강토층(3)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30)에 선반(42)을 설치한 후에는 물공급을 위한 구성을 설치한다. 물론, 물공급을 위한 구성의 설치 후에 선반(42)을 설치할 수도 있다.
물공급을 위한 구성을 설치한 후에는 상기 선반(42) 상에 식생토(43)를 채워넣는다. 상기 식생토(4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42)의 사이에 채워지는 것으로, 상기 선반(42)의 선단까지 식생토(43)가 채워지면,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선반(42)의 선단 부분만이 외부로 보이게 된다. 상기 식생토(43)에는 식물이 식재되거나 종자가 이미 포함되어 있어 종자가 발아하여 자라게 되면 녹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식생토(43)가 상기 선반(42)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지지구(30)의 받침부(32)에 식생토(43)의 하중이 작용하여 모멘트가 발생하는데, 상기 수직밀착부(34)가 상기 선단블록(7)의 제2가이드채널(26)에 밀착되어 상기 받침부(32)에 작용하는 하중을 받쳐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식생토(43)는 상기 선반(42) 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식생토(43)가 채워진 상기 선반(42)에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지오그리드나 메쉬망(48)이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지오그리드나 메쉬망(48)은 상기 식생토(43)가 상기 선반(42)에서 분리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시공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관수관(44)을 통해 지속적으로 물 공급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46)에 모여진 물은 상기 관수관(44)으로 전달되어 식생토(43)에 공급된다.
상기 식생토(43)로 전달된 물은 상기 식생토(43)에 자라는 식물에게 공급될 수 있어, 지속적인 가뭄만 발생하지 않는다면, 자연강수만으로도 녹화를 위한 식물에 물공급을 충분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선반(42)은 반드시 톱니모양을 구비할 필요는 없다. 상기 선반(42) 자체의 강도가 충분히 지지구(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정도라면 톱니모양 이외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식생토(43)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관(44) 등을 사용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주변 환경이 식생토(43)에 물공급이 충분히 될 수 있는 경우라면 물공급장치가 없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선단블록(7)에는 반드시 구획벽(15)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관통부(17)가 구획벽(15)에 의해 구획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요입단차부(21)는 상기 선단벽(9)과 후단벽(11)에만 형성된다.
1: 지표면 1': 잡석기초
3: 보강토층 5: 보강재
7: 선단블록 9: 선단벽
11: 후단벽 13: 측면벽
15: 구획벽 17: 관통부
21: 요입단차부 23: 고정돌기
25: 제1가이드채널 26: 제2가이드채널
27: 돌출러그 30: 지지구
32: 받침부 34: 수직밀착부
36: 수평밀착부 38: 연결부
40: 걸이부 42: 선반
43: 식생토 44: 관수관
46: 물공급부 48: 메쉬망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다수개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보강토층의 선단에 각각 구비되어 적층되는 선단블록과,
    상기 선단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선단블록의 전면에서 전방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게 받침부가 구비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지지되어 상기 선단블록의 전면에 식생토가 위치되게 하는 선반과,
    상기 선반을 관통하여 식생토층의 내부를 따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최상부의 보강토층에 구비된 물공급부에서 물이 공급되는 관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블록은 전면을 형성하는 선단벽과,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벽과, 후면을 형성하는 후단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선단벽, 측면벽 및 후단벽에 의해 선단블록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선단벽의 폭은 상기 후단벽의 폭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벽과 후단벽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관통부를 구획하도록 구획벽이 형성되는데, 상기 구획벽과 후단벽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구가 안착되는 요입단차부가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구획벽과 선단벽에 걸쳐 상기 요입단차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구가 안착되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블록의 선단벽과 측면벽이 만나는 위치에 해당되는 하면에는 하부에 위치되는 선단블록의 관통부의 모서리에 안착되는 돌출러그가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상기 선단블록의 전면 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선단블록의 선단벽에 형성된 가이드채널에 안착되는 수직밀착부와, 상기 수직밀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선단블록의 선단벽과 구획벽에 형성된 가이드채널에 안착되는 수평밀착부와, 상기 수평밀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선단블록의 요입단차부중 후단벽 상면에 형성된 부분에 위치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에는 상기 수평밀착부와 걸이부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평밀착부의 연장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이부의 일단부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단블록의 요입단차부중 후단벽의 상면쪽에 형성된 일측 고정돌기를 둘러 상기 걸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돌기의 사이에 해당되는 걸이부에 상기 보강토층을 보강하는 보강재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12. 삭제
  13. 제 5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에 채워진 식생토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오그리드나 메쉬망의 양단이 상부에 있는 선반의 하단 중간에 있는 연결구와 하부에 있는 선반의 선단에 있는 연결구가 연결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그 길이방향의 횡단면이 삼각형의 톱니형상으로 되고, 하면 중간부를 따라 돌출리브가 형성되어 연결구가 장착되고 선단을 따라 연결구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KR1020100042102A 2010-05-04 2010-05-04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KR101009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02A KR101009915B1 (ko) 2010-05-04 2010-05-04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02A KR101009915B1 (ko) 2010-05-04 2010-05-04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9915B1 true KR101009915B1 (ko) 2011-01-20

Family

ID=4361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102A KR101009915B1 (ko) 2010-05-04 2010-05-04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19335A1 (es) * 2021-01-22 2022-07-26 Univ Cordoba Pieza para la ejecucion de diques para el control de la erosion en carcava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5848A (ja) * 1997-03-04 1998-09-14 Hara Sogyo Kk フレ−ムラックによる法面緑化工法
KR200235107Y1 (ko) * 2001-03-29 2001-10-10 김상수 블록식 녹화 옹벽
KR20020035107A (ko) * 1999-07-23 2002-05-09 보러 롤란드 화합물
KR20070117720A (ko) * 2006-06-09 2007-12-13 정재영 개선된 옹벽 블록과 앵커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20100081698A (ko) * 2009-01-07 2010-07-15 민승기 친환경적인 옹벽용 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5848A (ja) * 1997-03-04 1998-09-14 Hara Sogyo Kk フレ−ムラックによる法面緑化工法
KR20020035107A (ko) * 1999-07-23 2002-05-09 보러 롤란드 화합물
KR200235107Y1 (ko) * 2001-03-29 2001-10-10 김상수 블록식 녹화 옹벽
KR20070117720A (ko) * 2006-06-09 2007-12-13 정재영 개선된 옹벽 블록과 앵커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20100081698A (ko) * 2009-01-07 2010-07-15 민승기 친환경적인 옹벽용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19335A1 (es) * 2021-01-22 2022-07-26 Univ Cordoba Pieza para la ejecucion de diques para el control de la erosion en carcav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0093A (ko) 식생 옹벽패널
CN109315237B (zh) 一种矿山高陡岩质边坡绿化方法
KR100764019B1 (ko) 식생 가능한 토사벽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09915B1 (ko)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CN212612526U (zh) 一种用于陡边坡网格梁内植草支护结构
KR101578349B1 (ko)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110042410A (ko) 식생 블록, 식생 블록 고정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 옹벽, 그리고 그 옹벽의 시공방법
KR101197247B1 (ko) 전면식생을 고려한 식생블록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KR100794221B1 (ko) 친환경 식생옹벽
JP4742352B2 (ja) 壁面緑化部材
KR101138192B1 (ko)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
KR101046650B1 (ko) 초목 식재를 위한 축조형 화분과, 이 화분이 설치된 옹벽과, 옹벽의 시공방법
CN209798781U (zh) 裸露岩面绿化结构
KR102015296B1 (ko)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JP2007077771A (ja) 緑化擁壁ブロック
KR100993142B1 (ko)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와 물공급장치
KR101238787B1 (ko) 녹화가 가능한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KR200451790Y1 (ko) 적층식 식생 옹벽블록
KR101877024B1 (ko) 식생용 토목블록
KR200451311Y1 (ko) 식재용 받침판
JP4050923B2 (ja) 鋼矢板壁面の緑化構造および緑化方法
KR20150113514A (ko) 높이가 낮고 토사 및 붕적토 비탈면의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소일핀과 밧줄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KR101927290B1 (ko) 식생 옹벽블록
KR102490289B1 (ko) 매트리스형 식생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