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453B1 -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옹벽 - Google Patents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453B1
KR100653453B1 KR1020040036286A KR20040036286A KR100653453B1 KR 100653453 B1 KR100653453 B1 KR 100653453B1 KR 1020040036286 A KR1020040036286 A KR 1020040036286A KR 20040036286 A KR20040036286 A KR 20040036286A KR 100653453 B1 KR100653453 B1 KR 100653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support
block
coupl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111A (ko
Inventor
박병영
Original Assignee
레이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이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6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45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1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옹벽의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가 적층된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격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옹벽 축조용 블록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전면에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인 옹벽을 제공할 수 있다.
옹벽, 조립, 식생, 식물

Description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옹벽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옹벽의 블록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2b는 변형된 지지부를 가지는 블록의 측면도이고, 도 2c는 도 1의 옹벽의 블록이 단차를 가지는 경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옹벽의 블록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옹벽의 블록 중 격판부가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4b 및 4c는 각각 도 1의 옹벽의 블록 중 격판부 및 지지부의 결합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보강토가 적층된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측단면도이다.
도 5b는 지지부재가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측단면도이다.
도 5c는 지지구조물이 결합된 도 1의 블록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d는 도 5c의 블록 및 지지구조물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a는 지오그리드가 추가로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6b는 옹벽구조물의 전면에 적층된 옹벽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블록의 저면도이다.
도 10는 도 7의 블록의 조립도이다.
도 11은 경사면을 가지는 옹벽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지지판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도 1의 옹벽의 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a는 도 12의 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13b는 변형된 지지판부를 구비하는 도 1의 옹벽의 블록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블록이 적층된 상태에서 보강토에 의하여 발생하는 토압의 작용 방향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 도면의 간단한 설명 *****
10 : 옹벽 100 : 본체부
110 : 기저부 120 : 지주부
130 : 지지결합부 140, 150 : 결합부
160 : 보강부재 200 : 지지부
300 : 격판부 400 : 앵커블록
410 : 보강토 420 : 지지부재
본 발명은 옹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옹벽의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가 적층된 블록에 관한 것이다.
옹벽이란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를 말하며, 지표지반(地表地盤)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옹벽은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에 필요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① 블록 쌓기: 예로부터 널리 쓰이는 축벽(築壁)이 이것에 속하며 현재는 콘크리트블록이 많이 사용된다.
② 중력식(重力式) 콘크리트 옹벽: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내는 구조로 되었는데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채택된다.
③ 특수 철근콘크리트 옹벽: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옹벽으로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用地)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되며, 역T형식 ·부벽식(扶壁式:L자형) 등 여러 형식이 있다. 이 밖에 강판이나 목책(木柵)을 이용한 간단한 것도 있다.
한편 옹벽은 도로 주변, 아파트 등의 건축물 주변 등에 설치되는데, 옹벽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등에 의하여 시공되므로, 외관이 단조롭고 삭막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옹벽의 외관상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지오그리드가 설치된 옹벽의 전면에 녹생토 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녹생토 공법의 경우 식생이 용이하지 않으며, 옹벽의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식물이 서식하는데 적당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옹벽의 전면에 식물의 서식이 양호한 자연 친화적인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옹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격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기 기저부의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옹벽의 후면에 설치된 지지구조물과 연결된 지지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고리와 같은 지지결합부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주부들은 각각 그 높이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저부는 하나 이상의 단차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 및 지지부의 내부에는 보강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철근과 같은 강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주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지주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블록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주부에 형성된 돌출부 및 기저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블록의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기저부에 형성된 요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요홈부는 상기 기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주부와 결합되는 결합로드이고, 상기 요홈부는 상기 결합로드가 끼워지는 결합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에는 결합로드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요홈부에는 상기 결합로드가 끼워지는 결합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저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지지면과, 상기 제 1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기저부의 상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 2 지지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면의 상기 기저부의 길이방향 단면의 상측변은 직선 또는 곡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면의 상기 기저부의 길이방향 단면의 상측변은 직선 또는 곡 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격판부는 이웃하는 블록의 지지부와 함께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격판부는 상기 지지부와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격판부는 상기 지지부와 접하는 부분에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판부는 상기 제 1 지지면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제 1 격판부와, 상기 제 2 지지면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제 2 격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격판부의 높이는 상기 지주부의 높이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블록이 적층된 옹벽을 제공한다.
상기 블록들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격판부는 복수개의 블록의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블록들은 옹벽구조물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옹벽구조물은 지오그리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옹벽은 그 전면을 기준으로 후면에 보강토가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블록들은 지지구조물에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블록들은 상기 옹벽의 전면을 기준으로 후면쪽으로 후퇴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옹벽은 상기 블록들의 격판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식물이 서식될 수 있다.
상기 옹벽의 전면을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기저부, 상기 기저부의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주부, 상기 기저부의 끝단으로부터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지지 설치되는 격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하나 이상의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기 기저부의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주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기저부의 상측에는 보강토의 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판부는 상기 기저부에 체결수단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부는 복수개의 블록의 기저부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주부와, 상기 기저부의 끝단으로부터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 설치되는 격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부는 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물과 보강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지주부에 형성된 제 1 결합공 및 상기 지지구조물에 형성된 제 2 결합공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양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로드와, 상기 결합로드의 양끝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주부와 지지구조물을 결합시키는 한 쌍의 암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주부에 형성된 제 1 결합공 및 지지구조물에 형성된 제 2 결합공은 블록의 상하 방향으로 거동이 가능하도록 슬릿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나사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암나사부 및 지주부 또는 상기 암나사부 및 지지구조물 사이에는 지압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압판에 형성된 관통공은 블록의 상하 방향으로 거동이 가능하도록 슬릿 또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결합부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블록의 기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연장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옹벽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10)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본체부(100)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부(200); 및 지지부(200)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격판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와 일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기저부(110) 및 기저부(110)로부터 기저부(110)의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주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저부(11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구조물 (블록)에 지지되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막대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기저부(110)의 길이는 축조되는 옹벽(1)의 설계 조건에 따라서 결정되며, 그 길이는 적층되는 층의 위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기저부(110)의 형상은 긴 막대형으로 그 단면은 직사각형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저부(11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단차(111)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주부(12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저부(110)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기저부(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주부(120)는 기저부(11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지주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수는 옹벽(1)의 설계 조건에 따라서 하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주부(120)가 복수개로 구성된 경우, 각각 그 높이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저부(110)가 하나의 단차(111)를 가지는 경우, 그 단차에 대응되도록 지주부(120)의 높이도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부(100) 및 지지부(200)의 내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16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160)로는 철근과 같은 강재로 이루어진 매쉬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콘크리트 또는 철근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FRP 등과 같은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10)이 적층된 옹벽(1)을 도시한 것으로서, 블록(10)이 적층됨과 아울러, 상기 블록(10)이 형성하는 빈 공간에 보강토(410)가 적 층되게 된다.
한편, 옹벽(1)의 후면에 적층되는 보강토(410)는 일정한 토압을 가지게 되는데, 상기 보강토(410)의 토압에 의하여 상기 옹벽(1)을 구성하는 블록(10)을 그 전면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1)의 후면에 설치된 앵커블록(400)과 같은 지지구조물과 연결된 지지부재(420)와의 결합을 위한 고리와 같은 지지결합부(13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토(410)의 토압에 의하여 상기 옹벽(1)을 구성하는 블록(10)을 그 전면으로 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주부(120) 중 가장 뒤쪽에 위치하는 지주부(120)는 도 5c 및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20)에 설치된 별도의 지지구조물(430)과 보강결합부(52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결합부(520)는 도 5c 및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부(120)에 형성된 제 1 결합공(121) 및 상기 지지구조물(430)에 형성된 제 2 결합공(432a)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양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로드(522)와, 상기 결합로드(522)의 양끝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주부(120)와 지지구조물(430)을 결합시키는 한 쌍의 암나사부(5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나사부(521)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암나사부(521) 및 지주부(120) 또는 상기 암나사부(521) 및 지지구조물(430) 사이에는 지압판(523)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주부(120)에 형성된 제 1 결합공(121) 및 지지구조물(430)에 형성된 제 2 결합공(432a)은 보강토의 토압 등의 변화에 의하여 블록(10) 및 지지구조물(430)의 결합 위치가 바뀔 수 있도록,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의 상하 방향으로 거동이 가능하도록 슬릿 또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압판(523)에 형성된 관통공(523a) 또한 블록(10)의 상하 방향으로 거동이 가능하도록 슬릿 또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결합부(520)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보강결합부(520)는 상하 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의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지지구조물(430)은 블록(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10)의 기저부(1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부(431)와, 상기 베이스부(431)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연장형성부(4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형성부(432)는 상기 지지구조물(430)이 보강토 내에 매입될 때, 블록(10)이 옹벽(1)의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블록(10)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블록(10)이 적층될 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10)들 사이에 지오그리드(510)를 설치함으로써 옹벽(1)을 보강할 수도 있다. 물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오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옹벽(1)의 전면에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블록(1)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주부(120)가 복수개로 구성된 경우, 상기 지주부(1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120)의 상측에 설치되는 블록(10)과 결합되는 결합부(140, 1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0, 150)는 본체부(100)의 상·하측에 위치하는 블록(10)과 결합시킴과 아울러, 블록(10)들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옹벽(1)의 후면에 쌓이는 보강토(410)의 토압에 의하여 블록(10)이 옹벽(1)의 전면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120)에 형성된 돌출부(140) 및 하측에 설치되는 블록(10)의 돌출부(140)가 끼워지도록 기저부(110)에 형성된 요홈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요홈부(150)는 기저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40)에는 결합로드(142)가 끼워지는 결합공(141)이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요홈부(150)에는 상기 결합로드(142)가 끼워지는 결합공(151)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주부(120)와 결합되는 결합로드(미도시)이고, 상기 요홈부는 상기 결합로드가 끼워지는 결합공(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적층된 블록(10)들의 기저부(110)들을 수평 방향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끼워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2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지지면(220)과, 제 1 지지면(220)으로부터 기저부(110)의 상측 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 2 지지면(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면(220)의 기저부(110)의 길이방향 단면의 상측변(221)은 직선 또는 곡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면(210)의 기저부(110)의 길이방향 단면의 상측변(211)은 직선 또는 곡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격판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블록(10)의 지지부(200)와 함께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격판부(3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와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33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판부(300)는 도 4b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와 접하는 부분에 단턱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의 형성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부(300)에 형성되거나,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판부(300) 및 지지부(200)는 격판부(300)가 좌우로 거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판부(300) 및/또는 지지부(200)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판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면(220)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제 1 격판부(320)와, 상기 제 2 지지면(210)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제 2 격판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격판부(300)의 높이는 지주부(120)의 높이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판부(300)의 재질은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목재, 재활용재, 강화프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도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격판부(30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상이 아닌, 복수개의 로드(33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330)의 단면 형상은 원형, 다각형,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재질은 재질은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목재, 재활용재, 강화프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도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로드(330)는 콘크리트 인조목 등을 사용하여 외부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격판부(300)에는 격판부(300)가 형성하는 공간에 쌓인 보강토 내에서 발생되는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배수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블록(10)은 적층되어 옹벽(1)을 형성하게 되며, 도 1, 5a, 5b, 6a 또는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1)의 후면에는 보강토(410)가 쌓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들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격판부(300)는 복수개의 블록(10)의 지지부(2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토(410) 중 일부는 상기 블록(10)들의 빈 공간 및 블록(10)의 격판부(30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적층되게 된다. 여기서 격판부(300)는 보강 토(410)가 옹벽(1)의 전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옹벽(1)은 보강토(410)의 토압을 견딜 수 있도록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토(410) 내 또는 별도의 지지구조물(미도시)과 연결되는 지지부재(420)와 블록(10)을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1)은 보강토 옹벽, 블록식 옹벽, 판넬식 옹벽, 지오그리드가 설치된 옹벽 구조물 등의 전면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6b는 지오그리드(510)가 설치된 옹벽의 전면에 설치된 옹벽을 도시한 것이다. 즉, 블록이 적층됨과 아울러, 적층되는 블록 사이에 지오그리드가 고정된 옹벽 구조물이 적층된 후, 본 발명에 따른 옹벽(1)을 그 전면에 적층하여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1)은 도 5a 내지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면이 수직을 이루도록 적층될 수 있으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블록을 옹벽(1)의 전면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후퇴시키면서 적층시킴으로써 옹벽의 전면을 경사지도록 적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옹벽(1)은 도 5a, 5b, 6a, 6b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들의 격판부(300)에 형성되는 공간에 적층된 보강토에 다양한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옹벽(1)은 보강토(410)가 후방쪽까지 연결되어 있으므로, 격판부(300)에 형성되는 식생공간에 서식하는 식물이 블록(10)의 후방까지 뿌리를 내릴 수 있으며, 보강토(410)에서 흘러오는 물에 의하여 식물이 서식할 수 있 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옹벽(1)은 도 1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블록(10)이 적층됨과 아울러, 상기 블록(10)들 사이에는 보강토가 적층되어 구성되는데, 보강토의 적층에 의하여 토압이 상기 블록(10)들 사이를 통하여 옹벽(1)의 전면으로 작용함으로써 보강토(410)가 옹벽(1)의 전면으로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2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은 상기 기저부(1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판부(17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부(100)의 기저부(110)의 상측에 지주부(120)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지지판부(170)를 설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지지판부(17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저부(110) 중 옹벽(1)의 전면을 기준으로 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지지판부(170)에 의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토에 의하여 발생하는 토압을 지지 또는 차단함으로써, 토압에 의하여 옹벽(1)의 전면으로 밀려 나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부(170)을 이루는 평판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판부(170)의 형상은 평판 형상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블록(10)의 기저부(110)에 의하여 지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부(170)은 볼트 또는 핀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기저부(110)에 결합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및 블록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식물이 서식하는 데 알맞은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옹벽의 외관을 보다 자연친화적인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및 블록은 옹벽의 전면에 식생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치 않으므로 식생공간을 가지는 옹벽의 시공 비용 및 시공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7)

  1.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격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지지면과, 상기 제 1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상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제 2 지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격판부는 상기 제 1 지지면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제 1 격판부와, 상기 제 2 지지면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제 2 격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옹벽의 후면에 설치된 지지구조물과 연결된 지지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지지결합부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결합부는 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기 기저부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들은 각각 그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하나 이상의 단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지주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하측에 설치되는 블록의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기저부에 형성된 요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블록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는 상기 기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주부와 결합되는 결합로드이고, 상기 요홈부는 상기 결합로드가 끼워지는 결합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결합로드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요홈부에는 상기 결합로드가 끼워지는 결합공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2. 삭제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면의 상기 기저부의 길이방향 단면의 상측변은 직선 또는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면의 상기 기저부의 길이방향 단면의 상측변은 직선 또는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는
    이웃하는 블록의 지지부와 함께 지지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는 상기 지지부와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는 상기 지지부와 접하는 부분에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8. 삭제
  1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의 높이는 상기 지주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2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는
    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물과 보강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결합부는
    상기 지주부에 형성된 제 1 결합공 및 상기 지지구조물에 형성된 제 2 결합공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양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로드와, 상기 결합로드의 양끝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주부와 지지구조물을 결합시키는 한 쌍의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에 형성된 제 1 결합공 및 지지구조물에 형성된 제 2 결합공은 블록의 상하 방향으로 거동이 가능하도록 슬릿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암나사부 및 지주부 또는 상기 암나사부 및 지지구조물 사이에는 지압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판에 형성된 관통공은 블록의 상하 방향으로 거동이 가능하도록 슬릿 또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25. 제 20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결합부는 복수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26. 제 20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블록의 기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연장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지지부의 내부에는 보강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2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의 상측에는 보강토의 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부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부는 상기 기저부에 체결수단에 의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부는 복수개의 블록의 기저부의 상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3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판부 및 제 2 격판부는 복수개의 로드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콘크리트 인조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34. 제 1항에 따른 블록이 적층된 옹벽.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36.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는 복수개의 블록의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37. 삭제
  38. 삭제
  39.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은 그 전면을 기준으로 후면에 보강토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40.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은 지지구조물에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결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41. 삭제
  42.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은 상기 블록들의 격판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식물이 서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43.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의 전면이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44.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이웃하는 블록의 기저부 사이에 설치되는 지오그리드를 추가 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45.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격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판부는 복수개의 로드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콘크리트 인조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KR1020040036286A 2004-05-21 2004-05-21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옹벽 KR100653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286A KR100653453B1 (ko) 2004-05-21 2004-05-21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286A KR100653453B1 (ko) 2004-05-21 2004-05-21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111A KR20050111111A (ko) 2005-11-24
KR100653453B1 true KR100653453B1 (ko) 2006-12-04

Family

ID=3728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286A KR100653453B1 (ko) 2004-05-21 2004-05-21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4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800B1 (ko) 2007-12-21 2008-06-1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조립식 생태조형물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93142B1 (ko) * 2010-01-29 2010-11-09 대산녹화산업(주)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와 물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4810A (en) * 1980-05-23 1983-05-24 Herwig Neumann Locking beam to form a three-dimensional lattice in a construction system for plantable shoring walls
US6036405A (en) * 1995-12-08 2000-03-14 Nove; Fred J. Retaining wall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4810A (en) * 1980-05-23 1983-05-24 Herwig Neumann Locking beam to form a three-dimensional lattice in a construction system for plantable shoring walls
US6036405A (en) * 1995-12-08 2000-03-14 Nove; Fred J. Retaining wall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800B1 (ko) 2007-12-21 2008-06-1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조립식 생태조형물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93142B1 (ko) * 2010-01-29 2010-11-09 대산녹화산업(주)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와 물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111A (ko)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52475B (zh) 一种桁架式挡土墙
KR100704408B1 (ko) 식생용 블럭
EP0617750A1 (en) Interlocked gridwork for retaining walls, and the like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100653453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옹벽
KR101363557B1 (ko) 식생 옹벽 축조물
KR101365658B1 (ko) 토낭 받침대
KR102302152B1 (ko)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과 이를 이용한 중력식축조옹벽
KR101163595B1 (ko) 조립식 인공전석
KR200307195Y1 (ko)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
CN212452702U (zh) 一种可拼装的三维网状加筋带柔性支挡结构
KR101047283B1 (ko) 식생축조블록과 보강용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KR101824176B1 (ko)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고 시공이 용이한 옹벽 블록
KR100400170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
KR100607605B1 (ko)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CN204456181U (zh) 桁架式挡土墙
KR102558157B1 (ko)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200341395Y1 (ko)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
KR100346947B1 (ko) 석축 보강 및 옹벽 공사방법
KR100989945B1 (ko) 블록파일체에 의한 구조물 시공방법
KR200382628Y1 (ko) 옹벽용 블록
CN203270605U (zh) 一种植草挡土块及采用该挡土块干垒的挡土墙
KR100691610B1 (ko) 조립식옹벽유닛 및 이를 이용한 사면공법
KR102194854B1 (ko)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
KR101790939B1 (ko) 저수공간이 형성된 옹벽용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