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142B1 -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와 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와 물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142B1
KR100993142B1 KR1020100008613A KR20100008613A KR100993142B1 KR 100993142 B1 KR100993142 B1 KR 100993142B1 KR 1020100008613 A KR1020100008613 A KR 1020100008613A KR 20100008613 A KR20100008613 A KR 20100008613A KR 100993142 B1 KR100993142 B1 KR 100993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rtical
plate
soil lay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홍
김재홍
이득령
Original Assignee
대산녹화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산녹화산업(주) filed Critical 대산녹화산업(주)
Priority to KR1020100008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142B1/ko
Priority to PCT/KR2011/000487 priority patent/WO2011093625A2/ko
Priority to CN201180007761.4A priority patent/CN102917580B/zh
Priority to JP2012551081A priority patent/JP5373207B2/ja
Priority to EP11737264A priority patent/EP2529615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 및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선반조립체(10)가 지지구(12)와 지지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12)는 보강토층(3)에 고정되는 고정레그(14)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레그(14)의 선단에는 하중받침부(16)가 구비되어 상기 보강토층(3)의 선단 수직벽(7)이나 경사면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하중받침부(16)의 선단에는 지지레그(18)가 중력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지지판(20)은 상기 지지레그(18)에 지지되는데, 지지판(20) 상에는 식생토(40)가 얹어진다. 상기 식생토(40)의 내부에는 소정 간격 떨어진 수직공급관(30)에 양단이 연결되는 수평공급관(36)이 연결되고, 상기 수평공급관(36)에는 급수관(38)이 설치된다. 상기 급수관(38)의 내부에는 채움재(38)가 채워지고, 상기 급수관(38)과 수평공급관(36)을 연결하는 연결관(37)에는 감압밸브(37')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선반조립체(10)가 식생토(40)의 하중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지하고, 식생토(40)의 내부로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와 물공급장치{Afforestation method of vertical wall and shelf assembly and water supply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 및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토 또는 성토에 의해 발생하는 고 경사면 또는 다양한 형태의 수직벽을 녹화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 및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나 하천변 등 절토 또는 성토되어 발생하는 사면은 토사의 유실과 붕괴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경관을 개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면의 안정화와 함께 녹화를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수직벽에도 녹화를 하여 친환경적으로 수직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수직벽의 예로는 절토 또는 성토에 의해 발생하는 사면을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만든 수직벽, 대형 건물의 벽면 등이 있다.
사면을 녹화하기 위한 공법으로 다양한 것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9883호의 사면녹화 보강토공법이 있는데, 이는 절토나 성토지의 사면을 녹화함에 있어서, 형틀을 사용하여 성토층을 형성하고, 성토층의 형성 후에 형틀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식생토층을 형틀과 성토층의 선단 사이에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은 상기 식생토층의 표면이 지표면을 기준으로 상부방향으로만 향하게 되어 있어, 식생토층에 자라는 식물이 지표면에 대해 상방으로 자라게 된다. 따라서, 사람들이 지표면에서 사면을 볼 때, 사면에서 자라는 식물뿐만아니라 상기 형틀의 일면도 많이 보이게 되어 녹화의 정도가 상당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방식의 경우, 식생토층이 지표면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향하도록 보이게 되므로 예각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에만 채용할 수 있고, 직벽으로 되는 부분에는 녹화공법을 채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사면에 자라는 식물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자연적 강수에만 의존하므로 녹화 후에 식물의 생존율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이 고경사면 또는 수직벽의 전방 방향을 향해 자랄 수 있도록 하여 고경사면 또는 수직벽 표면적의 거의 대부분을 녹화할 수 있는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연강수를 모아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경사면 또는 수직벽의 전방 방향으로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고경사면 또는 수직벽에 설치되는 선반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연강수를 모아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동안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강토층에 고정되는 고정레그와, 상기 고정레그의 선단에서 중력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직벽이나 경사면에 밀착되는 하중받침부와, 상기 하중받침부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레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지지레그 상에 지지되고 식생토가 안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양단에는 간섭회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구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통수공이 열을 지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구의 고정레그 선단에는 지지봉의 관통을 위한 봉통공이 상기 하중받침부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된 봉설치부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레그의 선단과 하부 중간부분에는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하중받침부의 선단에서 중력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형성될 보강토층의 선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선반조립체의 지지구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구에 형성된 봉설치부의 봉통공을 관통한 지지봉에 수직판을 지지되게 설치하는 수직판고정단계와, 상기 수직판이 설치된 부분이 보강토층의 선단이 되도록 보강토층을 형성하는 보강토층형성단계와, 상기 보강토층의 형성 후에 상기 지지구의 지지레그에 지지판을 안착하는 지지판안착단계와, 상기 지지판상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토를 채워넣는 식생토채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안착단계 전후에는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게 수직공급관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의 상면 근처에 급수관이 구비된 수평공급관을 설치하여 양단이 상기 수직공급관과 연결되도록 하는 물공급장치 설치단계가 더 수행된다.
상기 지지판상에 식생토를 채워 넣은 후에는 상기 지지구의 지지레그 선단과 하부 중간에 돌출된 고정돌기에 지오그리드나 메쉬망을 고정하여 설치하는 식생토 고정단계가 더 수행된다.
상기 각각의 보강토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최하단의 보강토층의 하부에 형성된 잡석기초와 대응되는 각각의 보강토층의 선단에는 투수부가 형성되어 상기 잡석기초로 물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강토층을 여러 층으로 만들어 보강토층의 선단에 형성된 수직벽 또는 고경사면에 지지구와 지지판으로 구성된 선반조립체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판에 식생토를 채워넣어 수직벽 또는 고경사면을 녹화함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물공급부로부터 물을 전달받는 한 쌍의 수직공급관과, 상기 양측의 수직공급관에 구비된 분지관의 경사부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수직공급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으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공급관과, 상기 수평공급관보다 중력방향 하부에 있도록 상기 수평공급관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점적공을 통해 상기 식생토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으로 전달되는 물의 압력을 소정값 이하로 만들어주는 감압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지관은 상부와 하부의 수직공급관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중력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수평공급관과 연결되는 경사부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경사부로 물을 안내하는 안내판이 상기 경사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감압밸브는 상기 수평공급관과 상기 급수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에 설치된다.
상기 급수관의 점적공은 상기 급수관에서 중력방향 최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의 양단을 캡이 폐쇄하는데, 상기 캡에는 에어공이 천공된다.
상기 급수관의 내부에는 채움재가 채워져 물을 머금었다 배출한다.
상기 수직공급관과 수평공급관내에도 채움재가 채워져 물을 머금었다 배출한다.
상기 물공급부는 강수가 흘러갈 수 있는 채널 형상으로, 그 출구가 형성된 부분에는 프레임의 내부에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공급투수부가 형성되어 상기 출구로 물만이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출구가 형성된 물공급부의 내측벽면에 접촉하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연결바아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물공급부의 중간부에 위치되는 제2측판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연결바아를 기준으로 상기 제1측판은 상기 제2측판의 양단부보다 더 돌출되고, 제1측판과 제2측판은 그 양단부를 향해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공급투수부가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강토층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구비하여 보강토층에 고정되는 고정레그와, 상기 고정레그의 선단에서 중력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직벽이나 경사면에 밀착되는 하중받침부와, 상기 하중받침부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레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지지레그 상에 지지되고 식생토가 안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레그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연결부의 선단에 핀연결부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강토층에 삽입된다.
삭제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하중받침부의 선단에서 중력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레그와 같은 경사각도를 가지고 상기 지지레그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선단으로 갈수록 지지레그와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연결레그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구는 2개의 금속봉을 절곡하고 연결하여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통수공이 열을 지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양단에는 간섭회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형성될 보강토층의 선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선반조립체의 지지구와 지지봉고정구를 설치하여 지지봉을 설치하는 지지봉설치단계와, 상기 지지봉과 지지봉고정구를 사용하여 제1수직판을 설치하는 제1수직판 고정단계와, 상기 제1수직판을 고정한 상태에서 보강재를 깔아 보강재의 선단이 상기 제1수직판에 걸처지게 하는 보강재설치단계와, 상기 제1수직판과 연결되게 제2수직판을 설치하는 제2수직판설치단계와, 상기 제1수직판과 제2수직판의 사이에는 투수부가 형성되고 제2수직판은 보강토층의 선단이 되게 보강토층을 형성하는 보강토층형성단계와, 상기 보강토층의 형성 후에 상기 지지구의 지지레그에 지지판을 안착하는 지지판안착단계와, 상기 지지판상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토를 채워넣는 식생토채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안착단계 전후에는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게 수직공급관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의 상면 근처에 급수관이 구비된 수평공급관을 설치하여 양단이 상기 수직공급관과 연결되도록 하는 물공급장치 설치단계가 더 수행된다.
상기 지지판상에 식생토를 채워 넣은 후에는 상기 지지구의 지지레그 선단과 연결레그 선단에 지오그리드나 메쉬망을 고정하여 설치하는 식생토 고정단계가 더 수행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 및 물공급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경사면 또는 수직벽을 거의 100%에 가깝게 녹화할 수 있어 고경사면 또는 수직벽의 외관을 수려하게 만들 수 있고 주위의 환경에 어우러질 수 있도록 고경사면 또는 수직벽을 녹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자연 강수를 사용하여 녹화를 위한 식생토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장치를 사용하므로, 녹화를 위한 식물이 효율적으로 물을 공급 받게 되어 보다 건강하게 생존할 수 있게 되므로 녹화상태를 보다 좋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면녹화공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시공된 성토층의 직벽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선반조립체를 구성하는 지지구를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선반조립체를 구성하는 지지판을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의 (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의 물공급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물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녹화공법이 시행되는 보강토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선반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구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지지구를 사용하여 보강토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지봉고정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지지구 및 지지봉고정구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수직판을 고정하는 것을 보인 개략사시도.
도 10은 도 7의 지지구를 사용하여 보강토층을 형성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 및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 및 물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지표면(1)에 잡석기초(1')를 형성하고, 그 위에 보강토층(3)을 일정 두께씩 차례로 형성하여 보강토층(3)의 선단이 수직벽(7) 또는 경사면으로 되게 한다. 참고로 상기 잡석기초(1') 부분은 상기 보강토층(3)의 선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잡석기초(1') 부분과 대응되는 각각의 보강토층(3)의 선단에는 투수부(3')가 형성된다. 상기 투수부(3')는 상기 잡석기초(1')와 같은 재료, 즉 자갈과 같은 것으로 형성하여 물빠짐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토층(3)은 반드시 상기 지표면(1)과 같은 높이에서 시작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표면(1)보다 아래부터 보강토층(3)이 시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잡석기초(1')는 상기 지표면(1)보다 낮은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잡석기초(1')에는 잡석기초(1')로 전달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횡배수유공관(1")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성토부에 수직벽(7)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직벽(7)을 형성함에 있어 일정 두께의 보강토층(3) 사이에는 보강재(5)가 사용된다. 상기 보강재(5)로는 녹화부와 보강토층(3)과의 일체화를 위해 식물의 뿌리가 식생토(40)와 보강토층(3)을 결속하는 효과가 있고, 시공중 토사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내생물학적 내화학적 성질을 가진 조밀한 격자모양을 가진 섬유질로 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5)를 사용하는 이유는 상기 각각의 보강토층(3)이 보다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보강토층(3)의 선단보다 상기 보강재(5)를 더 돌출되어 있도록 하고, 하나의 보강토층(3)이 완성되면 완성된 보강토층(3)의 선단을 보강재(5)가 감싸도록 상기 보강재(5)의 선단을 완성된 보강토층(3) 선단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성토부에 수직벽(7)을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보강토층(3)을 형성함에 있어서 수직벽(7) 대신에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단에 형성되는 보강토층(3)으로 갈수록 보강토층(3)의 선단을 그 하부의 보강토층(3)에 비해 약간 씩 후퇴되도록 형성하면 된다.
상기 보강토층(3)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보강토층(3)의 선단이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선반조립체(10)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선반조립체(10)의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선반조립체(10)는 보강토층(3)이 잘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녹화를 위한 식생토(40)가 수직벽(7) 또는 경사면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반조립체(10)는 크게 수직벽(7)에 고정되는 지지구(12)와 상기 지지구(12)에 결합되어 식생토(40)를 지지하는 지지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12)는 바아형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고정레그(14)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레그(14)에는 관통공(15)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공(15)이 두 개 상기 고정레그(14)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5)을 관통하여서는 체결구(도면부호 부여않음)가 보강토층(3)에 박힌다.
상기 고정레그(14)의 선단에 하중받침부(16)가 구비된다. 상기 하중받침부(16)는 수직벽(7)인 경우 상기 고정레그(14)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되고, 경사면인 경우 경사면의 경사와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중받침부(16)는 상기 수직벽(7)에 밀착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판(20)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강토층(3)의 선단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중받침부(16)의 선단에는 지지레그(18)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18)는 상기 하중받침부(16)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선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18)에는 상기 지지판(20)이 안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지지레그(18)의 경사각도는 대략 20도 내외로 된다. 상기 지지레그(18)의 선단과 중간 하부에는 각각 고정돌기(18')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8')는 식생토(40)가 상기 지지판(20)에서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오그리드나 메쉬망(46)(도1 참고)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레그(18) 선단과 중간 하부의 고정돌기(18')는 약간의 거리차를 두고 형성되고, 그 연장방향은 상기 지지레그(18)의 연장방향과 같다.
상기 고정레그(14)의 선단에는 또한 봉설치부(19)가 구비된다. 상기 봉설치부(19)에는 봉통공(19')이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봉통공(19')은 상기 하중받침부(16)의 연장방향으로 관통된다. 상기 봉통공(19')에는 보강토층(3)의 형성을 위한 수직판(44)을 지지하는 지지봉(42)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지지봉(42)은 상기 봉통공(19')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레그(18)상에 선단이 지지된다.
본 실시예의 지지구(12)는 최소한 2개가 한 쌍을 이뤄 지지판(20)을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바아 형상의 고정레그(14) 대신에 판상의 부재를 사용하여 2개의 지지구(12)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두 개의 지지구(12)의 고정레그(14)를 하나의 판상의 부재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판(20)은 직사각형 판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지지구(12)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었을 때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구(12)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된다. 이 주름을 주름부(22)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판(20)의 양단 중앙을 따라서는 간섭회피부(24)가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부(24)는 아래에서 설명될 수직공급관(3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지지판(20)에는 다수개의 통수공(26)이 형성된다. 상기 통수공(26)은 지지판(20)상에 안착된 식생토(40)에 공급된 물이 지지판(20)의 하부에 있는 또 다른 식생토(40)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수공(26)이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일렬로 천공되어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일렬로 천공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판(20) 상에는 식생토(40)가 위치된다. 즉, 상기 지지판(20) 사이의 공간에는 식생토(40)가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식생토(40)에는 물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보강토층(3)의 최상단에는 물공급부(27)가 구비된다. 상기 물공급부(27)는 보강토층(3)의 상면에 내린 강수가 모여지는 부분이다. 상기 물공급부(27)는 강수가 모여져 흘러갈 수 있는 채널 형상으로 된다. 상기 물공급부(27)에서 물이 배출되는 부분이 출구(27e)이다.
상기 출구(27e)를 통해서 물만이 흘러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물공급부(27)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8)의 내부에 공급투수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8)은 도 4의 (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측판(28',28")이 연결바아(28c)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측판(28',28")은 각각 사다리꼴의 판상인데,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삼각형의 판상일 수도 있다. 가장 좋기로는 제1 및 제2 측판(28',28")의 중간부에서 양단부를 향해 낮아지는 경사가 형성되도록 되면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측판(28',28")중 상기 물공급부(27)의 일측벽면에 밀착되는 제1 측판(28')은 물공급부(27)의 중앙에 위치되는 제2측판(28")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연결바아(28c)를 중심으로 제1측판(28')의 양단이 상기 제2측판(28")의 양단보다 각각 더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 측판(28',28")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급투수부(29)가 물공급부(27)의 일측벽면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물의 흐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급투수부(29)에 이물질이 퇴적되지 않고 쉽게 흘러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급투수부(29)는 투수아스콘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도면부호 28e는 연통공으로 출구(27e)와 연통되어 공급투수부(29)를 통과한 물이 아래에서 설명될 수직공급관(30)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식생토(4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공급관(30)이 상기 수직벽(7)의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수직공급관(30)은 상기 지지판(20)의 간섭회피부(24)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수직공급관(30)은 상기 수직벽(7)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수직방향으로 길게 두 개가 한 쌍이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수직공급관(30)의 중간 중간에는 분지관(32)이 설치된다. 상기 분지관(32)은 수직부(33)와 경사부(33')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33)는 수직공급관(30) 사이를 연결하게 되고, 상기 경사부(33')는 상기 수직공급관(30)과 아래에서 설명될 수평공급관(36)을 연결하여 물이 수평공급관(36)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수직부(33)의 내부에는 안내판(34)이 구비되어 상기 경사부(33')의 내부로 물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사부(33')는 상기 수직부(33)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선단은 수평공급관(36)과 연결될 수 있도록 수평하게 연장된다.
수평공급관(36)은 상기 분지관(32)의 경사부(33')에 의해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수직공급관(30)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공급관(36)은 양단의 수직공급관(3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수평공급관(36)은 상기 각각의 지지판(20)의 상면 근처에 위치되도록 다수개가 상기 수직공급관(3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수평공급관(36)을 상기 수직공급관(30)과 연결시키는 부분인 상기 분지관(32)의 경사부(33')는 중력방향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평공급관(36)으로 공급된 물은 수직공급관(30)으로 역류할 수 없다.
상기 수평공급관(36)과 급수관(38)사이는 연결관(3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37)에는 감압밸브(37')가 설치된다. 상기 감압밸브(37')는 상기 급수관(38)으로 전달되는 물의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커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수평공급관(36)에는 다수개의 급수관(38)이 구비된다. 상기 급수관(38)은 상기 수평공급관(36)을 통해 물을 공급받는 것으로, 상기 수평공급관(36)과는 연결관(37)을 통해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다. 상기 하나의 수평공급관(36)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급수관(38)의 길이는 상기 수평공급관(36)의 길이보다 짧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급수관(38)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은 급수관(38)의 내부에서 중력방향으로의 높이차가 크게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급수관(38)은 상기 수평공급관(36)보다 중력방향으로 낮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상기 급수관(38)에는 다수개의 점적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점적공(38')을 통해서 급수관(38) 내부의 물이 상기 식생토(40)로 천천히 공급된다. 상기 점적공(38')은 상기 급수관(38)에서 중력방향으로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급수관(38)의 내부에는 채움재(38")가 채워져 있다. 상기 채움재(38")는 상기 급수관(38)의 내부에서 물을 머금고 있다가 천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점적공(38')을 통해 물이 급격하게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채움재(38")는 상기 수평공급관(36)과 수직공급관(32) 모두에 채워져 있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채움재(38")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예로 들면, 모래와 잔돌이 있다.
상기 급수관(38)의 양단을 막기 위해 캡(39)이 설치된다. 상기 캡(39)에 의해 상기 급수관(38)의 양단이 막혀지는데, 상기 캡(39)에는 에어공(39')이 천공된다. 상기 에어공(39')은 상기 급수관(38)의 내부로 들어온 에어가 급수관(38)에서 쉽게 빠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상기 캡(39)의 중력방향 상부에 천공된다.
이와 같이 식생토(4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직공급관(30)과 수평공급관(36) 및 급수관(38) 등은 상기 하나의 지지판(20)의 간섭회피부(24) 사이의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상기 수직공급관(30)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공급관(30)에 수평공급관(36)의 양단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세트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 설치되어 식생토(4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선반조립체(10)는 각각의 보강토층(3)을 따라 열을 지어 배치되는데, 하나의 보강토층(3)마다 각각 열을 지어 배치되고, 그 상면에 식생토(40)가 얹어진다. 상기 식생토(40)가 얹어지는 상기 지지판(20)은 상기 보강토층(3)(보강재(5))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되어 있어 수직벽(7)을 사람들이 볼 때, 상기 지지부(22)의 선단만이 보이고 나머지는 식생토(40)만이 외부로 보이게 된다. 물론, 상기 식생토(40)에는 식물이 식재되거나 종자가 뿌려져 식물이 자라게 되므로, 사람들은 실제로 식물만을 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여 선반조립체를 구성하는 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7에 도시된 지지구(112)는 예를 들면 철근과 같은 금속봉을 2조각을 합쳐서 만드는 것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고정레그(114)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레그(114)는 이미 만들어진 보강토층(3)상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레그(114)의 후단에는 각각 핀연결부(115')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된다. 상기 핀연결부(115')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에서 직교하게 고정핀(11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115)은 상기 보강토층(3)에 삽입되어 지지구(112)를 고정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레그(114)의 선단에는 하중받침부(116)가 구비된다. 상기 하중받침부(116)는 수직벽(7)인 경우 상기 고정레그(114)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되고, 경사면인 경우 경사면의 경사와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중받침부(116)는 상기 수직벽(7)에 밀착되어 지지판(20)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강토층(3)의 선단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중받침부(116)의 선단에는 지지레그(118)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118)는 상기 하중받침부(116)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선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118)에는 상기 지지판(20)이 안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지지레그(118)의 경사각도는 대략 20도 내외로 된다. 상기 지지레그(118)와 같은 경사로 지지레그(118)의 절반정도의 길이로 연결레그(118')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118)와 연결레그(118')는 모두 상기 지지판(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레그(118')와 상기 지지레그(118)의 선단은 식생토(40)가 상기 지지판(20)에서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오그리드나 메쉬망(46)(도1 참고)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레그(118)와 연결레그(118')는 선단으로 갈수록 거리가 멀어지도록 연장방향이 설계된다. 이는 지지판(20)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의 지지구(11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강토층(3)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지지봉고정구(150)를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 지지봉고정구(150) 역시 철근과 같은 금속봉을 절곡하고 용접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지지봉고정구(150)의 골격을 프레임(152)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52)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다수개의 금속봉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52)의 후단에는 고정삽입부(154)가 한쌍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삽입부(154)는 보강토층(3)내에 삽입되어 프레임(152)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152)의 선단에는 하단봉지지링(156)이 구비된다. 상기 하단봉지지링(156)은 링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지지봉(142)의 하단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152)의 선단에서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수직바아(158)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바아(158)의 상단에는 수직바아(158)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부(159)가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159)의 선단에는 상단봉지지링(160)이 구비된다. 상기 상단봉지지링(160)은 상기 하단봉지지링(156)과 중심이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은 지지봉고정구(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수직판(144)과 제2수직판(14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수직판(144)과 제2수직판(144')의 사이에 상기 투수부(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투수부(3')를 형성하는 경우에 투수부(3')와 보강토층(3)의 다른 부분 사이가 경사지지 않고 연직방향으로 경계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과 경사면 녹화공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수직벽을 녹화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잡석기초(1')를 형성하고, 이에 보강재(5)를 사용하여 몇 개층의 보강토층(3)을 형성한다. 물론, 지표면(1)상에서 부터 시작해서 보강토층(3)을 상기 선반조립체(10)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보강토층(3)의 보강재(5)에 상기 지지구(12)의 지지레그(14)를 고정하고, 상기 봉설치부(19)의 봉통공(19')을 관통하여 지지봉(42)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42)과 수직벽(7)이 형성될 사이 위치에 수직판(44)을 설치한다. 상기 수직판(44)은 일면이 상기 지지봉(42)에 밀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고정레그(14)상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수직판(44)은 상기 지지봉(42)과 고정레그(14)에 의해 세워져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투수부(3')의 형성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투수부(3')의 형성 후에는 상기 수직판(44)은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판(44)을 영구적으로 결합되게 설치하지는 않는다. 상기 수직판(44)은 상기 지지봉(42)과 서로 결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상기 투수부(3')의 형성 후에 상기 수직판(44)을 제거하기 위해 영구적 결합이 아닌 와이어와 같은 것을 사용하여 해제가능하게 임시적 결합을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최상단의 보강토층(3)상에 보강재(5)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보강재(5)의 선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판(44)을 덮도록 되어 선단이 수직판(44) 전방에 늘어지도록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보강토층(3)을 형성한다. 상기 보강토층(3)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보강토층(3)을 충분히 다지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보강토층(3)의 선단에는 투수부(3')를 형성하는데, 상기 투수부(3')는 보강토층(3)의 최상단에서 전달되는 물이나, 식생토(40)에서 전달되는 물이 쉽게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토층(3)이 형성되고 나면, 상기 보강토층(3)의 선단에 또 다른 선반조립체(10)를 설치하기 위해 지지구(12)를 고정한다. 참고로, 상기 선반조립체(10)는 두 개의 보강토층(3)을 형성할 때마다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대략 상기 보강토층(3)의 높이가 20cm 정도인 경우에 상하로 인접한 선반조립체(10)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깝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물론 하나의 보강토층(3)을 형성할 때마다 선반조립체(10)를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상기 수직판(44)은 그에 대응되는 보강토층(3)의 형성이 끝나면 선반조립체(10)에서 분리하여 새로운 보강토층(3)을 형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보강토층(3)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12)에 지지판(20)을 설치한 후에는 물공급장치를 설치한다. 물론, 물공급장치의 설치 후에 지지판(2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수직공급관(30)을 분지관(32)을 사용하여 연결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분지관(32)의 경사부(33')에 수평공급관(36)을 연결하여 양측의 수직공급관(30) 사이를 수평공급관(36)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물론, 상기 수평공급관(36)에는 감압밸브(37')를 통해 연결된 급수관(38)이 구비되는데, 상기 급수관(38)은 상기 지지판(20)의 상면 근처에 인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물공급장치의 설치가 끝난 후에는 상기 선반조립체(10)의 지지판(20) 상에 식생토(40)를 채워넣는다. 상기 식생토(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0)의 사이에 채워지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20)의 선단까지 식생토(40)가 채워지면,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지지판(20)의 선단 부분만이 외부로 보이게 된다. 상기 식생토(40)에는 식물이 식재되거나 종자가 이미 포함되어 있어 종자가 발아하여 자라게 되면 녹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식생토(40)가 상기 지지판(20)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지지레그(18)에 식생토(40)의 하중이 작용하여 모멘트가 발생하는데, 상기 하중받침부(16)가 상기 수직벽(7)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레그(18)에 작용하는 하중을 받쳐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식생토(40)는 상기 지지판(20) 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식생토(40)가 채워진 상기 지지판(20)에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지오그리드나 메쉬망(46)이 상기 고정돌기(18')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지오그리드나 메쉬망(46)은 상기 식생토(40)가 상기 지지판(20)에서 분리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시공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수직공급관(30)을 통해 지속적으로 물 공급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7)에 모여진 물은 상기 수직공급관(30)으로 전달되고, 상기 수직공급관(30)으로 전달된 물은 상기 분지관(32)의 경사부(33')를 통해 일부는 수평공급관(36)으로 가고 나머지는 더 아래 쪽으로 가서 또 다른 수평공급관(36)으로 또 전달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수평공급관(36)으로 물이 전달된다.
상기 수평공급관(36)으로 전달된 물은 상기 감압밸브(37')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특정한 값으로 조정되어 상기 급수관(38)으로 전달된다. 상기 급수관(38)으로 전달된 물은 상기 채움재(38")가 머금게 되고, 상기 점적공(38')을 통해 급수관(38)의 외부로 천천히 배출되어 상기 식생토(40)로 전달된다.
상기 식생토(40)로 전달된 물은 상기 식생토(40)에 자라는 식물에게 공급될 수 있어, 지속적인 가뭄만 발생하지 않는다면, 자연강수만으로도 녹화를 위한 식물에 물공급을 충분히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부(27)로는 외부로부터 여러가지 이물질이 전달될 수 있는데, 상기 물공급부(27)의 출구(27e)는 상기 프레임(28)내에 설치된 공급투수부(29)를 통과한 물만을 전달받게 된다. 상기 공급투수부(29)는 상기 물공급부(27)의 물흐름 방향의 중심선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물의 흐름에 의해 상기 공급투수부(29) 표면에 있는 이물질들이 쉽게 씻겨 내려 갈 수 있어 상기 출구(27e)로의 물이동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지지구(112)를 사용하는 경우에 보강토층(3)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보강토층(3)의 선단에 지지구(112)를 안착시킨다. 상기 지지구(112)는 상기 보강토층(3)의 선단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지지구(112)에서 상기 하중받침부(116)는 상기 보강토층(3)의 선단 표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112)의 고정핀(115)은 상기 보강재(5)를 관통하여 보강토층(3)에 깊숙이 박혀진다.
다음으로, 도 10의 (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고정구(150)가 상기 보강토층(3)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봉고정구(150)는 상기 프레임(152) 후단의 고정삽입부(154)를 상기 보강토층(3)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지지봉고정구(150)도 다수개가 상기 보강토층(3)의 선단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0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보강재(5)를 보강토층(3) 상에 깔아준다. 이때, 상기 투수부(3')의 형성시에 보강재(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부직포와 같은 것을 한 장 더 덧대어서 보강재(5)를 2중으로 깔아준다. 상기 보강재(5)의 선단은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수직판(144)의 상단에 걸쳐져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봉고정구(150)의 하단봉지지링(156)과 상단봉지지링(160)을 관통하게 지지봉(142)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봉(142)은 그 하단에 걸이포크(142')가 있어 상기 지지구(112)의 지지레그(118)에 걸어져 지지된다. 상기 지지봉고정구(150)에 상기 지지봉(142)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수직판(144)을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0의 (c)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수직판(144)은 일면이 상기 지지봉고정구(150)의 수직바아(158)에 밀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지지봉고정구(150)의 프레임(152)상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수직판(144)과 상기 지지봉(142)은 서로 영구적 결합이 아닌 와이어와 같은 것을 사용하여 해제가능하게 임시적으로 결합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수직판(144)을 설치한 후에는 제2수직판(144')을 상기 제1수직판(144)과 연결타이(162)로 연결하여 설치한다. 참고로 상기 제1수직판(144)과 제2수직판(144)이 서로 연결타이(162)로 연결되면 이들 자체적으로도 제1수직판(144)과 제2수직판(144)이 자립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판(144)과 제2수직판(144')의 사이 부분은 투수부(3')가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0의 (e)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강토층(3)과 투수부(3')가 완성되면 상기 지지봉고정구(150), 지지봉(142), 제1 및 제2 수직판(144,144')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보강토층(3)과 투수부(3')를 형성하는데, 두개의 보강토층(3)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투수부(3')를 포함하여 보강토층(3)의 형성이 마쳐지면 보강재(5)로 투수부(3')를 감싸도록 하고 선단은 보강토층(3)의 내부에 묻혀지도록 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0의 (f)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f)의 상태와 같이 보강토층(3)이 완성되면 다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112)를 설치하여 위에서 설명된 과정을 반복하여 계속하여 보강토층(3)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판(20)은 반드시 주름부(22)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상기 지지판(20) 자체의 강도가 충분히 지지구(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정도라면 주름부(22)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물공급장치를 식생토(40)의 내부에 설치하여 물공급부(27)로부터 전달받아 식생토(40)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주변 환경이 식생토(40)에 물공급이 충분히 될 수 있는 경우라면 물공급장치가 없어도 된다.
1: 지표면 1': 잡석기초
3: 보강토층 5: 보강재
7: 수직벽 10: 선반조립체
12: 지지구 14: 고정레그
16: 하중받침부 18: 지지레그
19: 봉설치부 19': 봉통공
20: 지지판 22: 주름부
24: 간섭회피부 26: 통수공
27: 물공급부 27e: 출구
28: 프레임 28': 제1측판
28": 제2측판 28c: 연결바아
28e: 연통공 29: 공급투수부
30: 수직공급관 32: 분지관
33: 수직부 33': 경사부
34: 안내판 36: 수평공급관
37: 연결관 37': 감압밸브
38: 급수관 38': 점적공
39: 캡 39': 에어공
40: 식생토 42: 지지봉
44: 수직판 112: 지지구
114: 고정레그 115: 고정핀
116: 하중받침부 118: 지지레그
150: 지지봉고정구 152: 프레임
154: 고정삽입부 156: 하단봉지지링
158: 수직바아 160: 상단봉지지링

Claims (26)

  1. 보강토층에 고정되는 고정레그와, 상기 고정레그의 선단에서 중력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직벽이나 경사면에 밀착되는 하중받침부와, 상기 하중받침부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레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지지레그 상에 지지되고 식생토가 안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양단에는 간섭회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구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통수공이 열을 지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의 고정레그 선단에는 지지봉의 관통을 위한 봉통공이 상기 하중받침부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된 봉설치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의 선단과 하부 중간부분에는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하중받침부의 선단에서 중력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조립체.
  6. 삭제
  7. 형성될 보강토층의 선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선반조립체의 지지구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구에 형성된 봉설치부의 봉통공을 관통한 지지봉에 수직판을 지지되게 설치하는 수직판고정단계와,
    상기 수직판이 설치된 부분이 보강토층의 선단이 되도록 보강토층을 형성하는 보강토층형성단계와,
    상기 보강토층의 형성 후에 상기 지지구의 지지레그에 지지판을 안착하는 지지판안착단계와,
    상기 지지판상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토를 채워넣는 식생토채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안착단계 전후에는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게 수직공급관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의 상면 근처에 급수관이 구비된 수평공급관을 설치하여 양단이 상기 수직공급관과 연결되도록 하는 물공급장치 설치단계가 더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상에 식생토를 채워 넣은 후에는 상기 지지구의 지지레그 선단과 하부 중간에 돌출된 고정돌기에 지오그리드나 메쉬망을 고정하여 설치하는 식생토 고정단계가 더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보강토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최하단의 보강토층의 하부에 형성된 잡석기초와 대응되는 각각의 보강토층의 선단에는 투수부가 형성되어 상기 잡석기초로 물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11. 보강토층을 여러 층으로 만들어 보강토층의 선단에 형성된 수직벽 또는 고경사면에 지지구와 지지판으로 구성된 선반조립체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판에 식생토를 채워넣어 수직벽 또는 고경사면을 녹화함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물공급부로부터 물을 전달받는 한 쌍의 수직공급관과,
    상기 양측의 수직공급관에 구비된 분지관의 경사부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수직공급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으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공급관과,
    상기 수평공급관보다 중력방향 하부에 있도록 상기 수평공급관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점적공을 통해 상기 식생토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으로 전달되는 물의 압력을 소정값 이하로 만들어주는 감압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용 물공급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관은 상부와 하부의 수직공급관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중력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수평공급관과 연결되는 경사부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경사부로 물을 안내하는 안내판이 상기 경사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용 물공급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밸브는 상기 수평공급관과 상기 급수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용 물공급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의 점적공은 상기 급수관에서 중력방향 최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의 양단을 캡이 폐쇄하는데, 상기 캡에는 에어공이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용 물공급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의 내부에는 채움재가 채워져 물을 머금었다 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용 물공급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공급관과 수평공급관내에도 채움재가 채워져 물을 머금었다 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용 물공급장치.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강수가 흘러갈 수 있는 채널 형상으로, 그 출구가 형성된 부분에는 프레임의 내부에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공급투수부가 형성되어 상기 출구로 물만이 전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용 물공급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출구가 형성된 물공급부의 내측벽면에 접촉하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연결바아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물공급부의 중간부에 위치되는 제2측판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연결바아를 기준으로 상기 제1측판은 상기 제2측판의 양단부보다 더 돌출되고, 제1측판과 제2측판은 그 양단부를 향해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공급투수부가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용 물공급장치.
  19. 보강토층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구비하여 보강토층에 고정되는 고정레그와, 상기 고정레그의 선단에서 중력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직벽이나 경사면에 밀착되는 하중받침부와, 상기 하중받침부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레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지지레그 상에 지지되고 식생토가 안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레그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연결부의 선단에 핀연결부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강토층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조립체.
  20. 삭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하중받침부의 선단에서 중력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레그와 같은 경사각도를 가지고 상기 지지레그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선단으로 갈수록 지지레그와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연결레그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조립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2개의 금속봉을 절곡하고 연결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선반조립체.
  23. 제 19 항, 21항, 2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통수공이 열을 지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양단에는 간섭회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조립체.
  24. 형성될 보강토층의 선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선반조립체의 지지구와 지지봉고정구를 설치하여 지지봉을 설치하는 지지봉설치단계와,
    상기 지지봉과 지지봉고정구를 사용하여 제1수직판을 설치하는 제1수직판 고정단계와,
    상기 제1수직판을 고정한 상태에서 보강재를 깔아 보강재의 선단이 상기 제1수직판에 걸처지게 하는 보강재설치단계와,
    상기 제1수직판과 연결되게 제2수직판을 설치하는 제2수직판설치단계와,
    상기 제1수직판과 제2수직판의 사이에는 투수부가 형성되고 제2수직판은 보강토층의 선단이 되게 보강토층을 형성하는 보강토층형성단계와,
    상기 보강토층의 형성 후에 상기 지지구의 지지레그에 지지판을 안착하는 지지판안착단계와,
    상기 지지판상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토를 채워넣는 식생토채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안착단계 전후에는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게 수직공급관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의 상면 근처에 급수관이 구비된 수평공급관을 설치하여 양단이 상기 수직공급관과 연결되도록 하는 물공급장치 설치단계가 더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상에 식생토를 채워 넣은 후에는 상기 지지구의 지지레그 선단과 연결레그 선단에 지오그리드나 메쉬망을 고정하여 설치하는 식생토 고정단계가 더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KR1020100008613A 2010-01-29 2010-01-29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와 물공급장치 KR100993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13A KR100993142B1 (ko) 2010-01-29 2010-01-29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와 물공급장치
PCT/KR2011/000487 WO2011093625A2 (ko) 2010-01-29 2011-01-24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골재 콘테이너, 선반조립체와 물공급장치
CN201180007761.4A CN102917580B (zh) 2010-01-29 2011-01-24 对竖直壁和高倾斜面绿化的方法和用于该方法的骨材容器、架组件以及供水装置
JP2012551081A JP5373207B2 (ja) 2010-01-29 2011-01-24 垂直壁と高傾斜面緑化工法、及びこれに使われる骨材コンテナ、旋盤組立体と水供給装置
EP11737264A EP2529615A2 (en) 2010-01-29 2011-01-24 Vertical wall and high-slope afforestation method and aggregate container, shelf assembly and water supply device us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13A KR100993142B1 (ko) 2010-01-29 2010-01-29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와 물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142B1 true KR100993142B1 (ko) 2010-11-09

Family

ID=4340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613A KR100993142B1 (ko) 2010-01-29 2010-01-29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와 물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1532A (zh) * 2020-07-20 2020-10-30 河南城建学院 一种改良膨胀土高陡边坡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9222A (ja) * 1984-01-31 1985-08-20 Toyo Green Fureimaa Kk 法面の緑化方法
KR200335098Y1 (ko) 2003-09-19 2003-12-03 대건엔지니어링(주) 친환경적 도로 옹벽 구조
KR100653453B1 (ko) * 2004-05-21 2006-12-04 레이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옹벽
KR100929861B1 (ko) 2009-06-17 2009-12-04 허원석 굴절형 앵커를 이용한 절취사면 보강구조물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9222A (ja) * 1984-01-31 1985-08-20 Toyo Green Fureimaa Kk 法面の緑化方法
KR200335098Y1 (ko) 2003-09-19 2003-12-03 대건엔지니어링(주) 친환경적 도로 옹벽 구조
KR100653453B1 (ko) * 2004-05-21 2006-12-04 레이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옹벽
KR100929861B1 (ko) 2009-06-17 2009-12-04 허원석 굴절형 앵커를 이용한 절취사면 보강구조물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1532A (zh) * 2020-07-20 2020-10-30 河南城建学院 一种改良膨胀土高陡边坡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3207B2 (ja) 垂直壁と高傾斜面緑化工法、及びこれに使われる骨材コンテナ、旋盤組立体と水供給装置
CN109315200A (zh) 青海高原地区公路边坡植被修复方法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0746730B1 (ko) 보강토 옹벽 및 사면의 시공방법
KR101250304B1 (ko)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
KR101231123B1 (ko)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생태블록 시공방법 및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
KR100993142B1 (ko)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와 물공급장치
WO2005021681A1 (en) Construc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n respect of water source and earth
KR101029317B1 (ko) 옹벽용 식생블록
KR101525404B1 (ko)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
KR20100092837A (ko) 식생블록 및 이 식생블록을 이용한 식생옹벽 시공방법
KR102395350B1 (ko) 식재망태를 이용한 토낭사면 시공방법
KR200320196Y1 (ko) 도로미화용 이중화분
KR101238787B1 (ko) 녹화가 가능한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KR101138192B1 (ko)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
KR20150088003A (ko) 게비온형 녹화구조물
KR100774610B1 (ko) 보강토 옹벽 및 사면의 녹화용 토낭
CN210439227U (zh) 一种悬挂式种植板和砂土边坡生态护坡系统
KR100649115B1 (ko) 식생 옹벽
CN210002422U (zh) 一种破碎岩土体路堑边坡柔性支挡加固结构
KR101280027B1 (ko) 식생기반포대를 사용한 옹벽 녹화공법
KR100938140B1 (ko)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09915B1 (ko)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KR200369435Y1 (ko) 낙석 방지 및 녹화처리를 위한 격자형 조립식 옹벽
KR101055295B1 (ko)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호안블록 시공법 및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